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404B1 - 에어백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404B1
KR101593404B1 KR1020090122088A KR20090122088A KR101593404B1 KR 101593404 B1 KR101593404 B1 KR 101593404B1 KR 1020090122088 A KR1020090122088 A KR 1020090122088A KR 20090122088 A KR20090122088 A KR 20090122088A KR 101593404 B1 KR101593404 B1 KR 10159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elastic
airba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207A (ko
Inventor
오영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4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모듈에 장착되는 결합부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결합부와 지지부를 관통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는 핀 결합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에어백, 탄성, 압축, 관통

Description

에어백 조립장치{ASSEMBLY DEVICE OF AIR BAG}
본 발명은 에어백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부품을 단순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에어백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승객의 보호를 위해 다양한 보호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차량의 충돌 사고시 승객의 보호를 위해 운전석 전면의 스티어링 휠 및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상에 에어백이 설치된다.
이때,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은 에어백의 전개시에만 파열되며, 외관상으로는 파열되어 에어백이 배출되는 도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게 되는데, 이를 인비저블 에어백(invisible air bag) 장치라 한다.
도 1은 종래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백 장치(10)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11)과 에어백(12)이 구비된다.
인스트루먼트패널(11)에는 에어백(12)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레이저 가공을 통해 패널의 일부를 절개한 가공선(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백(12)이 팽창되면서 인스트루먼트패널(11)의 내측면을 밀어내면 가공선(13) 부분이 절개되어 에어백(12)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가공선(13)은 대개 사각형 형상을 하며, 편의상 가공선(13)에 의해 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분을 도어(14)라 칭한다.
에어백(12)의 작동시 인스트루먼트패널(11)이 랜덤하게 찢겨지지 않도록, 도어(14)의 근접 부위에는 지지부(15)가 진동융착기에 의해 진동 융착된다.
지지부(15)에는 지지패널(16)이 형성되고, 에어백(12)에는 결합브라켓(17)이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패널(16)과 결합브라켓(17)은 볼트(18) 결합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지지패널(16)에는 완충 기능을 담당하는 너트스프링(19)이 구비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에어백을 지지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스프링을 필요로 함으로써, 조립원가가 상승하고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에어백을 지지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스프링을 장착하는 작업과 볼팅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는 에어백 전개성능을 만족하기 위해 경도가 낮은 연질 소재를 포함하므로, 너트스프링이 지지부에 결합되면 지지부의 변형이 발생하여 볼트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결합성을 개선하는 에어백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백모듈에 장착되는 결합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에어백모듈에 결합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결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결합봉의 양측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며, 일단부에 탄성홀이 형성되는 관통체; 상기 관통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홀을 커버하고, 한 쌍이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내부에는 절곡홀이 형성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홀의 외부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에 걸리는 제1걸림체; 및 상기 관통체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에 걸리는 제2걸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체에는 계단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체의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는 고정부가 지지부 및 결합부에 삽입되어 지지부와 결합부를 결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는 제1걸림체와 제2걸림체가 지지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므로, 고정부가 지지부 및 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는 제1걸림체에 계단층이 형성됨으로써, 제1걸림체가 지지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걸림체와 지지대와의 공차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는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부가 지지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에서 고정부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에서 고정부가 팽창되어 지지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100)에는 결합부(110), 체결부(120) 및 고정부(130)가 구비된다.
결합부(110)는 에어백모듈(50)에 장착되고, 지지부(120)는 인스트루먼트패널(60)에 결합되며, 고정부(130)는 결합부(110)와 지지부(120)를 관통하여 결합부(110)와 지지부(120)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에는 결합판(111)과 결합봉(112)이 구비된다.
결합판(111)은 에어백모듈(50)에 결합되고, 결합봉(112)은 결합판(111)에서 연장된다. 결합봉(112)에는 고정부(13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봉(112)은 단부를 구부려 관통홀(113)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홀가공을 통해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20)에는 지지판(121)과 지지대(122)가 구비된다. 지지판(121)은 인스트루먼트패널(60)에 진동융착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지지대(122)는 지지판(121)에서 연장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대(122)는 결합봉(112)의 양측단부에 배치되며 관통홀(113)에 대응되는 통과홀(12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30)에는 관통체(131), 탄성체(132), 제1걸림체(133) 및 제2걸림체(134)가 구비된다.
관통체(131)는 관통홀(113)과 통과홀(123)을 관통하며, 일단부에는 탄성홀(135)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홀(135)에 의해 관통체(131)는 관통홀(113)과 통 과홀(123)을 통과하면서 수축된다.
탄성체(132)는 관통체(131)에 구비되어 탄성홀(135)을 커버한다. 이러한 탄성체(132)는 한 쌍이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그 내부에는 절곡홀(136)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체(132)는 절곡된 형상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펼쳐져 관통체(131)를 확장시킨다.
제1걸림체(133)는 관통체(131)에 구비되어 지지대(122)에 걸린다. 이러한 제1걸림체(133)는 탄성홀(135)의 외부에 해당되는 관통체(13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1걸림체(133)는 관통체(131)가 진입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2걸림체(133)는 관통체(131)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지지대(122)에 걸린다. 이러한 제2걸림체(133)는 관통체(131)의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판 형상을 한다. 제2걸림체(133)는 관통체(131)가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1걸림체(133)에는 계단층(137)이 형성된다. 이러한 계단층(137)은 지지대(122)에 걸려 관통체(131)의 이동을 제한하고, 제1걸림체(133)가 지지대(1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계단층(137)은 제1걸림체(133)가 확장되어 지지대(122)에 걸리는 과정에서의 공차를 흡수한다.
지지대(122)에는 가이드홈(128)이 형성되고, 제2걸림체(134)에는 가이드홈(128)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38)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38)는 가이드홈(128)에 삽입되어 관통체(131)의 회전을 제한한다.
관통체(131)의 타단부에는 손잡이(139)가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139)는 제2걸림체(134)에서 이격되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원판 형상을 한다. 사용자는 손잡이(139)를 이용하여 관통체(131)를 일방향으로 밀거나 타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백모듈(50)에 결합된 결합부(110)의 결합봉(112)을 인스트루먼트패널(60)에 결합된 지지부(120)의 지지대(122) 사이에 위치시켜, 관통홀(113)과 통과홀(123)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고정부(130)를 관통홀(113)과 통과홀(123)로 삽입하면, 관통체(131)의 외주면은 관통홀(113)과 통과홀(123)을 통과하는 동안 결합봉(112)과 지지대(122)에 의해 가압되어 수축된다(도 4 참조).
관통체(13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걸림체(133)가 좌측의 지지대(122)를 통과하면, 제1걸림체(133)에 대한 외력이 제거된다. 이로 인해, 탄성체(132)는 펼쳐지고, 제1걸림체(133)는 좌측 지지대(122)에 걸린다.
이때, 제2걸림체(134)는 우측 지지대(122)에 걸린다. 따라서, 제1걸림체(133)와 제2걸림체(134)에 의해 관통체(131)는 관통홀(113)과 통과홀(12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5 참조).
한편, 제1걸림체(133)에는 계단층(137)이 형성됨으로써, 제1걸림체(133)가 좌측의 지지대(1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차를 흡수하고, 제1걸림체(133)가 지지 대(122)에 걸린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걸림체(134)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138)는 우측 지지대(122)의 가이드홈(128)에 삽입됨으로써, 관통체(13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통체(131)의 타단부에는 손잡이(139)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관통체(131)를 가압하면, 관통체(131)는 결합부(110)와 지지부(120)로 삽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관통체(131)를 잡아당기면, 관통체(131)는 결합부(110)와 지지부(120)에서 이탈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에서 고정부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장치에서 고정부가 팽창되어 지지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결합부 111 : 결합판
112 : 결합봉 120 : 지지부
121 : 지지판 122 : 지지대
130 : 고정부 131 : 관통체
132 : 탄성체 133 : 제1걸림체
134 : 제2걸림체

Claims (7)

  1. 에어백모듈에 장착되는 결합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에어백모듈에 결합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봉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결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결합봉의 양측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며, 일단부에 탄성홀이 형성되는 관통체;
    상기 관통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홀을 커버하고, 한 쌍이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내부에는 절곡홀이 형성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홀의 외부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에 걸리는 제1걸림체; 및
    상기 관통체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에 걸리는 제2걸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체에는 계단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체의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장치.
KR1020090122088A 2009-12-09 2009-12-09 에어백 조립장치 KR10159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88A KR101593404B1 (ko) 2009-12-09 2009-12-09 에어백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88A KR101593404B1 (ko) 2009-12-09 2009-12-09 에어백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07A KR20110065207A (ko) 2011-06-15
KR101593404B1 true KR101593404B1 (ko) 2016-02-12

Family

ID=4439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088A KR101593404B1 (ko) 2009-12-09 2009-12-09 에어백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4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98B1 (ko) 2000-05-25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힌지구조
KR100503246B1 (ko) 2002-09-11 2005-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989A (ja) * 1993-12-10 1995-06-27 Suzuki Motor Corp エアバッグカバーの展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98B1 (ko) 2000-05-25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힌지구조
KR100503246B1 (ko) 2002-09-11 2005-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07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8168B2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of vehicle equipped with wire block assembly
WO2016143206A1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593404B1 (ko) 에어백 조립장치
JP2005112138A (ja) 車両のフード構造
JP3945495B2 (ja) 自動車車両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エネルギー吸収システムの変形可能な金属カプセル型装置
KR100394795B1 (ko)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101704003B1 (ko) 보행자 보호장치
KR20210081068A (ko) 차량 범퍼 보강용 사이드 익스텐션
KR20090019261A (ko)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JP5554623B2 (ja) 自動車の車室側壁構造
KR100424745B1 (ko) 사이드도어의 충격흡수구조
KR100535552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구조
KR20080095473A (ko)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을 구비한 조향 장치
KR100795011B1 (ko)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조향장치
KR200294293Y1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1585662B1 (ko) 에어백 도어
KR100985501B1 (ko)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JP2000038101A (ja) 車両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KR100580038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01157733B1 (ko)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KR101359986B1 (ko) 차량용 충돌상해 저감 장치
KR100387652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탑승자용 무릎 보호장치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20110022341A (ko) 자동차용 크래쉬 박스
JP2004284436A (ja) 車両用サイド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