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733B1 -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 Google Patents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733B1
KR101157733B1 KR1020100012530A KR20100012530A KR101157733B1 KR 101157733 B1 KR101157733 B1 KR 101157733B1 KR 1020100012530 A KR1020100012530 A KR 1020100012530A KR 20100012530 A KR20100012530 A KR 20100012530A KR 101157733 B1 KR101157733 B1 KR 101157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racket
hole
ful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862A (ko
Inventor
남건태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0001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7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 내에 키-홀(key-hole) 형상을 반영하여 일반 운전 모드에서의 강력하고 튼튼한 설계를 구현하면서도 측면 충격 모드에서는 풀-컵을 이탈시킴으로써 풀-컵의 변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운전 모드에서는 강력하고 튼튼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측면 충격 모드에서는 풀-컵을 이탈시킴으로써 풀-컵의 변위량을 보다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sharp edg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Bracket having key-hole shape}
본 발명은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켓 내에 키-홀(key-hole) 형상을 반영하여 일반 운전 모드에서의 강력하고 튼튼한 설계를 구현하면서도 측면 충격 모드에서는 풀-컵을 이탈시킴으로써 풀-컵의 변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전성 시험 항목 중에 하나인 "side crash mode"에서는 강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강한 체결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바디판넬과 브라켓의 특징상 그 충격이 완화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로 인해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BIW 유동량이 모두 S/W 베젤 시스템(bezel system)과 연결되어 있는 풀-컵(pul-cup)에 전달된다.
또한, BIW 유동량이 풀-컵에 전달되게 됨에 따라 S/W 베젤 시스템과 암레스트(armrest)가 분리되게 된다. 이때, S/W 베젤 시스템과 암레스트 두 부품 간에 발생하는 갭(gap)의 양이 일정한 타겟(target)을 초과하는 경우 안전 법규 중에서 규제하고 있는 항목(KMVSS 102 : 실내장치 또는 부품은 날카로운 돌출물이나 톱니모양의 모서리 형태가 되어 상해위험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아니할 것 등) 중 하나인 sharp edge가 발생하게 된다.
sharp edge가 발생하는 경우, 인체에 상해 및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등의 치명적인 문제가 있어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매우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며, 현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라켓 내에 키-홀(key-hole)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sharp edge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 내에 키-홀(key-hole) 형상을 반영하여 일반 운전 모드에서의 강력하고 튼튼한 설계를 구현하면서도 측면 충격 모드에서는 풀-컵을 이탈시킴으로써 풀-컵의 변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은 차량 내에서 사용되며, 풀- 컵과 연결되는 판상의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차량 내부판에 장착될 수 있는 제2 지지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은 내측에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판은 상기 풀- 컵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차량 내부판에 장착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장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판에 형성되는 상기 홀의 형상은, 상기 차량 내부판이 기설정된 충격을 초과하는 충격을 받는 경우, 상기 제1 지지판이 상기 풀- 컵과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판에 형성되는 상기 홀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1부분 및 사각형 형상의 제2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운전 모드에서는 강력하고 튼튼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측면 충격 모드에서는 풀-컵을 브라켓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풀-컵의 변위량을 보다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sharp edg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풀-컵 브라켓에 관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100)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풀-컵 브라켓에 관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100)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풀-컵 브라켓(10)은 판상으로 이루어진 메인판(11) 및 메인판(11)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보조판(12)으로 이루어진다.
메인판(11)은 일측면에 연결부(13)를 구비하며, 보조판(12)은 일측면에 차체 장착홈(14)을 구비한다. 연결부(13)에 의해 풀-컵 브라켓(10)은 S/W 베젤 시스템(bezel system)과 연결되어 있는 풀-컵(pul-cup)에 연결된다. 또한, 차체 장착홈(14)에 의해 풀-컵 브라켓(10)은 차량 도어 내부판(도시 안됨)에 용접되거나 스크류 태핑되어 장착되게 된다. 이때, 풀-컵 브라켓(10)은 일반적으로 강철(steel)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컵 브라켓(10)의 메인판(11)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만약 차량의 측면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강한 충격을 차량 도어 내부판에 전달되는 경우, 별다른 충격흡수 장치가 없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BIW 유동량이 모두 S/W 베젤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풀-컵에 전달되게 된다.
이때, BIW 유동량이 풀-컵에 전달되게 됨에 따라 S/W 베젤 시스템과 암레스트가 분리되게 되며, S/W 베젤 시스템과 암레스트 두 부품 간에 발생하는 갭(gap)의 양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sharp edge가 발생하게 된다. sharp edge가 발생하는 경우, 인체에 상해 및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등의 치명적인 문제가 있어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매우 위험한 상황을 연출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100)은 판상으로 이루어진 메인판(110) 및 메인판(110)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보조판(12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판(110)은 사다리꼴 형상이며, 보조판(120)은 사각형 형상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한다.
메인판(110)은 일측면에 연결부(130)를 구비하며, 보조판(120)은 일측면에 차체 장착홈(14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30)는 1개 이고, 차체 장착홈(140)의 개수는 2 개이나 그 이상이 되거나 그 이하가 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연결부(130)에 의해 브라켓(100)은 S/W 베젤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풀-컵에 연결된다. 또한, 차체 장착홈(140)에 의해 브라켓(100)은 차량 도어 내부판(도시 안됨)에 용접되거나 스크류 태핑되어 장착되게 된다. 이때, 브라켓(100)은 일반적으로 강철로 이루어지며, 풀-컵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0)의 메인판(110)에는 홀(150)을 구비한다. 이러한 홀(150)에 의해 메인판(110)은 그 둘레를 따라서만 강철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홀(150)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1부분(150a) 및 사각형 형상의 제2 부분(150b)으로 구성되며, 제1부분(150a)과 제2 부분(150b) 사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홀(15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메인판(110)에 홀(150)이 형성됨으로써 인해 메인판(110)의 충격을 견디는 정도는 매우 감소되게 된다. 그로 인해 만약 차량의 측면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강한 충격을 차량 도어 내부판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바디판넬의 변화량을 브라켓이 그대로 흡수하고 그 브라켓에 강하게 체결되어 있는 풀-컵을 운전자 방향으로 밀어내어 풀-컵 이탈로 인한 sharp edge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일반적 사용모드에서보다 심한 충격이 브라켓에 전달 될 경우 브라켓에서 풀-컵을 이탈시켜 풀-컵의 변위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이며, 그로 인해 sharp edg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차량 내부판이 기설정된 충격을 초과하는 충격을 받는 경우, 메인판(110)에서 풀-컵은 이탈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차량 내부판이 기설정된 충격 이하의 충격을 받는 경우에는 돌출부에 의해 풀-컵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제작자는 충격의 강도에 따라 풀-컵의 이탈 여부가 달라지게 홀(150) 및/또는 돌출부의 형상을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일반 운전 모드에서는 강력하고 튼튼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측면 충격 모드에서는 풀-컵을 이탈시킴으로써 풀-컵의 변위량을 보다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sharp edge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풀-컵 브라켓 11 : 메인판
12 : 보조판 13 : 연결부
14 : 차체 장착홈
100 :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110 : 메인판
120 : 보조판 130 : 연결부
140 : 차체 장착홈 150 : 홀
150a : 제1부분 150b : 제2부분

Claims (4)

  1.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풀-컵 브라켓에 있어서,
    풀- 컵과 연결되는 판상의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차량 내부판에 장착될 수 있는 제2 지지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은 내측에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판에 형성되는 상기 홀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1부분 및 사각형 형상의 제2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은 상기 풀- 컵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차량 내부판에 장착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장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에 형성되는 상기 홀의 형상은,
    상기 차량 내부판이 기설정된 충격을 초과하는 충격을 받는 경우, 상기 제1 지지판이 상기 풀- 컵과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4. 삭제
KR1020100012530A 2010-02-10 2010-02-10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KR101157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30A KR101157733B1 (ko) 2010-02-10 2010-02-10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30A KR101157733B1 (ko) 2010-02-10 2010-02-10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862A KR20110092862A (ko) 2011-08-18
KR101157733B1 true KR101157733B1 (ko) 2012-06-25

Family

ID=4492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530A KR101157733B1 (ko) 2010-02-10 2010-02-10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7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611Y1 (ko) * 1991-12-31 1996-02-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내측핸들
KR20020048035A (ko) * 2000-12-15 2002-06-22 류정열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611Y1 (ko) * 1991-12-31 1996-02-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내측핸들
KR20020048035A (ko) * 2000-12-15 2002-06-22 류정열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862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9559B2 (ja) 車載の電気機器のプロテクト構造
US8182026B2 (en) Cockpit cross member for a motor vehicle
EP2481645A1 (en) Hood lock device
US20130193737A1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KR101157733B1 (ko) 키-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JP2012201124A (ja) 車両の後部構造
US9725109B2 (en) Steering column with decoupling J-slider
KR101458705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마운팅 브라켓
US20170106823A1 (en) Bumper device and motor vehicle
KR101704003B1 (ko) 보행자 보호장치
JP6614698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JP6335109B2 (ja) 側面衝突用補強部材を備えた乗用車シート
KR101405848B1 (ko) 차량용 니볼스터
KR102048586B1 (ko)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KR100946868B1 (ko)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KR100424745B1 (ko) 사이드도어의 충격흡수구조
JP2011105093A (ja) 車両用内装パネル
KR101593404B1 (ko) 에어백 조립장치
KR20080054895A (ko)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KR20090112796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20070024898A (ko) 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JP2008149852A (ja) 車両用ニープロテクタ構造
JP2004284436A (ja) 車両用サイドドア
KR200140912Y1 (ko) 차량용 시트 프레임
JP2009083741A (ja) 衝突荷重伝達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