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796B1 -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796B1
KR100526796B1 KR10-2003-0068424A KR20030068424A KR100526796B1 KR 100526796 B1 KR100526796 B1 KR 100526796B1 KR 20030068424 A KR20030068424 A KR 20030068424A KR 100526796 B1 KR100526796 B1 KR 100526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body portion
vehicle body
body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379A (ko
Inventor
양태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7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10) 외측에 체결수단(20)이 결합되어 이 몸체부(10)를 트림(2)에 고정시키는 결합구멍(11a)이 형성된 연결편(11)이 구비되고, 몸체부(10)에는 차체 패널(4)을 관통한 볼트(3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단부가 차체 패널(4)을 지지하는 빗살편(13)이 형성되어, 차체 내부의 실내를 장식하는 내장재로 사용되는 트림(2)이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1)의 몸체부(10)에 돌출된 빗살편(1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차체 패널(4)에 마운팅되므로, 탑승자가 트림(2)에 부딪힐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헥스볼트(31)에 의해 빗살편(13)이 차체 패널(4)에 지지되는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트림(2)이 차체 패널(4)에 체결되어 마운팅되므로, 트림(2)을 차체 패널(4)에 고정시키는 구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 충돌시 탑승자가 트림(2)에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머리 상해 정도를 테스트 하는 북미 신법규인 FMH(Free Motion Headfoam Test)의 규제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트림(2)을 차체 패널(4)에 고정시키는 구속력이 커 충격시 트림(2)의 이탈을 방지하여 측면 충돌에 의한 커튼에어백 전개를 원할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Bracket for Trim Mounting}
본 발명은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트림을 차체 패널에 고정하는 구속력은 유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보디를 이루는 프레임에 각종 패널이 부위별로 장착되어 자동차의 외장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패널은 자동차의 외측을 형성하는 아웃패널과 내측면에 결합되는 인너패널이 서로 결합되어 보강적으로 용접 결합되며, 큰 보강을 요하는 부위에는 별도의 보강패널을 개재시켜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의 패널에는 자동차의 실내를 이루는 각종 트림이 장착되며, 이 트림은 차체 패널에 파스너(Fastner)를 사용하여 마운팅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트림을 파스너로 차체 패널에 마운팅할 경우 측면 충돌시 트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었으며, 특히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경우 트림 이탈에 의한 에어백의 이상전개 및 전개시간 지연등의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측면 충돌에 의한 커튼 에어백 전개시 트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을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은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 외측에 체결수단(20)이 결합되어 이 몸체부(10)를 트림(2)에 고정시키는 결합구멍(11a)이 형성된 연결편(11)이 돌출되고, 몸체부(10) 중앙에는 차체 패널을 관통한 볼트(3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트림(2) 내측에는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11a)과 대응되는 결합돌기(3)가 형성되어, 체결수단(20)으로 상기 연결편(11)을 상기 결합돌기(3)에 결합시키므로서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1)을 트림(2)에 고정한 후 이 트림(2)을 체결구멍(12)에 차체 패널을 관통시킨 볼트(30)를 체결하므로서 마운팅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은 트림을 차체 패널에 고정시키는 구속력은 매우 높아 측면 충돌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나 브라켓트의 강성이 커 충격흡수성능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어 충돌시 탑승자가 차체 내장을 이루는 트림에 부딪칠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트림의 강성을 규제하여 충돌시 승객의 머리가 차체의 내장을 장식하는 트림에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탑승자의 머리 상해 정도를 테스트 하는 북미 신법규인 FMH(Free Motion Headfoam Test)의 규제 조건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 전면에는 차체 패널에 지지되는 빗살편을 형성하고, 헥스볼트를 사용하여 트림을 차체 패널에 고정하므로서 트림의 구속력은 유지하면서 충격흡수성능을 증대시켜 북미 신법규인 FMH(Free Motion Headfoam Test)의 규제 조건에 만족하는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10) 외측에 체결수단(20)이 결합되어 이 몸체부(10)를 트림(2)에 고정시키는 결합구멍(11a)이 형성된 연결편(11)이 구비되고, 몸체부(10)에는 차체 패널(4)을 관통한 볼트(3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단부가 차체 패널(4)을 지지하는 빗살편(13)이 형성되므로서 달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0)가 트림(2)에 고정되어, 이 트림(2)을 차체 패널(4)에 마운팅하면, 상기 몸체부(10)에 돌출된 빗살편(13)이 차체 패널(4)에 지지하여, 트림(2)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빗살편(13)이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인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이 트림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트림에 돌출된 결합돌기에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이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인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이 트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인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트림마운팅용 브라켓이 트림에 고정된 후 이 트림이 차체 패널에 마운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1)의 몸체부(10)는 외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편(11)이 다수개 구비되고, 이 연결편(11)에는 결합구멍(1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트림(2)에는 상기 연결편(11)이 안착되고, 이 연결편(11)의 결합구멍(11a)에 대응되는 결합홈(3a)이 형성된 결합돌기(3)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11)은 리브(11b)에 의해 몸체부(10)에 지지되어, 몸체부(10)가 이 연결편(11)에 의해 트림(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강성이 보강된다.
즉, 몸체부(10)에 연결된 연결편(11)을 결합구멍(11a)과 결합홈(3a)이 일치되도록 트림(2)의 결합돌기(3) 상부에 안착한 후, 이 결합구멍(11a)에 체결수단(20)을 관통하여 결합홈(3a)에 체결하면 몸체부(10)가 트림(2)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에는 차체 패널(4)을 관통한 볼트(3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2)이 형성되며, 몸체부(10)의 전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차체 패널(4)을 지지하는 빗살편(1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빗살편(13)은 얇은 편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으로 차체 패널(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림(2)에는 볼트(30)가 이 트림(2)의 외측에서 상기 체결구멍(12)에 결합되도록 볼트(30)를 관통할 수 있는 조립용구멍(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립용구멍(2a)은 볼트(30)가 체결구멍(12)을 통하여 차체 패널(4)에 체결한 후 커버뚜껑(2b)이 결합되어 커버된다.
또, 차체 패널(4)에는 볼트(30)가 상기 트림(2)의 조립용구멍(2a)을 통하여 몸체부(10)의 체결구멍(12)에 결합하여 체결될 수 있는 웰드너트(4a)가 용접되어 구비된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트림(2)에 장착되어 고정된 몸체부(10)를 이 몸체부(10)에 형성된 체결구멍(12)으로 차체 패널(4)을 관통한 볼트(30)를 이 차체패널(4)에 구비된 웰드너트(4a)에 체결하여 상기 트림(2)을 차체 패널(4)에 마운팅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림(2)은 몸체부(10)에 돌출된 빗살편(13)에 의해 차체 패널(4)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충돌사고시 탑승자가 트림(2)에 부딪힐 경우 그 충격을 자체 탄성력으로 일정부분 흡수하고, 그 충격이 일정힘 이상으로 가해질 경우 빗살편(13)이 부러지면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차체 패널(4)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10)의 체결구멍(12)에 체결되는 볼트(30)는 끝단부터 일정부분까지만 나사산(30a)이 형성된 헥스볼트(HEX Bolt)(3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헥스볼트(31)의 나사산(30a)이 없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빗살편(13)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즉, 나사산(30a)이 길이 전체에 형성된 일반 볼트(30)를 사용하여 상기 트림(2)을 차체 패널(4)에 마운팅할 경우 작업자가 과도하게 볼트(30)를 체결하게되어 차체 패널(4)을 지지하는 빗살편(13)이 휘어지거나 부러져 충격흡수성능이 저하되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헥스볼트(31)를 사용하여 이 헥스볼트(31)의 나사산(30a)이 형성된 부분만 몸체부(10)의 체결구멍(12)에 체결되어 빗살편(13)이 지지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과도하게 체결되지 않도록 하여,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마운팅 브라켓(1)의 트림(2)을 차체 패널(4)에 고정시키는 구속력은 유지하면서 빗살편(13)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차체 내부의 실내를 장식하는 내장재로 사용되는 트림이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의 몸체부에 돌출된 빗살편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차체 패널에 마운팅되므로, 탑승자가 트림에 부딪힐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헥스볼트에 의해 빗살편이 차체 패널에 지지되는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트림이 차체 패널에 체결되어 마운팅되므로, 트림을 차체 패널에 고정시키는 구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 충돌시 탑승자가 트림에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머리 상해 정도를 테스트 하는 북미 신법규인 FMH(Free Motion Headfoam Test)의 규제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트림을 차체 패널에 고정시키는 구속력이 커 충격시 트림의 이탈을 방지하여 측면 충돌에 의한 커튼에어백 전개를 원할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이 트림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인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이 트림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인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이 트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인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2 - 트림
10 - 몸체부 11 - 연결편
12 - 체결구멍 13 - 빗살편
20 - 체결수단 30 - 볼트
31 - 헥스볼트

Claims (2)

  1. 몸체부(10) 외측에 체결수단(20)이 결합되어 이 몸체부(10)를 트림(2)에 고정시키는 결합구멍(11a)이 형성된 연결편(11)이 구비되고, 몸체부(10)에는 차체 패널(4)을 관통한 볼트(3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단부가 차체 패널(4)을 지지하는 빗살편(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체결구멍(12)에 체결되는 볼트(30)는 끝단부터 일정부분까지만 나사산(30a)이 형성된 헥스볼트(HEX Bolt)(31)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KR10-2003-0068424A 2003-10-01 2003-10-01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KR100526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24A KR100526796B1 (ko) 2003-10-01 2003-10-01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24A KR100526796B1 (ko) 2003-10-01 2003-10-01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379A KR20050032379A (ko) 2005-04-07
KR100526796B1 true KR100526796B1 (ko) 2005-11-08

Family

ID=3723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424A KR100526796B1 (ko) 2003-10-01 2003-10-01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34B1 (ko) 2013-10-15 2013-12-09 주식회사 디피코 자동차 트림류 검사구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038B1 (ko) * 2005-08-26 2007-01-1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34B1 (ko) 2013-10-15 2013-12-09 주식회사 디피코 자동차 트림류 검사구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379A (ko)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746B2 (en) Motor vehicle with an A-column and airbag incorporated therein
JP2001253311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70058207A (ko) 커튼 에어백의 a필라 구조
JPH10138861A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KR100526796B1 (ko)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US6991279B2 (en) Reinforced door trim panel
JPH0761310A (ja) エアバッグ装置の蓋材
JP2009227151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H10138859A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固定構造
KR20050039220A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트림재의 장착구조
JP2010095225A (ja) 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の誤組み付け防止構造
KR100828582B1 (ko)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의 조립구조
JP5267903B2 (ja) 車両のピラートリム取付構造
JP3234564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組付方法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JP4022829B2 (ja) シートベルトアンカーの取付構造
JPH11255059A (ja) エアバッグ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157124Y1 (ko) 승객용 에어백 하우징
KR100622417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00558742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루프 어시스트 핸들용 브라켓
KR200203108Y1 (ko) 착탈식필러보강구조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KR100456679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의 장착구조
JP454818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3104157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