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020B1 -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020B1
KR100776020B1 KR1020060047522A KR20060047522A KR100776020B1 KR 100776020 B1 KR100776020 B1 KR 100776020B1 KR 1020060047522 A KR1020060047522 A KR 1020060047522A KR 20060047522 A KR20060047522 A KR 20060047522A KR 100776020 B1 KR100776020 B1 KR 10077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side airbag
vehicle
air bag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661A (ko
Inventor
장명륜
유병선
김태우
이동준
오은환
최균순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02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에어백의 전개를 돕는 것으로, 볼트가 체결되는 설치홀을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사이드에어백쿠션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고정부재의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구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과 구속부재 사이에 사이드에어백이 삽입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사이드에어백 쿠션의 순차적 전개가 용이하며 상측으로의 전개를 구속하여 사이드에어백 전개시 필요한 힘이 분산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헤드라이너 열고 전개되도록 유도하여 높은 신뢰성을 가진 사이드에어백을 제공한다.
가이드 플레이트, 확장부, 사이드에어백, 헤드라이너

Description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A GUIDE PLATE FOR SIDE AIRBAG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를 갖는 사이드에어백의 전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에어백 설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이드에어백 200 : 루프 사이드 패널
300 : 가이드 플레이트 310 : 고정부재
320 : 구속부재 330 : 확장부
400 : 인플레이터
본 발명은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드에어백이 위쪽으로 전개되는 것을 구속시켜 아래쪽으로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고, 전개시 사이드에어백쿠션의 순차적인 전개를 돕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은 충돌사고가 났을 때 생기는 충격력이나 고속주행중의 급정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사고시 충격 강도에 따른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 속에 압축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팽창시킴으로써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를 부상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또한, 자동차를 사용함에 있어 에어백은 한번도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고시에는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작동하지 않아야 할 때 오작동 되는 일이 없어야 하므로 장치의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운전석의 스티어링휠과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각각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시 충돌감지센서와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안전벨트와 같이 연동되어 탑승자를 부상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하게 된다.
즉, 차량의 충돌시, 충돌감지센서가 그 감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닛(ECU)으로 출력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ECU)은 충격강도에 따라 에어백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인플레이터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이때, 인플레이터는 접어져 설치된 에어백에 연결되어 있어, 전자제어유 닛(ECU)에 의해 그 내부의 히터가 발열하여 화약을 착화시키고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킴으로써, 순간적으로 발생된 다량의 가스가 에어백으로 주입되어 에어백을 급속하게 팽창시키게 된다.
한편, 차량의 측면 충돌 사고시 루프 사이드 레일 부위가 심하게 변형되면서 이곳의 실내 유입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한 실내 공간의 축소로 탑승자의 머리부위에 미치는 상해가 크게 나타나, 최근에는 측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은 통상 '사이드에어백' 혹은 '사이드에어백'이라 칭하며 이는 차량의 루프라이너 부위의 전체 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즉, 이와 같은 사이드 에어백은 차량의 지붕을 이루는 루프 빔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량의 측면을 따라 차량의 프런트필라(Front Pillar)로부터 센터필라(Center Pillar)를 거쳐 리어필라(Rear Pillar)로 연장되며, 사이드에어백의 작동은 정면에어백과 같은 원리로, 측면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 강도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 에어백의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04-003972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루프사이드레일의 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에어백과, 루프사이드레일의 하측에 설치되는 센터필라트림과, 사이드에어백의 전개시 이탈되도록 실내측에 설치되는 헤드라이닝 및 상기 사이드에어백의 전개를 유도하는 가이드구로 구성된 자 동차용 사이드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사이드에어백은 루프사이드레일(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에어백(20)과, 상기 루프사이드레일(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센터필라트림(30)과, 사이드에어백(20)전개시 이탈되도록 실내측에 설치되는 헤드라이닝(40) 및 상기 사이드에어백(20)의 전개를 유도하는 가이드구(5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구(50)는 사이드에어백(20)의 하측에 구성되되, 센터필라트림(3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에어백(20)의 전개를 유도하는 유도부(51)와, 센터필라트림(30)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52) 및 상기 유도부(51)와 고정부(52)를 연결하는 연결부(53)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 사이드에어백은 외부 충격으로 인한 외형 변화에 의해 내부 가이드 구조가 변형되어 에어백의 전개성이 저하되고, 위쪽으로 전개되는 사이드에어백쿠션을 구속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힘이 분산되어 헤드라이너를 열고 전개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양쪽으로의 보조 구조가 없어 순차적인 전개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사이드에어백을 차내로 유도하지 못하여 센터필러 내부로 전개될 우려가 있고, 사이드에어백이 전개될 때 차 내측의 센터필러에 간섭되어 순차적인 전개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사이드에어백 전개 과정이 순조롭지 못하여 사이드에어백 작동성능이 일정하게 제공되지 못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쪽으로 분산되는 힘을 구속시켜 아래쪽으로 유도함으로써 헤드라이너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드에어백쿠션이 순차적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는 볼트가 체결되는 설치홀을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사이드에어백쿠션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고정부재의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구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과 구속부재 사이에 사이드에어백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는 구속부재의 일측면에 인플레이터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구속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의 양측면에 구속연장부가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양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 선단에 절곡 형성된 걸림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사이드패널(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에어백(100)은 사이드에어백하우징(110)과 사이드에어백쿠션(120)으로 구성되며, 전방부가 프런트필러(500)에 버클로 고정되고 인플레이터(400)가 개재된 후방부는 리어필러(7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센터필러(600)의 상측 루프사이드패널(200)에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속부재(320)와 지지판(330) 사이에 사이드에어백하우징(110)이 끼워지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이드에어백(100)에는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신호를 받아 인플레이터(400)를 작동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이 내장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의 설치구조 및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루프사이드패널(200)과 헤드라이너(800) 사이에 위치하고, 루프사이드패널(200)측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하부에 만곡되게 절곡된 지지판(330)으로 구성되며, 고정부재(310)에 있는 설치홀(311)을 통해 루프사이드패널(200)에 볼트로 고정되고, 이를 보조하여 가이드 플레이트가 돌아가지 않도록 설치홀(311) 양 옆에 있는 고정턱(312)이 루프사이드패널(200)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걸림 고정되어 설치의 안정성을 높인다.
사이드에어백(100)은 확장부(331)을 포함한 지지판(330)과 구속부재(320) 사이에 고정되고, 측면 충돌시 사이드에어백(100)의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은 헤드라이너(800)를 열고 차내로 전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330)의 끝단부에는 아래쪽으로 절곡된 유도부(332)를 형성하는데, 상기 유도부(332)에 의해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루프사이드패널(200)과 헤드라이너(800) 사이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a) 내지 도 3(c)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이를 루프사이드패널(20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10)와, 고정부재(310)에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되는 지지판(330)과, 고정부재(310) 표면에 돌출 형성된 구속부재(3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10)는 루프사이드패널(200)에 장착시 볼트가 체결되는 설치홀(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홀(311) 양쪽에는 사각 홀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홀의 일측에 고정턱(312)을 절곡되게 형성한다.
또한, 설치홀(311)의 하단에는 지지판(330) 표면에 돌출 형성된 구속부재(320)가 있다. 이는 사이드에어백(100)의 사이드에어백쿠션(120) 전개시 상측으로 분산되는 힘을 구속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헤드라이너(800)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하고, 사이드에어백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다.
여기서, 고정부재(310) 하단부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절곡된 지지판(330)이 연결 형성되어있고, 상기 지지판(330)에는 인플레이터가 있는 방향 혹은 양측면으로 연장된 확장부(331)가 있어 에어백 쿠션의 순차적 전개를 돕는다. (도3b, 도3c)
한편, 지지판(330)의 단부에는 유도부(332)가 대략 직각 되게 절곡 형성되어 있어, 사이드에어백(100) 전개시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헤드라이너를(800) 열고 차 내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센터필러의 안쪽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10) 표면에 돌출 형성된 구속부재(320)는 양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구속연장부(321)를 포함하여 위쪽으로의 힘의 분산을 보다 용이하게 구속하고, 도 4(b)와 같이 지지판(330) 양측면에 확장부(331)를 포함하여 사이드에어백(100) 전개시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센터필러(60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재(320)의 측면으로 절곡된 걸림부(322)가 형성되어 사이드에어백(100)을 고정하고, 이는 사이드에어백쿠션(120) 전개시 헤드라이너 방향으로 팽창되도록 유도한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를 갖는 사이드에어백의 전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 충격 강도에 따른 센서의 신호에 따라 사이드에어백쿠션(120) 속에 압축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310) 표면에 돌출 형성된 구속부(320)는 위쪽으로 전개되는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을 구속하여 전개되는 힘의 분산을 막아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헤드라이너(800)를 밀어 열고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전개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센터필러(600) 부근에서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팽창하기 전, 가이드 플레이트(300)가 갖는 확장부(331)에 의해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차의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센터필러(600)와의 간섭을 없애 순차적인 전개에 도움을 준다.
또한, 유도부(332)는 사이드에어백(100)의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센터필러(600)의 내부로 전개되는것을 막고, 센터필러(600) 끝단부와 간섭 없이 차 내로 전개 되도록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하면, 사이드에어백쿠션이 상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구속하여 사이드에어백쿠션 전개시 필요한 힘이 분산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헤드라이너 열고 전개되도록 유도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가이드 플레이트의 확장부가 사이드에어백쿠션 전개시 센터필러와의 간섭이 없도록 미리 방향을 유도하여 사이드에어백쿠션의 순차적 전개가 용이하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유도부에 의해 차 내로 전개되도록 하여 센터필러 내측으로 하향 전개되지 않아 높은 신뢰성을 가진 사이드에어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이드에어백 장착시 구속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어 원가 절감 및 작업시간이 단축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9)

  1. 볼트가 체결되는 설치홀(311)을 갖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사이드에어백쿠션(120)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지지판(330)과,
    상기 고정부재(310)의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구속부재(3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330)과 구속부재(320) 사이에 사이드에어백(10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320)는 구속부재(320)의 일측면에 인플레이터(400)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구속연장부(3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320)의 양측면에 구속연장부(321)가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30)의 일 측면으로만 연장 형성된 확장부(3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30)의 양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확장부(3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320) 선단에 절곡 형성된 걸림부(322)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320) 선단에 절곡 형성된 걸림부(322)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30) 선단에 절곡 형성된 유도부(332)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30) 선단에 절곡 형성된 유도부(332)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KR1020060047522A 2006-05-26 2006-05-26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KR10077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522A KR100776020B1 (ko) 2006-05-26 2006-05-26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522A KR100776020B1 (ko) 2006-05-26 2006-05-26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487U Division KR200420470Y1 (ko) 2006-04-04 2006-04-19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661A KR20070103661A (ko) 2007-10-24
KR100776020B1 true KR100776020B1 (ko) 2007-11-16

Family

ID=3881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522A KR100776020B1 (ko) 2006-05-26 2006-05-26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815B1 (ko) * 2013-06-19 2016-04-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커튼 에어백 마운팅 브래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969A (ja) * 2003-05-27 2004-12-16 Nippon Plast Co Ltd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969A (ja) * 2003-05-27 2004-12-16 Nippon Plast Co Ltd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35196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815B1 (ko) * 2013-06-19 2016-04-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커튼 에어백 마운팅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661A (ko)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754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用案内プレート
JP523051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ーバックガイドプレート
KR100747861B1 (ko) 커튼에어백의 프론트 필라트림 구조
KR20190019195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JP3137587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6294952B2 (ja) Icのための二重折りにして巻かれたクッション
JPWO2013099036A1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100633415B1 (ko) 차량 탑승자의 머리 보호를 위한 커튼형 에어백 장치
KR20080042612A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JP6056695B2 (ja) 車両用センター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08137629A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
KR200418768Y1 (ko) 사이드 에어백용 안내 플레이트
KR10064000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유도구조
KR100776020B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KR200418224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클립
KR200420470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KR200420465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KR101081701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057973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필라 트림 결합구조
KR100745636B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 홀더
US11305721B2 (en) Curtain airbag system of vehicle
KR200420483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브라켓
KR100787672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KR200420466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 홀더
KR10094693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