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293Y1 -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293Y1
KR200294293Y1 KR2020020022950U KR20020022950U KR200294293Y1 KR 200294293 Y1 KR200294293 Y1 KR 200294293Y1 KR 2020020022950 U KR2020020022950 U KR 2020020022950U KR 20020022950 U KR20020022950 U KR 20020022950U KR 200294293 Y1 KR200294293 Y1 KR 200294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vehicle
steering column
absorbing devic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2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293Y1/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 사고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핸들부에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장착함으로서 충격력을 단계적으로 분산시켜 인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의 핸들에서 전달되는 조타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110)는 상부 브라켓(120)에 삽입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굴곡형상의 완충부(112)가 상기 상부 브라켓(120) 및 차체에 볼트(115)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Absorb shock apparatus of steering column}
본 고안은 차량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핸들부에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장착함으로서 충격력을 단계적으로 분산시켜 인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속도 이상에서 차량이 충돌하면 관성력에 의하여 운전자는 진행방향으로 관성력의 작용을 받아 핸들과 충돌하게 된다.
이때의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운전자는 흉부에 손상을 입게되고, 이러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에어백(air bag)을 설치하거나, 칼럼(Column)에 각종 충격완화장치를 부착하여 상용화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의 구성도로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의 구성은 상기 컬럼(10)축을 두 개의 샤프트 즉, 입력축(12)과 출력축(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축(12)과 출력축(13)은 플라스틱 몰딩(14)으로 연결/고정되어있다. 상부 브라켓(20)은 상기 입력축(12)에 고정/연결되고, 하부 브라켓(30)은 출력축(13)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상부 브라켓(20)과 하부 브라켓(30)은 각각 2개소의 체결부(21,31)를 갖는다.
상기 상부 브라켓(20)은 핸들(1)방향으로 오픈 되어있으며, 제 1체결부(21)에는 완충장치(11)가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30)은 상기 핸들(1)반대방향이 오픈 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은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브라켓(20)에 삽입된 완충장치(11)를 볼트로 체결하고, 상기 하부 브라켓(30)은 브라켓면에 바로 볼트를 체결한다.
그리하면, 일정속도 이상의 충돌시에 플라스틱 몰딩(14)이 파괴되며, 상기 입력축(12)은 볼트 체결된 완충장치(11)가 제 1체결부(21)에서 빠지면서 하단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반면, 상기 출력축(13)은 하부 브라켓(30)의 제 2체결부(31)의 형상 및 볼트고정으로 인하여 변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입력축(12)부의 변위 발생으로 인하여 일정 충격력은 흡수 가능하지만 단계적인 충격흡수가 불가함으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충돌 사고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핸들부에 별도의 충격흡수장치 완충부를 형성하여 상기 완충부의 접힌 철판의 굴곡이 충격에 의해 펴지면서 충격력을 단계적으로 분산시켜 인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컬럼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충돌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 충돌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100 : 컬럼
102 : 입력축 103 : 출력축
104 : 플라스틱 몰딩 110 : 충격흡수장치
111 : 볼트체결구 112 : 완충부
120 : 상부 브라켓 121 : 제 1체결부
130 : 하부 브라켓 131 : 제 2체결부
132 : 조인트 133 : 타이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차량의 핸들에서 전달되는 조타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상부 브라켓에 삽입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굴곡형상의 완충부가 상기 상부 브라켓 및 차체에 볼트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구성도로서, 종래 도1의 스티어링 컬럼의 구성도에서 완충장치(11)를 충격흡수장치(110)로 대체하여 구성하였으며, 이하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충돌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 충돌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티어링 컬럼(100)의 충격흡수장치(110)는 볼트(115)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구(111)와, 차량의 충돌시에 충격력을 단계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112)와, 상부 브라켓(120)의 제 1체결부(121)에 압입 되도록 하기 위한 압입부(114)가 상부 브라켓(120)에 삽입되며, 상기 완충부(112)의 일측 끝단은 용접, 볼팅등의 방법으로 상부 브라켓(120)과 일체가 되어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112)는 철판에 굴곡을 주어 접힌 형상으로 구성되며, 차량의 충돌시 단계적인 힘의 분산을 주기 위하여 좌/우 폭 또는 두께를 다르게 구성하였으며, 상기 완충부(112)의 일측은 볼트 체결구(111)가 형성된 부위와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상부 브라켓(120) 상면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장착된다.
또한, 압입부(114)는 디귿자 형상으로 하여 그 내부로 상부 브라켓(120)을 압입 하고 볼트 체결구(111)에 볼트(115)를 끼워 차체에 직접 고정 체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사고로 핸들(1)을 잡고 있던 운전자에게 핸들과 충돌로 인한 충격이가해지면 플라스틱 몰딩(104)이 파손됨과 동시에 입력축(102)은 하단으로 변위가 발생하며, 변위 발생시 상기 압입부(114)는 상부 브라켓(120)과 분리되게 되며, 상기 스티어링 컬럼(100)의 충격흡수장치(110)의 완충부(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펴지면서 단계적으로 충격을 완화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서 충격흡수장치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서 차량의 사고시 충격완화를 배가시켜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핸들에서 전달되는 조타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110)는 상부 브라켓(120)에 삽입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굴곡형상의 완충부(112)가 상기 상부 브라켓(120) 및 차체에 볼트(115)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20020022950U 2002-07-31 2002-07-31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294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950U KR200294293Y1 (ko) 2002-07-31 2002-07-31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950U KR200294293Y1 (ko) 2002-07-31 2002-07-31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293Y1 true KR200294293Y1 (ko) 2002-11-04

Family

ID=7307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950U KR200294293Y1 (ko) 2002-07-31 2002-07-31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2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78B1 (ko) * 2002-11-11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컬럼의 좌굴 하중 단계적 증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78B1 (ko) * 2002-11-11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컬럼의 좌굴 하중 단계적 증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66854A (ja) 歩行者の保護機能を有する自動車のフェンダパネルの衝撃吸収構造
DE60229923D1 (de) Anordnung für unterfahrschutz in fahrzeugen
US4773674A (en) Holding arrangement for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KR200294293Y1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JP2945522B2 (ja) エネルギ吸収システム
KR20070005827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지지구조
JP3480326B2 (ja) 車両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KR100394795B1 (ko)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100412351B1 (ko) 프론트 필러부의 결합구조
KR100314522B1 (ko) 차량의 니 볼스터
KR200143958Y1 (ko) 충격흡수기능을 가진 조향휠의 동흡진기
KR200336645Y1 (ko) 완충 스프링이 내입된 자동차용 범퍼
KR200160764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101593404B1 (ko) 에어백 조립장치
KR19980021828U (ko)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KR100387652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탑승자용 무릎 보호장치
JPH0715453U (ja) バンパー構造
KR19980022298U (ko) 와이어형 인텀샤프트
KR960005104Y1 (ko) 자동차 임팩트비임의 충격완화용 탄성부재
JP2724645B2 (ja) 車両用衝撃緩和装置
KR19980042259U (ko) 스티어링 샤프트 지지구조
KR200227491Y1 (ko) 자동차전륜현가장치의로워아암장착브라켓트구조
KR20090046222A (ko) 조수석 에어백의 마운팅 구조
JP2000318527A (ja) 車両のステ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