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527B1 -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527B1
KR100213527B1 KR1019970702945A KR19970702945A KR100213527B1 KR 100213527 B1 KR100213527 B1 KR 100213527B1 KR 1019970702945 A KR1019970702945 A KR 1019970702945A KR 19970702945 A KR19970702945 A KR 19970702945A KR 100213527 B1 KR100213527 B1 KR 10021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core pin
bellows portion
cavity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956A (ko
Inventor
로버트 제임스 피터슨
마이클 도날드 웹
뤼벤 얼 오더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97070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29C45/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introduced between a mould core and a hollow resilient undercut article,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0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by flexible movement of undercut portion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3Bel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58Under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은 제 1 단계로서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가진다. 벨로우즈부는 코어핀 (28) 과 제 1 분리 캐비티 (30)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와, 코어핀 (28) 과 제 2 분리 캐비티 (44) 사이에 위치한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를 가진다.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는 제 1 개방단 (46) 과 외부 언더컷부 (48) 를 가지며, 벨로우즈부의 탄성부는 내면과 제 2 개방단 (50) 을 가진다. 제 1 분리 캐비티 (30) 는 벨로우즈부의 탄성부가 코어핀 (28) 에서 벗겨지도록 개방된다. 벨로우즈부의 개방단들이 제 2 분리 캐비티 (44) 와, 코어핀 (28) 에 의해 폐쇄되는 동안에 코어핀 (28) 을 통해 탄성부의 내면으로 압축가스를 전달한다. 성형의 캐비티와 코어가 분리할 때, 제 2 분리 캐비티 (44) 는 벨로우즈부의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의 언더컷부 (48) 를 그립핑함으로써, 압축가스가 탄성부를 팽창시키도록 유지하는 동안에 벨로우즈부의 탄성부를 코어핀 (28) 에서 잡아당긴다. 마지막으로, 제 2 분리 캐비티는 개방되거나, 또는 스트립퍼 로드 (54) 가 벨로우즈부의 상기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의 상기 언더컷부 (48) 를 놓아서 상기 벨로우즈부가 상기 사출성형에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탄성변형 가능한 벨로우즈는 플렉시블 커플링 둘레의 밀봉 부트 (boot), 플렉시블 커플링 자체, 조립식 용기 등으로 사용된다. 펌프 장치, 특히 로션 (lotion) 펌프와 트리거 스프레이어 (trigger sprayer) 의 피스톤, 리턴 (return) 스프링과 실린더를 대체하여 벨로우즈의 특별한 사용이 득이 된다.
펌프 장치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유체를 압력화할 필요가 있다. 유체압을 발생시키는데 연혁적으로 피스톤과 실린더를 사용해 왔다. 점성도가 낮은 유체를 주로 사용한 트리거 스프레이어에 있어서, 피스톤과 실린더 배열은 높은 마찰과 양호한 유체 밀봉이나, 낮은 마찰과 어느 정도의 통과 누설 (bypass leakage) 을 제공한다. 상기 조합의 어느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 피스톤과 실린더는 이상한 액튜에이터 운동을 일으키는 축방향 운동시에 부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통형의 탄성 벨로우즈는 펌핑실과 리턴 스프링으로 기능한다. 벨로우즈는 원뿔링 스프링으로 기능하는 벽을 갖는 상호연결된 일련의 프리트 (pleat) 를 가진다. 모든 개별 프리트에 대한 원뿔링 굽힘 저항의 총합 보다 낮은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데 있다. 축방향 변형에 대한 벨로우즈 저항은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미끄럼 마찰과 피스톤 리턴 스프링 힘 보다 더 작다. 또, 벨로우즈는 단일의 부품이므로, 어떠한 조립체나 중요한 설비를 고려하지 않는다. 미끄럼 부위가 없기 때문에, 벨로우즈에 필요한 동역학적 밀봉을 요하지 않는다.
정역학적으로 벨로우즈는 펌프 장치의 이동 부위에 대해 밀봉된다. 상기는 전형적으로 스냅식 결합이나 열 또는 결합체에 의해 벨로우즈의 두 개방단을 딱딱한 액튜에이터 부위에 연결시켜서 달성된다.
액튜에이터 부위는 액튜에이터가 해제될 때 벨로우즈 펌핑실이 벨로우즈 탄성에 기인하여 팽창함으로써, 입구밸브를 통하여 유체를 끌어 들이도록 일방향 밸브작용을 유지한다. 액튜에이터가 작동하면, 벨로우즈 펌핑실은, 츌구밸브가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개방되는 동안에 입구밸브가 닫힐 때 유체를 가압하도록 수축된다.
양 개방단을 구비한 벨로우즈를 제조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없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는 블로우 (blow) 성형이나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블로우 성형은 간단한 방법이지만, 프리트의 원뿔링 부위의 벽 두께를 덜 정밀하게 만든다. 따라서, 트리거 스프레이어 벨로우즈는 축방향 변형 저항이 더 제어될 수 있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또, 사출성형은 밸브와 밸브 스프링, 오토마이저 요소 등의 또 다른 기능적인 요소를 벨로우즈와 일체로 성형시켜 부착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벨로우즈의 사출성형은 잘 알려진 방법이다. 반경방향의 주름이나 또는 언더컷을 구비한 어떤 부품을 사출성형시에, 트릭 (trick) 은 물론 그 부품을 사출성형으로부터 벗기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사출성형된 벨로우즈는 손으로 벗기거나 또는 성형 코어핀을 밀어서 이격시킨다. 여전히 뜨거운 부위를 벗겨내면, 성형과 마모로 인해 영구적으로 벨로우즈에 손상을 끼친다. 선택적으로, 공기를 사용하여 벨로우즈를 부풀려서 벨로우즈를 코어핀과 블로우 오프 (blow off) 되도록 벨로우즈는 일단이 폐쇄되어 성형되어 왔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벨로우즈는 후에 폐쇄단부를 제거하도록 후처리 작업을 감수해야 하며, 부가적인 스크랩을 발생시킨다.
1991 년 4 월 9 일 사정된 아리마 등에 대한 미국 특허번호 제 5,006,376 호는 사출성형에서 벗겨낼 수 있도록 특성을 가지면서 특정 재료로 제조된 개방단부식 원뿔 벨로우즈형을 개시하고 있다. 그 특성과 재료에 대한 극단적인 제한은 벨로우즈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성형의 코어핀에서 잡아당기는 동안에 압축가스를 사용하는 벨로우즈를 팽창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가 짧고 외부 수단을 요하지 않는 자동화된 상기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 가지 관점은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단계로서 두 개방단을 갖는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가진다. 벨로우즈부는 코어핀과 제 1 분리 캐비티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와, 코어핀과 제 2 분리 캐비티 사이에 위치한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를 가진다.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는 제 1 개방단과 외부 언더컷부를 가지며, 벨로우즈부의 탄성부는 내면과 제 2 개방단을 가진다.
또 다른 단계는 벨로우즈부의 탄성부가 코어핀에서 벗겨지도록 상기 제 1 분리 캐비티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벨로우즈부의 개방단들이 제 1 개방단에 있는 제 2 분리 캐비티와, 제 2 개방단에 있는 코어핀에 의해 폐쇄되는 동안에 상기 코어핀을 통해 탄성부의 내면으로 압축가스를 전달하는 단계와, 제 2 분리 캐비티에 의해 벨로우즈부의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의 언더컷부를 그립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단계는 압축가스가 탄성부를 팽창시키도록 유지하는 동안에 벨로우즈부의 탄성부를 코어핀에서 잡아당기도록 제 2 분리 캐비티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코어핀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벨로우즈부의 상기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의 상기 언더컷부를 놓아서 상기 벨로우즈부가 상기 사출성형에서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제 2 분리 캐비티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핀은 압축가스 동력원에 연결시킨 통로를 가진다. 상기 통로는 벨로우즈부의 내면과 통하는 유체를 또한 가진다. 따라서, 압축가스를 탄성부의 내면에 전달하는 단계는 코어핀의 통로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들은 코어핀내의 다공성 금속 코어핀 또는 얇은 채널에서 만들어진다.
선택적으로, 코어핀은 자유단과, 자유단을 통과하는 종방향 구멍과, 자유단에 있는 밸브시트와, 종방향 구멍을 통해 신장하는 로드를 구비한 포펫밸브을 가진다. 상기 포펫밸브는 밸브시트에 대하여 편위되며, 종방향 구멍은 포펫밸브가 착석되지 않을 때까지 유동하지 않는 압축가스 동력원에 연결된다. 탄성부의 내면에 압축가스를 전달하는 단계는 포펫밸브를 착석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대안은 벨로우즈부의 환형의 제 1 개방단을 캐비티로부터 밀기 위해 스트립퍼 로드를 갖는 제 2 솔리드 캐비티에 의해 벨로우즈부의 언더컷을 그립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성형된 벨로우즈부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 단부가 개방되는 벨로우즈부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에서 벗겨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닫힌 위치에서 사출성형기계의 고정 캐비티단과 이동 케비티단을 개방시켜서 개방단부식 (opened end)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에서 벗겨내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벨로우즈를 사출시킨 개방위치에서 사출성형기계의 이동 코어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사이에 새로 형성된 코어부와 벨로우즈부 주위를 닫은 성형의 캐비티를 나타내는 도 1 의 선 3-3 의 단면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캐비티와 코어부의 평면단면도이다.
도 4 는 코어핀의 축선과 수직으로 개방한 제 1 분리 캐비티를 나타낸는, 도 3 과 유사한 평면단면도이다.
도 5 는 포펫밸브가 열려서 압축가스가 탄성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키도록 허용하는 동안에 성형의 캐비티와 코어부의 축방향 분리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과 유사한 평면단면도이다.
도 6 은 벨로우즈부가 캐비티부에 의해 맞물려서, 압축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동안에 코어부로부터 벗겨지는 성형의 캐비티와 코어부의 축방향 분리의 나중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과 유사한 평면단면도이다.
도 7 은 성형의 캐비티부와 코어부를 완전히 분리시키거나, 또는 개방위치에서 벨로우즈부를 코어부에서 벗겨내고 포펫밸브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과 유사한 평면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2 분리 캐비티를 코어핀의 축선과 수직으로 개방시켜서 벨로우즈부를 사출시키기 위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 2 의 선 8-8 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성형의 캐비티와 코어부의 평면단면도이다.
도 9 는 성형의 캐비티부에서의 스트립퍼 로드를 갖는 솔리드 (solid) 캐비티와, 성형의 코어부에서 포펫밸브를 가지지 않는 얇은 채널을 갖는 코어핀을 나타내는 도 7 과 유사한 평면단면도이다.
도 10 은 솔리드 캐비티에서 벨로우즈부를 사출시키는 스트립퍼 로드를 나타내는 도 8 과 평면단면도이다.
지금부터 도면 중 특히 도 1 과 도 2 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제공하는, 보통 10 으로 지시되는, 사출성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사출성형기계 (10) 는 위치가 고정된 캐비티단과, 유압실린더 (16) 에 의해 작동되는 코어단을 가진다. 플라스틱 사출이 기계의 성형부에 들어가서 벨로우즈부 (22) 를 형성하는 장소를 가리키기 위해 도 1 에는 화살표 (20) 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유압실린더 (16) 가 후퇴시 축방향으로 분리된 중공단 (12) 과 코어단 (14) 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벨로우즈부 (22) 를 사출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상기 기계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계 (10) 는 미국 코넥티컷주 켄싱톤 소재의 Arburg, Inc. 가 제조한 Polyronica U 버전의 Arburg 40 톤 토글 프레스이다. 바람직한 성형을 여기서 설명된 하나의 캐비티 작동과 유사하게 작동하는 4 개의 캐비티 각각을 구비한 4 개의 캐비티이다.
본 발명은 캐비티부 (24) 와 코어부 (26) 가 기계내에서 작동하여 기계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형성하여 벗겨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 은 닫힌 위치에서의 성형부 (24, 26) 를 도시하고 있다. 코어성형부 (26) 는 벨로우즈의 내부형상을 갖는 코어핀 (28) 과, 코어핀 (28) 주위가 폐쇄될 때 벨로우즈의 외부형상을 갖는 제 1 분리 캐비티 (30) 를 가진다. 제 1 분리 캐비티 (30) 는 코어핀의 종축선 (도시되지 않음) 과 평행한 면을 따라 바람직하게 분리되어 종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두 반짝 (half) 이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 1 분리 캐비티 (30) 는 임의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부가 코어핀에서 벗겨질 수 있도록 성형된 벨로우즈부를 제거하는 캐비티가 된다.
코어핀 (28) 은 몸체 (32) 와 자유단 (34) 을 가진다. 자유단 (34) 은 포펫 (poppet) 밸브용의 밸브시트 (36) 를 가진다. 성형부는 벨로우즈이기 때문에, 코어핀 (28) 은 그 길이를 따라 코어핀에서 성형부를 제거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일련의 언더컷을 가진다.
코어성형부 (26) 는 밸브시트 (36) 내에 위치되는 포펫벨브 (38) 와, 코어핀을 코어핀을 통해 종방향의 틈새구멍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이 맞추어진 밸브로드 (40) 를 가진다. 포펫벨브 (38) 는 밸브로드 (40) 를 축방향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밸브로드에 가해진 압축가스압력에 의해 미끄럼운동되어 개폐된다. 포펫벨브 (38) 는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편위되어 닫힌다. 포펫벨브 (38) 의 목적은 (도시되지 않는 동력원에서) 압축가스를 유입시켜, 이 압축가스를 코어몸체 (32) 의 입구 (42) 로부터 밸브로도 (40) 의 외부를 따라 밸브시트 (36) 까지 유동시키고, 마지막에는 벨로우즈부 (22) 의 탄성부의 내면 (23) 까지 유동시켜서 밸로우즈를 팽창시켜 코어핀 (28) 으로부터 벗겨낸다. 성형시에 폐쇄상태로 위치하는 포펫밸브는 성형시에 용융 플라스틱이 압축가스 통로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또한 작용한다.
캐비티 성형부 (24) 는 닫혔을 때 제 2 분리 캐비티 (44) 가 제 1 분리 캐비티 (30) 와 접촉하는 포펫밸브 (38) 를 감싸는 제 2 분리 캐비티 (44) 를 가진다. 제 2 분리 캐비티 (30) 는 코어핀의 종방향 축선 (도시되지 않음) 과 평행한 면을 따라 바람직하게 분리되어 두 반쪽이 코어핀 (28) 의 종방향 축선과 수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부 (22) 를 분리시키기 위해 제 2 분리 캐비티 (30) 는 여러 가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핀의 작동 기능을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포펫밸브 (38) 는 벨로우즈부 (22) 의 제 1 개방단 (46) 에서 용이하게 미끄럼 운동하는 형상을 가진다. 부가하여, 제 2 분리 캐비티 (44) 는 벨로우즈부 (22) 의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에서 언더컷 (48) 을 제공하며, 닫힌 분리 캐비티 (44) 를 벗기는데 사용하는 제 1 개방단 (46) 근처에서의 실질상 강성부를 외부에서 잡도록한다. 언더컷 (48) 이 제 1 개방단 (46) 에서 두꺼운 환형이 되기 때문에 제 1 개방단 (46) 에서의 벨로우즈부 (22) 의 실질상 강성부는 벨로우즈의 탄성 주름부 (corrugated portion) 보다 더 강하다.
벨로우즈부 (22) 는 코어핀에서 보다 더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잇도록 두 개방단의 직경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제 2 개방단 (50) 을 가진다. 벨로우즈부 (22) 는 탄성 재료로 성형되어 벨로우즈가 압축가스의 압력하에서 어느정도 팽창하여 코어핀에서 벗겨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벨로우즈부 (22) 는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Quantum Chemical 에서 상용 시판되는 등급 UE632 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로 성형된다. 사출 성형기계 조건은 노즐 온도가 375 ℉ 이고, 전방 온도가 375 ℉, 중간 온도가 350 ℉, 후단 온도가 330 ℉, 실제 용융 온도가 335 ℉ 이며, 제 1 단 사출 압력이 1000 psi, 제 2 단 사출 압력이 800 psi, 역압이 100 psi 이고, 제 2 사출 시간은 1.5 초, 제 2 지연 시간은 5 초, 제 2 냉각 시간은 10 초, 제 2 재생 시간은 0.1 초, 제 1 사출 지연 시간은 1 초, 제 2 기계 운동 시간은 6.5 초 이다. 벨로우즈부 (22) 는 최대 직경이 약 19 ㎜ 이고 길이가 약 25 ㎜ 인 탄성부를 가진다. 제 1 개방단 (46) 은 직경이 약 9 ㎜ 이고, 제 2 개방단 (50) 은 직경이 약 17 ㎜ 이다. 언더컷 (48) 은 루트 (root) 직경이 약 16 ㎜ 이다.
도 4 는 벨로우즈부를 코어핀에서 벗겨내는 제 1 단계를 도시한다. 제 1 분리 캐비티 (30) 가 코어핀 (28) 의 종축선과 수직으로 열려서 벨로우즈부 (22) 가 팽창하도록 제 1 분리 캐비티 (30) 와 코어핀 (28) 사아에 틈새를 제공한다.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키도록 압축가스를 적용하기 위하여 포펫밸브 배열에 대한 대안으로서, 코어핀을 다공성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압축가스는 적시에 코어 몸체 (32) 쪽으로 외부에서 밸브로 조절되어 압축가스가 코어핀 (28) 의 구멍을 통과한다. 이와같은 대안에 있어서, 포펫밸브 등의 코어핀의 내부에 어떠한 이동부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다음, 코어핀 (28) 은 성형시에 벨로우즈부 (22) 의 제 1 개방단 (46) 을 채우는 자유단 (34) 을 가진다.
또 다른 유사한 대안은 코어핀을 따라 압축가스를 통과할 정도로 깊지만 용융 플라스틱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얇은 반경 방향의 얇은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코어핀을 통한 종방향 구멍은 외부 동력원에서 채널로 압축가스를 공급한다. 이와같은 배열은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채널은 포펫밸브의 필요성을 제거해준다.
도 5 는 캐비티 성형부 (24) 와 코어 성형부 (26)가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반면 포펫밸브 (38) 가 열려 압축가스가 벨로우즈부 (22) 의 탄성부를 팽창시키도록 허용한다. 포펫밸브 (38) 가 내부 벨로우즈부 (22) 로부터 후퇴할 때, 제 1 개방단 (46) 은 벨로우즈의 단부를 언더컷 (48) 에서 외부에서 붙잡는 제 2 분리 캐비티 (44) 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포펫밸브 (38) 가 내부 벨로우즈부 (22) 로부터 후퇴할 때, 제 2 개방단 (50) 은 압축가스가 벨로우즈를 팽창시킬 때 코어 몸체 (32) 에서 닫힌 상태로 존재한다. 환형 제 2 단 (50) 은 벨로우즈의 주름부 보다 다소 딱딱하다. 벨로우즈부 (22) 가 캐비티 및 코어 성형부 (24, 26) 의 분리에 의해 코어핀 (28) 에서 축방향으로 벗겨질 때, 벨로우즈부 (22) 의 제 2 개방단 (50) 은 코어핀 (28) 을 따라 미그럼 운동하여 코어핀으로 주로 기밀 밀봉을 유지한다. 약간의 압축가스가 제 2 개방단 (50) 의 벨로우즈부 (22) 에서 누출하는 경우에도, 벨로우즈부 (22) 가 코어핀 (28) 에서 벗겨질 정도로 충분히 팽창되도록 압축가스 유동은 충분하게 된다. 전형적인 압축가스는 60-80 psig 에서의 압축 공기이다.
도 6 은 캐비티 성형부 (24) 와 코어 성형부 (26) 의 또 다른 축 방향 분리를 도시한다. 벨로우즈부는 닫힌 분리 캐비티 (44) 에 의해 맞물리고, 벨로우즈부 (22) 가 압축가스에 의해 팽창한 상태로 남아 있는 동안에 코어핀 (28) 으로부터 벗겨진다. 포펫밸브 (38) 는 벨로우즈부 (22) 가 코어핀 (28) 에서 벗겨질 때까지 개방된 상태로 남아있다.
도 7 은 캐비티 성형부 (24) 와 코어 성형부 (26) 가 완전히 분리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벨로우즈부 (22) 는 코어핀 (28) 과 더 이상 맞물리지 않는다. 포펫벨브 (38) 는 밸브시트 (36) 에 대하여 닫혀서, 압축가스의 유동을 차단시킨다. 벨로우즈부 (22) 는 제 2 분리 캐비티 (44) 에 의해 맞물린 상태로 존재한다.
도 8 은 제 2 분리 캐비티 (44) 가 코어핀 (28) 의 축선에 수직으로 개방되어, 벨로우즈부를 놓아준 상태는 도시한다. 팽창된 압축공기가 사출성형에서 벨로우즈부 (22) 를 사출성형시키기 위한 전형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팽창시키는 수단이 도시되지 않았다. 벨로우즈부 (22) 는 분리된 성형부 사이에서 성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제 2 캐비티 (22) 는 분리될 수 없다. 도 9 는 벨로우즈부 (22) 의 언더컷부 (48) 를 맞물고 있는 솔리드 캐비티 (52) 를 도시한다. 제 2 솔리드 캐비티에서 언더컷부 (48) 를 이탈시키기 위하여,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퍼 로도 (54) 는 제 2 캐비티로부터 벨로우즈부 (22) 의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의 제 1 개방단 (46) 을 민다. 도 9 및 도 10 은
압축가스입구 (58) 를 코어핀 (62) 내의 코어핀 채널 또는 통로 (60) 와 연결시킨 선택적인 코어몸체 (56) 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코어핀 (62) 은 포펫벨브 (38) 를 대체시킨 신장부 (64) 를 가진다.
도 8 을 다시 설명하면, 벨로우즈부 (22) 가 일단 성형에서 이탈되면, 제 1 분리 캐비티 (30) 와 제 2 분리 캐비티 (44) 가 닫히고, 코어 성형부 (26) 가 캐비티 성형부 (24) 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런 상태에서, 성형은 또 다른 사출성형 사이클이 시작하도록 준비된다.
캐비티 성형부와 코어 성형부 (24, 26) 의 작동에 대한 대안은 제 1 분리 캐비티 (26) 대신에 캐비티 성형부 (24) 와 함께 남아있도록 허용한다. 어떤 축방향 분리가 일어나기 전에 제 1 분리 캐비티 (30) 는 코어핀의 종축선과 수직으로 열리기 때문에, 어떤 다른 사이클 변경도 상기 대안을 조절하는데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기술되었지만, 여러 가지 변경과 정정이 본 발명의 내용과 범위에 벗어나지 않고서 행해질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범위내의 상기 모든 정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다.

Claims (11)

  1. 사출성형에서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에 있어서,
    a) 코어핀은 종방향 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 1 분리 캐비티가 상기 코어핀을 감싸고 상기 벨로우즈부는 언더컷부를 가지며, 상기 코어핀 둘레에 두 개의 개방단을 갖는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b) 상기 벨로우즈부가 상기 코어핀에서 벗겨지도록 상기 제 1 분리 캐비티를 개방하는 단계와,
    c) 상기 벨로우즈부를 상기 코어핀의 외향으로 팽창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언더컷부에서 상기 벨로우즈부를 그립핑 수단으로 그립핑하는 단계와,
    e) 상기 사출성형 쪽에 형성된 요소만을 사용하여, 상기 언더컷부에서 상기 벨로우즈부를 상기 그립핑 수단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벨로우즈부가 상기 코어핀의 외향으로 팽창하는 동안에 상기 벨로우즈부를 상기 코어핀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은 압축가스 동력원에 연결되어 상기 벨로우즈부와 통하는 유체를 갖는 통로를 가지고, 상기벨로우즈를 팽창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어핀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동력원에서 상기 벨로우즈부에 압축가스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은 자유단과, 자유단을 통과하는 종방향 구멍과, 상기 자유단에 있는 밸브시트와, 상기 종방향 구멍을 통해 신장하는 로드를 구비한 포펫밸브을 가지고, 상기 포펫밸브는 상기 밸브시트에 대하여 편위되며, 상기 종방향 구멍은 상기 포펫밸브가 착석되지 않을 때까지 유동하지 않는 압축가스 동력원에 연결되고, 상기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키는 상기 단계는 압축가슥가 상기 동력원에서 상기 포펫벨브를 통하여 상기 벨로우즈부로 통과하도록 상기 포펫밸브를 착석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수단은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언더컷부를 맞무는 솔리드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솔리드 캐비티는 상기 벨로우즈부가 상기 코어핀의 외향으로 팽창되는 동안에 상기 벨로우즈부를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잡아당기도록 상기 코어핀에서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수단은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언더컷부를 맞무는 제2분리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분리 캐비티는 상기 벨로우즈부가 상기 코어핀의 외향으로 팽창되는 동안에 상기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6.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에 있어서,
    a) 코어핀과 제 1분리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면서 내면과 제 2개방단을 갖는 탄성부와, 상기 코어핀과 제 2분리 캐비티 상이에 위치하면서 제 1개방단과 외부 언더컷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로 이루어진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b)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탄성부가 상기 코어핀에서 벗겨지도록 상기 제 1분리 캐비티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c)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제 1및 제 2개방단이 상기 제 2분리 캐비티와 상기 코어핀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코어핀의 외향으로 상기 탄성부를 팽창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제 2분리 캐비티에 의해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의 상기 언더컷부를 그립핑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2분리 캐비티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코어핀을 분리시켜, 압축가스가 상기 탄성부를 팽창시키도록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탄성부를 상기 코어핀에서 잡아당기는 단계와,
    f)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의 상기 언더컷부를 놓아서 상기 벨로우즈가 상기 사출성형에서 나올 수 있더럭 상기 제 2분리 캐비티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은 압축가스 동력원에 연결되어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탄성부의 상기 내면과 통하는 유체를 갖는 통로를 가지고, 상기 탄성부를 팽창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어핀의 상기통로를 통해 상기 동력원에서 상기 베로우즈부에 압축가스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은 자유단과, 자유단을 통과하는 종방향 구멍과, 상기 자유단에 있는 밸브시트와, 상기 종방향 구멍을 통해 신장하는 로드를 구비한 포펫밸브을 가지고, 상기 포펫밸브는 상기 밸브시트에 대하여 편위되며, 상기 종방향 구멍은 상기 포펫밸브가 착석되지 않을 때까지 유동하지 않는 압축가스 동력원에 연결되고, 상기 밸로우즈부를 팽창시키는 상기 단계는 압축가스가 상기 동력원에서 상기 포펫밸브를 통하여 상기 벨로우즈부로 통과하도록 상기 포펫밸브를 착석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9.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에 있어서,
    a) 코어핀과 제 1분리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면서 내면과 제 2개방단을 갖는 탄성부와, 상기 코어핀과 솔리드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 1개방단과 외부 언더컷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로 이루어진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b)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탄성부가 상기 코어핀에서 벗겨지도록 상기 제 1분리 캐비티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c)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제 1및 제 2개방단이 상기 솔리드 캐비티와 상기 코어핀에 의해 각각 폐쇄되어 상기 코어핀의 외향으로 상기 탄성부를 팽창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솔리드캐비티에 의해 상기 벨로우부의 상기 실질적으로 딱딱한 부위의 상기 언더컷부를 그립핑하는 단계와,
    e) 상기 솔리드 캐비티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코어핀을 부리시켜, 압축가스가 상기 탄성부를 팽창시키도록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탄성부를 상기 코이핀에서 잡아당기는 단계와,
    f) 상기 벨로우즈부를 상기 솔리드 캐비티로부터 밀도록 스트립퍼 로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개방 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10. 제 9항 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은 압축가스 동력원에 연결되어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기 탄성부의 상기 내면과 통하는 유체를 갖는 통로를 가지고, 상기 탄성부를 팽창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어핀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동력원에서 상기 벨로우즈부에 압축가스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은 자유단과, 자유단을 통과하는 종방향 구멍과, 상기 자유단에 있는 밸브시트와, 상기 종방향 구멍을 통해 신장하는 로드를 구비한 포펫밸브을 가지고, 상기 포펫밸브는 상기 밸브시트에 대하여 편위되며, 상기 종방향 구멍은 상기 포펫밸브가 착석되지 않을 때까지 유동하지 않는 압축가스 동력원에 연결되고, 상기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키는 상기 단계는 압축가스가 상기 동력원에서 상기 포펫밸브를 통하여 상기 벨로우즈부로 통과하도록 상기 포펫밸브를 착석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개내는 방법.
KR1019970702945A 1994-11-02 1995-10-27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방법 KR100213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33,449 1994-11-02
US08/333,449 US5490966A (en) 1994-11-02 1994-11-02 Method for stripping open ended bellows part from injection mold
US8/333,449 1994-11-02
PCT/US1995/014012 WO1996014198A1 (en) 1994-11-02 1995-10-27 Method for stripping open ended bellows part from injection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956A KR970706956A (ko) 1997-12-01
KR100213527B1 true KR100213527B1 (ko) 1999-08-02

Family

ID=2330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945A KR100213527B1 (ko) 1994-11-02 1995-10-27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5490966A (ko)
EP (1) EP0789649B1 (ko)
JP (1) JPH10509101A (ko)
KR (1) KR100213527B1 (ko)
CN (1) CN1070762C (ko)
AU (1) AU4137896A (ko)
BR (1) BR9509566A (ko)
CA (1) CA2204150C (ko)
CZ (1) CZ128497A3 (ko)
DE (1) DE69512078T2 (ko)
FI (1) FI971862A (ko)
HU (1) HUT77755A (ko)
NO (1) NO972021L (ko)
NZ (1) NZ296699A (ko)
PL (1) PL319819A1 (ko)
SK (1) SK54997A3 (ko)
TW (1) TW310297B (ko)
WO (1) WO19960141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40B1 (ko) 2019-09-09 2019-12-17 장동운 브레이크 부스터용 부트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0624B1 (en) * 1994-06-20 2001-04-03 Critical Device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reseal element for a needleless injection site
JPH0835509A (ja) * 1994-07-26 1996-02-06 Nifco Inc シート用リテーナ
JP2973870B2 (ja) * 1995-05-19 1999-11-0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US5683644A (en) * 1995-11-13 1997-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stripping open ended bellows part from injection mold
PT818297E (pt) * 1996-07-02 2002-03-28 Insit Ind S P A Um metodo e um aparelho destinados a producao de um artigo em material elastomerico
US5932164A (en) * 1996-12-31 1999-08-03 Logic Corporation Process for injection molding with incremental initial ejection
US6485666B1 (en) 1998-03-11 2002-11-26 William W. Rowley Post extrusion profile processing
US5952018A (en) * 1998-03-18 1999-09-14 Eastman Kodak Company Injection mold cav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468427B1 (en) * 1998-09-29 2002-10-22 Gambro, Inc. Fluid filter for use in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US6403003B1 (en) 1999-08-10 2002-06-11 Jetta Company Limited Injection molded doll head
FR2811932B1 (fr) 2000-07-20 2003-05-16 Oreal Procede de fabrication d'un soufflet
JP2003028141A (ja) * 2001-07-12 2003-01-29 Fuji Photo Film Co Ltd ローラ製造方法
US20030134067A1 (en) * 2002-01-17 2003-07-17 Garelli Stephen T. Method and mold for molding flexible polymeric envelopes
JP3646803B2 (ja) * 2002-11-08 2005-05-11 有限会社山下ゴム工業 蛇腹部を有する筒状ゴム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筒状ゴム製品の製造装置
US20040107551A1 (en) * 2002-12-09 2004-06-10 Lipniarski David J. Indented female blow-molded connector
US7169342B1 (en) * 2004-03-31 2007-01-30 Sorensen Research And Development Trust Injection molding of tubular plastic products
US7121823B2 (en) * 2004-08-24 2006-10-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ld assembly for forming a plastic article having a complicated shape
US7951320B1 (en) 2005-02-24 2011-05-31 Kitisis Corporation Method of molding a bulkhead fitting
GB0512630D0 (en) * 2005-06-21 2005-07-27 Scott Kenneth 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moulded articles and a hollow moulded article made by the method
US20090001638A1 (en) * 2007-06-28 2009-01-01 Semaan Gilbert A Bellows structure
US7867418B2 (en) * 2007-09-24 2011-01-11 Mars, Incorporated Tool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oldable material
CN101419321B (zh) * 2007-10-22 2011-06-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制作镜筒的牙板及用该牙板制作该镜筒的方法
DE102007059015A1 (de) * 2007-12-06 2009-06-10 Braun Gmbh Haarbürste
DE102007063154A1 (de) * 2007-12-29 2009-07-09 Braun Gmbh Haarbürste
CN101596571B (zh) * 2008-06-04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螺纹成型模板结构
FR2939106B1 (fr) * 2008-12-02 2014-04-25 Eos Dispositif d'habillage pour recipient, notamment pour bouteille contenant un liquide a boire,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US20120100266A1 (en) 2010-10-20 2012-04-26 Pepsico., Inc. Control of bubble size in a carbonated liquid
EP2799204B1 (en) * 2011-12-30 2016-10-12 Green Island International TCM Group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silicon cupping appliance
CN102615788A (zh) * 2012-04-25 2012-08-01 台州市光跃饮水设备有限公司 新式压力桶气囊及模具
US9149973B2 (en) * 2012-06-05 2015-10-06 Crushproof Tubing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flexible tubing with annular corrugations
CN102773951A (zh) * 2012-08-14 2012-11-14 柳州日高橡胶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脱模装置生产波纹胶管的方法
CN103909609B (zh) * 2013-11-27 2016-08-24 大连隆星新材料有限公司 石蜡管成形装置
CN104723579B (zh) * 2015-04-13 2017-03-2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全复合材料波纹夹层圆柱壳的组合模具
CN104827610A (zh) * 2015-05-20 2015-08-12 书元机械企业(昆山)有限公司 一种波纹管防尘套的自动脱模生产装置
CN105382976A (zh) * 2015-12-01 2016-03-09 苏州井上橡塑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线束的快速取模治具
CA3011796A1 (en) * 2016-01-19 2017-07-2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oft robotic actuators and grippers
CN106514965A (zh) * 2016-11-14 2017-03-22 中山市立科硅胶制品有限公司 一种硅胶模具进胶成型方法
CN108262936B (zh) * 2016-12-31 2024-04-09 浙江双林机械股份有限公司 风琴式压轮结构及工作方法
CN111251514B (zh) * 2020-01-20 2021-12-17 冯艳 一种医疗用胶套加热成型模具
CN113043545B (zh) * 2021-04-06 2022-04-19 中山大学 一种内表面具有微纳结构柔性管的注塑加工方法及其装置
CN114474593A (zh) * 2022-01-21 2022-05-13 宿州市胜辉塑业有限公司 一种hdpe钢带增强波纹管一次性成型模具
CN114536667B (zh) * 2022-02-23 2023-10-13 安徽中鼎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波纹管注塑模具
CN117621324B (zh) * 2023-12-22 2024-04-26 邢台市环日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脱模的生产用脱芯保压一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6406A (en) * 1944-07-17 1946-03-12 Volney S Anderson Molding apparatus
US2547894A (en) * 1949-07-30 1951-04-03 Gen Tire & Rubber Co Device for stripping annular elastic rubber articles from a core
US3660002A (en) * 1969-09-25 1972-05-02 Peter J Morroni Apparatus for molding open containers
US3733384A (en) * 1972-01-19 1973-05-15 Rheem Mfg Co Process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in extrusion blow molding
US3892512A (en) * 1973-09-13 1975-07-01 Alan V Diehl Transfer molding apparatus with resilient pad to distribute molding pressure
US3950468A (en) * 1974-08-19 1976-04-13 Dewey Rainville Injection blow molding of container open at both ends
US4164523A (en) * 1976-09-09 1979-08-14 Robert Hanning Method of injection-molding and cooling of shaped synthetic-resin bodies
FR2395121A1 (fr) * 1977-06-23 1979-01-19 Vanotti Gerard Moule pour l'obtention d'elements tubulaires elastiques
US4289726A (en) * 1979-07-02 1981-09-15 Potoczky Joseph B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of elongated hollow plastic container walls
US4375948A (en) * 1979-12-07 1983-03-08 Holdt J W Von Plastic bucket defining annular inwardly projecting ridge and method
US4531703A (en) * 1981-11-16 1985-07-30 Underwood J Larry Mold permitting air ejection of a flanged article
US4438065A (en) * 1982-03-08 1984-03-2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ir ejection of molded containers
ZA835586B (en) * 1982-07-31 1984-04-25 Trw Ehrenreich Gmbh An injection mould
JPS59156730A (ja) * 1983-02-25 1984-09-06 Ngk Insulators Ltd ゴム状弾性成形体の内部金型離型方法
JPS60193620A (ja) * 1984-03-15 1985-10-02 Toyo Tire & Rubber Co Ltd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のジヨイントブ−ツ成形体
CA1204262A (en) * 1985-08-16 1986-05-13 James S. Sheffield Injection mold apparatus with gas ejection
IT1241314B (it) * 1990-11-09 1994-01-10 Firestone Int Dev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la realizzazione di camere d'aria per stampi di vulcanizzazi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40B1 (ko) 2019-09-09 2019-12-17 장동운 브레이크 부스터용 부트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296699A (en) 1999-02-25
JPH10509101A (ja) 1998-09-08
CA2204150A1 (en) 1996-05-17
AU4137896A (en) 1996-05-31
NO972021L (no) 1997-07-01
DE69512078T2 (de) 2000-03-16
WO1996014198A1 (en) 1996-05-17
CA2204150C (en) 2001-04-17
BR9509566A (pt) 1997-09-16
CN1070762C (zh) 2001-09-12
EP0789649A1 (en) 1997-08-20
DE69512078D1 (de) 1999-10-14
CZ128497A3 (en) 1997-11-12
CN1167460A (zh) 1997-12-10
FI971862A0 (fi) 1997-04-30
SK54997A3 (en) 1997-12-10
PL319819A1 (en) 1997-09-01
TW310297B (ko) 1997-07-11
US5490966A (en) 1996-02-13
HUT77755A (hu) 1998-07-28
NO972021D0 (no) 1997-04-30
FI971862A (fi) 1997-04-30
MX9703237A (es) 1997-07-31
EP0789649B1 (en) 1999-09-08
KR970706956A (ko) 199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527B1 (ko) 사출성형에서 개방단부식 벨로우즈부를 벗겨내는방법
JP3137654B2 (ja) 射出成形型から開放端を備えたベロー部品をはがす剥離方法
US5368468A (en) Air knockout for plastic molds
JP5143616B2 (ja)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用の金型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バルブ
CN101754844B (zh) 排气装置
KR102056640B1 (ko) 브레이크 부스터용 부트 성형장치
TW201842273A (zh) 增壓裝置及具備該增壓裝置之缸裝置
JP2001334318A (ja) 液圧成形用ノズル
MXPA97003237A (en) Method for removing from the injection mold one injection one piece of extreme foie belt
JP3949412B2 (ja) 成形金型の成形品離型装置
CN103415710A (zh) 多阶段流体操作致动器
KR100759882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US3543373A (en) Clamping and pulling device
CA2540063A1 (en) Internal high pressure forming installation
JPH01247127A (ja) 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剥取り方法
US8025494B2 (en) Tire vulcanizer
JPH0514811Y2 (ko)
KR100422746B1 (ko) 금형 코어 인발용 증압 실린더
JP2874835B2 (ja) ガス注入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るガス注入射出成形法
JP3053314U (ja) 中空射出成形用加圧流体圧入・排出装置
RU97108578A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гофрированной детали с открытыми концами формы для инжекцион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JPH08150637A (ja) 中空成形用金型
JPH0825440A (ja) 射出成形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