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4895A -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4895A
KR20080054895A KR1020060127546A KR20060127546A KR20080054895A KR 20080054895 A KR20080054895 A KR 20080054895A KR 1020060127546 A KR1020060127546 A KR 1020060127546A KR 20060127546 A KR20060127546 A KR 20060127546A KR 20080054895 A KR20080054895 A KR 20080054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shock
vehicle
roof rail
head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4895A/ko
Publication of KR2008005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루프 레일과 루프 아웃터 패널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받으면서 적절히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루프 아웃터 패널과 루프 레일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내에 배치되면서 그 일단이 루프 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헤드라이너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는 완충브라켓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Impact absorbing device for roof in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루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루프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루프 아웃터 패널 12-헤드라이너
13-루프 레일 14-완충브라켓
14a-스프링부
본 발명은 차량의 후프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루프 아웃터 패널과 루프 레일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헤드라이너 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완충브라켓을 구비한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루프구조는 도 1에서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루프 아웃터 패널(1)이 배치되고, 차실 내측에는 차실 내부의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헤드라이너(2)가 배치되며, 이 헤드라이너(2)와 상기 루프 아웃터 패널 사이에는 루프 레일(3)이 배치되어서 상기 루프 아 웃터 패널과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루프 아웃터 패널과 루프 레일사이와, 루프 레일과 헤드라이너사이에는 각 부재가 충격을 받을 때에 적절히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기격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각 부재가 충격을 받을 때에 변형될 수 있는 이격 공간은 차량의 디자인과 승차감의 향상을 위해 점차적으로 축소되고 있고, 특히 루프 레일과 헤드라이너 사이의 이격 공간이 축소됨에 따라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적절한 완충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루프 레일과 루프 아웃터 패널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받으면서 적절히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루프 아웃터 패널과 루프 레일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내에 배치되면서 그 일단이 루프 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헤드라이너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는 완충브라켓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완충브라켓의 일단에는 원형으로 감겨진 스프링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루프 레일에 구비된 스톱퍼돌기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돌기는 루프 레일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에 의해 루프 레일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루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루프 아웃터 패널(11)이 배치되고, 차실 내측으로는 차실 내부의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헤드라이너(12)가 배치되며, 이 헤드라이너(12)와 상기 루프 아웃터 패널 사이에는 루프 레일(13)이 배치되어서 상기 루프 아웃터 패널(11)과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 레일(13)과 상기 루프 아웃터 패널(11)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루프 레일(13)과 헤드라이너(12)사이에도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각 부재가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된다.
상기 루프 아웃터 패널(11)과 상기 루프 레일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완충브라켓(14)의 양단이 장착되면서 상기 완충브라켓(14)의 타단은 루프 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헤드라이너 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완충브라켓(14)의 일단에는 원형으로 감겨진 스프링부(14a)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14a)가 인접해서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부(14a)를 지지하기 위해 스톱퍼돌기(13a)가 상기 루프 레일(13)에 상측을 향해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돌기(13a)는 루프 레일과 별개로 형성할 수 있지만, 루프 레일의 소정 부위를 가압하여 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의 반대편이 돌기형태로 돌출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브라켓(14)은 변형이 용이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변형이 용이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완충브라켓(14)이 설치된 상태에서 완충브라켓 쪽을 향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헤드라이너를 통해 충격이 완충브라켓으로 전달되고, 완충브라켓은 충격을 받아서 적절히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킨다.
상기 완충브라켓은 그 자체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지만, 특히 완충브라켓의 상기 스프링부는 충격을 받으면 감겨지면서 충격을 저감시키므로 탑승자의 충격 상해를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충브라켓이 설치되면 차량의 디자인이나 승차감을 위해 헤드라이너와 루프 레일 사이의 이격 공간이 축소되어도 충분히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에 의하면, 루프 아웃터 패널과 루프 레일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내에 설치되면서 그 일단이 헤드라이너 쪽을 향해 돌출한 완충브라켓을 구비하고서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탑승자가 헤드라이너에 부딪칠 때에 완충브라켓이 적절히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해서 저감시키므로, 탑승자의 충돌 상해를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보다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고, 차량의 디자인 자유도와 승차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루프 아웃터 패널(11)과 루프 레일(13)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내에 배치되면서 그 일단이 루프 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헤드라이너(12)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는 완충브라켓(14)을 구비한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브라켓의 일단에는 원형으로 감겨진 스프링부(14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14a)는 루프 레일에 구비된 스톱퍼돌기(13a)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돌기(13a)는 루프 레일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에 의해 루프 레일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KR1020060127546A 2006-12-14 2006-12-14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KR20080054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546A KR20080054895A (ko) 2006-12-14 2006-12-14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546A KR20080054895A (ko) 2006-12-14 2006-12-14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895A true KR20080054895A (ko) 2008-06-19

Family

ID=3980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546A KR20080054895A (ko) 2006-12-14 2006-12-14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48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318A (ko) * 2016-09-12 2018-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노라마 선루프 헤드라이닝 충격흡수 구조
CN108706051A (zh) * 2018-06-11 2018-10-26 富士房车(江苏)有限公司 具有双v形槽的房车车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318A (ko) * 2016-09-12 2018-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노라마 선루프 헤드라이닝 충격흡수 구조
CN108706051A (zh) * 2018-06-11 2018-10-26 富士房车(江苏)有限公司 具有双v形槽的房车车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444B2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KR101428243B1 (ko) 외장 에어백장치
US8220826B2 (en) Ramp bracket for curtain airbag of vehicle
KR101085888B1 (ko) 가드레일의 충격감쇄 구조
KR101466046B1 (ko) 차량 방호울타리 완충장치
KR20080054895A (ko)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JP2010047209A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及び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0470357B1 (ko)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KR101294436B1 (ko) 차량의 천정 강성 향상 구조
KR20190030931A (ko)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KR100542103B1 (ko) 차량의 범퍼 지지구조
KR101049062B1 (ko) 차량용 니볼스터
KR100558742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루프 어시스트 핸들용 브라켓
KR101070524B1 (ko) 커튼 에어백용 고정 브래킷
KR20070050673A (ko) 가드레일용 차량충격 완충장치
KR101593077B1 (ko) 에어백의 지지 조립체
KR100337829B1 (ko) 자동차 필라트림의 충격흡수 장치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20070095666A (ko) 오프셋 충돌에 대비한 자동차의 니 볼스터 패널 구조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20060118634A (ko) 자동차의 운전석 무릎보호장치 구조
KR20030096501A (ko) 자동차용 필러 트림의 충격 흡수구조
KR20070050539A (ko) 가드레일 이음부 완충장치
KR20090079353A (ko)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KR19990029883U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