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751B1 - 변성기및이의코일보빈 - Google Patents

변성기및이의코일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751B1
KR100231751B1 KR1019950013943A KR19950013943A KR100231751B1 KR 100231751 B1 KR100231751 B1 KR 100231751B1 KR 1019950013943 A KR1019950013943 A KR 1019950013943A KR 19950013943 A KR19950013943 A KR 19950013943A KR 100231751 B1 KR100231751 B1 KR 10023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re
groove
grooves
coil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06A (ko
Inventor
구보무라도꾸다로오
고꾸라시로오
Original Assignee
가와데쓰 덴세쓰 가부시기 가이샤
가부시기 가이샤 니시모도 고오세이 한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408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317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데쓰 덴세쓰 가부시기 가이샤, 가부시기 가이샤 니시모도 고오세이 한바이 filed Critical 가와데쓰 덴세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Magnetic co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5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coaxial arrangement of two or more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한쌍의 코어 권선부, 및 이들 코어 권선부를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커플링부를 포함하며, 그 전체 외주변에 홈이 형성된 코일 보빈과; 코일 보빈상의 홈 주위에 일정회수로 도선을 감아 만든 권선과; 코일 보빈상 각 코어 권선부 주위에 전자석 강판을 각각 감아 만든 한쌍의 권선코어를 포함한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홈상 마주보는 각 측벽의 외주면이 상기 코어 권선부에 있어 활모양의 단면형을 갖도록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를 공개 한다.

Description

변환기 및 그 코일 보빈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강전류용 변환기(transformer), 전류 변환기(current transformer), 전위차 변환기(potential transformer)및 약전류용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회수로 감긴 환상 고리 모양의 권선(winding)과, 이 권선 주위에 전자석 판을 일정 회수로 각각 감아 만든 한쌍의 권선코어(wound croe)와, 변환기용 코일 보빈(ocil bobbin)을 포함하는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26168호(1993)는, 도33 및 도4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류의 변환기를 공개했다. 이 공지의 변환기에 있어서, 도선을 일정 회수로 감아 만든 권선(2)의 외주변(2a)에는 절연테이프 및 절연시이트 같은 절연부재(도시하지 않은)가 피복되어 있으며, 한쌍으로 된 각각의 권선코어(3)는 상기 권선(2) 주위에 전자식 강판을 감은 상태로 만들어져 있다. 도33 및 도34에서, 참조번호(4)는 스페이서(spacer)를 나타내며, 참조번호(5)는 자기 차단코어(magnetic shut core)를 나타낸다. 상기 권선(2)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 또는 동일류로 된 분할권선 형(split winding form)(도시하지 않음) 주위에 도선을 감은 다음, 상기 권선형을 제거하고 절연부재를 피복한다.
한편, 상기 권선코어는 도35a 내지 35D에 나타낸 바의 단계에 따라 형성된다. 먼저, 긴 벨트형 전자석 강판(8)을 그 내경이 상기 권선(2)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감아 만든 강판 코일(7)을 풀림처리(annealing)한 다음, 강판 코일(7) 최외측부에 위치한 상기 전자석 강판(8)을, 도35A에서와 같이 한쌍의 코어 권선부(2b) 사이로 통과시킨다. 이어서, 도3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 코일(7)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큰 링(9)이 상기 전자석 강판(8)에 의해 형성되도록 , 그 전자석 강판(8)의 후단부(8a)를 일시적으로 상기 강판 코일(7) 외주변에 부착한다. 나아가, 강판 코일(7)을 구동로울러(11, 12)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자석 강판(8)이 화살표(A) 방향을 따라 큰 링(8)으로 공급되게 한다. 강판 코일(7)의 회전이 계속 되는 경우, 강판 코잉(7)을 구성하는 전체 전자석 강판(8)은 도35C에서와 같이 큰 링(9)으로 공급된다. 전자석 강판(8)이 탄성을 지닌 관계로, 큰 링(9) 직경을 축소시키려는 힘(B)이 그 큰 링(9)에 가해지게 된다. 로울러(11)를 큰 링(9)으로부터 끌어당기면서 상기 일시적 부착을 해제하는 경우, 도3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큰 링(9)의 직경이 축소되어 일측 코어 권선부(2b)를 죄어줌에 따라 상기 권선코어(3)가 형성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의 공지된 변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권선코어(3)를 포함하는 상기 권선(2)에 도선(10)을 감음에 있어서, 각 층내의 이웃한 도선(10)들이 서로 밀착되는 한편 이웃한 층내의 도선들(10)은 각각 그 반경(r)만큰 측방으로 전위되어 이들 도선들(10)간 틈새가 최소화된 도36상의 정렬 권선방법을 채택함으로써 권선(2)의 외주변(2a)을 상기 권선코어(3)와 밀착되게 하는 경우,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도선(10)내에 발생한 열, 즉 저항손실은 권선코아(3)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상기 권선(2)의 온도상승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정렬 권선방법을 이용하여 권선(2)의 외주변(2a)을 권선코어(3)와 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의 분할권선 형을 사용하여 권선(2)을 제작하는 경우 권선 형을 일단 제거하고나면 권선(2)이 쉽게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정렬 권선방법을 통해 도선(10)이 밀착상태로 감겨진 도36의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권선(2)이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권선(2)의 단면형이 상기 권선코어(3)의 내경과 일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지는 바, 그 결과, 상기 권선(2)의 외주변(2a)과 권선코어(3)의 내경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역시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지된 변환기에 있어서는, 권선(2)내의 온도상승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없어 변환기 자체를 소형화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권선(2) 및 권선코어(3)의 절연특성이 열화되면, 변환기의 성능은 저하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권선(2)을 절연부재로 피복한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석 강판(8)을 상기 큰 링(9)으로 공급하는 도35c의 단계에 있어 권선(2)의 외주변(2a)과 권선코어(3) 사이의 접촉으로 인하여, 또한 큰 링(9)의 최대 측부에 위치한 전자석 강판(8)의 선단과 권선(2)의 외주변(2a)의 접촉으로 인해 홰손될 수도있는 바, 그에 따라, 권선(2) 및 권선코어(3)의 절연성능 열화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더욱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권선(2)의 단면형을 권선코어(3)의 내경과 일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강판 코일(7)의 내경이 상기 코어 권선부(2a) 주위에 감긴 권선코어(3)의 그것과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권선코어(3)를 구성하는 겅판 코일(7)내에 잔류변형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전자석 강판(8)의 자기특성 열화를 초래한다.
한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4-177512호(1979)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평2-165610호(1990)는, 주위에 도선이 감겨 있고, 위에는 권선코어들이 형성된 코일 보빈을 공개했다. 도37 및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의 선행기술 자료는, 도선(10)을 감아 권선부(16A, 16B)를 만들기 위한 홈들(17a, 17b)이 그 외주부에 형성된 외부 및 내부 프레임(71 및 18)으로 구성된 코일 보빈(19)을 공개했다. 한편, 도39 및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자의 선행기술 자료에 공개된 변환기는 제1 및 제2프레임(21 및 22)으로 구성된 제1 보빈(23), 및 제1보빈(23)을 둘러싼 제2보빈(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21 및 22)상에 형성된 홈들(22a 및 22b) 주위에는, 권선(25A, 25B)을 형성할 수 있도록 , 각각 일정 회수로 도선이 감겨져 있다. 한편, 상기 제2 보빈(24) 외주변상에는 한쌍의 권선코어 (2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코일 보빈에 있어서, 코일 보빈상에 상기 권선을 형성함에 있어 코일 보빈 외경이 상기 권선코어 내경과 일치하도록 만들어진 경우라면, 이들 권선 및 권선코어는 서로 밀착상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그 코일 보빈을 사용하게 되면, 권선코어를 권선 주위에 감을 때, 권선코어 및 상기 전자석 강판이 서로 비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권선에 대한 홰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코일 보빈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공지된 코일 보빈에 있어서, 상기 홈들(17a, 18a, 21a, 22a)의 단면형이 반원형이기 때문에, 상기 정렬 권선방법으로 도선(10)을 밀착하게 감기가 어렵다. 그 결과, 권선들(16A, 16B, 25A, 26B)은, 도선들(10)간 다수의 틈새가 형성된 소위 무질서한 권선상태로 짜여지게 된다. 따라서, 도선(10)내에 발생한 열이 효율적으로 분산되지 못함에 따라, 상기 권선의 온도상승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없다. 특히, 도37상의 외부 프레임(17)과 도40상의 제1 및 제2프레임(21 및 22)에 있어서, 그들 개구부의 폭(W)이 상기 홈들(17a, 21a, 22a)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정렬 권선방법에 따라 도선(10)을 감기가 극히 어렵다.
한편, 상기 공지된 코일 보빈에 있어서, 권선코어를 그 주위에 감는 부분에 있어 코일 보빈 전체 외주변의 단면형이 원형이기 때문에, 권선코어를 형성할 때, 권선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코일 보빈 및 전자석 강판(8) 사이의 마찰이 크다. 즉, 도35B 및 35C에 나타낸 바의 상기 큰 링(9)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전자석 강판(8)을 코일 보빈 주위에 부드럽게 감기가 어렵다. 그러나, 큰 링 (9)의 직경이 커지면, 상기 강판 코일(7) 및 큰 링(9) 사이의 치수차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자석 강판(8)중 탄성한계를 넘어 변형된 부분이 커지고, 그 결과, 권선코어의 자기특성은 열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변환기가 갖는 앞서 언급한 바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권선의 온도상승을 줄여 변환기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도록, 상기 권선에 다량으로 용이하게 감을 수 있게 된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권선 주위에 권선코어를 감음에 있어 권선의 홰손과 전자석 강판의 변형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권선 및 권선코어 사이 절연특성과 권선 상의 도선들간 절연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또하나의 목적은, 상기 권선 주위에 권선코어를 감는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환기는, 한쌍의 코어 권선부 및 이들 코어 권선부를 상호간 일정거리를 둔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커플링부를 포함하며, 그 전체 외주변상에 홈이 형성된 코일 보빈과, 보빈의 홈 주위에 일정 회수로 도선을 감아 만든 권선과, 상기 코일 보빈상의 각 코어 권선부 주위에 전자석 강판을 각각 감아 만든 한쌍의 권선코어를 포함하는 바, 여기서, 상기 코어 권선부에 있어서의 홈 양측벽 각각의 외주면은 활모양의 단면형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권선부에 있어서의 상기 홈 양측벽 각각의 외주면이 활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권선코어는 코일 보빈 외주변과 밀착상태를 이루게 되며, 그 결과, 상기 권선으로 인해 발생한 열이 코일 보빈 및 권선코어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동일부품에 대하여는 전 도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져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상의 변환기의 평면도.
제3도는 상기 제1도상의 변환기의 좌측면도.
제4도는 상기 제2도상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상기 제2도상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상기 제1도상의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의 사시도.
제7도는 상기 제6도상의 코일 보빈의 본해 사시도.
제8도는 상기 제7도상의 ⅤⅠⅠⅠ-ⅤⅠ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상기 제7도상의 ⅠⅩ-ⅠⅩ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상기 제6도상의 코일 보빈에 있어 홈 및 코어 권선부의 단면형 설정을 예시한 개략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환기에 채용된 코알 보빈의 단면도.
제13도는 상기 제12도상의 ⅩⅠⅠⅠ-ⅩⅠ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4도는 상기 제13도의 확대 부분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의 사시도.
제16도는 상기 제15도상의 ⅩⅤⅠ-ⅩⅤ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상기 제16도의 확대 부분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의 사시도.
제19도는 상기 제18도상의 ⅩⅠⅩ-ⅩⅠⅩ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0도는 상기 제19도의 확대 부분단면도.
제21도는 상기 제18도의 변환기에 채용된 전자석 강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22도는 상기 제21도상의 전자석 강판의 ⅩⅩⅠⅠ 부분의 확대 평면도.
제23도는 상기 제18도상의 변환기에 채용된 강판 코일의 평면도.
제24도는 상기 제23도상의 강판 코일의 측면도.
제25a도 및 제25b도는 상기 제18도상의 변환기에의 권선코어 코정작업을 예시한 확대도.
제26도는 상기 제21도상의 전자석 강판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7도는 상기 제26도상의 전자석 강판의 ⅩⅩⅤⅠⅠ 부분의 확대 평면도.
제28도는 상기 제21도상의 전자석 강판의 다른 또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9도는 상기 제28도상의 전자석 강판의 ⅩⅩⅠⅩ 부분의 확대 평면도.
제30a도 내지 제30f도는 이중코일 보빈의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제31a도 내지 제31f도는 단일코일 보빈의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제32도는 상기 제1도상의 변환기의 수정예의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3도는 선행기술에 관한 변환기의 개략도.
제34도는 상기 제33도상의 ⅩⅩⅩⅠ-ⅩⅩⅩⅠ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5a도 내지 제35d도는 상기 제33도상의 선행기술에 관한 변환기의 권선코어를 형성하는 작업단계를 예시한 개략도.
제36도는 상기 제33도상의 선행기술에 관한 변환기 도선의 정렬 권선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제37도는 선행기술에 관한 코일 보빈의 전면도.
제38도는 상기 제37도상의 ⅩⅩⅩⅤⅠⅠⅠ-ⅩⅩⅩⅤⅠ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9도는 선행기술에 관한 또다른 변환기의 개략도.
제40도는 상기 제39도상의 XL-XL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변환기 31 : 코일 보빈
37a, 38a, 31a : 코어 권선부 37b, 38b, 31b : 커플링부
40, 45, 65 : 홈 35A, 35B : 권선코어
37 : 외부프레임 38 : 내부프레임
도면을 참조하면, 도1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변환기(30)가 나타나 있다. 이 변환기(30)에 있어서는, 수지성 코일 보빈(31)주위에 도선(10)을 감아 만든 권선(34A, 34B)이 갖춰져 있는 바, 코 일보빈(31) 주위에는 또한 한쌍의 권선 코어(35A, 35B)가 감겨져 있다.
도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일 보빈(31)은 직사각형 외부프레임(37) 및 그보다 작은 직사형의 내부프레임(38)을 포함하는 바, 내부프레임(38)이 외부프레임(37)과 일체로 조립된 형태로 되어 있다. 외부프레임(37)은 한쌍의 평행코어 권선부(37a)와, 이들 코어 권선부(37a)를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연결하는 역시 한쌍의 평행 커플링부(37b)를 포함한다. 코어 권선부(37a) 및 커플링부(37b)는 직선형을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38)을 수용하기 위한 설치개구부(37c)는 외부프레임(37)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프레임(37) 전체 외주변에는 상기 권선(34A) 형성을 위한 U자형 제1홈(40)이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홈(40)은 입구부(40a)를 가지는 바, 저벽(40b)상의 평탄 내주면(40c), 및 한쌍의 마주보는 측벽(40d)상 평탄 내주벽(40e)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벽(40b)의 내주면(40c)이 측벽(40d)의 내주면(40e)과 실제 수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홈(40)은 상기 저벽(40b)으로부터 입구부(40a)까지 일정폭(W1)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코어 권선부(37a)의 경우, 한쌍의 마주보는 측벽(40d)의 각 외주면(40f)은 활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는 바, 이들 만곡된 외주면(40f)의 곡률반경은 상기 권선코어(35A, 35B)의 내경과 같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37)은 서로 마주보는 면(37d, 37e)을 갖고 있다. 외부프레임(37)의 일면(37d)측에 있어서는, L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내부프레임(38)과 결합되는 구석부(43)가, 도7 및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개구부(37c)에 인접한 각각의 코어 권선부(37a) 선단에 형성되어 이다. 한편, 외부프레임(37)의 또다른면(37)측에 있어서는, 내부프레임(38)과 결합되는 보스(44)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개구부(37c)에 인접한 코어 권선부(37a)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주보는 측벽(40d)중 하나를 노칭(notching)함에 따라 커플링부(37b) 일측에는 와이어 인출부(42)가 구비되어 있다.
반면, 상기 내부프레임(38)은 한쌍의 평행 코어 권선부(38a)와, 이들 코어 권선부(38a)를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상호 연결하는 역시 한쌍의 평행 커플닐부(38b)를 포함한다. 코어 권선부(38a) 및 커플링부(38b)는 직선형을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권선(34B)을 형성하기 위한 U자형 제2홈(45)이 내부프레임(38) 전체외주변에 구비되어 있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홈(45)은 입구부(45a)를 가지는 바, 저벽(45b)의 평탄 내주면(45c), 한쌍의 마주보는 측벽(45d) 제1내주면(45e), 및 측벽(45d)의 제2내주벽(45f)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벽(45d)의 제1내주면(45e)은 상기 저벽(45b)의 내주면(45c)과 120o의 각도로 연결된 반면, 측벽(45d)의 제2내주면(45f)은 저벽(45b)의 내주면(45c)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1내주벽(45e)과 120o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45)은 채널강(channel steel)으로 된 개방 육각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마주보는 제2내주면(45f)간의 거리, 즉 제2홈(45)의 입구부(45a) 폭은 상기 외부프레임(37)에 있어 제1홈(40)의 폭(W1)과 같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저벽(45b)의 내주변(45c)상 제2홈(45)의 폭(W2)보다는 크다.
코어 권선부(38a)의 경우, 각각의 마주보는 외주면(45g)은 활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는 바, 이들 만곡된 외주면(40g)의 곡률반경은 상기 권선코어(35A, 35B)의 내경과 같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어 권선부(38a)에 있어서, 상기 저벽(45b)의 외주면(45h)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38)은 마주보는 면(48d, 48e)를 갖고 있다. 내부프레임(38)의 일면(38d)측에 있어서는, L자형 단면을 갖는 구석부(43)가 각각의 코어 권선부(38a)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프레임(38)의 또다른 면(38e)측에 있어서는 , 각각의 코어 권선부(38a) 선단에 보스(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37)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측벽(40d)중 하나를 노칭함으로써 내부프레임(38)상의 마주보는 커플링부(38b) 일측에는 와이어 인출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38)상의 일면(38d)과 상기 외부프레임(37)상의 일면 (37d)을 도7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하여 내부프레임(38)을 외부프레임(37)의 설치개구부(37c)에 삽입하는 경우, 내부프레임(38)상의 상기 보스(50)들이 각기 외부프레임(37)상의 구석부(43)들과 결합상태로 될 뿐 아니라, 외부프레임(37)상의 보스(44)들 역시 내부프레임(38)상의 구석부(49)들과 각각 결합상태로 된다. 결과적으로, 내부프레임(38)은 상기 외부프레임(37)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도6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프레임(38)이 외부프레임(37)과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외부프레임(37)의 제 1홈(40)상의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40f)과 내부프레임(38)의 제2 홈(45)상의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45g)이 각각 맞닿도록 만들어짐으로써,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권선코어(35A, 35B)의 일정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연속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내부프레임(38)이 외부프레임(37)과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프레임(37)상 제1홈(40)의 폭(W1)이 상기 제2 홈(45)상 입구부(45a)의 폭(W2)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프레임(37)상의 제1 홈(40) 및 상기 내부프레임(38)상의 제2 홈(45) 각각은 도5에서와 같은 채널강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상 코어 권선부(37a, 38a), 제1 및 제2홈(40, 45)의 기하학적 형상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도10에 있어서, 원(c1)은 상기 권선코어(35A, 35B)의 일정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한편, 원(c2)은 강도 및 전기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소두께(t)만큼 상기 원(c1)의 경우보다 작은 직경으로 한다. 상기 원(c2)에 내접하는 정육각형(a1 내지 a6)을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원(c1)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홈(40, 45)의 측벽(40d, 45d)의 두께(D)와 동일한 거리만큼 내측으로 벗어나 평행 직선(L1, 12)을 설정하는 바, 이때 두께(D)는 상기 측벽(40d, 45d)의 강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참조번호(b1, b3)는 상기 직선(L1)과 정육면체(a1 내지 6) 사이의 교점을 나타내는 한편, 참조번호(b2, b4)는 상기 직선(L2)과 정육면체(a1 및 a6) 사이의 교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d1, d4)는 직선(L1)과 원(c2) 사이의 교점을 나타내는 한편, 참조번호(d2, d3)는 직선(L2)과 원(c2) 사이의 교점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e1, e2)는 정점(a1, a4)을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직선(L1, l2) 사이의 교점을 나타낸다.
이번에는 , 제1 및 제2홈(40, 45)에 의해 육각형(d1, b1, a6, a5, b2, d2)을 특정짓는다. 직사각형(d1, e1, e2, d2)은 상기 제1홈(40)의 단면형에 해당하는 한편, 욕각형(e1, b1, a6, a5, b2, e2)은 상기 제2홈(45)의 단면형에 해당한다.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홈(40, 45)의 단면형이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제1 및 제2홈(40, 45)이 상기 권선코어(35A, 35B) 내부에 있어 큰 영역을 차지할 뿐 아니라, 코일 보빈(31)에 요구되는 강도 및 전기 절연성이 확보된다.
한편, 도10에 있어서, 참조번호(f1, f2)는 상기 원 (c1)과, 점(d1, c1)으로부터 변(a2-a3)과 평행으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직선 사이의 교점을 나타내며, 참조번호(g1, g2)는 원(c1)과, 변(a5-a6)으로부터 적정거리 하방에 위치하고 변(a5-a6)과 평행으로 연장된 직선 사이의 교점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외형은 형상(d1, f1, g1, g2, f2, d2)과 상응하도록 설정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원(c1)의 직경이 권선코어(35A, 35B)의 내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권선코어(35a, 35b)의 내주변과 코어 권선부(37a, 38a)의 외주변은 상기와 같이 코어권선부(37a, 38a) 외경과 서로 밀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권선(34A, 34B)은 코일 보빈(31)의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및 38)상의 제1 및 제2홈(40, 45)주위에 도선을 감아서 형성한다. 이들 권선(34A, 35A)에 인출 와이어(55)를 연결하고, 각각의 인출 와이어(55) 선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압력 용접단자(56)를 갖춘다. 상기 제1 및 제2홈(40, 45)내에 구비된 권선(34A, 34B)의 외주변을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부재(57)로 각각 피복한다. 한편, 코어 권선부(37a, 38a) 주위에 전자석 강판(8)을 감음으로써 상기 권선코어 (34A, 35B)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코일 보빈(31), 권선(34A, 34B) 및 권선코어(35A, 35B)를 프레임(60)에 고정한다. 프레임(60)은 한쌍의 융기부(61a)를 갖는 기초판(61)과 U자형 설치부재(62)를 포함한다. 이 설치부재(62)는 상기 권선(34A, 34B)의 외주변과 접촉하게 되는 길다란 접촉부(62a)와, 이 접촉부(62a)의 양단에 구비된 한쌍의 설치부(62b)를 갖고 있다. 이들 코일 보빈(31), 권선(34A, 34B) 및 권선코어(35A, 35B)는, 나사(63a, 63b)로써 상기 설치부(62b)를 융기부(61a)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60)은 도시된 바의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압력 용접단자(56)를 고정하기 위한 단자부(terminal)를 또한 상기 프레임(60)상에 갖추어도무방하다.
제1실시예의 변환기(30)에 있어서, 코일 보빈(31)상 외부프레임(37)의 제1홈(40)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동시에 역시 코일 보빈(31)상 내부프레임(38)의 제2홈(45)이 채널강 단면형을 갖기 때문에, 권선(34A, 34B)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10)을 도36상의 정렬 권선방법을 통해 조밀하게 감을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입구부(40a, 45a)에 있어 제1 및 제2홈(40, 45)의 폭(W1)이 상기 저벽(40b)에 있어 제1홈(40)의 폭 (W1)과 상기 저벽(45b)에 있어 제2홈(45)의 폭(W2)보다 작지 않기 때문에, 상기 권선(34A, 34B)을 구성하는 도선(10)을 정렬 권선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더욱이,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홈(40, 45)상 측벽(40d, 45d)의 외주면(40f, 45g)이 상기 권선코어(35A, 35B)의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권선코어(35A, 35B)는 상기 코일 보빈(31)과 밀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권선코어(34A, 43B)를 구성하는 도선(10)에 의해 발생한 열이 상기 코일 보빈(31) 및 권선코어(35A, 35B)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됨으로써 우수한 열분산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코일 보빈(31)이 별개의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으로 구성되고, 권선(34A, 34B)이 이들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주위에 각각 감겨져 있기 때문에, 권선(34A, 34B)간 절연성이 우수하다.
이어서, 상기 변환기(30)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선(10)을 상기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상의 제1 및 제2 홈(40, 45)주위에 각각 일정 회수로 감아서 상기 권선(34A, 34B)을 형성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상의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및 커플링부(37b, 38b)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홈(40, 45)은 기언급한 바의 단면형을 갖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렬 권선방법에 의해 제1 및 제2홈(40, 45) 주위에 도선(10)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뒤이어, 권선(34A, 34B)의 외주면을 절연부재(57)로 각각 피복한 다음, 상기 내부프레임(38)을 외부프레임(37)과 조립한다.
다음으로, 도35A 내지 35D에 나타낸 바의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코일 보빈(31)의 코어 권선부(37a, 38a) 주위에 상기 전자석 강판(8)을 감음으로써 권선코어(35A, 35B)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프레임(38)의 코어 권선부(38)에 있어서, 상기 제2홈(45)상 저벽(45b)의 외주면(45h)이 기언급한 바와 같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석 강판(8) 및 코일 보빈(31) 사이의 마찰이 줄어든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경우, 도35B상의 상기 큰 링(9)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강판코일(7)상의 상기 전자석 강판(8)을 큰 변형 없이 코어 권선부(37a, 38a) 주위에 감을 수 있음에 따라, 우수한 자기특성을 갖는 권선코어(35A, 35B)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기언급한 바와 같이 권선(34A, 34B)이 코일 보빈(31)상의 제1 및 제2홈(40, 45)내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권선코어(35A, 35B)를 감음에 있어 이들 권선(34A, 34B)은 강판 코일(7)과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권선(34A, 34B)의 외주면을 둘러싼 절연부재(57)의 홰손이 없으며, 그 결과, 권선(34A, 34B) 및 권선코어 (35A, 35B) 사이의 전기 절연성이 열화되지 않는다.
더욱이, 코일 보빈(31)상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의 코어 권선부(37a, 38a)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홈(40, 45)상 측벽(40d, 45d)의 외주면(40f, 45g)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권선코어(35A, 35B)의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코어(35A, 35B)로 하여 상기 코일 보빈(31) 주위에 감겨진 전자석 강판(8)내에 잔류변형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이들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8)은 우수한 자기특성을 갖는다. 권선코어(35A, 35B)가 제작 완료되고나면, 상기 권선(34A, 34B) 및 권선코어(35A, 35B)를 상기 프레임(60)상으로 가져가 장착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31)을 나타낸다. 이 코일 보빈(31)의 경우, 내부프레임(38)상의 제2홈(45)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즉,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을 서로 조립했을 때, 제1 및 제2홈(40, 45)은 직사각형 단면을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 있어 그 밖의 구조는 앞서설명한 바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링하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상 코어 권선부(37a, 38a)의 단면형과 이들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상 제1 및 제2홈(40, 45)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즉, 도 10에 있어서, 제1 및 제2홈(40, 45)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d1, d2, d3, d4)으로 한다.
역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홈(40, 45)의 형상은, 권선코어(35A, 35B)내 가능한 넓은 영역에다 상기 정렬 권선방법에 의해 도선(10)을 조밀하게 감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한편, 코어 권선부(37a, 38a)에 있어 상기 제1 및 제2홈(40, 45)상 측벽(40d, 45d)의 외주면(40f, 45g)이 상기 권선코어(34A, 35A)의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 보빈(31)의 외주변과 상기 각 권선코어(35A, 35B)의 내주변은 밀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선(10)으로 인해 발생한 열이 이들 코일 보빈(31) 및 권선코어(35A, 35B)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되는 결과, 코일 보빈(31)이 비록 소형이더라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코일 보빈(31) 주위에 감긴 상기 전자석 강판(8)내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권선코어(35A, 35B)는 탁월한 자기특성을 갖는다.
더욱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홈(45)상 저벽(45b)의 외주면(45h)이 상기 내부프레임(38)상 코어 권선부(38a)에 있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자석 강판(8) 및 코일 보빈(31) 사이의 마찰이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상기 권선코어(35A, 35B) 형성시에 씽어 전자석 강판(8) 및 코일 보빈(31)간 마찰이 감소함으로써, 우수한 자기특성을 갖는 권선코어(35A, 35B)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 권선코어(35A, 35B) 형성시에 있어 상기 권선(34A, 35B) 및 강판코일(7)간 마찰로 인해 이들 권선(34A, 35B) 및 권선코어(35A, 35B) 사이의 절연특성이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31)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의 제1 및 제2실시예의 경우, 코일 보빈(31)은 상기 내부프레임(83)이 외부프레임(37)과 조립된 이른바 이중 보빈이다. 그러나,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코일 보빈(31)이 단일 코일로 형성된 이른바 단일 보빈이다. 즉,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코일 보빈(31)은 한 쌍의 평행 직사각형 코어 권선부(31a)와, 이들 코어 권선부(31a)를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직사각형 커플링부(31b)를 포함한다. 코일 보빈(31)의 전체 외주변상에는 U자형 홈(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널강의 단면형내에 홈(65)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정렬 권선방법을 통해 홈(65)주위에 상기 도선(10)을 감음에 있어 권선코어(35A, 35B) 내경에 이르기까지의 기능한 한 넓은 영역내에 조밀하게 감을 수 있다.
즉, 상기 홈(65)은 입구부(65a) 및 저벽(65b)을 깆는 바, 이때 저벽(65b)의 내주면(65c)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측벽(65d)의 내주면은 저벽(65b)상 내주면(65c)과 120o의 각도로 연결된 제1내주면(61e)과, 이 제1내주면(65e)과 120o의 각도로 연결된 제2내주면(65f)으로 구성된다. 한편, 각 측벽(65d)의 외주면(65g)이 권선코어(35A, 35B)의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된 반면, 저벽(65b)의 외주면(65h)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60), 권선(34A, 34B) 및 권선코어(35A, 35B)를 도12 내지 14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권선(35B)으로 하여 홈(65) 주위에 도선(10)을 감은 다음 권선(34B) 외주변을 절연부재(57)로 피복한다. 뒤이어, 권선(34A)으로 하여, 상기 권선(34B)상의 절연부재(57) 주위에 도선(10)을 감고나서 그 외주변을 절연부재(57)로 피복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역시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채널강의 단면내에 홈(6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렬 권선방법을 통해 홈(65) 주위에 상기 도선(10)을 조밀하게 감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홈(65)에 있어서의 각 측벽(65d)상 되주면(65g)의 곡률반경이 상기 코어 권선부(31a)에 있어 권선코어(35A, 35B) 내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코일 보빈(31)의 외주변과 각 권선코어(35A, 35B)의 내주변은 서로 밀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권선(34A, 35B)으로 인해 발생한 열이 코일 보빈(31) 및 권선코어(35A, 35B)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한편, 상기 코일 보빈(31) 주위에 감긴 전자석 강판내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권선코어(35A, 35B)는 우수한 자기특성을 갖는다.
더욱이 ,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홈(65)상 저벽(65b)상 저벽(65b)의 외주면(65h)이 평탄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권선코어(35A, 35B) , 형성시에 있어 전자석 강판(8) 및 코일 보빈(31)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어들기 때문에,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상기 전자석 강판(8)을 잔류변형 없이 코일 보빈(31) 주위에 감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 권선코어(35A, 35B) 형성시에 있어 상기 권선(34A, 34B) 및 강판코일(7)간 마찰로 인해 이들 권선(34A, 34B) 및 권선코어(35A, 35B)사이의 절연특성이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다.
도15 내지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31)을 나타낸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코일 보빈(31) 또한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한 단일 보빈이다. 제4실시예의 겅우, 코일 보빈(31)상의 홈(65)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정렬 권선방법을 통해 홈(65) 주위에 도선(10)을 감음에 있어 권선코어(35A, 35B) 내경에 이르기까지 가능한 한 넓은 영역내에 조밀하게 감을 수 있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조는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18 내지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에 채용된 코일 보빈(31)을 나타낸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일 보빈(31)의 경우,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한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이 제1실시예와는 다른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8)의 전단부와 결합되는 구석부(70, 71)가 상기 외부 및 내부 프레임(37, 38)상의 코어 권선부(37a, 38a)에 형성되어 있다.
도19 및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프레임(37)에 있어서, 채널강의 단면형을 갖는 제1홈(40)중 하나의 측벽(40d)이 얇게 형성된 바, 이 얇은 측벽(40d)의 외주면(40h)은 평탄하게 되어 있다.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으로 연장된 돌출부(73)가 상기 얇은 외주면(40h)상에 형성되어 있다. 반면,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외부프레임(37)상에 있어 상기 제1홈(40)상 또다른 측벽(40d)의 외주면(40i)은 상기 권선코어(35A, 35B)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측벽(40d)은 커버부(40j)로서 상기 저벽(40b)을 지나 연장됨으로써 상기 내부프레임(38)상 측벽(45d)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40j)의 외주면(40k)은, 권선코어(35A, 38B)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상기 측벽(40)의 외주면(40i)과 맞닿게 만곡되어 있다. 반면, 상기 커버부(40j)의 내주변은, 후술하는 바의 내부프레임(38)상 측벽(45d) 외주면과 맞닿아 다각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일정각도로 서로 연결된 제1, 제2 및 제3평면(401, 40m, 40n)을 포함하고 있다. 직사각형 단면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롯(75)이 상기 제1평면(401)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38)상에 있어서, 채널강의 단면형을 갖는 제2홈(45)중 하나의 측벽(45d)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얇은 측벽(45d)의 외주면상에는 일정각도로 제1, 제2 및 제3 평면(45i, 45j, 45k)이 연속 형성됨으로써 단면형에 있어 하나의 다각형을 이루게 된다. 이들 제1, 제2, 및 제3평면(45i, 45j, 45k)은 상기 외부프레임(37)상 커버부(40j)의 내주변을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평면(401, 40m, 40n)과 밀착상태를 이룸에 따라, 외부프레임(37)의 커버부(40j)와 내부프레임(38)의 측벽(45d)은 서로 일체로 조립된다.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63)가 상기 측벽(45d)의 제1 평면(45i)상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프레임(37)의 제1 평면(401)상에 형성된 긴 슬롯(75)에 끼워짐으로써, 이들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내부프레임(38)에 있어서의 상기 제2홈(45)상 또다른 측벽(45d)의 외주면(451)은 상기 권선코어(35A, 35B)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측벽(45d)은 커버부(45m)로서 상기 입구부(45a)를 지나 연장됨으로써 상기 외부프레임(37)상 측벽(40d)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45m)의 외주면(45n)은 권선코어(35A, 35B)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된 반면, 커버부(45m)의 내주면(45p)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프레임(37)의 측벽(40d)상 평탄 외주면(40h)상에 구비된 돌출부(73)를 수용하도록, 상기 내주면(45p)상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으로 연장된 한쌍의 긴 슬롯(78)이 형성되어 있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상 코어 권선부(37a, 38a)의 단면 형상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프레임(38)상 제2홈(45) 주위에 감긴 도선(10)과 상기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8) 사이의 절연특성이 향상된다. 즉, 제5실시예의 경우, 이들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간 연결면(S)은, 외부프레임(37)상 하나의 측벽(40d)과 내부프레임(38)상 커버부(45m)가 서로 연결된 지점에서, 내부프레임(38)의 제2홈(45)상 권선(34B)중의 도선(10)에 있어, 상기 입구부(45a)에 가장 가까운 도선(10-1)으로부터 권선코어(35A) 내주면까지 연속 연장됨으로써 단면형상으로 점(S1 내지 S11)의 댜각형을 이루게 된다. 같은 형태로서 ,외부프레임(37)상 커버부(40j)와 내부프레임(38)상 하나의 측벽(45d)이 서로 연결된 지점에 있어서, 이들 외부 및 내부프레임 (37, 38)간 연결면(S')은, 내부프레임(38)의 제2홈(45)상 권선(34B)중의 도선(10)에 있어 입구부(45a)에 가장 가까운 도선(10-2)으로부터 권선코어(35) 내주면까지 연속 연장됨으로써 단면형상으로 점(S1' 내지 S9')의 다각형을 이루게 된다.
내부프레임(38)의 제2홈(45)상에 구비된 상기 권선(34B)의 외주변을 절연부재로 피복하지 않을 경우, 권선(34B) 및 권선코어(35A)는 상기 연결면(S, S')에 형성된 미세한 틈을 통해 서로 통하게 된다. 즉, 수분 또는 먼지가 이들 미세한 틈사이로 침투하면, 상기 권선(34A, 34B) 및 권선코어(35A, 35B) 사이의 절연특성이 열화되는 결과, 변환기는 바라는 바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간 연결면(S, S')에 형성된 통로의 길이가 보다 길어지면, 권선(34B) 및 권선코어(35A) 사이의 절연특성은 한층 향상된다. 제5 실시예의 경우, 연결면(S, S')에서의 상기 통로는 기언급한 바와 같이 다각형 단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의 회형과 상기 제1 및 제2홈(40, 45)상 측벽(40d, 45d)의 두께에 비해 길어진다. 따라서, 제5실시예에 있어서, 권선(34A, 34B)을 절연부재로 피복하지 않았지만, 이들 권선(34A, 34B) 및 권선코어(35A, 35B)간 절연특성은 우수하다.
변환기용 규격들중 하나는, 권선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능동부)과 권선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전자석 강판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크립핑간격(creeping distance)에 관해 규정하고 있는 바, 그에 따르면, 수지 등의 절연부재는 없고 공기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변환기는 일정값 이하의 크립핑간격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제5실시예의 경우,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긴 연결면(S, S')이 기언급한 바와 같이 다각형 단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의 크기가 비록 작더라도충분히 긴 크립핑간격을 혹보할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37)상 코어 권선부(37a)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측벽(40d)의 외주면(40i)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V자형 구석부(70)가 형성된 바, 이는 상기 커버부(40j)와 함께 형성되어 있다. 코어 권선부(37a) 주위에 권선코어(35A, 35B)를 감는 화살표(R)의 권선방향에 있어 상기 구석부(70) 하류측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코어 권선부(37a)를 중심으로 향하는, 즉 코어 권선부(70a)의 외주면(40i)에 대해 실질적 수직으로 향하는 결합면(7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석부(70)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면(70a)으로부터 일정각도로 평탄 경사면(70b)이 연속 연장되어 있다.
반면, 상기 내부프레임(38)상 코어 권선부(38a)의 경우, 상기 하나의 측벽(45d)중 보다 외부의 측벽(451)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V자형 구석부(71)가 형성된 바, 이는 상기 커버부(45m)와 함께 형성되어 있아. 구석부(71)는 상기 권선코어(35A) 중심에 대하여 선대칭인 위치에 배치된다. 내부프레임(38)상에 구비된 상기 구석부(71)는 실질적으로 코어 권선부(38a) 중앙을 향하는 결합면(71a)과, 이 결합면(71a)으로부터 일정각도로 연속 연장된 평탄 경사면(71b)을 갖는다. 구석부(71)상의 이를 결합면(71a) 및 경사면(71b)은 외부프레임(37)에 형성된 상기 구석부(70)상의 결합면(70a) 및 경사면(70b)의 경우와 반대이다. 즉, 상기 경사면(71b)은 화살표(R)의 권선방향에 있어 구석부(71)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석부(70, 71)는 1mm의 깊이를 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5실시예에 있어서,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상기 전자석 강판(8)의 전단부(8b)는 도21 및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단부(8b)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끝부분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단부(8b)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상기 끝부분은, 결합부(8c)가 형성되도록 실제 수직으로 굽혀져 있다. 이 결합부(8c)의 두께(g)는 상기 구석부 (70, 71)의 깊이보다 작도록 설정되어 있다. 반면, 전자석 강판(8)의 후단부(8a)는 그 후단부(8a)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끝부분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3 및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 강판(8)이 강판 코일(7)로 감겨짐으로써, 상기 결합부(8c)를 갖는 전단부(8b)와 상기 후단부(8a)는 각 권선코어(35A, 35B)의 내외주변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도35A 내지 35D에 나타낸 바의 단계를 통해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주위에 전자석 강판을 감았을 경우, 상기 결합부(8c)는 도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어 권선부(37a) 표면과 밀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각각의 권선코어(35A, 35B)를 도25A의 화살표(T)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8c)가 상기 구석부(70)에 끼워짐으로써, 이들 결합부(8c) 및 구석부(70)의 결합을 통해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에 대한 권선코어(35A, 35B)의 회전이 방지되는 결과, 권선코어(35A, 35B)는 코어 권선부(37a, 38a)에 고정된다.
즉, 제5실시예의 경우, 코어 권선부(37a, 38a) 주위에 상기 권선코어(35A, 35B)를 단지 회전시켜 감음으로써 이들 권선코어(35A, 35B)를 코어 권선부(37a, 38a)에 고정할 수 있는 바, 이로써 우수한 작업효율을 얻는 결과를 가져온다. 한편, 기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8c)가 구석부(70)와 결합상태를 이루게 되면, 권선코어(35A, 35B)는 코어 권선부(37a, 38a)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관계로, 이들코어 권선부(37a, 38a)와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8)을 화살표(R)의 반대방향, 즉 화살표(T) 방향으로 감는 경우, 전자석 강판(8)상의 상기 결합부(8c)는 구석부(71)와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권선코어(35a, 35b)를 코어 권선부(37a, 38a)주위에 감은 다음 그 권선코어(35a, 35b)를 상기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부(8c)가 상기 구석부(71)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8c)를 도21 및 22에 나타낸 바의 구조로 한정하지 않는 바, 전자석 강판(8)은 상기 전단부(8b)에 있어 그 폭방향으로 일부 돌출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도26 및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8)의 전단부(8b)를 짧은 정도로 후굴함으로써 전자석 강판(8)이 약간 중첩되게 할 수도있다. 이러한 전자석 강판(8)의 중첩부로 형성된 결합부(8c)는 코어 권선부(37a, 38a)상에 형성된 구석부(70, 71)와 결합상태를 이룬다. 더욱이, 도28 및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 강판(8)의 전단부(8b)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끝부분을 펀칭(punching)하여 전자석 강판(8)을 원형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이 돌출부로 형성된 결합부(8c)가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상에 형성된 구석부(70, 71)와 결합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기 때문에, 기재상의 간결을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바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 우선,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의 단면형은 앞선 실시예의 경우로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을 포함하는 이중 보빈의 경우, 이들 코어 권선부(37a, 38a)는 도30a 내지 30f에 나타낸 바의 단면형이라도 무방하다. 도30a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홈(40, 45)은 제1 실시예와 같이 채널강의 단면을 가지지만, 상기 외부프레임(38)상의 제2홈(45)에 있어 저벽(45b)상 외주면(45h)은 활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30b의 경우, 각각의 제1 및 제2홈(40, 45)은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나, 제2홈(45)의 저벽(45b)상에 있어 외주면(45h)은 활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30c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38)상 제2홈(45)의 단면형은 저벽(45b)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1직사각형부(80a)와, 상기 입구부(45a)에 인접하고 제1직사각형부(80a)에 이어진 그보다 넓게 형성된 제2 직사각형부(80b)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외부프레임(37)상의 제1홈(40)은 내부프레임(38)상 제2직각형부(80b)의 경우와 동일한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있다. 도30D의 경우, 내부프레임(38)상 제2홈(45)의 단면형은 상기 저벽(45b)으로부터 입구부(45a)를 향해 순서대로 넓게 연속 형성된 제1, 제2 및 제3 직사각형부(81a, 81b, 81c)를 포함하는 한편, 외부프레임(37)상 제1홈(40)은 상기 제3직사각형부(81c)의 경우와 동일한 폭으로 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있다. 도30E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및 제2홈(40, 45)의 단면형은 도30C의 경우와 동일하나, 도30E의 경우는, 내부프레임(38)상 제2 홈(45)에 있어 상기 저벽(45b)의 외주면(45h)이 활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된 점에서 상기 도30c의 경우와 다르다. 같은 원리로, 도30F에 있어 제1 및 제2홈(40, 45)의 단면형은 상기 도30D의 경우와 동일하나, 도30F의 경우는, 내부프레임(38)상 제2 홈(45)에 있어 저벽(45)에 있어 저벽 (45b)의 외주면(45h)이 활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된 점에서 상기 도30d와는 다르다.
한편, 단일 보빈의 경우, 상기 코어 권선부(37a)는 도31a 내지 31f에 나타낸 바의 단면형을 가져도 무방하다. 도31a에 있어서, 홈(65)은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채널강의 단면형을 가지나, 상기 홈 (65)상 저벽(65b)의 외주면 (65h)은 활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31b의 경우, 홈(65)은 상기 제4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나, 홈(65)상 저벽(65b)의 외주면(65h)은 활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31c에 있어서, 상기 홈(65)의 단면형은 저벽(45b)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1 직사각형부(82a)와, 상기 입구부(65a)에 인접하고 제1직사각형부(82a)에 이어진 그보다 넓게 형성된 제2직사각형부(82b)를 포함한다. 도31d에 있어서, 상기 홈(65)의 단면형은, 저벽(65b)으로부터 입구부(65a)를 향해 순서대로 넓게 형성된 제1, 제2 및 제3직사각형부(83a, 83b, 83c)를 갖고 있다. 도31e 에 있어 홈 (65)의 단면형은 도31c의 경우와 동일하나, 도31c의 경우는, 홈(65)상 저벽(65b)의 외주면(65h)이 활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된 점에서 상기 도31c와는 다르다. 유사한 원리로, 도31f상 홈(65)의 단면형은 도31d의 경우와 동일하나, 도31f에 있어서는 , 홈(65)상 저벽(65b)의 외주면(65h)이 활모양의 단면형을 갖도록 만곡된 점에서 상기 도31d와는 다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보빈(31)상에 형성된 홈(40, 45, 65)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바, 도36의 정렬 권선방법을 통해 상기 도선(10)을 감을 수 있으며, 홈(40, 45, 65)의 폭이 상기 저벽(40b, 45b, 65b)으로부터 입구부(40a, 45a, 65a)까지 일정하거나, 또는 입구부(40a, 45a, 65a)로 향햐면서 연속적으로 혹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한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코일 보빈(31)상 외부프레임(37)을 그 폭방향 부분들(X1, X2)로 분할하는 분할판(70)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이들 부분(X1, X2)주위에 각각 별개의 권선을 감을 수 있는 동시에, 상호간 전기적 절연성을 확실히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판(70)은 내부프레임(38)상 제2홈(45) 또는 단일 보빈의 홈(65)상에 구비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상으로 얻어지는 효과를 설명한다. 청구할 제1항 및 제11항에 있어서는, 상기 홈상의 마주보는 각 측벽 외주면이 활모양의 단면형을 갖도록 상기 코어 권선부 있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권선코어는 코일 보빈의 외주변과 밀착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권선으로 인해 발생한 열을 코일보빈 및 권선코어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청구항 제2항 및 제12항의 경우, 상기 홈상의 각 측벽 외주면이 상기 코어 권선부에 있어 권선코어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기 때문에, 이들 권선코어는 코일 보빈 외주변과 확실한 밀착상태를 이루게 되는 동시에, 권선에 의해 발생한 열이 코일 보빈 및 권선코어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제2항의 경우, 상기 권선의 온도상승을 줄임에 따라 변환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2항 및 제12항에 있어서는, 상기 권선코어의 내경을 일정값으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권선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전자석 강판내에 잔류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전자석 강판의 자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할 제3항 및 제13항의 경우, 상기 홈의 저벽상 외주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코어 권선부 주위에 전자석 강판을 감을 때 발생하는 전자석 강판 및 코일 보빈간 마찰력이 감소함으로써, 권선용으로 형성되는 큰 링의 직경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전자석 강판을 큰 변형 없이 각 코어 권선부 주위에 감을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제3항 제13항에 있어서는, 권선코어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의 자기특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4항 및 제14항의 경우, 상기 홈의 입구부 폭이 단면상으로 볼 때 홈의 저면폭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정렬 권선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도선을 감을 수 있음에 따라, 권선으로 인해 발생한 열이 이들 코일 보빈 및 권선코어를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청구항 제5항 및 제15항에 있어서는, 상기 채널강의 단면내에 홈이 형성되어 그 홈의 저벽이 홈의 각 측벽과 120O의 각도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을 정렬 권선방법에 의해 상기 권선코어 내경 범위내에 있어 가능한 한 넓은 영역에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청구항 제6항 및 제16항의 경우, 상기 직사각형 단면내에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을 정렬 권선방법에 의해 권선코어 내경 범위내에 있어 조밀하게 감을 수 있다.
청구항 제7항 및 제17항에 있어서는, 내부프레임을 외부프레임과 함께 조립함으로써 상기 코일 보빈을 얻기 때문에, 외부프레임 주위에 감긴 권선과 내부프레임 주위에 감긴 권선 사이의 전기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8항 및 제18항의 경우, 상기 코일 보빈상 외부 및 내부프레임간 연결면의 단면형이 다각형을 이루기 때문에, 연결면에 형성된 틈새로 수분 또는 먼지가 침투함으로 인한, 내부프레임 주위에 감긴 권선과 상기 권선코어 사이의 단락(shortcircuiting)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내부프레임상 주위의 권선과 권선코어 사이의 전기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9항 및 제19항에 있어서는 , 각각의 코어 권선부 및 코일 보빈 커플링부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을 상기 홈 주위에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청구항 제10항 및 제20항의 경우, 각각의 권선코어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의 선단부에 구비된 결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구석부가 상기 코일 보빈의 코어 권선부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 권선부에 대한 권선코어의 회전이 방지되어 확실히 고정됨에 따라, 권선으로 인해 발생한 열의 효율적 분산, 및 각각의 권선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전자석 강판의 우수한 자기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구석부가 코어 권선부상에 형성된 경우, 권선코어를 코어권선부 주위에 감은 다음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부가 구석부내로 끼워짐으로써 권선코어를 코어 권선부에 대해 비회전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그 결과, 권선코어를 코어 권선부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작업효율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청구항 제21항에 있어서는, 상기 권선코어의 내주변 선단부에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권선코어를 코일 보빈상 코어 권선부 주위에 감은 다음 회전시키는 경우, 코일 보빈상에 형성된 구석부내로 상기 결합부가 끼워짐에 따라, 코어 권선부에 대한 권선코어의 회전이 방지되어 밀착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청구항 제21항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권선코어가 코어권선부에 비회전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권선코어를 코어 권선부에 고정함에 있어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환기 및 그 코일 보빈에 따르면, 변환기를 소형 경량화함과 아울러 관련 성능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한쌍의 코어 권선부(37a, 38a, 31a)와, 이들 코어 권선부를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커플링부(37b, 38b, 31b)로 구성되며, 그 전체 외주변에 홈(40, 45, 65)이 형성된 코일 보빈(31)과; 상기 코일 보빈(31)상의 홈(40, 45, 65) 주위에 도선(10)을 일정회수로 감아만든 권선(34A, 34B)과; 상기 코일 보닌(31)상의 각 코어 권선부(37a, 38a, 31a) 주위에 전자석 강판을 일정 회수로 감아 만든 한쌍의 권선코어(35A, 35B)를 포함한 변환기(30)에 있어서,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31a)에 형성한 홈(40, 45, 65)의 각각 마주보는 측벽(40d, 45d, 65d)의 외주면(40f, 45g, 65g)이 활모양의 단면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31a)에 형성한 상기 홈(40, 45, 65)의 각 측벽(40d, 45d, 65d)의 외주면(40f, 45g, 65g)이 상기 권선코어(35A, 35B)의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31a)에 형성한 상기 홈(40, 45, 65)의 저벽(40d, 45d, 65d)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평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40, 45, 65)은 그 저벽(40b, 45b, 65b)의 폭(W2)보다 작지 않은 홈 입구부(40a, 45a, 65a)의 폭(W1)을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권선(34A, 34B)을 구성하는 도선(10)이 정렬 권선방법으로 차례로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45, 65)을 채널강의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홈의 저벽(45b, 65b)이 그 홈의 각 측벽(45d, 65d)과 120o의 각도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45, 65)을 채널강의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홈의 저벽(45b, 65b)이 그 홈의 각 측벽(45d, 65d)과 실제 수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7. 한쌍의 제1코어 권선부(37a), 및 이들 제1코어 권선부(37a)를 제1의 일정거리로 서로 떨어진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제1커플링부(37b)로 구성되며, 그 전체 외주변에 상기 제1권선(34A)을 수용하기 위한 제1홈(40)이 형성된 외부프레임(37)과; 한쌍의 제2코어 권선부(38a)와, 이들 제2코어 권선부(38a)를 제2의 일정거리로 서로 떨어진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제2커플링부(38b)로 구성되며, 그 전체 외주변에 상기 제2 권선(34B)을 수용하기 위한 제2홈(45)이 형성된 내부프레임(38)으로 된 코일 보빈(31)과; 제1 및 제2권선(34A, 34B)으로 구성된 권선을 포함한 제1항의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38)을 상기 외부프레임(37)과 일체로 조립하므로서, 상기 제2홈(45)이 제1(40)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 사이의 연결면(S, S')의 단면형이 다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보빈(31)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므로서, 각각의 코어 권선부(37a, 38a, 31a) 및 커플링부(37b, 38b, 31b)가 직선형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8)의 선단부(8b)에 결합부(8c)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상에는 상기 결합부(8c)를 수용하기 위한 구석부(70, 7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11. 권선코어(35A, 35B)가 형성되도록 그 주위에 전자석 강판(8)이 각각 일정회수로 감긴 한쌍의 코어 권선부(37a, 38a, 31a)와;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31a)를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커플링부(37b, 38b, 31b)를 포함하는 권선(34A, 34B)을 수용하기 위한 홈(40, 45, 65)이 그 전체 외주변상에 형성된 코일보빈(31)에 있어서,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에 형성한 상기 홈 (40, 45, 65)의 마주보는 측벽(40d, 45d, 65d)의 외주면(40f, 45g, 65g)은 활모양의 단면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31a)에 형성한 홈(40, 45, 65)의 각 측벽(40d, 45d, 65d)의 외주면(40f, 45g, 65g)이 상기 권선코어(35A, 35B)의 내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 31a)에 형성한 상기 홈(40, 45, 65)상 저벽(40b, 45b, 65b)의 외주면(37c, 45h, 65h)을 평탄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40, 45, 65)은 그저벽(40b, 45b, 65b)의 폭(W2)보다 작지 않은 홈 입구부(40a, 45a, 65a)의 폭(W1)을 갖는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권선(34A, 34B)을 구성하는 도선(10)이 정렬 권선방법으로 통해 차례로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홈(45, 65)은 채널강의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하므로서, 홈의 저벽(45b, 65b)이 그 홈의 각 측벽(45d, 65d)과 120o의 각도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홈 (45, 65)은 채널강의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홈의 저벽(45b, 65b)이 그 홈의 각 측벽(45d, 65d)과 실제 수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17. 한쌍의 제1 코어 권선부(37a), 및 이들 제1코어 권선부(37a)를 제1의 일정거리로 서로 떨어진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제1 커플링부(37b)로 구성되며, 그 전체 외주변에 상기 제1권선(34A)을 수용하기 위한 제1홈(40)이 형성된 외부프레임(37)과; 한쌍의 제2코어 권선부(38a), 및 이들 제2코어 권선부(38a)를 제2의 일정거리로 서로 떨어진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제2커플링부(38b)로 구성되며, 그 전체 외주변에 상기 제2권선(35A)을 수용하기 위한 제2홈(45)이 형성된 내부프레임(38)을 포함한 제11항의 코일 보빈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38)을 상기 외부프레임(37)과 일체로 조립하므로서, 상기제2홈(45)이 제1홈(40)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프레임(37, 38)간 연결면(S, S')의 단면형이 다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19. 제11항에 있어서,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므로서, 각각의 코어 권선부(37a, 38a, 31a) 및 커플링부(37b, 38b, 31b)가 직선형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코어(35A, 35B)를 구성하는 전자석 강판(8)의 선단부(8b)에 구비된 결합부(8c)를 수용하기 위한 구석부(70, 71)를 상기 코어 권선부(37a, 38a)상에 형성한 것릉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21. 전자석 강판(8)을 일정회수로 감아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전자석 강판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전자식 강판(8) 내주변 선단부(8b)에 구비된 결합부(8c)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코어.
KR1019950013943A 1994-05-30 1995-05-30 변성기및이의코일보빈 KR100231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02394 1994-05-30
JP94-117023 1994-05-30
JP09973595A JP3229512B2 (ja) 1994-05-30 1995-03-31 変成器及び変成器用のコイルボビン
JP95-99735 199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06A KR950034306A (ko) 1995-12-28
KR100231751B1 true KR100231751B1 (ko) 1999-11-15

Family

ID=2644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943A KR100231751B1 (ko) 1994-05-30 1995-05-30 변성기및이의코일보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046663A (ko)
JP (1) JP3229512B2 (ko)
KR (1) KR100231751B1 (ko)
CN (1) CN1074850C (ko)
DE (1) DE19519629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315B1 (ko) 2010-09-20 2012-04-04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3756B2 (ja) * 2000-01-20 2010-07-14 音羽電機工業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式巻鉄心変圧器
US6411165B1 (en) 2000-04-17 2002-06-25 Tripath Technology, Inc. Active common mode feedback for unbalanced input and feedback signals and methods thereof
IL139714A0 (en) * 2000-11-15 2002-02-10 Payton Planar Magnetics Ltd A bobbin for hybrid coils in planar magnetic components
JP4565781B2 (ja) * 2001-09-03 2010-10-20 株式会社ダブリュー・ビー・トランス 巻鉄心の巻き込み装置及び締め付け装置
JP4711568B2 (ja) * 2001-09-05 2011-06-29 株式会社ダブリュー・ビー・トランス 変成器
DE10334149B3 (de) * 2003-07-26 2005-02-10 Bühler Motor GmbH Spulenkörper für eine Spule, vorzugsweise einer Elektromagnetbremse oder einer Elektromagnetkupplung
US6867676B1 (en) * 2004-05-03 2005-03-15 Yu-Lin Chung Transformer
NO320550B1 (no) * 2004-06-07 2005-12-19 Applied Plasma Physics Asa Anordning ved planar hoyspenningstransformator
US7619861B2 (en) * 2004-09-29 2009-11-17 Pass & Seymour, Inc. Protective device having a thin construction
TWI313470B (en) * 2006-12-22 2009-08-11 Unihan Corporatio Signal distributing inductor
CA2999563C (en) 2009-11-19 2019-03-12 Hydro-Quebe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n amorphous alloy ribbon
US9721716B1 (en) * 2010-02-26 2017-08-01 Universal Lighting Technologies, Inc. Magnetic component having a core structure with curved openings
US8698587B2 (en) 2010-07-02 2014-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nsformer
US8742878B2 (en) * 2010-07-02 2014-06-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698588B2 (en) 2010-07-02 2014-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nsformer
EP2402964B1 (en) 2010-07-02 2018-12-26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32231B1 (ko) * 2010-07-02 2011-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486203A1 (en) 2011-05-18 2019-05-22 Hydro-Quebec Ferromagnetic metal ribbon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KR101422898B1 (ko) * 2011-12-20 2014-07-2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05953B2 (ja) * 2012-02-15 2014-10-15 政隆 長嶺 電気溶接機用変圧器
GB2511844B (en) * 2013-03-15 2015-12-23 Eisergy Ltd A magnetic component for a switching power supp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component
JP6437851B2 (ja) * 2015-03-05 2018-12-12 株式会社ダイヘン コイルボビ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備えた変圧器
JP6576734B2 (ja) * 2015-08-18 2019-09-18 株式会社ダイヘン コイルボビ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備えた変圧器
JP6576740B2 (ja) * 2015-08-24 2019-09-18 株式会社ダイヘン コイルボビ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備えた変圧器
JP6576753B2 (ja) * 2015-09-11 2019-09-18 株式会社ダイヘン コイルボビ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備えた変圧器
JP6607809B2 (ja) * 2016-03-10 2019-11-20 株式会社ダイヘン コイルボビ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備えた変圧器
JP6607808B2 (ja) * 2016-03-10 2019-11-20 株式会社ダイヘン コイルボビ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備えた変圧器
JP6615652B2 (ja) * 2016-03-14 2019-12-04 株式会社ダイヘン 巻鉄心組立装置及び巻鉄心組立方法
JP6713406B2 (ja) * 2016-11-17 2020-06-24 株式会社ダイヘン コイルボビン、および変圧器
JP2019040934A (ja) * 2017-08-23 2019-03-14 レシッ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スコットトランスおよび車両
JP7063579B2 (ja) * 2017-11-13 2022-05-09 株式会社ダイヘン 変圧器、およびコイルボビン
JP7043292B2 (ja) * 2018-02-27 2022-03-29 株式会社ダイヘン 変成器の製造方法及び変成器
JP7165543B2 (ja) * 2018-09-19 2022-11-04 株式会社ダイヘン 変成器、コイルボビン、及び変成器の製造方法
JP6872203B2 (ja) * 2019-04-12 2021-05-19 士郎 嶋原 レゾルバ
JP7308093B2 (ja) * 2019-08-01 2023-07-13 株式会社ダイヘン 変圧器及びボビン
JP2021027104A (ja) * 2019-08-01 2021-02-22 株式会社ダイヘン 変成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7366A (en) * 1956-05-21 1960-03-08 R T & E Corp Method of making magnetic cores
US3027628A (en) * 1957-05-01 1962-04-03 Gen Electric Magnetic co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R1424518A (fr) * 1964-12-02 1966-01-14 Parisienne De Const Electro Me Transformateurs, selfs ou autres appareils électromagnétiques, à circuit magnétique bobiné
US3705372A (en) * 1971-12-07 1972-12-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Cast-type winding structure for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NL7204034A (ko) * 1972-03-25 1973-09-27
JPS5737459Y2 (ko) * 1978-06-05 1982-08-18
DE2914123A1 (de) * 1979-04-07 1980-10-23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ringbandkernen fuer transformatoren
JPS55152028A (en) 1979-05-15 1980-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production of information recorded carrier
JPS56161317A (en) 1980-05-15 1981-12-11 Green Cross Corp:The Pharmaceutical preparation of fatty corpuscle of steroid
US4366520A (en) * 1981-03-25 1982-12-28 Magnetic Metals Corporation Differential transformer core for pulse currents
JPS5860908A (ja) 1981-10-07 1983-04-11 吉村 幸雄 接地式刈払機
JPS58188113A (ja) 1982-04-28 1983-11-02 Toshiba Corp 巻鉄心の製造方法
FR2529375A1 (fr) * 1982-06-23 1983-12-30 Legrand Sa Dispositif electromagnetique tel que transformateur electrique, du genre comportant une carcasse en deux parties
JPS59194415A (ja) 1983-04-19 1984-11-05 Usui Denki Kk 巻鉄心型トランスの製造方法
CN85203145U (zh) * 1985-07-26 1986-06-18 李树原 鸟笼式变压器
JPH02165610A (ja) * 1988-12-20 1990-06-26 Yokogawa Medical Syst Ltd 変圧器
JPH05226168A (ja) * 1991-03-20 1993-09-03 Kawatetsu Densetsu Kk 定電圧変圧器
GB9112435D0 (en) * 1991-06-10 1991-07-31 Gec Alsthom Ltd Distribution transformers
JP2581383B2 (ja) 1992-10-26 1997-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巻鉄心の成形方法
JP3099606B2 (ja) * 1993-10-07 2000-10-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ョークコイ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315B1 (ko) 2010-09-20 2012-04-04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358A (zh) 1996-02-07
KR950034306A (ko) 1995-12-28
DE19519629C2 (de) 2000-01-13
US6320492B1 (en) 2001-11-20
DE19519629A1 (de) 1995-12-07
CN1074850C (zh) 2001-11-14
JP3229512B2 (ja) 2001-11-19
US6046663A (en) 2000-04-04
JPH0851034A (ja) 199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751B1 (ko) 변성기및이의코일보빈
JP3279279B2 (ja) 鉄心装置
EP2056427B1 (en) Insulating bobbin for stator of rotary machine
US6034461A (en) Stator of motor
JP4579775B2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ア及びステータ
EP0269347B1 (en) Wound core having cross section periphery with circular and elliptic portions
JP2002272027A (ja) コ ア
JP3622459B2 (ja) 電磁装置
JPH11122855A (ja) ステータ用コイルボビンと電動機
JP2880867B2 (ja) 電動機の固定子
JP3439673B2 (ja) 積層鉄心
US6927525B2 (en) Unit core of motor with a yoke comprising an elongated end
JP3316762B1 (ja) 鉄心装置の製造方法
JP3624598B2 (ja) 電動モータの巻線構造及び巻線形成方法
JPH11346447A (ja) 鉄 心
JP3672842B2 (ja) 変成器用の巻鉄心
JP3508445B2 (ja) ヘリカルステータコア
JP7150418B2 (ja) 巻鉄心および巻鉄心の製造方法
CA2082379C (en) Transformer or reactor cooled by an insulating agent
JPH0645165A (ja) 巻鉄心の製造方法
JP3374038B2 (ja) コイルボビンに対する巻線治具及び巻線方法
JP2000241685A (ja) 光ケーブル
JP2001006957A (ja) 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242402A1 (zh) 定子铁芯、电机、压缩机和车辆
JP2942438B2 (ja) 低騒音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