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662B1 - 에어백 도어 - Google Patents

에어백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662B1
KR101585662B1 KR1020090100672A KR20090100672A KR101585662B1 KR 101585662 B1 KR101585662 B1 KR 101585662B1 KR 1020090100672 A KR1020090100672 A KR 1020090100672A KR 20090100672 A KR20090100672 A KR 20090100672A KR 101585662 B1 KR101585662 B1 KR 101585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opper
cover portion
cov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925A (ko
Inventor
양길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6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62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으로, 개방홀이 형성되는 패널과, 패널과 결합되며 개방홀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커버부에 설치되어 커버부의 개방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는 스토퍼에 의해 커버부의 개방각이 제한되므로, 커버부의 과도한 회전에 의해 전면유리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에어백 도어, 전면유리창, 스토퍼, 회전, 제한

Description

에어백 도어{AIR BAG DOOR}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전개과정에서 전면유리창이 파손되지 않도록 회전을 제한하는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승객의 보호를 위해 다양한 보호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차량의 충돌 사고시 승객의 보호를 위해 운전석 전면의 스티어링 휠 및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상에 에어백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스트루먼트패널(11)에는 에어백의 쿠션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레이저 가공을 통해 패널을 일부 절개한 가공선(12)이 형성되는바, 가공선(12)은 대개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때, 편의상 가공선(12)에 의해 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분을 도어(13)라 칭한다.
에어백의 작동시 에어백 쿠션에 의해 인스트루먼트패널(11)이 랜덤하게 찢겨지지 않도록, 도어(13)의 배면에는 보강대(14)가 진동융착기에 의해 진동 융착되게 된다.
또한, 가공선(12)이 가공되는 부분에는 지지벽(15)이 형성되어, 절개되어 떨어져 나가지 않는 인스트루먼트패널(11)을 보호한다. 이러한 지지벽(15)에는 에어백 모듈(19)이 나사 결합하게 된다.
한편, 보강대(14)에는 자체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스틸재질의 철판(16)이 부착되고, 철판(16)에는 힌지부(18)가 리벳(17)에 의해 결합된다.
힌지부(18)는 일부가 철판(16)에 결합되고, 이에서 연장된 부분이 굴곡진 형상을 하며 지지벽(15)에 고정된다.
따라서, 자동차 사고가 일어나면 에어백 모듈(19)이 작동하여 쿠션이 전개되고, 이러한 쿠션은 보강대(14)를 압박한다.
그리하면, 가공선(12)이 파열되어 인스트루먼트패널(11) 상에서 도어(13)가 찢겨져 나가게 되는데, 힌지부(18)는 도어(13)가 떨어져 나가더라도 차체 구조물과 연결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여, 승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면서 전면유리창에 부딪히게 되므로, 전면유리창이 파손되어 탑승자의 상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방각을 제한하여 전면유리창의 파손을 방지하는 에어백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방홀이 형성되는 패널; 상기 패널과 결합되며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개방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에서 연장되고 절곡된 형상을 하는 절곡체; 및 상기 절곡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는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절곡체에 형성되는 설치홀을 관통하고, 굴곡진 형상을 하여 마주보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곡체에 걸리는 제1걸림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곡체에 걸리는 제2걸림 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과 상기 커버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는 스토퍼가 커버판의 회전을 제한하여, 에어백 전개과정에서 에어백 쿠션에 의해 커버판이 회전되더라도 전면유리창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100)에는 패널(110), 커버부(120) 및 스토퍼(130)가 구비된다.
패널(110)은 인스트루먼트패널과 결합되고, 개방홀(111)이 형성되어 에어백이 배출된다. 커버부(120)는 패널(110)과 결합되고, 개방홀(111)을 커버한다. 스토퍼(130)는 커버부(120)에 설치되어 커버부(120)의 개방각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20)에는 결합판(121), 절곡체(122) 및 커버판(123)이 구비된다.
결합판(121)은 패널(11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결합판(121)에는 결합홀(121a)이 형성되고, 패널(110)에는 패널홀(1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체(125)는 결합홀(121a)과 패널홀(110a)을 통해 결합판(121)을 패널(110)에 결합시킨다.
절곡체(122)는 결합판(121)에서 연장되고 절곡된 형상을 한다. 이러한 절곡체(122)는 개방홀(111)에 위치되고, 커버부(120)가 회전될 때 중심축이 된다.
커버판(123)은 절곡체(122)에서 연장되고, 개방홀(111)을 커버한다. 이러한 커버판(123)은 에어백에 의해 밀려나면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30)에는 제1걸림체(131), 제2걸림체(132) 및 탄성체(133)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130)는 절곡체(122)에 형성되는 설치홀(122a)에 장착되어 커버체(123)의 회전을 제한한다.
탄성체(133)는 설치홀(122a)을 관통하고, 굴곡진 형상을 하여 마주보도록 형 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탄성체(133)는 'U'자 형상을 한다.
제1걸림체(131)는 탄성체(133)의 일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체(122)에 걸린다. 제2걸림체(132)는 탄성체(133)의 타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체(122)에 걸린다.
제1걸림체(131)와 제2걸림체(132)는 탄성체(133)를 기준으로 대칭 되는 형상을 한다.
한편, 패널(110)과 커버부(12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스토퍼(130)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금속재질의 커버부(120)는 강도가 증대되고, 플라스틱재질의 스토퍼(130)는 커버부(120)와의 접촉시 소음을 억제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결합판(121)을 패널(110)에 결합하여 커버판(123)이 개방홀(111)을 커버한 상태에서, 스토퍼(130)의 탄성체(133)를 절곡체(122)의 설치홀(122a)에 관통시킨다.
그리하면, 탄성체(133)의 자체 탄성에 의해 탄성체(133)의 양측면이 벌어지면서 절곡체(122)에 밀착된다. 이때, 탄성체(133)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제1걸림체(131)와 제2걸림체(132)는 절곡체(122)에 걸쳐진다(도 3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면, 에어백 쿠션에 의해 커버판(123)이 밀 려나가 회전되면서 개방홀(111)을 개방한다.
커버판(123)은 에어백 쿠션에 의해 회전되다가 제2걸림체(132)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므로(도 4 참조), 커버판(123)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해 전면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1걸림체(131)와 제2걸림체(132)의 길이에 따라 회전판(123)의 회전각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판(123)의 회전력에 대응되도록 스토퍼(130)의 장착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부(120)는 커버판(123)이 회전됨에 따라 절곡체(122)가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체(133)는 설치홀(122a)의 확장에 대응되도록 팽창되어 절곡체(12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패널 111 : 개방홀
120 : 커버부 121 : 결합판
122 : 절곡체 123 : 커버판
130 : 스토퍼 131 : 제1걸림체
132 : 제2걸림체 133 : 탄성체

Claims (4)

  1. 개방홀이 형성되는 패널;
    상기 패널과 결합되며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개방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에서 연장되고 절곡된 형상을 하는 절곡체; 및
    상기 절곡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는 커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절곡체에 형성되는 설치홀을 관통하고, 굴곡진 형상을 하여 마주보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곡체에 걸리는 제1걸림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곡체에 걸리는 제2걸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커버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
KR1020090100672A 2009-10-22 2009-10-22 에어백 도어 KR10158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672A KR101585662B1 (ko) 2009-10-22 2009-10-22 에어백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672A KR101585662B1 (ko) 2009-10-22 2009-10-22 에어백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925A KR20110043925A (ko) 2011-04-28
KR101585662B1 true KR101585662B1 (ko) 2016-01-14

Family

ID=4404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672A KR101585662B1 (ko) 2009-10-22 2009-10-22 에어백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6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359B1 (ko) * 2004-02-20 2006-07-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775448B1 (ko) 2006-08-08 2007-11-12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JP2011230749A (ja) 2010-04-05 2011-11-17 Takata Corp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カバーの組立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359B1 (ko) * 2004-02-20 2006-07-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775448B1 (ko) 2006-08-08 2007-11-12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JP2011230749A (ja) 2010-04-05 2011-11-17 Takata Corp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カバーの組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925A (ko)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2163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6217061B1 (en) Airbag system within impact countermeasures
EP1976729B1 (en) Airbag apparatus
US7128336B2 (en) Air bag door open structure of automobile
JP6439154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585662B1 (ko) 에어백 도어
WO2023021894A1 (ja) 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4155870B2 (ja) エアバッグドア付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110043924A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JP2005075141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3736312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20100069740A (ko) 에어백 도어 개방장치
JP2550343Y2 (ja) エアバッグ用ドア
JP2576582Y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2008024154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ドア部構造
JP4228737B2 (ja) 車両用サイドドア
JP2008049909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ドア部構造
JP4629499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付き車両用内装品
KR10167203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JPH0687397A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100735980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3572714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00597359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3937298B2 (ja)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