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586B1 -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8586B1 KR102048586B1 KR1020120157986A KR20120157986A KR102048586B1 KR 102048586 B1 KR102048586 B1 KR 102048586B1 KR 1020120157986 A KR1020120157986 A KR 1020120157986A KR 20120157986 A KR20120157986 A KR 20120157986A KR 102048586 B1 KR102048586 B1 KR 1020485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act
- vehicle
- support bar
- strength
- front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2011/009—Impact absorbing hinges for vehicl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는 충격 지지바들 및 강도 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 지지바들은 차량의 프런트(front) 도어 및 리어(rear) 도어 각각에 가로 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에서 상기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각각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프런트 도어 및 상기 리어 도어를 지지한다. 상기 강도 보강부들은 각 충격 지지바와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각 충격 지지바와 동일 선상에서 상기 프런트 도어 및 상기 리어 도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B-필러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으로부터 각 충격 지지바의 강도를 보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프런트(front) 도어 및 리어(rear)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인류가 개발한 기계 중 가장 획기적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운송 수단 중 하나이다. 하지만, 자동차는 유용한 만큼 사고가 나면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아니면 생명을 빼앗아 갈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위험한 측면도 가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측면에 위치하는 프런트(front) 도어 또는 리어(rear) 도어에 다른 자동차와의 충돌에 의해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이 프런트 도어 또는 리어 도어가 운전자 또는 다른 탑승자를 향해 침투하면서 이들에게 큰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나아가, 더욱더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이로 인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를 그 안쪽 측면 부위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와 어느 정도의 소정의 공간을 두고 조립함으로써, 상기의 충돌에 의한 침투 현상으로부터 소정의 마진이 확보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 조립 방법도 충격이 강하게 가해지면 결국 운전자 또는 탑승자까지 침투하므로, 상기의 침투 현상으로부터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각각에 상기의 침투 현상을 막기위한 지지바를 장착하여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각각의 근본적인 강도를 강화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 방안도 강한 충격을 지지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의 강도를 더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프런트(front) 도어 또는 리어(rear) 도어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는 충격 지지바들 및 강도 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 지지바들은 차량의 프런트(front) 도어 및 리어(rear) 도어 각각에 가로 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에서 상기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각각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프런트 도어 및 상기 리어 도어를 지지한다. 상기 강도 보강부들은 각 충격 지지바와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각 충격 지지바와 동일 선상에서 상기 프런트 도어 및 상기 리어 도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B-필러(B-pillar)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으로부터 각 충격 지지바의 강도를 보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리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프런트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충격 지지바의 마주하는 단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 보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충격 지지바의 마주하는 단부를 일부 감싸는 구조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프런트(front) 도어 및 리어(rear) 도어 각각에 가로 방향으로 장착된 충격 지지바들과 같이 이들과 동일 선상에서 B-필러에 강도 보강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강도 보강부로 일부 전달하여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강도를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프런트 도어 또는 상기 리어 도어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향해 침투하는 정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이들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충격 지지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면 충격 지지 장치의 충격 지지바와 강도 보강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면 충격 지지 장치의 충격 지지바와 강도 보강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지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충격 지지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충격 지지 장치(100)는 충격 지지바(200)들 및 강도 보강부(300)들을 포함한다.
충격 지지바(200)들은 차량(10)의 프런트(front) 도어(20) 및 리어(rear) 도어(30)에 장착된다. 충격 지지바(200)들은 강도가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충격 지지바(200)들은 차량(10)의 측면 방향에서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가 운전자 또는 다른 탑승자에게 침투하면서 찌그러지지 않도록 강도를 제공한다.
충격 지지바(200)들은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를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가로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에, 충격 지지바(200)들은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를 더욱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약간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 중 상대적으로 사이즈 큰 프런트 도어(20)에 장착되는 충격 지지바(200)는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두 개로 나누어서 이들을 연결 블록(210)을 통해 연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블록(210)을 통해 연결되는 충격 지지바(200)가 프런트 도어(20)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차량(10)의 사이즈가 커서 리어 도어(30)도 충분하게 큰 사이즈를 갖는다면, 이에 장착되는 충격 지지바(200)도 연결 블록(21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강도 보강부(300)들은 차량(10)의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의 사이에 위치하는 B-필러(B-pillar, 40)에 설치된다. 강도 보강부(300)들은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를 지지하고 있는 충격 지지바(200)들의 강도를 보강한다. 구체적으로, 강도 보강부(300)는 차량(10)의 측면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충격 지지바(200)로부터 일부 전달 받아서 그 강도를 보강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강도 보강부(300)들은 충격 지지바(200)들과의 사이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충격 지지바(200)와 동일 선상에서 B-필러(40)에 설치된다.
강도 보강부(300)들은 리어 도어(30)를 개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힌지(hinge) 구조를 통해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구조의 강도 보강부(300)는 그 위치 상 리어 도어(30)에 장착된 충격 지지바(200)와 동일 선상에 설치되어 이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힌지 구조의 강도 보강부(300)는 프런트 도어(20)에 장착된 충격 지지바(200)와 동일 선상에 설치하여 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강도 보강부(300)의 힌지 구조가 리어 도어(30)를 안정적으로 개폐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이럴 경우에는 리어 도어(30)의 안정적인 개폐를 위하여 힌지 구조의 강도 보강부(300)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의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 각각에 가로 방향으로 장착된 충격 지지바(200)들과 같이 이들과 동일 선상에서 B-필러(40)에 강도 보강부(300)를 설치함으로써, 차량(10)의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강도 보강부(300)로 일부 전달하여 프런트 도어(20) 및 리어 도어(30)의 강도를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의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프런트 도어(20) 또는 리어 도어(30)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향해 침투하는 정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이들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강도 보강부(3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면 충격 지지 장치의 충격 지지바와 강도 보강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서, 강도 보강부는 그 구조에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 1에 도시된 강도 보강부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부(300)는 프런트 도어(20)를 닫았을 때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조작 없이는 열리지 않도록 프런트 도어(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3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강도 보강부(300)는 모든 차량(10)에 프런트 도어(20)를 고정하기 위하여 B-필러(40)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310)을 그 설치된 위치만 충격 지지바(20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변경 설치하여 강도 보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310)은 충격 지지바(200)의 단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고정 브라켓(310)은 충격 지지바(200)의 단부와 마주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차량(10)의 측면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 지지바(200)를 보다 강하게 지지해 줄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부(300)는 충격 지지바(200)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B-필러(40)에 설치된 보강 브라켓(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브라켓(320)은 닫힌 프런트 도어(20)를 고정하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도 2의 310)에 별도로 단지 본 발명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B-필러(40)로 추가로 설치된다.
보강 브라켓(320)은 충격 지지바(200)의 마주하는 단부를 일부 감싸는 구조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보강 브라켓(320)은 충격 지지바(200)의 단부와 면접하는 면접부(322) 및 면접의 주변에서 충격 지지바(200)의 마주하는 단부를 감싸도록 돌출된 돌출부(324)를 포함한다.
이러면, 차량(10)의 측면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충격 지지바(200)로부터 면접부(322)를 통해 보강 브라켓(320)으로 원활하게 전달되어 충격 지지바(20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324)를 통해서 충격 지지바(200)가 보강 브라켓(3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 강도 보강 효과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도 보강부(300)가 리어 도어(30)를 개폐하기 위한 힌지 구조와 프런트 도어(20)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도 2의 310)과 같이 통상적으로 차량(1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활용하거나, 단순한 구조의 보강 브라켓(도 3의 320)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향후 강화되는 신차 안전도 평가(NCAP)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대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강도 보강부(300)를 사용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 보호에 대한 높은 등급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도 더 기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차량 20 : 프런트 도어
30 : 리어 도어 40 : B-필러
100 : 측면 충격 지지 장치 200 : 충격 지지바
210 : 연결 블록 300 : 강도 보강부
310 : 고정 브라켓 320 : 보강 브라켓
322 : 면접부 324 : 돌출부
30 : 리어 도어 40 : B-필러
100 : 측면 충격 지지 장치 200 : 충격 지지바
210 : 연결 블록 300 : 강도 보강부
310 : 고정 브라켓 320 : 보강 브라켓
322 : 면접부 324 : 돌출부
Claims (5)
- 차량의 프런트(front) 도어 및 리어(rear) 도어 각각에 가로 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에서 상기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각각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프런트 도어 및 상기 리어 도어를 지지하는 충격 지지바들; 및
각 충격 지지바와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각 충격 지지바와 동일 선상에서 상기 프런트 도어 및 상기 리어 도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B-필러(B-pillar)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으로부터 각 충격 지지바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충격 지지바의 마주하는 단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 보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충격 지지바의 마주하는 단부를 일부 감싸는 구조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리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프런트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7986A KR102048586B1 (ko) | 2012-12-31 | 2012-12-31 |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7986A KR102048586B1 (ko) | 2012-12-31 | 2012-12-31 |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7556A KR20140087556A (ko) | 2014-07-09 |
KR102048586B1 true KR102048586B1 (ko) | 2019-11-25 |
Family
ID=5173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7986A KR102048586B1 (ko) | 2012-12-31 | 2012-12-31 |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85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3077045A (ja) * | 2021-11-24 | 2023-06-05 | 株式会社Subaru | 衝突被害軽減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65607A (ja) | 2007-04-23 | 2008-11-06 | Toyota Motor Corp | 車体側部構造 |
JP2009166638A (ja) | 2008-01-15 | 2009-07-30 | Mazda Motor Corp | 車両の側部構造 |
-
2012
- 2012-12-31 KR KR1020120157986A patent/KR1020485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65607A (ja) | 2007-04-23 | 2008-11-06 | Toyota Motor Corp | 車体側部構造 |
JP2009166638A (ja) | 2008-01-15 | 2009-07-30 | Mazda Motor Corp | 車両の側部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7556A (ko) | 2014-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53152B2 (en) | Sill for a vehicle | |
CN106956721B (zh) | 车身结构 | |
JP5407372B2 (ja) | 車両の側部車体構造 | |
US9849918B2 (en) | Motor vehicle body | |
KR101382791B1 (ko) |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 |
US20100038928A1 (en) | Modified upper rear door hinge patch | |
KR100844712B1 (ko) | 차량의 카울 사이드부 보강구조 | |
CN113015660B (zh) | 用于交通工具的前罩盖 | |
CN101570214A (zh) | 具有a柱的汽车及安放在a柱内的气囊 | |
KR100412906B1 (ko) | 자동차의 프런트필러패널어셈블리 구조 | |
EP3517411A1 (en) | Door assembly with carrier with intrusion member | |
CN112969630B (zh) | 用于汽车白车身的前舱结构总成以及副车架 | |
CN106364318A (zh) | 具有仪表板的机动车辆 | |
CN101122206B (zh) | 一种乘用车车门 | |
KR102048586B1 (ko) | 차량의 측면 충격 지지 장치 | |
KR102457625B1 (ko) | 자동차 몸체 구조물용 보강재 | |
CN109070706B (zh) | 具有加强件的车辆车门及包括这种车门的车辆 | |
CN107635808A (zh) | 包括用于局部关闭板加强型材构件横截面的元件的门结构 | |
US20200164922A1 (en) |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 |
CN109070941B (zh) | 机动车辆的前挡泥板结构 | |
CN205059494U (zh) | 车门防撞梁及汽车 | |
JP4917976B2 (ja) | 車両用ドア構造 | |
KR100946868B1 (ko) |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 |
JP2015193342A (ja) | 自動車のフロア構造 | |
EP2133246A1 (en) | Cross member and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