KR20070070314A - 필러트림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필러트림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314A
KR20070070314A KR1020050084808A KR20050084808A KR20070070314A KR 20070070314 A KR20070070314 A KR 20070070314A KR 1020050084808 A KR1020050084808 A KR 1020050084808A KR 20050084808 A KR20050084808 A KR 20050084808A KR 20070070314 A KR20070070314 A KR 2007007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trim
vehicle
fixed
p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0314A/ko
Publication of KR2007007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러트림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필러트림 내측에 설치되어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패널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차량 충돌에 의한 커튼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힌지부재의 변형으로 필러트림의 일측부가 개방되는 구성으로, 커튼에어백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커튼에어백의 전개로 인한 필러트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필러트림, 마운팅클립, 차체패널

Description

필러트림 결합구조{PILLER TRIM MOUN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필러트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A와 B-B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트림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필러트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필러트림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필러트림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필러트림 110...마운팅보스
120...커튼에어백 200...힌지부재
200...힌지부재 300...체결부재
310...마운팅클립 320...고정부재
400...차체패널
본 발명은 필러트림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필러트림에 마련된 힌지부재의 변형으로 상기 필러트림와 필러인너트림 사이로 커튼에어백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필러트림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에어백이 마련되어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한다. 즉, 차량의 충돌시 차체에 마련된 센서로 충격을 감지하여 마이컴에서 충격의 강도에 따라 에어백을 전개시킬지 여부를 판정하고, 에어백 전개의 필요시 전기 신호를 인플레이터로 보내 가스 발생재의 연소를 통한 에어백의 팽창으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1은 종래의 필러트림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A와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글래스에 전개되는 커튼에어백(40)이 내장되는 종래의 필러트림의 구조는 필러트림(10)의 내측으로 마운팅보스(20)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보스(20)에는 마운팅클립(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클립(30)만으로는 커튼식 에어백 전개시 폭발압력을 제대로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체결력을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마운팅스크류(50)와 이를 위한 별도의 마운팅보스(20')가 구비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필러트림(10)이 차내로 펼쳐지며 커튼에 어백(40)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필러트림(10)의 내측면에는 노치가 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러트림 결합구조는 상기 필러트림에 클립을 장착한 후, 별도의 마운팅스크류를 통해 재 마운팅하는 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필러트림의 내측면에 노치가 형성된 경우에는 해당 부분의 두께가 약하여, 노치부분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분리된 필러트림의 일부가 승객을 타격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필러트림의 파손 없이 커튼에어백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필러트림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충돌시 커튼에어백이 내장된 필러트림과 상기 필러트림이 결합된 차체패널 사이로 커튼에어백이 전개되는 필러트림 결합구조에 있어서, 필러트림 내측에 설치되어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패널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차량 충돌에 의한 커튼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힌지부재의 변형으로 상기 필러트림의 일측부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재는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차체패널에 후크 결합되는 마운팅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으로 상기 마운팅클립의 일단이 끼워 고정되는 고정홈을 갖는 클립고정부와 일측으로 상기 힌지부재가 억지끼움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힌지부재연결부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필러트림(100)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부재(200)와, 일단이 상기 힌지부재(200)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패널(4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00)를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필러트림 결합구조의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필러트림의 내측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러트림(100)은 차량의 차체패널(400)과 결합 고정되도록 예정되고, 내부 일측으로 차량의 충돌시 전개되는 커튼에어백(120)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필러트림(100)의 내부 타측에는 마운팅보스(110)가 돌출 형성되어 돌출되는 단부에 힌지부재(200)의 일단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마운팅보스(110)는 상기 필러트림(100)의 내측 소정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재(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운팅보스(1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이 억지끼워 고정가능한 장홈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보스(110)는 상기 힌지부재(200)가 측부에서 삽입 후 고정가능하도록 일측부가 개방되는 간격부(111)를 가지며, 상기 간격부(111)의 형상은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재(200)는 일측부가 개방되고, 해당 단면은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개방되는 양단부 중에서 일단부는 상기 필러트림(100)에 마련된 마운팅보스(1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차체패널(400)에 체결이 예정된 체결부재(300)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에 의한 상기 커튼에어백(120)의 전개시, 상기 힌지부재(200)에 의해 벌려진 필러트림(100)과 차체패널(400)의 간격을 통해 커튼에어백(120)이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부재(200)가 마운팅보스(110)를 통해 상기 필러트림(100)에 고정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필러트림(100)의 내측 구성이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부와 결합가능한 형상이면 앞서 설명한 마운팅보스(110)의 구성은 생략해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필러트림(100) 내측 소정위치에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이 끼워 고정되는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부재(20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체결부재(300)는 상기 필러트림(100)을 차체패널(400)에 결합하기 위한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필러트림(100)에 고정된 힌지부재(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체패널(400)에 결합 예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300)는 상기 필러트림(100)의 힌지부재(2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20)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32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차체패널(400)에 결합가능한 마운팅클립(3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클립(3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적 구성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힌지부재(200)가 고정되는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마운팅클립(310)의 일단이 끼워 고정되는 클립고정부(321)와, 상기 힌지부재(200)가 끼워고정되는 힌지부재연결부(323)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클립고정부(321)는 내측으로 상기 마운팅클립(310)의 하단부가 끼워 고정가능한 고정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연결부(323)는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부재(320)에 밀착 고정되도록 슬롯(3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클립고정부(321)의 고정홈(322) 개구방향과 상기 힌지부재연결부(323)의 슬롯(324) 개구방향은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변형예에 따른 필러트림 결합구조의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필러트림의 내측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변형예로, 도 5a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20) 대신 상기 고정부재(320)에 마련되는 고정홈(322)을 상기 힌지부재(200)의 연결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부가 고정부재(320)를 통하지 않고, 바로 힌지부재(200)의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차체패널(400)에 후크 결합 가능한 마운팅클립(310)으로만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300)에 결합되는 힌지부재(200)의 일단부에는 고정홈(322')이 형성되어, 상 기 마운팅클립(310)이 직접 힌지부재(200)와 차체패널(400)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운팅클립(310)을 힌지부재(200)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부재(320)의 구성이 생략되어 작업공수의 단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러트림(100)과 차체패널(400)이 마운팅클립(31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성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나, 이는 필러트림(100)의 힌지부재(200) 일단부와 차체패널(4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300)는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부와 상기 차체패널(4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체결 구성은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볼트를 통해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부와 차체패널(400)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필러트림(100)이 결합되는 차체패널(400)에는 상기 필러트림(100)에 마련된 체결부재(300)와 상호 체결이 가능한 형상의 연결공(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필러트림(100)의 체결부재(300)가 마련된 대향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운팅클립(310)을 통해 필러트림(100)과 차체패널(400)의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연결공은 상기 마운팅클립(310)의 일단과 대응되어 후크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러트림(100)의 마운팅보스(110)에 힌지부재(200)의 일단부를 억지끼워 고정하고, 상기 힌지부재(200)의 타단부에는 체결부재(300)를 결합하여 상기 체결부재(300)를 통하여 필러트림(100)과 차체트림을 상호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힌지부재(2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20) 와 상기 고정부재(320)에 끼워 결합되는 마운팅클립(310)으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부재(300)의 마운팅클립(310)을 통해 상기 차체패널(400)과의 결합이 가능하다. 변형예로, 상기 힌지부재(200)의 일단부에 직접 마운팅클립(310)이 고정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상기 힌지부재(200)에 마운팅클립(310)을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필러트림(100)과 차체패널(400)을 마운팅클립(310)으로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차량의 충돌시에는 인플레이터를 통한 가스폭발로 상기 필러트림(100)에 내장된 커튼에어백(120)이 전개되는데, 이때, 상기 커튼에어백(120)의 팽창에 의해 절곡되어 있던 힌지부재(200)가 소정각도 펴지면서 상기 필러트림(100)의 일측이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커튼에어백(120)은 개방된 방향으로 전개되면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커튼에어백(120)의 전개시 필러트림(100)의 내측에 마련된 힌지부재(200)에 의해 필러트림(100)의 일측이 개방됨으로써, 커튼에어백(120)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커튼에어백(120)에 의해 상기 필러트림(1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로 인한 커튼에어백의 전개시 필러트림 내측에 마련된 힌지부재가 펴지면서 실내부가 개방되어 커튼에어백이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커튼에어백의 전개로 인한 필러트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트림을 차체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필러트림의 결합구조의 조립공수를 감소시키고, 제조원가는 절감시키되 성능은 동등하게 유지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충돌시 커튼에어백이 내장된 필러트림과 상기 필러트림이 결합된 차체패널 사이로 커튼에어백이 전개되는 필러트림 결합구조에 있어서,
    필러트림 내측에 설치되어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패널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차량 충돌에 의한 커튼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힌지부재의 변형으로 상기 필러트림의 일측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트림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트림 결합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차체패널에 후크 결합되는 마운팅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트림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힌지부재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트림 결합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으로 상기 마운팅클립의 일단이 끼워 고정되는 고정홈을 갖는 클립고정부와,
    일측으로 상기 힌지부재가 억지끼움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힌지부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트림 결합구조.
KR1020050084808A 2005-09-12 2005-09-12 필러트림 결합구조 KR20070070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808A KR20070070314A (ko) 2005-09-12 2005-09-12 필러트림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808A KR20070070314A (ko) 2005-09-12 2005-09-12 필러트림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314A true KR20070070314A (ko) 2007-07-04

Family

ID=3850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808A KR20070070314A (ko) 2005-09-12 2005-09-12 필러트림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03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76B1 (ko) * 2008-03-28 2009-08-19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내장부재
KR101482221B1 (ko) * 2008-11-25 2015-01-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커튼 에어백의 장착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76B1 (ko) * 2008-03-28 2009-08-19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내장부재
KR101482221B1 (ko) * 2008-11-25 2015-01-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커튼 에어백의 장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3588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クの固定ブラケット
JP377755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ク装着車両のピラートリム設置構造
US7780187B2 (en) Mounting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US7669884B2 (en) Air bag device
US20060220352A1 (en) Cover attachment
US7025377B2 (en) Curtain air bag device
JP427826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付き車両のクォータウィンドガーニッシュ部の構造
JP2003137054A (ja)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KR100704229B1 (ko)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
JP3405246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KR20070070314A (ko) 필러트림 결합구조
JP2001163160A (ja) エアバッグ装置
JP413488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H10138859A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固定構造
JP4259197B2 (ja) 頭部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部構造
KR100836108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의 헤드라이닝 구조
JP5543727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9078717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482221B1 (ko) 커튼 에어백의 장착 구조체
JP2009045997A (ja) 車両のピラートリム取付構造
KR100538620B1 (ko) 조수석 에어백의 하우징
JPH09150696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KR100559894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충격 흡수장치
JP4029277B2 (ja) ドア支持部材の取付構造
JP2008087620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