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352B1 -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352B1
KR100195352B1 KR1019950018530A KR19950018530A KR100195352B1 KR 100195352 B1 KR100195352 B1 KR 100195352B1 KR 1019950018530 A KR1019950018530 A KR 1019950018530A KR 19950018530 A KR19950018530 A KR 19950018530A KR 100195352 B1 KR100195352 B1 KR 10019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recording
electrostatic
paper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924A (ko
Inventor
마사토 가와시마
히데유키 시모부치
히로유키 오키츠
마사토 마츠즈키
히로아키 요시다
미치히로 후지이
유키나리 오카와
마사루 이이다
가츠야스 이토
유키히데 도다
세이치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96000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Y,C,M,B)이 기록 페이퍼 운송 경로를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이한 컬러를 갖는 하전 토너 이미지가 상기 경로를 통해 운송되는 페이퍼 상에 형성된다. 페이퍼 피딩 유닛(82)은 페이퍼 운송 경로의 페이퍼 유입부 아래에 배치된다. 페이퍼상에 형성된 토너 이미지를 운송하는 페이퍼는 페이퍼 운송 경로의 페이퍼 배출부로부터 배출되어, 토너 이미지가 페이퍼 상에 고정되는 고정기(62)로 보내진다. 페이퍼상에 고정된 토너 이미지를 운송하는 페이퍼는 상기 고정기위에 배치된 페이퍼 수납 트레이(46a)로 보내진다.

Description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정전 기록 유닛의 에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사용하여 구성된 일반적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에서 도시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의 정전 기록 유닛 중의 하나를 상세히 나타내는 입도면.
제5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와 메임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을 함게 나타낸 입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 라인을 따라 관측된 메인 프레임과 제1및 제2서브 프레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현상 장치가 제1서브 프레임에 탑재되는 상태에서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제6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8도는 제1및 제2서브 프레임이 설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6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10도는 순환 벨트 운송 수단과 제2서브 프레임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XI-XI 라인을 따라 관측된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XII-XII 라인을 따라 관측된 단면도.
제13도는 제2서브 프레임과 본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의 상대적 위치 관계, 특히 제2서브 프레임과 용지 통로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4도는 제13도의 XIV-XIV 라인을 따라 관측되는 단면도.
제1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하는 제3도와 유사한 입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용지 스위칭 장치에 대한 단면도.
제17도는 제3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장치에 제공된 전사 롤러를 대체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전사 롤러에 대한 도면.
제18a도 및 제18b도는 제3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장치에 제공된 정전 기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제19a도 및 제19b도는 제18a도 및 제18b도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제20a도 및 제20b도는 제3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장치에 제공되는 정전기록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또다른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제21a도 및 제21b도는 제20a도 및 제20b도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8 : 기록 매체 운송 수단 48b : 기록 매체 수납 수단
50 : 정전 잠상 담지체 52 : 전기적 대전 수단
54 : 광학 기록 수단 62 : 정착 수단
68a∼68g :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 82, 82a, 82b : 기록 매체 공급 수단
84a∼84c, 86 :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
96c∼96ℓ : 기록 매채 안내 롤러 어셈블리
152 : 제1안내 플레이트 154 : 제2안내 플레이트
본 발명은 정전 기록 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다중 컬러 기록을 수행하는 다중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 기록 기술을 이용하는 정전 기록 유닛에서는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감광체, 유전체 등과 같은 정적 잠상 이미지 담지체 상에 기록되며, 정전 잠상은 소위 토너로 지칭되는 현상제애 의해 대전 토너 이미지(charged toner image)로서 정전기적으로 현상되고, 대전된 토너 이미지는 종이 용지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정전기적으로 전사되며, 전사된 토너 이미지는 열, 압력, 광 등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정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정전 기록 기술을 이용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로서 단일 드럼형의 다중 컬러 기록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다중 컬러 기록 장치는 하나의 정전 이미지 담지체, 즉 감광 드럼 및 각기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상이한 현상제를 사용하는 복수의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이 현상 장치는 정전 잠상이 감광드럼 상에 기입되는 정전 이미지 기록 위치와 전사 대전기(transfer charger)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풀컬러 기록을 위한 다중 컬러 기록 장치는 각각 황색토너를 포함하는 황색 현상제, 청록색 토너를 포함하는 청록색 현상제, 자홍색 토너를 포함하는 자홍색 현상제 및 흑색 토너를 포함하는 흑색 현상제를 사용하는 4개의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 정전 잠상은 먼저 황색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광드럼 상에 형성되고 황색 토너에 의해 황색 토너 이미지로 현상된다. 그리고나서, 황색 토너 이미지는 감광 드럼에서 종이 기록 용지로 전사되어 이 용지상에 정착된다. 그 후, 정전 잠상은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어 청록색 토너에 의해 청록색 토너 이미지로 현상되며, 그리고나서 이 청록색 토너 이미지가 앞서 정착된 황색 토너 이미지를 갖고 있는 용지에 전사되어 정착된다. 이와 동일한 과정이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와 흑색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도 실행된다. 따라서, 4가지 색상의 토너 이미지가 종이 용지 상에 중첩되어 풀컬러의 이미지 기록이 이루어진다. 단일 드럼형의 다중 컬러 기록 장치는 전체적인 구조가 상당히 소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상이한 컬러를 갖는 토너 이미지가 하나의 감광 드럼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야만 하므로 고속 기록이 실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정전 기록 기술을 이용하는 다중 컬러 기록 장치로서 기록 용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따라 4개의 정전 기록 유닛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다중 드럼형 다중 컬러 기록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정전 기록 유닛은 황색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 청록색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 자홍색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 및 흑색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용지가 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황색 토너 이미지, 청록색 토너 이미지, 자홍색 토너 이미지 및 흑색 토너 이미지가 4개의 정전 기록 유닛에 의해 종이 용지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므로 용지상에 풀컬러 이미지가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다중 드럼형 다중 컬러 기록 장치가 고속 다중 컬러 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기는 하지만, 정전 기록 유닛의 일렬 배열로 인해 대형화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이 장치는 기록될 용지의 스택을 보유하기 위한 용지 공급 장치 및 기록된 용지의 스택을 수용하기 위한 용지 수납 장치가 포함하며,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록 다중 컬러 기록 장치의 하우징내에 연장된 채로 조립된다. 따라서, 이들의 설치를 위해 다중 컬러 기록 장치의 전체 구조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 즉 플로워 상에서 다중 컬러 기록 장치의 전체 구조가 돌출함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은 커지게 된다. 더욱이, 전기 전원 장치, 전자 제어 장치 등과 같은 각종 구성 장치가 다중 컬러 기록 장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되므로, 이러한 구성 장치를 전체적으로 소형 크기로 배열함으로써 다중 컬러 기록 장치의 전체 구조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기록 용지 상에 양면 기록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기록 장치의 경우, 양면 기록을 위해 양면 기록의 실행시에 정전 기록 유닛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경로를 따라 기록 용지를 복귀시키기 위한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paper bupass passageway)가 설치되어야만 한다. 이 경우,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는 전술된 구성 장치와 함게 기록 장치의 하우징 내에 소형 크기로 배치되어야만 한다. 또한, 소형 크기로 구성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에서는 소형 크기로 인해 유지 보수가 용이치 않으므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유지 보수의 편리를 고려하여 크기를 축소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 기록 기술을 이용하는 일렬로 연속 배치된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구비하고, 전체 구조를 소형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필요설치 면적 또는 돌출 면역이 가능한 한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 기록 기술을 이용하는 서로 일렬 배치된 복수의 기록 장치를 구비하고, 전체 구조의 크기 감소와 함께 유지 설비가 용이하도록 고려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기록 매체 유입부와 기록 매체 배출부를 포함하고 기록 매체를 운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기록 매체 운송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의 기록 매체 유입부에 배치된 기록 매체 공급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기록 매체를 상방향으로 보내고 이것을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의 기록 매체 유입부로 안내하는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과; 기록 매체 운송 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기록 매체 운송 경로를 따라 보내져 온 기록 매체 상에 전기적으로 대전된 상이한 컬러의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적어도 2개의 정전 기록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의 기록 매체 배출부 상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갖고 있는 기록 매체 상의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을 통과한 기록 매체를 위쪽으로 안내하는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에 의해 전송된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기록 매체 수납 수단을 구비하는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본 장치에 대한 전원 수단 및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의 아래에 제공될 것이다. 또한, 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는 지록 매체에 대한 양면 기록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 매체를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에서 상기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으로 복귀시키는 기록 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 기록 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의 바로 아래와 상기 기록 매체 공급 수단의 상부측 위로 연장된다.
각각의 정전 기록 유닛은 정전 잠상 담지체와; 이 정전 잠상 담지체의 영역에 전기 전하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적 대전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의 대전된 영역에 정전 잠상을 광학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광학 기록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대전된 토너 이미지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에서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에 의해 운송될 기록 매체로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 이미지 담지체의 잔여 토너를 청소하기 위한 클리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는 메인 프레임 및 이 메인 프레임 내로의 인입(pushed-in) 위치와 이 메일 프레임 외부로의 인출(pulled-out)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1서브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현상 수단이 제1서브 프레임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또한, 정전 잠상 담지체, 전기적 대전수단 및 클리닝 수단도 유닛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제1서브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제1서브 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되고 메인 프레임 내로의 인입 위치와 메인 프레임 외부로의 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서브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이 제2서브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정전 잠상 담지체는 한 샤프트 단부에 제공된 피동 결합기(driven coupling)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피동 결합기는 상기 제1서브 프레임을 인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메인 프레임 내에 설치된 구동 결합기(drive coupling)와 맞물린다. 또한, 제2서브 프레임은 이 제2서브 프레임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정전 잠상 담지체의 다른 샤프트 단부와 맞물리는 위치 설정 결합기(positioning coupling)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사 수단은 제2서브 프레임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된 기록 매체 운송 수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은 각각 기록 매체 유입부와 기록 매체 배출부 상에 설치되는 피동 롤러와 구동 롤러 및 이들 롤러와 맞물리는 순환 벨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피동 및 구동 롤러의 양 샤프트 두 단부는 제2서브 프레임에 의해 착탈식으로 지지된다
구동 롤러의 구동 샤프트는 이 샤프트의 양 단부 상에 제공된 베어링을 통해 제2서브 프레임에 의해 착탈식으로 지지되고, 한 단부에 설치된 피동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동 결합기는 상기 제2서브 프레임을 인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메인 프레임 내에 설치된 구동 결합기와 맞물린다.
기록 매체에 대해 양면 기록이 수행될 수 있도록 기록 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이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과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경우, 기록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은 각각이 기록 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이 기록 매체 안내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록 매체 안내 롤러 어셈블리는 한쌍의 샤프트 요소 및 이 샤프트 요소의 각각에 장착된 롤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요소 중의 하나는 제2서브 프레임의 기저부에 부착된 제1안내 플레이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른 샤프트 요소는 상기 제1안내 플레이트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제2안내 프레이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안내 플레이트는 제1안내 플레이트와 평행을 이루는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제1안내 플레이트에 로크된다.
또한, 본 장치는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으로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추가의 기록 매체 공급 수단과,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에 의해 보내져온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추가 기록 매체 수납 수단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은 이 수단에서 분지된 기록 매체 안내 경로와, 상기 기록 매체 안내 경로가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에서 분지되는 위치에 제공된 기록 매체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기록 매체를 운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기록 매체 운송 수단과; 제1컬러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기록 매체 상에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해 기록 매체 운송 경로에 배치되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정전 잠상 담지체 및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제1컬러 토너를 이용하여 대전된 토너 이미지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제1정전 기록 유닛과; 제2컬러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전기적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해 기록 매체 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제1정전 기록 유닛과 일렬로 배치되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정전 잠상 담지체 및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제2컬러 토너를 이용하여 대전된 토너 이미지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제1컬러 이미지 데이터가 기록될 전체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판정 수단과; 상기 제1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컬러 이미지 데이터가 기록될 전체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시에 상기 제1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과 정전 잠상 담지체를 정지시키는 제1정지 수단과; 상기 제2컬러 이미지 데이터가 기록될 전체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판정 수단과; 상기 제2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2컬러 이미지 데이터가 기록될 전체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시에 상기 제1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과 정전 잠상 담지체를 정지시키는 제2정지 수단을 구비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전기 사진 시스템에 채용되는 대표적인 정전 기록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정전 기록 유닛은 정전 잠상 담지체로서 감광 드럼(10)을 포함하며, 이 감광 드럼(10)은 동작 동안 제1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0)은 선대전기(precharger)(12)에 의하여 균일하게 대전되고, 정전 잠상은 광학 기록 수단(1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대전된 영역에 기록된다. 선대전기(12)는 예를 들어 코로나(corona) 대전기 또는 스코로트론 대전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다른 선대전기로서 전기 전도성 롤러 대전기 또는 전기 전도성 브러쉬 대전기도 사용될 수 있다. 광학 기록 수단(14)은 레이저 빔 주사 장치(scanner), LED 장치, 액정 셔터(shutter) 어레이 등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10)에 기록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6)에 의하여 대전된 토너 이미지로서 정전기적으로 현상되며, 이 대전된 토너 이미지는 전사 장치(18)에 의하여 종이(P) 등의 기록 매체에 정전기적으로 전사된다.
이 용지(P)는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용지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며, 용지(P)는 한쌍의 레지스터 롤러(20)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대기 상태가 되며, 그후 용지(P)는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10)에 기록하는데 따른 일정한 타이밍에서 한쌍의 레지스터 롤러(20)에 의하여 감광 드럼(10)과 전사 장치(18) 사이에 보내지고, 이로써 대전된 토너 이미지가 용지(P)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전사된다. 도시된 예에서, 전사 장치(18)는 전사 대전기(18a)와 이 전사 대전기에 인접 배치되어 결합되는 AC 전하 제거기(charge eliminator)(18b)를 포함한다. 코로나 방전기(corona discharger)가 사용될 수 있는 전사 대전기(18a)는 DC 전압이 공급되어 현상된 토너 이미지의 전기 전하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전기 전하를 용지(P)에 제공하고, 이로써 감광 드럼(10)에서 용지(P)로의 토너 이미지 전사가 수행될 수 있다. 코로나 방전기가 사용될 수 있는 AC 전하 제거기(18b)는 AC전압이 공급되어 전사된 토너 이미지를 갖고 있는 용지의 전기 전하를 부분적으로 제거하며, 이로써 용지와 감광 드럼(10)간의 정전 인력 작용이 약화되어 드럼(10)으로부터 용지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전사 처리된 용지(P)는 정착 장치(22)로 공급되고, 전사된 토너 이미지가 용지(P)에 정착된다. 도시된 에에서, 정착 장치(22)는 열 롤러(22a)와 백업 롤러(22b)를 포함하는 열 정착기로서 구성되며, 이 전사된 토너 이미지는 이러한 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 열적으로 용융되어 용지(P)에 정착된다.
토너 이미지 전사 처리에서, 소량의 토너가 용지(P)로 전사되지 않은 잔류토너로서 감광 드럼(10)의 표면에 남게 되며, 이 잔류 토너는 토너 클리닝 장치(24)에 의하여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정전 기록 유닛이 고속 기록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고속 기록에서는 많은 양의 용지에 기록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처리될 잔류 토너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원활하고 신뢰성 있게 감광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고속 기록 정전 기록 유닛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클리닝 장치(24)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클리닝 장치(24)는 감광 드럼(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개구를 갖는 토너 수집 용기(24a), 토너 수집 용기(24a)의 개구에 근접하여 제공되는 모 브러쉬(fur brush)(24b), 토너 수집 용기(24a) 개구의 상부 에지를 따라 제공되는 토너 스크래핑 브래이드(scraping blade)(24c) 및 토너 수집 용기(24a)의 하부에 제공되는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24d)와 함께 제공된다. 모 브러쉬(24b)는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스크래핑 브래이드(24c)는 모 브러쉬에 의하여 제거될 수 없는 잔류 토너를 벗겨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모 브러쉬(24b)와 스크래핑 브래이드(24c)에 의하여 제거된 잔류 토너를 토너 수집 용기(24a)에 수집되지만, 이 수집된 토너는 스크류 컨베이어(24d)에 의하여 토너 수집 용기(24a)에서 일정한 장소로 운반된다. 클리닝 장치(24)에 의하여 청소된 감광 드럼(10)의 표면은 방전 램프(26)에 의하여 조명됨으로써 조명된 드럼 표면으로부터 잔류 전기 전하를 제거한다.
상기 현상 처리에 사용된 현상제로서, 토너 성분(채색된 수지의 미세한 입자)과 자기 성분(미세 자기 캐리어)으로 구성된 2개 성분의 현상제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2 성분의 현상제가 다중 컬러 기록에 널리 사용된다. 2개 성분의 현상제를 사용한 현상 장치는 2개 성분의 현상제를 담고 있는 컨테이너(28), 토너 성분과 자기 캐리어가 마찰 전기에 영향을 받게 하도록 2개 성분의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기(agitator:30) 및 자기 캐리어 성분의 일부를 자기적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주위에 자기 브러쉬를 형성하는 자석 롤러 즉 현상 롤러(32)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32)는 일부가 현상제 컨테이너(28)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감광 드럼(10)과 마주보고 있다. 토너 성분은 현상 롤러(32) 주위에 형성된 자기 브러쉬를 향해 정전기적인 인력을 받게 되고, 현상 롤러(32)의 회전으로 인해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사이의 접촉 영역, 즉 현상 영역으로 인도되며, 이로써 정전 잠상의 현상이 실행될 수 있다. 정전 잠상을 현상함으로써 얻어지는 토너 이미지의 밀도가 현상 영역으로 인도된 토너의 양에 좌우되므로, 현상 밀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닥터(doctor) 브래이드(34)에 의하여 자기 브러쉬의 높이가 조정된다. 현상 영역을 통과한 현상제, 즉 토너 성분이 감소된 현상제는 스크래핑 브래이드(36)에 의해 현상 롤러(32)에서 벗겨져 교반기(30)로 복귀된다.
토너 성분은 현상 처리 동안 계속 소모되므로, 2성분의 현상제는 토너 성분이 적절히 공급되어 현상 토너 이미지와 그에 따른 기록된 토너 이미지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자기 캐리어 성분내의 토너 성분의 균등 분포는 토너 성분과 자기 캐리어 성분 간의 충분한 마찰 전기와 함께 기록된 토너 이미지의 품질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고속 기록에 있어서, 현상 처리시의 현상제 소모가 증가되므로 현상제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교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교반기(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교반기로서 구성된다. 특히, 교반기(30)는 한쌍의 스크류 컨베이어(30a,30b)와 이들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에 있는 분할판(30c)을 포함하며, 이 스크류 컨베이어쌍은 현상제 컨테이너(28)내의 현상 롤러(3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쌍의 스크류 컨베이어(30a,30b)는 현상제 컨테이너(28)의 마주보는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분할판(30c)의 길이는 스크류 컨베이어(30a,30b)의 길이보다 작아서 분할판(30c)의 대향 단부의 각각이 현상제 컨테이너(28)의 대응 측벽에서 떨어져 소정 거리로 이격된다. 스크류 컨베이어(30a,30b)는 반대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되고, 이로써 현상제에 대한 순환 경로를 형성한다. 특히, 스크류 컨베이어(30a)가 현상제를 한쪽 끝단으로 밀면, 현상제는 분할판(30c)의 대응되는 끝단 주위의 스크류 컨베이어(30b)의 대응 끝단으로 이동된다. 스크류 컨베이어(30b)가 현상제를 다른 끝단으로 밀면, 현상제는 분할판(30c)의 다른 끝단 주위의 스크류 컨베이어(30a)의 다른 끝단으로 이동된다. 다라서, 현상제는 스크류 컨베이어(30a,30b)를 따라 순환된다.
제2도는 일례로써 풀컬러 기록을 위하여 구성된 종래의 다중 드럼 형태의 다중 컬러 기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이 장치는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정전 기록 유닛(Y,C,M,B)가 제공되며, 이들 정전 기록 유닛은 서로 동일하고 기록 용지를 전달하는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38)의 상부 운송로(upper run)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도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요소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요소에 동일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각 정전 기록 유닛(Y,C,M,B)는 광학 기록 수단(14)으로서 사용된 레이저 빔 주사 장치와 전사 장치(18)로서의 전기 전도성 전사 롤러를 특징으로 한다. 기록 동작 동안, 각 전도성 전사 롤러(18)는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38)의 상부 운송로를 통해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10)에 압박된다. 기록 유닛(Y,C,M,B)의 각 현상 장치(16)는 황색 토너 성분을 포함하는 현상제, 청록색 토너 성분을 포함하는 현상제, 자홍색 토너 성분을 포함하는 현상제 및 흑색 토너 성분을 포함하는 현상제를 각각 사용한다. 정전 기록 유닛(Y,C,M,B)의 황색 토너 이미지, 청록색 토너 이미지, 자홍색 토너 이미지 및 흑색 토너 이미지를 각각 형성하고 용지에 기록한다.
특히, 한 쌍의 레지스터 롤러(20)는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38)의 한쪽 단부, 즉 유입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용지가 용지 공급 유닛(40)으로부터 레지스터 롤러(20)쌍을 향해 공급된다. 용지는 정지되어 레지스터 롤러(20)에서 대기 상태가 된다. 정전 잠상이 각 정전 기록 유닛(Y,C,M,B)의 광전도 드럼(10) 상에 컬러 이미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순차적으로 기록되고, 용지는 소정 타이밍에서 정전 기록 유닛(Y,C,M,B)에 순차적으로 통과되며, 이로써 황색 토너 이미지, 청록색 토너 이미지, 자홍색 토너 이미지 및 흑색 토너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용지에 전사되어 풀컬러 이미지를 형성한다. 풀컬러 이미지를 갖고 있는 용지는 순환 컨베이어 밸트 수단(38)의 다른 끝단, 즉 배출 끝단에 인접하여 설치된 정착 장치(22)에 통과됨으로써 완전하 컬러 이미지가 정착된다. 그 후, 용지는 전달 롤러(42)에 의하여 용지 수납 상자로서 형성된 용지 수납 유닛(44)에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컬러 기록 장치의 종래의 구성에서, 용지 공급 유닛(40)과 용지 수납 유닉(44)은 다중 컬러 기록 장치의 하우징(housing)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조립된다. 그러므로, 설치를 위하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점유하게 될 영역, 즉 플로워 상에서의 본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의 돌출에 의해 점유될 영역은 커지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드럼 형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하우징(46)과 이 하우징(46)의 거의 중앙에 제공되는 기록 용지와 같은 기록 매체를 운송하는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을 포함한다. 이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적합한 합성 수지 재료와 같은 가요성 절연 재료로 형성된 순환 벨트(48a)를 포함하며, 이 순환 벨트(48a)는 4개의 롤러(48b∼48e)와 연동한다. 롤러(48b)는 구동 롤러로서 기능하고, 적당한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하여 제3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순환 벨트(48a)를 구동시킨다. 롤러(48c)는 피동 롤러로서 제공되고 이 피동 롤러는 순환 벨트(48a)에 전기 전하를 제공하는 전기적 대전 롤러로서 기능한다. 롤러(48d,48e) 모두는 안내 롤러로서 제공되고, 구동 롤러(48b)와 피동 롤러(48c) 각각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신장 롤러(48f)는 피동 롤러(48c) 및 안내 롤러(48e) 사이에 설치되고, 적절한 신장력이 신장 롤러(48f)에 의해 순환 벨트(48a)에 제공된다. 구동 롤러(48b)와 피동 롤러(48c) 사이에 형성된 순환 벨트(48a)의 상부 운송로는 기록될 용지의 이동을 위하여 용지 운송 경로를 형성한다. 용지는 피동 롤러(48c)측의 용지 운송 경로에서 인입되어, 구동 롤러(48b)측의 용지 운송 경로에서 배출된다. 용지가 피동 롤러(48c)측의 용지 운송 경로에서 도입될 때, 용지는 대전 롤러 또는 피동 롤러(48c)에 의해 순환 밸트(48a)의 상부 운송로쪽으로 정전기적인 인력을 받는다. AC 전하 제거기(48g)는 용지 운송 경로의 용지 배출 단부를 형성하는 구동 롤러(48b) 상에 정확하게 설치되고, 전기 전하들은 AC 전하 제거기(48g)에 의해 순환 밸트(48a)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용지가 용지 운송 경로로부터 배출될 때, 용지가 순환 밸트(48a)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정전 기록 유닛(Y,C,M,B)이 제공되고, 이들 정전 기록 유닛은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순환 벨트(48a)의 상부 운송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정전 기록 유닛(Y,C,M,B)은 이들 유닛(Y,C,M,B)이 순환 벨트(48a)의 상부 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용지에 황색 토너 이미지, 청록색 토너 이미지, 자홍색 토너 이미지 및 흑색 토너 이미지를 형성 및 기록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다. 감광 드럼(50)이 각각의 정전 기록 유닛에 제공된다. 기록 동작중에, 감광 드럼(50)은 제3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코로나 대전기 또는 스코로트론 대전기가 사용될 수 있는 선대전기(precharger:52)가 드럼(50) 위에 배열된다. 감광 드럼(48)의 회전 표면은 선대전기(52)로부터의 균일한 전기 전하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정전 잠상은 레이저빔 주사 장치(54)와 같은 광학 기록 수단에 의해 드럼(50)의 대전된 영역에 기록된다. 상기 레이저빔 주사 장치(54)는 메인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체 (56)에 의해 하우징(46)내에 고정 및 지지된다.
또한, 현상장치(58)가 각각의 정전 기록 유닛에 설치되고, 감광 드럼(50)상에 기록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58)에 의해 소정 컬러 토너를 이용하여 대전된 토너 이미지로서 현상된다. 상기 현상 장치(58)는 관련 감광 드럼(50)에 대하여 용지 운송 경로의 상부에 배열된다. 대전된 토너 이미지는 감광 드럼(40)의 아래에 위치된 전기 전도성 전사 롤러(60)에 의해 기록 용지에 정전 전사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롤러(60)는 순환 벨트(48a)의 상부 운송로를 통해 상기 드럼(50)에 접촉하게 되며, 순환 벨트(48a) 상의 용지에 대전된 토너 이미지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전기 전하를 제공하고, 이로써 대전된 토너 이미지가 드럼(50)으로부터 용지상으로 정전 전사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용지가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의 상부 운송로에 의해 형성된 용지 운송 경로에 삽입되고 정전 기록 유닛(Y,C,M,B)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때, 4가지 색상의 토너 이미지가 용지 상에 중첩되고, 이로써 풀컬러 이미지가 용지에 형성된다. 이에 후속하여, 용지는 용지 운송 경로로부터 배출되고, 풀컬러 이미지가 용지 상에 열적으로 용융 정착되는 열 정착 유닛(62)에 공급된다. 상기 열 정차가 유닛(62)은 열 롤러(62a) 및 백업 롤러(62b)를 갖는 공지된 유형의 것이다. 한편, 각각의 정전 기록 유닛에서, 감광 드럼(50)에서 용지로 전사되지 않은 잔여 토너는 클리닝 장치(64)에 의해 제거되고, 상기 클리닝 장치(64)는 감광 드럼(50)에 대하여 용지 이동 경로의 하부측에 제공된다. 제3도에서 참조 번호 66은 전사 과정 후에 감광 드럼(50)의 표면으로부터 잔류 전기 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와 같은 발광 소자를 나타낸다.
열 정착 유닛(62)을 통과한 용지는 다수의 안내 롤러 어셈블리(68a∼68g)와 이 안내 롤러 어셈블리(68a∼68g) 사이에 연장된 안내 플레이트 요소에 의해 형성된 용지 배출 연통로를 따라 거의 수직 방향으로 운반되고, 그 후 하우징(46)의 상부 벽에 일체 형성된 용지 수납 트레인(46a)에 배출된다.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68a∼68g)에 구동 롤러를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써, 용지 수납 트레이(46a)에 용지를 신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에는 정전 기록 유닛(Y,C,M,B)중의 하나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레이저 빔 주사 장치(54)는 레이저 빔 발생기(54a)와 광학 시스템(54b)을 포함하며, 광학 시스템(54b)은 상기 레이저 빔 발생기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 LB를 감광 드럼(50)을 향하여 안내하는 다양한 광학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 장치(58)는 제1도에 관련하여 도시된 현상 장치(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현상 장치(58)에는 2성분의 현상제를 보유하는 콘테이너(70)와, 자기 캐리어 성분과 토너 성분이 마찰 대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제 콘테이너(70)에 보유된 2성분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72)와, 자기 캐리어 성분의 일부에 자기적인 인력을 가함으로써 그 주위에 자기 브러쉬를 형성하기 위한 자석 롤러 또는 현상 롤러(74)가 제공된다. 상기 현상 롤러(74)는 현상제 콘테이너(70)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감광 드럼(50)과 대면한다. 토너 성분은 현상 롤러(74) 둘레에 형성된 자기 브러쉬를 향해 정전 인력을 받게 되고, 현상 롤러(74)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50)에 대한 현상 영역 또는 접촉 영역에 인도되며, 이로써 정전 잠상의 현상이 실행될 수 있다. 현상된 토너 이미지의 밀도가 현상 영역으로 인도된 토너의 양에 좌우되기 때문에, 현상 밀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닥터 브레이드(76)에 의해 자기 브러쉬의 높이가 조정된다. 현상 영역을 통과한 현상제 즉, 토너 성분이 감소된 현상제는 스크레이퍼 브레이드(78)에 의해 현상 롤러(74)로부터 벗겨내진 후 교반기(72)로 복귀된다.
상기 교반기(72)는 콘테이너(70)의 양 단부 벽 사이에 연장된 한쌍의 스크류 컨베이어(72a,72b)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72a, 72b)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72c)은 스크류 컨베이어(72a,72b)사이에 배치되고, 현상제 콘테이너(70)의 기저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분리판(72c)의 길이는 스크류 컨베이어(72a,72b)의 길이보다 짧고, 각각의 분리판 단부는 소정 거리로 콘테이너(70)의 대응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에 관련 도시된 스크류 컨베이어(30a,31b)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현상제의 순환 경로는 스크류 컨베이어(72a,72b)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현상제 콘테이너(70)의 상부에 제공된 토너 공급 탱크(80)가 현상 장치(58)에 설치되고, 상기 토너 공급 탱크(80)는 토너 공급 탱크(80)의 기저부에 형성된 출구 포트에 설치된 토너 공급 패들 롤러(80a)를 갖는다. 상기 토너 공급 패들 롤러(80a)를 회전시킴으로써, 토너 성분이 현상제 콘테이너(70)에 보유된 현상제에 적절하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클리닝 장치(64)는 제1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형태와 동일하다. 즉, 클리닝 장치(64)는 감광 드럼(5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개구를 갖는 토너 수집용기(64a),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토너 수집 용기(64a)에 제공된 모 브러쉬(64b), 토너 수집 용기(64a)의 개구의 상부 에지를 따라 제공된 토너 스크레이핑 브레이드(64c) 및 토너 수집 용기(64a)의 기저부에 제공되는 스크류 컨베이어(64d)를 포함한다. 잔류 토너는 모 브러쉬(64b)에 의해 감광 드럼(50)의 표면으로부터 청소되고, 모 브러쉬(64b)에 의해 청소되지 않은 잔류 토너의 일부는 스크레이핑 브레이드(64c)에 의해 추가로 제거된다. 모 브러쉬(64b) 및 스크레이핑 브레이드(64c)에 의해 제거되는 잔류 토너는 토너 수집 용기(64a)에 수집된 후 스크류 컨베이어)(64d)에 의해 토너 수집 용기(64a)에서 소정 장소로 운반된다.
제3도를 다시 참조하면, 용지 공급 유닛(82)은 하우징(46) 기저부의 우측 즉, 순환 컨베이어 밸트 수단(48)의 용지 삽입측의 아래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용지의 스택을 각각 수용하는 2개의 용지 공급 카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용지 공급 카세트는 피드 아웃 롤러(82a) 및 한쌍의 용지 공급 롤러(82b)가 제공된다. 3개의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84a,84b,84c)와 한쌍의 레지스터 롤러(86)가 용지 공급 유닛(82)과 순환 컨베이어 밸트 수단(48)의 피동 롤러(48c)사이에 제공되고, 그 사이에 연장된 안내 플레이트 요소들과 함께 용지 공급 연통로를 형성한다. 레지스터 롤러(86)는 피동 롤러(48c)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각각의 용지 공급 카세트에서, 용지는 피드 아웃 롤러(82a)에 의해 용지의 스택으로부터 하나씩 피드 아웃되고, 용지는 용지 공급 롤러(82b)에 의해 용지 공급 연통로로 안내되어, 레지스터 롤러(86)를 향하여 송출된다. 구동 롤러를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84b 또는 84c)에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써, 용지 공급 유닛(82)에서 레지스트 롤러(86)로 용지를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 적합한 시트 센서(88)가 레지스터 롤러(86)의 용지 인입측에 배치된다. 용지의 리딩 에지가 시트 센서(88)에 의해 검출될 때, 용지는 용지 레지스터 롤러(86)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대기 상태가 된다. 그 후, 용지는 정전 기록 유닛(Y.C.M.B)에 의한 정전 잠상의 기록에 따른 소정 타이밍에서 레지스터 롤러(86)에 의해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84)의 상부 운송로로 형성된 용지 이동 경로에 삽입되고, 이로써 황색 토너 이미지, 청록색 토너 이미지, 자홍색 토너 이미지, 및 흑색 토너 이미지 연속적으로 용지에 전사되어 적절한 위치 관계로 용지 상에 중첩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유닛(90)이 하우징(46) 기저부의 좌측(제3도의), 즉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의 용지 배출측의 아래에 배치되고, 전기 제어 유닛(92)이 용지 공급 유닛(82)과 전원 유닛(9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는 용지 상에 양면 기록이 실행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가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과 상기 유닛(82,90,92) 사이에 배치된다.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는 복수의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a∼96ℓ)와 이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들 사이에 연장된 안내 플레이트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a)는 시트 안내 롤러 어셈블리(68c)에 연속되도록 배치되고,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ℓ)는 시트 안내 롤러 어셈블리(84c)에 연속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용지 스위칭 롤러(98)가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a)와 시트 안내 롤러 어셈블리(68b) 사이에 제공되고, 시트 센서(100)가 시트 안내 롤러 어셈블리(68b)의 용지 배출부측 상에 배치된다. 양면 기록이 실행될 때, 열 정착 유닛(62)으로부터 배출된 용지(전면만이 기록됨)는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68a∼68g)에 의해 형성된 용지 배출 연통로에 공급되지만, 용지의 트레일링 에지가 용지 센서 (100)에 의해 검출된 후 즉시, 용지가 반대 방향으로 송출되고 용지 스위칭 통로(98)에 의해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로 안내된다.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에 의해 송출된 용지는 시트 안내 롤러 어셈블리(84c)에 안내되고, 다시 레지스터 롤러(86)를 통해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의 용지 삽입측에 공급된다. 따라서, 용지의 뒷면이 기록된다. 양면 기록이 이루어진 용지는 열 정착 유닛(62)을 통과하고, 그 후 단면 기록의 경우와 유사하게 용지 배출 트레이(46a)로 배출된다.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a∼96ℓ)에 구동 롤러를 적절하게 실시함으로써, 용지가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를 따라 레지스터 롤러(86)에 확실하게 송출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의 구성의 특징으로서, 용지 공급 유닛(82)이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의 용지 삽입측의 아래에 배치되고, 용지 수납 트레이(46a)가 열 정착 유닛(62)위에 배치된다는 점과, 전원 유닛(90) 및 전기 제어 유닛(92) 모두가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 아래에 배치된다는 점과, 또한 양면 기록을 위한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가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82,90,9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설치를 위해 장치의 전체 구조에 의해 점유된 면적, 즉 플로어 상의 장치의 전체 구조의 돌출에 의해 점유된 면적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제2도의 종래 구성과 제3도의 구성의 비교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참조 번호 102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의 메일 프레임을 도시하며, 이 메임 프레임(102)은 하우징(46)에 설치된다. 제1서브 프레임(104)은 메인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을 따라 연장된다. 제1서브 프레임(104)은 단부측에 제공된 2개의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06)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특히, 제1서브 프레임(104)은 메인 프레임(102)에 확고하게 고정될 대응하는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인(106)과 각각 접철식으로 결합된 2개의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08)에 확고하게 부착되고, 중간 안내 레일(110)은 서로 접철식으로 결합된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 및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06,108) 모두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다. 각각의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08)은 이 안내 레일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 릿지 요소(112)를 가지며, 상기 릿지 요소(112)는 대응하는 중간 안내 레일(110)에 형성된 슬롯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서브 프레임(104)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10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적절한 정지 요소(도시 생략)가 서로 맞대어지도록(abut)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06), 중간 안내 레일(110) 및 릿지 요소(112)에 제공되고, 제1서브 프레임(104)이 인출될 때, 정지 요소는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06),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08) 및 중간 안내레일(110)이 제6도에 도시된 상대 위치에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제1서브 프레임(104)의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08)은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06)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제2서브 프레임(114)이 메일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을 따라 연장된다. 제2서브 프레임(114)은 그 단부측에 제공된 2개의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16)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서브 프레임(104)과 유사하게, 제2서브 프레임은 메인 프레임(102)에 확고하게 고정된 대응하는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16)과 각각 접철식으로 결합된 2개의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18)에 확고하게 부착되고, 중간 안내 레일(120)은 서로 접철식으로 결합된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 및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16,118) 모두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다. 각각의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18)은 이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과 일체 형성되어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 리지 요소(122)를 갖고, 상기 리지 요소(122)는 대응하는 중간 안내 레일(120)에 형성된 슬롯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2서브 프레임(114)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의 가로 방향으로 메일 프레임(10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적절한 정지 요소(도시생략)가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16), 중간 안내 레일(120) 및 리지 요소(122)에 제공됨에 따라,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출되는 경우 스토퍼 요소는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16),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18) 및 중간 안내 레일(120)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 위치에 있도록 하며, 이로써 제2서브 프레임(114)의 이동 가능한 안내 레일(118)이 이동 불가능한 안내 레일(116)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4개의 정전 기록 유닛(Y,C,M,B)의 감광 드럼(50)과 현상 장치(58)는 제1서브 프레임(104)에 의해 착탈식으로 탑재되어 지지되며, 선대전기(52)와, 클리닝장치(64)와 발광 장치(66) 등은 드럼(50)과 함체되어 유지되고 있다. 한편,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과, 전사 롤러(60)와, 열 정착 유닛(62)과,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의 일부를 형성하는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C∼96ℓ)가 제2서브 프레임(114) 상에 탑재되어 지지되고 있다. 제1서브 프레임(104)과 제2서브 프레임(114)은 모두 제7도에 나타낸 인출(pulled-out) 위치와 제8도에 나타낸 인입(push-in)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제작된다. 제1서브 프레임(104)이 메인 프레임(102)으로부터 인출되기 전에 메일 프레임(102)으로부터 제2서브 프레임(114)을 인출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서브 프레임(104)을 인출할 때 제1서브 프레임(104) 상에 탑재된 드럼(50)과 현상 장치 등이 제2서브 프레임(114)의 전면 벽 부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제7도와 제8도에서, 예시의 편의를 위해 단지 하나의 현상 장치(58)만이 제1서브 프레임(104) 상에 탑재되어 있지만, 드럼(50) 등도 마찬가지로 제1서브 프레임(104) 상에 탑재된다. 유사하게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48)과, 전사 롤러(60)와, 열 정착 유닛(62) 등이 제2서브 프레임(114)에 탑재되지만, 이들 구성요소는 예시의 편의를 위해 제7도와 제8도에서 생략되어 있다.
제1서브 프레임(104)이 제8도의 인입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감광 드럼(50)은 적절한 소정 위치에 위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 단부(50a,50b)는 각각 드럼(50)의 2개의 단부면(end face)으로부터 돌출되고, 피동 결합부(123)는 상기 샤프트 단부 중의 하나(50a)에 부착된다. 드럼(50)이 탑재되는 제1서브 프레임(104)이 제7도의 인출 위치로부터 제8도의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드럼(50)의 피동 결합부(123)는 메인 프레임(102)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 결합부(124)(제7도와 제8도)와 결합된다. 한편, 위치설정 베어링(125)(제7도와 제8도)은 제2서브 프레임(11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제1서브 프레임(10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위치설정 베어링(125)이 드럼(50)이 샤프트 단부(50b)와 결합되고, 이로써 드럼(50)이 메인 프레임(102)에 관하여 적절한 소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결국, 드럼(50)의 축 방향의 위치설정은 피동 결합부(123)와 구동 결합부(124)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드럼(50)의 반경 방향의 위치설정은 샤프트 단부(50b)와 위치설정 베어링(125)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동 결합부(124)는 적절한 트랜스미션 수단을 통해 장치의 메인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받게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대전기(52)와, 클리닝 장치(64)와, 발광 장치(66) 등은 각각의 감광 드럼(50)과 합체되어 유지되며, 개구부(126)(제5도)는 제1서브 프레임(104)의 전면이 벽 부분에 형성되고, 따라서 각각의 제1드럼(50)은 구성 요소(52,53,56등)의 유지 또는 교체를 위해 제1서브 프레임(104)으로부터 상기 구성요소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서브 프레임(104)으로부터 드럼(50)의 제거는 제1서브 프레임(104)의 전면 벽 부분에 형성된 대응하는 개구부(126)에 의해 전면의 벽 부분을 방해하는 일 없이 가능하게 된다.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컨베이어 벨트 수단은(48)은 독립적인 어셈블리로서 구성되고, 이 어셈블리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7)를 포함한다. 제11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구동 롤러(48b)의 구동 샤프트(128)는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127)에 설치된 적절한 베어링(130)을 통해 측면 플레이트(1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더욱이, 구동 샤프트(128)의 양단부 부분은 그 위에 다른 베어링(132)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132)은 각각 제2서브 프레임(114)의 전면과 후면 벽 부분에 형성된 리세스(114a)에 수용되어 유지되고 있다(제10도와 제11도). 또한 제1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피동 롤러(48c)는 측면 플레이트(127)에 의해 확고하게 지지되는 샤프트(134) 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고, 샤프트(134)의 양 단부 부분은 제2서브 프레임(114)의 전면 및 후면 벽 부분에 형성된 리세스(114b)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더욱이 제11도와 제1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안내 롤러(48d)의 샤프트(136)와, 안내 롤러(48e)의 샤프트(138)와, 신장 롤러(48f)의 샤프트(140)는 측면 플레이트(127)에 의해 확고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롤러는 관련된 샤프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다. 본실시예에서, 4개의 전기 전도성 전사 롤러(60)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서브 프레임(114)상에 탑재된 순환 컨베이어 벨트 어셈블리(48)에 적절히 내장되어 설치된다.
순환 컨베이어 벨트 어셈블리(48)가 탑재되는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순환 컨베이어 벨트 어셈블리(48)는 정전 기록 유닛(Y,C,M,B)에 관해 적절한 위치에 놓여진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동 결합부(141a)는 구동 롤러(48b)의 구동 샤프트(128)의 한 단부 부분에 설치된다.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구동 결합부(141a)는 메인 프레임(102) 상에 설치된 구동 결합부(141b)와 결합된다. 구동 결합부(141b)는 감광드럼(50)의 구동 결합부(124)의 경우와 유사하게 적절한 트랜스미션 수단을 통해 장치의 메일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받게 된다.
열 정착 유닛(62) 또한 제2서브 프레임(114)에 의해 지지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42)는 제1서브 프레임(104)의 전면 벽 부분에 형성되고, 이로써 열 정착 유닛(62)의 상위부는 제2서브 프레임9114)이 인입(push-in)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인출될 때 제1서브 프레임(104)의 전면 벽 부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냉각 팬(144)은 열 정착 유닛(62)의 바로 위에서 메인 프레임(102)의 전면부에 부착되고, 상기 열 정착 유닛(62)에서 발생된 열은 냉각팬(144)에 의해 메인 프레임(102)의 외부로 방출된다.
제13도는 상기 장치의 제2서브 프레임(114)과 주 구성요소간의 상대적 위치관계, 특히 제2서브 프레임(114)과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c∼96ℓ)는 제2서브 프레임(114)에 의해 지지된다. 제13도의 라인 XIV-XIV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인 제14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이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c∼96ℓ)는 한 쌍의 샤프트 요소(146,148)가 설치되어 있고, 6개의 롤러 요소(150)가 각각의 샤프트 요소(146,148)에 부착되어 있다. 하나의 샤프트 요소(146)는 서브 프레임(114)의 기저부에 의해 지지되는 안내 플레이트(15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다른 샤프트 요소(148)는 적절한 힌지 수단(153)에 의해 안내 플레이트(152)에 힌지된 안내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14도에서 각각의 샤프트 요소(146,148)의 롤러 요소(150)는 각각의 안내 플레이트(152,154)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약간 돌출되고, 안내 플레이트(154)가 힌지 수단(153) 주변에서 안내 플레이트(152)에 평행한 위치로 피벗되는 경우, 샤프트 요소(146,148)의 양 롤러 요소(150)가 서로 결합된다.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록킹 수단(156)은 적절한 간격으로 안내 플레이트(154)의 전면 에지(제14도의 좌측)에 설치된다. 각각의 록킹 수단(156)은 피봇식 결합편(156a)과, 시계 방향으로 피봇식 결합편(156a)을 탄성 바이어스 하는 코일 스프링(156b)을 포함하고 있다. 안내 플레이트(154)가 안내 플레이트(152)와 평행한 위치에 피봇되는 경우, 록킹 수단(156)의 피봇식 결합편(156a)은 안내 플레이트(152)의 전면 에지(제14도의 좌측) 위로 올라가고, 코일 스프링(156b)의 기능에 의해 전면 에지에 탄성적으로 로크되며, 이로써 안내 플레이트(154)가 안내 플레이트(152)에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 플레이트(154)가 안내 플레이트(152)에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서브 프레임(114)이 메일 프레임(102)내로 인입되는 경우,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96c∼96ℓ)는 소정의 위치에 놓여져 양면 기록이 수행되어야 하는 용지에 관련한 용지 바이패스 연통로(94)의 일부를 제공한다.
또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물 테이프(158)가 적절한 간격으로 안내 플레이트(152,154)의 양 전면 측부 에지 사이에 부착된다. 이들 직물 테이프(156)는 로킹 수단(156)의 피봇식 결합편(156a)이 안내 플레이트(152)의 전면 에지로부터 해제될 때 안내 플레이트(154)의 피봇 범위를 제한한다. 즉, 제2서브 프레임(114)이 메인 프레임(102)으로부터 인출될 때 그리고 피봇식 결합편(156a)이 안내 플레이트(152)의 전면 에지로부터 해제될 때, 안내 플레이트(152)에 대한 안내 플레이트(154)의 개방 정도(opening degree)는 직물 테이프(158)에 의해 제한된다.
제5도 내지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의 메인 구성요소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해질뿐만 아니라 부품 등의 교체가 신속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열 정착 유닛(62)은 제2서브 프레임(114) 상에 지지되고 있지만 메인 프레임(102) 상에 열 정착 유닛(62)을 고정시켜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는 전체 구조의 크기를 경감시킬 수 있고 필요한 설치 면적, 즉 돌출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사무실 등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에 관해 이동 가능한 서브 프레임 상에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탑재함으로써 전체적인 유지와 부품의 교체 등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15도는 제3도에 나타낸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의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제15도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변형 실시예에서, 필요한 경우 추가의 용지 공급 유닛(160)과 추가의 용지 수납 유닛(162)이 상기 장치와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기록 용지에 대한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추가의 용지 공급 유닛(160)은 수직으로 배열되고 각각 용지의 스택을 수용하는 2개의 용지 공급 카세트(160a)를 포함하며, 각각의 용지 공급 카세트(160a)는 용지 배출 롤러(160b)가 설치된다. 배출 롤러(160b)에 의해 각각의 용지 공급 카세트(160a)로부터 공급된 용지는 용지 안내 롤러 어셈블리(84a,84b,84c)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 공급 연통로 내에 도입된다. 즉, 용지 공급 경로는 이 연통로로부터 분지되는 2개의 용지 안내 경로를 포함하고, 이들 개개의 용지 안내 경로는 추가의 용지 공급 유닛(160)이 본 장치와 결합될 때 용지 공급 카세트(160a)의 용지 배출 롤러(160b)가 위치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용지 경로까지 이어진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추가의 용지 공급 유닛(160)은 이 용지 공급 유닛(160)을 제어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해 전원 라인과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을 통해 본 장치의 전자 제어 유닛(92)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추가의 용지 수납 유닛(162)은 내부에 배치된 용지 수납기(162a)와, 그 상부 에지에 설치된 한쌍의 롤러(162b)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 플레이트 롤러(68a∼68g)에 의해 형성된 용지 배출 연통로는 그로부터 분지된 용지 안내 경로를 포함하고, 이 용지 안내 경로는 추가의 용지 수납 유닛(162)이 설치될 때 롤러(162b)가 위치하는 장소로부터 연장된 용지 안내 경로까지 이어진다. 제16도는 용지 안내 경로가 용지 배출 연통로로부터 분지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용지 스위칭 장치(164)를 나타내고 있다. 제16도에서 참조 부호166과 168은 용지 배출 연통로를 형성하는 안내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고, 참조 부호 170과 172는 그로부터 분지된 용지 안내 경로를 형성하는 안내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다. 용지 스위칭 장치(164)는 안내 플레이트(170)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피봇식의 굴곡된 플랩(164a)과, 제16도의 실선 위치와 파선 위치 사이에서 굴곡된 플랩(164a)을 피봇하는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64b)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굴곡된 플랩(164a)은 파선 위치에 있으며, 기록된 용지는 용지 수납 트레이(46a)로 배출된다.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64b)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굴곡된 플랩(164a)은 실선 위치에 있게 되며, 따라서 기록된 용지는 안내 플레이트(170,172)에 의해 형성되는 분지된 용지 안내 경로로 보내지고, 이에 의해 기록된 용지가 용지 수납기(162a)에 수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추가의 용지 수납 유닛(162)은 용지 수납 유닛(162)을 제거 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해 전원 라인과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을 통해 본 장치의 전자 제어 유닛(9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전사 롤러(60)는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서브 프레임(114) 상에 탑재된 순환 컨베이어 벨트 어셈블리(48)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설치된다. 즉, 전사 롤러(60)는 전사 롤러(60)의 단부와 순환 컨베이어 벨트 어셈블리(48)의 측면 플레이트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L자형 레버(174)(제17도에서는 하나만 볼 수 있음)를 통해 순환 컨베이어 벨트 어셈블리(48)의 측면 플레이트(127)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특히, 각각의 L자형 레버(174)는 대응하는 측면 플레이트(127)에 대해 그 한 단부에서 피봇되고, 관련된 L자형 레버(174)의 다른 단부는 전사 롤러(60)의 대응 샤프트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7도의 시계 방향으로 L자형 레버(174)를 회전시키기 위해 신장 코일 스프링(176)이 설치되고, 신장 코일 스프링(176)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L자형 레버(174)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78)가 설치된다.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78)가 전기적으로 비활성화되는 경우, 전사 롤러(60)는 신장 코일 스프링(176)의 탄성력에 의해 드럼(50)의 표면에 대향하여 탄성적으로 압박되고, 이에 의해 전사 롤러(60)는 상기 전사 처리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78)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전사 롤러(60)는 제17도의 가상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된다.
하나 이상의 정전 기록 유닛(Y,C,M,B)이 상기 장치의 기록 동작에 이용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정전 기록 유닛(Y)이 사용되지 않을 때(즉, 기록될 이미지가 황색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때), 기록 유닛(Y)의 전사 롤러(60)는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78)를 전기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된다. 순환 벨트(48a)의 상부 운송로와 드럼(50)의 마찰 결합이 드럼(50)의 열화 요인중 하나로 지적되기 때문에, 드럼(50)으로부터 전사 롤러(60)를 분리하는 것은 드럼(50)의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컬러 기록 장치의 기록 동작에 사용되지 않는 정전 기록 유닛(Y,C,M,B)에서, 감광 드럼(50) 및 현상 장치(58)를 정지시키면 드럼(50)이 유효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콘테이너(70) 내에 유지되는 2성분의 현상제의 자기 캐리어 성분의 조기 열화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감광 드럼(50) 및 현상 장치(58)가 정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성분의 현상제의 자기 캐리어 성분은 교반기(72)에 의한 교반 동작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열화된다.
제18a도 및 제18b도는 정전 기록 유닛(Y,C,M,B)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며, 이 제어 시스템은 장치의 기록 동작에 사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기록 유닛(Y,C,M,B)이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8a도 및 제1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유닛(Y,C,M,B)의 각각의 드럼(50)은 각각 구동기 회로(182Y,182C,182M,182B)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핑 모터, 서어보 모터 등과 같은 적절한 전기 모터로 회전구동된다. 또한, 기록 유닛(Y,C,M,B)의 각각의 현상 장치(58)는 각각의 구동기 회로(186Y,186C,186M,186B)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핑 모터, 서어보 모터 등과 같은 적절한 모터(184Y,184C,814M,184B)로 구동된다. 또한, 기록 유닛(Y,C,M,B)의 각각의 전자기 솔레노이드(178)는 구동기 회로(188Y,188C,188M,188B)에 의해 구동된다. 각각의 구동기회로(182Y,182C,182M,182B; 186Y,186C,186M,186B; 188Y,188C,188M,188B)는 제어 회로(19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PDY,PDC,PDM,PDB; DDY,DDC,DDM,DDB; ESY,ESC,ESM,ESB)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190)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190)는 중앙 처리장치(CPU)(190a)와, 루틴, 상수 등을 저장하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190b)와,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90c) 및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190d)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스위칭 신호(PDY,PDC,PDM,PDB)가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경되는 경우, 대응하는 구동기 회로(182Y,182C,182M,182B)는 대응모터(180Y,180C,180M,180B)를 구동시키기 위해 동작하며, 이로써 대응하는 드럼(50)이 회전 구동된다. 각각의 스위칭 신호(DDY,DDC,DDM,DDB)가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경되는 경우, 대응하는 구동기 회로(186Y,186C,186M,186B)는 대응 모터(184Y,184C,184M,184B)를 구동시키기 위해 동작하며, 이로써 대응하는 현상 장치(58)가 구동된다. 각각의 스위칭 신호(ESY,ESC,ESM,ESB)가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경되는 경우, 구동기 회로(188Y,188C,188M,188B)는 대응하는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78)에 전기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도록 동작한다.
제18a도 및 제18b도에 도시하는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19a도 및 제19b도에 도시한 기록 유닛 제어 루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제19a도 및 제19b도의 기록 유닛 제어 루틴은 장치의 동작 루틴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기록될 1페이지 분량의는 이미지 데이터가 준비될 때마다 실행된다.
스텝 1901에서는 황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황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처리 루틴은 기록 유닛(Y)의 전자 롤러(60)가 드럼(50)에 대해 압박되도록 스위칭 신호(ESY)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되는 스텝 1902로 진행된다. 그 후, 스텝 1903에서는 기록 유닛(Y)의 드럼(50)이 회전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PDY)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04에서는 기록 유닛(Y)의 현상 장치(58)가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DDY)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Y)에서는 황색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상에 황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황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 루틴은 스텝 1901에서 스텝 1905로 진행하여 기록 유닛(Y)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위칭 신호(ESY)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어서, 스텝 1906에서는 기록 유닛(Y)의 드럼(50)이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PDY)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07에서는 기록 유닛(Y)의 현상 장치(58)가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DDY)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Y)에서는 용지 상에 황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 후, 처리 루틴은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1908로 진행된다.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처리 루틴은 기록 유닛(C)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에 대해 압박되도록 스위칭 신호(ESC)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되는 스텝 1909로 진행된다. 이어서, 스텝 1910에서는 기록 유닛(C)의 드럼(50)이 회전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PDC)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11에서는 기록 유닛(C)의 현상 장치(58)가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DDC)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C)에서는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상에 청록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 루틴은 스텝 1908에서 스텝 1912로 진행하여 기록 유닛(C)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위칭 신호(ESC)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어서, 스텝 1913에서는 기록 유닛(C)의 드럼(50)이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PDC)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14에서는 기록 유닛(C)의 현상 장치(58)가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DDC)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C)에서는 용지 상에 청록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 후, 처리 루틴은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1915로 진행된다.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처리 루틴은 기록 유닛(M)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에 대해 압박되도록 스위칭 신호(ESM)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되는 스텝 1916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스텝 1917에서는 기록 유닛(M)의 드럼(50)이 회전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PDM)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12에서는 기록 유닛(M)의 현상 장치(58)가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DDM)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M)에서는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상에 자흑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 루틴은 스텝 1915에서 스텝 1919로 진행하여 기록 유닛(M)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위칭 신호(ESM)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그 후, 스텝 1920에서는 기록 유닛(M)의 드럼(50)이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PDM)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21에서는 기록 유닛(M)의 현상 장치(58)가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DDM)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M)에서는 용지 상에 자홍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 후, 처리 루틴은 흑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1922로 진행된다. 흑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처리 루틴은 기록 유닛(B)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에 대해 압박되도록 스위칭 신호(ESB)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되는 스텝 1923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스텝 1924에서는 기록 유닛(B)의 드럼(50)이 회전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PDB)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25에서는 기록 유닛(B)의 현상 장치(58)가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DDB)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B)에서는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상에 자홍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흑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 루틴은 스텝 1922에서 스텝 1926로 진행하여 기록 유닛(B)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위칭 신호(ESB)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그 후, 스텝 1927에서는 기록 유닛(B)의 드럼(50)이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PDB)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28에서는 기록 유닛(B)의 현상 장치(58)가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DDB)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B)에서는 용지 상에 흑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제20a도 및 제20b도는 정전 기록 유닛(Y.C.M.B)을 제어하는 또 다른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장치의 기록 동작에 사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기록 유닛(Y.C.M.B)이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0a도 및 제2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유닛(Y.C.M.B)의 각각의 드럼(50)은 클러치(194Y.194C.194M.194B)를 통하여 스테핑 모터, 서어보 모터 등과 같은 공통 전기 모터(192)와, 순환 구동 벨트와 같은 적합한 트랜스미션(196)에 접속된다. 또한, 기록 유닛(Y.C.M.B)의 각각의 현상 장치(58)는 클러치(200Y.200C.200M.200B)를 통하여 스테핑 모터, 서어보 모터 등과 같은 공통 전기 모터(198)와, 순화 구동 벨트와 같은 적합한 트랜스미션(202)에 접속된다. 각각의 모터(192,198)는 구동기 회로(204,206)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각각의 클러치(194Y.194C.194M.194B)는 구동기 회로(208Y.208C.208M.208B)에 의해 작동되고, 각각의 클러치(200Y.200C.200M.200B)는 구동기 회로(210Y.210C,210M,210B)에 의해 작동된다. 기록 유닛(Y.C.M.B)의 각각의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78)는 구동기 회로(212Y.212C.212M.212B)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기 회로(204,206)는 각각의 제어 회로(214)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각각의 구동기 회로(208Y.208C.208M.208B; 210Y.210C.210M.
210B; 212Y.212C.212M.212B)는 상기 제어 회로(214)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PCY,PCC,PCM,PCB; DCY,DCC,DCM,DCB; ESY,ESC,ESM,ESB)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214)는 중앙 처리장치(CPU)(214a)와, 루틴, 상수 등을 저장하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214b)와,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랜덤 액세스 메머리(RAM)(214c)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214d)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214)에서 각각의 구동기 회로(204,206)로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가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경되면, 대응하는 모터(192,198)가 구동된다. 각각의 스위칭 신호(PCY,PCC,PCM,PCB)가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경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구동기 회로(208Y.208C.208M.208B)는 대응 클러치(194Y.194C.194M.194B)가 온되도록 동작하며, 이로써 대응 드럼(50)이 회전 구동된다. 각각의 스위칭 신호(DCY,DCC,DCM,DCB)가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구동기 회로(210Y.210C.210M.210B)가 대응 클러치(200Y.200C.200M.200B)가 온되도록 동작하며, 이로써 대응하는 현상 장치(58)가 구동된다. 각각의 스위칭 신호(ESY,ESC,ESM,ESB)가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대응 구동기 회로(212Y.212C.212M.212B)는 대응하는 전기자기 솔레노이드(178)를 전기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동작된다.
제20a도 및 제20b도에 도시하는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21a도 및 제21b도에 도시한 기록 유닛 제어 루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0a도 및 제20b도의 기록 유닛 제어 루틴은 장치의 동작 루틴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기록될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가 준비될 때마다 실행된다.
스텝 2101에서는 황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황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처리 루틴은 기록 유닛(Y)의 전자 롤러(60)가 드럼(50)에 대해 압박되도록 스위칭 신호(ESY)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되는 스텝 2102로 진행된다. 그 후, 스텝 2103에서는 기록 유닛(Y)의 드럼(50)이 회전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PCY)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2104에서는 기록 유닛(Y)의 현상 장치(58)가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DCY)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Y)에서는 황색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상에 황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황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 루틴은 스텝 2101에서 스텝 2105로 진행하여 기록 유닛(Y)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위칭 신호(ESY)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어서, 스텝 2106에서는 기록 유닛(Y)의 드럼(50)이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CDY)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2107에서는 기록 유닛(Y)의 현상 장치(58)가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DCY)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Y)에서는 용지 상에 황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 후, 처리 루틴은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2108로 진행된다.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처리 루틴은 기록 유닛(C)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에 대해 압박되도록 스위칭 신호(ESC)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되는 스텝 2109로 진행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2110에서는 기록 유닛(C)의 드럼(50)이 회전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PCC)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그후, 스텝 2111에서는 기록 유닛(C)의 현상 장치(58)가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DCC)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C)에서는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상에 청록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청록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 루틴은 스텝 2108에서 스텝 2112로 진행하여 기록 유닛(C)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위칭 신호(ESC)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어서, 스텝 2113에서는 기록 유닛(C)의 드럼(50)이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PCC)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2114에서는 기록 유닛(C)의 현상 장치(58)가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DCC)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C)에서는 용지 상에 청록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 후, 처리 루틴은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2115로 진행된다.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처리 루틴은 기록 유닛(M)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에 대해 압박되도록 스위칭 신호(ESM)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되는 스텝 2116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스텝 2117에서는 기록 유닛(M)의 드럼(50)이 회전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PCM)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2112에서는 기록 유닛(M)의 현상 장치(58)가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DCM)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M)에서는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상에 자홍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자홍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 루틴은 스텝 2115에서 스텝 2119로 진행하여 기록 유닛(M)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위칭 신호(ESM)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그 후, 스텝 2120에서는 기록 유닛(M)의 드럼(50)이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PCM)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2121에서는 기록 유닛(M)의 현상 장치(58)가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DCM)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M)에서는 용지 상에 자홍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 후, 처리 루틴은 흑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2122로 진행된다. 흑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처리 루틴은 기록 유닛(B)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에 대해 압박되도록 스위칭 신호(ESB)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되는 스텝 2123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스텝 1924에서는 기록 유닛(B)의 드럼(50)이 회전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PCB)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2125에서는 기록 유닛(B)의 현상 장치(58)가 구동되도록 스위칭 신호(CDB)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B)에서는 자흑색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상에 자흑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흑색 이미지 데이터가 1페이지 분량의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 루틴은 스텝 2122에서 스텝 2126로 진행하여 기록 유닛(B)의 전사 롤러(60)가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위칭 신호(ESB)가 하이 레벨(H)로 설정된다. 그 후, 스텝 2127에서는 기록 유닛(B)의 드럼(50)이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PDC)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이에 후속하여, 스텝 1928에서는 기록 유닛(B)의 현상 장치(58)가 정지되도록 스위칭 신호(DCB)가 로우 레벨(L)로 설정된다. 따라서, 기록 유닛(B)에서는 용지 상에 자홍색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본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7)

  1. 기록 매체 유입부 및 기록 매체 배출부를 갖고, 기록 매체를 운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과;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의 기록 매체 유입부 아래에 배치된 기록 매체 공급 수단(82,82a,82b)과; 상기 기록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기록 매체를 상방향으로 보내고,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의 기록 매체 유입부로 안내하는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84a∼84c,86)과; 기록 매체 운송 경로를 따라 보내져 온 기록 매체 상에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상이한 컬러로 기록하기 위해 기록 매체 운송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최소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Y,C,M,B)과;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의 기록 매체 배출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갖고 있는 기록 매체 상의 상기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62)과; 상기 정착 수단을 통과한 기록 매체를 위쪽으로 안내하는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68a∼68g)과; 상기 정착 수단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에 의해 보내져 온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기록 매체 수납 수단(4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 아래에 설치되는 전원 수단(90) 및 제어 수단(9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 상에 양면 기록을 실행하기 위해 기록 매체를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68a∼68g)에서 상기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84a∼84c, 86)으로 귀환시키며,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 바로 아래와 상기 기록 매체 공급 수단(82,82a,82b)의 상부측의 위에 연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정전 기록 유닛(Y,C,M,B)은 정전 잠상 담지체(50)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에 전기적으로 대저된 영역을 제공하는 전기적 대전 수단(52)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의 대전된 영역에 정전 잠상을 광학적으로 기록하는 광학 기록 수단(54)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대전된 토너 이미지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58)과,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에서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에 의해 운송될 기록 매체로 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수단(60)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의 잔여 토너를 청소하는 클리닝 수단(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메일 프레임(102) 및 상기 메인 프레임내로의 인입 위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 외부로 끌어 당겨지는 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1서브 프레임(104)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현상 수단(58)이 상기 제1서브 프레임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50), 상기 전기적 대전 수단(52) 및 상기 클리닝 수단(64)이 하나의 유닛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제1서브 프레임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내로의 인입 위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 외부로 끌어 당겨지는 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서브 프레임(104) 아래에 배치되는 제2서브 프레임(114)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이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150)는 한 샤프트 단부(50a)에 설치된 피동 결합부(123)를 갖고, 상기 피동 결합부(123)는 상기 제1서브 프레임(10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메인 프레임(102)에 제공된 구동 결합부(124)와 맞물리며,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은 그 내부에 제공된 위치설정 결합부(125)를 갖고, 상기 위치설정 결합부(125)는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의 다른 샤프트 단부(50b)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수단(60)은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된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은 기록 매체 유입부와 기록 매체 배출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피동 롤러(48c) 및 구동 롤러(48b)와, 상기 롤러들과 맞물리는 순환 벨트(48a)를 포함하고, 상기 피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의 양샤프트(134,128)의 2개의 단부 부분이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에 의해 착탈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48b)의 구동 샤프트(128)는 2개의 단부 부분 상에 장착된 베어링(132)을 통해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에 의해 착탈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128)는 한 단부에 장착된 피동 결합부(141a)를 갖고, 상기 피동 결합부(141a)는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메인 프레임(102)에 설치된 구동 결합부(141b)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 상에 양면 기록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84a∼84c,86)과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68a∼68g) 사이에 설치되는 기록 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94)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94)은 상기 기록 매체 바이패스 연통로 수단(94)의 일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기록 매체 안내 롤러 어셈블리(96c∼96ℓ)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기록 매체 안내 롤러 어셈블리는 한쌍의 샤프트 요소(146,148)와 이 샤프트 요소의 각각에 장착된 롤러 요소(150)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요소 중의 한 샤프트 요소(146)는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의 기저부에 부착된 제1안내 플레이트(1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샤프트 요소(148)는 상기 제1안내 플레이트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제2안내 플레이트(1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안내 플레이트(154)는 상기 제1안내 플레이트(152)에 평행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안내 플레이트(152)에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수단(62)은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수단은 열 정착 장치(6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2)은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열 정착 장치 위에 있도록 설치되는 상기 열 정차가 장치용 냉각 수단(1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84a∼84c,86)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기록 매체를 상기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으로 공급하는 추가의 기록 매체 공급 수단(160)과,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68a∼68g)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에 의해 보내져 온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추가의 기록 매체 수납 수단(162)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68a∼68g)은 이 안내 수단으로부터 분지된 기록 매체 안내 경로, 및 상기 기록 매체 안내 경로가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으로부터 분지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기록 매체 스위칭 수단(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7. 기록 매체 유입부 및 기록 매체 배출부를 포함하며, 기록 매체를 운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과;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의 기록 매체 유입부 아래에 배치된 기록 매체 공급 수단(82,82a,82b)과; 상기 기록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기록 매체를 상방향으로 보내고 상기 기록 매체를 상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의 기록 매체 유입부로 안내하는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84a∼84c, 86)과; 기록 매체 운송 경로를 따라 보내져 온 기록 매체 상의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상이한 컬러로 기록하기 위해 기록 매채 운송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최소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Y,C,M,B)과;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의 기록 매체 배출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갖고 있는 기록 매체 상의 상기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62)과; 메인 프레임(102) 및 상기 메인 프레임내로의 인입 위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 외부로 끌어당겨진 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현상 수단(58)이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정전 잠상 담지체(50), 전기적 대전 수단(52) 및 클리닝 수단(64)이 하나의 유닛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서브 프레임(10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2) 내로의 인입 위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 외부로 끌어 당겨진 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서브 프레임(104)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이 장착되는 제2서브 프레임(114)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50)는 한 샤프트 단부(50a)에 제공된 피동 결합부(123)를 갖고, 상기 피동 결합부(123)는 상기 제1서브 프레임(10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메인 프레임(102)에 설치된 구동 결합부(124)와 맞물리고,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은 그 내부에 제공된 위치설정 결합부(125)를 갖고, 상기 위치설정 결합부(125)는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의 다른 샤프트 단부(50b)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0. 제17항 내기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은 기록 매체 유입부와 기록 매체 배출부 상에 각각 설치되는 피동 룰러(48c) 및 구동 롤러(48b)와, 상기 롤러들과 맞물리는 순환 벨트(48a)를 포함하며, 상기 피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의 양 샤프트(134,128)의 2개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에 의해 착탈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48b)의 구동 샤프트(128)는 2개의 단부 부분 상에 장착된 베어링(132)을 통해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에 의해 착탈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128)는 한 단부 부분에 장착된 피동 결합부(141a)를 갖고, 상기 피동 결합부(141a)는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메인 프레임(102)에 설치된 구동 결합부(141b)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2. 제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수단(62)은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수단은 열 정착 장치(6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2)은 상기 제2서브 프레임(114)이 인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열정착 장치 위에 있도록 설치되는 상기 열 정착 장치용 냉각 수단(1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4.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84a∼84c,86)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기록매체를 상기 제1기록 매체 안내 수단으로 공급하는 추가의 기록 매체 공급 수단(160)과,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68a∼68g)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에 의해 보내져 온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추가의 기록 매체 수납 수단(162)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68a∼68g)은 이 안내 수단으로부터 분지된 기록 매체 안내 경로 및 상기 기록 매체 안내 경로가 상기 제2기록 매체 안내 수단으로부터 분지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기록 매체 스위칭 수단(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6. 기록 매체를 운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과; 제1컬러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기록 매체 운송 경로 상에 배열되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정전 잠상 담지체(50) 및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제1컬러 토너를 이용하여 대전된 토너 이미지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58)을 포함하는 제1정전 기록 유닛(Y,C,M,B)과; 제2컬러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전기적으로 대전된 토너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기록 매체 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제1정전 기록 유닛과 정렬되어 배열되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정전 잠상 담지체(50) 및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상의 정전 잠상을 제2컬러 토너를 이용하여 대전된 토너 이미지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58)을 포함하는 제2정전 기록 유닛(Y,C,M,B)과; 기록될 전체 이미지 데이터에 제1컬러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판정 수단과; 상기 제1판정 수단에 의해 기록될 전체 이미지 데이터에 제1컬러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1정전 기록 유닛의 정전 잠상 담지체 및 현상 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1정지 수단과; 기록될 전체 이미지 데이터에 제2컬러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판정 수단과; 상기 제2판정 수단에 의해 기록될 전체 이미지 데이터에 제2컬러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2정전 기록 유닛의 정전 잠상 담지체 및 현상 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2정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운송 수단(48)은 상기 기록 매체 운송 경로를 제공하는 상부 운송로를 갖는 순환 기록 매체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제1정전 기록 유닛의 정전 잠상 담지체를 정지시킬 때 상기 제1정전 잠상 기록 유닛의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순환 기록 매체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운송로를 분리하기 위하나 제1분리 수단과, 상기 제2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제2정전 기록 유닛의 정전 잠상 담지체를 정지시킬 때 상기 제2정전 기록 유닛의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순환 기록 매체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운송로를 분리하기 위한 제2분리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KR1019950018530A 1994-06-30 1995-06-30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KR100195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49441 1994-06-30
JP6149441A JPH0815935A (ja) 1994-06-30 1994-06-30 多色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24A KR960001924A (ko) 1996-01-26
KR100195352B1 true KR100195352B1 (ko) 1999-06-15

Family

ID=1547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530A KR100195352B1 (ko) 1994-06-30 1995-06-30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15001A (ko)
EP (3) EP0878743B1 (ko)
JP (1) JPH0815935A (ko)
KR (1) KR100195352B1 (ko)
DE (3) DE6952283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12061T2 (de) * 1997-08-11 2004-04-29 Kabushiki Kaisha Toshiba, Kawasaki Bilderzeugungsgerät
US6097910A (en) * 1997-09-30 2000-08-01 Ricoh Company, Ltd. Combined consumable material supply cartridge for image reproduction devices
US5970292A (en) * 1998-10-14 1999-10-19 Xerox Corporation Securing feature for toner container shutter
US5970291A (en) * 1998-10-14 1999-10-19 Xerox Corporation Self unlocking feature for toner container shutter
US6249654B1 (en) 1999-09-29 2001-06-19 Xerox Corporation Refillable all-in-on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US6266506B1 (en) 1999-09-29 2001-07-24 Xerox Corporation Mechanical keying concept for refillabl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US6236826B1 (en) 1999-09-29 2001-05-22 Xerox Corporation Toner bottle cartridge valve for refillabl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US6269234B1 (en) 1999-09-29 2001-07-31 Xerox Corporation Locking member for refillabl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US6580888B2 (en) 2001-05-17 2003-06-17 Lexmark International, Inc. Contact development system reference structure
US6628426B2 (en) 2001-05-22 2003-09-30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of halftone screen linearization via continuous gradient patches
US6650847B2 (en) 2001-12-21 2003-11-18 Xerox Corporation Container figuration matching system and method
EP1331525A3 (en) 2002-01-25 2004-06-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image quality and maintenance workability
JP2005158101A (ja) * 2003-11-21 2005-06-16 Hitachi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
JP4817682B2 (ja) 2004-12-13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1131B2 (ja) 2005-12-26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61916B2 (ja) 2008-07-25 2011-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68356B2 (ja) * 2010-03-31 2012-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510394B2 (ja) 2011-06-02 2014-06-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72650B2 (ja) * 2011-06-16 2014-04-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94682B2 (ja) 2012-01-19 2014-05-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02255B2 (ja) * 2012-12-27 2017-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1058A (ja) * 1982-04-19 1983-10-22 Mita Ind Co Ltd 静電複写機
GB2127744B (en) * 1982-08-17 1986-07-02 Canon Kk Multicolour printing
JPS59149380A (ja) * 1983-02-15 1984-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写機
JPS61228461A (ja) * 1985-04-02 1986-10-11 Ricoh Co Ltd カラ−電子複写製版装置
JPS6292978A (ja) * 1985-10-19 1987-04-28 Fujitsu Ltd 熱ロ−ラ定着器
US4888620A (en) * 1986-01-17 1989-12-1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S634250A (ja) * 1986-06-24 1988-01-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582248B2 (ja) * 1986-06-30 1997-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117265A (en) * 1987-05-11 1992-05-2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exposure portion for final originals and non-final originals exposure in composite copying operations
JPH01107280A (ja) * 1987-10-21 1989-04-2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1199022A (ja) * 1988-01-30 1989-08-10 Konica Corp 駆動伝達装置
US4939541A (en) * 1988-04-13 1990-07-0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H02149861A (ja) * 1988-12-01 1990-06-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2231341A (ja) * 1989-03-03 1990-09-13 Minolta Camera Co Ltd 複写機
US4928128A (en) * 1989-05-30 1990-05-22 Xerox Corporation Sheet circulation in a duplex printer
JPH0333760A (ja) * 1989-06-29 1991-02-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3174546A (ja) * 1989-12-04 1991-07-2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駆動装置
JPH03288173A (ja) * 1990-04-04 1991-12-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498266A (ja) * 1990-08-17 1992-03-30 Ricoh Co Ltd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H0519641A (ja) * 1990-10-12 1993-01-29 Canon Inc 多重画像形成装置
JP3107865B2 (ja) * 1990-10-15 2000-11-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728779B2 (ja) * 1990-10-20 1998-03-18 富士通株式会社 カラー印刷装置
US5158846A (en) * 1990-10-29 1992-10-27 Olin Corporation Electrostatic color printing system utilizing an image transfer belt
EP0570419B1 (de) * 1991-02-05 1994-07-20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Kopiergerät mit einem bandförmigen transferelement
KR940003109B1 (ko) * 1991-04-17 1994-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 기록장치
JP3208674B2 (ja) * 1991-08-16 2001-09-17 コニカ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US5453822A (en) * 1992-05-15 1995-09-26 Hitachi Koki Co., Ltd. Optional side multi-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US5386286A (en) * 1992-09-24 1995-01-3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EP0602661B1 (en) * 1992-12-18 2000-08-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5469248A (en) * 1993-02-01 1995-11-2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applying a common transfer bias voltage to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JPH0720730A (ja) * 1993-06-30 1995-01-24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1790D1 (de) 1999-10-07
EP0690358A2 (en) 1996-01-03
EP0878743A1 (en) 1998-11-18
DE69522836D1 (de) 2001-10-25
DE69525778T2 (de) 2002-08-01
EP0927915B1 (en) 2002-03-06
DE69525778D1 (de) 2002-04-11
US5615001A (en) 1997-03-25
DE69522836T2 (de) 2002-03-28
DE69511790T2 (de) 1999-12-23
EP0878743B1 (en) 2001-09-19
EP0690358B1 (en) 1999-09-01
JPH0815935A (ja) 1996-01-19
KR960001924A (ko) 1996-01-26
EP0690358A3 (en) 1996-02-21
EP0927915A1 (en) 1999-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352B1 (ko) 다중 컬러 이미지 형성 장치
US88491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8526848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050592B2 (en) Image-form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nd removed therefrom
JP4764743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KR20050003876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H06110262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003877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US5140369A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cess cartridge containing a belt shaped image carrier, toner replenishing means and detachable paper cartridge
CN110837216A (zh) 粉末收容容器、显影剂补充装置和图像形成设备
KR20050003875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US5298946A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cartridge and exposure through sheet path
US5991583A (en) Developing device
US5581338A (en) Toner image transferring device including transfer charger and AC charge eliminator crystal display device
JP6210693B2 (ja) 画像形成装置
JP3510084B2 (ja) 複数の現像器を有する静電記録装置
JP2007140237A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US5617192A (en) Multicolor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and electrostatic latent image recording apparatus used therefor
JP2004061958A (ja) 画像形成装置
US8213843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toner recovery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350307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071205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156018A (ja) 後付装置の装着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2788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0853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