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735B1 -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735B1
KR100419735B1 KR10-2001-0084673A KR20010084673A KR100419735B1 KR 100419735 B1 KR100419735 B1 KR 100419735B1 KR 20010084673 A KR20010084673 A KR 20010084673A KR 100419735 B1 KR100419735 B1 KR 10041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vehicle
center pillar
hook
hoo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4501A (ko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7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센터필라 트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면충격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어글래스 전구역에 걸쳐 전개되는 커튼에어백이 개발되었지만, 측면충격시 커튼에어백의 전개보다 필라트림의 이탈이 먼저 진행되어 커튼에어백의 전개가 방해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차량 측면충격에 의한 센터필라(2)의 변형시 필라트림(10) 상단이 루프사이드패널(14)에 구속되도록 후크브라켓(16)이 마련되어지되, 상기 필라트림(10) 상단에는 슬릿(18)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브라켓(16)의 일단에는 상기 슬릿(18)에 끼워지는 후크부(20)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브라켓(16)의 타단에는 센터필라(2) 상부인 루프사이드패널(14)과 체결되는 체결플랜지(22)가 형성된 차량 센터필라 트림 지지장치이며, 상기 후크브라켓(16)은 그 외측면인 후크부(20)와 체결플랜지(22) 사이의 몸체가 커튼에어백(6)이 전개될때 개구부(8)를 통한 하방전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24)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A Support Device for Center-Pillar-Trim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측면충격시 커튼에어백의 신속한 전개가 수행되도록 측면충격에 의한 센터필라 트림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이탈시간을 지연시킨 차량 센터필라트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의 승용차 바디는 모노코크 형식이라는 프레임 일체형 바디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모노코크 형식의 바디에는 충격시 바디가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수축특성이 있으며, 엔진룸의 공간과 트렁크 공간이 이러한 수축특성을 갖는 크러시존이다.
반면, 상기 크러시존 사이에 위치된 차실내는 충격시 수축되어서는 아니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차실내는 예시도면 도 1 에서와 같이 프론트필라(1), 센터필라(2), 리어필라(3) 및 하부의 종방 보강재인 사이드멤버(4)와 횡방 보강재인 크로스멤버(5), 및 이러한 골격에 보강패널인 각 인너패널이 결합되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충격시 바디의 수축특성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급감되며 이때, 차실내는 충격에 대응하고 탑승자가 시트벨트에 구속되어 있으면 대형사고의 방지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시트벨트를 보조하기 위해 에어백이 개발되어 있으며, 에어백은 차량 충격시 차실내 구조물과 탑승자와의 접촉사이에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충격에 있어서 가장문제가 되는 것은 측면충격이나 전복사고의 경우이며, 이것은 측면충격에 있어서는 상기된 크러시존이 거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측면충격의 완충장치로 개발된 것이 사이드 에어백이며, 이 중 측면충격으로 부터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커튼에어백이다.
커튼에어백은 예시도면 도 2a 에서와 같이 도어글래스 전구역에 걸쳐 전개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측면충격이나 전복사고로 부터 보호하며, 이를 위한 에어백모듈은 차량의 루프부위에 내장되어 충격시 하방전개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도 2b와 같이 루프레일(7)에는 커튼에어백(6)의 전개를 위한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으며, 루프트림(9)은 도어형식으로 개방을 보조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측면충격시 센터필라(2)의 필라트림(10)이 커튼에어백(2)의 전개를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필라트림(10)은 수출차량에 있어서 FMH(Free Motion Headform)이라 불리우는 차량 상부구조물과 머리의 충격시 상해치에 관한 북미보호법규에 의해 강성증가가 제한된 상태이므로, 스크류(12)로 센터필라(2)에 단순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차량의 측면충격은 센터필라(2)의 변형을 유발시키고 측면충격시 도 2c 에서와 같이 스크류(12) 및 보스부분을 파손시켜 필라트림(10)이 센터필라(2)로부터 이탈되며, 이때 필라트림(10)의 상단은 루프사이드패널(14)에 체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탈된 필라트림(10)의 상단이 커튼에어백(6) 전개의 개구부(8)를 간섭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충격진행과 커튼에어백(6) 전개의 시간차와도 관련되며, 충격발생으로부터 커튼에어백(6)의 전개보다 충격발생으로부터 필라트림(10)의 이탈이 빠르며, 이에 의해 커튼에어백(6)이 이탈된 필라트림(10)의 내측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커튼에어백(6)의 탑승자보호 기능이 하락되었으며, 보호법규를 만족하는 기존의 필라트림을 유지시키면서 차량의 측면충격시 센터필라(2)로부터 필라트림(10)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커튼에어백(2) 전개까지 이탈을 지연시킬 수단 필요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측면충격시 커튼에어백의 신속한 전개가 수행되도록 측면충격에 의한 센터필라 트림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이탈시간을 지연시킨 차량 센터필라트림의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차체 외관설명도,
도 2a 는 커튼에어백의 외관설명도,
도 2b 는 커튼에어백의 하방전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a 의 A-A 선 단면설명도,
도 2c 는 종래 문제점인 필라트림에 의해 커튼에어백의 전개방해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필라트림 지지장치의 사시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트림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센터필라, 6 - 커튼에어백,
8 - 개구부, 10 - 필라트림,
12 - 스크류, 14 - 루프사이드패널,
16 - 후크브라켓, 18 - 슬릿,
20 - 후크부, 22 - 체결플랜지,
24 - 가이드부, 26 - 보울트,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필라 트림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필라 트림 체결장치를 나타낸 단면설명도로서, 본 발명은 차량 측면충격에 의한 센터필라(2)의 변형시 필라트림(10) 상단이 루프사이드패널(14)에 구속되도록 후크브라켓(16)이 마련되어지되, 상기 필라트림(10) 상단에는 슬릿(18)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브라켓(16)의 일단에는 상기 슬릿(18)에 끼워지는 후크부(20)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브라켓(16)의 타단에는 센터필라(2) 상부인 루프사이드패널(14)과 체결되는 체결플랜지(22)가 형성된 차량 센터필라 트림 지지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후크브라켓(16)은 그 외측면인 후크부(20)와 체결플랜지(22) 사이의 몸체가 커튼에어백(6)이 전개될때 개구부(8)를 통한 하방전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24)가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측면충격시 커튼에어백(6)이 전개될때 센터필라(2)의 변형에 의한 필라트림(10)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이탈을 지연시켜 커튼에어백(6)의 전개를 돕는 센터필라 트림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센터필라(2)로의 충격으로 인하여 필라트림(10)이 이탈되려 할때 필라트림(10)의 상단을 루프에 구속시켜 필라트림(10)의 이탈을 방해한 것으로, 필라트림(10)과 루프사이드패널(14) 사이에 지지체로서 후크브라켓(16)이 매개되어진 것이다.
후크브라켓(16)은 필라트림(10)의 구속을 위한 후크부(20)와 루프사이드패널(22)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플랜지(22) 및 커튼에어백(6)의 전개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24)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20)가 측면충격시 필라트림(20)를 구속시키기 위해 필라트림(20)의 상단에 슬릿(18)이 형성되며, 장착된 후크브라켓(16)에 슬릿(18)을 끼워 거치시키게 되면 간단한 장착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플랜지(22)와 루프사이드패널(14)은 별도의 체결체인 보울트(26) 등으로 결합된다.
한편, 후크부(20)와 체결플랜지(22) 사이의 후크브라켓 몸체는 가이드부(24)가 되며, 이 가이드부(24)는 측면충격에 의한 센터필라(2)의 변형시 커튼에어백(6)을 오히려 차실내측으로 밀어내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차량에 측면충격이 발생되어 기존의 스크류(12)가 파손되더라도 필라트림(10)의 상단 슬릿(18)이 후크부(20)에 거치되어 필라트림(10) 상단이 센터필라(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지연된다.
또한, 필라트림(10)의 이탈이 지연되더라도 커튼에어백(6)의 전개 시간을 확보해주며, 센터필라(2)의 변형시에 후크브라켓(16)의 가이드부(24)는 커튼에어백(6)의 전개를 더욱 돕게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후크브라켓(16)은 필라트림 조립라인에서 필라트림(10)의 조립위치를 확보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일반적인 조립라인에서 센터필라 트림은 헤드라이닝 다음에 조립하기 때문에 센터필라 상단의 위치확보가 번거롭지만, 본 발명의 후크브라켓(16)의 후크부(20)에 슬릿(18)을 끼우게 되면 간단하게 필라트림(10)의 위치가 확보되므로 위치가 확보된 상태에서 필라트림(10)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필라트림의 상단이 후크브라켓에 의해 루프사이드패널에 구속되므로, 차량 충격시 충격으로 인한 센터필라 트림의 이탈이나 이탈시간이 지연되므로, 필라트림 상부에 대한 보호법규를 만족하면서도 커튼에어백의 기능이 유지되어 차량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 측면충격에 의한 센터필라(2)의 변형시 필라트림(10) 상단이 루프사이드패널(14)에 구속되도록 후크브라켓(16)이 마련되어지되, 상기 필라트림(10) 상단에는 슬릿(18)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브라켓(16)의 일단에는 상기 슬릿(18)에 끼워지는 후크부(20)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브라켓(16)의 타단에는 센터필라(2) 상부인 루프사이드패널(14)과 체결되는 체결플랜지(22)가 형성된 차량 센터필라 트림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후크브라켓(16)은 그 외측면인 후크부(20)와 체결플랜지(22) 사이의 몸체가 커튼에어백(6)이 전개될때 개구부(8)를 통한 하방전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24)가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터필라 트림 지지장치.
KR10-2001-0084673A 2001-12-26 2001-12-26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KR10041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673A KR100419735B1 (ko) 2001-12-26 2001-12-26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673A KR100419735B1 (ko) 2001-12-26 2001-12-26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501A KR20030054501A (ko) 2003-07-02
KR100419735B1 true KR100419735B1 (ko) 2004-02-21

Family

ID=3221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673A KR100419735B1 (ko) 2001-12-26 2001-12-26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69B1 (ko) * 2007-08-14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에어백 설치구조
CN104044645B (zh) * 2013-03-15 2017-12-12 标致雪铁龙(中国)汽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机动车辆的c柱内饰板的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501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506A (en) Energy absorbing vehicle trim with airbag
KR100506720B1 (ko) 커튼 에어백 장착 차량의 필러트림 설치 구조
US6217061B1 (en) Airbag system within impact countermeasures
CN100475613C (zh) 车辆前柱装饰板安装结构
US7854448B2 (en) Airbag arrangement
KR20210113522A (ko) 차량용 썬루프 에어백
KR100508439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용 전방 필라트림구조
KR20080042612A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0633415B1 (ko) 차량 탑승자의 머리 보호를 위한 커튼형 에어백 장치
JP3405246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KR100831438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0778579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장착구조
KR20050053116A (ko) 커튼 에어백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필러트림 결합구조
KR20030097137A (ko)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JP3161819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EP1927518B1 (en) Vehicle structures or components defining a deployment control surface for an airbag
JP2009078717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7973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필라 트림 결합구조
JP2003291768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01097171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搭載車両における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KR100475966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1003899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727162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KR101550142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