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195A -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195A
KR20190019195A KR1020197001905A KR20197001905A KR20190019195A KR 20190019195 A KR20190019195 A KR 20190019195A KR 1020197001905 A KR1020197001905 A KR 1020197001905A KR 20197001905 A KR20197001905 A KR 20197001905A KR 20190019195 A KR20190019195 A KR 20190019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airbag
passenger
inflate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티앙 가르니에
기욤 알렝스파쉬
파브리스 들로네
율레스 호우에소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9001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 프레임(24)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으며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보호하도록 설계되는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장치(10)는 가스 발생기 및 에어백 쿠션(30)을 포함하고, 가스 발생기 및 에어백 쿠션(30)은 서로 연결되며, 에어백 장치(10)는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다. 에어백 장치(10)는 그 제1 단(42)에 의해 에어백 쿠션(30)의 중심 영역(32)에 부착되는 제1 견인 요소(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본 발명은 좌석 프레임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으며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보호하도록 설계되는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에어백 장치는 추가적인 보호 시스템으로서 현대의 자동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운전자를 위한 보호 시스템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자의 바로 앞의 스티어링 휠 내에 배치된다. 또한, 에어백 장치는 승객을 위한 보호 시스템으로서도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 앞좌석 사물함 가까이에서 조수석 앞의 대시보드 내에 배치된다. 또한, 운전석 및 조수석 앞의 대시보드의 하부 영역에 에어백 장치를 부착하여 사고 발생 시 운전자 및 승객의 무릎과 아래쪽 다리를 보호하는 것이 알려진 관행이다.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적인 보조 보호 시스템으로서 에어백 장치가 또한 자동차의 승객의 횡방향 보호에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의 등받이의 외측 대향측 영역에 에어백 장치가 장착되거나 사이드 윈도우 위의 실내의 루프 영역에 에어백 장치가 배치되어 사고 발생 시 커튼과 같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 자동차의 승객을 보호한다.
이러한 알려진 에어백 장치는 다양한 크기 및 실시예로 사용 가능하며, 차량 내부의 특정의 의도된 장착 장소 및/또는 의도된 사용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좌석 프레임의 미리 특정된 부분에 부착되는 자동차의 승객의 횡방향 보호를 위한 에어백 장치가 DE 10 2009 044 734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려진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모듈과, 에어백 모듈 내에 접혀 배치되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한다. 에어백 모듈은 볼트에 의해 좌석 프레임에 체결되며, 그 제1 단을 통해 에어백 쿠션의 미리 특정된 부분에 결합되고 그 제2 단을 통해 볼트에 결합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브래킷은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미리 특정된 위치에서 미리 특정된 길이로 에어백 쿠션이 펼쳐질 수 있게 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최근, (특히, 자동차 안전을 담당하는 관청에서 공표한 보다 엄격한 안전 규정으로 인해) 자동차 내의 안전 시스템의 요건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자동차 안전을 담당하는 관청으로부터 자동차에 대한 최상 등급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에는 소위 "FCA"(전방 중심 에어백(Front Center Airbag))를 자동차에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FCA는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의 차량의 중심,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좌석에 대향하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등받이의 횡방향 영역에 위치되며, 에어백 쿠션이 펼쳐질 때 측면 충격 발생 시 이러한 좌석에 있는 사람의 옆구리 또는 머리를 보호한다.
그러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서의 차량의 중심에 있는 FCA의 위치로 인하여, FCA는 팽창될 때 차체에 지지되지 않으므로 횡방향 강성이 적다. 따라서, 알려진 FCA는 제한된 횡방향 보유 능력을 가질 뿐이다.
또한, 좌석의 주어진 기하학적 구조 및 설치 공간의 결과적인 한계로 인해, 좌석의 상부 횡방향 영역 및 머리받침에 FCA용의 에어백 모듈을 위한 충분한 설치 공간이 없다. 따라서, 등받이의 하측 영역에서만 충분한 설치 공간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등받이의 하측 영역에서만 FCA용 에어백 모듈이 간섭 없이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등받이의 하부 횡방향 영역에서의 에어백 모듈의 배치는 다수의 단점을 갖는다.
종래의 에어백 모듈은 보통 대칭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가스 발생기가 중심에 배치되고 에어백 쿠션이 중심을 향하여 대칭으로 접히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백 모듈이 전개되면, 에어백 쿠션도 이에 따라 대칭으로 팽창되는데, 즉, 에어백 쿠션이 가스 발생기의 위아래에서 등분하여 펼쳐져 에어백 쿠션에 대한 안정적인 위치 결정 거동을 생성한다. 이 때, 종래의 에어백 모듈이 종래의 FCA용 에어백 쿠션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라면, 사람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펼쳐지고/펼쳐지거나 팽창된 상태에서 등받이의 하부 횡방향 영역에서의 에어백 모듈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석의 머리받침 위까지 도달하여야 하는 특대형 에어백 쿠션이 사용되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특대형 에어백 쿠션은 접힌 상태에서도 큰 체적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등받이의 하부 횡방향 영역에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체적은 제한되므로, 특대형 에어백 쿠션의 증가된 체적으로 인해 특대형 에어백 쿠션의 설치 중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경우의 에어백 쿠션이 가스 발생기를 향하여 대칭으로 접혀지기 때문에, 특대형 에어백 쿠션의 동등하게 큰 부분이 하방으로 펼쳐지고 팽창된다. 그러나, 바닥을 향해서는, 2개의 좌석 사이의 공간이 트랜스미션 터널 및/또는 중심 콘솔에 의해 제한되므로, 특대형 에어백 쿠션의 하부가 적절하게 펼쳐질 수 없다. 그러나, 이는 특대형 에어백 쿠션의 상부의 펼쳐짐 및 머리에 대한 위치 결정에 영향을 미쳐, 이 경우에 있어서의 안전한 작동을 확보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 가스 발생기가 전개되고 가스가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킬 때 에어백 쿠션이 실질적으로 비대칭으로 가스 발생기로부터 상방으로 펼쳐지도록 에어백 쿠션을 접어 이를 인플레이터에 부착하는 관행이 알려져 있다.
한편으로는, 이는, 접힐 때, 보다 적은 체적을 필요로 하는 보다 작은 에어백 쿠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에어백 장치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체적이 있는 좌석 등받이의 하부 횡방향 영역에 에어백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중심 콘솔 및/또는 트랜스미션 터널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좌석 프레임으로의 에어백 쿠션의 부착 지점으로부터 에어백 쿠션의 헤드부까지의 거리가 크고 에어백 쿠션이 비대칭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이 경우의 에어백 쿠션은 불안정적인 위치 결정 거동을 가지며,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헤드부가 꼬일 수 있고/있거나 의도된 사용 위치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특히, 에어백 쿠션이 상방으로 그리고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전방으로(즉, 가스 발생기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이 에어백 쿠션의 헤드부를 의도된 사용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후방 꼬임을 겪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앞좌석의 승객의 머리가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쿠션의 후방 꼬임은 주로 에어백 쿠션의 폭발적인 급격한 팽창 및 완전한 팽창 후의 후속적인 수축에 의해 발생한다.
위치 결정 거동을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면, GB 2,357,999 및 US 2012/0049498로부터) 승객에 대향하는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서 스트랩 형태의 견인 요소의 일단을 에어백 쿠션에 부착하고 견인 요소의 타단을 좌석 프레임에 부착하는 관행이 알려져 있다. 견인 요소가 승객에 의해 이러한 에어백 쿠션의 측면으로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여 에어백 쿠션을 의도된 위치에 유지하기 때문에, 이는 에어백 쿠션의 위치 결정 거동 및 강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견인 요소가 승객에 대향하는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승객이 보다 용이하게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또한 에어백 쿠션의 보유 용량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 기술로부터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신뢰할 수 있게 보호하고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보호하는,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이며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신뢰할 수 있게 보호하고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에어백 장치 및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에어백 쿠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요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는 좌석 프레임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으며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에어백 장치는 서로 연결되는 가스 발생기 및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며, 에어백 장치는 인접한 좌석에 대향하는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그 제1 단을 통해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에 체결되는 제1 견인 요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때 에어백 쿠션을 의도된 위치에 신뢰할 수 있게 유지하고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그런 다음, 한편으로는 차량 내에서 두 명의 승객이 탑승할 때 인접한 좌석에 탑승한 승객들의 머리의 충돌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한다. 자동차 내에서 단지 한 명의 승객이 탑승한 경우라면,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해 승객은 좌석에 신뢰할 수 있게 구속된다. 특히, 측면 충격 시 차량이 좌석의 반대측에 충돌하는 경우라면, 이 경우, 승객이 좌석에 신뢰할 수 있게 구속되므로, 이는 승객에게 증가된 안전성을 제공한다.
견인 요소가 승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따라,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나기 시작하는 것도 방지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및 본 발명에 따라, 제1 견인 요소가, 그 제1 단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의 후방부에서 부착된다. 특히 유리한 이 경우에 고려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해,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가장 큰 부분이 제1 견인 요소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승객을 안전하게 수용하고/수용하거나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게 붙잡기에 충분한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는 제1 견인 요소가 승객 및 좌석의 등받이 사이에 배치되어, 이에 따라, 에어백 장치가 전개될 때, 제1 견인 요소가 승객 및 팽창된 에어백 쿠션 장치 사이에서 이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한 장치에서, 제1 견인 요소는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키는 사고에 의해 발생되는 승객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는 승객이 제1 견인 요소를 따라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견인 요소가 유리하게는 그 제1 단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의 후방부에서 유지 수단 가까이에 체결되는 경우, 에어백 장치의 기능적인 신뢰성 및 에어백 쿠션의 강성이 더 개선된다. 이러한 유지 수단은, 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 내에 배치되며 에어백 쿠션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시 에어백 쿠션의 측면을 서로로부터 미리 특정된 거리로 배치하여, 이에 따라,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형상 및 강성을 결정하는 스트랩일 수 있다. 제1 견인 요소의 제1 단을 이러한 유지 수단 가까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강성 및 부하 용량이 상당히 개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기능적인 신뢰성이 개선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견인 요소가 유리하게는, 그 제2 단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반대하며 차량의 외측에 대향하는 좌석 프레임의 제2 측에 배치되는 경우, 에어백 장치의 기능적인 신뢰성 및 에어백 쿠션의 강성이 더 개선된다. 그러므로, 제1 견인 요소는 의도된 위치에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유지할 수 있고, 측면 충격 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 내로 가압될 때 발생하는 강한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측면 충격 시 차량이 좌석에 반대하는 측면과 충돌하고,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방향에 있어 측면 충격으로부터 야기되는 힘에 의해 승객이 가압되는 경우라면, 이는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는 에어백 쿠션을 횡방향으로 안정화시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이 매달려 개방하거나(hinging open)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은, 승객이 에어백 쿠션 내로 가압되는 경우에도, 좌석에 횡방향으로 인접한, 의도된 사용 영역 내의 위치에 유지되어, 신뢰성 및 기능성이 더 개선된다. 팽창된 에어백 쿠션이 차체에 지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횡방향 강성이 이에 따라 상당히 증가된다.
에어백 장치의 기능적인 신뢰성을 더 개선하고 승객이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한 전개에 따르면,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고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이 요입된 중심 영역을 형성한다. 에어백 쿠션의 팽창을 일으키는 사고에 의해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 내로 가압될 때, 본 발명의 유리한 요입된 중심 영역은 승객의 어깨를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승객은 그런 다음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전방에 신뢰할 수 있게 유지되며,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팽창되지 않은 에어백 쿠션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는,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에어백 쿠션의 주위 영역에 비하여 덜 팽창되어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의 원하는 두께를 형성하는 에어백 쿠션의 일부분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본 발명의 개시 및 범위에 포함되는 이러한 디자인에 요구되는 에어백 쿠션의 구성 디자인을 인식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하게는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고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에어백 쿠션의 전방 영역이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에 비하여 두껍게 제공된다. 이는 에어백 장치의 기능적인 신뢰성을 더 개선하며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한다. 에어백 쿠션의 두꺼운 전방 영역은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에서 어깨로 승객을 신뢰할 수 있게 유지하여,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에어백 장치는 각각 그 제1 단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전방 영역에 체결되는 제2 견인 요소 및 제3 견인 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특히,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제2 견인 요소 및 제3 견인 요소가 각각 그 제2 단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배치되고 체결될 수 있는 경우라면, 에어백 쿠션은 신뢰할 수 있게 작동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이 신뢰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좌석 프레임에 부착되고 의도된 위치에 유지되어 에어백 장치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2 견인 요소 및 제3 견인 요소가 승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따라,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고/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유리한 전개에 따르면, 제2 견인 요소가 제1 견인 요소 위에 배치되고, 제3 견인 요소가 제1 견인 요소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유리한 전개에 의해, 제2 견인 요소가 중심 영역 위에 배치되고, 제3 견인 요소가 중심 영역 아래에 배치되어, 중심 영역이 덮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승객의 어깨를 신뢰할 수 있게 수용하여,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기능적인 신뢰성을 확보한다. "위(above)"라는 용어는 에어백 장치에서의 에어백 쿠션의 설치 위치를 지칭한다. 설치 위치에서, 에어백 쿠션은 차량 바닥을 향하여 하방으로 배향되는 측면 및 차량 루프를 향하여 상방으로 배향되는 측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위(above)" 및 "아래(below)"라는 용어는, 당업자에 대해, 제2 및 제3 견인 요소 및 제1 견인 요소의 배치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한다. 또한, "중심 영역", "전방 영역", "하부 영역" 등과 같은 지정은 이에 따라 당업자에게 충분의 정의된다.
기능적으로, 제2 견인 요소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상부의 강성을 생성하므로, 에어백 장치가 외부 사고로 인해 전개되고 승객이 외부 사고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향하여 이동할 때, 승객의 머리가 끼이고/끼이거나 유지된다. 제1 견인 요소 및 제3 견인 요소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중심 및 하부의 강성을 생성하여, 외부 사고로 인해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고 외부 사고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향하여 승객이 이동할 때, 승객의 몸체가 끼이고/끼이거나 유지된다.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과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을 구비하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형상은 팽창된 에어백으로부터 승객이 미끄러져 벗어나거나 슬라이딩되어 벗어나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면서 승객의 머리, 흉곽 및 복부를 보호하는 데에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예를 들면, 알려진 방식으로 가스 발생기에 배치된 장착 볼트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부착될 수 있는 한편, 제1, 제2 및 제3 견인 요소의 제1 단은, 예를 들면, 알려진 방식으로 에어백 쿠션에 재봉될 수 있다.
제2 상부 견인 요소의 제2 단도 알려진 방식으로, 예를 들면, 가스 발생기의 체결 볼트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체결될 수 있는 한편, 제3 하부 견인 요소의 제2 단은, 예를 들면, 스크류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 수단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3 하부 견인 요소의 제2 단은 또한 가스 발생기의 체결 볼트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견인 요소의 제2 단은, 예를 들면, 스크류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 수단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2 반대측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본 발명의 개시 및 범위에 포함되는 적절한 장착 옵션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견인 요소가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사용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운동(kinematics)을 전방으로 배향시켜, 승객의 결과적인 변위 및/또는 이동에 의해 승객이 속도 및/또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는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동시에,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쿠션은 좌석 프레임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으며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에어백 쿠션은 가스 발생기에 연결될 수 있고 인접한 좌석에 대향하는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에어백 쿠션은 그 제1 단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에 체결되는 제1 견인 요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전개에 따라 의도된 위치에 신뢰할 수 있게 유지되며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백 쿠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그런 다음, 한편으로는 차량 내에서 두 명의 승객이 탑승할 때 인접한 좌석에 탑승한 승객들의 머리의 충돌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한다. 자동차 내에서 단지 한 명의 승객이 탑승한 경우라면,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해 승객은 좌석에 신뢰할 수 있게 구속된다. 특히, 측면 충격 시 차량이 좌석의 반대측에 충돌하는 경우라면, 이 경우, 승객이 좌석에 신뢰할 수 있게 구속되므로, 이는 승객에게 증가된 안전성을 제공한다.
견인 요소가 승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따라,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나기 시작하는 것도 방지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및 본 발명에 따라, 제1 견인 요소가, 그 제1 단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의 후방부에서 부착된다. 특히 유리한 이 경우에 고려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해,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가장 큰 부분이 제1 견인 요소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승객을 안전하게 수용하고/수용하거나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게 붙잡기에 충분한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는 제1 견인 요소가 승객 및 좌석의 등받이 사이에 배치되어, 이에 따라, 제1 견인 요소가 승객 및 팽창된 에어백 쿠션 장치 사이에서 이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한 장치에서, 제1 견인 요소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을 전개시키는 사고에 의해 발생되는 승객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는 승객이 제1 견인 요소를 따라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견인 요소가 유리하게는 그 제1 단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의 후방부에서 유지 수단 가까이에 체결되는 경우, 에어백 쿠션의 기능적인 신뢰성 및 에어백 쿠션의 강성이 더 개선된다. 이러한 유지 수단은, 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 내에 배치되며 에어백 쿠션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시 에어백 쿠션의 측면을 서로로부터 미리 특정된 거리로 배향시켜, 이에 따라,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형상 및 강성을 결정하는 스트랩일 수 있다.
제1 견인 요소의 제1 단을 이러한 유지 수단 가까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강성 및 부하 용량이 상당히 개선되며, 이에 따라, 기능적인 신뢰성이 개선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견인 요소가 유리하게는, 그 제2 단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반대하며 차량의 외측에 대향하는 좌석 프레임의 제2 측에 배치되는 경우, 기능적인 신뢰성 및 에어백 쿠션의 강성이 더 개선된다. 그러므로, 제1 견인 요소는 의도된 위치에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유지할 수 있고, 측면 충격 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 내로 가압될 때 발생하는 강한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측면 충격 시 차량이 좌석에 반대하는 측면과 충돌하고,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방향에 있어 측면 충격으로부터 야기되는 힘에 의해 승객이 가압되는 경우라면, 이는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는 에어백 쿠션을 횡방향으로 안정화시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이 매달려 개방하거나(hinging open)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은, 승객이 에어백 쿠션 내로 가압되는 경우에도, 좌석에 횡방향으로 인접한, 의도된 사용 영역 내의 위치에 유지되어, 신뢰성 및 기능성이 더 개선된다.
에어백 쿠션의 기능적인 신뢰성을 더 개선하고 승객이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한 전개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이 요입된 중심 영역을 형성한다. 에어백 쿠션의 팽창을 일으키는 사고에 의해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 내로 가압될 때, 본 발명의 유리한 요입된 중심 영역은 승객의 어깨를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승객은 그런 다음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전방에 신뢰할 수 있게 유지되며,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팽창되지 않은 에어백 쿠션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는,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에어백 쿠션의 주위 영역에 비하여 덜 팽창되어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의 원하는 두께를 형성하는 에어백 쿠션의 일부분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본 발명의 개시 및 범위에 포함되는 이러한 디자인에 요구되는 에어백 쿠션의 구성 디자인을 인식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하게는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에어백 쿠션의 전방 영역이 에어백 쿠션의 중심 영역에 비하여 두껍게 제공된다. 이는 에어백 쿠션의 기능적인 신뢰성을 더 개선하며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한다. 에어백 쿠션의 두꺼운 전방 영역은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에서 어깨로 승객을 신뢰할 수 있게 유지하여,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에어백 쿠션은 각각 그 제1 단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전방 영역에 체결되는 제2 견인 요소 및 제3 견인 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특히,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제2 견인 요소 및 제3 견인 요소가 각각 그 제2 단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배치되고 체결될 수 있는 경우라면, 에어백 쿠션은 신뢰할 수 있게 작동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이 신뢰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좌석 프레임에 부착되고 의도된 위치에 유지되어 에어백 쿠션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2 견인 요소 및 제3 견인 요소가 승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따라,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고/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유리한 전개에 따르면, 제2 견인 요소가 제1 견인 요소 위에 배치되고, 제3 견인 요소가 제1 견인 요소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유리한 전개에 의해, 제2 견인 요소가 중심 영역 위에 배치되고, 제3 견인 요소가 중심 영역 아래에 배치되어, 중심 영역이 덮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승객의 어깨를 신뢰할 수 있게 수용하여,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기능적인 신뢰성을 확보한다.
"위(above)"라는 용어는 에어백 쿠션의 설치 위치를 지칭한다. 설치 위치에서, 에어백 쿠션은 차량 바닥을 향하여 하방으로 배향되는 측면 및 차량 루프를 향하여 상방으로 배향되는 측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위(above)" 및 "아래(below)"라는 용어는, 당업자에 대해, 제2 및 제3 견인 요소 및 제1 견인 요소의 배치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한다. 또한, "중심 영역", "전방 영역", "하부 영역" 등과 같은 지정은 이에 따라 당업자에게 충분의 정의된다.
기능적으로, 제2 견인 요소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상부의 강성을 생성하므로, 에어백 쿠션이 외부 사고로 인해 전개되고 승객이 외부 사고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향하여 이동할 때, 승객의 머리가 끼이고/끼이거나 유지된다. 제1 견인 요소 및 제3 견인 요소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중심 및 하부의 강성을 생성하여, 외부 사고로 인해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고 외부 사고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향하여 승객이 이동할 때, 승객의 몸체가 끼이고/끼이거나 유지된다.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과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을 구비하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형상은 팽창된 에어백으로부터 승객이 미끄러져 벗어나거나 슬라이딩되어 벗어나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면서 승객의 머리, 흉곽 및 복부를 보호하는 데에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쿠션은, 예를 들면, 알려진 방식으로 가스 발생기에 배치된 장착 볼트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부착될 수 있는 한편, 제1, 제2 및 제3 견인 요소의 제1 단은, 예를 들면, 알려진 방식으로 에어백 쿠션에 재봉될 수 있다. 제2 상부 견인 요소의 제2 단도 알려진 방식으로, 예를 들면, 가스 발생기의 체결 볼트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체결될 수 있는 한편, 제3 하부 견인 요소의 제2 단은, 예를 들면, 스크류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 수단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3 하부 견인 요소의 제2 단은 또한 가스 발생기의 체결 볼트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1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견인 요소의 제2 단은, 예를 들면, 스크류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 수단에 의해, 좌석 프레임의 제2 반대측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본 발명의 개시 및 범위에 포함되는 적절한 장착 옵션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견인 요소가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사용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운동(kinematics)을 전방으로 배향시켜, 승객의 결과적인 변위 및/또는 이동에 의해 승객이 속도 및/또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는 에어백 쿠션이 제공된다. 동시에, 요입된 중심 영역 및/또는 어깨 영역은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및 특징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등받이(22)에 배치된 에어백 장치(10)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운전석(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운전석(20) 내부의 개략도로서, 에어백 장치(10)를 구비하는 좌석 프레임(24) 및 좌석 프레임(24)에 부착되는 견인 요소(40, 50, 60)를 도시한다.
도 3은 좌석 프레임(24)과 함께 에어백 장치(1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은 좌석 프레임(24)과 함께 에어백 장치(1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에어백 장치(10)의 기능성의 개략도와 함께 도 4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등받이(22)에 배치된 에어백 장치(10)가 전개된 자동차의 운전석(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에어백 장치(10)는 에어백 쿠션(30)과, 도시된 형상으로 에어백 쿠션(30)을 팽창시킨 본원에는 도시되지 않은 가스 발생기를 구비한다. 본원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30)은 소위 "FCA"(전방 중심 에어백)이며, 인접한 좌석에 대향하는 운전석(미도시)의 등받이의 횡방향 영역에서 운전석 및 조수석(미도시) 사이에서 차량의 중심에 위치되며, 측면 충격 발생 시 이들 좌석에 있는 사람의 옆구리 및 머리를 보호한다.
에어백 쿠션(30)은 승객의 어깨를 수용하는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과,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으로부터 어깨가 미끄러져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36)을 구비한다.
이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10)의 작동 모드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그 내부에서 등받이(22)의 좌석 프레임(24)이 드러나는 도 1의 운전석(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되지 않은 인접한 좌석에 대향하는 제1 측(26)에서 에어백 장치(10)가 좌석 프레임(24)에 부착되고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10)는, 이 실시예에서 알려진 방식으로, 가스 발생기 장착 볼트(미도시)에 의해,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부착된다.
에어백 장치(10)는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과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36)을 갖는 에어백 쿠션(30)을 구비한다. 제1 견인 요소(40)는, 그 제1 단(42)에 의해,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의 후방부(34)에서 부착된다. 제1 견인 요소(40)는, 그 제2 단(44)에 의해, 차량 외부에 대향하는 좌석 프레임(24)의 제2 반대측(28)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에 의해, 제1 견인 요소(40)의 제2 단(44)이 좌석 프레임(24)의 제2 측(28)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견인 요소(40)는 의도된 위치에서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을 유지할 수 있고, 측면 충격 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30) 내로 가압될 때 발생하는 강한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측면 충격 시 차량이 좌석(20)에 반대하는 측면과 충돌하고,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의 방향에 있어 측면 충격으로부터 야기되는 힘에 의해 승객이 가압되는 경우라면, 이는 특히 유리하다.
또한, 제3 견인 요소(50)가, 그 제1 단(52)에 의해,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에 부착되고, 그 제2 단(54)에 의해,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가스 발생기의 체결 볼트에 의해, 제2 견인 요소(50)의 제2 단(54)이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부착된다.
최종적으로, 제3 견인 요소(60)가, 그 제1 단(62)에 의해,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에 부착되고, 그 제2 단(64)에 의해,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에 의해, 제3 견인 요소(60)의 제2 단(64)이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이 신뢰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좌석 프레임(30)에 부착되고 의도된 위치에 유지되어 에어백 쿠션(24)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확보한다.
기능적으로, 제2 견인 요소(50)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의 상부의 강성을 생성하므로, 에어백 쿠션(30)이 외부 사고로 인해 전개되고 승객이 외부 사고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을 향하여 이동할 때, 승객의 머리가 끼이고/끼이거나 유지된다. 제1 견인 요소(40) 및 제3 견인 요소(60)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의 중심 및 하부의 강성을 생성하여, 외부 사고로 인해 에어백 쿠션(30)이 전개되고 외부 사고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을 향하여 승객이 이동할 때, 승객의 몸체가 끼이고/끼이거나 유지된다.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과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36)을 구비하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의 형상은 팽창된 에어백(30)으로부터 승객이 미끄러져 벗어나거나 슬라이딩되어 벗어나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면서 승객의 머리, 흉곽 및 복부를 보호하는 데에 우수하다.
도 3은 에어백 장치(10)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단면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볼 때의 도면을 도시한다.
에어백 장치(10)는 에어백 쿠션(30)을 포함하며, 에어백 쿠션(30)은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과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36)을 구비한다. 제1 견인 요소(40)는, 그 제1 단(42)에 의해,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의 후방부(34)에서 부착된다. 제1 견인 요소(40)는, 제2 단(44)에 의해, 좌석 프레임(24)의 제2 측(28)에 부착된다.
또한, 제3 견인 요소(60)는, 그 제1 단(62)에 의해,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에 부착되고, 그 제2 단(64)에 의해,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부착된다.
본원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은, 팽창되지 않은 에어백 쿠션(30)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즉, 이 영역에서, 에어백 쿠션(30)의 2개의 측면이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놓이며, (예를 들면, 융착에 의해) 그 에지 영역에서 함께 접합되어, 에어백 쿠션(30)의 인접한 팽창 영역으로부터의 가스가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 내로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에어백 쿠션(30)의 주위 영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요입되고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36)에 대하여 특히 요입되는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을 결과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은 에어백 쿠션(30)의 팽창을 일으키는 사고에 의해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30) 내로 가압될 때 승객의 어깨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객은, 이에 따라,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의 전방에서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에 의해 신뢰할 수 있게 유지되며,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으로부터 슬라이딩되거나 미끄러져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30)의 유리한 두꺼운 전방 영역(36)은 요입된 중심 영역(38) 및/또는 어깨 영역(30)에서 어깨로 승객을 신뢰할 수 있게 유지하여,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32)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지 않는다.
도 4은 에어백 장치(10)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단면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볼 때의 도면을 도시한다. 에어백 장치(10)는 에어백 쿠션(30)을 포함하며, 에어백 쿠션(30)은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과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36)을 구비한다. 제1 견인 요소(40)는, 제1 단(42)에 의해, 유지 수단(39) 가까이에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의 후방부(34)에서 부착된다.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39)이 에어백 쿠션(30)의 내측에 배치되고 에어백 쿠션(30)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스트랩으로서 설계되어, 에어백 쿠션(30)의 팽창 시 에어백 쿠션(30)의 측면을 서로로부터 미리 특정된 거리로 배향시켜,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의 형상 및 강성을 결정한다. 제1 견인 요소(40)는, 제2 단(44)에 의해, 좌석 프레임(24)의 제2 측(28)에 부착된다.
또한, 제3 견인 요소(60)는, 그 제1 단(62)에 의해,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에 부착되고, 그 제2 단(64)에 의해,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부착된다.
본원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10)의 제2 실시예에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은,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이와 마찬가지로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30)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9)의 팽창 및 이에 따른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9)의 외측으로의 팽창은 유지 수단(38)에 의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중심 영역(38) 및/또는 어깨 영역(32)의 미리 특정된 형상을 형성한다. 이 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에어백 쿠션(30)의 주위 영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요입되고 보다 두꺼운 전방 영역(36)에 대하여 특히 요입되는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을 결과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은 에어백 쿠션(30)의 팽창을 일으키는 사고에 의해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30) 내로 가압될 때 승객의 어깨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객은, 이에 따라,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의 전방에서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에 의해 신뢰할 수 있게 유지되며,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으로부터 슬라이딩되거나 미끄러져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30)의 유리한 두꺼운 전방 영역(36)은 요입된 중심 영역(38) 및/또는 어깨 영역(30)에서 승객의 어깨를 신뢰할 수 있게 유지하여,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32)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여 벗어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10)의 작동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에어백 장치(10)의 작동 모드를 도시하기 위해 승객(7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도 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이 파선으로 도시된다. 부수적으로, 본원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며, 따라서, 다시 설명될 필요가 없다.
에어백 장치(10)를 전개시켜,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30)의 팽창을 일으키는 외부 사고로 힘 F가 승객(70)에게 가해진다. 화살표 및/또는 힘 방향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힘 F으로 인해, 승객(70)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을 향하여 이동하여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에 끼이게 된다.
이 경우, 승객(70)의 어깨가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 내로 도달하여 거기에서 끼이고 유지된다. 팽창된 에어백 쿠션(30) 및/또는 요입된 어깨 영역(38)에 의해, 횡방향 및/또는 힘 방향 F로의 승객(70)의 계속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승객(70)에 의해 에어백 쿠션(30)으로 가해지는 힘은 제1 견인 요소(40)에 의해 흡수되며 제1 견인 요소(40)를 통해 좌석 프레임(24)의 제2 측(28) 내부로 향한다.
또한, 승객(70)의 전방 이동(즉, 팽창된 에어백 쿠션(30)으로부터 벗어나는 승객(70)의 미끄러짐 또는 슬라이딩)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10)에 의해 방지된다.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이 요입된 중심 영역(32) 및/또는 어깨 영역(38)에 비하여 두껍기 때문에 승객(70)의 어깨가 전방의 보다 두꺼운 부분(36)에 놓여 승객(70)의 어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 경우, 승객(70)에 의해 에어백 쿠션(30)으로 가해지는 힘은 제2 및 제3 견인 요소(50, 60)에 의해 흡수되며 제2 및 제3 견인 요소(50, 60)를 통해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 내부로 향한다.
10: 에어백 장치
20: 좌석
22: 등받이
24: 좌석 프레임
26: 제1 측
28: 제2 측
30: 에어백 쿠션
32: 중심 영역
34: 후방부
36: 전방 영역
38: 어깨 영역
39: 유지 수단
40: 제1 견인 요소
42: 제1 단
44: 제2 단
50: 제2 견인 요소
52: 제1 단
54: 제2 단
60: 제3 견인 요소
62: 제1 단
64: 제2 단
70: 승객
A: A-A 도
F: 힘 방향

Claims (18)

  1. 좌석 프레임(24)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고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보호하도록 설계되는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로서,
    가스 발생기;
    에어백 쿠션(30)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 발생기 및 상기 에어백 쿠션(30)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 장치(10)는 상기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에어백 장치(10)는 그 제1 단(42)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중심 영역(32)에 부착되는 제1 견인 요소(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요소(40)는, 그의 상기 제1 단(42)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상기 중심 영역(32)의 후방부(34)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요소(40)는, 그의 상기 제1 단(42)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상기 중심 영역(32)의 후방부(34)에서 상기 유지 수단(39) 가까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요소(40)는, 그 제2 단(44)에 의해, 상기 좌석 프레임(24)의 제2 반대측(28)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장치(10)가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상기 중심 영역(32)이 요입된 중심 영역(32)을 형성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30)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장치(10)가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상기 중심 영역(32)에 비하여 두껍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30)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장치(10)는 그 제1 단(52, 62)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에 각각 부착되는 제2 견인 요소(50) 및 제3 견인 요소(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견인 요소(50) 및 상기 제3 견인 요소(60)는 각각 그 제2 단(54, 64)에 의해 상기 좌석 프레임(24)의 상기 제1 측(26)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견인 요소(50)는 상기 제1 견인 요소(40)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견인 요소(60)는 상기 제1 견인 요소(40)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좌석 프레임(24)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고 측면 충격 또는 차량 전복 발생 시 승객의 머리 및 흉곽을 보호하도록 설계되는 자동차 에어백 장치(10)용 에어백 쿠션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30)은 상기 좌석 프레임(24)의 제1 측(26)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에어백 쿠션(30)은 그 제1 단(42)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중심 영역(32)에 부착되는 제1 견인 요소(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요소(40)는, 그의 상기 제1 단(42)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상기 중심 영역(32)의 후방부(34)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요소(40)는, 그의 상기 제1 단(42)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상기 중심 영역(32)의 후방부(34)에서 상기 유지 수단(39) 가까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요소(40)는, 그 제2 단(44)에 의해, 상기 좌석 프레임(24)의 제2 반대측(28)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상기 중심 영역(32)이 요입된 중심 영역(32)을 형성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30)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상기 중심 영역(32)에 비하여 두껍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30)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30)은 그 제1 단(52, 62)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영역(36)에 각각 부착되는 제2 견인 요소(50) 및 제3 견인 요소(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견인 요소(50) 및 상기 제3 견인 요소(60)는 각각 그 제2 단(54, 64)에 의해 상기 좌석 프레임(24)의 상기 제1 측(26)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견인 요소(50)는 상기 제1 견인 요소(40)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견인 요소(60)는 상기 제1 견인 요소(40)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
KR1020197001905A 2016-08-26 2017-08-25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KR201900191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10249.7 2016-08-26
DE102016010249.7A DE102016010249A1 (de) 2016-08-26 2016-08-26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PCT/EP2017/071419 WO2018037110A1 (de) 2016-08-26 2017-08-25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195A true KR20190019195A (ko) 2019-02-26

Family

ID=5969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905A KR20190019195A (ko) 2016-08-26 2017-08-25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0408B2 (ko)
EP (1) EP3504089B1 (ko)
JP (1) JP2019523171A (ko)
KR (1) KR20190019195A (ko)
DE (1) DE102016010249A1 (ko)
WO (1) WO20180371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168A (ko) * 2019-08-07 2022-03-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승차인 구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4350B (zh) * 2015-06-26 2021-01-12 奥托立夫开发公司 气囊组件及装有该气囊组件的车辆座椅
KR101708217B1 (ko) * 2015-10-29 2017-03-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781387B1 (ko) * 2016-04-15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807659B1 (ko) * 2016-07-28 2017-12-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DE102017202868B4 (de) * 2017-02-22 2022-11-1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Fahrzeugsitze für Kraftfahrzeuge
WO2019168887A1 (en) * 2018-03-01 2019-09-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WO2020036048A1 (ja) * 2018-08-14 2020-02-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0080747A1 (ko) * 2018-10-19 2020-04-2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10843654B2 (en) * 2019-04-26 2020-11-24 Autoliv Asp, Inc. Side airbag assembly
US11046280B2 (en) * 2019-07-22 2021-06-29 Autoliv Asp, Inc. Lateral occupant engagement cushions
CN112744177A (zh) * 2019-10-31 2021-05-0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和安全气囊组件
KR102387635B1 (ko) * 2020-05-12 2022-04-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10155255A (ko) * 2020-06-15 2021-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CN113002472B (zh) * 2021-03-17 2022-10-11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车辆座椅远端气囊装置
DE102021110217A1 (de) * 2021-04-22 2022-10-27 Zf Automotive Germany Gmbh Mittelgassack sowie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mit einem Mittelgassack
US20220388472A1 (en) * 2021-06-03 2022-12-08 Hyundai Mobis Co., Ltd. Seat airbag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2338B (en) * 1997-02-20 2001-03-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GB2357999B (en) 2000-01-05 2003-05-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JP5163975B2 (ja) * 2007-06-11 2013-03-1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509780B1 (ko) 2009-07-31 201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US8047564B2 (en) * 2009-09-02 2011-11-01 Tk Holdings Inc. Airbag
US8641090B2 (en) * 2010-08-16 2014-02-04 Tk Holdings Inc. Occupant safety system
US8360469B2 (en) 2010-08-27 2013-01-29 Tk Holdings Inc. Airbag system
US8282126B2 (en) 2010-10-13 2012-10-09 Tk Holding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JP6544743B2 (ja) * 2014-05-01 2019-07-17 ジョイソン セイフティ システムズ アクイジション エルエルシー 制御テザーを有する中央側面衝突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6179469B2 (ja) 2014-06-23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07749B2 (ja) * 2014-06-23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979933B1 (en) 2014-07-29 2018-06-20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ribag apparatus
EP2979934B1 (en) * 2014-07-29 2019-05-01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irbag apparatus
JP6131935B2 (ja) * 2014-12-03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781387B1 (ko) * 2016-04-15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168A (ko) * 2019-08-07 2022-03-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승차인 구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7110A1 (de) 2018-03-01
EP3504089A1 (de) 2019-07-03
JP2019523171A (ja) 2019-08-22
US20190225183A1 (en) 2019-07-25
DE102016010249A1 (de) 2018-03-01
EP3504089B1 (de) 2021-12-29
US10870408B2 (en)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195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CN109421650B (zh) 用于车辆的气囊和相关的车辆
US9902359B2 (en) Airbag apparatus
US11858450B2 (en) Roof-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498512B2 (en)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EP2546111A1 (en) Head Airbag
KR101230828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장치
CN111819113A (zh)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US8944461B2 (en) Airbag in privacy wall
EP3315364B1 (en) Airbag assembly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airbag assembly
JP2008037281A (ja) シート取付乗員拘束装置
US10787145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KR100831504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JP6056695B2 (ja) 車両用センター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433625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7178150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11718259B2 (en) Side airbag apparatus
CN112236337B (zh) 远侧安全气囊
US20170113643A1 (en) Motor vehicle
JP6803910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
KR101088293B1 (ko)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KR100776020B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KR100384031B1 (ko) 시트벨트 연동형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KR20080036390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장치
KR20090117421A (ko)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6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19

Effective date: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