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576B1 - 자동차 내장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576B1
KR100912576B1 KR1020080029063A KR20080029063A KR100912576B1 KR 100912576 B1 KR100912576 B1 KR 100912576B1 KR 1020080029063 A KR1020080029063 A KR 1020080029063A KR 20080029063 A KR20080029063 A KR 20080029063A KR 100912576 B1 KR100912576 B1 KR 100912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flange
slot
holder
assembl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08002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를 차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결합구의 조립이 용이하고 분리가 방지되는 구조의 결합구 홀더를 갖는 자동차 내장부재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결합구 홀더는, 상기 결합구의 장착을 안내하는 슬롯(Slot)이 형성된 결합구 조립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구의 둘레에는 상기 슬롯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움되는 조립홈의 형성을 위한 플렌지(Flange)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가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구 진입부에서 상기 슬롯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내부로 진입하며; 상기 결합구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표면에는 상기 플렌지의 테두리가 걸림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결합구, 자동차 내장부재, 결합구 홀더, 단차부, 슬롯(Slot)

Description

자동차 내장부재{Interior Decor Member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 내장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실내에 구비되어 자동차의 실내벽을 이루는 자동차 내장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자동차의 외관을 이루는 외장부재와 자동차의 실내, 즉 내관을 이루는 내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는 차체의 실내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사출성형된 후,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차체의 실내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의 예로는 차체의 필러(Pillar)의 내측에 결합되는 필러 캡(Pillar Cap) 등이 있는데, 상기 필러는 차체의 상판, 즉 차체의 지붕을 지지하는 기둥을 말한다.
상기 필러는 일반적으로 전방 필러와 중앙 필러와 후방 필러로 구분되는데, 상기 전방 필러는 차체의 전면창과 전방 도어(Door)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 필러는 상기 전방 도어와 후방 도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후방 필러는 상기 후방 도어와 차체의 후방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체의 상판을 지지함으로써 자동차 의 실내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의 내측에는 별도의 결합구가 조립되어 상기 차체의 내벽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를 상기 차체의 내벽에 고정하는데, 상기 결합구(Fastener)는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의 떨림(진동) 및 이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차체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이러한 결합구는 사출 성형된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구 홀더에 수작업에 의해 미리 조립된 후, 상기 차체의 내벽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게 되는데,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구를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의 내측면에 고정하는 작업이 큰 힘을 가하거나 다른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구 홀더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에 선조립되어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를 차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결합구의 조립이 용이하고 분리가 방지되는 구조의 자동차 내장부재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에 조립되어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를 차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결합구의 조립이 용이하고 분리가 방지되는 구조의 자동차 내장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벽용 몸체를 차체의 내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가 장착되며, 상기 실내벽용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구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내장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 홀더는, 상기 결합구의 장착을 안내하는 슬롯이 형성된 결합구 조립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 둘레에는 상기 슬롯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움되는 조립홈의 형성을 위한 플렌지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가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구 진입부에서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내부로 진입하며; 상기 결합구가 상기 결합구 홀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선단면을 이루는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전면에는 상기 플렌지의 테두리가 걸림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플렌지(122)는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120a) 둘레를 두르는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며; 상기 플렌지(122)의 테두리에 접촉되는 상기 단차부(114)의 내측벽은 상기 플렌지(122)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원호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122)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슬롯(113)의 폭은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120a)의 폭보다 크고; 상기 결합구 진입부(115)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도록 그 배면에 경사면(115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구 홀더에 구비된 결합구 조립층의 표면에 구비된 단차부가 상기 플렌지의 테두리를 구속하여 상기 결합구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상기 슬롯의 폭을 상기 결합구 홀더의 둘레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구의 장착에 필요한 장착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구 홀더의 단차부가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차부의 내측벽이 상기 플렌지의 형상에 대응된 원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단차부와 상기 플렌지의 접촉구간을 최대화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구에 대한 구속력이 향상된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구의 플렌지가 탄성재질의 구성되어 상기 결합구를 상기 결합구 홀더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 가능하므로, 상기 결합구 진입부의 두께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여 상기 결합구 진입부의 강도약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구 진입부가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져서 상기 결합구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일 실시예가 차체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개략적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결합구 홀더와 결합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100)는 차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실내벽을 이루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자동차 내장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중간 필러(10)에 결합되는 중간 필러 캡에 해당되나, 본 고안의 적용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100)는 실내벽용 몸체(100a)와 상기 실내벽용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구 홀더(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결합구 홀더(110)에는 상기 실내벽용 몸체(100a)를 차체의 내부, 즉 상기 중간 필러(10)의 내측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120)가 장착된다.
상기 결합구(120)는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중 간 필러(10)에 형성된 결합공(11)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100)를 상기 차체의 내부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결합구(120)의 머리(head; 124)가 상기 결합공(11)을 통과한 후 상기 결합공(11)의 테두리가 상기 결합구(120)의 목부위(neck)에 걸림되면,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100)가 상기 차체의 내벽에 부착된다.
상기 결합구 홀더(110)는 상기 실내벽용 몸체(100a)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100)는 상기 결합구(12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상기 차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정렬된 후, 상기 실내벽용 몸체(100a)에 구비된 나사 장착부(130)에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결합하여 상기 차체의 나사체결공(12)에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결합구 홀더(110)는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100)의 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구(120)가 조립되어 상기 차체의 내벽에 결합됨으로써 자동차 내장부재의 떨림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결합구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구 홀더(110)는 결합구 조립층(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은 상기 결합구의 베이스(112)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은 상기 베이스(1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 홀더(110)의 선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에는 상기 결합구(120)의 장착을 안내하는 슬롯(1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구(120)의 둘레,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구(120)의 몸통부(120a) 둘레에는 상기 슬롯(113)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홈(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조립홈(121)에 상기 슬롯(113)의 가장자리가 끼움되어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에 상기 결합구(120)가 슬라이딩 장착된다.
상기 조립홈(121)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결합구(120)의 둘레에는 플렌지(122)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렌지(122)는 상기 결합구(120)의 몸통부(120a)에 형성되는데, 상기 몸통부(120a)에는 상기 플렌지(122)와 대략 나란하게 구비된 스토퍼(123)가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122)와 상기 스토퍼(123) 사이에 상기 조립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23)는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결합구 홀더(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의 배면(내측면)에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의 머리(124)에는 절개부(124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체의 결합공(11)에 상기 결합구의 머리(124)가 삽입되면 상기 결합구의 머리(124)가 탄성적으로 축소되고, 상기 머리(124)가 상기 결합공(11)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면 그 크기가 회복되어 상기 결합공(11)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결합공(11)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구 홀더(110)에는 상기 결합구(120)의 이탈방지를 위한 단차부(114)와 상기 결합구(120)의 조립시 상기 결합구의 진입을 위한 결합구 진입부(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114)는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의 표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의 선단면, 즉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 진입 부(115)는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113)의 입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114)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구(120)가 안착되는 안착부(11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 진입부(115)를 통해 상기 결합구(120)를 조립하면, 상기 조립홈(121)에 상기 슬롯(113)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워진 후, 상기 결합구(120)의 몸통부가 상기 슬롯(113)을 따라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결합구 홀더(110)의 안착부(111a)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결합구 홀더의 안착부(111a)에 장착되면, 상기 단차부(114)가 상기 플렌지(122)를 구속하여 상기 결합구(120)가 조립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결합구 홀더(110)에 장착되면, 상기 플렌지(122)의 테두리가 상기 단차부(114)에 걸림되어 상기 결합구(120)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플렌지(122)는 상기 결합구(120)의 둘레를 두르는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구(120)의 몸통부를 둘러싸는 원형의 띠 형상을 이루며, 상기 단차부(114)는 그 내측벽이 상기 플렌지(122)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원호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슬롯(113)을 따라 상기 조립층(111)에 부드럽게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111a)에서의 슬롯(113)의 폭은 상기 차체의 내벽에 형성된 결합공(11)과의 조립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결합 구(120)의 몸통부의 폭보다 더 큰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결합구 진입부(115), 즉 상기 슬롯(113)의 입구는 상기 결합구(120)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그 폭이 선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렌지(122)지(122)는 탄성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구 진입부(115)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구 진입부(115)의 배면, 즉 내측면에는 경사면(115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결합구 진입부(115)의 전면, 즉 외측면에도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결합구 진입부(115)의 배면에 형성된 경사면(115a)을 하부 경사면이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114)의 모서리에서 상기 하부 경사면(115a)에 이르는 수직거리(t1)는 상기 조립홈(121)의 간격보다 작거나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상기 결합구(120)의 조립성 향상을 위해 좋으며, 상기 결합구 안착부(111a)의 두께(t0)는 상기 조립홈(121)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것이 상기 결합구(120)의 유격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나, 상기 결합공(11)과의 조립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안착부(111a)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구 안착부(111a)의 두께(t0)는 상기 조립홈(121)의 간격보다 공차범위 내에서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차부(114)의 모서리에서 상기 하부 경사면(115a)에 이르는 수직거리(t1)와 상기 결합구 안착부(111a)의 두께(t0)를 거의 동일하게 형성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에 의하면,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표면에 상기 플렌지(122)를 구속하는 단차부(1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롯(113)에 병목형상의 걸림부를 형성하는 등과 같이 상기 결합구의 조립성을 저해하는 이탈방지구조를 채택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상기 결합구가 부드럽게 조립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슬롯(113)의 폭을 충분히 넓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구의 플렌지(122)는 몸통부에 비해 충분히 유연하게 제조가능하나, 상기 슬롯(113)을 통과하는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는 상기 자동차 내장부재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단면적과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변형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 홀더(110)가 상기 결합구(120)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몸통부를 구속하지 않고 상기 플렌지(122)를 구속하는 구조가 되면, 상기 결합구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도금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일 실시예가 차체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개략적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결합구 홀더와 결합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결합구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재의 결합구 홀더에 결합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0: 자동차 내장부재 110: 결합구 홀더
111: 조립층 112: 베이스
113: 슬롯 114: 단차부
120: 결합구 121: 조립홈
122: 플렌지

Claims (3)

  1. 실내벽용 몸체를 차체의 내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120)가 장착되며, 상기 실내벽용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구 홀더(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내장부재로서,
    상기 결합구 홀더(110)는, 상기 결합구(120)의 장착을 안내하는 슬롯(113)이 형성된 결합구 조립층(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120a) 둘레에는 상기 슬롯(113)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움되는 조립홈(121)의 형성을 위한 플렌지(122)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120a)가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구 진입부(115)에서 상기 슬롯(113)을 따라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의 내부로 진입하며;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결합구 홀더(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구 조립층(111)의 선단면을 이루는 상기 결합구 조립층의 전면에는 상기 플렌지(122)의 테두리가 걸림되는 단차부(114)가 형성된 자동차 내장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122)는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120a) 둘레를 두르는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며; 상기 플렌지(122)의 테두리에 접촉되는 상기 단차부(114)의 내측벽은 상기 플렌지(122)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원호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122)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슬롯(113)의 폭은 상기 결합구의 몸통부(120a)의 폭보다 크고; 상기 결합구 진입부(115)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도록 그 배면에 경사면(11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재.
KR1020080029063A 2008-03-28 2008-03-28 자동차 내장부재 KR100912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063A KR100912576B1 (ko) 2008-03-28 2008-03-28 자동차 내장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063A KR100912576B1 (ko) 2008-03-28 2008-03-28 자동차 내장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576B1 true KR100912576B1 (ko) 2009-08-19

Family

ID=4120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063A KR100912576B1 (ko) 2008-03-28 2008-03-28 자동차 내장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787B1 (ko) * 2021-06-29 2022-10-20 주식회사 프라코 패스너 홀더와 패스너의 결합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453Y1 (ko) 1996-12-31 2002-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웨이스트라인몰딩의체결부구조
KR20030050038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가니쉬 상부 결합구조
KR20070070314A (ko) * 2005-09-12 2007-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러트림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453Y1 (ko) 1996-12-31 2002-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웨이스트라인몰딩의체결부구조
KR20030050038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가니쉬 상부 결합구조
KR20070070314A (ko) * 2005-09-12 2007-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러트림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787B1 (ko) * 2021-06-29 2022-10-20 주식회사 프라코 패스너 홀더와 패스너의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385B2 (en) Trim attachment structure
US7040682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side sill garnish
US9925850B2 (en) Window panel support structure
JP4384204B2 (ja) 部材の取付構造
US8979166B2 (en) 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US8511631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clip and mounting member
US8322110B2 (en) Trim flap-like closeout edge attachment
US20060028056A1 (en) Mounting structure for sensor covered with step garnish
US8708379B2 (en) Vehicle bumper structure
JP2006015834A (ja) 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JP2015519248A (ja) 車両用の採光用開口システム
US8517442B1 (en) Vehicle trim attachment fastener
JP6170535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KR100912576B1 (ko) 자동차 내장부재
WO2010052834A1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5468941B2 (ja) 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におけるコーナー型成形部の固定構造
US20120161460A1 (en) Interior material mounting structure
KR101766030B1 (ko)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KR20210066959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JP5014951B2 (ja) 車両用サイドマッドガード
JP2007076617A (ja) 車体側部構造
JP530752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JP4990986B2 (ja) テールライト構造
KR101265837B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와 헤드램프의 결합구조
US20170355309A1 (en) Door mirr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