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95B1 - 혼섬복합 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실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 - Google Patents

혼섬복합 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실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95B1
KR100246595B1 KR1019940703489A KR19940703489A KR100246595B1 KR 100246595 B1 KR100246595 B1 KR 100246595B1 KR 1019940703489 A KR1019940703489 A KR 1019940703489A KR 19940703489 A KR19940703489 A KR 19940703489A KR 100246595 B1 KR100246595 B1 KR 10024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yarn
filament
sectional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017A (ko
Inventor
마쓰키사다오
모토기모리유키
나베시마게이타로
가도와키미노루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95070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8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filaments, fibres or yar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9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textured; curled; crimp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00Bleaching and dyeing; fluid treatment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textiles and fibers
    • Y10S8/92Synthetic fiber dyeing
    • Y10S8/922Polyeste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8Surface characteri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08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3114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trand material is other than circ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08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3114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trand material is other than circular
    • Y10T442/3122Cross-sectional configuration is multi-lob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976Including strand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2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431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가공 하여서된 2종류 이상의 상이한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텔 멀티필라멘트사에 있어서, 최소한 1종류의 필라멘트사가 요입부를 가지지아니한 특정의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 그 이외의 필라멘트사가 요입부를 가진 특정의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가 분산하고 혼섬되어서 된것을 주된 구성으로하는 혼섬복합 가연사 및 그 실을 사용하여된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가연가공사에 부여되는 연수보다 낮은범위의 추연에 의하여 우수한 드레이프성과 드라이감을 얻을수있는 동시에 종래의 강연에 의한 경질감촉의 샤리감과는 상이하였다. 부푸름, 소프트감, 둥글고, 드리이한 질감인 살강살강감이 있고 또 동시에 우수한 흡수성을 가진 직물 또는 편물을 제공할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혼섬복합가연사(混纖複合假撚絲)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실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2종류이상의 단면형상의 다른 멀티필러먼트사로 구성된 살랑살랑한 감촉을 지닌 혼섬복합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흡수성(吸水性)을 가진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강연(强撚)에 의한 사리감(感)과는 다른 느낌(살랑살랑 감) 및 촉감, 드레이프성(性)을 겸비한 직물에 적합하는 혼선복합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드레이프성이 뛰어나는 데다, 뛰어난 흡수성을 가지고, 보수(保水)상태에 있어서 잘 달라붙는 감을 억제한 살랑살랑한 감촉을 구비한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絲)는, 직물에 뛰어난 드레이프성을 부여할 수가 있어, 특히 부인복에 있어 우아한 실루엣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나일론이나 아크릴 등 다른 합성섬유와는 달리하여 사용되고 있다.
드레이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에 강연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어서 제직하며, 획득한 생직물을 염색공정에서 알칼리 감량하여 직물을 얻는다.
또 강연을 실시하는 것은, 직물에 드레이프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질뿐 아니라, 직물로서 종래의 왝시감을 제거하여, 드라이한 느낌의 사리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 「샤리」감은 강연연수(撚數)에 따라 다르며, 연수가 과도하게 높아지면 느낌이 굳어져, 직물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쟈리」감이 된다.
종래의 멀티필러먼트사를 사용하여 드레이프성 또는 「샤리」감을 부여하기 위해 강연하면, 멀티필러먼트사가 고도로 집속하여, 연구조(撚構造) 때문에 부풀감·소프트감을 결한 굳은 촉감의 직물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그 것을 해결하고자 특공소 61-19733 호 공보, 특공소 61-31210 호 공보, 특공소 63-61422 호 공보에 있어, 신도차(伸度差)가 다른 멀티필러먼트사를 2종류이상 사용하여 복합하고, 연신가연가공함에 의해서, 심초(芯초) 2층구조를 가지는 복합구조 가연가공사가 제안돼 있다.
이 복합구조 가연가공사의 구조는, 심사와 초사 간에 실길이 차를 가지는 2층구조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때문에, 추연(追撚)공정에 있어서는, 실길이가 짧은 심사 쪽에 우선 연사장력이 걸려 집속상태로 연(撚)이 부여되고, 또 연수가 증가돼 감에 따라 서서이 초 쪽의 멀티필러먼트군(群)에 연이 부여되어, 심사의 주위에 연사되게 된다. 따라서, 연사수(撚絲數)가 증가하여도, 초 쪽의 멀티필러먼트사는 공극을 형성할 수가 있어, 부풀·소프트감을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그 반면 드레이프성을 결하기 때문에 만족할 수 있는 것은 못되고, 드레이프성 또는 드라이감을 얻기 위하여는, 강연연수를 더 증가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결과로서 연수증가에 의한 부풀·소프트감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이었다. 특히 가공사 사용의 중간 두께의 직물에 있어서, 상기의 문제는 현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나 심초 2층구조를 가지는 복합구조 가연가공사에 있어서, 드레이프성과 드라이한 「샤리」 감을 얻기 위해 연사하면 부풀·소프트감을 결하고, 반대료 부풀·소프트감에 치중하면 드레이프성이나 드라이감을 결하게 되어 드레이프성, 드라이감, 부풀·소프트감 등을 겸비하는 직물을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한편, 근년 "신합섬(新合纖)"이라 릴컬어지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 편직물은, 천연섬유로는 표현할 수 없는 폴리에스테르 독자의 새로운 질감을 가지는 것이어서, 편직물을 본 때 또는 접촉한 때에 종래의 것과는 다른 새로움을 달성하고 있으나, 의복으로서 착용한 때 천연섬유에 의한 편직물보다 흡습성이나 흡수성(吸水性)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합성섬유에 있어서의 흡습성이나 흡수성의 개량에는 종래부터 여러가지 검토가 행해지고 있으나, 천연섬유와 비교하면 실용적으로 문제가 있었다.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의 경우, 흡습성에 대해서는 그래프트 중합이나 친수성을 가지는 물질의 혼합 또는 공중합에 의한 개선이 행해지고, 흡수성에 대해서는 상기 기술에 더하여 단면형상에 의한 멀티필러먼트의 집합체로서의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개선하는 방법이 특개소 55-122074 호 공보등에 제안돼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를 독자의 새로운 질감을 부여하기 위한 고차(高次)가공수단으로서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에 추연(追撚)을 실시하면, 종래의 이형단면사(異形斷面絲)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러먼트사는 강연이 부여되면 서로 철부(凸部)와 요부(凹部)가 맞물게 되어, 멀티필러먼트사의 충진화에 의해서 공극구조가 없어져, 모세관현상에 의한 흡수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 특개소 48-27608 호 공보 등에 있어서, 알칼리 가용성 물질을 혼합방사(紡絲)하여, 직물의 알칼리 감량으로 포러스 구조로 함으로써 흡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제안돼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강연에 의한 멀티필러먼트사의 충진화에 의해 공극구조에 의한 모세관현상으로의 흡수성은 섬유표면에 뿐 기여하지 않으므로, 연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흡수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때문에 보수(保水)상태에서의 느낌이 달라붙음감이 있는 것이었다.
더구나, 흡수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알칼리 감량이 필요한 것 등 문제가 있고, 추연이 필요한 분야 또는 알칼리 감량이 불필요한 분야에 있어 흡수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흡수성을 얻는 데 대해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추연에 의해 드레이프성과 드라이감을 얻을 수가 있음과 동시에, 강연에 의한 종래의 굳은 느낌의 「샤리」감과는 다른, 부풀·소프트감을 지니며, 원만하고 드라이한 질감인 살랑살랑감을 지니는 직물을 제공할 수 있는 혼섬복합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추연된 상태에서도 멀티필러먼트사의 충진에 의한 모세관현상의 저하가 적고 흡수성이 뛰어나는 혼섬복합가연사, 및, 뛰어난 흡수성을 가지어, 착용시에 체내로부터의 발한(發汗)을 멀티필러먼트 간에 이동시킴에 의해서 괘적하게 착용할 수 있고, 보수상태에서도 드라이하고 살랑살랑한 느낌을 유지할 수가 있는 편직물을 제공하는 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1의 발명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연가공돼 이루어지는 2종류이상의 다른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에 있어서, 적어도 1종류의 필러먼트사가 요부를 니지지 않는 단면형사의 필러먼트사, 그 이외의 필러먼트사가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로 구성되고, 전기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분산하여 혼섬되고, 또 하기의 특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복합가연사이다.
U%0.8..............................(1)
△Sw(%)15..........................(2)
CR(%)42............................(3)
TR(%)20............................(4)
여기서, U%는 우스타 반(斑), △Sw는 비수수축률(沸水收縮率), CR은 신축복원률(伸縮復元率), TR은 권축발현(倦縮發現)신장률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2의 발명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용융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방출(紡出)하여 냉각함에 의해 얻어지는 적어도 1종류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이고, 그 이외의 필러먼트사가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인 2종류이상의 다른 단면형상의 폴리에스테르필러먼트사를, 끌어들임 롤러로 끌어들이기 전에 혼섬집속하고, 떠끌어들임 속도 4500m/분 이하로 끌어들임에 의해 얻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를 70℃ 이상 90℃ 이하에서 하기의 연신배율(延伸倍率) 조건으로 아우트드로를 행하고, 이어서 가연히터 온도가 110℃ 이상 190℃ 이하, 하기의 식에 있어서의 연계수(撚係數) α가 24000 이상 35000 이하인 범위에서 연신가연가공하여, 전기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를 분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이다.
0.70×NDRR0.98×NDR.............(6)
가연계수 α=T2·D1/2..................(7)
여기서, NDR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의 자연연신비, R은 아우트드로 연신배율, T2는 가연수(假撚數)(T/M), D는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니르)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3의 발병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연가공돼 이루어지는 2종류이상의 다른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이고, 적어도 1종류의 필러먼트사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 그 이외의 필러먼트사가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로 구성되고, 전기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분산하여 혼섬되고, 또 우스타 반 U%가 0.8% 이상이고, 또 하기의 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α가 2400 이상 14500 이하의 범위인 연을 가지는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이다.
연수 T1(T/M) = α·D-1/2...............(8)
여기서, α는 연계수, D는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니르)를 나타낸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4의 발명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연가공돼 이루어지는 2종류이상의 다른 단면형상의 단(單)필러먼트가 분산하고 혼섬하여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에 있어서, 적어도 1종류의 단필러먼트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단필러먼트가 요부를 니지는 단필러먼트 단명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전기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의 적어도 1종류와, 전기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의 적어도 1종류가, 접촉한 경우에 당해 그들의 단필러먼트 단면 간에 공극을 형성하는 단면형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복합가연사이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5의 발명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연가공돼 이루어지는 2종류이상의 다른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가 분산하고 혼섬하여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에 있어서, 적어도 1종류의 단필러먼트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단필러먼트가 요부를 지니는 단필러먼트 단명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전기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의 적어도 1종류와, 전기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의 적어도 1종류가, 접촉한 경우에 당해 그들의 단필러먼트 단면 간에 공극을 형성하는 단면형형상이고, 또 우스타 반 U%가 0.8%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복합가연사이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6의 발명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연가공돼 이루어지는 2종류이상의 다른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가 분산하고 혼섬하여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이고, 적어도 1종류의 단필러먼트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단필러먼트가 요부를 지니는 단필러먼트 단면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전기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의 적어도 1종류와, 전기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의 적어도 1종류가, 접촉한 경우에 당해 그들의 단필러먼트 단면 간에 공극을 형성하는 단면형형상이며, 또 하기의 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α가 2400 이상 14500 이하인 범위의 연을 가지는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이다.
연수 T1(T/M) = α·D-1/2...............(10)
다만, α : 연계수
D :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니르)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7의 발명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연가공돼 이루어지는 2종류이상의 다른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가 분산하고 혼섬하여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이고, 적어도 1종류의 단필러먼트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단필러먼트가 요부를 지니는 단필러먼트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전기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의 적어도 1종류와, 전기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단필러먼트의 적어도 1종류가, 접촉한 경우에 당해 그들의 단필러먼트 단면 간에 공극을 형성하는 단면형형상이며, 우스타 반 U%가 0.8% 이상이고, 하기의 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α가 2400 이상 14500 이하의 범위인 연을 가지는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이다.
연수 T1(T/M) = α·D-1/2...............(11)
다만, α : 연계수
D :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니르)
본 발명에 의하면, 추연(追撚)에 의해 드레이프성과 드라이감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강연(强撚)에 의한 종래의 굳은 촉감의 「샤리」감과는 다른, 부풀·소프트 감을 가지고, 원만하고 드라이한 질감인 살랑살랑한 감을 가지는 직물로 할 수가 있는 혼섬복합사, 및 전기의 직물 또는 편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가연가공사에 주어지는 연수보다 낮은 범위의 추연에 의해 뛰어난 드레이프성과 드라이감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의 강연에 의한 굳은 촉감의 「샤리」감과는 다른, 부풀·소프트 감, 원만하고 드라이한 질감인 살랑살랑감을 가지고, 또 동시에 뛰어난 흡수성을 가지는 직물 또는 편물로 할 수 있는 혼섬복합가연사, 및 흡수성에 뛰어나는 직물 또는 편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제10도는, 섬유 단면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농염부)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담염부)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얻기 위한 원사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례를 보이는 측면개략도이다.
제15도는 종래의 교호연(交互撚) 심초 2층구조사를 보이는 측면개략도이다.
제16도는 종래의 심초 다층구조사를 보이는 측면개략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얻는 방법의 일례를 보이는 공정개략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얻는 방법의 타의 일례를 보이는 공정개략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얻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이는 공정개략도이다.
제20도∼제2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둥이쇠의 일례를 보이는 평면개략도이다.
제25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연신가연방법의 일례를 보이는 공정개략도이다.
제26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개략도이다.
제27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얻기 위한 원사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개략도이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타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개략도이다.
제29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얻기 위한 원사의 타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개략도이다.
제3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요부(凹部)를 지니는 섬유 단면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31도∼제32도는 저바르 도(度)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33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농염부)이다.
제34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담염부)이다.
제35도는 바이레크 법에 의한 흡수성의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제 1의 발명에서 제 7의 발명까지 순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특징은, 멀티필러먼트사의 단면형상과 그의 복합상태의 구조에 있고, 연수가 종래의 강연영역 이하의 추연에 의해서 드레이프성과 드라이한 느낌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새로운 효과로서, 원만하며 드라이한 질감인 독특한 살랑살랑감이 얻어지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단면형상을 달리하는 필러먼트사가 복합돼 이루어지는 멀티필러먼트사이다. 단면형상의 종류는 2종류이상이며, 그 중 적어도 1종류의 필러먼트사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로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필러먼트사는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로 구성돼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제 1 도 ∼ 제 10 도는, 섬유단면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이란, 동일단면에 있어서 단면 윤곽에 접하는 접선을 그은 때에, 복수의 접점을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을 원칙으로 하여 말하나, 원사에서는 요부를 지니지 않는(복수의 접점을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 것이라도 가연가공할 때 인접한 실과의 접촉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오목한 단면형상까지도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의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원형(제 1 도), 타원형(제 2 도), 3각형이상의 다각형으로 비교적 각에 둥근 부분을 가진 것(제 3 도, 제 4 도)을 들 수 있다. 이들에는, 제 1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접선(L1)을 그었을 때 복수의 접점은 존재하지 않고, 하나의 접점(S1)만 존재한다.
한편,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이란,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일단면에 있어서 단면 윤곽에 접하는 접선(L2)을 그었을 때, 복수의 접점(S2,S3)을 지니고, 그 접점간에 요부(U)가 형성돼 있고, 그 요부와 요부의 사이에 철부가 형성돼 있는 단면형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은, 대상형(對象型) 또는 비대상형의 어느것이어도 좋으며, 요부의 크기에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은 단면형상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Y형(제 5 도), T형(제 6 도), 4 잎형(제 7 도), 6 잎형(제 8 도), 8 잎형(제 9 도), 빗형(제 10 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는, 제 5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접선을 그었을 때에 복수의 접점을 지니는 접선이 존재한다.
제 11 도, 제 12 도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제 11 도, 제 12 도에서는, 원형(둥근) 단면과 6 잎형 단면의 필러먼트사가 각각 편재(偏在)함이 없이 분산배치돼 이루어지는 원사(제 13 도)를 가연가공하여 얻은 복합사를 보이고 있는데, 제 11 도에서는 후술하는 시크부가 주로 존재하는 농염부(濃染部)의 단면을 나타내고, 제 12 도에서는 후술하는 신부가 주로 존재하는 담염부(淡染部)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더구나, 섬유표면 내에 있는 점은, 산화티탄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연가공함에 의해 얻어지므로, 제 13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원사에 있어서 단면형상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과 요부를 지니는 단면이 명확히 구별되지만, 제 11 도 또는 제 12 도에 보인 바와 같이 가연가공함에 의해 단면은 변형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원사에서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이라도 가연가공후는 부분적으로 오목함을 지니는 것, 원사에서 요부이었던 부분이 변형하여 없어진 것 등도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이 형성하는 철부(요부와 요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상 부분)의 존재에 의해, 혼섬복합가연사에 추연이 실시되면, 추연에 의한 연구조로 생기는 표면의 요철과는 별개의 멀티필러먼트의 표면 요철이 손의 촉감으로서 살랑살랑한 감촉·느낌을 생성하여, 한편의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 필러먼트사가 가지는 매끄러운 감과의 조화로 새로운 느낌이 된다.
직물의 느낌으로서 상기의 살랑살랑감을 얻는 관점에서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에 있어서, 요부의 수는 2개 이상 20개 이하일 것이 바람직하나, 3개 이상 8개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의 혼합비율은, 단면형상의 요철의 효과의 관점에서, 20:80 ∼ 80:20 일 것이 바람직하며, 40:60 ∼ 40:60 일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의 복합상태는,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외층·내층에 랜덤의 상태로 분산하여 혼섬돼 있을 것이 중요하다.
제 14 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례를 보이는 측면개략도이다. 또 제 14 도는 인터레이스노즐에 의한 교락(交絡)이 부여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제 15 도는 종래의 교호연 심초 2층구조사를 보이는 측면개략도, 제 16 도는 종래의 심초 다층구조사를 보이는 측면개략도이다. 제 15 도 및 제 16 도는, 굵은 선으로 나타낸 심사와 가늘은 선으로 나타낸 초사와에 의해 2층구조형태로 돼 있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제 14 도 또는 제 11 도(제 12 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단면형상의 실이 외층·내층에 랜덤의 상태로 분산해 있음으로서, 추연을 실시한 때, 실의 표면에 있어서 각각의 단면형상이 분산하여 배치되므로, 요부를 지니는 단면과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과의 조화된 복합효과에 의한 살랑살랑한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또,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랜덤의 상태로 분산해 있음에 의해서, 추연수를 증가한 때 요부와 요부의 맞물이 생기기 어려운데서 숭고성(嵩高性)의 감소를 방지하여, 부풀감을 보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집합하여 구성되는 심초 2층구조형태를 지니는 복합사의 경우에는, 조화된 복합효과에 의한 살랑살랑한 느낌이 획득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 필러먼트사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85 몰% 이상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를 구성하는 것이, 따로 따로의 폴리머 종(種)이어도 좋다. 그 밖의 필러먼트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는, 산화티탄 등의 염소제(艶消劑), 안료, 내광제, 난연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의 단사섬도(單絲纖度) D1과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의 단사섬도 D2의 관계는,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에 의한 느낌에의 매끄러운 감의 효과의 관점에서, 0.5≤D2/D1 일 것이 바람직하고, 또,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 필러먼트사에 의한 느낌에의 효과의 관점에서 D2/D1≤2.0 일 것이 바람직하다. D1, D2는 어느 것이나 10 데니르 이하일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비수수축률(沸水收縮率)은 JIS L1090 A법(타래 수축률)으로 측정할 때 혼섬복합가연사로서 15% 이하일 것이 중요하다. 또,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효과의 관점에서,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 필러먼트사의 비수수출률 SW1과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 필러먼트사의 비수수축률 SW2의 관계에 있어서, SW1-SW2≤8% 일 것이 바람직하며, SW1-SW2≤5% 일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혼섬복합가연사는,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의 아우트두로, 연신가연가공에 의해 멀티필러먼트에 시크앤드신 부분을 부여함에 의해서, 직물에 부풀, 드레이프성, 살랑살랑감 등의 효과에 크게 기여한다.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멀티필러먼트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멀티필러먼트의 동시방사(紡絲)에 의해서 생긴 각 멀티필러먼트 간의 복굴절의 차와, 또한 아우트 드로에 의해 생기는 각 멀티필러먼트의 시크앤드신부의 각각의 시크부, 신부 간의 복굴절의 차에 의한 수축률차가 생긴다.
이 수축률차는, 연신가연가공시의 단사 마이그레이션이나 인터레이스 처리에 의한 혼직에 의해, 실 단면 내에서 랜덤으로 분산됨에 의해서, 복합혼섬사의 추연, 제직한 직물의 염색가공공정에 있어서, 각 멀티필러먼트 내·간에서의 수축률차로 되어, 멀티필러먼트 끼리의 접촉면적이 감소에로 작용하여, 직물에서의 부풀, 드레이프성, 살랑살랑한 촉감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시크앤드신은, 우스터 반 U%로 측정되며, U% 값으로서, 0.8% 이상일 것이 중요하다. 0.8% 미만이면 비수수축률과도 관계되는데, 단사간, 단사내에서의 수축률차가 작고, 특히 부풀감에의 기여가 작아진다. 특히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3.0%이다.
혼합혼섬사의 시크부는, 복굴절이 비교적 낮고, 비정부(菲晶部)도 비교적 많아 염색성이 비교적 높고, 농염부를 형성하며(제 11 도), 한편의 신부는, 복굴절이 비교적 높고, 비정부가 비교적 적어 염색성이 비교적 낮고, 담염부를 형성하는(제 12 도) 것에서도 확인된다.
또, 혼섬복합가연사는, 가연가공에 의해서 부여되는 권축특성(捲縮特性)으로서 신축복원률 CR과 하중하에서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장률 TR이 중요하다. 직물에서의 부풀, 특히 드레이프성 효과에 기여하는 CR은 42% 이하, TR은 20% 이하일 것이 중요하다. CR이 35% 이하, TR이 5% 이하인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이용하여 얻게 되는 직물은, 종래의 심초 2층구조를 지니는 복합구조가연가공사를 이용하여 얻게 되는 직물과는 다른, 뛰어난 드레이프성을 가지어, 살랑살랑한 새로운 느낌 효과의 직물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 2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혼섬복합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혼섬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를 얻고, 이어서 연신가연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가 있으나, 중요한 것은, 방사공정의 끌어들임 롤러에 끌어들여지기 전에 혼섬집속하고, 다른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혼섬된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또는 미연신사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 17 도 ∼ 제 19 도에 보이는 공정에 의해 얻을 수가 있다.
제 17 도 ∼ 제 19 도는, 각각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얻는 방법의 예를 보이는 공정개략도이다. 그림에 있어서, (1)은 주둥이쇠, (2)는 침니, (3)은 급유 가이드, (4)는 인터레이스노즐, (5)는 끌어들임 롤러, (6)은 패키지를 나타낸다.
제 17 도에는, 적어도 1종류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형상이고, 그 이외의 형상이 요부를 지니는 형상이며, 2종류이상의 다른 형상의 방사공으로 구성되는 1매의 주둥이쇠(A)에서 방출된 사조를 집속·급유하고, 그 다음 인터레이스노즐에 의하여 혼섬집속하여, 끌어들임 롤러에 끌어들이는 방법을 보인다.
제 18 도에는, 요부를 지니지 않는 형상의 방사공으로 구성되는 1매의 주둥이쇠(B), 한편으로는 요부를 지니는 형상의 방사공으로 구성되는 1매의 주둥이쇠(C)에서 각각 방출된 사조를 집속·급유하고, 그 다음 인터레이스노즐에 의하여 혼섬집속하여, 끌어들임 롤러에 끌어들이는 방법을 보인다.
그리고 또 제 19 도에는, 요부를 지니지 않는 형상의 방사공으로 구성되는 1매의 주둥이쇠(B), 한편으로는 요부를 지니는 형상의 방사공으로 구성되는 1매의 주둥이쇠(C)에서 방출된 사조를 집속·급유하고, 그 다음 집속하여 인터레이스노즐로 혼섬집속하여, 끌어들임 롤러에 끌어들이는 방법을 보인다. 그 중에서도, 각 구성 필러먼트사의 혼섬상태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적어도 1종류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형상이고, 그 이외의 형상이 요부를 지니는 형상이어서, 2종류이상의 다른 형상의 방사공으로 구성되는 1매의 방사 주둥이쇠로부터, 용융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방출하는 방법이 바라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2종류이상의 다른 형상의 방사공으로 구성되는 1매의 방사 주둥이쇠란, 예를 들어 제 20 도 ∼ 제 24 도에 보인 바와 같이, 동심원상(狀)으로 천공된 것(제 20 도), 군(群)배열된 것(제 21 도, 제 22 도), 격자상(格子狀)으로 천공된 것 (제 23 도, 제 24 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그림 중의 O는 요부를 지니지 않는 형상의 방사공, ×는 요부를 지니는 형상의 방사공을 나타낸다.
한편, 요부를 지니는 필러먼트사를 방사하여 일단 감고, 그 것과는 따로 요부를 지니지 않는 필러먼트사를 방사하여 일단 감은 실을, 그 다음 일치시키어 혼섬가공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를 연신가연가공하는 방법으로는, 혼섬상태가 외층·내층에 랜덤으로 되기 어렵다.
또, 생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1매의 주둥이쇠에서 복수의 사조를 감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를 연신가연가공함으로써, 각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실질적으로 심초 2층구조를 형성함이 없이, 각 단사가 랜덤의 상태로 외층에서 내층까지 분산해 있는 혼섬복합가연사로 할 수가 있다.
다음은, 연신가연 조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25 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연신가연방법의 일례를 보이는 공정개략도이다. 그림에 있어서, (6)은 패키지, (7)은 아우트드로 용 피드롤러, (8)은 핫핀, (9)는 제 1 피드롤러, (10)은 제 1 히터, (11)은 공랭판, (12)는 트위스터, (13)은 제 2 피드롤러, (14)는 제 2 히터를 나타낸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는, 연신가연가공하기전에 미리 롤러와 롤러의 사이에 설정된 핫핀을 통해 열처리하면서 아우트드로를 실시한다.
아우트드로 조건은, 핫핀 또는 핫롤러 등을 이용하여 70℃ 이상 90℃ 이하의 예비 가열을 하면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의 자연연신비(Natural Draw Ratio;NDR)에 따라서 다음 식의 범위로 연신한다.
0.7×NDRR0.98×NDR
여기서, NDR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의 자연연신비, R은 아우트드로 연신배율을 나타낸다.
아우트드로에 이어서, 히터 온도 110℃ 이상 190℃ 이하, 가연수 T2(T/m)가 가공후의 데니르 D에 대한 연계수 α=24000∼35000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히터 온도가 110℃ 미만에서는 연신가연가공시의 열 세트 영역으로서 매우 불안정하고, 비수수축률 15% 이하를 얻기 때문에 생산성 컨트롤이 어려운 영역이 되고, 190℃를 넘으면 부풀에 기여하는 비수수축률 6% 이상을 얻을 수가 없다.
가연가공시의 연계수 α가 24000 미만에서는, 멀티필러먼트사의 형상이, 특히 가연온도의 낮은 영역에 있어서 형태가 생사상(生絲狀)에 가까워져 종래의 가연 2층구조사의 부풀감에 비교하여 떨어지는 것이 되고, 연계수 α가 35000을 넘는 경우는, 가연온도의 높은 영역에 있어서 종래의 가연가공사와 같이 권축(捲縮)이 많아져, 직물의 느낌에 권축특성의 영향에 의한 거칠감이 생긴다.
연신가연가공에 의해 얻게 되는 멀티필러먼트사의 실 물성(物性)은, 비수수축률 SW(%)가 15% 이하, 권축특성 중 신축복원률 CR(%)이 42% 이하,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장률 TR(%)이 20% 이하인 것은, 이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하여 추연하고 직성(織成)하며, 염색가공하여 얻어지는 직물로 하였을 때에 전기한 살랑살랑감, 드레이프성을 부여하는 데 효과가 크므로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는, SW(%)가 6%이상 15%이하, CR(%)이 35%이하, TR(%)이 5%이하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수수축률 SW(%) 및 신축복원률 CR(%)은 JIS L 1090(합성섬유 멀티필러먼트 숭고가공사 시험법)에 의해 구하였다. 한편, SW(%)는 비수수축률 A법((타래 수축률)에 의하는 것이다.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 신축률 TR(%)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복합사를 5회 감은 타래를 작성하고 외관 섬도의 0.02×D (g)(여기서 D는 복합사의 데니르)의 초하중을 걸어, 150±2℃로 5 분간의 건열처리하고, 다음으로 외관섬도의 0.1×D (g)의 정하중(定荷重)을 건 길이의 비에 의하여 구한다.
TR(%) = 100 × (ℓ1- ℓ2)/ℓ2
여기서 ℓ1: 정하중을 건 때의 타래 길이
2 :초하중을 걸어 건열처리한 때의 타래 길이
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실질적으로 심초 2층구조를 형성하는 일 없이, 각 단사가 비교적 랜덤의 상태로 외층에서 내층까지 분산해 있는 혼섬복합가연사로 할 수 있는 것은,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의 형상의 상위로부터, 방사공정에 있어서의 냉각속도라든가 방사장력의 차등에 의해, 단면형상이 다른 필러먼트사 간에 있어서 배향도차를 가지는 실을 얻을 수 있고, 그 것을 연신가연가공하면, 단면형상이 다른 필러먼트사 간에 연신장력차가 생겨, 외층·내층에 랜덤의 상태로 분산하여 혼섬된 가연가공사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획득된 가연가공사는, 열수(熱水)처리시에 단면형상이 다른 필러먼트사 간에 있어서 다른 수축거동을 나타내는 것에서 부풀을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가연가공전의 아우트드로를 실시함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를 가열하면서 그 원사가 지니는 강신도 특성의 자연연신배율 존에서 연신함에 의해서, 얼룩가공이 행해지는 것은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와 같이 얻어진 복합혼섬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에 전기 얼룩가공을 행하고, 또 이어서 실시되는 인드로 가연 존에 있어서 가열·가연에 의한 연신가연을 행하면, 아우트드로의 결과 형성된 저배향부분은 가열연신되지만, 한편의 고배향부분은 저배향부분에 비교하여 연신되기 어렵고, 복합사를 구성하는 멀티필러먼트사의 미세한 영역에서 마이그레이션이 행해져, 멀티필러먼트의 혼섬효과가 높혀진다. 또, 시크앤드신 효과에 의한 배향차로 인해, 실 긴쪽 방향에 열수축차가 부여되고, 직물구조로 한 후의 염색공정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단사간의 길이 방향에 공극을 발생, 부풀이 되어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당해 복합혼섬 멀티필러먼트사의 경우, 요부를 지니는 멀티필러먼트사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멀티필러먼트사 보다 방사시의 냉각속도차라든가 장력의 차등에 기인하여 배향도가 크고, 자연연신배율 존의 연신에 의해서 각각의 멀티필러먼트사의 길이 방향에 얼룩을 발생할 때, 요부를 지니는 멀티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멀티필러먼트사의 시크앤드신 각각의 부분의 배향도에 차가 생긴다. 그리하여, 이 배향도차를 지니는 멀티필러먼트사를 연신가연을 함에 의해서, 각각의 단면 멀티필러먼트사의 시크앤드신의 연신에 의해 멀티필러먼트사 간의 랜덤의 마이그레이션을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연신가연가공을 행한 후, 감기전에 인터레이스노즐에 의해 단사 간에 교락을 부여하는 것은, 더욱 효과적이다. 단사 간에 교락을 부여하는 것은, 혼섬복합가연사가 심·초 2층구조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멀티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멀티필러먼트사의 혼섬효과를 높혀, 마이그레이션시킴에 의해서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그 것은 이른바 혼섬복합가연사의 후공정에서의 통과성을 높힌다고 하는 효과도 올린다. 교락도는 10 개/m 이상일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 3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편직물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기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경·위사 양방에 직성(織成)하거나, 또는 경사나 위사의 어느 것에 사용하여 직성하거나, 또는 편직하여 신규의 느낌의 직물 또는 편물로 할 수가 있다.
경·위 양방에 직성하는 경우는, 특히 제약조건이 없이 전기의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 필러먼투사의 효과를 유효하게 표현할 수가 있으나, 경사만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위사로서 통상의 직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에 추연연수를 많게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 멀티필러먼트와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 멀티필러먼트의 혼섬복합가연사는 적당한 정도의 추연을 실시함에 의해서, 더욱 뛰어나는 드레이프성이 있는 표면촉감을 지니어, 종래의 강연직물의 드라이한 「샤리」감과는 다른 살랑살랑한 새로운 느낌 효과의 직물을 얻을 수가 있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의 강연직물에 있어서의 추연수로서는, 일반적으로 150 데니르 상당이면 1500 T/M ∼ 2300 T/M이 사용되나, 전기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에 있어서는 1500 T/M 이하로 충분하다. 1500 T/M을 넘으면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느낌효과가 커져,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느낌인 「쟈리」감의 느낌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전기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추연연수의 범위는, 사용하는 데니르와의 관계로,
T1(T/M) = α·D-1/2
에 있어서의 연계수 α가, 2400≤α≤14500의 범위일 것이 중요하다.
또, 연수 T1이 2400≤α≤10000의 범위에 있어서는, 전기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경사에 사용하고, 위사로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강연직물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멀티필러먼트사의 강연을 실시한 실과를 사용하여 교직(交織)함에 의해서, 더욱 새로운 느낌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종래의 강연직물의 추연영역에 있어서, 종래의 드라이한 「샤리」감과는 다른 본 발명의 살랑살랑한 새로운 느낌 효과의 직물을 얻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연사공정에 있어서, 연사 기종은 일반적인 이탤리 식, 합연기에 의한 방식, 더블 트위스터에 의한 방식, 어느 것이나 어떠한 제약없이 사용할 수가 있으나, 살랑살랑감이 있는 드라이한 느낌을 얻고, 이를 합리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도 더블 트위스터 방식에 의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사의 잔류 토크 발생에 의한 곱슬실 발생은, 경사정경(整經)공정에서의 통과성에 크게 좌우되므로, 곱슬실이 적은 것이 상식이며, 그 때문에 통상 추연후 스팀등에 의해 연지(撚止)세트가 행해지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 혼섬복합가공사의 추연사애 대하여는 직물의 염색가공정에서의 릴랙스 열처리에 의해 가공수축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발현시켜 부풀감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될 수 있는 한 여자세트를 피하거나, 또는, 가능한 한 저온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혼섬복합가공사의 잔류 토크 방향에 대하여 순·역 추연방향에 의해서 다르나 토크를 소멸하는 방향의 추연의 경우, 추연수는 800 T/M 정도까지 연지세트는 불요하며, 그의 역방향의 경우에는 600 T/M 정도까지는 연지세트가 필요치 않다.
다음으로, 정경공정에 있어서의 사이징의 실시에 당해서는, 추연을 실시하면 밀도등의 규격에 의하나 사이징을 실시하지 않고서도 제직가능하여, 부풀감, 살랑살랑감에 뛰어나는 직물을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제직은, 통상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통직기, 워터제트룸, 루피아룸 등 제약없이 사용할 수가 있다.
득한 생직물은, 염색가공공정에 투입되어 최종적으로 뛰어나는 느낌의 제품을 얻는다. 공정의 조립은, 일반으로 행해지는 습열(濕熱) 릴랙스, 중간 세트(건열:乾熱), 알칼리 감량, 염색, 마무리 세트의 순으로 충분하다.
이 공정에 있어서, 습열 릴랙스는 직물에 부풀과 표면감을 부여하는 작용을 가진다. 전기 혼섬복합가공사의 추연수는 통상보다 낮은 영역이어서, 섬유수축률을 충분히 내고, 연사의 해연(解撚)효과를 충분히 발생시키기 위해, 액류방식(液流方式)에 의한 릴랙스 처리가 매우 알맞으며, 처리온도는 90℃ 이상 130℃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알칼리 감량은 드레이프성과 살랑살랑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중요한 공정이다. 전기 혼섬복합가공사는, 아우트드로에 의한 얼룰 연신과 연신가연가공에 의해서, 멀티필러먼트사의 길이 방향에 시크앤드신 효과를 가지어, 요부를 지니는 단면 멀티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 멀티필러먼트사가 내외층에 랜덤으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추연이 실시된 연사구조의 안에 있어서 각각의 멀티필러먼트사가 길이 방향에 미묘한 수축차를 가짐에 의한 단사 간 부풀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실구조를 가지어, 알칼리 감량욕(浴)에 침지함에 의해서 멀티필러먼트 간에 액이 침지하여 감량이 행해질 때, 시크앤드신의 시크부분이 신부에 대하여 감량 스피드가 크고, 전기 구조와 같이 단사 마이그레이션이 양호한 경우, 부풀, 드레이프성에 주는 효과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은 제 4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본섬복합가연사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4의 본 발명은, 요컨대, 편물 또는 직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가연가공돼 이루어지는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가 랜덤으로 분산하여 혼섬된 복합사이며, 전기 요부를 지니는 필러먼트의 단면형상이 전기 요부를 지니지 않는 필러먼트의 단면형상과의 관계에 있어서 특정한 관계를 가지는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그럼으로써,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멀티필러먼트와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멀티필러먼트와의 배열에 있어 생기는 공극에 의해서 모세관현상에 의한 효과적인 흡수성이 부여된 편물·직물이 되고, 또,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혼섬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흡수한 수분의 보지상태에 있어서도 살랑살랑감에 뛰어난 느낌의 편직물을 얻을 수가 있으며, 또한 전기 특정한 관계를 가지는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과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과의 혼섬에 의해서, 추연된 상태에 있어서도 뛰어난 흡수성을 가지는 편물·질물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편물·직물을 구성하는 실은 가연권축가공돼 이루어지므로, 숭고성이 풍부함과 동시에, 물을 흡수하기 쉬운 형태이어서 흡수성이 뛰어난 것으로 되는 것이다.
제 4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혼섬복합가연사의 특징은, 멀티필러먼트사의 단면형상과 그의 복합상태의 구조에 있고, 그 단면형상의 구조와 혼섬상태에 의해 생기는 멀티필러먼트 간의 공극구조에 의해서 흡수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 이 멀티필러먼트사를 추연한 때 공극구조의 변화가 작아 흡수효과가 보지되며, 그리고 살랑살랑한 느낀이 추연한 때 종래의 강연영역하에서 얻어지고, 또 흡수성에 의한 보수상태에 있어서도 달라붙는 감이 없는 살랑살랑한 느낌을 얻을 수 있음에 있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단면형상을 달리하는 필러먼트사가 복합돼 이루어지는 멀티필러먼트사이다. 단면형상의 종류는 2종류이상이고, 그 중 적어도 1종류의 필러먼트사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로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필러먼트사는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로 구성돼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제 26도, 제 28 도에 본 발명에 사용하는 혼섬복합가연사위 일례를 보이는 단면개략도를 보이었다.
제 26 도는, 원형(둥근) 단면과 6 잎 단면의 필러먼트사가 랜덤으로 분산배치돼 이루어지는 가연가공사이다.
제 27 도는, 원형(둥근) 단면과 6 잎 단면의 필러먼트사가 랜덤으로 분산배치돼 이루어지는 원사이며, 이 원사를 가연가공함으로써 제 1 도의 가연가공사를 얻을 수 있다.
제 28 도는, 원형(둥근) 단면과 4 잎 단면의 필러먼트사가 랜덤으로 분산배치돼 이루어지는 가연가공사이다.
제 29 도는, 원형(둥근) 단면과 4 잎 단면의 필러먼트사가 랜덤으로 분산배치돼 이루어지는 원사이며, 이 원사를 가연가공함으로써 제 3 도의 가연가공사를 얻을 수 있다.
제 27 도와 제 29 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사에 있어서 단면형상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과 요부를 지니는 단면과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데, 제 26 도, 제 28 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연가공함에 의해서 단면은 변형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하는 혼섬복합가연사는 원사에서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이어도 가연가공후는 부분적으로 요부를 가지는 것, 원사에서 요부였던 부분이 변형하여 없어진 것 등도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제 4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혼섬복합가연사에 있어서의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 및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이란, 제 1의 발명에서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예를 들면 제 1 도에서 제 10 도로 설명되는 것이다.
제 4 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혼섬복합가연사는, 연(撚)이 부여된 상태라도,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 필러먼트의 요부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 필러먼트의 존재에 의해, 이들의 필리먼트 간에 공극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이 공극은 멀티필러먼트사에 추연이 실시되면 점점 집속상태가 되어 감소하지만, 그러나,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사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또는 요부를 지니는 단면사를 단독사용한 경우에 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혼섬복합가연사는 이 공극의 감소비율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사만으로는, 공극이 효율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또, 요부를 지니는 단면사만으로는 요부와 요부가 맞물어 공극이 폐색되고 말기 때문에 공극이 효율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혼섬복합가연사는, 이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요부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 간 등에 생기는 공극구조가 수분의 존재하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한 흡수효과를 발휘한다.
게다가, 요부를 지니는 단면이 적당한 정도로 혼섬복합가연사의 외층부에 배치됨에 의해서, 요부와 요부에 형성되는 철부의 효과에 의해서 촉수감으로서 살갗에 드라이한 살랑살랑감을 주게 된다. 게다가 흡수에 의한 보수상태에 있어서도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 단독의 것 보다도 살랑살랑한 느낌으로 달라붙음감이 적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추연에 의해서 연이 부여되어도 종래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 단독의 것에서는 강연영역이 아니면 얻을 수 없었던 드레이프성을 적은 연수영역에서 얻을 수 있고, 또 살랑살랑한 느낌을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 적은 연수로 구성되므로, 멀티필러먼트 간에 공극이 확보가 쉬워 흡수성이 뛰어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에 있어서 요부의 수는, 2개 이상 20개 이하일 것이 공극구조의 모세관현상에 의한 흡수효과와 편직물의 살랑살랑한 느낌을 얻는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며, 2개 이상 8개 이하일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에 있어서,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는 1종류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단면형상이 다른 복수종의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혼섬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 비율은, 요부를 지니는 단면이 상호 맞물지않게 하여 공극구조를 확보하고, 모세관현상에 의한 흡수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80% 이하가 바람직하다. 흡수효과의 저하는 추연연수의 증가와 함께 커지고, 또 느낌도 살랑살랑감이라기 보다 까칠까칠한 감이 된다. 반대로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의 영향에 의한 공극구조의 저하, 흡수성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보수상태에서의 달라붙는 감이 있는 살갗에의 감촉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 비율은 20% 이상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는,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 비율이 40% 이상 60% 이하의 범위이다.
다음,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의 혼합상태는,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랜덤의 상태로 분산하여 혼섬돼 있을 것이 중요하다.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가 각각 집속한 상태로 혼섬돼 있어서는 요부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과의 사이에 공극구조가 생기지 않으므로 모세관현상을 발휘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와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사의 혼섬상태는, 각각 길이 방향에 있어서 랜덤의 상태로 분산돼 있어 인터레이스에 의한 교락이라든가 타스란 처리에 의한 루프가 존재해 있어도 상관없다.
이 혼섬복합가연사의 형태가 심초 2층구조인 경우는, 초 쪽에 위치하는 필러먼트 군에 요부를 지니는 단면형상과 요부를 지니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러먼트의 랜덤 혼합상태이면 좋고, 또 심 쪽에 위치하는 필러먼트 군은 반드시 이 다른 단면의 혼합상태이랄 필요는 없다. 필라멘트사가 혼설복합된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입부가 있는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 비율은 요입부가 있는 단면이 상호 교합하지 않게 하여 공극구조를 확보하고, 모세 80% 이하가 바람직하다. 흡수효과의 저하는 추연 연수의 증가와 함께 커지고 또 촉감도 살근살근감이라기 보다는 거칠거칠한감이 된다. 반대로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의 영향에 의한 공극구조의 저하, 흡수성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보수상태에서의 끈적이는 감이 있는 살각으로의 터치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 비율은 20% 이상의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필라먼트 사 비율이 40% 이상 60% 이하의 범위이다.
다음에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와 요입부를 가지지 않은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와의 혼합상태는 각기의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가 불규칙한 상태에서 분산하고 혼섬되어 있을 것이 중요하다.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와 용입부가 없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가 각각 집속된 상태에서 혼섬되어서는 요입부와 용입부를 가지지 않은 단면과의 사이에 공극구조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모세관현상을 발휘하지 않음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와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의 혼섬상태는 각각 길이 방향에 있어서 불규칙한 상태에서 분산되어 있어 인터레스에의한 교락이나 다스란처리에 의한 루푸가 존재하여도 관계없다.
이 혼섬복합가연사의 형태가 심초 2 층 구조의 경우는 초측에 위치하는 필라먼트군에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과 요입부를 가지지 않은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의 블규칙 혼합상태이면 좋다. 또 심측에 위치한 필라먼트군은 반드시 이상이한 단면의 혼합상태일 필요는 없다.
또, 본 발명의 혼섬 복합가연사는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단 필라먼트의 최소한 1 종류와 상기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단 필라먼트의 최소한 1 종류가 접촉한 경우에 이 그들의 단 필라먼트 단면간에 공극을 형성할수 있는 단면형상인 단 필라먼트를 포함할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혼섬보갑가연사의 단필라먼트가 최밀충진된다하여도 필라먼트간에 충분하게 공극을 형성하고 추연에 의하여 드레프성과 드라이감을 얻을수 있기 때문이고 더우기 그것에 의하여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멀티필라먼트와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멀티 필라먼트와의 배열에 있어서 생기는 공극에 의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한 효과적인 흡수성이 부여된 직물, 편물이 된다.
또,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가 혼섬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흡수된 수분의 보수 상태에 있어서도 살글살근한 우수한 촉감의 편직물을 얻을수 있고, 더욱기 상기 특정관계를 가진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과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과의 혼섬에 의하여 추연을 제공할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요입부를 가진 단면 형상의 단필라먼트의 철부와, 철부에 인접한 철부와에 접하는 접선에 대하여, 이 2 개의 철부 사이에 형성되는 요입부의 저점에 하강시킨 수선의 길이가 요입부를 가지지 아니한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의 반경보다 작을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30 도에서 설명하면,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단필라먼트의 단면의 철부와, 이철부에 인접된 철부와에 접하는 접선 L3에 대하여 이 2개의 철부사이에 형성되는 요입부의 저점 V1애서 하당한 수선의 길이 D1이,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의 반경보다 작다는 것이다.
이 경우 요입부를 가지지 않은 단필라먼트에 취입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꼼을 주었을때에 각각의 필라먼트가 복합사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기 쉽고, 부피가 커지는 성질이 유지되고, 살근살근한 촉감이 얻어지고, 또 섬유간 공극이 폐쇄되는 일없이 유지되어 흡수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더우기 요입부를 가지지 않은 단면형상의 단필라먼트의 단면의 철부와 이 철부에 인접한 철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요입부의 곡율반경의 최소치 보다 큰 섬유반경을 갖는 형상일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의 요입부에 교합하는 것을 방지하며, 드레이프성 흡수효과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요입부를 가진 단면 형상은 다음에 정의되는 로오발도로 말하면 5 이상 60 이하의 값을 가지는 단면 형상일 것이 바람직 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오발도가 10 이상 40 이하의 값을 가지는 단면 형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의 값을 가지는 단면 형상이다.
제 31 도, 제 32 도에 로오발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나타냈다.
제 31 도에 있어서 설명하면 로오발도라하면 가연가공에 제공되는 원사의 단면에 대하여 규정하는 것으로서, 요입부를 가지는 단필라먼트 단면형상의 1 개의 철부와 그 철부의 옆에 위치한 철부에 접하는 접선 L21의 2개의 접점 S21,S22의 사이의 길이 a2에 대한 그들 2개의 철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요입부의 저점 V2로 부터 상기 접선에 하강시킨 수선의 길이 b2의 비의 100 분율 (D/0)을 말한다.
즉 로오발도 = 100 x b2/a2이다.
제 32 도에서는 로오발도 = 100 x b3/a3, 또, =100 x b4/a4이다.
한편 특개평 4-316624 호 공보에 있어서, 이형단면계수가 2.0 이상이며, 또 가연권축을 가진 특수이형단면 필라먼트사를 심사로하고, 심사보다 가느란 가연권축사를 초사로한 특수 숭고가공사가 제안되고 있으나, 여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수이형 단면 필라먼트사는, 이 형단면계수가 2.0 이상 즉, 잎의 길이가 긴 것이므로 꼼을 부여하면 잎(철부)이 변형하기 쉽고, 또 잎과 잎이 교합하거나, 요입부에 교합한 환단면사가 잎에 취입되는 등으로 섬유간 공극을 폐쇄하게 되어 흡수성이 떨어지는 동시에 본 발명의 살근살근한 촉감은 얻을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특개평 4-316624 호 공보에서 정의된 이 평단면계수로 말하면 편평이형 단면사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 대략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다. 더우기 상기 특개에서 정의된 이형상단면계수는 편평형상의 경우에는 산출할수 없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를 구성하는 필라먼트사는 폴리에스텔 중합사로 된 것이 사용된다. 폴티에치렌 테레프타레이트 중합체 또는 메치렌 테레프타레이트 단위를 85 몰% 이상 함유하는 폴리에치텐 테레프라레이트 공중합체로 된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흡수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폴리에치렌 구티콜, 5-나트리움설로이소프탈산등을 공중합한 공중합 폴리에치텐르타레이트를 사용하면 고도한 흡수성을 부여할수가 있다.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를 구성하는 것이 별개의 폴리머종 이어도 좋다. 기타 필라먼트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텔에는 산화티탄등의 연소제, 안료, 내광제, 나연성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의 단사섬도 D1과 요입루를 가지는 단면형상 필라먼트사의 단사섬도 D2의 관계는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에 의한 촉감의 매끄러운 감촉효과의 관점에서 0.5 ≤ D2/D1일 것이 바람직하고, 또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 필라먼트사에 의한 촉감 효과의 관점에서 D2/D1≤ 2.0 일 것이 바람직하다. D1,D2는 어느것이나 10 데닐이하 일 것이 바람직하다.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상의 어느것이나 단일섬도의 단 필라먼트사로 구성되어도 상이한 단사섬도의 단필라먼트사가 혼합되어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비수수축율은 JIS L109A 법 (가세수축율) 으로 특정할때 혼섬복합가연사로서 6% 이상 15% 이하 일것이 바람직하다. 또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효과의 관점에서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 필라먼트사의 비수수축율 SW2의 관계에 있어서 SW1-SW2≤8%일 것이 바람직하고, SW1-SW2≤5%일것을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사용하는 혼섬복합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의 잎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혼섬복합가연사는 방상구금에 있어서 요입부를 가지지 아니하고 단면형상을 토출하는 공형과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을 토출하는 공형과를 가지는 방사공에서 방사된 미연신사, 반연신사 (POY), 연신사 또는 고속방사에 의한 실을, 반연신사 (POY), 연신사 또는 고속방사에 의한 실을, 멸연신 또는 연신가연을 실시한 것이 좋고, 멸연신사를 별도 공정으로 가연가공한 권축사라도 좋다.
또,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필라먼트는 상기와 같이 구금형상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외에 알카리 이용성 폴티머와의 복합에 의한것, 또는 이종폴리머의 조합에 의한 분할형에 의하여 얻어진 것도 채용된다.
그중에서도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는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와 요입부를 가지지아니한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가, 방사공정의 인취롤러에 인취되기 전에 혼섬접속되고, 상이한 단면형상의 필라먼트사가 혼섬된 폴리에스텔 미연신사, 연신사 또는 고속 방사에 의한 실을 가연가공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가 구성 필라먼트사의 혼섬상태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최소한 1 종류가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형상으로, 그이외의 형상이 요입부를 가지는 형상으로서 2 종류이상의 상이한 형상의 방사공에서 구성되는 1 매의 방사 구경으로 부터, 용융된 폴리에스텔 중합체를 방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1 매의 구금에 각각의 단면형상을 배치한 구금으로 제조할 경우, 방사공의 배열을 요입부를 가지지 않은 단면 형상과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멀티 필라먼트를 토출하는 공이 블럭형으로 배열된 구금보다 불규칙하게 배열된 구금에 의하여 방사된 혼섬상태가 바람직하다. 블럭형의 혼섬상태의 복합사 형태는 단면 형상의 효과적인 배열에 의한 공극 구조가 되기 어렵고 모세관 형상의 의한 흡수성능이 충분하지 않고 혼섬 복합가연사에 추연하는 연수를 증가해 나가면 흡수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요입부를 가지는 필라먼트사를 방사하여 일단 권취하고, 그것과는 별도로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필라먼트사를 방사하여 일단 권취한 실을 그후 한데모다 혼섬가공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텔 미연신사, 반연신사, 연신사 또는 고속 방사에 의한 실을 연신가연가공하는 방법에서는 혼섬상태가 충분하게 분사하고 불규칙화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다음은 연신가연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방법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텔 미연신사등을 히타 온도 110-190℃, 가연수 T2(Tm)가 가공후의 데닐 D에 대한 연계수 α=24000 ∼ 35000으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히터온도가 110℃미만에서는 연신가연가공시의 열세트 영역으로서 매우 불안정하고, 비수수축율 15% 이하를 얻기위하여 생산성 콘트롤이 어려운 영역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90℃를 초과하면 부프름에 기여하는 비수수축율 6% 이상을 얻을수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가연가공시의 연계수 α가 24000 미만에서는 멀티 필라먼트사의 형상이, 특히 가연온도의 낮은 영역에 있어서의 형태가 생사 형태에 근사하여 종래의 가연 2 층 구조사의 부프름간에 비교하여 떨어지는 것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연계수α가 35000을 초과할 경우는 가연온도의 높은 영역에 있어서 종래의 가연가공사와 같이 권축이 많아지고, 직물의 촉감에 권축특성의 영향에 의한 거치른감이 가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연신가연가공에 의하여 얻어지는 멀티필라먼트사의 물성은, 비수수축율 SW(%)가 6% 이상 15% 이하, 권축특성중 신축복원율 CR(%)가 35% 이하,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축율 TR(%)가 5% 이하일것은, 이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하여 추연하고 작성하고, 염색가공하여 얻어지는 직물로 하였을때에 상기한 살근살근감을 부여하는 데에 효과가 크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비수수축율 SW(%), 신축복원율 CR(%),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축율 TR(%)는 상술한 방법에서 얻을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제 2의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과 같이 아우트 드로를 실시하여 연신가연가공을 하므로서 섬유의 길이 방향에 태사반이 있는 혼섬복합가연사로 할수도 있다. (이것은 제 5의 본 발명에 의한 혼섬복합 가연사에 상당함). 이 경우에는 태사반을 우스터 반으로 0.8% 이상있는 것이 중요하다.
제 33 도는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담연부)
제 33 도, 제 34 도에서는 원형 (둥근) 단면과 6 옆형 단면의 필라먼트사로된 원사를 상술한바와같이 아우트 드러 가연가공하여 얻은 복합가연사의 태사부 (농염부) 및 대사부 (담연부)를 도시한 것이다.
더우기, 섬유단면내의 점은 산화치탄의 존재를 도시한 것이다.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의 아우트 드러 연신가변가공에 의하여 멀티 필라먼트에 식크 안도신부분을 부여하므로서 직물에 부프름, 드레이프성, 살근살근감등의 특징이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멀티필라먼트와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 형상의 멀티 필라먼트의 동시 방사에 의하여 생긴 각 멀티 필라먼트간의 복굴절의 축와, 더우기 아우트도러에 의하여 생기는 각 멀티 필라먼트의 식크 안도신부의 각각의 식크, 부신부간의 복굴절의 차이에 의한 수축율차가 생긴다.
이 수축율차는 연신 가변가공 될때에는 단사 마이그레이숀과 인터레스처리에 의한 혼섬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분산되므로서 복합혼섬사의 추연, 제작한 직물의 염색가공공정에 있어서, 각 멀티 필라먼트내 간에서의 수축률이 되어서, 멀티 필라먼트끼리의 접촉면적이 감소하는데 작용하고, 직물에서의 부프름, 드레이트성, 살근살근터치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식크 안도신을 우스타반 U%에서 측정되고, U%치로서 0.8 이상일 것이 중요하다. 0.8% 미만이면 비수수축율과도 관계하지만, 단시간, 단시간애에서의 수축율차가 작고, 특히 프름감으로서 기여가 작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우스타반 U%의 범위로서는 1.0 ∼ 3.0 복합혼섬사의 식크부는, 복굴절이 비교적 낮고, 비정부도 비교적 많으므로 염색성이 비교적 높아 농염부를 형성하고, 일방의 상부는, 복굴절이 비교절 높고, 비정부가 비교적 적으므로 염색성이 비교적 낮고 담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도 확인 된다.
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연신가연가공을 실시한후 권취하기 전에 인터레이스노즐에 의하여 단시간에 교락을 부여하는 것은 더욱 효과적이다. 단시간에 교락을 부여하는 것은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멀티 필라먼트사와 요입부를 가지지 않는 단면형상의 멀티필라먼트사의 혼섬효과를 높여 마이그레이숀 시키므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할수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그것은 혼섬복합가연사의 후공정에서의 통과성을 높인다고 하는 효과도 나타낸다. 교락도는 10 개 /m 이상일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 6 및 제 7의 본 발명에 의한 편직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제 4의 본 발명에 의한 혼섬복합가연사 또는 제 5의 본 발명에 의한 혼섬복합가연산 (u%α≥0.8)를 경사 n초/또는 위사에 사용하므로서 직물의 경사와 위사의 양방향에 모세관 현상에 의한 우수한 효과의 흡수성을 가진 것이 얻어지고, 경사에만 사용한 경우나 위사에만 사용한 경우는 상기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한 방향에 우수한 흡수성 효과를 얻을수 가 있다.
상기 혼섬 복합가연사를 직물, 편물에 사용할때, 연사공정에서 추연하므로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추연의 연수의 범위는, 사용하는 데닐과의 관계에서,
T = a : D1/2
단 T : 추연수 [ T/M ]
α : 연계수
D : 실의 테닐
에 있어서 연계수 a가, 2400 ≤ α ≤ 14500의 범위에서 사용할수가 있다.
또, 경사 또는 위사에 상기 혼섬복합가연사와는 상이한 별개의 실을 사용할때, 그 종류는 합성섬유 멀티 필라먼트사나 천연 섬유 방적사, 합성섬유 방적사 및 언연섬유와 합성섬유의 혼합방사, 또는 천연섬유 (단섬유)와 합성섬유 멀티 필라먼트사의 복합사 여도 된다.
직물의 조직, 구조는 3원 조직이나 그 변화조직 더우기 표리 사종을 변경한 2 중 조직을 채용할수 있다.
또, 편물에서는 통상의 환편, 경편 어느것이나 상기 혼섬복합가연사의 효과가 발휘된다. 환편에 있어서는 상기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할때 편조직은 천축양면 어느것이나 좋고, 1 본 이상 교호로 루프를 형성하는 교편, 리브부, 프레인부,를 구성하는 경우네는 상기 혼섬 복합가연사와 타의 원사와의 교편이어도 된다.
경편에 있어서는 프론트, 미들, 백 어느위치에 배열한 경지에서도 잘 위사 삽입에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혼섭 복합가연사를 사용하므로서, 우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흡수효과와 살근살근한 드라이한 촉감이 얻어지지만, 다시 염색 가공공정에서 친수성 수지를 포함한 마감제로 처리하므로서 효과를 크게 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들의 수지 마감에 의하여 직물에 수분의 확산효과를 부여하고, 종래보다 더욱 속건성을 부여할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연사의 우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흡수성효과에 대표되는 실로서의 액체 침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용액등의 화학처리법을 사용하는 방염가공이나 난연가공등의 포백의 화학 기능가공은 종래보다 더욱 단 시간으로 종래와 동등 또는 그이상의 방염성, 난면성 또는 기타의 기능성을 부여할수가 있어서 바람직하다.
흡수성은 JIS L1096 [일반 직물 시헙법]에 있어서의 바이렉크법을 준용하고 다음 방법으로 평가 할수가 있다.
우선 샘틀로서 1cm x 약 20cm의 시험편을 종, 횡 방향으로 각각 5 매씩 채취한다. 다음에 제 3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험편의 일단을 잡고 고정하며, 타단 약 2cm를 제 3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험편의 일단을 잡고 고정하며, 타단약 2cm를 20℃ ± 2℃의 증류수증에 침지한다. 이어서 10분 후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의 상승거리 (mm)(제 35 도에 있어서의 h)를 측정하고 (1/2mm가지 탄독한다) 종, 횡 방향 각각 5 회의 평균치로 표시한다. (정수단위까지).
또, 물의 상승이 판독이 어려운 경우는 증류수중에 잉크 또는 수용성 염료 (에오싱등)를 넣거나, 미리 브러시를 사용하여 수용성 염료 (에오싱등)을 시험편에 부착시켜 두거나 하는 어느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을 가지는 편직물은 사용되는 혼섬복합가연사의 후연수 또는 시험편의 직조직, 편조직, 직밀도, 편밀도 등에도 의하지만 예를들어 추연수 300 T/M, 편직의 경우에서 전기 바이렉크법에 의한 상승거리 (10 분후)가 1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추연수가 증가 할수록 상승거리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거론하고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더욱, 실시예중의 특성치는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구한것이다.
비수수축율 SW(%) 및 신축복원율 CR(%)는 JIS L1090(합성섬유 멀티 필라먼트 부피고 공사 시험법)에 의하여 구하였다. 더욱 SW(%)는 비수수축율 A법 (가세수축율)에 의한것이다.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축율 TR(%)는 다음의 방법으로 구한것이다.
복합사를 5 회 권회한 실패를 작성하고 겉보기섬도의 0.02 x D(g)(여기에서 D는 복합사의 데닐)의 처음하중을 걸고, 150 ± 2℃에서 5 분간의 건열처리하고, 다음에 겉보기 섬도의 0.1 x D (g)
TR(%) = 100 x (l1- l2)1l2
여기에서 l1: 정하중을 걸었을때의 실패길이
l2: 초하중을 걸고 건열처리한 때의 실패길이
이다.
흡수성의 측정은 JIS L1096 [일반직물시험법]에 있어서의 바이렉크법을 준용하고 평가 하였다. 인터레이스 처리에 의한 교락 또는 다음 방법으로 구하였다.
롯실드 (Rothschild)사제 엔탄글멘트, 테스타 (ENTANCLEMENT TES TER)형식 R-2040 과에렉트로닉 텐시오미터 (ELECTRONIC TENSI OMETER) 형식 R-1192를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으로 측정한다.
트립 . 텐션 Tr= (2xD/F) + (D-10)
푸리. 텐션 Tp= D/10
여기에서 D는 측정할 실의 섬도 (데닐), F는 실을 구성하는 필라먼트수이다. 더우기 측정시의 사속은 1.0cm/분으로 한다. 1 샘플당 50회 측정하고, 측정기에 의한 적산하여 얻어진 값을 E50으로 하면 교락 또는 다음에 표시한 식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인터레이스 교락도 (개/m)=50000/E50)
[실시예 1, 비교예 1,2]
극한 점도 [3] = 0.64의 폴리에틸렌테테트타 레이트를 환공 24 구멍, 6 옆형 (핵사로발행) 공 24구멍을 제 2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치한 구금을 사용하고 제 17 도에서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고 261 데닐 48 필라먼트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다음에, 이 반연신사를 도오레 엔지니어링사제 흐리쿳션 방식 연신가연기 DF-7형개로 연신가연 가공을 실시함에 있어서, 롤러와 롤러의 사이에 설치한 열핀온도를 74℃에 설정하고, 연신배율 1.38로 아우트드러를 계속 실시하여서 히터온도 130℃가연수 2400T/M(얻어진 가공사 데닐 167 D에 대한 a = 31,000)연신 배율 1.5, 가공속도 351m/분 인터레이스 교락도 253에서 연신가연가공을 실시한다. 가연가공에서의 가연장력은 30.4 8/본, 해연장력은 19.48/본 이어서 보플발생도 0개/2000m로 품질이 뛰어나고 가공성도 양호하였다.
상기의 가연가공에 의하여 섬도 167 데닐, 강도 3.4g/d신도 33%, 비수수축율 7.8% 우스타반 U%가 1.96%, 신축복원율 CR 24.7%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장율 TR 3.7%의 특성을 가진 가연권축사 (혼섬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복합사의 사단면을 포매법 의한 광학 현미경 관찰을 한 결과, 환단면 형상이 연신가연가공에 의하여 주먹밥형등으로 변형된 요입부가 없는 단면 형상 필라먼트사와 6 엽형 단면형상이 연신가연가공에의하여 변형된 요입부를 가진 단면 형상 필라먼트사가 아우트 드러에 의한 식크 안도신효과로서 예를들면 제 11 도 또는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단면 형상의 일부에 굵기가 상이한 것이 있고 각각이 2 층 구조 형태를 가지는 잎 없이 내층, 외층에 불규칙하게 분산한 상태의 멀티 필라먼트사이었다.
이 가연가공사를 통상의 편검용 통편기에서 편성한 것은, 상기와 동일한 벙사, 연신가연가공 조건에 의하여 얻어진 환단면 100%(비교예 1) 또는 6 엽형 단면 100%(비교예 2)로된 가연권축사에 각각 비교하여 촉감이 독특한 살강살강감이 있고,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연신가연가공후에 얻어진 요입부가 없는 단면형상 필라먼트사 24 개와 대략 6 개의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 필라먼트사 24 개로 구성된 혼직복합사 (167 데닐 48 필라먼트)를 사용하여 무라다 기계 (주) 제 더블투이스터 308 형으로 1000 T/M의 추연을 실시하고 70℃에서 40분의 진공 스팀에 의한 연지세트후, 이 추연사를 경사에 정경하고, 무호로 워터젯트룸에 설치한다. 위사에는 경사와 동일한 가연권축사를 사용하며 450 r.p.m.로 생기 밀도경 150 개/2.54cm, 위 70 개/2.54cm에서 2/2 트윌을 제작한다.
얻어진 생기를 통상의 염색공정에 있어서 100℃의 액류리랙스 처리 190℃의 중간세트, 130℃에서 알카리 결량처리 (감량율 23%), 130℃의 액류 염색 처리, 160℃ 건열의 마감세트를 실시하였다.
일반 비교로서 환단면공만 있는 구금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사, 아우트 드러, 연신가 연가공에 의하여 얻은 실을 상기 방법으로 제작하고 동일 밧치로 염색을 하였다. (비교예3)이 단면사의 혼섬복합사로된 염색 완성포는 환단면 단독사로 된것에 비교하여 촉감은 끈적감이 적고 독특한 살근살근한 촉감이 있고, 부피고성이 우수하고 드레이프 성이 특히 우수한 것으로서 상품가치가 높은 것이었다.
[실시예 3]
극한점도 [3] = 0.64의 폴리에틸렌 테레푸타레이트를 환공 12 구멍, 6 엽형 (헥사로 발행) 공 12 구멍을 제 2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치된 구금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사공정에 의하여 134 데닐 24 릴타멘트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다음에 이 반연신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연신 가연기를 사용하여 아우트 도러 조건으로서 열핀 온도 77℃ 연신배율 1.42 배 계속한 가연조건으로서 히타온도 130℃, 가연수 3320T/M (얻어진 가공사데닐 76.8 D에 대한 a = 29095), 연실배율 1.26, 가공속도 421m/분, 인터레이스처리로서 0.8mmx 2 구멍 노즐, 에어압 2.4kg/cm2에서 연신가연가공을 실시한다. 가공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호하였다.
상기의 가연가공에 의하며 섬도 77 데닐, 강도 4.18/a, 신도 24.5%, 비누 수축율 10.1% 우스터 반 U% 0.93 권축복원율 CR 29.6%,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장율 TR 5.0%, xhzmdustn 41/50cm, 건열수축응력최대치 14.0g/122℃, 인터레이스 교락도 202, 메타놀 추출유분 1.4%, 보플 0개 12000m의 사질을 가진 식크안도신 혼설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혼설사를 이용하여 5kg 권치이즈를 파안와인더 (무라다기계(주))로 300m/분의 조건 투이스터 (무라다기계 (주) 제 309 형)로 1000T/M의 추연을 하였다. 스핀들 회전수는 12000r.p.m이었다.
얻어진 후연사를 70℃ x 40분 진공스템처리기로 연지세트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조권정경, 비이밍 등의 통상의 공정을 통하여 워터젯트룸 (산다 고마고오쿄오 (주) 제 302 형)에 의하여 평조직으로 제직한다. 생기밀도는 (27개/2.54cm x 80개/2.54cm)이었다.
다음에 얻어진 생기를 통상의 염색 공정에 있어서, 110℃에서 액류 리락스처리에 의하여 충분한 리락스와 해연을 실시하고, 이어서 190℃ 건열에서 중간세트로서 록을 고정하고, 130℃에서 알카리 감량처리 (감량율 25%) 130℃의 액류염색처리 160℃ 건열의 마무리 셋트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염색포의 밀도는 166개/2.54cm x 100개/2.54cm이었다. 어느것이나 살강살강 감을 가진 드라이한터치로 소프트한 부품림을 가지고, 또 지극히 반발성이 우수한 드레이프성을 가진 직물이었다.
[실시예]
극한점도 [n] = 0.64의 폴리에틸렌테레 프타레이트를 환공 24 구멍, 6 엽형 (헥사로 발형) 공 242 구멍을 배열한 구금을 사용하고, 3000m/분의 속도로서 방사하고, 261 데닐 48 필라먼트의 반연신사 (산화 티탄 0.45wt%함유)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반연신사를 통상의 외접프리쿳션형 변신가연기에 의하여 연신가연가공하고, 가연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가공사는 섬도 150 데닐 강도 3.9g/d, 신도 28%, 비수수축율 7.8%, 신축복원율 CR26%,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장율 TR3.5% 인터레이스 교락도 215의 특성을 가진것이었다.
얻어진 혼섬복합가연사의 실단면을 포매법에 의한 광학현비경관찰을 한결과, 제 26 도에 도시한바와같이 환단면형상이 연신가연가공에 의하여 주먹밥형상등으로 변형된 요입부를 가지지 않은 단면형상 필라먼트사와 6 옆형단면형상이 연신가연가공에 의하여 변형된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 필라먼트사가 불규칙하게 분산된 상태의 구조로된 멀티필라먼트사이었다.
또, 6 엽형 단면형상의 단필라먼트의 단면의 철부와 철부에 인접한 철부에 접합 접선에 대해서, 이 2 개의 철부의 사이에 형성된 요입부의 저절에 하강시킨 수선의 길이중 최대의 것이 2.5mμ인 것에 대하여 요입부를 가지지 않은 필라먼트사의 실직경이 7.4μm이었다.
이 얻어진 혼섬복합가연사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경사로서 S방향의 750T/M의 추연을 실시하고, 워터 및 젯트룸에 작업위사로하여 통상의 환단면 폴리에스텔 멀티 필라먼트 75 데닐 필라먼트 (산화 티탄 0.45wt%) 함유에 3000T/M, S 및 Z방향의 강연을 실시하여 평직물을 얻는다.
이 생기를 통상 염색가공공정 120℃리락스해연, 190℃ 건열 후레세트, 알카리 감량 (25%) 마감셋트를 하여 프린트하지로 완성한다. 얻어진 직물은 생기의 경, 위밀도 (2.4cm 당개수)가 86x76으로 마감가공후 105 x 94이었다.
직물의 특성으로서 흡수성과 촉감의 관능평가를 실시한다. 흡수성은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바, 종방향의 흡수높이는 1분후 38mm, 10분후 100mm를 표시하고, 일방횡방향은 1분후 23mm 10분후 81mm이었다.
이 같은 직물 샘플을 통상의 세탁기에 의한 세탁 5회 실시후 동일한 측정방법으로 흡수높이를 측정한바, 종방향을 1분후 16mm 10분후 72mm를 표시한것에 대하여 횡방향을 1분후 8mm 10분후 40mm이었다.
또, 이 직물의 촉감은 종래부터 이 종류의 직물으로서 폴리에스텔 멀티 필러먼트 환단면 형단독사 경, 위사용강연직물에 대하여 강연에 의한 드라이한 터치 와는 상이한 살강살강한 독특의 촉감이 있는 직물이라는 평가가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와 동일의 구금을 사용하여 1300 데닐 24 필라먼트를 그사조취출로 방사하고 반연신사(산화티탄 245wt%함유0를 얻었다. 얻어진 반연신사를 사용고 프리쿠션 방식 연신가연방식으로 열판온도 130℃에서 연신가연가공율 실시하여 섬도 74.6 데닐, 강도 4.1 g/d, 신도 20.4%, 비수수축율 10.2%, 신축복원율 CR 32.1 하중하처리에 의한 권축발연신장율 TR4.3% 인터레이스 교락도 212의 특성을 가진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복합가연사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 것이다.
이 실을 사용 경사용으로 하여 1300T/M S 방향의 추연을 하며 경위로서 통상의 환단면 멀티 필라먼트 75 데닐 36 필라먼트 (산화티탄 함유 없음)에 3000T/M, S 및 Z방향강연을 부여하고 변화 평직물 (매트)을 작성하고 통상의 염색가공공정 120℃해연리랙스, 190℃건열 푸리셋트, 28% 알카리감량 160℃건열셋트에 의한 플린트하지용 생지로 완성하였다. 직물의 성량으로서는 생기밀도 133개/2.5cm x 74개/2.54cm, 마감밀도 167개/2.54cm x 90개/2.54cm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흡수성을 상기의 방법으로 평가한다. 세로방향은 1분후 51mm, 10분후 129mm의 흡수높이를 표시하고, 횡방향은 1분후 35mm 10분후 65mm의 흡수높이를 표시하였다.
또, 이 직물의 촉감은 하기 비교예의 직물에 비교하여, 흡수성이 우수하고, 또 촉감도 강연직물의 드라이감과는 상이한 종래에 없는 살강살강감의 매우 마일드한 살갓살갓감촉의 것이었다.
[비교예]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벙사, 연신하여 얻어진 환단면 형상의 폴리 에스텔 멀티 필라먼트사 75 데닐의 S 및 Z 방향의 강연을 부여한 것을 경사에 S 및 Z연 2개 교호하게 및 위사에 S 및 Z연 1개 교호하게 배열하고, 변화 매트직물을 직성한다.
이 직물을 통상의 염색가공공정으로서 120℃해연리랙스, 190℃건열 프리셋트, 25% 알카리 감량 160℃마감셋트를 실시하여 프린트하지를 얻었다.
얻어진 직물은 생기밀도 82개/2.54cmx 80개/2.54cm, 마감밀도 102개/2.54cm x 96개 2.54cm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흡수성을 상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세로방향은 1분후 28mm, 10분후 63mm가로 방향은 1분후 26mm, 10분후 53mm의 흡수높이를 가지는 것이었다.
이 직물의이 촉감은 종래부터 일반에게 알려진 프루달원사에 의한 강연직물의 연사 효과만에 의한 드라이 촉감의 것이었다.
[실시예 6∼11, 비교예 5∼6]
극한점은 [n]= 0.04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환공 24 구멍과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으로서 3엽공 (Y공), 4엽공, 5엽공, 6엽공, 8엽공 각각 24 구멍을 단독으로 배치한 구금을 사용하여 제 19 도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m/분의 방속으로 통상의 용융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정열하고, 각각 270 데닐 48 필라먼트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이중 요입부를 가진 단면 형상의 반연신사의 로발도는 각각 3 엽이 10.1 (실시예 6), 4 엽이 24.3 (실시예 7), 5 엽이 28.3 (실시예 8), 6 엽이 21.8 (실시예 9) 8 엽이 12.6 (실시예 10) 이었다.
또, 상기 동일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타레이트를 사용하고, 환공 24 구멍과 요입부를 가진 단면 형상으로서 6 엽공 24 구멍으로된 제 21 도와같이 배치한 구금을 사용하여 제 18 도와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m/분의 속도로 통상의 용융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하고, 270 데닐 48 필라먼트 6 엽의 발도가 22.4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실시예 11]
일반비교예로서 상기와동일한 폴리머를 사용하고, 환공 24 구멍의 단독공의 구금으로 제 19 도에서 와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m/ 분의 속도로 방사정리하고, 270 데닐 48 필라먼트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비교예 5) 또, 환공 24 구멍과 요입부를 갖지 않은 3 각공 24 구멍의 단독공의 구금을 사용하고 제 19도와같은 공정으로 3000m/ 분의 속도로 통상의 용융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정리하고, 270 데닐 48 필라먼트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비교예 6)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각각의 반연신사를 가연속도 450 m/분, 열판표면온도 130℃, 가공배율 1.74 배의 조건에서 통상의 외접프티쿠션형 연신가연기에 의하여 연신가연가공하고, 가연가공하고, 가연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가공사의 물성을 표 1에 표시한다.
얻어진 가연가공사 8 품종 (실시예 6∼11, 비교예 5∼6)의 가각에 S방향의 3000 T/M(연계수 a = 3674) 및 1500T/M(연계수 a = 1871)의 추면을 실시한다. 그것을 경사로하여 워터 젯트룸에 작동시켜서 위사에는 통상의 환단면룸에 작동시켜서 위사에는 통상의 환단면 폴리 에스텔 멀티 릴라먼트 75 데닐 72 릴라먼트에 3000T/M S 및 Z방향의 강연을 한것을 사용하여 평직물을 얻었다.
얻어진 생기를 통상의 염색 가공공정에 있어서 120℃리렉스해연, 190℃ 건열프리셋트, 알카리 감량(감량율 25%), 130℃에서 염색, 이어서 마감셋트르 실시 프린트하지도 완성하였다. 얻어진 직물은 생기의 경위 밀도 (2.4cm당 개수)가 86 x 76이며 마감가공후 105x94이었다.
이들의 직물감으로서의 촉감, 드레이프성, 광택의 관능비교 테스트 및 흡수성의 비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병기한다. 더우기 표중의 살강살강감, 드레이프 성, 광택에 대하여서는 관능시험에 의하여 4 단계 평가를 하였다.
(2 중환인은 특히 우수한 것, 환인은 우수한것 3 각인은 약간 떨어지는것, x인은 떨어지는 것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혼섬복합가열가공사에서 얻어진 직물 (실시예 6∼11)은 종래부터의 종류의 직물로서 폴리 에스텔 멀티 필라먼트 환단면형 단독사를 겨위에 사용한 경연직물에 대하여, 강연에 의한 샤리감과는 상이한 살강살강한 감촉의 촉감, 우수한 드레이프 성, 마일드한 광택을 가진 더욱 흡수성이 우수한 직물이었다.
그것에 대하여, 비교폼 (비교예 5, 비교예 6)을 촉감이 떨어지고, 1500T/M의 연수에서는 드레이프성이 떨어지고 흡수성에서는 떨어지는것이었다.
[실시예 12]
극한 점도 [n]= 0.64의 폴리에치렌 테레프타 레이트를 환공 24 구멍, 6 엽단면형 (헥사로 보는 형) 공 24 구멍을 제 20 도에서와같이 배치한 구금을 사용하고, 제 18 도와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고 134 데닐 24 필라먼트의 반연신사 (산화티탄 0.45wt%함유)를 2사조 인취로 권취하였다.
다음에, 이 반연신사를 아우트 드러 장치를 설치한 외접형 프리 쿠션 방식 연신가연기에서 열핀 온도 77℃에 설정하고, 연신배율 1.42로 아우트 드러를 실시하고, 계속하여 가연조건으로서 히터온도 130℃, 가변수 3320 /T/M, 연신배율 1.26, 가공속도 42/m/분, 인터레이스 처리로서 0.8 mmx2 구멍 노즐 에어압 2.4kg/cm2로서 연신가연가공을 하였다.
상기 가연가공에 의하여 섬도 77 데닐, 강도 4.1g/d신도 24.5% 비수수축율 10.1% 우스타반 U%, 0.93, 신축복원율 CR 29.6%,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신장율 TR 5.0%< 인터레이스 교락도 2022의 사질을 가진 식크 안도신 혼섬 복합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 혼섬사를 사용하여 S방향 1300 T/M의 추연을 부여하고 70℃x40 분 진공스팀 열처리를 하여 조컨 정경기, 비밍등 통상의 공정을 거쳐서 워터 젯트룸에 작동시켰다.
위사는 경사와 동일한것을 사용하고 생산 밀도 98개/2.54m x 78개 / 2.54cm평직물을 제직한다. 이 생기를 통상의 염색 가공공정에 있어서의 락스 110℃액류 리락스, 190℃건열프리셋트 130℃ 연속식 알카리감량 (26%), 130℃액류염색기로 염색을 하고, 160℃건열로서 마감셋트를 하였다. 얻어진 염색포의 밀도는 117개/2.54cm x 93개/2.54cm이었다.
이 염색포를 상기의 흡수 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 세로 방향이 1분후에서 42mm, 10분후에서 102mm, 가로방향이 1분후에서 38mm, 10분후에서 98mm의 흡수높이를 표시하여 흡수효과가 우수한 것이였다.
이 직물의 촉감은 종래의 환단면 사용강연직물등 과는 상이한 독특한 살강살강한 촉감의 것으로 약간 흡수된 상태에서도 끈적거리는 감도가 없는 것이었다.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방사, 연신하여 얻어진 환단면형상의 폴리 에스텔 멀티 필라먼트사 75 데닐 36 필라먼트 (산화 티단 2.3 wt%함유)에 22500T/M의 S 및 Z방향의 강연을 부여한 것을 사용하고, 경사로서 S 및 Z연 2개 교호하게, 및 위사로서 S 및 Z연 1개 교호하게 배열하고, 변화 매트 직물을 직성하였다.
이 직물을 통상의 염색 가공고정으로서 120℃해연리랙스, 190℃건열 프리셋트, 25% 알카리 감량 160℃ 마감 셋트를 하여 프린트하지를 얻었다. 얻어진 직물은 생기 밀도 82개/2.54cmx 80개/2.54cm, 마감밀도 102개/2.54cm x 96개/2.54cm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흡수성을 상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세로 방향은 1분후 28mm, 10분후 63mm, 가로 방향은 1분후 26mm, 10분 53mm의 흡수고를 가지는 것이었다.
이직물의 촉감은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진 출달 원사에 의한 강연 직물의 연사효과만에 의한 드라이 촉감의 것이었다.
[실시예 13∼16, 비교예 7]
극한점도 [n]= 0.64 폴리에 텔렌테레 프라레이트를 환공 24 구멍과 요입부를 가진 단면 형상으로서 4 엽공, 6엽공, 8엽공 각각 24 구멍을 단독으로 배치한 구금을 사용하여 제 18 도와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m/분의 방속으로 통상의 용융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 인취 정리하고 각각 270 데닐 48 필라먼트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이중 요입부를 가진 단면 형상의 반연사로 오발도는 각각 4 엽이 24.2 (실시예 13), 6 엽이 21.9(실시예 14), 8엽이 12.7 (실시예 15)이었다.
또, 상기 동일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사용하고, 환공 24 구멍과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으로서 6 엽공 24 구멍으로된 제 20 도에서와같이 배치한 구금을 사용하여 제 17 도와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m/분의 방속으로 통상의 용융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하고 270데닐 48 필라먼트, 6 엽(로발도 22.3)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실시예 16).
또 비교로서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사용하고, 환공 24 구멍의 단독공의 구금으로 제 18도와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 m/분의 속도로 통상의 용융 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 인출 정리하고, 270 데닐 48 필라먼트의 반연신사를 얻었다. (비교예 7).
상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반연신사를 제 25 도에 표시한 공정에 의하여 열핀 8의 온도 74℃, 롤러 7과 롤러 9의 사이의 연신배율 1.38로 아우트 드러를 실시하고, 계속한 가연조건으로서 열판 10의 표면온도 130℃, 가연수 2400T/M, 롤러 9와 롤러 13의 사이의 연신배율 1.18배 가공속도 360m/분에서 연신가연가공한후, 0.8mmx2 구멍노즐 에어압 1.6kg/cm2의 인터레이스 처리를 하여 치이즈 18에 권취한다.
얻어진 식크 안도신 가연가공사의 물성을 표 2에 표시한다.
얻어진 식크 안도신 가연가공사 5 품종 (실시예 13∼16, 비교예 7)의 각각에 S 방향 300T/M(연계수 α=3674) 및 1500T/M(연계수 α=18371)의 추연을 실시하고 70℃x40분 진공 스팀 열처리를 하여서 조권경기, 비이밍등 통상의 공정을 경과하여 워터 젯트룸의 경사로서 장치된다. 일방 위사에는 경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생기 밀도 98분/2.54cmx78/2.54cm평직물을 얻었다.
얻어진 생기를 통상의 염색가공공정에 있어서 리락스처리 (온도 110℃의 액류 리락스 처리), 190℃건열프리셋트, 130℃ 연속식 알카리 감량 (감량율 25%), 130℃ 액류 염색기로 염색을 하고, 160℃ 건열에서 마감셋트를 하였다. 얻어진 염색포의 밀도는 117개/2.54cmx 93개/2.54cm이었다.
이들의 직물천에서 촉감, 드레이프싱, 광택의 관능 비교테스트 및 흡수성의 비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병기한다.
더우기 표중의 살강살강 감, 드레이프 성, 광택에 대하여서는 관능시험에 의하여 4단계 평가를 하였다. (2 중 환인은 특히 우수한것, 환인우수한것 3 각인은 약간 떨어지는것, x인은 떨어지는것을 표시함.)
본 발명의 식크 안도신 혼섬복합가연가공사에서 얻어진 직물 (실시예 13∼16)은 종래의 호나단면 사용의 강연직물등과는 상이한 독특한 살강살강한 감촉의 촉감, 우수한 드레이프성, 마일드 한 광택을 갖고, 더우기 약간 흡수된 상태에서도 끈적거리는 감이 벗는 것이였다.
그것에 대하여 비교품 (비교예 7)은 촉감이 떨어지고, 1500T/M의 연속에서는 드레이프성에 떨어지고 흡수성도 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17, 비교예 8.9]
극한점도 [n]= 0.64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산화티탄 0.45 wt%함)를 환공 24 구멍과 유입부를 가진 단면 형상으로 하여 6 엽공 24 구멍을 제 20 도와 같이배치한 구금을 사용하고, 3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고, 26/데닐 48 필라먼트의 반연신사를 얻는다 (실시예 17)
또 비교로하여,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사용하고, 4 엽공 24 구멍의 단독공의 구금 (비교예 8) 또는 8 엽공 24 구멍의 단독공의 구금 (비교예 9)을 사용하여 제 18 도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3000m/분의 속도로 통상의 용융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 안출정리하고, 270 데닐 48 필라먼트사의 반연신사를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반연신사를 통상의 외접 플리쿠션형연신가연기에 의하여 연신사가공하고 가연가공사를 얻는다.
계속하여 상기 가연가공사를 통상일방적인 제직 공정으로 직물을 작성한다. 제직에 있어서, 준비공정으로서 무라다기계(주) 제의 판와인더로 시속 450m/분으로 1kg권회의 판매 권회하고 이어서 무라다기계 (주) 제 더불투이스터 # 308에 의하여 추연 1000T/M(S연)을 실시한다.
이같이하여, 얻어진 추연사, 및 상기 가연가공사 (추연없음)를 직물의 위사로하여 준비한다. 경사로 하여 실시예 2의 경사와 동일한 실을 사용하고, 낫산 (주) 제 LW-52형워터 젯트룸에 장치한다. 직기 회전수 450r.p.m로 위사에는 상기 각각의 실을 사용한것을 타입하고, 경밀도 98개/2.54cm, 위밀도 78개/2.54cm의 평직물을 얻는다.
얻어진 생직물을 통상의 염색가공공정에 있어서 온도 110℃열수에 의한 액규 리락스처리 190℃ 건열플리셋트, 130℃습열 연속 알카리 감량 (감량율 25%) 및 130℃액류 염색기로 염색을 하고, 다시 160℃ 건열마감 셋트를 하였다.
얻어진 염색포의 밀도는 개략 경밀도 117개/2.54cm위 밀도 93개/2.54cm이었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직물의 촉감, 드레이프성의 관능 평가 및 흡수성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Claims (18)

  1. 가연가공 되어진 2종류 이상의 상이한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텔멀티 필라멘트상 있어서, 최소한 1종류의 피랄멘트사가 요입부를 가지지않은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면 형상의 필라멘트사가 분산되어 혼섬되어 있고, 또 하기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 가연사.
    U%≥0.8..............................(1)
    △Sw(%)≤15..........................(2)
    CR(%)≤42............................(3)
    TR(%)≤20............................(4)
    여기에서, U%는 우스타반, △ Sw는 비수수축율, CR은 신축복원율, TR은 권축발현 신장율을 표시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혼섬복합가면사가 하기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a가 2400이상 14500 이하의 범위의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한 혼섬복합가연사.
    연수 T1(T/M) = d . α·D-1/2.................(5)
    단, d : 면계수
    D :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닐)
  3. 용융된 폴리에텔 중합체를 방출하고 냉각함으로서 얻어지는 최소한 1종류가 요입부를 가지지아니한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이고, 그이외의 필라멘트사가 요입부를 가진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인 2종류이상의 상이한 단면형상의 폴리에스텔 필라멘트사를, 인취롤러로 인취하기전에 혼섬집속하고, 인취속도 4500m/분 이하에서 인취하므로서 얻어진 폴리에스텔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를 70℃ 이상 90℃ 이하에서 하기식의 연신배율 조건으로 아우트드러를 실시하고, 이어서 가연히터온도가 110℃ 이상 190℃ 이하, 하기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a가 2400 이상 35000 이하의 범위로 연신가연 가공하고, 상기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0.70 × NDR≤ R ≤ 0.98 × NDR.............(6)
    가연계수 d=T2·D1/2.............(7)
    여기에서 NDR은 폴리에스텔 미연신사 또는 반연신사의 자연 연신비, R은 아우트드러 연신배율, T2는 가연수 (T/M), D는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 (데닐)를 표시한다.
  4. 제3항에 있어서, 최소한 1종류가 요입부를 가지지아니한 형상으로, 그이외의 형상이 요입부를 가진 형상으로서, 2종류 이상의 상이항형상의 방사공으로 구성되는 1매의 방사구금으로부터 용융된 폴리에스텔 중합체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연신가연가공을 실시한후, 인터레이스노즐에 의하여 교락도 10개/m 이상의 교락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6. 가연가공 하여서된 2종류이상의 상이한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텔멀티 필라멘트사로서, 최소한 1종류의 필라멘트사가 요입부를 가지지아니한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 그이외의 필라멘트사가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면형상의 필라멘트사가 분산하여 혼섬되고, 다시 우스타반 U%rk 0.8% 이상이되, 하기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d가 2400 이상 14500 이하의 범위의 연을 가지는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편직물.
    연수 T1(T/M) = d.D-1/2...............(8)
    여기에서 d는 연계수, D는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닐)을 표시함.
  7. 제6항에 있어서, 추연전의 혼섬복합가연사의 권축특성이, 비수수축율 SW(%)가 15%이하, 권축특성중 신축복원율 CR(%)가 42% 이하,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 발현 신장율 TR(%)가 20% 이하 일것을 특징으로하는 편직물.
  8. 가연가공 하여서된 2종류이상의 상이항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가 분산혼섬하여 구성된 폴리에스텔 멀티필라멘트사에 있어서, 최소한 1종류의 단필라멘트가 요입부를 가지지않는 단면형상으로되고, 그이외의 단필라멘트가 요입부를 가지는 단필라멘트 단면형상으로되고, 또 상기 요입부를 가지지않은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의 최소한 1종류와, 상기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의 최소한 1종류가, 접촉한 경우에 당해 그들의 단필라멘트 단면간에 공극을 형성하는 단면형상일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 가연사.
  9. 가연가공 하여서된 2종류 이상의 상이한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가 분산하고 혼섬하여 구성되는 폴리에스텔 멀티필라멘트사에 있어서, 최소한 1종류의 단필라멘트가 요입부를 가지지않는 단면형상으로되고, 그이외의 단필라멘트가 요입부를 가지는 단필라멘트 단면형상으로되며, 또 상기 요입부를 가지지않은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의 최소한 1종류와, 상기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의 최소한 1종류가, 접촉된 경우에 당해 그들의 단 필라멘트 단면간에 공극을 형성하는 단면형상이고, 더우기 우스타반 U%가 0.8% 이상일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 가연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요입부를 가지는 단필라멘트단면 형상의 로발도가 5 이상 60 이하일 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 가연사.
  11. 제8항에 있어서, 비수수축율 SW(%)가 6% 이상 15% 이하, 권축특성중 신축복원율 CR(%)가 35% 이하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 신장율 TR(%)가 5% 이하일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 가연사.
  12. 제9항에 있어서, 비수수축율 SW(%)가 15%이하, 권축특성중 신축복원율 CR(%)가 42% 이하,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 신장율 TR(%)가 20% 이하일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 가연사.
  13.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혼섬복합가연사가 하기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d가 2400 이상 14500 이하의 범위의 연을 가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혼섬복합 가연사.
    연수 T1(T/M) = α·D-1/2.................(9)
    단, d : 연계수
    D :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닐)
  14. 가연가공 하여서된 2종류이상의 상이한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가 분산하고 혼섬하여 구성된 포리에스텔 멀티필라멘트사 로서, 최소한 1종류의 단필라멘트가 요입부를 가지지아니한 단면형상으로되고, 그이외의 단필라멘트가 요입부를가진 단필라멘트 단면형상으로되고, 또 상기 요입부를 가지지 아니한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의 최소한 1종류와, 상기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의 최소한 1종류가, 접촉된경우에 당해 그들의 단필라멘트 단면간에 공극을 형성하는 단면형상이고, 더우기 하기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d가 2400 이상 1450 이하의 범위의 연을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하는 편직물.
    연수 T1(T/M) = α·D-1/2.................(9)
    단, d : 연계수
    D :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닐)
  15. 제14항에 있어서, 추연전의 혼섬복합 가연사의 권축특성이, 비수수축율 SW(%)가 6% 이상 15% 이하, 권축특성중 신축복원율 CR(%)가 35% 이하,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 신장율 TR(%)가 5% 이하일것을 특징으로하는 편직물.
    D : 혼섬복합 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닐)
  16. 가연가공 하여서된 2종류이상의 상이한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가 분산하고 혼섬하여 구성되는 폴리에스텔 멀티필라멘트사로서, 최소한 1종류의 단필라멘트가 요입부를 가지지아니한 단면형상으로 되고, 그이외의 단필라멘트가 요입부를 가지는 단필라멘트 단면형상으로 되고, 또 상기 요입부를 가지지아니한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의 최소한 1종류와, 상기 요입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의 단필라멘트의 최소한 1종류가 접촉한 경우에 당해 그들의 단필라멘트 단면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단면형상이고, 더우기 우스타반 U%가 0.8% 이상이며, 하기식에 있어서의 연계수 d가 2400 이상 14500 이하의 범위의 연을 가지는 혼섬복합가연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하는 편직물.
    연수 T1(T/M) = α·D-1/2.................(9)
    단, d : 연계수
    D : 혼섬복합가연사의 총섬유섬도(데닐)
  17. 제16항에 있어서, 추연전의 혼섬복합 가연사의 권축특성이, 비수수축율 SW(%)가 15% 이하, 권축특성중 신축복원율 CR(%)가 42% 이하, 하중하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권축발현 신장율 TR(%)가 20% 이하일것을 특징으로하는 편직물.
  18.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친수가공이 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편직물.
KR1019940703489A 1993-02-04 1993-12-24 혼섬복합 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실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 KR100246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7404 1993-02-04
JP1740493 1993-02-04
JP11725893 1993-05-19
JP93-117257 1993-05-19
JP93-117258 1993-05-19
JP11725793 1993-05-19
PCT/JP1993/001881 WO1994018365A1 (en) 1993-02-04 1993-12-24 False twisted combined filament yar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knitted or woven material using the same ya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017A KR950701017A (ko) 1995-02-20
KR100246595B1 true KR100246595B1 (ko) 2000-04-01

Family

ID=2728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489A KR100246595B1 (ko) 1993-02-04 1993-12-24 혼섬복합 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실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62790A (ko)
EP (1) EP0634508B1 (ko)
KR (1) KR100246595B1 (ko)
DE (1) DE69324676T2 (ko)
ES (1) ES2130398T3 (ko)
HK (1) HK1005146A1 (ko)
WO (1) WO1994018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28B1 (ko) * 2000-01-26 2006-11-24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탈취 또는 항균성을 보유하는 섬유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0298B (en) * 2000-03-24 2002-03-21 Toray Industries Rough-twist processed yar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JP4534292B2 (ja) * 2000-03-24 2010-09-01 東レ株式会社 特殊捲縮糸の製造方法
WO2002006574A2 (en) * 2000-07-13 2002-01-24 Prisma Fibers, Inc. Apparent twist yarn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TWI354041B (en) * 2004-09-28 2011-12-11 Teijin Fibers Ltd Woven or knitted fabric and cloth containing crimp
US7074483B2 (en) * 2004-11-05 2006-07-11 Innegrity, Llc Melt-spun multifilament polyolefin yarn formation processes and yarns formed therefrom
US7406818B2 (en) * 2004-11-10 2008-08-05 Columbia Insurance Company Yar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7648607B2 (en) * 2005-08-17 2010-01-19 Innegrity, Llc Methods of forming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US8057887B2 (en) * 2005-08-17 2011-11-15 Rampart Fibers, LLC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US7892633B2 (en) * 2005-08-17 2011-02-22 Innegrity, Llc Low dielectric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CN101351581A (zh) * 2005-12-06 2009-01-21 因维斯塔技术有限公司 有三个主叶和三个小叶的六叶横截面纤丝,由具有该纤丝的纱线簇绒成的地毯,和用于制造该纤丝的毛细喷丝头孔
KR100989148B1 (ko) * 2007-05-23 2010-10-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타이어 코오드용 셀룰로오스계 필라멘트, 이를 포함하는필라멘트 번들, 이를 포함하는 연사물, 및 이를 포함하는타이어 코오드
JP4563487B2 (ja) * 2009-02-26 2010-10-13 東洋紡スペシャルティズ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織物
WO2013191284A1 (ja) * 2012-06-22 2013-12-27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仮撚低融着糸および多層構造織編物
US9803298B2 (en) * 2014-12-19 2017-10-31 Arctic Cool, Llc Cooling shir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6596881B2 (ja) * 2015-03-31 2019-10-30 東レ株式会社 複合仮撚加工糸
CN112430883B (zh) * 2019-08-26 2022-12-09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仿机织风格的针织物
US20210324547A1 (en) * 2020-08-21 2021-10-21 Suntex Fiber Co., Ltd. Air textured yarn (a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796022A (zh) * 2020-12-24 2021-05-14 吴江极地纺织有限公司 错位收缩起皱形态面料的织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7417B2 (ja) * 1975-06-11 1983-08-16 東レ株式会社 特殊捲縮糸
US4025595A (en) * 1975-10-15 1977-05-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mixed filament yarns
JPS58109657A (ja) * 1981-12-18 1983-06-30 ユニチカ株式会社 杢調特殊風合加工糸織編物
JPS58115135A (ja) * 1981-12-26 1983-07-08 ユニチカ株式会社 特殊風合仮撚加工糸
JPS58136847A (ja) * 1982-02-03 1983-08-15 東レ株式会社 仮ヨリ伸縮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136372A (ja) * 1983-12-26 1985-07-19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0136372U (ja) * 1984-02-22 1985-09-10 東レ株式会社 合成繊維スパンライク加工糸
JPS61207638A (ja) * 1985-03-11 1986-09-16 カネボウ株式会社 不透明性に優れた織物
JPS62133137A (ja) * 1985-11-29 1987-06-16 日本エステル株式会社 撚糸織物用異繊度混繊糸
JPH0280631A (ja) * 1988-09-13 1990-03-20 Toyobo Co Ltd 混繊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4241A (ja) * 1990-05-18 1992-01-28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加工糸織物
JPH04316624A (ja) * 1991-04-11 1992-11-09 Unitika Ltd 特殊嵩高加工糸
JP2570542B2 (ja) * 1992-03-02 1997-01-08 東レ株式会社 複合糸および織物の製造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28B1 (ko) * 2000-01-26 2006-11-24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탈취 또는 항균성을 보유하는 섬유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4508A1 (en) 1995-01-18
US5462790A (en) 1995-10-31
HK1005146A1 (en) 1998-12-24
DE69324676D1 (de) 1999-06-02
ES2130398T3 (es) 1999-07-01
EP0634508B1 (en) 1999-04-28
KR950701017A (ko) 1995-02-20
WO1994018365A1 (en) 1994-08-18
EP0634508A4 (en) 1995-08-09
DE69324676T2 (de) 199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595B1 (ko) 혼섬복합 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실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
JPH0214040A (ja) 新規繊維布
JP2964639B2 (ja) 混繊複合仮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糸を用いてなる編織物
KR100635857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H0734341A (ja) 混繊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編織物
JP4497648B2 (ja) 複合弾性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09369A (ja) 混繊糸からなる織編物
KR20170112576A (ko) 위편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19270A (ko) 개질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JP4418281B2 (ja) ポリアミド混繊糸及び織編物
JP3178243B2 (ja) 混繊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編織物
WO2024018818A1 (ja) 複合繊維、構造糸、織編物及び衣類
JP7466336B2 (ja) 学生服用編地及び学生服
KR102276508B1 (ko)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4228504B2 (ja) 混繊糸からなる織編物
JP2001214335A (ja) 低収縮ポリエステル太細糸およびそれからなるポリエステル混繊糸
WO2001081662A1 (fr) Fibre polyester a section transversale deformee, et fil et tissu comprenant ladite fibre
KR100474488B1 (ko) 권축사및직편물과그제조방법
JP2024024786A (ja) 複合仮撚糸及びそれを含む織編物
JPH10251963A (ja) ポリエステル潜在羽毛二層構造複合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エード調織物
JP4701478B2 (ja) 多色性複合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61550A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
JPH07229027A (ja) 混繊複合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織編物
JP2001248034A (ja) 混繊糸からなる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149539A (ja) ポリエステル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