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899B1 - 커튼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899B1
KR101003899B1 KR1020080043532A KR20080043532A KR101003899B1 KR 101003899 B1 KR101003899 B1 KR 101003899B1 KR 1020080043532 A KR1020080043532 A KR 1020080043532A KR 20080043532 A KR20080043532 A KR 20080043532A KR 101003899 B1 KR101003899 B1 KR 10100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bag cover
cover
curt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471A (ko
Inventor
박두연
김태우
김병구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8004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89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3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or roof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60R2021/23514Fabric coated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레일에 고정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루프레일에 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감싸며 티어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루프레일에 고정되는 에어백 커버; 및 상기 루프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며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보조에어백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에 의하면, 차량의 루프 레일 내에 커튼 에어백 모듈을 손쉽게 설치하며, 또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파단되는 티어라인을 사인형상으로 함으로써 차량 충격시에 더욱 용이하게 전개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커튼 에어백 모듈, 에어백 커버, 보조에어백 커버, 티어라인, 사인파 형상

Description

커튼 에어백 모듈{Curtain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양측 루프레일에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 및 전복 사고 발생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은 충돌사고가 났을 때 생기는 충격력이나 고속주행중의 급정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사고 시 충격 강도를 감지한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 쿠션 속에 팽창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팽창시킴으로써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를 부상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차량의 측면 충돌 사고 시 루프 레일 부위가 심하게 변형되면서 이곳의 실내 유입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한 실내 공간의 축소로 탑승자의 머리부위에 미치는 상해가 크게 나타나, 최근에는 측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커튼 에어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튼 에어백 모듈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8118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로 "자동차의 사이드에어백 장착용 브래킷"이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커튼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브래킷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장착용 브래킷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러한 커튼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루프레일에 설치되는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특히, 돌출되어 있는 센터필러(Center Pillar)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센터필러 상부에 커튼 에어백을 접힌 상태로 고정시킴과 함께 전개 시 센터필러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장착용 브래킷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브래킷은 루프 사이드 패널(10)의 사이드 레일부(20)에 커튼 에어백 쿠션(30)이 전개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몸체(40)의 상부 및 하부가 사이드 레일부(20)에 고정되고, 이 몸체(40)에는 측면 충돌에 의해 커튼 에어백 쿠션(30)이 전개될 경우 차체와 필러 트림(50) 사이로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속부(4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브래킷은 사이드 레일부(20)에 상기 몸체(40)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정구멍(42)을 고정시키고, 몸체(4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단속부(41)의 상면에 접힌 커튼 에어백 쿠션(30)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커튼 에어백 쿠션(30)은 헤드라이닝(60)에 의하여 사이드 레일부(20)와 헤드라이닝(6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필러 트림(50)의 상부에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측면에 충격이 가해지면 인플레이터(미도시)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커튼 에어백 쿠션은 인플레이터(미도시)에서 분사된 팽창가스에 의하여 전개되면서 헤드라이닝(60)을 차체의 내측으로 밀어 젖히면서 전개되는데, 경사지게 고정된 몸체(40)에 접혀진 커튼 에어백 쿠션(30)이 전개되면서 헤드라이닝(60)을 밀어 젖히면서 헤드라이닝(60)의 저항에 의하여 필러 트림(50)에 일부가 걸리거나 필러 트림(5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전개됨으로써 커튼 에어백 쿠션(30)이 불안정하게 전개되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래킷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구성의 추가로 인한 재료비 상승 및 조립공정이 추가되어 전체적인 생산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루프 레일 내에 커튼 에어백 모듈을 손쉽게 설치하며, 또한 차량 충격 시에 차량 실내공간으로 원활하게 전개되어 차량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커튼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을 감소시켜서 재료비 상승 및 제조공정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루프레일에 고정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루프레일에 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감싸며 티어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루프레일에 고정되는 에어백 커버; 및 상기 루프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며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보조에어백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커버 및 보조에어백 커버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는 코팅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에는 별도의 부직포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부재는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에 융착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 커버에 형성되는 티어라인은 사인파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에 형성되는 티어라인은 사인파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에어백 커버는 차량의 프런트필러, 센터필러 및 리어필러 중 어느 하나의 상측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에어백 커버는 차량의 프런트필러, 센터필러 및 리어필러의 상측 모두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 커버 및 보조에어백 커버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도록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백 커버 및 보조에어백 커버에 형성되는 티어라인은 상기 중공형상의 단면상에서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에 의하면, 차량의 루프 레일 내에 커튼 에어백 모듈을 손쉽게 설치하며, 또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파단되는 티어라인을 사인형상으로 함으로써 차량 충격 시에 더욱 원활하게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전개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 감소로 인하여 조립공정이 단순화되고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상태를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레일(100)에 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에어백 쿠션(200) 상기 에어백 쿠션(200)을 감싸며 티어라인(320)이 형성되며 상기 루프레일(100)에 고정되는 에어백 커버(300) 및 상기 루프레일(100)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200)과 에어백 커버(300)의 사이에 상기 에어백 쿠션(200)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조에어백 커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의 측면에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인플레이터(400)는 도시되지 않은 ECU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백 쿠션(200) 내부로 팽창가스를 주입시키게 되고 전개된 에어백 쿠션(200)은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백 커버(300) 및 보조에어백 커버(500)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이 구비된 고정부재(310,5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300) 및 보조에어백 커버(500)는 상기 루프레일(100)에 설치된 걸림후크 등의 결합부재 또는 볼트 및 너트결합을 통해 루프레일(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00)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루프레일(1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10,510)는 에어백 쿠션(200)이 전개된 상태에서도 상기 에어백 커버(300) 및 보조에어백 커버(500)가 루프레일(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500)에 형성되는 고정부재(5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커버(300)의 절개된 틈을 통해 에어백 커버(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커버(300)는 상기 에어백 쿠션(200)을 폴딩된 상태로 유지하여 차체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의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300) 및 보조에어백 커버(500)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에어백 쿠션(200)의 전개 시에 발생되는 팽창력에 의해 절개되는 티어라인(320,520)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커버(300) 및 보조에어백 커버(500)는 에어백 쿠션(200)이 수납되도록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백 커버(300) 및 보조에 어백 커버(500)에 형성되는 티어라인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쿠션(200)이 용이하게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중공형상의 단면상에서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500)는 상기 에어백 쿠션(200)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쿠션(2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에어백 쿠션(200)이 차량의 필러(Pillar) 부분에 구속되어 원활히 전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량의 프런트필러, 센터필러 및 리어필러의 상측 중 선택된 어느 한 곳 이상의 상기 에어백 커버(300)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500)는 상기 필러(Pillar)를 회피하여 차량의 실내로 상기 에어백 쿠션(200)이 전개되도록 에어백 쿠션(200)의 하부를 충분히 지지하기 위해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강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500)를 코팅 처리하거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직포부재(600)를 더 부착시켜 이를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부재(600)는 융착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백 쿠션(200)의 전개 시 파단되도록 에어백 커버(300) 및 보조에어백 커버(500)에 형성되는 티어라인(320,5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200)이 좀 더 원활히 전개되도록 사인(Sine)파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200)이 전개되면 상기 에어백 커버(300) 및 보조에어백 커버(500)의 티어라인(320,520) 형성부위는 파단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500)가 배치되는 부분은 차량의 필러(Pillar) 상측이고, 에어백 쿠션(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어라인(320,520)을 파단시키고 헤드라이닝(700)을 밀어 젖혀서 전개된다.
이때,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00)은 상기 티어라인(320,520) 형성부위가 파단되어 젖혀지는 에어백 커버(300), 보조에어백 커버(500) 및 부직포부재(600)를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필러(Pillar)를 회피하여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커튼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브래킷의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장착용 브래킷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상태를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루프레일 200: 에어백 쿠션
300: 에어백 커버 310: 고정부재
320: 티어라인 400: 인플레이터
500: 보조에어백 커버 510: 고정부재
520: 티어라인 600: 부직포부재
700: 헤드라이닝

Claims (10)

  1. 차량의 루프레일에 고정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루프레일에 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감싸며 티어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루프레일에 고정되는 에어백 커버; 및
    상기 루프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며 티어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상기 에어백 쿠션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조에어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는 상기 차량의 프런트 필러, 센터 필러 및 리어 필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에어백 커버는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보강재가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 및 상기 보조 에어백 커버의 상기 티어 라인은 상기 에어백 커버 및 상기 보조 에어백 커버의 상기 차량의 실내측을 향하는 전면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 전개 시 상기 보조 에어백 커버가 마련된 상기 에어백 커버의 하면 부분이 상기 프런트 필러, 센터 필러 및 리어 필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을 덮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 및 보조에어백 커버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보조 에어백 커버에 부착된 별도의 부직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부재는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에 융착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 형성되는 상기 티어라인은 사인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에어백 커버에 형성되는 상기 티어라인은 사인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 및 보조에어백 커버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도록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백 커버 및 보조에어백 커버에 형성되는 상기 티어라인은 상기 중공형상의 단면상에서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KR1020080043532A 2008-05-09 2008-05-09 커튼 에어백 모듈 KR101003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532A KR101003899B1 (ko) 2008-05-09 2008-05-09 커튼 에어백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532A KR101003899B1 (ko) 2008-05-09 2008-05-09 커튼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71A KR20090117471A (ko) 2009-11-12
KR101003899B1 true KR101003899B1 (ko) 2010-12-30

Family

ID=4160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532A KR101003899B1 (ko) 2008-05-09 2008-05-09 커튼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286B1 (ko) * 2017-12-28 2022-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2592A (ja) 2006-03-27 2007-10-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用基布及び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2592A (ja) 2006-03-27 2007-10-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用基布及び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71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2157B1 (en)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EP2988975B1 (en) Top tether for curtain airbag
US8899617B2 (en) Curtain airbag device and occupant protecting device
JP498754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用案内プレート
EP1591323B1 (en) Vehicle having an airbag system
KR100747861B1 (ko) 커튼에어백의 프론트 필라트림 구조
US7854448B2 (en) Airbag arrangement
JP6294952B2 (ja) Icのための二重折りにして巻かれたクッション
US9283917B2 (en) Curtain airbag device
KR20080042612A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0831438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2005748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2005750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0418768Y1 (ko) 사이드 에어백용 안내 플레이트
KR101003899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64000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유도구조
KR101003885B1 (ko) 커튼 에어백
KR101594774B1 (ko) 커튼에어백 장치
KR102656157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JP6567893B2 (ja) 内装部材取付構造
KR102509831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557710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유닛
KR102465245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0776020B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KR100776017B1 (ko) 사이드 에어백용 안내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