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438B1 -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438B1
KR100831438B1 KR1020060109678A KR20060109678A KR100831438B1 KR 100831438 B1 KR100831438 B1 KR 100831438B1 KR 1020060109678 A KR1020060109678 A KR 1020060109678A KR 20060109678 A KR20060109678 A KR 20060109678A KR 100831438 B1 KR100831438 B1 KR 10083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wire
airbag
pillar trim
deplo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509A (ko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438B1/ko
Priority to CN2006101687331A priority patent/CN101177132B/zh
Priority to US11/648,889 priority patent/US7641227B2/en
Publication of KR2008004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라이닝과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이 만나는 매칭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커튼에어백의 하방 필라 영역에, 일측은 에어백쿠션이나 그 에어백쿠션과 함께 전개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은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에 연결되는 별도의 와이어 형태의 연계수단을 장착하여 측면 충돌시 에어백쿠션의 전개로 인한 연계수단의 인력(引力)을 통해 상기 필라 트림이 내측으로 꺾여지면서 에어백쿠션이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커튼에어백이 센터 필라에 끼이거나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커튼에어백, 전개 유도장치, 연계수단

Description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Dynamic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in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의 필라 트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이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은 종래의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램프브라켓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계수단 11,11' : 와이어
12a : 제1방향 전환핀 12b : 제2방향 전환핀
13 : 회전바아 13a : 힌지
14,14' : 고정부재 14a : 노치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에어백의 전개시 에어백쿠션이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에 끼이거나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보호를 위한 각종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중의 일부가 에어백(air bag)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핸들과 크래쉬 패드 상에 정면 충돌시 팽창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근래에는 측면 충돌에 의한 측면 충격의 완충장치로 사이드(side) 에어백이 개발되었으며, 이 중, 측면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 승객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커튼(curtain)에어백이다.
한편, 차체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필라(pillar)는 도어의 문틀을 이루고 있는 철재골조로써 승용차용 차체의 경우 그 위치에 따라 프론트 필라(front pillar), 센터 필라(center pillar), 리어 필라(rear pillar)로 대별되고 있으며, 차실쪽을 향하는 필라의 내면에는 필라 트림(pillar trim)을 부착시킴으로써 외관을 보호하고 있다.
첨부한 도 7은 종래의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에어백쿠션(7a)은 공기압력에 의하여 헤드라이닝(5)의 단부를 안쪽으로 밀어서 공간을 형성한 후에 자동차 실내로 팽창된다.
그러나, 상기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이 커튼에어백(7)의 전개를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바, 예컨대 커튼에어백(7) 전개시 센터 필라 부위와 필라 트림(3) 사이로 커튼에어백(7)이 끼어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한 커튼에어백(7) 성능을 보이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에어백(7)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고 커튼에어백(7)의 전개방향을 유도하는 전개 유도장치인 커튼에어백(7)의 램프브라켓(1)을 개발하였으나, 상기 램프브라켓(1)은 팽창압력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의 금속을 사용하여 충격흡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튼에어백(7)의 에어백쿠션(7a) 전개를 위한 구조에서, 에어백쿠션(7a)이 팽창할 때 헤드라이닝(5)과 필라 트림(3)이 접촉되는 부분을 강한 압력으로 밀치기 때문에 헤드라이닝(5) 뿐만 아니라 필라 트림(3)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 필라 트림(3)은 통상 금속제품이므로, 파손된 필라 트림(3)이 흉기가 되어 탑승객에게 부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헤드라이닝과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이 만나는 매칭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커튼에어백의 하방 필라 영역에, 일측은 에어백쿠션이나 그 에어백쿠션과 함께 전개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은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에 연결되는 별도의 와이어 형태의 연계수단을 장착하여 측면 충돌시 에어백쿠션의 전개로 인한 연계수단의 인력(引力)을 통해 상기 필라 트림이 내측으로 꺾여지면서 에어백쿠션이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커튼에어백이 센터 필라에 끼이거나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튼에어백(7)의 에어백쿠션(7a)이 팽창되어 전개시 에어백쿠션(7a)의 전개 작동력에 의해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을 폴딩하여 상기 에어백쿠션(7a)의 올바른 전개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에어백쿠션(7a)이나 그 에어백쿠션(7a)과 함께 전개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라 트림(3)에 연결되는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연계수단(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계수단(10)은 에어백쿠션(7a) 후방의 이너 패널(9)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방향 전환 핀(12a,12b)과;
일단이 에어백쿠션(7a) 상에 고정된 상태로 그 후방에 설치된 상기 제1방향 전환핀(12a)과 이너 패널(9)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제2방향 전환핀(12b)에서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어 필라 트림(3)에 연결된 와이어(11)를 포함하는 도르레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연계수단(10)은 에어백쿠션(7a) 후방의 이너 패널(9) 쪽에 힌지(13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일정 길이와 각도를 갖는 회전바아(13)와;
상기 회전바아(13)의 양단에 연결되어 각각 상기 에어백쿠션(7a)과 필라 트림(3)에 연결되는 와이어(11')를 포함하는 지렛대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라 트림(3)은 상기 와이어(11,11')의 작동을 통해 필라 영역 쪽으로 쉽게 폴딩되도록 그 하단부에 힌지(hinge) 방식, 노치부가 형성된 노치(notch) 방식 또는 연질(軟質) 재질로 이루어진 꺾임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1)는 상기 필라 트림(3)과 연결된 부위에 상기 에어백쿠션(7a)이 전개되어 이와 연동되는 와이어(11)가 그 전개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질 경우, 그 와이어(11)가 쉽게 탈거될 수 있도록 노치부(14a)가 형성된 훅(hook) 형상의 고정부재(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11')는 회전바아(13)와 연결된 부위에 상기 에어백쿠 션(7a)이 전개되어 이와 연동되는 와이어(11')가 그 전개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질 경우, 그 와이어(11')가 쉽게 탈거될 수 있도록 노치부(14a)가 형성된 훅(hook) 형상의 고정부재(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의 필라 트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이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5)과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이 만나는 매칭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커튼에어백(7)과 별도로 그 커튼에어백(7)의 하방 필라 영역에 일측은 에어백쿠션(7a)이나 그 에어백쿠션(7a)과 함께 전개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은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에 연결되는 별도의 와이어 형태의 연계수단(10)을 장착하여 측면 충돌시 에어백쿠션(7a)의 전개로 인한 연계수단(10)의 인력(引力)을 통해 상기 필라 트림(3)이 내측으로 꺾여지면서 에어백쿠션(7a)이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커튼에어백(7)이 센터 필라에 끼이거나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커튼에어백(7)은 소정의 팽창 면적을 가지고 헤드라이닝(5)과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이 만나는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의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탑승자의 인체 상해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커튼에어백(7) 하부 영역의 차체 패널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에어백쿠션(7a)이 팽창하는 경우에 그 에어백쿠션(7a)이 차실내로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개 유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개 유도장치는 에어백쿠션(7a)의 전개 작동력과 함께 연동하되, 일측은 에어백쿠션(7a)이나 그 에어백쿠션(7a)과 함께 전개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은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에 연결되는 별도의 와이어 형태의 연계수단(10)으로 이루어져 자동차의 측면 충돌 사고시 커튼에어백(7)의 에어백쿠션(7a)이 전개될 경우, 이와 연계되어 있는 필라 트림(3)이 차체 패널의 내측으로 폴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계수단(10)인 와이어(1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7a)과 필라 트림(3)에 연결되어 있는바, 상기 에어백쿠션(7a)이 전개시에 상기 필라 트림(3)이 필라 영역으로 원활하게 폴딩될 수 있도록, 즉 에어백쿠션(7a) 전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필라 트림(3)이 작동할 수 있도록 와이어(11)의 작동 방향을 전환 시키는 복수개의 방향 전환핀(12a,12b)이 에어백쿠션(7a) 후방의 이너 패널(9)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1)는 일단이 에어백쿠션(7a) 상에 고정된 상태로 그 후방에 설치된 제1방향 전환핀(12a)과 이너 패널(inner panel)(9)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제2방향 전환핀(12b)에서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어 필라 트림(3) 상단의 고정부재(14)에 연결된 도르레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쿠션(7a)이 전개될 경우, 제1 및 제2방향 전환핀(12a,12b)을 거쳐 필라 트림(3)의 고정부재(14)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1)에는 인장력이 제공되므로 상기 필라 트림(3)이 필라 영역 쪽으로 폴딩되면서 에어백쿠션(7a)의 전개가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현예로서, 연계수단(10)인 와이어(11')가 지렛대 원리를 통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방향 전환핀(12a,12b)의 기능을 갖는 대체 구성은 힌지(13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일정한 길이의 회전바아(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13a)도 상기 방향 전환핀(12a,12b)과 마찬가지로 커튼에어백(7) 후방에 축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아(13)의 양단에 와이어(11')가 연결되어 각각 에어백쿠션(7a)과 필라 트림(3) 상단의 고정부재(1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쿠션(7a)이 전개될 경우, 상기 회전바아(13) 일단의 와이어(11')가 에어백쿠션(7a)을 따라 당겨지게 되면서 회전바아(13)가 그 전개방향 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회전바아(13) 타단의 와이어(11')는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필라 트림(3)이 필라 영역 쪽으로 폴딩 되면서 에어백쿠션(7a)의 전개가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개 유도장치의 작동을 통해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이 필라 영역 쪽으로 폴딩 되는데, 이때 상기 필라 트림(3)이 쉽게 폴딩 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필라 트림(3)은 하단부에 힌지(hinge) 방식, 노치부가 형성된 노치(notch) 방식 또는 연질(軟質) 재질로 이루 어진 꺾임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에어백(7)의 에어백쿠션(7a)이 전개되어 이와 연동되는 연계수단(10)의 와이어(11)가 그 전개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질 경우, 상기 와이어(11)에 연결된 고정부재(14)가 상기 필라 트림(3) 상단에서 탈거 되는바, 상기 와이어(11)가 쉽게 탈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위에 노치부(14a)가 형성된 훅(hook)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에어백(7)의 에어백쿠션(7a)이 전개되어 이와 연동되는 연계수단(10)의 와이어(11')가 그 전개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질 경우, 상기 와이어(11')에 연결된 고정부재(14')가 상기 회전바아(13)에서 탈거 되는바, 상기 와이어(11')가 쉽게 탈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4')는 내측 부위에 노치부(14a)가 형성된 훅(hook)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튼에어백(7)의 전개 유도장치는 측면 충돌시 에어백쿠션(7a)의 전개로 인한 연계수단(10)의 인력(引力)을 통해 상기 필라 트림(3)이 내측으로 꺾여지면서 에어백쿠션(7a)이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측면 충돌 사고시 자동차의 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면 충돌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에어백ECU는 커튼에어백(7)에 작동신호를 보내어, 먼저 커튼에어백(7)의 에어백쿠션(7a)이 팽창하게 되어 전개될 경우, 에어백쿠션(7a)이 부풀어 오르면서 그 에어백쿠션(7a)이나 그 에어백쿠션(7a)과 함께 전개되는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1,11')가 당겨지게 되면, 도 5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방향 전환핀(12a,12b)을 거쳐 그 작동방향이 전환되어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을 트림 영역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후, 힌지 방식, 노치 방식 또는 연질부 꺾임 방식으로 이루어진 상기 필라 트림(3)은 폴딩 되고, 결국에는 필라 트림(3)의 끝단에 형성된 훅 형상의 고정부재(14)가 꺾이면서 와이어(11)가 탈거되어 에어백쿠션(7a)이 완전히 전개된다.
또한, 도 6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쿠션(7a)의 전개에 의해 와이어(11')가 당겨지게 되면 힌지(13a)를 중심으로 회전바아(13)가 에어백쿠션(7a)의 전개방향 쪽으로 회전하면서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을 트림 영역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후, 상기한 폴딩 방식으로 이루어진 필라 트림(3)이 폴딩 되고, 결국에는 와이어의(11')의 끝단에 형성된 훅 형상의 고정부재(14')가 꺾이면서 와이어(11')가 상기 회전바아(13)에서 탈거되어 에어백쿠션(7a)이 완전히 전개된다.
이와 같은 전개 유도장치의 작동상태에 의하면, 커튼에어백(7)의 에어백쿠션(7a)이 팽창할 때 헤드라이닝(5)과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이 매칭된 부분을 통하여 실내로 안정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에 의하면, 커튼에어백의 에어백쿠션과 필라 트림을 서로 연결하는 연계수단을 이용하여 측면 충돌시에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로 인한 연계수단의 인력(引力)을 통해 상기 필라 트림이 내측으로 꺾여지면서 에어백쿠션이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므로 커튼에어백이 센터 필라에 끼이거나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커튼에어백(7)의 에어백쿠션(7a)이 팽창되어 전개시 에어백쿠션(7a)의 전개 작동력에 의해 센터 필라의 필라 트림(3)을 폴딩하여 상기 에어백쿠션(7a)의 올바른 전개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에어백쿠션(7a)이나 그 에어백쿠션(7a)과 함께 전개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라 트림(3)에 연결되는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연계수단(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10)은 에어백쿠션(7a) 후방의 이너 패널(9)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방향 전환핀(12a,12b)과;
    일단이 에어백쿠션(7a) 상에 고정된 상태로 그 후방에 설치된 상기 제1방향 전환핀(12a)과 이너 패널(9)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제2방향 전환핀(12b)에서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어 필라 트림(3)에 연결된 와이어(11)를 포함하는 도르레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10)은 에어백쿠션(7a) 후방의 이너 패널(9) 쪽에 힌지(13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일정 길이와 각도를 갖는 회전바아(13)와;
    상기 회전바아(13)의 양단에 연결되어 각각 상기 에어백쿠션(7a)과 필라 트림(3)에 연결되는 와이어(11')를 포함하는 지렛대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 트림(3)은 상기 와이어(11,11')의 작동을 통해 필라 영역 쪽으로 쉽게 폴딩되도록 그 하단부에 힌지(hinge) 방식, 노치부가 형성된 노치(notch) 방식 또는 연질(軟質) 재질로 이루어진 꺾임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1)는 상기 필라 트림(3)과 연결된 부위에 상기 에어백쿠션(7a)이 전개되어 이와 연동되는 와이어(11)가 그 전개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질 경우, 그 와이어(11)가 쉽게 탈거될 수 있도록 노치부(14a)가 형성된 훅(hook) 형상의 고정부재(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1')는 회전바아(13)와 연결된 부위에 상기 에어백쿠션(7a)이 전개되어 이와 연동되는 와이어(11')가 그 전개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질 경우, 그 와이어(11')가 쉽게 탈거될 수 있도록 노치부(14a)가 형성된 훅(hook) 형상의 고정부재(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20060109678A 2006-11-07 2006-11-07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083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678A KR100831438B1 (ko) 2006-11-07 2006-11-07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CN2006101687331A CN101177132B (zh) 2006-11-07 2006-12-19 车辆内帘式安全气囊的动态倾斜装置
US11/648,889 US7641227B2 (en) 2006-11-07 2006-12-29 Dynamic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in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678A KR100831438B1 (ko) 2006-11-07 2006-11-07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509A KR20080041509A (ko) 2008-05-13
KR100831438B1 true KR100831438B1 (ko) 2008-05-22

Family

ID=3935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678A KR100831438B1 (ko) 2006-11-07 2006-11-07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41227B2 (ko)
KR (1) KR100831438B1 (ko)
CN (1) CN1011771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3972B2 (en) * 2007-03-14 2010-09-14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Front pillar trim panel with tether
DE102011087449B4 (de) 2011-11-30 2019-04-2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airbag für ein Fahrzeug
KR20130103159A (ko) 2012-03-09 2013-09-2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커튼 에어백 모듈
US8973941B2 (en) 2013-04-22 2015-03-10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interior trim panel
US8876152B1 (en) * 2013-05-20 2014-11-04 Nissan North America, Inc. Inflatable restraint deployment ramp
US8801031B1 (en) 2013-05-30 2014-08-12 Nissan North America, Inc. Inflatable restraint deployment ra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021A (ko) * 2001-08-14 200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라트림의 상해방지용 와이어
JP2003081048A (ja) 2001-09-13 2003-03-19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20060202451A1 (en) 2005-03-11 2006-09-14 Takata Corporation Curtain airbag device
JP2006273042A (ja) 2005-03-28 2006-10-12 Mazd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6737A (en) * 1955-04-11 1957-09-17 Paul M Maxwell Inflatable collision shield for vehicles
JP3039089B2 (ja) * 1991-11-22 2000-05-08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の乗員頭部の保護装置
US6224087B1 (en) * 1996-02-23 2001-05-01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Side impac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occupants
DE29615485U1 (de) * 1996-09-05 1997-01-09 Trw Repa Gmbh Rückhaltesystem für Fahrzeuginsassen
US6102436A (en) * 1998-08-11 2000-08-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roof structure with motorized deployment assembly for restraining a vehicle occupant
US6149195A (en) * 1998-12-15 2000-11-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Elastomeric structure for deploying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152482A (en) * 1999-05-26 2000-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inflatable restraint system trim with trim deploying module
DE60019472T2 (de) * 1999-06-02 2006-02-23 Toyoda Gosei Co., Ltd., Nishikasugai Kopfschützende Airbagvorrichtung
US6168194B1 (en) * 1999-08-05 2001-01-02 Trw Inc. Inflatable curtain with tensioning device
DE19940776A1 (de) 1999-08-27 2001-03-01 Delphi Tech Inc Luftsackmodul
JP2001246989A (ja) 2000-03-03 2001-09-11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ピラートリム構造
KR100883525B1 (ko) * 2002-10-18 2009-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의 필라 트림 지지구조
US6913280B2 (en) * 2002-11-12 2005-07-05 Autoliv Asp, Inc. Overhead airbag deploy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461067B1 (ko) 2002-11-28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에어백의 쿠션전개구조
US20050116451A1 (en) * 2003-11-25 2005-06-02 Toyoda Gosei Co., Ltd. Head-protecting airbag
JP4269929B2 (ja) * 2003-12-19 2009-05-27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ガイド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269928B2 (ja) * 2003-12-19 2009-05-27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ガイド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289147B2 (ja) * 2003-12-22 2009-07-01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ガイド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0527779B1 (ko) * 2003-12-30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JP2006131104A (ja) * 2004-11-05 2006-05-25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7568722B2 (en) * 2005-08-30 2009-08-04 Honda Motor Co., Ltd. Arrangement structure of air bag device
US7571927B2 (en) * 2005-10-28 2009-08-11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Headliner assembly having a tether
KR20080042612A (ko) * 2006-11-10 2008-05-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021A (ko) * 2001-08-14 200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라트림의 상해방지용 와이어
JP2003081048A (ja) 2001-09-13 2003-03-19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20060202451A1 (en) 2005-03-11 2006-09-14 Takata Corporation Curtain airbag device
JP2006273042A (ja) 2005-03-28 2006-10-12 Mazd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41227B2 (en) 2010-01-05
CN101177132A (zh) 2008-05-14
KR20080041509A (ko) 2008-05-13
CN101177132B (zh) 2011-12-07
US20080106082A1 (en)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949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ためのトップテザー
US8894094B2 (en) Curtain airbag for small overlap
EP1591323B1 (en) Vehicle having an airbag system
JP5761220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034656B2 (ja) 膨張可能な折畳コンビネーションカーテン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266494B2 (en)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US6808198B2 (en) Pillar-mounted frontal airbag
US9566935B2 (en) Double fold and roll cushions for IC
KR20190138488A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KR100831438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2227852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080042612A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JP6274078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7234728B2 (en) Airbag system
KR100633415B1 (ko) 차량 탑승자의 머리 보호를 위한 커튼형 에어백 장치
JP6056695B2 (ja) 車両用センター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4949916B2 (ja)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エアバッグの収容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0650634B1 (ko) 측면 에어백및 그 접음방법
JP443269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7312669B2 (ja) エアバッグ
JP2010254188A (ja) 乗員保護装置、及び車両
KR10064000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유도구조
KR100794011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0794012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1081701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