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137A -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137A
KR20030097137A KR1020020034307A KR20020034307A KR20030097137A KR 20030097137 A KR20030097137 A KR 20030097137A KR 1020020034307 A KR1020020034307 A KR 1020020034307A KR 20020034307 A KR20020034307 A KR 20020034307A KR 20030097137 A KR20030097137 A KR 20030097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airbag
bracket
fixing device
vehicle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7137A/ko
Publication of KR2003009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1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1Bottom bars for stretching hanging curtains; Magnet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to improve closing of curtain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필러 트림과 차체 사이에 조립되어 커튼에어백이 작동 시에 불량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승객의 머리가 차체 패널과 충돌 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슈트(chute) 브래킷이 구비된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실내의 헤드라이너 커버(100) 내측을 따라 구비되는 커튼에어백(1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커튼에어백(120)의 전개를 가이드하기 위해 일측에 개구부(210)가 구비되어 상기 커튼에어백(120)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슈트브래킷(200)이 구비되어, 종래의 가이드브래킷과 완충브래킷을 일체화하여 구성을 단순화할 수가 있으면서도 커튼에어백의 불량 전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승객의 머리가 충돌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완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터필러 트림과 차체 사이에 조립되어 커튼에어백이 작동 시에 불량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승객의 머리가 차체 패널과 충돌 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슈트(chute) 브래킷이 구비된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충돌 사고 시에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을 장착하는 차량이 보편화되면서, 전방에서 발생하는 충돌 사고뿐만이 아니라 차량의 측방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커튼식 에어백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튼에어백 고정장치의 센터필러에서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센터필러 측에 위치하는 커튼에어백의 고정구조는 센터필러 측을 지향하도록 일측 단부가 차체 인너패널(10)에 볼트(11) 체결되는 가이드브래킷(20)과; 이 가이드브래킷(20)에 지지되어 장착되는 커튼에어백(30)과; 이 커튼에어백(30)의 상측에 고정되는 스틸재질의 완충브래킷(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브래킷(40)의 상측 면에는 헤드라이닝 커버(50)가 조립되며, 센터필러 인너패널(10)에는 상기 가이드브래킷(20)과 상측 일부가 결합되는 센터필러 트림(60)이 조립된다.
상기 가이드브래킷(20)은 커튼에어백이 전개 시에 커튼에어백(30)이 센터필러 트림(60)과, 센터필러 인너패널(10) 사이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완충브래킷(40)은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승객의 머리가 헤드라이닝 커버(40)의 외측에 위치하는 인너패널(10)과 충돌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승객의 머리가 헤드라이닝 커버(40)와 충돌하게 되면, 헤드라이닝 커버(40)의 바로 외측에 위치하는 완충브래킷(40)이 소성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커튼에어백 고정구조는 조립불량 또는 센터필러 트림의 취약한 형상으로 인하여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커튼에어백이 전개 시에 센터필러 트림과 차체 인너패널 사이로 전개되어 승객에게 가해지는 측면 충격을 충분히 완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완충브래킷이 취부되는 공간이 너무 협소함에 따라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충분히 소성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커튼에어백 고정장치의 조립 공정 상에 있어서는 가이드브래킷, 커튼에어백, 완충브래킷, 헤드라이닝 커버를 순차적으로 조립한 후에 가이드브래킷에 센터필러 트림의 상측부를 끼워 조립해야 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가이드브래킷에 센터필러 트림을 끼워 넣는 조립 과정은 지난하며 특별한 주의를 요하게 되므로, 조립 시에 조립 불량이 발생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커튼에어백이 전개 시에 전개 방향이 불량 전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커튼에어백을 고정하며 커튼에어백의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래킷과, 완충을 위한 완충브래킷을 일체로 구성하면서도 커튼에어백의 불량 전개를 방지할 수 있는 슈트브래킷이 구비된 차량용 커튼에어백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커튼에어백 고정장치는 차량 실내의 헤드라이닝 커버 내측을 따라 구비되는 커튼에어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커튼에어백의 전개를 가이드하기 위해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커튼에어백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슈트브래킷이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브래킷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헤드라이닝 커버110 : 인너패널
120 : 커튼에어백130 : 센터필러 트림
200 : 슈트브래킷210 : 개구부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커튼에어백 고정장치는 차량 실내의 헤드라이닝 커버(100) 내측을 따라 구비되는 커튼에어백(1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커튼에어백(120)의 전개를 가이드하기 위해 일측에 개구부(210)가 구비되어 상기 커튼에어백(120)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슈트브래킷(200)이 구비됨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슈트브래킷(2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가 있으며, 일측에 개구부(210)가 형성되어 다단 절곡되어 구성된다.
슈트브래킷(200)의 개구부(210)에는 커튼에어백(120) 전개 시에 센터필러 트림(130) 바깥쪽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일측 개구 단부에 일정한 경사를 갖는 가이드부(203)가 형성된다.
또한, 슈트브래킷(200)은 헤드라이닝 커버와 대면하게 되는 제1몸체부(201)보다 차체 인너패널과 대면하게 되는 제2몸체부(202)의 두께가 더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커튼에어백 고정장치는 커튼에어백이 전개 시에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슈트브래킷이 구비됨에 따라, 커튼에어백이 전개 시에 불량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인너패널과 대면하게 되는 슈트브래킷의 몸체부 측을 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승객의 머리가 헤드라이닝 커버와 충돌 시에도 충분히 충격을 완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커튼에어백 고정장치는 커튼에어백의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슈트브래킷을 커튼에어백에 취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가이드브래킷과 완충브래킷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공정 및 부품 수를 줄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튼에어백의 불량 전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승객의 머리가 충돌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완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차량 실내의 헤드라이닝 커버 내측을 따라 구비되는 커튼에어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커튼에어백의 전개를 가이드하기 위해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커튼에어백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슈트브래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에어백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브래킷은 헤드라이닝 커버 측보다 차체 인너패널 측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에어백 고정장치.
KR1020020034307A 2002-06-19 2002-06-19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KR20030097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307A KR20030097137A (ko) 2002-06-19 2002-06-19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307A KR20030097137A (ko) 2002-06-19 2002-06-19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37A true KR20030097137A (ko) 2003-12-31

Family

ID=3238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307A KR20030097137A (ko) 2002-06-19 2002-06-19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7137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125B1 (ko) * 2007-09-10 200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본체 지지구조
KR100893081B1 (ko) * 2007-12-05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US7597345B1 (en) 2007-08-14 2009-10-06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for mounting curtain airbag
KR101382451B1 (ko) * 2007-10-18 2014-04-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모듈
US9604592B2 (en) 2015-06-29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curtain unit including mounting clip
KR20220130417A (ko) 2021-03-18 2022-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KR20220132928A (ko) 2021-03-24 2022-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KR20220150509A (ko) 2021-05-04 2022-1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KR20220153263A (ko) 2021-05-11 2022-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KR20230018870A (ko) 2021-07-30 2023-0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꼬임 방지장치
KR20230031021A (ko) 2021-08-26 2023-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꼬임 방지구조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7345B1 (en) 2007-08-14 2009-10-06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for mounting curtain airbag
KR100845125B1 (ko) * 2007-09-10 200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본체 지지구조
KR101382451B1 (ko) * 2007-10-18 2014-04-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893081B1 (ko) * 2007-12-05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US9604592B2 (en) 2015-06-29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curtain unit including mounting clip
KR20220130417A (ko) 2021-03-18 2022-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US11634097B2 (en) 2021-03-18 2023-04-25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for mounting curtain airbag cushion
KR20220132928A (ko) 2021-03-24 2022-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KR20220150509A (ko) 2021-05-04 2022-1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KR20220153263A (ko) 2021-05-11 2022-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KR20230018870A (ko) 2021-07-30 2023-0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쿠션의 꼬임 방지장치
KR20230031021A (ko) 2021-08-26 2023-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꼬임 방지구조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012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10814824B2 (en) Side airbag device
US683280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 pillar trim in an automobile having a curtain type airbag
US8220826B2 (en) Ramp bracket for curtain airbag of vehicle
US8172258B2 (en)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for vehicle
JP7147374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KR20030097137A (ko)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KR20180066903A (ko) Fmh 충격 흡수 성능을 개선한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램프 브래킷
KR20080042612A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US6312008B1 (en) Airbag system with energy absorption bracket
US20040000776A1 (en) Occupant protective arrangement and a vehicle therewith
US7309078B2 (en) Vehicle with curtain air bag
JP5000279B2 (ja) 自動車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US11975673B2 (en) Tether clip, pillar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0828581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램프 브라켓
KR100552053B1 (ko)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헤드 라이닝 구조
KR101003885B1 (ko) 커튼 에어백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KR102509831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0405809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0747398B1 (ko)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0568990B1 (ko) 커튼에어백 전개를 위한 프런트 필라의 완충 브라켓 및 이브라켓이 장착된 차량의 프런트 필라 구조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KR101070524B1 (ko) 커튼 에어백용 고정 브래킷
KR100462111B1 (ko) 커튼 에어백 전개를 위한 센터필러트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