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508B1 -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508B1
KR102276508B1 KR1020200034388A KR20200034388A KR102276508B1 KR 102276508 B1 KR102276508 B1 KR 102276508B1 KR 1020200034388 A KR1020200034388 A KR 1020200034388A KR 20200034388 A KR20200034388 A KR 20200034388A KR 102276508 B1 KR102276508 B1 KR 10227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athleisure
fabric
warp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508B9 (ko
Inventor
김희동
신용탁
이재우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주식회사 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주식회사 자인 filed Critical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3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508B1/ko
Publication of KR10227650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50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04B1/08Non-run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사 삽입 방식으로 제조되는 편물로 이루어지는 애슬레저용 원단(100)으로써,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편직물의 단점이 올풀림 현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애슬레저용 원단(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Athleisure fabrics using weft insertion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경편물로서, 신축성을 적절하게 제어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편직물의 단점이 올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섬유업계에서는 고부가가치를 갖는 차별화 소재의 개발의 일환으로 중합물의 개선 및 원사단면의 차별화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원사단면의 차별화는 투자비용 및 투자시간에 비해 섬유의 물성개량의 측면에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스포츠 의류시장은 주로 건강한 자기관리와 웰빙, 스포츠 참여 등이 활발한 남성 위주로 기능적이며 편안하면서 활동적이고 실용적이며 세련된 감각의 애슬레저 스타일의 스포츠 웨어들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애슬레저란 운동을 뜻하는 애슬레틱(athletic)과 일상의 편안함과 일상의 휴식의 즐거움을 강조한 레저(leisure)의 합성어로서, 상기 에슬레저 스타일의 스포츠 웨어는 운동복의 기능성과 일상에서 착용이 가능한 스타일로 스타일리시하면서 다른 아이템들과도 연출이 가능한 스타일의 스포츠 웨어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심 속에서 스포츠와 레저 활동을 즐기는 최근 트렌드를 반영해 스포티즘룩의 심플하고 활동적인 느낌의 디자인을 접목하고, 아웃도어 원단의 경량성과 통기성 같은 기능성을 결합해 가벼운 트레킹부터 액티브한 스포츠 활동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애슬레저 스타일의 스포츠 웨어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애슬레저 스타일의 스포츠 웨어를 제조하기 위한 소재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9656호에는 PTFE 나노입자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형단면 방사구금에서 용융하여 방사하여 방사가공성이 우수하며, 흡한속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애슬레저 의류용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8412호에는 파일의 밀도는 10개 내지 30개/6.5㎠, 파일 높이는 2㎜ 내지 5㎜, 파일사의 굵기는 20 내지 400 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된 파일사를 이용하여 운동 중 흘리는 땀이 스포츠웨어에 흡수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땀을 흘려도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잘붙지 않도록 하여 땀을 흡수한 스포츠웨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애슬레저 스타일의 스포츠 웨어를 제조하기 위한 소재들은 운동중에 땀 발생이나 체온상승에 의하여 끈적거리거나 착용감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스포츠웨어가 땀에 의하여 피부에 들러붙어 쾌적성이 저하하고, 운동부하가 많이 걸리고 쉽게 피로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남성용 애슬레저 의류에 적합하도록 신축성이 적절하게 제어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편물의 단점이 올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적극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사 삽입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편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신축성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경사(10)와 위사(20)의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길이 방향의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애슬레저용 원단(100)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삽입 방식의 편물로 이루어지는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루프(30)를 형성하는 경사(10); 및 상기 루프(30) 사이로 삽입되는 위사(20);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이며, 위사(20)는 재생 나일론사 또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소재가 복합화된 복합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삽입 방식의 편물로 이루어지는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경사방향 신장율(%)은 15 ~ 20 %이며, 위사방향 신장율(%)은 30 ~ 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사(10)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 조직은 길이방향으로 동축선상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한 크로스 루프 조직 또는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인 오픈 루프 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위사 삽입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편물로서, 경사로서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고, 위사로서 재생 나일론사 또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소재인 텐셀(Tencel), 에코베로(EcoVero) 또는 모달(Modal) 섬유가 복합된 복합사를 이용하여 편직됨으로써,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편직물의 단점이 올풀림 현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경사(10)와 위사(20)의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길이 방향의 강도가 우수하면서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크로스 루프 조직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오픈 루프 조직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확대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삽입 방식의 편물로 이루어지는 애슬레저용 원단(100)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크로스 루프 조직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오픈 루프 조직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확대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삽입 방식의 편물로 이루어지는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루프(30)를 형성하는 경사(10); 및 상기 루프(30) 사이로 삽입되는 위사(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각각 독립되어 세로 방향으로 병렬된 다수의 경사(10)와, 상기 경사(10)와 직교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위사(2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10)는 세로방향으로 동축선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회전 방향이 동일한 다수개의 크로스 루프(30)를 포함한다. 상기 루프(30)에는 경사(10)의 전폭에 걸쳐 위사(20)가 삽입되어 상기 경사(10)가 위사(20)를 엮어주는 형태로 조직(100)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오픈 루프 조직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경사(10)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픈 루프(30)가 세로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오픈 루프(30)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10)와 위사(20)의 교차점에서 경사(10)가 위사(20)를 감싸는 구조로 편직됨에 따라 경사(10)와 위사(2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되는 애슬러저용 원단(100)의 조직이 외력에 의해 쉽게 밀리지 않고 반듯반듯하게 편직되어 시각적으로 디자인이 수려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조직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경사(10)와 위사(20) 사이의 밀림 현상이 없기 때문에,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에서 경사(10)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축성(Elasticty)이라 함은 탄성을 가리킨다. 즉 탄성을 갖고 있는 물체인 탄성체(Elastic Body)에 외력을 가하여 당겨 늘인후, 이 외력을 제거했을 때 원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말하며, 상기 탄성체가 실 상태이면 탄성섬유이고, 직물상태이면 탄성직물로 분류된다.
상기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방사 후 가연공정을 통해 고신축성을 부여한 폴리에스테르사를 가리킨다.
상기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된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가연된 실(False Twist Yarn)을 연사(Twist)하여 타래(Hank)를 만들어 수축된 상태로 염색(사염)한 다음 재권취(Rewinding)하는 방법으로서, 선염 염색사가 제조되기까지 가연 → 연사 → 타래 → 수축 → 염색 → 재권취의 여러 공정이 수행되므로 공정의 증가로 인하여 가격상승 및 품질저하가 초래된다.
두 번째 방법은 폴리에스테르사의 가연(False Twist) 공정시, 솜방망이처럼 권밀도를 낮게 하여 염색 시 수축을 주어, 수축된 권축(Crimp)에 의해서 신축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방법은 원착사(Dope Dyed)를 가연(假撚, False Twist)시 연수(Twist/m)와 온도(Heating Zone Temperature)를 증가시켜 수행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사(10)는 상기 방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요구하는 색상과 소롯트(Lot) 생산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상기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모두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경사(10)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고, 호부처리 및 꼬임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즉,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한 직물제조에 있어서 경사는 제직시 모우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꼬임을 주는 연사(Twisting)방법 또는 호제를 부여하는 호부(Sizing)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방법은 경사에 제직시 필요한 집속성, 내마찰성, 평활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이들 방법들은 제직 작업능률 향상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연사기 및 호부기와 같은 설비가 필요하고 비용면에서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경사로 사용하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는 꼬임이나 호제를 부착하지 않아도 원사의 집속성 및 평활성 등이 유지됨으로써, 연사(Twisting) 공정 또는 호제를 부여하는 호부(Sizing) 공정을 거치지 않고 경사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10)로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의 섬도는 75 ~ 150 데니어가 가장 바람직하다. 즉, 경사로 사용되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의 섬도가 75 데니어 미만이면, 섬도가 지나치게 가늘기 때문에, 제편 공정에서의 섬유의 취급이 곤란하게 되기 쉽다. 또한 섬도가 150 데니어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되는 원단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촉감이 양호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경사(10)로 사용되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의 섬도는 75 ~ 150 데니어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사(20)는,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소재를 복합화한 복합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위사(20)는 재생 나일론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섬유의 복합사 또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섬유의 복합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일론사와 폴리에스테르사는 재생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폴리에스테르 재생섬유의 경우에는 material recycle 방법 또는 chemical recycle 방법을 통해 재생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사를 가리킨다. 이 중 상기 chemical recycle 방법은 폐폴리에스테르를 해중합하여 모노머 원료인 DMT(Dimentyl terephthalat)와 TPA(terephthalic acid)까지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시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virgin chip과 유사한 고순도의 재생원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hemical recycle 방법에 의해 재생된 폴리에스테르 재생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일론 재생섬유의 경우에도 chemical recycle 또는 material recycle 방법에 의해 섬유화가 가능하다. 특히, 폐나일론을 해중합하여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카프로락탐(caprolactam)으로 환원시키는 chemical recycle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재생 나일론사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카프로락탐을 이용하여 재생 나일론사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사(10)로 사용되는 재생 나일론사 또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사는 드로우텍스쳐링 공정을 거친 DTY사(draw texturing yarn)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편물의 제조시 신축성 및 볼륨감을 발현할 수 있다. 특히 편물의 제조시 뒤틀림을 방지하여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DTY 공정은 고벌키성의 권축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에 열변형과 열처리를 하여 제조된다. 즉, 배향이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의 나일론 POY(pre-oriented yarn) 또는 폴리에스테르 POY를 벨트 방식의 DTY기에서 연신 및 가연함으로써 다수이 크림프(crimp)를 갖도록 한 것으로서, 제조된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DTY는 크림프로 인하여 고벌키성과 고신축성을 나타낸게 된다. 이때 상기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DTY의 꼬임 방향이나 꼬임수의 조절에 의하여 신축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위사(20)로 사용되는 복합사의 제조시 사용되는 친환경 셀룰로오스 소재는 텐셀(Tencel), 에코베로(EcoVero) 또는 모달(Moda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텐셀(Tencel)은 100% 셀룰로오즈 성분의 재생섬유로서, 유칼립투스 나무 추출물로 만든 친환경적인 소재로 수분 함유량과 흡수성이 뛰어난 섬유소재를 가리키며, 상기 에코베로(EcoVero)는 인증된 조림에서 수확한 지속 가능한 목재와 펄프에서 추출한 원료로 생산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또한 일반 비스코스 섬유에 비해 생산시 발생하는 가스 방출와 물 사용량이 50%로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섬유를 가리킨다.
또한, 모달(Modal)은 순수한 너도밤나무(BEECH WOOD)에서 얻어지는 천연섬유로써 레이온보다 강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형태 안정성과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섬유를 가리킨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을 제조하기 위한 원사로서, 경사(10)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고, 위사(20로는 재생 나일론사 또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소재를 복합화한 복합사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사(10)와 위사(20)는 경편기(warp knitting m/c)에 공급되어 위사 삽입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슬레저 원단은 위사(20)로서 재생 나일론사 또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사와 에코베로사를 포함하는 레이온사가 함께 복합화된 복합사를 사용함으로써, 위사(20)의 표면마찰력이 증대하여 경사(10)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30)의 고정력을 더욱 확실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직후 경사(10)와 위사(20)의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경편기(warp knitting m/c)를 이용하여 제직시 경사(10) 및 위사(20)의 밀도는 애슬레저 원단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경사(10)의 경우 12~24 본/inch, 위사(20)의 경우 22~40 본/inch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10)와 위사(20) 밀도의 어느 하나가 너무 작아도 상기 애슬레저 원단의 강도를 얻기 어렵고, 경사(10)와 위사(20)의 밀도가 높으면 상기 애슬레저 원단의 강도는 확보되나 경사(10) 및 위사(20)의 삽입수가 증대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10) 및 위사(20)의 굵기 또한 상기 애슬레저 원단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경사(10)로 사용되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의 경우에는 75 ~ 150 데니어 범위가 바람직하며, 위사(20)로 사용되는 복합사의 경우에는 100 ~ 300 데니어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경편기(warp knitting m/c)를 이용하여 위사 삽입 방식의 편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오픈 루프 조직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각각 독립되어 세로 방향으로 병렬된 다수의 경사(10)와, 상기 경사(10)와 직교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위사(2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10)는 세로방향으로 동축선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회전 방향이 동일한 다수개의 루프(30)를 포함한다. 상기 루프(30)에는 경사(10)의 전폭에 걸쳐 위사(20)가 삽입되어 상기 경사(10)가 위사(20)를 엮어주는 형태로 조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픈 루프(30)가 세로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오픈 루프(30)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편기를 이용한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제조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상기 경사(10)와 위사(20)의 투입배열을 결정한다. 상기 경사(10)와 위사(20)의 투입단위는 원사의 배열에 따라 결정되는데 경사(10)와 위사(20) 중에서 선택된 원사의 배열이 n:1(n = 1 ~ 4)일 때 n본이 1개의 투입단위가 된다.
만일 경사(10)인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와 위사(20)인 재생 나일론사 또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사와 레이온사의 복합사 중에서 선택된 원사의 배열이 4:1일 경우 원사 4본을 1개의 투입단위로 정하게 된다. 이 때 경편기의 피더(feeder)수는 투입단위의 배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원사 4본이 1개의 투입단위일 경우 첫 번째에서 세 번째 피더에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단독으로 투입하고, 네 번째 피더에는 상기 재생된 폴리에스테르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소재가 복합된 복합사를 교차로 투입한다.
이 때 편직시 효율을 올리거나 최종 가공지상 깨끗한 원단을 얻기 위해서 네 번째 피더에 투입되는 원사를 재생된 폴리에스테르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소재를 공기교락시켜서 얻은 복합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위사 삽입 방식으로 제편을 할 때 그 조직은 경편 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편기(warp knitting m/c)에서 의해서 제조되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제편된 생지는 통상적인 경편지의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을 하게 된다. 즉, 염색공정을 거친 후, 열수에 처리하게 되면, 경사(10)로 사용된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가 강하게 수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10)로 사용된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가 수축하면서 위사(20)가 조직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직의 내부로 들어간 위사(20)에 의해 원단의 형태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가 수축하면서 복합사는 원단의 바같층을 형성하게 되며 열수처리하면 상기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에 의해 원단에 신축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원단은 형태안정성이 높고 신축성에 의해 밀도도 증가하므로 일반 편물원단에 비해 치밀한 제품을 얻을 수 있고 이는 신축성 직물과 상당히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폭 75인치, 위사밀도 40 본/인치, 경사밀도 20본/인치이고, 피더(feeder) 96가닥으로 설정된 경편기에서 편직을 하고, 24 개의 피더를 반복단위로 하여 첫 번째 피더에서 세 번째 피더까지는 경사(10)로서, 75 데니어 24 필라멘트의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단독으로 투입하고, 네 번째 피더에는 위사(20)로서 50 데니어 24 필라멘트인 재생 폴리에스테르사와 50 데니어 24 필라멘트인 에코베로사가 각각 50중량%로 복합화된 복합사를 투입하여 경편 생지를 제조한 후, 제조된 편물 생지를 축소, 정련, 염색, 열고정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첫 번째 피더부터 세 번째 피더까지는 경사(10)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원사를 사용하고, 네 번째 피더에는 위사(20)로서 150 데니어 24 필라멘트인 재생 나일론사와 50 데니어 24 필라멘트인 텐셀사가 각각 50중량%로 복합화된 복합사를 투입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첫 번째 피더부터 세 번째 피더까지는 경사(10)로서 100 데니어 24 필라멘트의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단독으로 투입하고, 네 번째 피더에는 위사(20)로서 100 데니어 24 필라멘트인 재생 나일론사와 100 데니어 24 필라멘트인 모달사가 각각 50중량%로 복합된 복합사를 투입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3의 시험편에 대하여 치수변화율(%)과 신장율(%)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3의 시험편을 3%(o.w.f) 농도의 분산염료와 리터당 1g의 분산제가 첨가된 염액에 액비 1:50으로 침지하여 130℃에서 30분 동안 염색을 실시하고, 환원세정을 실시하여 미반응 염료를 제거하였다. 이후에 일광견뢰도, 마찰견뢰도 및 땀견뢰도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치수변화율(%)
제편된 생지의 폭을 L1이라 하고 이를 130 ℃에서 1시간 동안 침지한 후의 폭을 L2라 한다. 상기 L1과 L2를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치수변화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20029587917-pat00001
2. 신장율(%)
상기 신장율(%)은 경사와 위사방향으로 각각 측정하였으며, KS K 0352(스트레치 직물의 신축성 시험 방법)의 정하중법으로 측정하였다.
3. 일광견뢰도
상기 일광견뢰도는 염색물이 일광 등에 노출되었을 때 퇴색되지 않고 견디는 성질(저항성)을 가리키고, AATCC 16E(colorfastness to light : water-cooled xenon-arc lamp)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마찰견뢰도
상기 마찰견뢰도는 염색물을 마찰 시켰을때 염료가 이염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AATCC 8(colorfastness to crocking)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5. 땀견뢰도
상기 땀견뢰도는 인체에서 배출되는 땀액이 염색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AATCC 15(colorfastness to perspiration)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치수변화율
(%)
신장율(%) 일광견뢰도
(급)
마찰견뢰도
(급)
땀견뢰도
(급)
경사방향 위사방향
실시예 1 4.2 15 31 3-4 4 3-4
실시예 2 4.0 18 38 4 4 3-4
실시예 3 4.7 20 40 4 3-4 4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시험편에 대한 치수변화율(%)은, 모두 5% 미만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편의 경사방향 산장율(%)은 15 ~ 20%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위사방향 신장율(%)은 30 ~ 40 %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1에서 일광견뢰도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시험편 모두 3-4급 이상을 나타내고, 마찰견뢰도와 땀견뢰도 또한 모두 3-4급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슬레저용 원단(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 삽입 방식으로 제조되어, 루프(30)를 형성하는 경사(10); 및 상기 루프(30) 사이로 삽입되는 위사(2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편직물의 단점이 올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신축성을 적절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남성용 애슬레저용 원단(100)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경사
20 : 위사
30 : 루프
100 : 애슬레저용 원단

Claims (5)

  1. 위사 삽입 방식의 편물로 이루어지는 애슬레저용 원단(100)으로서,
    루프(30)를 형성하되, 연사공정 및 호부공정 없이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인 경사(10); 및
    상기 루프(30) 사이로 삽입되되, 재생 나일론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섬유의 복합사 또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사와 친환경 셀룰로오스 섬유의 복합사인 위사(20);로 구성되며,
    경사방향 신장율은 15 ~ 20 %이고, 위사방향 신장율은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슬레저용 원단(100).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셀룰로오스 섬유는 텐셀, 에코베로 또는 모달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슬레저용 원단(100).


  5. 삭제
KR1020200034388A 2020-03-20 2020-03-20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27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88A KR102276508B1 (ko) 2020-03-20 2020-03-20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88A KR102276508B1 (ko) 2020-03-20 2020-03-20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508B1 true KR102276508B1 (ko) 2021-07-13
KR102276508B9 KR102276508B9 (ko) 2021-11-12

Family

ID=7685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388A KR102276508B1 (ko) 2020-03-20 2020-03-20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5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833A (ko) * 2009-12-02 2011-06-10 주식회사 신양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한 천테이프 원단 및 이를 포함하는 천테이프
KR20160096737A (ko) * 2015-02-05 2016-08-17 주식회사 파텍스 복합 스트레치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되는 복합 스트레치사 및 고신축성 원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833A (ko) * 2009-12-02 2011-06-10 주식회사 신양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한 천테이프 원단 및 이를 포함하는 천테이프
KR20160096737A (ko) * 2015-02-05 2016-08-17 주식회사 파텍스 복합 스트레치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되는 복합 스트레치사 및 고신축성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508B9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006B1 (ko) 안감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02741A1 (en) Woven or knit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9137241A (zh) 一种触感舒柔的针织夏被及其制备方法
Fukuhara Innovation in polyester fibers: from silk-like to new polyester
KR101374774B1 (ko) 심초형 잠재권축 혼섬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KR100635857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308812A (ja) ストレッチ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76508B1 (ko) 위사 삽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애슬레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8342818B (zh) 一种棉感针织面料
KR101962077B1 (ko) 하계용 도비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0147865A (ja) 混繊追撚糸及び織編物
KR100635858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212477055U (zh) 一种高尺寸稳定性的医用面料
JP4202210B2 (ja) 混繊糸及び織編物及び着古し外観を有する縫製品
JP2004183193A (ja) 織物
JP4214626B2 (ja) 強撚織物
KR100624146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H07310252A (ja) 表面に毛羽を有する織物
JP4530862B2 (ja) 高密度織物の製造方法
JP2023142907A (ja) 衣料用経編地
JP2022119638A (ja) ラン防止シングル編地
JPS6183370A (ja) スパンライク高密度布帛の製造方法
KR20030087237A (ko) 형태안정성 및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제조방법
JPS60104543A (ja) 紡績糸様フイラメント糸
JP2021188157A (ja) 複合加工糸、複合加工糸を含む織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