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945B1 -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945B1
KR100227945B1 KR1019960072640A KR19960072640A KR100227945B1 KR 100227945 B1 KR100227945 B1 KR 100227945B1 KR 1019960072640 A KR1019960072640 A KR 1019960072640A KR 19960072640 A KR19960072640 A KR 19960072640A KR 100227945 B1 KR100227945 B1 KR 100227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wing door
vehicle
lin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534A (ko
Inventor
김수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94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4Mounting of lock casings to the vehicle, e.g. to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합차 등에서 사용되며 스윙방식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스윙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자동차의 스윙도어의 개폐를 록킹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해서 적용되는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단부를 상부에 위치한 상기 센터링크에 걸어줄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용이하고, 상기 케이블을 상기 센터링크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서 벤딩을 하지않아 파손되지 않고, 도어모터로 상기 케이블을 당기면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케이블의 구성이 간단해 은익이 쉬워서 미관이 좋아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윙도어(12)의 좌우에 각각 장착된 전방래치와 후방래치; 상기 전방래치와 후방래치에 케이블(13 및 14)로 연결된 센터링크(15); 상기 센터링크(15)에 회전이 가능한 한편 상측에 나사공(16-2)이 천공된 핀(16)을 장착하여, 그 나사공(16-2)에 나사가 형성된 그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로드(17); 상기 로드(17)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회전가능하게 상기 스윙도어(12)의 하부에 장착된 연결링크(18); 및 상기 연결링크(18)에 다시 케이블(19)로 연결된 도어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Swing door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승합차 등에서 사용되며 스윙방식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스윙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자동차의 스윙도어의 개폐를 록킹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해서 적용되는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에 사용되어 온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번호 1은 스윙도어를 지시한다. 스윙도어(1)와 인접한 차체(2)에는 메인아암 조립체(3)가 상기 스윙도어(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윙도어(1)의 좌우에는 각각 전방래치(4)와 후방래치(5)가 장착되어 있는 한편 중앙에는 전방래치(4)와 후방래치(5)에 케이블(6 및 7)로 연결된 센터링크(8)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링크(8)에는 도어모터(9)가 또 다른 케이블(10)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메인아암 조립체(3)에는 상기 도어모터(9)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한편, 케이블(10)은 장착브라켓(11)에 의해 스윙도어(1)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의 작용은 도어모터(9)가 구동되면 케이블(10)이 당겨져서 센터링크(8)가 회전하게 되고, 센터링크(8)가 회전하게 되면 전방래치(4)와 후방래치(5)가 해제되어 록킹이 해제되며, 또한 도어모터(9)에 의해 상기 메인아암 조립체(3)가 회전하여 상기 스윙도어(1)이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에 사용되어 온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에 따르면, 케이블(10)의 단부를 상부에 위치한 센터링크(8)에 걸어주어야 하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어려워지고, 케이블(10)을 상기 센터링크(8)에 연결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A" 부분과 같이 벤딩을 시켜야 하므로 파손되기 쉽고, 도어모터로 케이블(10)을 당기면 유격이 발생되며, 또한 상기 케이블(10)의 구성이 복잡해 은익이 쉽지 않으므로 미관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케이블의 단부를 작업이 어려운 상부에 위치한 상기 센터링크에 걸어줄 필요없이 하부로 유도하고, 케이블을 벤딩을 감소시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며, 이로인해 도어모터로 케이블을 당기면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의 구성이 은익이 쉬워서 미관이 좋아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윙도어의 좌우에 각각 장착된 전방래치와 후방래치; 상기 전방래치와 후방래치에 케이블로 연결된 센터링크; 상기 센터링크에 회전이 가능한 한편 상측에 나사공이 천공된 핀을 장착하여, 그 나사공에 나사가 형성된 그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로드;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회전가능하게 상기 스윙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에 다시 케이블로 연결된 도어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를 제공해준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에 사용되어 온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14 및 19 : 케이블 15 : 센터링크
16 : 핀 16-2 : 나사공
17 : 로드 18 : 연결링크
20 : 도어 인너 패널 21 : 브라켓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살펴본다.
스윙도어(도 1에 나타난 참조번호 1과 동일하다)의 좌우에는 각각 전방래치(미도시)와 후방래치(미도시)를 장착하는 한편 중앙에는 전방래치와 후방래치에 케이블(13 및 14)로 센터링크(15)를 연결한다.
센터링크(15)에는 회전이 가능한 한편 상측에 나사공(16-2)이 천공된 핀(16)을 장착한다. 상기 센터링크(15)의 나사공(16-2)에는 선단에 나사가 형성된 로드(17)의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로드(17)의 타단부는 회전가능하게 하부에 장착된 연결링크(18)에 연결한다. 상기의 연결링크는 도어 인너 패널(20)에 브라켓(21)을 설치하고, 브라켓(21)에 연결링크(18)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연결링크(18)에는 다시 케이블(19)이 연결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은 도어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케이블(19)이 당겨져서 상기 연결링크(18)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연결링크(18)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로드(17)가 당겨져서 상기 센터링크(15)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방래치와 후방래치가 해제되어 록킹이 해제되며, 또한 상기 도어모터에 의해 상기 메인아암 조립체(미도시)가 회전하여 스윙도어가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동충전장치에 따르면, 케이블의 단부를 상부에 위치한 상기 센터링크에 걸어줄 필요가 없이 작업이 손쉬운 도어의 하측에 케이블을 걸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이 용이하고, 상기 케이블을 상기 센터링크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서 벤딩을 하지않아 파손되지 않고, 도어모터로 상기 케이블을 당기면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케이블의 구성이 은익이 쉬워서 미관이 좋아지게 해준다.

Claims (1)

  1. (정정) 자동차의 스윙도어의 좌우에 각각 장착된 전방래치와 후방래치; 상기 전방래치와 후방래치에 케이블(13 및 14)로 연결된 센터링크(15); 상기 센터링크(15)에 회전이 가능한 한편 상측에 나사공(16-2)이 천공된 핀(16)을 장착하여, 그 나사공(16-2)에 나사가 형성된 그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로드(17); 상기 로드(17)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스윙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연결링크(18); 및 상기 연결링크(18)에 케이블(19)로 연결된 도어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
KR1019960072640A 1996-12-27 1996-12-27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 KR100227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640A KR100227945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640A KR100227945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34A KR19980053534A (ko) 1998-09-25
KR100227945B1 true KR100227945B1 (ko) 1999-11-01

Family

ID=1949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640A KR100227945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916B1 (ko) * 1999-12-27 2002-02-09 이계안 차량의 스윙도어의 잠금장치
KR100879687B1 (ko) * 2007-11-01 2009-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스윙도어의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3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3236A1 (en) Lock for a vehicle rear door or a rear hatch provided with a window wiper
JP2005193894A (ja) 車両ドアのヒンジアッセンブリ
KR100227945B1 (ko) 자동차용 스윙도어 개폐록킹장치
KR100836319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도난방지 구조
JPH1095233A (ja) 自動車用ドアヒンジ
KR100275202B1 (ko) 자동차 트렁크용 스트라이커 구조
KR200160317Y1 (ko) 차량 도어의 인사이드핸들 장착구조
KR100529187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방구조
KR100803425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0134513B1 (ko) 연료필러 록크의 케이블 클립(A clip of cable in a fuel-filler lock)
KR0113852Y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도어의 로크
JP2607322Y2 (ja) キャブの前窓開閉装置
KR200154466Y1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KR100198078B1 (ko) 버스용 도어의 수동잠금장치
KR100302438B1 (ko) 자동차 프런트 도어의 열림 장치
KR100253510B1 (ko) 자동차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00380336B1 (ko) 테일게이트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9980044538U (ko) 자동차 도어 장착용 공구
KR19980012929U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취부구조
KR870003210Y1 (ko) 기관차의 중련 운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0579100B1 (ko) 후드 랫치 수밀 방지를 위한 그로메트 구조
KR19980036171A (ko) 자동차의 안전 록크 노브
KR19980017036U (ko) 카폰홀더가 설치된 콘솔 리드
KR20040048082A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브래킷의 장착구조
JPH10175446A (ja) 自動車のドア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