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443B1 - 화상 전송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전송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443B1
KR100252443B1 KR1019970000596A KR19970000596A KR100252443B1 KR 100252443 B1 KR100252443 B1 KR 100252443B1 KR 1019970000596 A KR1019970000596 A KR 1019970000596A KR 19970000596 A KR19970000596 A KR 19970000596A KR 100252443 B1 KR100252443 B1 KR 10025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energy
reservoir
transfer mean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931A (ko
Inventor
빠스칼 꾸드레이
알렉산드르 도제
노보루 나가따니
마리-헬렌 프로제
크리스또쁘 뜨루화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600339A external-priority patent/FR2743527A1/fr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70058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5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monitoring ink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for detecting failure, e.g. clogging, malfunctioning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41Specific driving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46Multipl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based on heating elements forming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전송 장치(10)에 있어서, 적어도 잉크 전사 수단(113,204)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112)를 구비한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부품의 동작을 검사할 목적으로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시키는 수단(205,31,230) 및,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115,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 전송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검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송 장치의 일실시예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잉크 액적 분사 방식의 인쇄 헤드의 개략적인 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인쇄 헤드에 배치되는 잉크 분사 헤드의 전기 부품의 다이어그램.
제4도는 잉크 분사 수단의 제어 수단 중 일부분에 대한 다이어그램.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송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릿지의 단순화된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변환 회로의 일실시예에 대한 블럭도.
제8도는 제1도의 장치에 포함된 잉크 분사 수단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타이밍도.
제9도는 잉크 저장소 또는 잉크 분사 수단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 중에 측정되어진 신호의 타이밍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검출 알고리즘의 제1실시예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검출 알고리즘의 제2실시예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검출 알고리즘의 제3실시예도.
제13도는 제2도의 인쇄 헤드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잉크 분사 수단의 일부에 대한 단순화된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잉크 분사 수단 및 잉크 카트릿지의 전기 부품에 대한 단순화된 전기 다이어그램.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검사 알고리즘의 일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전송 수단 100 : 주 데이타 처리 회로
110 : 잉크 분사 제어 회로 111 : 잉크 카트릿지
112 : 잉크 저장소 113 : 인쇄 헤드
118 : 퍼지 펌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잉크 전사 수단에 관련된 잉크 저장소를 갖는 화상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 저장소 및 잉크 전사 수단은 단일 조립체이거나, 또는 독립된 2개의 구조체일 수 있다. 그러나, 여하튼, 잉크 저장소 및 잉크 전사 수단은 사용자에게는 부품(unit)으로서 인식되므로, 그 작용에 대해 검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화상 전송 장치의 잉크 저장소 및 잉크 전사 수단을 구비하는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잉크-젯 프린터 등의 잉크-젯 기술을 이용하는 화상 전송 장치에 있어서, 잉크의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각종 장치 및 방법들이 고안되어 있다.
공지된 제1검출 방식에서는 2개 전극 간에서의 잉크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잉크의 전기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문헌 EP-A-0-370 765호에서는 잉크 분사 헤드를 잉크 저장소에 연결시키는 채널에 위치된 2개 전극과 이들 2개 전극 간에서의 전기 저항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검출 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제1전극은 잉크 분사 헤드에 근접 위치되는 반면에, 제2전극은 잉크 분사 헤드에서 떨어져 위치되어, 이들 두 전극 간에는 전위차가 인가된다. 잉크의 저항을 측정하여 측정된 저항값으로부터 잉크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다.
이들 두 전극은 반드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제조가 복잡해져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
또한, 카트릿지에 위치되어 있는 전극들은 시트(sheet)를 따라 카트릿지를 이동시키는 캐리지의 좌우 이동을 받게 된다. 이러한 좌우 이동에 의해 잉크 레벨의 검출이 방해를 받게 되므로 연속 측정, 즉 서류의 인쇄 동안의 측정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호 연결 시스템에 잉크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다른 연결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칼라 프린터 등과 같이 여러개의 잉크 저장소를 갖는 프린터의 경우에는, 각각의 저장소에 전극을 제공해야만 하므로 검출 장치가 매우 고가로 되었다.
또한, 이들 장치는 잉크 내의 공기 버블의 존재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공기 버블에 의해 서류를 완전히 재현시킬 수 없었다. 공기 버블의 문제는 잉크 저장소 및 분사 헤드가 독립되어 있는 잉크 카트릿지를 사용한 화상 전송 장치에서 특히 심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더우기, 이들 장치 내의 잉크 저장소를 교환할 경우, 공기 버블을 배기시키기 위해 잉크 저장소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 헤드 및 채널을 완전히 퍼지(purge)시킨다. 따라서, 단지 이들 공기 버블을 배기시키려는 목적으로만 대량의 잉크가 소모되어진다.
공지된 제2검출 방식은 인쇄해야 할 서류에 대한 모티프(motif)를 재현하여 이 모티프를 광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JP-A-6 126 951에서 기재되어 있다.
제2검출 방식은 잉크 카트릿지의 복잡성을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광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인쇄 장치의 가격이 상승한다. 또한, 서류에 인쇄 영역, 예를 들어, 인쇄된 각 페이지의 말미에 블랙 스퀘어(black square)를 부가할 필요가 있어서, 재현된 서류의 품질이 손상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식의 잉크 검출은 특정 용도에만 사용될 수 있다.
광 검출은 또한 사용되는 인쇄 매체와 잉크에도 감응한다. 백색 종이에 대해서는 흑색의 잉크가 검출하기에 가장 용이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각종의 인쇄 매체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칼라 종이, 재생 종이 또는 투명 종이 등이 있다. 이러한 매체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제한되어진다.
더우기, 페이지는 인쇄되지만 검출에 사용되는 블랙 스퀘어가 인쇄되지 않을 때 잉크에 공기 버블이 존재할 경우, 공기 버블은 검출되지 않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방식의 검출기는 칼라 인쇄에 사용하기에는 곤란한데, 이것은 사용되는 각각의 칼라를 인식할 수 있는 검출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인쇄 매체 상에는 각각의 칼라 모티프가 인쇄되어야 한다.
한편, 잉크-젯 프린터와 같이 잉크-젯 기술을 이용하는 화상 전송 장치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가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을 분사 채널 형태로 거의 동일하고 평행으로 갖고 있어, 여러개의 잉크 액적들이 동시에 분사될 수 있으므로 화상 전송 장치의 인쇄 속도가 향상된다.
서류에서 양호한 재현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해상도, 즉 단위 면적당 인쇄되는 도트수가 높아야 한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 잉크 분사 채널 수가 증가하게 되어 잉크 분사 채널의 직경은 축소되어진다.
이러한 잉크 분사 채널의 크기와 조밀 상태로 인해 잉크 분사 수단을 사용하기가 복잡해서 오기능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오기능은 특히 하나 이상의 잉크 분사 채널에 잉크 분사 명령이 전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잉크 분사 채널이 어떠한 잉크도 분사시키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인쇄를 불만족스럽게 변형시킨다.
이들 오기능이 원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분사 채널을 차단시키는 불순물이나, 또는 채널 내에서 건조되어진 얼마간의 잉크나 채널 내의 잉크 부재 등이 있다.
이들 오기능 중 일부를 피하기 위해 잉크 분사 수단에 대한 클리닝(cleaning) 및 퍼지(purging)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단계에서는 상당량의 잉크가 소모가 수반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저장소 및 잉크 전사 수단을 구비하는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여 상기 부품의 어떠한 종류의 오기능이라도 검출하는 한편, 이용하기에 단순하며 경제적인 정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중에서, 분사 채널 내에 내포된 잉크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한 후, 나타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당해 잉크 저장소 및 채널을 구비하는 부품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도출해낼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관련하여, 본 발명은 화상 전송 장치에서, 적어도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한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동작을 검사할 목적으로,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되어 있는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과,
잉크에 전달된 에너지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상 전송 장치에서 적어도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하는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과,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로 전기 신호의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과,
잉크에 전달된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검출된 에너지에 따라 상기 부품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관련하여, 본 발명은 화상 전송 장치에서 적어도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한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동작을 검사할 목적으로,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되어 있는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잉크에 전달된 에너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상 전송 장치에서, 적어도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포함하는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로 전기 신호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와,
잉크에 전달된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에너지에 따라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시키는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상술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이점뿐 아니라, 화상 전송 장치에 대한 변형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을 가지므로, 경제적이며,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 또는 레이저 프린터 등의 대다수의 기존 화상 전송 장치에 적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는 잉크가 단지 전도성만 있다면 잉크의 종류(칼라, 조성 등)에는 관계없이 동작한다. 여기서 말하는 잉크란 인쇄 매체의 광 인자(optical factor)를 변형시키도록 설계되어진 액상, 고상, 가스상 또는 분말 상태의 임의 제품을 의미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도,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잉크 전사 수단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된다. 따라서, 잉크 전사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통상적인 기능에 따라,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잉크 저장소 및 잉크 전사 수단을 구비한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는 신호를 발생시킴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가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잉크 저장소 내의 잉크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검출 수단은 전자기 방사(electromagnetic radiation)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바람직한 제1특징에 따르면,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수단은 안테나를 구성하는 금속 성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수단은 금속 리본이다.
통상적으로는, 적어도 잉크 전사 장치, 보다 일반적으로는 잉크 저장소 및 잉크 전사 수단은, 인쇄 매체에 대향하여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수단은 상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동 경로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잉크의 존재 유무에 대한 검출은 화상 전송 장치의 동작 중에, 바람직하기로는 이러한 동작 전체 동안 일어난다. 잉크의 부재는 실시간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변형으로서,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수단을 잉크 저장소 상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변형시켜도 잉크의 부재에 대한 검출을 즉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감지된 전자기 방사는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은, 감지 수단에 의해 공급된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저장소 내의 잉크의 존재 또는 부재를 표시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저장소 내의 잉크의 존재 또는 부재는 바람직하기로는 조정 가능한 임계치에 대해서 정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는 잉크 저장소가 공백인 경우 저장소 내의 잉크의 명확적(definitive) 부재와, 예를 들어 잉크 버블로 인한 순간(momentary) 부재를 검출한다.
또한, 인쇄해야 할 서류는 검출 장치의 동작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동작은 저장소 내에 잉크가 존재하는 동안은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한 채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잉크 검출 방법은 잉크 전사 단계와 동시에 전기 신호에 의해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인쇄해야 할 라인에 대해,
라인을 인쇄하는 단계와 동시에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에너지가 임계치 이하이면 인쇄를 중단하고, 그렇지 않다면 인쇄를 속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검출 방법은 다수의 잉크 저장소를 구비하는 잉크-젯 방식의 화상 전송 장치에 용이하게 적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 검출 방법은,
상기 전사 수단을 상기 인쇄 매체 외측에 위치되어진 영역과 대향되게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한 잉크 분사를 소정 수의 잉크 액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 분사와 동시에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잉크 저장소마다 상기 제어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에너지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알람(alarm)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도, 잉크 검출 방법은 두 페이지의 서류 인쇄 사이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잉크 검출 방법은,
인쇄 매체 외부에 위치된 영역에 대향하여 전사 수단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소정수의 잉크 액적의 전사 수단에 의해 분사를 제어하는 단계와,
잉크 분사와 동시에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에너지가 임계치 이하인 동안은 상기 잉크 저장소에 대해 제어 및 검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인쇄 매체 외부에 위치된 영역은 분사 수단을 퍼지시키는 펌프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전사 수단 또는 분사 헤드가 잉크 저장소와 일체형이 아닌 잉크-젯 방식의 화상 전송 장치를 퍼지시키는 단계를 최적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장소가 공백 상태인 경우에는 잉크 저장소를 단지 풀(full) 상태로만 대체시켜야 하며, 약간의 잉크를 펌프하여 헤드에 연결된 채널에 내포된 공기를 퍼지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잉크 저장소의 교환 후 펌프되는 잉크량을 제한시킨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검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바람직한 제1특징에 따르면, 전달 수단은 발생 수단과 잉크 전사 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캐패시터는 잉크 전사를 트리거시키는 수단과 잉크 전사 수단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용량성 효과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되어진다.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경우에, 화상 전송 장치는 상기 다수의 전사 수단 각각에 대해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전사 수단 중 하나에 대해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전사 수단 중 상기 하나의 전사 수단에만 에너지를 전달시킨다. 따라서, 각 전사 수단의 동작을 다른 전사 수단과 독립하여 검사할 수 있으므로, 모든 전사 수단 중에서 결함이 있는 임의 전사 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제1캐패시터는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에 의해 형성된 극(pole)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와 접촉하여 제조를 복잡하게 하고 비용을 상승시키는 금속 전극의 설치를 배제할 수 있다.
트리거 수단과 잉크 전사 수단 사이에 절연재(insulant)가 배치된 경우, 절연재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트리거 수단에 위치된 극과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에 의해 형성된 극 사이에 제1캐패시터의 유전체를 형성시키기에 적합한 소정 두께의 영역을 구비한다. 소정 두께의 영역은 단일의 잉크 전사 수단에만 에너지를 전달시키도록 위치 설정되어진다.
잉크의 특성이 변화될 때, 예를 들어, 건조 또는 잉크 전사 수단 내에 소량의 잉크가 존재하여,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에 영향이 미칠 경우, 제1캐패시터의 전기적 특성도 또한 변화하여, 에너지의 전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잉크 전사 수단 내에서의 잉크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검출 수단은 제2캐패시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검출은 용량성 효과에 의해 행해진다.
유리하게도, 제2캐패시터는 전도성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제1극과 잉크에 의해 형성된 제2극을 가지며, 전도성 플레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절연재로 형성되며 잉크를 내포하며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소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잉크와 접촉하는 전극의 설치를 방지시킬 수 있으므로, 잉크 저장소의 제조가 단순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에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이 전기 신호의 에너지를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중 단일의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되어 있는 잉크에 전달시키는 단계와,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에너지에 따라 상기 단일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들은 잉크 전사 수단 각각마다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검출 단계는 검출된 상기 에너지를 나타내는 제1신호를 도출해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생성 단계는 제1신호를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잉크 전사 채널을 포함하는 화상 전송 수단용 인쇄 헤드로서,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채널의 각 채널마다 상기 채널에 내포된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상 전송 장치용 잉크 저장소로서, 저장소에 내포된 잉크에 대향하여 저장소의 외면 상에 배치된 전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저장소에 관한 것이다.
인쇄 헤드 및 저장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장치 및 방법의 장점들과 동일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시된 여러 실시예들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송 장치(10)가 잉크-젯 프린터 내에 포함되어 인터페이스 회로(106)에 연결된 병렬 입력 포트(107)를 통해 인쇄해야 할 데이타 DI를 수신한다. 회로(106)는 증폭 회로(114)를 통해 잉크 카트릿지(111)를 제어하는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에 연결된다.
화상 전송 장치(10)는 개략적으로 참조 부호(11)로 도시되는 임의 화상 또는 데이타 처리 장치와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참조 부호(11)는 총괄적으로 잉크-젯 프린터 또는 레이저 프린터 등의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기를 지시할 수 있다. 화상 전송 장치(10)의 다른 구성 성분들은 숙련자들에게는 공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도시 및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잉크 카트릿지(111)는 교체 가능하며 병진시에 좌우 이동하는 캐리지 상에 장착되며 모터(102)에 의해 작동되어진다. 잉크 카트릿지(111)는 본질적으로 잉크 저장소(112) 및 다수의 잉크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은 제2도에 도시되며 이하에서 간략히 기술되어진 인쇄 헤드 즉 분사 헤드(113)에 포함된다.
프린터는 또한 판독 전용 메모리(103)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109)에 관련된 주 데이타 처리 회로(100)를 포함한다. 판독 전용 메모리(103)는 주 처리 회로(100)에 관한 오퍼레이팅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한편,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에도 관련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109)는 인터페이스 회로(106)를 통해 수신된 데이타 DI와 주 처리 회로(100)에 의해 처리되어진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주 처리 회로(100)는 디스플레이(104)에 연결되어, 프린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메시지에 대한 표시를 제어한다. 주 처리 회로(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키패드(105)에 연결되어, 사용자는 이것을 통해 오퍼레이팅 코맨드를 프린터에 전달할 수 있다.
주 처리 회로(100)는 또한 증폭 회로(101)를 통해 모터(102)에도 연결된다. 모터(102)는 인쇄 카트릿지(111)를 운반시키는 캐리지를 이동시킨다. 모터(102)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이다.
주 처리 회로(100)는 최종적으로 퍼지 펌프(118)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117)에 연결된다. 퍼지 펌프(118)는 인쇄 헤드(113)를 퍼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헤드(113)는 한편으로는 필터에 의해 잉크 저장소(112, 제1도)에 연결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잉크 분사 수단(208)에 연결된 접합 파이프(200)를 포함한다. 잉크 분사 수단(208)은 다수의 동일한 병렬 잉크 전사 수단, 즉 분사 채널(204)을 포함한다. 분사 채널(204)은 알루미늄 기재 플레이트에 의해 자체가 반송되어지는 실리콘 플레이트(206) 상에 배열된다. 또한 분사 채널(204)은 실리콘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유리 구조체(207)와 통합된다. 분사 채널(204)은 인쇄해야 할 시트에 대향하여 위치된 프론트 플레이트(209)에서 한정된 각각의 잉크 분사 오리피스(203)에서 종단된다. 모든 오리피스(203)는 직선 세그먼트를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제2도에서는 단지 6개의 분사 채널(204)만이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는, 인쇄 헤드는 통상적으로 수십개의 분사 채널, 예를 들어 64개의 분사 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분사 채널(204)은, 예를 들어, 전기-열 변환기(electro-thermal coverter)를 구성하는 저항(205) 형태의 트리거 성분을 밀폐시킨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트리거 성분은 압전 성분이다. 종이와 같은 인쇄 매체에 대해 인쇄 헤드의 각 위치마다 인쇄해야 할 데이타에 따라, 저항(205)에는 소정이 시간 동안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 공급되어진 저항(205)에서 소산되는 에너지는 대응하는 분사 채널(204)에 내포되어진 소량의 잉크를 증발시킨다. 이러한 증발로 인해 잉크 증발 기체의 버블이 형성되어, 버블에 의한 압력 영향 하에서 대응하는 오리피스로부터 잉크 액적이 분사되어진다.
제3도를 참조해 보면, 인쇄 헤드(113)는 64개의 분사 채널(204)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인쇄 헤드(113)는 분사 채널(204)과 통합되는 전기-열 변환기를 구성하는 64개의 동일한 가열 저항(205)과, 64개의 다이오드(31)를 포함한다. 각 저항(205)은 다이오드(31)와 직렬 접속되며 이러한 직렬 접속에 의해 8개 입력 CM1 내지 CM8 중 하나와 8개 출력 SG1 내지 SG8 중 하나가 다이오드(31)의 캐소드가 되는 매트릭스 네트워크의 브랜치가 형성된다. 각각의 브랜치는 분사 채널(204)에 관련되며 이 채널을 트리거시키는 회로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입력 CM1 내지 CM8을 공통 접속점이라 칭하며, 출력 SG1 내지 SG8을 세그먼트 접속점이라 칭하기로 한다.
임의 공통 접속점 CM1 내지 CM8은 관련된 다이오드(31)의 애노드에 접속된 저항(205)을 포함한 브랜치를 통해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 각각에 병렬로 접속된다. 다이오드(31)의 캐소드는 당해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에 접속된다. 임의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은 상술된 브랜치에 의해 공통 접속점 CM1 내지 CM8 각각에 병렬로 접속된다.
전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은 각 채널에 대한 개개의 분사 신호를 나타내며 접합 파이프(200) 및 인쇄 헤드(113)의 잉크를 통해 저장소(112) 내에 내포되어 있는 잉크에 연결된다. 각 채널에 대한 분사 신호는 구조적으로 잉크에 대한 절연재가 거의 제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통과하여 용량성 효과에 의해 잉크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잉크는 이들 지점이 전위에 따라 편극되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그먼트 접속점과 잉크 간의 관계는 저항성 타입으로 되어 있다.
제4도를 참조해 보면, 전류 펄스를 저항(205)에 공급하는 증폭 회로(114)는 8개의 입력과 8개의 출력을 갖는 전치 증폭기(41)를 포함한다. 전치 증폭기(41)의 입력은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의 8개의 제어 출력 COM1 내지 COM8에 접속된다. 제어 출력 COM1 내지 COM8 각각은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를 간단히 하기 위해 COM1 내지 COM8로 나타낼 수 있다.
전치 증폭기(41)의 출력은 전류원(44)에 접속된 스위칭 증폭기(43)의 8개 입력 각각에 접속된다. 스위칭 증폭기(43)의 8개 출력은 인쇄 헤드(113)의 공통 접속점 CM1 내지 CM8에 각각 접속된다.
접속점 CM1 내지 CM8에는 제어 신호 COM1 내지 COM8에 따라 전류원(44)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어진다.
제2스위칭 증폭기(42)는 8개 입력 및 8개 출력을 포함한다. 제2스위칭 증폭기(42)의 입력은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가 8개 출력 SEG1 내지 SEG8에 접속된다. 제어 출력 SEG1 내지 SEG8 각각은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를 간략히 하기 위해 SEG1 내지 SEG8로 표시할 수 있다.
제2스위칭 증폭기(42)의 출력은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에 각각 접속된다. 제2스위칭 증폭기(42)는 공통 접지 접속부를 포함하며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 중 하나에 대응하는 입력 SEG1 내지 SEG8에 신호가 인가될 때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중 하나를 접지에 접속시킨다.
따라서, 공통 접속점에 전류가 공급되며 세그먼트 접속점이 접지에 연결되면,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에서 발생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저항(205)을 통해 전류가 설정된다. 따라서, 분사 채널(204)은 잉크를 분사한다.
증폭 회로(114)는 프린터에 포함되어 있다.
제5도를 참조해 보면, 화상 전송 장치는 인쇄 카트릿지(111)를 반송시키는 캐리지(60)를 포함한다. 캐리지(60)는 안내 레일(67)에 의해 형성된 이동 경로 상에서 좌우 이동으로 구동되어진다. 모터(102)는 벨트 장치(63)에 의해 캐리지(60)를 구동시킨다. 이동 경로는 종이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인쇄 매체 상의 라인과 평행한다.
인쇄 매체는 안내 및 베어링 롤러(68)에 의해 안내 및 보유되어진다.
인쇄 매체 상의 라인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잉크 카트릿지는 무엇보다도 먼저 초기 위치에서는 인쇄해야 할 라인의 출발점과 대향하여 위치된 후,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에 의해 잉크 액적이 인쇄해야 할 데이타에 따라 분사되면서 잉크 카트릿지(111)는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한다. 라인이 인쇄되었으면, 잉크 카트릿지는 초기의 위치로 복귀한다.
변형예로서, 화상 전송 장치는 가동 인쇄 헤드와, 가요성 채널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고정된 저장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예를 들어 천(cloth)을 인쇄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변형예로서, 화상 전송 장치는 부피가 축소되어진 저장소에 연관된 인쇄 헤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쇄 헤드 및 저장소는 이동 가능하다. 헤드의 저장소는 부피가 큰 고정된 제2저장소에 의해 주기적으로 채워진다.
상술된 프린터는 통상적인 것으로 숙련자에게는 공지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잉크가 정상 인쇄 과정 중에 에너지를 전달 받는다는 사실은 저장소 내에 잉크가 존재하거나, 저장소가 공백인지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저항(205)에 인가되어진 에너지의 일부가 분사 채널(204)에 존재하는 잉크에 전달되고 다음에는 접합 파이프(200)를 통해 저장소(112)내에 내포된 모든 잉크로 전달되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잉크로 전달되어진 에너지에 의해 전자기 방사가 발생된다. 이 전자기 방사는 분사 채널 내에 잉크가 존재함으로써 측정된다. 분사 채널 내에 더 이상의 잉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자기 방사는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는 일반적인 의미로는, 잉크 저장소의 동작을 검사할 목적으로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시키는 수단과, 잉크로 전달되면 에너지를 분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프린터는 특히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에너지를 검출하는 수단은 잉크로 전달되어진 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 방사를 전기 잉크 분사 제어 신호에 의해 감지하는 수단이다. 프린터는 또한 감지된 전자기 방사를 저장소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검출기(116)는 자체가 주 처리 회로(100)에 연결되어 있는 변환 회로(115)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검출기(116)는 전자기 센서(116a)가 된다. 전자기 센서(116a)는 인쇄 헤드(113)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된 전자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전자기 센서(116a)는 전기 신호를 변환 회로(115)에 공급하며, 변환 회로(115)는 이에 응답하여 주 처리 회로(110)에 잉크의 존재 또는 부재에 대한 2진 데이타의 아이템(item)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전자기 센서(116a)는 리본과 같은 긴 금속 성분이다. 전자기 센서(116a)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전자기 센서(116a)는 캐리지(6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캐리지(60)의 전체 이동 길이를 연장하므로 잉크 카트릿지(111)의 전체 이동 길이를 연장한다. 전자기 센서(116a)는 잉크 카트릿지(111)의 이동 경로와 거의 평행하다. 전자기 센서(116a)는 인쇄 장치의 구조체 일부에 접속된다. 전자기 센서는 서류의 인쇄 중에 저장소(112)에 내포된 잉크로 에너지가 전달되어짐으로써 초래되는 전자기 방사를 검출한다. 전자기 센서(116a)의 긴 구성과 잉크 카트릿지(111)의 이동 경로 상에서의 배치 덕택에, 잉크 카트릿지(111)가 이동 경로 상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든지 검출이 행해진다.
여기서 기술된 전자기 센서(116a)는 안테나로서 가능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에너지의 전달,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전자기 방사는 분사 채널(204)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에 의해 결정된다. 잉크가 분사 채널(204)에 공급할 정도의 충분한 양이 저장소에 내포되어 있으면, 에너지는 저장소에 내포되어 있는 잉크로 전달되어진다. 이것으로부터 전자기 방사가 검출 가능해진다. 반대로, 분사 채널에 공급할 정도로 저장소 내에 잉크가 충분히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에너지는 저장소에 내포된 잉크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기 방사도 검출되지 않는다.
저장소 내의 잉크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전자기 센서(116a)는 저장소내에 내포된 잉크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에너지의 전달로 유발되어지는 전자기 방사를 검출함으로서 검출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인쇄의 방해를 초래하는 분사 채널 내에 공기 버블이 존재할 경우, 이들 공기 버블은 저장소 내에서의 잉크의 부재와 동일하게 전자기 센서(116a)에 의해 검출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여러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전자기 센서를 캐리지 또는 잉크 저장소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센서는 검출해야 할 잉크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전자기 센서는 잉크 카트릿지(111)의 이동 길이 전체를 연장하지 않고, 단지 이 이동 거리의 영역만을 연장한다. 특히, 전자기 센서는 분사 헤드를 클리닝시키도록 작용하는 퍼지 펌프(118)에 근접 위치될 수 있다. 이 전자기 센서는 특히 제12도를 참조하여 기술되는 제3알고리즘 실시예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단지 하나의 전자기 센서만을 갖추고 있지만,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개의 센서를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헤드는 소정의 시점에서 잉크 전사 수단 중 임의 하나, 이 경우에는 채널(204) 중 임의 하나에 내포된 잉크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변형되어진 후, 그로부터 당해 전사 수단의 동작, 이 경우에는 당해 채널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해 저장소 내의 잉크로 에너지 전달이 일어났는지를 검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는 일괄적인 의미로는,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검사할 목적으로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과, 잉크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분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프린터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전기 신호의 에너지를 잉크 전사 수단에 내포된 잉크로 전달하는 수단, 잉크로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한 수단, 및 검출된 에너지에 따라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접합 파이프(200)에 의해 인쇄 헤드(113)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11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저장소(112)는 잉크를 함유한 스폰지 바디가 위치되어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케이싱(119)으로 형성된다. 검출기(116)는 케이싱(119)의 외면에 대향하여 위치되어진 전도성 플레이트(116b)가 된다. 전도성 플레이트(116b)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인 금속이나, 또는 다른 전도성 재질로 제조된다. 케이싱(119)은 적어도 플레이트(116b)와 잉크 사이에 위치되어진 영역에서는 절연성이다. 플레이트(116b)는 플라스틱 플레이트(120)로 커버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충격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저장소(112) 내에 내포된 잉크와 플레이트(116b)가 캐패시터(121)를 구성한다. 저장소(112) 내에 내포된 잉크와 플레이트(116b) 사이에 위치되어진 케이싱(119)의 영역은 캐패시터(121)의 유전체를 형성한다.
금속 플레이트(116b)는 자체가 주 처리 회로(100)에 연결된 변환 회로(115, 제1도)에 연결된다. 금속 플레이트(116b)가 저장소(112)로부터 나오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플레이트(116b)는 전기 신호를 변환 회로(115)에 공급하고, 변환 회로(115)는 이것에 응답하여 주 처리 회로(100)에 잉크 분사 수단의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7도는 검출기(116)에 의해 공급된 신호를 기준 신호 TR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논리 신호 EL을 공급하는 비교기(73)를 포함한 변환 회로(115)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변환 회로(115)는 엔벨로프 검출기(72)에 연결된 증폭기(71)를 포함한다. 엔벨로프 검출기(72)는 비교기(73)의 제1입력에 연결된다. 조정 가능한 전압 발생기(74)는 비교기(73)의 제2입력에 연결된다. 비교기(73)로부터의 출력은 주 처리 회로(10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변환 회로(115)는 엔벨로프 검출기를 포함하지 않아 증폭기가 직접 비교기에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변환 회로와 동일하다.
검출기(116)는 전기 신호 S1을 증폭기에 공급하며, 증폭기(71)는 전기 신호 S1을 후속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류 및 전압으로 증폭시킨다. 전기 신호 S1은 잉크 저장소 및 잉크 분사 수단의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의 함수로 된다.
제1실시예의 경우, 전기 신호 S1은 특히, 검출된 전자기 방사와 저장소에 포함된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 그리고 저장소 내에서의 잉크의 유무의 함수가 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전기 신호 S1은 특히 잉크 분사 수단의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의 함수가 된다.
제1실시예의 경우, 증폭기(71)는 증폭되어진 신호 SA를 증폭되어진 신호의 진폭을 결정하는 엔벨로프 검출기(72)에 공급한다. 엔벨로프 검출기(72)로부터 나온 출력 신호 S2는 비교기(73)에 공급되어 발생기(74)에 의해 공급되는 연속 조정 가능한 기준 전압 TR과 비교된다. 기준 전압 TR의 값이 판정 임계치가 되며 이것의 선택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증폭기(71)는 증폭되어진 신호 SA를 비교기(73)에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한 기준 전압 TR과 비교한다.
기준 전압 TR을 조정함으로써 검출기(116)에 관련된 변환 회로(115)의 전체 이득을 판정 임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엔벨로프 검출기(72)가 신호 S2를 발생기(74)에 의해 공급된 판정 임계치 TR 이상으로 공급하면, 비교기(73)는 주 처리 회로(100)에 논리 하이, 즉 1(TTL 레벨) 상태 EL을 공급한다. 반대 경우, 비교기(73)는 주 처리 회로(100)에 논리 로우, 즉, 0 상태 EL을 공급한다.
제8도는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에 의해 발생되어진 제어 신호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출력 COM1 내지 COM8에 각각 공급된 신호 COM1 내지 COM8은 연속적이며 주기적으로 정해진 주기 동안 하이 레벨로 되어 공통 접속점 CM1 내지 CM8은 대응하는 제어 펄스 주기 전체를 통해 연속적으로 선택된다. 임의 순간에, 선택된 공통 접속점 CM1 내지 CM8에 대응하는 8개 브랜치(205,31) 그룹에서는 전류가 통과하기가 쉽다.
동시에, 신호 SEG1 내지 SEG8은 재현되어야 하는 데이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생된다. 하이 레벨인 신호 SEG1 내지 SEG8은 각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을 선택한다.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의 출력 SEG1 내지 SEG8에 나타나는 각 펄스(하이 레벨)는 출력 COM1 내지 COM8에 공급되는 펄스의 주기의 약 절반 동안 지속된다. 홀수 열의 펄스 SEG1, SEG3, SEG5 및 SEG7은 대응하는 펄스 COM1 내지 COM8의 제1절반 동안 발생되는 한편, 짝수 열의 펄스 SEG2, SEG4, SEG6 및 SEG8은 대응하는 펄스 COM1 내지 COM8의 제2절반 동안 발생된다.
신호 COMn 및 SEGm은 분사 채널(204)중 하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공통 접속점 CMn(n은 1과 8 사이)과 세그먼트 접속점 SGm(m은 1과 8 사이) 간의 브랜치(205,31)에 대응하는 분사 채널(204)에는 해당 공통 접속점 및 세그먼트 접속점이 동시에 선택되어지는 시간 주기 동안 전류가 통과한다.
따라서, 제8도의 예에서, 공통 접속점 CMn에 인가된 제어 신호 COMn은 시간 주기 t0내지 t3동안은 하이 레벨이며, 세그먼트 접속점 SGm에 인가된 제어 신호 SEGm은 시간 주기 t1내지 t2동안 하이 레벨이며, t0, t1, t2및 t3는 t0<t1<t2<t3관계가 성립되는 순서이다.
따라서, 공통 접속점 CMn과 세그먼트 접속점 SGm 간의 브랜치(205,31)에는 시간 t1내지 t2의 주기 동안 전류가 통과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COMn과 SEGm은 잉크 저장소의 동작을 검사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COMn 및 SEGm은 이들에 관련된 분사 채널의 동작을 검사하는데 이용된다.
제9도는 제8도의 제어 신호 COMn 및 SEGm이 인쇄 헤드(113)에 인가될 때 가능한 두가지 경우의 동작에 각각 대응하는 증폭기(71)에서 증폭되어진 신호 SA1 및 SA2의 두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변형예에서, 잉크 저장소 및 분사 채널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해 인쇄 헤드(113)에 인가되어진 전기 신호는 특유한 것으로 인쇄 제어 신호와는 다른 것이다. 예를 들어, 펄스는 잉크를 분사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인쇄용 펄스의 지속 기간 보다는 짧지만, 잉크에 에너지를 전달할 정도로 충분히 길다.
전기 신호는 제어 회로(110)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정 회로를 제공하여 잉크 저장소 및 분사 채널을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할 수도 있다.
제1신호 SA1은 잉크 저장소 및 인쇄 헤드의 정상 동작에 대응하는데, 즉 잉크는 저장소 및 분사 채널(204)에 존재한다. 신호 COMn 및 SEGm은 이들에 관련된 저항(205) 다이오드(31)를 통해 전기 신호가 통과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 전기 신호는 해당 채널(204)에 포함되어 있는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시킨다. 다음에 에너지는 저장소(112) 내에 포함된 잉크로, 그 다음에는 회로(115)로 전달된다.
임계치 TR은 제어 신호 COMn의 하이 레벨과 제어 신호 SEGm의 동시성 로우 레벨에 대응하는 시간 t0내지 t1주기 및 시간 t2내지 t3주기 동안 신호 SA1이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선택된다.
제어 신호 COMn 및 SEGm의 하이 레벨에 대응하는 시간 t1내지 t2주기 동안, 신호 SA1은 네가티브로 되므로, 임계치 TR 이하로 된다. 제2신호 SA2는 해당 채널(204) 내에 더 이상의 어떠한 잉크라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응한다. 임계치 TR은 거의 주기 t0내지 t3동안, 적어도 임계치 TR에 대한 제2선택 기준을 제공하는 주기 t1내지 t2동안 임계치 TR 이상으로 되도록 선택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치 TR은 2 볼트이며, 신호 SA1 및 SA2는 최대치 2.5 볼트를 갖는다.
제10도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의 제1실시예는 인쇄 장치의 판독 전용 메모리(103)에 기억된다. 이 알고리즘은 단계(E10 내지 E16)를 포함하는데, 이들 단계는 인쇄 장치 조립체의 예인 데이타 인쇄 및 제어 프로그램과 병렬로 통과한다. 이 알고리즘은 잉크 저장소의 동작을 검사한다.
단계(E10)는 서류의 페이지 인쇄 개시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에 대한 초기화 단계이다. 단계(E10)에 이어서 단계(E11)가 후속하는데, 단계(E11)는 라인 스킵(line skip)이 잉크 카트릿지(111)를 이동시키는 캐리지(60)에 의해 행해지는지에 대한 검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라인 스킵은 캐리지가 헤드를 수평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는 사실과 동시에 인쇄해야 할 데이타의 부재에 의해 식별된다. 응답이 예(positive)이면, 알고리즘은 단계(E11)로 복귀한다. 이것은 신호 COM1 내지 COM8 및 SEG1 내지 SEG8 중 어느 것도 잉크를 분사하도록 헤드에 인가되지 않아 인쇄에 의한 전자기 방사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알고리즘은 단계(E12)로 진행한다. 이 경우, 캐리지는 인쇄 매체와 대향하여 병진으로 이동할 것이다. 신호 COM 및 SEG가 활성화되어 잉크가 인쇄해야 할 문자를 형성하도록 분사된다. 전자기 방사는 잉크 카트릿지(111)에서 발생되어 센서(116a)에서 감지된 후 변환 회로(115)에서 처리되어지며, 변환 회로(115)는 주 처리 회로(100)에 잉크 카트릿지(1111)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를 공급한다. 논리 상태 EL은 저장소(112) 내에 포함된 잉크로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한 결과이다. 단계(E12)에서, 주 처리 회로(100)는 논리 상태 EL의 값을 판독하여 그것을 랜덤 액세스 메모리(109)에 기억시킨다.
다음 단계(E13)는 캐리지(60)가 라인 인쇄의 종료에 상응하는, 페이지의 엣지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지를 검사한다. 응답이 아니오인 동안은, 즉 현행 라인이 완전히 인쇄되지 않았으면, 알고리즘은 단계(E12)로 복귀한다. 단계(E12 및 E13)로 형성되는 루프는 라인 인쇄에 대응하는 일련의 논리 상태 EL을 기억한다. 캐리지가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할 경우, 알고리즘은 단계(E14)로 진행한다.
알고리즘은 단계(E14)에서 적어도 하나의 논리 하이, 즉 EL이 단계(E12)에서 기억되어졌는지를 검사한다.
응답인 예이면, 정상 동작에 대응하는 방사 검출에 대응하는데, 즉 저장소(112) 내의 잉크의 존재에 대응한다. 다음에 알고리즘은 단계(E11)로 복귀하여 다음 라인의 인쇄를 테스트한다.
단계(E14)에서 아니오 응답은 저장소(112) 내 잉크의 부재에 대응한다. 다음에 알고리즘은 단계(E15)로 진행하여 알고리즘은 디스플레이(104) 상에서 사용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 현재의 인쇄는 중단되고 아직 인쇄해야 할 데이타는 기억되어진다.
다음 단계(E16)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중재 대기 이루어진다. 오퍼레이터가 빈 카트릿지를 새로운 잉크 카트릿지로 교체하면, 오퍼레이터는 장치를 정상 동작 모드로 재개시키는 키패드(105) 상의 리셋트 버튼을 작동시킨다. 다음에 알고리즘은 단계(E10)로 복귀한다.
변형예로서, 단계(E12)는 논리 상태 EL이 하이인 경우에는 이것을 기억한다. 각 인쇄 라인의 시작 시에 작업 변수(working variable)는 0으로 초기화시킨다. 작업 변수는 라인에 대응하는 단계(E12 내지 E13) 동안 행해진 단계(E12)에서 적어도 하나의 논리 하이가 판독될 경우 1과 동일하다. 단계(E14)는 작업 변수의 값을 테스트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단계(E14)는 신호 COM1 내지 COM8 및 SEG1 내지 SEG8과 논리 상태 EL 간의 상관 측정을 이용하며, 판정의 품질을 개선시킨다. 논리 상태 EL에 대한 판독은 신호 전파 시간을 고려하여 신호 COM1 내지 COM8 및 SEG1 내지 SEG8 후에만 일어난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배경 노이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다른 변형에 따르면, 테스트는 라인마다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소정이 시간 주기에 따라 행해진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알고리즘은 제1도에서 도시된 인쇄 장치의 판독 전용 메모리(103)에 기억된다. 이 알고리즘은 잉크 저장소의 동작을 검사한다.
알고리즘은 단계(E20 내지 E27)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는 특히 저장소와 분사 헤드를 각각 구비하는 여러개의 잉크 카트릿지를 갖는 잉크-젯 방식이 화상 전송 장치에서 잉크의 존재를 검사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칼라 프린터이다. 잉크의 존재 유무에 대한 테스트는 두 페이지에 대한 인쇄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단계(E20)에서, 인쇄 헤드는 인쇄 매체 외측에 위치된 영역에 대향하여 위치되는데, 예를 들어, 잉크 버블의 분사 헤드를 클리닝하도록 작용하는 퍼지 펌프와 동일 레벨에 위치된다.
선택 변수 n은 1로 초기화된다. 변수 n은 여러 저장소 및 관련된 분사 헤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N=4의 여러 칼라의 잉크 저장소의 경우에, 변수 n과 저장소 간의 대응 관계는
n=1 : 선택된 흑색 저장소
n=2 : 선택된 황색 저장소
n=3 : 선택된 시안 저장소
n=4 : 선택된 마젠타 저장소
다음 단계(E21)에서, 잉크 분사 제어 회로(110)는, 예를 들어, 저장소 N에 대응하는 칼라의 잉크의 10개 액적을 분사하는데 필요한 전기 펄스를 발생시킨다.
변형으로서, 발생된 전기 펄스는 에너지를 잉크로 전달시키기에 충분한 지속 기간을 가져 전자기 방사를 발생시키는 한편 잉크 액적의 분사를 허용하기에는 너무 짧다.
다음에, 단계(E22)는 주 처리 회로(100)에 비교기(73)에 의해 공급되는 논리 상태 EL에 대한 판독이다.
알고리즘은 판독된 논리 상태가 1과 동일한지를 단계(E23)에서 검사한다. 결과가 예이면, 이것은 잉크가 저장소 N 내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알고리즘은 단계(E25)로 진행한다. 결과가 아니오적이면, 이것은 저장소 N 내에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알고리즘은 단계(E24)로 진행하여,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4) 상에 사용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알람을 작동시킨다. 그 후, 알고리즘은 단계(E25)로 진행한다.
단계(E25)에서는 변수 n을 1단위씩 증가시켜 다른 저장소로 진행시킨다. 단계(E26)는 n이 5와 동일한지를 검사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단계(E26)에서 알고리즘은 단계(E21)로 복귀하여 다른 저장소를 테스트한다. 응답이 예이면, 이것은 프린터의 4개 저장소가 검사되어진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알고리즘은 단계(E27)로 진행하여 테스트를 진행한다.
제12도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이 제1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의 제3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판독 전용 메모리(103)에 기억된다. 알고리즘은 단계(E30 내지 E34)를 구비한다. 이 알고리즘은 특히 분사 헤드가 잉크 저장소와 일체형이 아닌 잉크-젯 방식의 화상 전송 장치에서의 잉크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구성은 저장소가 공백일 때 저장소만을 교체할 필요성이 있고 분사 헤드는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인쇄를 재개하기 전에 연결 채널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헤드로 퍼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공기의 완전한 퍼지를 보증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잉크가 펌프(118)에 의해 펌프되어지게 된다.
제3실시예는 잉크 저장소의 교환 동안 펌프되는 잉크의 양을 제한시킴으로써 펌프 단계를 최적화시킨다. 이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상술된 바와 같이 퍼지 펌프에 근접 위치된 전자기 센서를 사용한다.
단계(E30)는 분사 헤드를 퍼지 펌프(118)와 동일 레벨로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단계(E31)에서, 50개의 잉크 액적을 분사하는데 필요한 전기 펄스가 퍼지 펌프가 작동되는 동안 제어 회로(110)에서 발생된다.
단계(E32)에서 비교기(73)에 의해 주 처리 회로(100)로 공급되는 논리 상태 EL이 판독되어진다.
단계(E33)에서는 선택한 단계에서 판독되어진 논리 상태의 값을 테스트한다. 만일 0인 경우에는, 이것은 잉크가 분사 헤드의 레벨에 동일하지 못해 다른 퍼지 단계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알고리즘은 단계(E31)로 복귀한다.
판독되어진 논리 상태가 1인 경우에는 분사 헤드에 잉크가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치는 인쇄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알고리즘은 종료 단계(E34)로 진행한다.
변형으로서, 제3실시예는 상이한 칼라의 여러 잉크 저장소와 하나의 인쇄 헤드를 가지며, 또한 상이한 또 잉크색을 사용하는 사이에 인쇄 헤드의 채널을 클리닝하기 위한 퍼지 장치를 갖고 있는 칼라 프린터에도 쉽사리 적용될 수 있다.
제13도는 잉크 전사 수단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이 경우에는 분사 채널(204)을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분사 채널에 대한 실시예는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응한다. 채널(204)에 관련된 저항(205)은 저항(205)을 통해 전류가 흐를 때 채널(204)에 포함된 잉크를 가열시키기 위해 채널 부근에 위치된다. 저항(205)은 제13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자체가 세그먼트 접속점 SEG1 내지 SEG3에 연결된 다이오드(31)의 애노드(31a)에 연결된다.
당해 채널부에서, 전기 절연재(240)의 층이 본래의 분사 채널(204)과, 저항(205), 다이오드(31) 및 전기 접속부에 의해 형성된 전기 부품 사이에 개재된다. 절연재(240)의 층은 상이한 두께의 3개의 영역을 포함한다.
제1영역 Z1은 저항(205)과 채널(204) 사이에 위치된다. 이 영역은 평균 두께 E1을 갖는데, 즉 저항과 채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에는 충분한 한편, 저항에 전력이 공급될 때 저항에서부터 채널로 열이 통과할 정도로 충분히 낮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의 경우, 제2영역 Z2는 다이오드(31)의 애노드(31a)와 채널(204) 사이에 위치된다. 이 영역은 낮은 두께 E2를 가지며, 이것에 의해 다이오드(31)의 애노드(31a)와 채널(204)에 포함된 잉크 사이에서 생성되는 캐패시터(230)의 유전체가 형성된다. 다른 구성의 경우, 제2영역은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르게 설계된 소자들 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3영역 Z3는 접속부와 채널(204) 간에 위치되며 양호한 전기적 절연을 제공할 정도의 높은 두께 E3을 갖는다.
따라서, 당해 저항과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브랜치에 전기 신호가 인가될 경우, 이 신호의 에너지 일부가 낮은 두께의 절연재의 영역을 통한 용량성 효과로 인해 채널(204) 내에 포함된 잉크로 전달되어진다.
낮은 두께 E2의 절연재의 영역 Z2의 위치는 그 치수는 단지 선택된 하나의 채널로만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정해진다.
제14도를 참조해 보면, 공통 접속점 CM1 내지 CM8은 다이오드(31)와 직렬 접속된 저항(205)을 통해 모든 세그먼트 접속점 SG1 내지 SG8에 접속된다. 각 다이오드(31)의 애노드는 관련되어 있는 채널(204)에 포함된 잉크에 연결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잉크 간의 용량성 접속은 캐패시터(230)에 의해 표현되어진다.
당해 채널(204) 내에 잉크가 존재하면, 즉 잉크 저장소(112)의 잉크와 플레이트(116b) 사이에서 캐패시터(121)가 형성되어 있는 한 캐패시터(230)와 잉크 저장소(112) 사이에서 도통된다.
당해 채널(204) 내에 많은 잉크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캐패시터(230)와 저장소(112) 사이에서는 더 이상의 전기적 도통은 존재하지 않는다.
채널(204)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 유무는 스위치(22)로 표시되어진다.
제15도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인쇄 장치의 판독 전용 메모리(103)에 기억된다. 이 알고리즘은 채널(204) 각각의 동작을 연속으로 검사하기 위한 단계(E80 내지 E98)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109)는 1과 8 사이의 2개 정수인 두개의 작업 변수 m과 n의 현재값을 기억하고 2개의 논리 상태값 EL1 및 EL2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단계(E80)는 캐리지와 인쇄 헤드를 인쇄 매체 외부에 위치된 영역에 대향하여, 예를 들어 퍼지 펌프(118)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2개 변수 m 및 n은 1로 초기화시킨다. 변수 n은 1과 8 사이의 제어 신호 COMn과 등급에 관련되며, 변수 m은 1과 8 사이의 제어 신호 SEGm의 등급에 관련된다. m과 n의 최대값은 기술된 예의 경우 64와 동일한 분사 채널 수에 따른다.
단계(E80) 다음에는 신호 COMn에 대한 펄스(하이 레벨)를 발생시키는 단계(E81)가 후속되어진다. 발생된 신호 COMn은 단계(E81 및 E86)에 각각 대응하는 시점 t0과 t3사이에서 제8도에서 도시된 펄스이다. 여기서는 인쇄 헤드의 동작을 검사할 목적으로 발생되어진 신호 COMn은 인쇄를 위해 잉크를 분사하도록 발생된 신호와 동일하다.
변형으로서, 단계(E81)와 단계(E86) 사이에서 발생된 펄스는 인쇄 펄스보다는 지속 기간이 짧아 잉크를 분사시키지 않지만,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할 정도로 충분히 길다.
신호 COMn은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시킨다. 이 에너지는 전도성 플레이트(116b)를 통해 검출되어진 후, 변환 회로(115)에서 처리되어지며, 변환 회로(115)는 주 처리 회로(100)에 인쇄 헤드(113)의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하이, 즉 로우 논리 상태 EL을 공급한다. 논리 상태 EL은 저장소(112) 내에 포함된 잉크로 전달되어진 에너지의 검출 결과이다. 단계(E82)에서, 주 처리 회로(100)는 논리 상태 EL의 값을 판독하여 그것을 변수 EL1 하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109)에 기억시킨다.
다음 단계(E83)는 신호 SEGm에 대한 펄스(하이 레벨)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발생된 신호 SEGm은 단계(E83 및 E85)에 각각 대응하는 시점 t1과 t2사이에서 제8도에서 도시된 펄스이다. 신호 COMn과 동일하게, 신호 SEGm은 인쇄 헤드의 동작을 검사할 목적으로 발생되어진 신호 COMn은 인쇄를 위해 잉크를 분사하도록 발생된 신호와 동일하다.
변형으로서, 단계(E81)와 단계(E86) 사이에서 발생된 펄스는 인쇄 펄스보다는 지속 기간이 짧아 잉크를 분사시키지 않지만,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할 정도로 충분히 길다.
단계(E84)에서, 주 처리 회로(100)는 논리 상태 EL의 값을 판독하여, 변수 EL2 하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109)에 기억시킨다.
신호 SEGm은 단계(E85)에서 로우 레벨로 복귀하며 신호 COMn은 단계(E86)에서 로우 레벨로 복귀한다.
다음에 알고리즘은 단계(E87)로 진행하여 변수 EL1이 1과 동일한지를 테스트한다.
단계(E87)에서의 아니오 응답은 저장소(112) 내에서의 잉크의 부재에 대응한다. 알고리즘은 단계(E88)로 진행하며 이 정보를 기억하고 다음에 단계(E89)로 진행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4) 상에서 사용자의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알람을 발생시킨다.
단계(E87)에서의 예 응답에 후속하여 변수 EL2가 1인지를 테스트하는 단계(E90)가 이어진다. 예 응답은 당해 채널(204) 내에서의 잉크의 부재에 대응한다. 이 정보는 단계(E91)에 기억되며 알람은 단계(E92)에서 발생된다. 알람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4) 상에서의 에러 신호의 표시이다.
단계(E90)에서의 아니오 응답과 단계(E89 및 E92)에 후속하여 단계(E93)가 이어지는데, 단계(E93)에서는 변수 m이 8과 동일한지를 테스트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이것은 아직도 채널이 테스트 중인 것을 의미하며, 변수 m은 단계(E84)에서 1만큼 증분되면 알고리즘은 단계(E81)로 복귀하여 다른 채널에 대해 상술된 단계들은 실행한다.
단계(E93)에서 응답이 예이면, 알고리즘은 단계(E95)로 진행하여 변수 n이 8과 동일한지를 테스트하는데, 즉 모든 채널(204)이 테스트되었는지를 테스트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이것은 아직도 채널이 테스트 중인 것을 의미하며, 단계(E96)에서 변수 n은 1만큼 증분되고 변수 m은 1로 재초기화된다. 알고리즘은 단계(E81)로 복귀하여 다른 채널에 대해 상술된 단계들을 실행시킨다.
단계(E95)에서 응답이 예이면, 모든 채널은 테스트되어져 알고리즘은 테스트 종료 단계(E98)로 진행한다.
물론, 본 발명은 도시 및 기술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은 여러가지의 변형 및 수정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Claims (65)

  1. 화상 전송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잉크 전자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하는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
    상기 잉크 저장소에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에 전달된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에너지를 분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부품 동작 검사 장치.
  2. 적어도 하나의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화상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
    상기 잉크 저장소에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에 전달된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에너지를 분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
  3. 화상 전송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하는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기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상기 전기 신호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
    상기 잉크 저장소에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에너지에 따라 상기 부품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부품 동작 검사 장치.
  4. 적어도 하나의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화상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전기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상기 전기 신호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
    상기 잉크 저장소에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에너지에 따라 상기 부품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은 상기 잉크 전사 수단용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사해야 할 상기 부품의 동작은 상기 잉크 저장소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 유무에 대한 검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에너지를 상기 잉크 저장소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들에 의해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며,
    감지된 상기 전자기 방사를 상기 잉크 저장소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수단은 안테나를 구성하는 금속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수단은 금속 리본(metal ribb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잉크 전사 수단은 이동 경로 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수단이 상기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수단은 상기 잉크 저장소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전자기 방사를 변환시키는 수단은,
    상기 감지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잉크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사해야 할 상기 부품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발생 수단과 상기 잉크 전사 수단 사이에 배치된 제1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는 잉크의 전사를 트리거(trigger)하는 수단과 상기 잉크 전사 수단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는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의해 형성되어진 극(pol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수단과 상기 잉크 전사 수단 사이에 절연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재를 상기 트리거 수단에 위치한 극과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의해 형성되어진 상기 극 사이에 상기 제1캐패시터의 유전체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두께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들에 대해,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들 각각에 대해 에너지를 전달하는 다수의 전달 수단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 수단들 각각은 상기 잉크 전사 수단들 중 하나에만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제2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패시터는 전도성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진 제1극과 상기 잉크에 의해 형성되어진 제2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는 잉크를 담고 있는 상기 잉크 저장소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검출된 상기 에너지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화상 전송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하는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잉크 저장소에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로 전달된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해서,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에너지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동작 검사 방법.
  26. 화상 전송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구비하는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기 신호의 에너지를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잉크 저장소에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에너지에 따라 상기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동작 검사 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검사해야 할 상기 부품의 동작은 상기 잉크 저장소 내에서의 잉크의 존재 유무에 대한 검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동작 검사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의 전사와 동시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동작 검사 방법.
  29. 화상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기 신호들을 이용하는 제어 수단에 의해서 잉크 저장소로부터 인쇄 매체로 잉크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소에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 전사 단계와 동시에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방법.
  30. 제25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에너지가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잉크로 전달되어질 때 상기 잉크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5항, 제26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해야 할 라인마다,
    상기 라인의 인쇄와 동시에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에너지가 임계치 이하이면 인쇄를 중단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에너지가 임계치 이하가 아니면 인쇄를 계속해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5항, 제26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개의 잉크 저장소를 구비한 잉크-젯 방식의 화상 전송 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전사 수단을 상기 인쇄 매체 외측에 위치되어진 영역과 대향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전자 수단에 의한 잉크 분사를 소정 수의 잉크 액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잉크 분사와 동시에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잉크 저장소마다 상기 제어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에너지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알람(alarm)을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단계, 상기 제어 단계, 상기 검출 단계, 상기 반복 단계 및 상기 작동 단계는 서류의 두 페이지에 대한 인쇄 사이에서 수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25항, 제26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수단을 상기 인쇄 매체 외측에 위치되어진 영역과 대향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한 잉크 분사를 소정 수의 잉크 액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잉크 분사와 동시에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에너지가 임계치 이하인 동안 상기 제어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매체 외측에 위치한 상기 영역은 상기 잉크 전사 수단을 퍼지(purge)시키기 위한 펌프와 동일 레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검사해야 할 상기 부품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사 수단의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화상 전송 장치에서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기 신호의 에너지를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들 중 하나에 담겨 있는 잉크에 전달하는 단계;
    잉크 저장소에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상기 에너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에너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들중 하나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 검사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전사 수단 각각에 대해 상기 발생 단계, 상기 검출 단계 및 상기 생성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 검사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검출된 에너지를 나타내는 제1신호를 유도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 검사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 검사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제1신호와 소정의 임계치와의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 검사 방법.
  42. 제37항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상기 전사 수단을 상기 인쇄 매체 외측에 위치한 영역과 대향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 검사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매체 외측에 위치한 상기 영역은 상기 잉크 전사 수단의 퍼지 펌프와 동일 레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의 동작 검사 방법.
  44. 다수의 잉크 전사 채널(204)을 갖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11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채널 각각마다 상기 채널에 담겨 있는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시키는 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캐패시터(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수단 각각마다 트리거 수단(205,31)과 상기 잉크 전사 수단(204) 사이에 절연재(240)를 가지며, 상기 절연재는 상기 트리거 수단에 포함된 다이오드(31)의 애노드(31a)에 의해 형성되어진 극과 상기 잉크 전사 수단(204)에 담겨 있는 잉크에 의해 형성되어진 극 사이에 상기 캐패시터(230)의 유전체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소정 두께(E2)의 영역(Z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
  47. 화상 전송 장치용 잉크 저장소(112)에 있어서,
    절연 재질로 제조된 상기 저장소의 일부분 상에 상기 저장소에 담겨 있는 잉크에 대향하여 배치된 전도성 플레이트(116)를 포함하며, 절연 재질로 제조된 상기 일부분은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와 상기 잉크 사이에 위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잉크 저장소.
  48. 제47항에 따른 잉크 저장소 및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 헤드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소는 상기 인쇄 헤드에 접합 파이프(200)에 의해 연결되어지며, 상기 채널의 동작을 검사할 목적으로 상기 채널에 담겨 있는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에 의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저장소 및 인쇄 헤드의 사용 방법.
  49. 프린터에 있어서,
    제2항 또는 제4항에 따른 화상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0. 프린터에 있어서,
    제25항, 제26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1. 프린터에 있어서,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2. 프린터에 있어서,
    제47항에 따른 잉크 저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3. 팩시밀리기에 있어서
    제2항 또는 제4항에 따른 화상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기.
  54. 팩시밀리기에 있어서,
    제25항, 제26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기.
  55. 팩시밀리기에 있어서,
    제44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기.
  56. 팩시밀리기에 있어서,
    제47항에 따른 잉크 저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기.
  57.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전사 수단에 연결된 잉크 저장소를 포함하는 잉크-젯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진 잉크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
    상기 잉크 저장소에 대향되게 배치된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에 전달되어진 에너지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부품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에너지를 분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전사 수단은 에너지를 발생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장치.
  59.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에 있어서,
    다수의 잉크 전사 채널;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채널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 및
    상기 다수의 잉크 전사 채널들중 각각의 채널마다, 상기 채널에 담겨 있는 잉크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에너지는 잉크를 검출하는데 사용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들 각각은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들 각각마다, 트리거 수단과 상기 잉크 전사 채널 사이에 절연재를 가지며, 상기 절연재는 상기 트리거 수단에 포함된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의해 형성되어진 극과 상기 잉크 전사 수단에 담겨 있는 잉크에 의해 형성되어진 극 사이에 상기 캐패시터의 유전체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두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
  62.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프린터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
  63.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팩시밀리기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장치용 인쇄 헤드.
  64. 인쇄 장치에 있어서,
    잉크를 담고 있는 잉크 저장소;
    상기 저장소 내에 담겨 있는 상기 잉크로부터 분리된 부분 상에 배치된 전도성 플레이트;
    잉크 전사 채널을 포함하며, 접합 파이프(junction pipe)에 의해 상기 저장소에 연결된 프린트 헤드; 및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채널 내에 담겨 있는 잉크로 전달된 에너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팩시밀리기 내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19970000596A 1996-01-12 1997-01-11 화상 전송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검사방법 KR100252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0339 1996-01-12
FR9600339A FR2743527A1 (fr) 1996-01-12 1996-01-12 Detection d'encre dans un dispositif de transfert d'image.
FR9602406 1996-02-27
FR9602406 1996-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931A KR970058931A (ko) 1997-08-12
KR100252443B1 true KR100252443B1 (ko) 2000-04-15

Family

ID=2623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596A KR100252443B1 (ko) 1996-01-12 1997-01-11 화상 전송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검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22090A (ko)
EP (1) EP0783968B1 (ko)
JP (1) JPH09234887A (ko)
KR (1) KR100252443B1 (ko)
CN (1) CN1089297C (ko)
DE (1) DE6972227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0230B2 (ja) 1996-10-04 2005-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検出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FR2765332A1 (fr) * 1997-06-27 1998-12-31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un seuil de remplissage d'un reservoir electriquement isolant contenant un produit electriquement conducteur, par exemple une encre d'impression
US6351716B1 (en) * 1997-10-10 2002-02-2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quantity of product contained in a reservoir, for example in an ink reservoir for a printer
US6719394B2 (en) 2000-04-14 2004-04-13 Canon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ink tank provided with such semiconductor device, ink jet cartridg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semiconductor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memory element, security system of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4023145B2 (ja) 2000-12-05 2007-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7128408B2 (en) 2000-12-05 2006-10-3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therefor
JP3849867B2 (ja) * 2002-07-24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液体検出装置及び液体量検出装置
US6962078B2 (en) * 2002-12-24 2005-11-08 Lexmark International, Inc. Liquid level detection gauge and associated methods
US7325893B2 (en) 2003-07-09 2008-02-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EP2328756B1 (en) * 2008-08-27 2014-05-07 OCE-Technologies B.V. Method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a fluid chamber of an inkjet print head
CN106394017B (zh) * 2016-08-29 2019-04-23 安徽奥斯博医疗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打印耗材非接触式的感应识别装置
CN109016915B (zh) * 2018-08-01 2021-04-09 北京赛腾标识系统股份公司 一种喷印调整方法、装置及喷印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A (en) * 1847-09-11 Office
US4169543A (en) * 1977-10-20 1979-10-02 Keystone International, Inc. Amplitude responsive detector
JPS5830823B2 (ja) * 1978-04-20 1983-07-01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のインク供給機構
JPS58118267A (ja) * 1982-01-08 1983-07-14 Canon Inc 液体吐出装置
DE3524250A1 (de) * 1985-07-06 1987-01-08 Philips Patentverwaltung Anordnung zur kontrolle des fuellstandes eines tintenbehaelters
JPS63305213A (ja) * 1987-06-05 1988-12-13 Canon Inc インク量検出装置
US4853718A (en) * 1988-08-15 1989-08-01 Xerox Corporation On chip conductive fluid sensing circuit
JP2675163B2 (ja) * 1988-11-22 1997-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残量検知装置、該インク残量検知装置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該カートリッジを搭載し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2169259A (ja) * 1988-12-23 1990-06-29 Canon Inc インク残量検知装置
DE69024237T2 (de) * 1989-01-28 1996-05-15 Canon Kk Tintenstrahlvorrichtung und Tintenstrahlkopf
US5162817A (en) * 1989-01-28 1992-11-10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with residual ink detection that compensates for different ink properties
JPH02208052A (ja) * 1989-02-08 1990-08-17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US4994821A (en) * 1989-09-18 1991-02-19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ink jet printer apparatus having improved short detection construction
ATE181531T1 (de) * 1990-02-26 1999-07-15 Canon Kk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DE69130301T2 (de) * 1990-02-26 1999-04-08 Canon Kk Aufzeichnungsgerät und Verfahren zur Tintennachweisung
DE4023390A1 (de) * 1990-07-23 1992-01-30 Siemens Ag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von tintendruckkoepfen
IT1245065B (it) * 1991-04-15 1994-09-13 Olivetti & Co Spa Dispositivo rivelatore dell'inchiostro per un elemento di stampa a inchiostro liquido
US5198776A (en) * 1991-06-26 1993-03-30 Microwave Medical Systems, Inc. Microwave system for detecting gaseous emboli
US5315316A (en) * 1991-10-29 1994-05-2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umming temperature changes to detect ink flow
JP2812593B2 (ja) * 1991-11-11 1998-10-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気泡検出装置
US5500657A (en) * 1991-11-11 1996-03-19 Alps Electric Co., Ltd. Air-bubble detection apparatus of ink jet recording hea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ink jet recording head
JP2807365B2 (ja) * 1991-11-11 1998-10-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回復装置
JP2717037B2 (ja) * 1991-12-06 1998-02-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回復方法
JP3229431B2 (ja) * 1992-05-28 2001-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該記録装置の記録状態判断方法
JPH06135001A (ja) * 1992-10-27 1994-05-17 Canon Inc インク残量検知装置
JP3213431B2 (ja) * 1993-04-12 2001-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残量検出方法
JP3397371B2 (ja) * 1993-05-27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EP0661162B1 (en) * 1993-12-28 2000-07-12 Canon Kabushiki Kaisha Substrate for ink-jet head, ink-jet head, and ink-jet apparatus
JPH081947A (ja) * 1994-06-17 1996-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インク温度検出装置及び方法
US5682184A (en) * 1995-12-18 1997-10-28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sensing ink level and type of ink for an ink jet printer
JPH1011072A (ja) * 1996-06-24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騒音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2275T2 (de) 2004-06-09
EP0783968A2 (en) 1997-07-16
JPH09234887A (ja) 1997-09-09
KR970058931A (ko) 1997-08-12
CN1089297C (zh) 2002-08-21
EP0783968A3 (ko) 1997-08-27
US6022090A (en) 2000-02-08
DE69722275D1 (de) 2003-07-03
CN1158792A (zh) 1997-09-10
EP0783968B1 (en)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22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lectronic detection of air inside a thermal inkjet printhead
US5051759A (en) Ink jet cartridge and ink tank
KR100252443B1 (ko) 화상 전송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검사방법
JP5801960B2 (ja) 流体レベルセンサー及び関連する方法
KR100358637B1 (ko) 타이밍신호조정방법,노즐타이밍신호조정장치및노즐타이밍신호조정용페이지와이드어레이잉크젯장치
JP4024332B2 (ja) 液体インクプリンタのためのインク検出メカニズム
JP2003311971A (ja) 連続流インクジェット印刷機において一定の液滴体積を維持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US923355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residual ink detection method
EP1354710B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3184737B2 (ja) 記録ヘッド、記録ヘッドユニット、インクタンク及び該記録ヘッド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540318B1 (en) Liquid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detection method for the ink-jet printing apparatus
US65139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rop volume from a drop ejection device
JP2005147895A (ja) 記録装置及び記録ヘッドの温度検出回路
JP353084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温度特性検知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吐出状態判断方法
JPH02231145A (ja) インク残量検知装置、該インク残量検知装置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該カートリッジを搭載し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328495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40144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印字不良チェックパターンの印字方法
US20220234344A1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JPH0994981A (ja) 記録装置及びその記録装置を用い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S63173648A (ja)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の噴射ミス検出方法
JP279549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7636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23145946A (ja) 液体吐出装置
KR19980016579U (ko) 인쇄헤드의 불량노즐 검사장치
AU747257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