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424B1 - 정전기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정전기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424B1
KR100239424B1 KR1019970049217A KR19970049217A KR100239424B1 KR 100239424 B1 KR100239424 B1 KR 100239424B1 KR 1019970049217 A KR1019970049217 A KR 1019970049217A KR 19970049217 A KR19970049217 A KR 19970049217A KR 100239424 B1 KR100239424 B1 KR 10023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urity region
gate electrode
semiconductor substrate
protection circuit
conductivit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902A (ko
Inventor
정혁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4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424B1/ko
Priority to US09/078,134 priority patent/US5932916A/en
Priority to CN98114859A priority patent/CN1130770C/zh
Priority to JP27109498A priority patent/JP3851001B2/ja
Publication of KR1999002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9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H01L27/0262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including a PNP transistor and a NPN transistor, wherein each of said transistors has its base coupled to the collector of the other transistor, e.g.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4Thyristor-type devices, e.g. having four-zone regenerative action
    • H01L29/7436Lateral thyr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7Thyristor diodes, e.g. Shockley diodes, break-over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hyr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Electro Static Dischage:ESD) 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의 트리거(Triggering) 전압을 낮추어 성능을 향상 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정전기 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제 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상기 제 2 도전형 웰내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1 불순물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2 불순물 영역과, 상기 반도체 기판과 분리되도록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분리되도록 제 1 게이트 전극상에 형성된 제 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제 2 게이트 전극 양측의 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3, 제 4 불순물 영역과, 상기 제 4 불순물 영역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5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기 보호회로
본 발명은 정전기(Electro Static Dischage:ESD) 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의 트리거(Triggering) 전압을 낮추어 성능을 향상 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정전기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SD(Electro Static Dischage)에 의한 디바이스의 파괴는 배선막과 산화막의 어느 하나를 고려할 수 있는데, 그 모드는 대부분이 열적 파괴라고 생각된다.
ESD에 의한 디바이스 파괴를 줄이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주위의 ESD 발생원인을 제거하는 1차적인 방법과, 디바이스에 대전하는 ESD를 적절한 보호회로를 개설하여 내부회로에는 영향을 주지않고 순차적으로 방전하는 2차적인 방법이 있다.
한편, 정전기 보호회로로 사용되는 SCR은 높은 전류전압 특성의 효율성을 가지고 있지만 트리거 전압이 높은 결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정전기 보호회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LSCR(Lareral SCR) 정전기 보호회로을 나타낸 구조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MLSCR(Modified Lateral 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도체 기판(1)과,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소정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N-웰 영역(2)과, 상기 N-웰 영역(2)내의 기판(1)에 형성된 99제 1, 제 2 불순물 영역(3)(4)과, 상기 N-웰 영역(2)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N-웰 영역(2)이 아닌 기판(1)에 형성된 제 3 불순물 영역(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도체 기판(1)은 P도전형이고,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4)은 상기 기판(1)과 동일 도전형이며, 상기 제 1 제 3 불순물 영역(3)(5)은 상기 기판(1)과 반대 도전형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불순물 영역(3)(4)은 출력패드(Output PAD)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불순물 영역(5)은 Vss라인과 연결된다.
이와같은 정전기 보호회로는 제 1, 제 3 불순물 영역(3)(5)이 수평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하고, 제 2 불순물 영역(4)이 수직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한다.
여기서,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서로 래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LSCR 정전기 보호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드를 통해 정(+)전압(정전기)이 인가되면 상기 N-웰 영역(2)과 반도체 기판(1)간의 에벌런치 브레이크다운(avalanche breakdown)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 3 불순물 영역(5)을 통해 Vss라인으로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수평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턴-온(turn-on)된 후, 이어서 수직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면서 기생 사이리스터(thyristor)가 동작하여 트리거된다.
그러나 트리거 전압(약 40V 정도)이 매우높아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도체 기판(20)과, 상기 반도체 기판(20)의 소정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N-웰 영역 (21)과, 상기 N-웰 영역(21)내의 기판(20)에 형성된 제 1, 제 2 불순물 영역(22)(23)과, 상기 N-웰 영역(21)과 반도체 기판(20) 계면에 형성된 제 3 불순물 영역(24)과, 상기 제 3 불순물 영역(24)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N-웰 영역(21)이 아닌 기판(20)에 형성된 제 4 불순물 영역(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도체 기판(20)은 P도전형이고,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23)은 상기 기판(20)과 동일 도전형이며, 상기 제 1, 제 3, 제 4 불순물 영역(22)(24)(25)은 상기 기판(20)과 반대 도전형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불순물 영역(22)(23)은 출력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불순물 영역(25)은 Vss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 3 불순물 영역(24)은 트리거 확산영역이다.
이와같은 정전기 보호회로는 제 1, 제 4 불순물 영역(22)(25)이 수평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하고, 제 2 불순물 영역(23)이 수직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MLSCR 정전기 보호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드를 통해 정(+)전압(정전기)이 인가되면 상기 제 3 불순물 영역(24)과 반도체 기판(20)간의 에버런치 브레이크다운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제 4 불순물 영역()를 통해 Vss라인으로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수평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턴-온된 후, 이어서 수직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므로 LSCR 보다 트리거 전압(약 20V 정도)이 낮아진다.
도 3a는 종래의 LVT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회로적 구성도이고, 도 3b는 종래의 LVT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에미터가 Vss라인과 연결되고 콜렉터는 출력패드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31)와, 에미터가 출력패드와 연결되고 콜렉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에 공통 접속되는 제 2 트랜지스터(32)와, 소오스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3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31)의 에미터와 접속되며 게이트는 Vss라인에 연결되는 NMOS트랜지스터(33)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31)의 콜렉터와 출력패드 사이에 형성된 N-웰 저항(34)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32)의 콜렉터와 제 1 트랜지스터(31)의 에미터 사이에 형성된 기판 저항(3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트랜지스터(31)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32)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도 3b 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판(40)과, 상기 기판(40)의 소정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N-웰 영역(41)과, 상기 N-웰 영역(41)내의 기판(40)에 형성된 제 1, 제 2 불순물 영역(42)(43)과, 상기 반도체 기판(40)상의 소정영역에 게이트 산화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게이트 전극(44)과, 상기 게이트 전극(44) 양측의 반도체 기판(40)에 형성된 제 3, 제 4 불순물 영역(45)(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불순물 영역(45)은 N-웰 영역(41)과 반도체 기판(40)의 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43)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40)은 P도전형이고,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43)은 상기 기판(40)과 동일 도전형이며, 상기 제 1, 제 3, 제 4 불순물 영역(42)(45)(46)은 상기 기판(40)과 반대 도전형이다. 상기 제 1, 제 2 불순물 영역(42)(43)은 출력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44) 및 제 4 불순물 영역(46)은 Vss라인과 연결된다.
이와같은 정전기 보호회로는 상기 제 3, 제 4 불순물 영역(45)(46)과 상기 게이트 전극(44)이 하나의 MOS 트랜지스터를 구현하고, 상기 제 1, 제 4 불순물 영역(42)(46)이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며,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43)이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LVTSCR 정전기 보호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드를 통해 정(+)전압(정전기)이 인가되면 상기 N-웰 영역(41)과 반도체 기판(40)의 정션에 브레이트다운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 4 불순물 영역(46)을 통해 Vss라인으로 흐르는 N-웰 전류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는 N-웰 영역(41)의 전압상승을 유도하게 되어 결국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동작하게 된다.
이어 도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트랜지스터()를 턴-온 시켜 패드에 인가되는 정(+)정전기를 Vss라인으로 바이패스 시킨다.
이때, VTSCR의 정전기 보호회로에 전원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MOS 트랜지스터(33)가 플로팅(floating)된다.
즉, 전원전압을 인가하지 않게 되면 상기 MOS 트랜지스터(33)의 게이트(44)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게이트(44)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MOS 트랜지스터(33)가 턴-오프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MOS 트랜지스터(33)가 턴-오프 상태라면 저항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므로 MLSCR 보다 트리거 전압(약 13V 정도)이 낮아진다.
그러나 종래의 정전기 보호회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반도체 칩이 점차 고집화 되면서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도 점차 얇아지며 이에따라 더 낮은 트리거 전압의 정전기 보호회로가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정전기 보호회로의 트리거 전압이 게이트 산화막 브레이트다운 전압 보다 크게되면 정전기 보호회로 현상이 일어날 때 내부회로쪽의 게이트 산화막이 손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컨트롤 게이트, 플로팅 게이트 방법을 이용하여 트리거 전압을 낮게하여 정전기 보호회로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적당한 정전기 보호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L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ML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
도 3a는 종래의 LVT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도 3b는 종래의 LVT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컨트롤 게이트 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의 컨트롤 게이트 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제 1 트랜지스터 42 : 제 2 트랜지스터
43 : NMOS 트랜지스터 44 : N-웰 저항
45 : P-기판 저항 46 ; 불순물 저항
47 : 다이오드 50 : 반도체 기판
51 : N-웰 영역 52 : 제 1 불순물 영역
53 : 제 2 불순물 영역 54 : 플로팅 게이트 전극
55 : 컨트롤 게이트 전극 56 : 제 3 불순물 영역
57 : 제 4 불순물 영역 58 : 제 5 불순물 영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기 보호회로는 제 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상기 제 2 도전형 웰내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1 불순물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2 불순물 영역과, 상기 반도체 기판과 분리되도록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분리되도록 제 1 게이트 전극상에 형성된 제 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제 2 게이트 전극 양측의 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3, 제 4 불순물 영역과, 상기 제 4 불순물 영역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5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전기 보호회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컨트롤 게이트 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컨트롤 게이트 SCR 정전기 보호회로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콜렉터가 출력패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Vss라인과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41)와, 콜렉터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41)의 베이스에 공통 접속되고 에미터는 출력패드에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42)와, 소오스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42)의 베이스에 공통 접속되고 드레인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41)의 에미터에 공통 접속되며 컨트롤 게이트는 출력패드에 연결되는 MOS 트랜지스터(43)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41)의 콜렉터와 출력패드 사이에 형성된 N-웰 저항(44)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41)의 에미터와 제 2 트랜지스터(42)의 콜렉터 사이에 형성된 기판 저항(45)과, 상기 MOS 트랜지스터(43)의 컨트롤 게이트와 출력패드 사이에 형성된 불순물 저항(46)과, 상기 불순물 저항(46)과 출력패드 사이에 형성된 다이오드(4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트랜지스터(41)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42)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판(50)과, 상기 기판(50)의 소정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N-웰 영역(51)과, 상기 N-웰 영역(51)내의 기판(50)에 형성된 제 1, 제 2 불순물 영역(52)(53)과, 상기 반도체 기판(50)상의 소정영역에 게이트 산화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 전극(54)과,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54)상에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컨트롤 게이트 전극(55)과,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54) 양측의 반도체 기판(50)에 형성된 제 3, 제 4 불순물 영역(56)(57)과, 상기 제 4 불순물 영역(57)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N-웰 영역(51)이 아닌 반도체 기판(50)에 형성된 제 5 불순물 영역(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불순물 영역(56)은 N-웰 영역(51)과 반도체 기판(50)의 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53)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50)은 P도전형이고,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53)은 상기 기판(50)과 동일 도전형이며, 상기 제 1, 제 3, 제 4, 제 5 불순물 영역(52)(56)(57)(58)은 상기 기판(50)과 반대 도전형이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불순물 영역(52)(53)은 출력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게이트 전극(55)은 제 5 불순물 영역(58)을 통해 출력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불순물 영역(57)은 Vss라인에 연결된다.
이와같은 정전기 보호회로는 제 3, 제 4 불순물 영역(56)(57)과 플로팅 게이트 전극(54) 및 컨트롤 게이트 전극(55)이 하나의 MOS 트랜지스터를 구현하고, 상기 제 1, 제 4 불순물 영역(52)(57)이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며,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53)이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50)과 플로팅 게이트 전극(54) 사이에 제 1 커패시터(C1)가 존재하며,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54)과 컨트롤 게이트 전극(55) 사이에 제 2 커패시터(C2)가 존재한다. 이때, 상기 제 2 커패시터(C2)가 제 1 커패시터(C1) 보다 용량이 매우 크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컨트롤 게이트 SCR 정전기 보호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드를 통해 정(+)전압(정전기)가 인가되면 N-웰 영역(51)과 반도체 기판(50)의 정션에 브레이크다운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 4 불순물 영역(57)을 통해 Vss라인으로 흐르는 N-웰 전류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는 N-웰 영역(51)의 전압상승을 유도하게 되어 결국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5 불순물 영역(58)을 통해 컨트롤 게이트 전극(56)에 펄스가 인가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 게이트 전극(56)에 인가되는 전압을 Vug라 하면 플로팅 게이트 전극(55)에 인가되는 전압은
Figure 1019970049217_B1_M0001
가 된다.
이때,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55)에 인가되는 전위(potential)는 상기 제 1 커패시터(C1)와 제 2 커패시터(C2)의 조절을 통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커패시터(C1)는 게이트 산화막 커패시턴스(gate oxide capacitance)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2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를 변화 시킴으로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54)는 플로팅(floating)되어 있으므로 플로팅 게이트 전극(55)에 인가되는 전압이 MOS 트랜지스터(43)의 턴-온 시간을 앞당겨 SCR 동작을 빨리 일으키며, 트리거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만약, 음(-)전압(정전기)이 인가되면 제 5 불순물 영역(58), 반도체 기판(50)간의 다이오드(47)가 동작하면서 제 4, 제 5 불순물 영역(57)(58)의 FOD(Field Oxide Device)가 동작하여 디스차지 패스(discharge pass)가 형성된다. 물론 MOS 트랜지스터(43) FPD(Field Plate Diode)도 동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정전기 보호회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컨트롤 게이트와 플로팅 게이트를 이용하여 트리거 전압을 낯출 수 있어 별도의 보호회로 없이 단독으로 정전기 보호회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션(junction) 면적이 커져서 네가티브(Negative) 정전기 현상 특성도 향상 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제 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상기 제 2 도전형 웰내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1 불순물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2 불순물 영역과;
    상기 반도체 기판과 분리되도록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분리되도록 제 1 게이트 전극상에 형성된 제 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제 2 게이트 전극 양측의 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3, 제 4 불순물 영역과;
    상기 제 4 불순물 영역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5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보호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불순물 영역은 상기 제 1 불순물 영역과 소자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도체 기판과 제 2 도전형의 웰 계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보호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은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하고,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은 컨트롤 게이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보호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불순물 영역은 양전압이 인가될 때는 저항이며, 음전압이 인가될 때는 다이오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보호회로.
KR1019970049217A 1997-09-26 1997-09-26 정전기 보호회로 KR100239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217A KR100239424B1 (ko) 1997-09-26 1997-09-26 정전기 보호회로
US09/078,134 US5932916A (en) 1997-09-26 1998-05-14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CN98114859A CN1130770C (zh) 1997-09-26 1998-06-16 静电放电保护电路
JP27109498A JP3851001B2 (ja) 1997-09-26 1998-09-25 静電気保護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217A KR100239424B1 (ko) 1997-09-26 1997-09-26 정전기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02A KR19990026902A (ko) 1999-04-15
KR100239424B1 true KR100239424B1 (ko) 2000-01-15

Family

ID=1952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217A KR100239424B1 (ko) 1997-09-26 1997-09-26 정전기 보호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32916A (ko)
JP (1) JP3851001B2 (ko)
KR (1) KR100239424B1 (ko)
CN (1) CN113077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664B1 (ko) * 2001-04-24 2007-09-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정전기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369B2 (ja) 1997-09-19 2001-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4019B1 (ko) * 1998-05-18 2001-07-12 윤종용 반도체칩의정전기보호용트랜지스터
US6172403B1 (en) * 1998-12-15 2001-01-09 Winbond Electronics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triggered by floating-base transistor
JP4617527B2 (ja) 1999-04-08 2011-01-26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路装置
US6570225B2 (en) * 1999-07-12 2003-05-2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e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TW521419B (en) * 1999-11-29 2003-02-21 Winbond Electronics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6594132B1 (en) 2000-05-17 2003-07-15 Sarnoff Corporation Stacked silicon controlled rectifiers for ESD protection
CN1303686C (zh) * 2001-04-24 2007-03-07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高电流触发的静电放电防护电路
US6822294B1 (en) * 2001-06-29 2004-11-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holding voltage LVTSCR
JP4915040B2 (ja) * 2001-09-17 2012-04-11 ヤマハ株式会社 入力保護回路
US6682993B1 (en) * 2002-05-31 2004-01-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Effective Vcc to Vss power ESD protection device
CN100416822C (zh) * 2002-10-25 2008-09-03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静电放电保护电路
US7160773B2 (en) * 2004-05-05 2007-01-09 Spansion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wordline protection in flash memory devices
JP4746346B2 (ja) * 2005-04-28 2011-08-1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CN100428464C (zh) * 2005-11-11 2008-10-22 矽统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低压元件排除静电的高压电源静电放电保护电路
US7544545B2 (en) 2005-12-28 2009-06-09 Vishay-Siliconix Trench polysilicon diode
US7705403B1 (en) * 2006-01-03 2010-04-2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grammable ESD protection structure
KR101139438B1 (ko) * 2006-01-18 2012-04-27 비쉐이-실리코닉스 고성능 정전 방전 수행용 부동 게이트 구조
US7612397B2 (en) * 2006-11-10 2009-11-03 Sharp Kabushiki Kaisha Memory cell having first and second capacitors with electrodes acting as control gates for nonvolatile memory transistors
US8634172B2 (en) * 2010-05-18 2014-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base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with integrated JFETs, method of operation and design structure
US8704271B2 (en) * 2012-04-27 2014-04-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idirectional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R3016999A1 (fr) * 2014-01-30 2015-07-31 St Microelectronics Sa Dispositif electronique, en particulier pour la protection contre les decharges electrostatiques
US9640523B2 (en) * 2015-09-08 2017-05-02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Lateral-diode, vertical-SCR hybrid structure for high-level ESD protection
JP2019197128A (ja) * 2018-05-09 2019-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3224051B (zh) * 2021-07-08 2021-10-15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Esd保护器件及芯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5189A (en) * 1990-03-05 1995-1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voltage triggering semiconductor controlled rectifiers
TW373316B (en) * 1998-01-09 1999-11-01 Winbond Electronic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 circuit having erasable coding ROM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664B1 (ko) * 2001-04-24 2007-09-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정전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3177A (zh) 1999-04-07
CN1130770C (zh) 2003-12-10
US5932916A (en) 1999-08-03
JPH11251574A (ja) 1999-09-17
JP3851001B2 (ja) 2006-11-29
KR19990026902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424B1 (ko) 정전기 보호회로
US5272371A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
US5072273A (en) Low trigger voltage SCR protection device and structure
US5343053A (en) SC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integrated circuits
US6479872B1 (en) Dynamic substrate-coupled electrostatic discharging protection circuit
JP3573674B2 (ja) 半導体集積回路の入出力保護装置とその保護方法
KR100200352B1 (ko) 반도체 장치의 보호 소자
US6717219B1 (en) High holding voltage ESD protection structure for BiCMOS technology
JPH10242400A (ja) 静電気放電の保護のための回路
Chen et al. Bipolar SCR ESD protection circuit for high speed submicron bipolar/BiCMOS circuits
JP2505652B2 (ja) 低トリガ電圧scr保護装置及び構造
KR100504203B1 (ko) 반도체장치의 보호소자
US6707653B2 (en) Semiconductor controlled rectifier for use i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JP4457620B2 (ja) 静電破壊保護回路
KR100223923B1 (ko) 정전기 방지장치
CN111725206B (zh) Pmos触发的scr器件、scr器件的制造方法及scr静电保护电路
JPH098147A (ja) 半導体装置の保護回路
US4509068A (en) Thyristor with controllable emitter short circuits and trigger amplification
KR101834520B1 (ko) 정전 방전 보호 소자
KR0169360B1 (ko) 반도체 장치의 보호 소자
KR100487413B1 (ko) 이에스디(esd)보호회로
JP3146650B2 (ja) パワー集積回路
KR100518526B1 (ko) 사이리스터의 트리거 전류를 이용한 정전하 방전회로
KR20130075820A (ko) 정전 방전 보호 소자
KR100252877B1 (ko) 반도체 소자의 이에스디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