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293B1 -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293B1
KR101088293B1 KR1020090063351A KR20090063351A KR101088293B1 KR 101088293 B1 KR101088293 B1 KR 101088293B1 KR 1020090063351 A KR1020090063351 A KR 1020090063351A KR 20090063351 A KR20090063351 A KR 20090063351A KR 101088293 B1 KR101088293 B1 KR 10108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airbag
vehicle
safety system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958A (ko
Inventor
유충렬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9006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2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개시된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은 차량의 A-필러의 일측단부에 배치되며, 공기팽창기, 전방유리 에어백, 및 상기 공기팽창기와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그 내부에 구비하는 에어백 저장부, 및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이 상기 차량 상에 전방유리의 내면을 따라 균일하게 팽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에어백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은 상기 전방유리의 내부면을 전체적으로 덮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 내부의 탑승자가 상기 전방유리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발생시에 차량 전방유리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에어백이 작동하면서 상기 전방유리의 내측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확대됨으로써 탑승자가 전방유리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결과를 방지하여 탑승자가 받는차량의 충돌 발생시에 전방유리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에어백, 전방유리, 차량, 필러, 충격, 충돌, 가이드 레일

Description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Vehicle Safety System having Air-bag Used In Front Glass}
본 발명은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방유리의 가장자리부에 에어백을 설치하고, 갑작스러운 차량의 충돌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에어백이 작동되어 전방유리의 내측을 덮도록 확대됨으로써 탑승자가 전방유리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결과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시판되는 차량을 보게되면 운전자 에어백은 기본으로 장착되고 조수석 에어백도 점점 기본으로 장착되는 경향을 보일 정도로 에어백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차량 탑승자의 전방 뿐만 아니라 측면의 도어에도 에어백이 추가로 장착되는 차량이 있을 정도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어 전방 충격시 인스트루먼트 패 널(INSTRUMENT PANEL)이나 전방 유리에 부딪히는 운전자나 앞좌석의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시스템과 에어백이 팽창 또는 전개되는 에어백 모듈로 구성되는바, 상기 충격감지 시스템은 감지장치, 배터리, 진단장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작동기체,팽창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시 충격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전기신호를 인플레이터(INFLATER)에 송신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인플레이터가 착화 또는 발화되어 상기 에어백이 팽창 또는 전개되고 나서 바로 팽창가스가 빠지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안면 및 상체를 보호한다. 또한 에어백은 운전석용, 조수석용, 또는 측방 보호용으로 구분되며, 운전자용은 핸들이나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내에 설치된 공기팽창기 근처에 접혀진 상태로 핸들 내에 장착되고, 조수석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또한 측방 보호용은 차량의 좌석 또는 도어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은 인체를 보호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입증되고 있지만, 전방유리를 통한 충격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보호해주는 측면에 있어서는 다소 미흡한 점이 지적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즉, 차량의 운행중에 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탑승자가 만약 안전벨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라고 한다면 전방유리에 인체의 헤드부가 직접적으로 충돌을 일으키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치명적인 상해를 가져올 위험성이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전방에서 미확인 물체가 갑자기 전방유리상으로 돌진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탑승자 에게 예기치 않은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의 충돌 발생시에 차량 전방유리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에어백이 작동하면서 상기 전방유리의 내측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확대됨으로써 탑승자가 전방유리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결과를 방지하여 탑승자가 받는 충격량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은 차량의 A-필러의 일측단부에 배치되며, 공기팽창기, 전방유리 에어백, 및 상기 공기팽창기와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그 내부에 구비하는 에어백 저장부, 및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이 상기 차량 상에 전방유리의 내면을 따라 균일하게 팽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에어백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은 상기 전방유리의 내부면을 전체적으로 덮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 내부의 탑승자가 상기 전방유리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방유리의 하부에는 에어백 연결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 연결모듈은 상기 전방유리 양측 하부의 상기 에어백 저장부 내에 압축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이 상호 연결되어 지지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쇠가 부착되고, 타측 끝단에는 이동쇠가 부착되며,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쇠는 위치의 변동이 없고, 상기 이동쇠가 상기 에어백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서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은 상기 전방유리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펼쳐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 발생시에 차량 전방유리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에어백이 작동하면서 상기 전방유리의 내측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확대됨으로써 탑승자가 전방유리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결과를 방지하여 탑승자가 받는차량의 충돌 발생시에 전방유리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의 차량을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에어백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의 전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유리 에어백이 전방유리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개(Deployment)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내장된 에어백 저장부(110)가 장착된 차량(100)에 대해서 전체적인 구조를 살핀다. 먼저, 차량(100) 전면부의 본네트(101)와, 상기 본네트(101)의 끝단부에서 연결되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유리(102), 및 전방유리(102)의 좌우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동시에 본네트(101)와 지붕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기본 골조를 유지하는 A-필러(103)를 구비한다.
에어백 저장부(110)는 전방유리(102) 양측단 상에서 A-필러(103)의 하부 측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전방유리(102)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탱하는 A-필러(103)의 하단부 측에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한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필러(103) 상에는 에어백 가이드레일(104)이 장착 되어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팽창되는 과정에서 전방유리(102)를 따라 일정하게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균일하게 펴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2를 보게 되면 전방유리(102)의 하부에는 에어백 연결모듈(105)이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 연결모듈(105)은 전방유리(102) 양측 하부의 에어백 저장부(110) 내에 압축저장되어 있는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을 지지가능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전방유리 에어백(114)은 한 쌍의 에어백 저장부(110)에 저장된 에어백이 상호 연통된 상태의 일체형 에어백으로서 기능한다. 다시 말하면, 차량의 추돌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에어백 연결모듈(105)은 억제되었던 내부의 수용물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전방유리(102)의 전면을 따라 확장할 수 있게 한다.
도 1을 다시 보게 되면, 운행중인 차량(100)의 전방유리(102)에 미확인된 물체(10)가 갑작스럽게 날아드는 과정에서 충격을 이기지 못해 전방유리(102)가 깨지면서 탑승자에게 예기치 않은 피해를 끼치게 될 수 있다. 도면부호 12는 물체(12)의 돌진으로 인한 전방유리(102)와의 충격을 표시한 것이다.
한편, 차량(100)의 추돌 과정이나 급정거하는 과정에서 탑승자의 머리부(22)가 전방으로 쏠리는 과정에서 전방유리(102)에 부딪히는 상해를 입을 수 있는데(도면부호 22 참조), 상기와 같은 추돌에 따른 손해를 에어백 저장부(110)에서 팽창된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전방유리(102)의 내면을 덮도록 팽창하는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전방유리(102) 상에서 전개 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전방유리의 양측 가장자리 하부에 위치한 한쌍의 에어백 저장부(110)에는 공기 팽창기(111), 전방유리 에어백(114), 공기 팽창기(111)와 전방유리 에어백(114)을 연결하는 연결관(112)이 구비된다. 전방유리 에어백(114)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쇠(115)가 부착되고, 타측 끝단에는 이동쇠(116)가 부착되는 상태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쇠(115)와 이동쇠(116)는 처음에는 에어백 가이드레일(104) 내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고정쇠(115)는 위치의 변동이 없고, 이동쇠(116)가 에어백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서 전방유리 에어백(114)은 자연스럽게 전방유리(102)의 하부에서 상부로 펼쳐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동쇠(116)는 슬라이딩 방식이나 롤러 방식으로 구성됨에 의해서 이동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114a는 전방유리 에어백이 작동하기 직전의 압축된 상태를 보이는 것이고, 도면부호 114b는 차량의 추돌 등으로 인하여 전방유리 에어백이 팽창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유리 에어백(114)의 작동 순서에 대해서 정리하여 설명한다. 차량(100)의 추돌 상황시에 탑승자는 전방유리(102) 측으로 급격한 쏠림 현상이 일어난다. 상기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에어백 저장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돌감지센서(미도시)는 충격량을 감지하여 상기 에어백 저장부(11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한다.
공기 팽창기(111)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연결관(112)을 통해 전방유리 에어백(114)으로 전달하게 되고, 전방유리 에어백(114)의 일측 끝단에 부설된 이동 쇠(116)는 에어백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빠르게 이동되어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전방유리(102)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 과정에서 양측 전방유리 에어백(114)의 연결부분이 전방유리(10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기능하는 에어백 연결모듈(105)은 공기 팽창기(111)의 작동과 동시에 전방유리 에어백(114)의 연결부분에 대한 억제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에어백 가이드레일(104)이 전방유리(102) 양측 가장자리의 A-필러(103) 상에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방유리 에어백(114)이 원활하게 펼쳐질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필러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유리 상으로 에어백이 펼쳐지는 구조를 이루도록 함에 의해서 차량의 전방충돌사고가 발생한 경우 운전자와 동승자가 전방유리에 부딪쳐 상해를 입거나 차량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의 차량을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에어백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의 전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유리 에어백이 전방유리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개(Deployment)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본네트 102 : 전방유리
103 : A-필러 104 : 에어백 가이드레일
105 : 에어백 연결모듈 110 : 에어백 저장부
111 : 공기 팽창기 112 : 연결관
114 : 전방유리 에어백 115 : 고정쇠
116 : 이동쇠

Claims (3)

  1. 차량 전방유리의 양측을 지지하는 A-필러의 하측부에 배치되며, 공기팽창기, 전방유리 에어백, 및 상기 공기팽창기와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그 내부에 구비하는 에어백 저장부; 및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이 상기 차량 상에 배치되는 전방유리의 내면을 따라 균일하게 팽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에어백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은 상기 전방유리의 내부면을 전체적으로 덮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 내부의 탑승자가 상기 전방유리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그리고
    상기 전방유리의 하부에는 에어백 연결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 연결모듈은 상기 전방유리 양측 하부의 상기 에어백 저장부 내에 압축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의 상호 연결부분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쇠가 부착되고, 타측 끝단에는 이동쇠가 부착되며,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고정쇠는 위치의 변동이 없고, 상기 이동쇠가 상기 에어백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서 상기 전방유리 에어백은 상기 전방유리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펼쳐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KR1020090063351A 2009-07-13 2009-07-13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KR101088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351A KR101088293B1 (ko) 2009-07-13 2009-07-13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351A KR101088293B1 (ko) 2009-07-13 2009-07-13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958A KR20110005958A (ko) 2011-01-20
KR101088293B1 true KR101088293B1 (ko) 2011-11-30

Family

ID=4361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351A KR101088293B1 (ko) 2009-07-13 2009-07-13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2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2996A (ja) 1997-07-28 1999-02-16 Aichi Mach Ind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2996A (ja) 1997-07-28 1999-02-16 Aichi Mach Ind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958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408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US8297648B2 (en) Occupant restraint device
CN105818777B (zh) 车辆斜向碰撞吸收系统
EP2799290B1 (en) Head restraint system
US9902359B2 (en) Airbag apparatus
EP1632405B1 (en) Airbag device
KR100747861B1 (ko) 커튼에어백의 프론트 필라트림 구조
KR101509780B1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KR100831504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CN104627112B (zh) 用于车辆的具有可膨胀扩展部分的侧帘式安全气囊
KR20080042612A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EP1541426B1 (en) Crash protection device and its method
US20060138763A1 (en) Airbag and sensor-equipped roll bar for open vehicles
KR101088293B1 (ko)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CN107380113A (zh) 一种垂直下压式汽车气囊
US10399531B2 (en) Motor vehicle
KR10057973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필라 트림 결합구조
KR100792423B1 (ko) 커튼에어백 보호쿠션의 파손방지구조
KR100916398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KR100503298B1 (ko) 자동차용 니이 에어백
KR20080112001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80036390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장치
KR20220146020A (ko) 차량용 외장 에어백
KR200420483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브라켓
KR200420470Y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가이드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