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896B1 - 개인휴대용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 Google Patents

개인휴대용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896B1
KR0180896B1 KR1019960029084A KR19960029084A KR0180896B1 KR 0180896 B1 KR0180896 B1 KR 0180896B1 KR 1019960029084 A KR1019960029084 A KR 1019960029084A KR 19960029084 A KR19960029084 A KR 19960029084A KR 0180896 B1 KR0180896 B1 KR 0180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free device
built
microphone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488A (ko
Inventor
정인현
Original Assignee
정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현 filed Critical 정인현
Priority to KR101996002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896B1/ko
Priority to JP8258001A priority patent/JPH1059084A/ja
Priority to US08/733,570 priority patent/US5974332A/en
Priority to DE19647405A priority patent/DE19647405A1/de
Priority to DE29619894U priority patent/DE29619894U1/de
Publication of KR98001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4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7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ar passeng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8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he use of several passengers, e.g. simultaneously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내에 장착되어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 즉 핸드폰과 같은 전화기를 운전시 사용하게 편리하게한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들부위 및 조수석 수납상자 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핸드프리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수납박스내에 제2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핸드프리장치와,
개폐식 덮개가 설치된 뒷자석의 팔걸이 수납함에 제3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한 제3핸드프리장치와,
자동차 뒷문 양쪽 안쪽에 형성된 훈육부에 개폐식 덮개가 형성된 수납홈을 각각 형성하고, 이 수납홈내에 제4및 제5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며, 마이크를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시킨 제4및 제5핸드프리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핸드프리 셋트가 자동차내에 결선되는 개요도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자동차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제1내지 제5핸드프리장치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제3도의 (a)(b)는, 본 발명의 제1핸드프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3도의 (c)는, 본 발명의 제2핸드프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4도의 (a)는, 본 발명의 제3핸드프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4도의 (b)는, 본 발명의 제4및 제5핸드프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5도의 (a),(b)는, 본 발명의 제1및 제2핸드프리장치에 사용되는 충전용 케이스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5도의 (c)는 제5도의 충전용 케이스의 상부판의 구조와 스위치의 위치를 나타낸 요부 발췌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핸드프리장치의 작동시 사용되는 구동제어 회로도.
제7도는, 제6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진리표 및 각 노우드점의 전위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드폰 2 : 코넥터
4, 10 : 잭 3,30,32 : 충전용 케이스
5 : 마이크 6 : 핸드 프리 킷트
7 : 안테나 8 : 스피커
9 : 축전지 11,12,13,14,15 : 케이블
16,17,18,19,20 : 핸드프리장치
21,22,23,24,25,26 : 마이크
28 : 조작판 29 : 핸들
32 : 팔걸이함 33,37 : 덮개
34 : 잠김장치 35 : 훈육부
36 : 수납홈 41 : 기어
42 : 가이드편 47 : 가이드홈
46 : 하부판 48 : 모우터
49 : 치차 50 : 상부판
51 : 몸체 52 : 돌편
57 : 전면부 58 : 돌출면
61 : 클럭제어부 62 : 모우터 방향 제어부
63 : 모우터 구동부
본 발명은 자동차내에 장착되어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 즉, 핸드폰과 같은 전화기를 운전시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한 핸드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핸드프리장치를 갖추도록 하여 자동차내의 어느장소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전시 핸드프리(hand free)기능이 없는 전화기는 통화시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사고의 우려가 있어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안전운전을 위하여 자동차의 운전석 근처에 스피커, 마이크, 안테나 등을 갖춘 핸드프리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 역시 추가 부착물이 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접촉사고 발생시 상처를 입힐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기존의 핸드프리 장치는 주로 운전자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뒷좌석의 승객들은 핸드프리장치를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출고시 차량내 내장될 수 있는 핸드프리장치를 장착하여 차량의 외부로 나타나지 않은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내에서 통화가능한 장소에 다수개의 핸드프리 장치가 내장될 수 있게 하여 자동차내 어느장소에서도 손쉽게 핸드프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은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핸드프리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수납박스내에 제2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핸드프리장치와,
개폐식 덮개가 설치된 뒷자석의 팔걸이 수납함에 제3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한 제3핸드프리장치와,
자동차 뒷문 양쪽 안쪽에 훈육부에 개폐식 덮개가 형성된 수납홈을 각각 형성하고, 이 수납홈내에 제4및 제5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며, 마이크를 각각 뒷문 창 위쪽 또는 뒷문과 후면 유리사이 공간에 위치시킨 제4 및 제5 핸드프리장치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핸드프리장치 내지 제5 핸드프리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으며, 이때에 선택되는 각 핸드프리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 또는/및 각각 뒷좌석 상부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핸드폰을 수납할 수 있는 내장장치를 구비하고, 중앙 하부에 기아를, 측면 양쪽에는 가이드편 및 가이드 돌편을 형성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가이드편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내부에 충전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상기 상부판의 기어와 맞물리는 치차를 형성한 후 이 치차축에 고정되어 있는 모우터로 동력수단을 구성한 충전용 케이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모우터 정회전용 푸쉬스위치, 상부판의 인출 확인용 리미트스위치, 상부판의 수납 확인용 리미트스위치가 저항을 통하여 연결되는 집적소자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접속유무에 따라 구동되는 저항, 콘덴서,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클럭제어부와, 상기 집적소자의 출력포트의 레벨상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모우터 방향제어부와, 상기 모우터 방향 제어부의 출력을 받아 구동하고, 저항,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모우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자동차에 내장되는 핸드프리 셋트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핸드폰(1)과 코넥터(2)을 통하여 연결되는 충전용 케이스(3)는 일측으로 잭(4)을 통하여 마이크(5)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케이블(11)을 통하여 핸드프리킷트(6)와 연결된다. 핸드프리킷트(6)는 일측으로 안테나(7)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으로 스피커(8)와 연결된다. 그리고 자동차내에 내장된 축전지(9)의 전원이 잭(10)을 통하여 상기 핸드프리킷트(6)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회로의 구성은 기존의 자동차용 핸드프리장치와 동일하다.
즉, 종래의 핸드프리장치는 핸드프리킷트(6)위에 충전용케이스(3)가 장착된 상태에서 충전용 케이스(3)내에 핸드폰(1)의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내에 전화를 사용하기 위하여 충전용 케이스(3)내에 코넥터(2)을 통하여 핸드폰(1)을 장착시킨후 통화시 마이크(5)및 스피커(8)를 통하여 전화를 하게되고, 전화를 사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충전용 케이스(3)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이 핸드폰의 밧테리를 충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도 기본적인 회로도의 구조는 상기와 동일하지만, 상기 핸드프리킷트(6)를 자동차내의 실내가 아닌 차체내에 장착하고, 상기 충전용 케이스(3)와 연결되는 케이블(11),(12),(13),(14),(15)을 5개 설치하여 충전용 케이스(3)가 5개 차량내에 설치되게 구성하고, 이에 따라 설치되는 마이크의 수도 증가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자동차내에 설치되는 제1내지 제5 충전용 케이스 및 그 밖의 핸드프리셋트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충전용 케이스와 그밖의 내장장치를 포함하여 핸드프리장치라 칭한다.
따라서 제1내지 제5핸드프리장치는 제1내지 제5충전용 케이스와 이 케이스와 연결되는 그밖의 내장장치들로 이루어진다.
제1핸드프리장치(16)는 운전석과 조수석사이의 콘트롤 박스상에 설치되고, 이 제1핸드프리장치(16)사용시 사용되는 마이크는 각각 핸들(29) 및 우측 수납 박스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핸드프리장치(17)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수납박스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자동차의 앞쪽에는 제1 및 제2 핸드프리장치(16),(17)가 설치된다. 그러나 제2핸드프리장치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장치이다.
자동차의 뒷쪽에는 각각 제3 내지 제5핸드프리장치(18),(19),(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제3핸드프리장치(18)는 뒷좌석의 가운데 팔걸이 박스내에 설치되고, 제4 및 제5핸드프리장치 (19),(20)는 좌우 뒷문의 훈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3내지 제5핸드프리장치 (18),(19),(20)에 사용되는 마이크는 각각 좌우 뒷문 유리창의 윗부분에 마이크 (23),(24)를 위치시키거나, 뒷문과 후면 유리창 사이의 벽면에 마이크(25),(26)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제1내지 제5 핸드프리장치에 사용하는 스피커는 자동차내에 장착된 스피커를 사용할 수가 있으나, 스피커옆에 작은 보조 스피커를 내장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 스피커는 꼭 4개일 필요는 없고, 1개만 장착하여도 자동차의 실내는 그다지 넓지 않기 때문에 충분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1 핸드프리장치 내지 제5핸드프리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때에 선택된 제1 내지 제5 핸드프리장치에서 사용될수 있도록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 또는/및 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상부의 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 핸드프리장치와, 상기 제1핸드프리장치에 사용되도록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 또는/ 및 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고,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상부의 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 핸드프리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수납박스내에 제2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 핸드프리장치와, 상기 제1핸드프리장치 또는/ 및 제2핸드프리장치에 사용되도록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 또는/ 및 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으며, 또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상부의 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 핸드프리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수납박스내에 제2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 핸드프리장치와, 개폐식 덮개가 설치된 뒷좌석의 팔걸이 수납함에 제3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한 제3핸드프리장치와, 상기 제1 핸드프리장치 내지 제3 핸드프지장치에 사용되도록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 또는 / 및 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를 구성할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핸드프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제2내지 제5핸드프리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1및 제2 핸드프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제3내지 제5핸드프리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될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제1내지 제5핸드프리장치에서 먼저, 제1핸드프리장치(16)를 제3도에 의하여 살펴보면, (a)도와 같이 운전석 옆 조작판(28)의 상단에 출입이 자유로운 제1충전용 케이스(3)가 설치되고, (b)도와 같이 핸들(29)상에 마이크(21)를 설치한다. 이 마이크(21)는 핸들상에 설치되어 있으면, 어떤 위치라도 상관이 없다.
즉, 상기 (a)도의 상기 제1충전용 케이스(3)내에는 코넥터를 통하여 핸드폰(1)을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1충전용 케이스(3)를 도면과 같이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부에 설치된 푸쉬스위치에 의하여 모우터를 정회전시켜 인출시키고, 제1충전용 케이스(3)를 수납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1충전용 케이스(3)를 약간 밀어 넣으므로써 모우터가 역회전하여 제1충전용 케이스(3)를 차체내에 수납하게 된다.(이는 후술함).
제3도의 (c)도에는 제2핸드프리장치(17)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마이크가 없이 제2충전용 케이스(30)가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장착된 수납케이스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역시 제1충전용케이스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3핸드프리장치(18)는 제4도(a)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마이크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뒷좌석 중간 팔걸이 수납함(32)에 장착될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팔걸이 수납함(32)은 기존의 팔걸이 수납함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케이싱 내부의 수납함과 이 수납함을 개폐할수 있는 절첩식 덮개(33)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34)는 잠김장치이다.
그리고, 제4 및 제5 핸드프리장치 (19),(2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각각 뒷문 안쪽의 훈육부(35)상에 제4도의 (b)도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이 훈육부(35)내에 제4및 제5핸드프리장치가 삽입 고정될수 있는 수납홈(36)이 형성되고, 이 수납홈(36)을 개폐하는 절첩식 덮개(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훈육부(35)는 자동차의 문짝 내부에 창문개폐 등과 같은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하여 설치된 부분이다.
그리고 제4 및 제5핸드프리장치 (19),(20)에 사용되는 마이크(24)는 창문 위에 설치하거나 또는 뒷좌석 상부위치에 마이크(26)를 설치할수도 있다.
즉, 제1내지 제5핸드프리장치는 공통의 하나의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지만,
마이크는 각각 사람이 앉아 있는 좌석에 말소리가 가장 잘 전달할수 있는 부위나 핸들에 설치되고, 제2및 제3핸드프리장치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것으로 뒷문 유리창의 윗부분 또는 뒷문과 후면 유리창 사이 벽면에 장치된 마이크를 같이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변경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내지 제5 핸드프리장치는 수납홈에 단순한 개폐식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간단히 핸드폰을 삽입 및 인출할 수가 있으며, 통화역시 간단히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 핸드프리장치는 각각의 충전용 케이스가 인출 및 수납될수 있는 특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제5도의 각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5도의 (a),(b)와 같이 제1및 제2핸드프리장치는 자동차 내부몸체(51)에 고정되는 하부판(46)과 그 하부판(46)에서 슬라이드식 회전이동이 가능한 상부판(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판(46)의 좌우에는 가이드홈(47)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판(50)의 좌우에는 상기 하부판 (46)의 가이드홈(47)에 삽입되는 가이드편(4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42)이 한쪽 끝단은 상기 가이드편(42)과 일체로된 걸림턱을 가진 가이드 돌편(52)이 형성되어 리미트 스위치(LS1)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그리고 하부판(46)과 상기 하부판(46)에 결합되는 상부판(50)은 상부판(50)의 인출 및 수납시 회전운동을 할수 있도록 약간 원형체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인체공학적으로 핸드폰을 조작하기 위하여는 30도 내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판(50)는 아래쪽 중앙부에 일직선으로 형성된 기어(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어(41)와 맞물리는 치차(49)는 모우터(48)의 축에 고정되어 있다.
이 치차(49)는 하부판(46)의 일부분을 절결한 후 그 아래 설치되어 상부판(50)의 기어(41)와 맞물려 모우터(48)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부판(50)이 하부판(46)에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기어와 치차의 구조는 제5도의 (c)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하부판(46)의 내부에는 핸드폰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들이 내장되어 있다.
제5도에 있어서 기어(41)와 맞물린 치차(49)를 회전시키는 동력수단은 모우터(48)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를 댐퍼와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별도로 2개의 리미트스위치와 하나의 푸쉬보턴 스위치가 상기 상부판(50)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5도의 (c)와 같이 상부판(50)의 전면부(57)에는 푸쉬보턴 스위치(SW1)가 장착되어 있고, 상부판(50)의 위치확인용 리미트스위치(LS1),(LS2)가 장착되어 있다.
리미트스위치(LS1)는 상부판(50)의 인출확인용 스위치이고, 리미트스위치(LS2)는 상부판(50)의 수납확인용 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50)은 하부판(46)의 좌우 가이드홈(47)중 어느한쪽 끝단에 리미트 스위치(LS1)를 형성하여 상부판(50)의 인출완료시 상부판(50)의 가이드돌편(52)이 상기 리미트스위치(LS1)를 접속할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리미트스위치(LS2)는 하부판(46)의 뒷면에 설치되어 상부판(50)의 돌출면(58)에 의하여 상부판(50)의 수납시 리미트스위치(LS2)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핸드프리장치가 구성된 것으로,
이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충전용 케이스(3)의 전면부(57)에 부착된 푸쉬보턴 스위치(SW1)를 누르면 모우터(48)에 전원이 투입되어 모우터(48)가 회전하게 된다.
모우터(48)가 회전하면, 모우터(48)축에 고정된 치차(49)가 회전하여 상부판(50)의 아래에 형성된 기어(41)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부판(50)을 밖으로 인출하게 된다.
따라서 모우터(48)의 회전에 따라 하부판(46)과 결합된 상부판(50)은 하부판(46)의 가이드홈(47)을 따라 가이드편(42)이 안내되면서, 하부판(46)내에 수납상태에 있는 상부판(50)을 인출하게 되고, 인출이 완료되면, 하부판(46)의 가이드홈(47)의 한쪽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LS1)를 가이드 돌편(52)이 접속시켜 모우터(48)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부판(50)이 인출되면, 일정한 회전각도를 갖고 인출되기 때문에 인체공학적으로 핸드폰의 보턴들이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놓이고, 사용자는 기존의 핸드프리장치와 같이 통화를 하면 된다.
통화가 완료되어 상부판(50)을 하부판(46)내에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인출된 상부판(50)을 약간 밀어주면, 상부판(50)이 하부판(46)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LS1)를 개방시키게되어 모우터(48)가 역회전을 하여 기어(41)와 맞물린 치차(49)가 상기와 역동작으로 동작하여 하부판(46)내 가이드홈(47)을 따라 가이드편(42)이 안내되면서 상부판(50)을 수납시키게 되고, 상기 상부판(50)의 돌출면(58)이 리미트스위치(LS2)를 접속시켜, 모우터(48)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상부판(50)은 하부판(46)내에 완전히 수납하게 된다.
이와같이 모우터(48)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부판(50)이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것으로 충전용 케이스(3)을 구성하는 상부판(50)과 하부판(46)이 일정한 원주각을 갖고 형성되어 있어 상부판(50)의 입출입시 원운동을 하면서 입출입되므로 사용자가 상부판(50)위의 놓여진 핸드폰(1)을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핸드프리장치의 작동시 사용되는 구동제어 회로도로서 모우터(48)의 회전제어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푸쉬스위치(SW1)및 리미트스위치(LS1),(LS2)에 의하여 구동되는 집적소자(IC)는 내부에 플립플롭 회로가 2개 내장된 집적소자이다.
이 집적소자(IC)의 구동은 제7도에 나타낸 표와 같이 구동된다.
본 발명은 초기 모우터 정회전용 푸쉬스위치(SW1),상부판(50)의 인출 확인용 리미트스위치(LS1),상부판의 수납 확인용 리미트스위치 (LS2)가 저항(R14-R19)을 통하여 집적소자(IC)와 연결되게 구성하고, 리미트스위치(LS1)는 저항 (R20),(R21), 콘덴서(C1), 트랜지스터(Q7)로 구성된 클럭제어부(61)와 연결된다.
그리고, 집적소자(IC)의 출력포트(P9),(P12)는 모우터 방향제어부(62)의 트랜지스터(Q5),(Q6)의 베이스측과 연결되어 모우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모우터 구동부는 저항(R1-R10), 트랜지스터(Q1-Q4)로 구성되어 모우터(48)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회로는 하부판(46)내에 상부판(50)이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는 리미트스위치(LS2)는 접속된 상태로 그라운드 전위상태가 되고, 푸쉬스위치(SW1)와 리미트스위치(LS1)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집적소자(IC)의 출력단자(P9),(P12)는 저전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노우드점(a),(b)의 전위가 저전위 상태이므로 모우터 방향결정용 트랜지스터(Q5),(Q6)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모우터(48)가 회전못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푸쉬스위치(SW1)를 누르면 누르는 순간의 폴링에지의 펄스신호가 포트(P1)에 입력되어 포트(P12)로 고레벨 신호가 출력되고, 포트(P9)는 저레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노우드점(a)의 고레벨상태신호가 트랜지스터(Q5)를 턴온시키게 된다.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게 되므로 전원(B+)이 트랜지스터 (Q1)를 통하여 모우터(48)에 인가된 후, 접지로 흐르게 되는 정회전을 하여 상부판(50)을 인출하게 된다.
이 상태를 유지시 푸쉬스위치(SW1)를 놓더라도 놓은 순간의 펄스가 라이징에지 상태신호로 포트(P1)에 인가되므로 계속 포트(P9)에서는 저레벨 상태신호가, 포트(P12)로는 고레벨 상태신호가 출력되므로 모우터(48)는 상기와 동일하게 정방향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그후 제5도의 (b)와 같이 상부판(50)이 전부 인출되면, 상부판의 가디으돌편(52)이 리미트스위치(LS1)를 접속시키게 되고, 리미트스위치(LS1)가 접속되면, 폴링에지 펄스가 포트(P2)를 통하여 입력되면서 트랜지스터(Q7)를 턴오프시키므로 전원(B+)이 저항 (R17)을 통하여 인가되어 포트(P5)에 라이징에지 펄스가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집적소자(IC)의 출력포트(P12)로 저전위 상태신호가 출력되어 모우터(48)는 회전하지 않은 상태가 되어 하부판(46)에서 상부판(50)이 전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판(50)으르 약간 밀어 넣으면, 상부판(50)의 가이드 돌편(52)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던 리미트스위치(LS1)가 개방하게 되므로 집적소자(IC)의 포트(P2)에 라이징 에지 펄스가 입력되면서, 전원(B+)이 트랜지스터(Q7)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7)를 턴온시켜 포트(P5)에는 폴링에지 펄스가 입력되어 출력포트(P9)는 고레벨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포트(P12)는 저레벨상태 신호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5)는 차단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6)는 턴온 상태가 유지되어 전원(B+)을 트랜지스터(Q4)를 통하여 모우터(48)에 인가시키어 모우터를 역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모우터가 역회전되어 상부판(50)이 하부판(46)내에 삽입되면, 상부판의 돌출면(58)이 리미트스위치(LS2)를 접속시켜 접지와 연결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폴링에지 펄스가 집적소자(IC)의 포트(P6)로 입력되고 출력포트(P9)로부터 저전위 상태신호가 출력되므로 트랜지스터(Q5),(Q6)가 차단된 상태에서 모우터(48)의 회전이정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자동차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핸드프리장치는 충전용 회로가 내장된 하부판(46)에서 상부판(50)이 터치식으로 입출고될 수 있고 운전중에 터치식으로 입출된 상부판의 핸드폰으로 자유롭게 통화후 다시 재터치하여 수납할수 있는 것으로 운전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으며, 운전석에서 통화시에는 핸들부위의 마이크를 통하여 통화하고, 조수석에는 별도 케이스 상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사용하여 통화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내지 제5 핸드프리장치는 각각 핸드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 및 덮개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장소에서도 누구나 통화를 할수있으며, 각각의 핸드프리장치 근처에 설치된 마이크를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를 자동차의 생산시 장착하여 출고할때에 그대로 적용할 수가 있으며, 각각의 핸드프리장치가 추가 부착물이 아니고 전부 차량내에 내장설치되어 있으므로 인체가 부착물과의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외관상의 장점, 차내 공간 확보, 전자파 노출방지 등의 효과도 얻을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핸드프리장치에 삽입되는 전화기는 핸드폰 즉,PCS, PHS, PDA, GSM, CT-2등 아날로그 방식 및 디지탈방식 전부를 포함시키는 무선통화 방식의 전화기이면 전부 사용가능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Claims (17)

  1.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____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 핸드프리장치와, 상기 제1핸드프리장치에 사용되도록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 또는 / 및____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핸드프리장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조수석 앞쪽 수납박스 상부에 마이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3.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____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 핸드프리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수납박스내에 제2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핸드프리장치와, 상기 제1핸드프리장치 또는/ 및 제2핸드프리장치에 사용되도록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 또는/ 및____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핸드프리장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조수석 앞쪽 수납박스 상부에 ____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5.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____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핸드프리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수납박스내에 제2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핸드프리장치와,
    개폐식 덮개가 설치된 뒷좌석의 팔걸이 수납함에 제3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한 제3핸드프리장치와,
    상기 제1핸드프리장치 내지 제3핸드프리장치에 사용되도록 각각 뒷문 창위쪽에 위치 또는/ 및 ____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핸드프리장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조수석 앞쪽 수납박스 상부에 ____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7.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____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핸드프리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수납박스내에 제2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핸드프리장치와, 개폐식 덮개가 설치된 뒷좌석의 팔걸이 수납함에 제3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한 제3핸드프리장치와, 자동차 뒷문 양쪽 안쪽에 형성된 훈육부에 개폐식 덮개가 형성된 수납홈을 각각 형성하고, 이 수납홈내에 제4및 제5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며, 마이크를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시킨 제4 및 제5 핸드프리장치로 이루어진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핸드프리장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조수석 앞쪽수납 박스 상부에 ____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제3 및 제4핸드프리장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10. 핸들부위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판의 ____위치 또는 카라디오 부근의 위치에 제1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핸드프리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수납박스내에 제2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여 입출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핸드프리장치와, 개페식 덮개가 설치된 뒷좌석의 팔걸이 수납함에 제3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한 제3 핸드프리장치와, 자동차 뒷문 양쪽 안쪽에 형성된 훈육부에 개폐식 덮개가 형성된 수납홈을 각각 형성하고, 이 수납홈내에 제4 및 제5충전용 케이스를 내장하며, 마이크를 각각 뒷문 창 위쪽에 위치시킨 제4 및 제5핸드프리장치로 이루어진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핸드프리장치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핸드프리장치를 자동차내에 장착하고, 상기 선택된 핸드프리장치에서 사용되도록 핸들부위 또는 / 및 조수석 수납함 위치 또는/ 및 각각 뒷좌석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 마이크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11. 내부에 핸드폰을 수납할 수 있는 내장장치틀 구비하고, 중앙 하부에 기어를 , 측면 양쪽에는 가이드편 및 가이드 돌편을 형성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가이드편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내부에 충전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상기 상부판의 기어와 맞물리는 치차를 형성한 후, 이 치차축에 고정되어 있는 모우터를 동력수단으로 충전용 케이스를 구성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전면부에는 상부판 인출시 구동하는 푸쉬스위치를 장착하고, 상기 하부판의 가이드홈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상부판의 인출확인용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판의 뒷쪽에는 상기 상부판의 수납시 수납확인용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과 하부판은 상부판의 입출고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한 회전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동력수단은 댐퍼 및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기어와 맞물린 치차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편과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이 일정한 원주각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16. 초기 모우터 정회전용 푸쉬스위치(SW1), 상부판(50)의 인출 확인용 리미트스위치 (LS1), 상부판의 수납 확인용 리미트스위치 (LS2) 가 저항 (R14-R19)을 통하여 연결되는 집적소자(IC)와, 상기 리미트스위치(LS2)의 접속유무에 따라 구동되는 저항(R21),(R20), 콘댄서(CI), 트랜지스터(Q7)로 구성된 클럭제어부(61)와, 상기 집적소자(IC)의 출력포트(P9),(P12)의 레벨 상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트랜지스터(Q5),(Q6)로 구성된 모우터 방향제어부(62)와, 상기 모우터 방향 제어부(62)의 출력을 받아 구동하고, 저항 (R1-R10), 트랜시스터(Q1-Q4)로 구성된 모우터 구동부(63)로 핸드프리장치의 제어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소자(IC)는 2개의 플립플롭 소자를 내장한 소자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KR1019960029084A 1996-07-19 1996-07-19 개인휴대용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KR0180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084A KR0180896B1 (ko) 1996-07-19 1996-07-19 개인휴대용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JP8258001A JPH1059084A (ja) 1996-07-19 1996-09-30 個人携帯通信端末機用自動車内蔵装置
US08/733,570 US5974332A (en) 1996-07-19 1996-10-18 Built-in handfree and battery charging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le
DE19647405A DE19647405A1 (de) 1996-07-19 1996-11-15 Eingebautes Freihand- und Batterielade-Kommunikationssystem für ein Fahrzeug
DE29619894U DE29619894U1 (de) 1996-07-19 1996-11-15 Eingebautes Freihand- und Batterieladekommunikationssystem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084A KR0180896B1 (ko) 1996-07-19 1996-07-19 개인휴대용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488A KR980013488A (ko) 1998-04-30
KR0180896B1 true KR0180896B1 (ko) 1999-05-15

Family

ID=1946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084A KR0180896B1 (ko) 1996-07-19 1996-07-19 개인휴대용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74332A (ko)
JP (1) JPH1059084A (ko)
KR (1) KR0180896B1 (ko)
DE (2) DE29619894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798A (ko) * 2000-09-07 2002-03-13 김기일 휴대폰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4333A (en) * 1997-07-25 1999-10-26 E-Lead Electronic Co., Ltd. Automobile acoustic unit having integrated cellular phone capabilities
IT236363Y1 (it) * 1997-12-02 2000-08-08 Fiat Auto Spa Dispositivo di supporto per un'apparecchiatura telefonicacomprendente un telefono portatile, particolarmente per autoveicoli.
US6542758B1 (en) * 1997-12-11 2003-04-01 Ericsson Inc. Distributed radio telephone for use in a vehicle
US6505057B1 (en) * 1998-01-23 2003-01-07 Digisonix Llc Integrated vehicle voice enhancement system and hands-free cellular telephone system
DE19817346B4 (de) * 1998-04-18 2007-08-09 Volkswagen Ag Fahrzeugkonsole mit einer Haltevorrichtung für ein Autotelefon
US6131042A (en) * 1998-05-04 2000-10-10 Lee; Chang Combination cellular telephone radio receiver and recorder mechanism for vehicles
DE29815705U1 (de) * 1998-07-16 1999-09-30 Hymer Ag Büroeinheit für Fahrzeuge
KR20000020941A (ko) * 1998-09-24 2000-04-15 이한상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차량용 유니버셜 핸즈프리 어댑터
US6215869B1 (en) * 1998-11-17 2001-04-10 Sony Corporation Articulating telephone base
TW472992U (en) * 1999-02-01 2002-01-11 Cotron Corp Transferring device for telephone
DE19906051A1 (de) * 1999-02-12 2000-08-17 Volkswagen Ag Haltevorrichtung für ein Handtelefon als Handy in einem Kraftfahrzeug
EP1247428B1 (en) * 1999-12-09 2003-08-27 Frederick Johannes Bruwer Speech distribution system
DE10062163A1 (de) * 2000-12-14 2002-06-20 Volkswagen Ag Haltevorrichtung für ein Telefon in einem Kraftfahrzeug
EP1301015B1 (en) * 2001-10-05 2006-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ands-Fre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in a vehicle
GB2382491B (en) * 2001-11-27 2005-12-21 Nokia Mobile Development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pport structures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E10203599A1 (de) 2002-01-30 2003-08-07 Arvinmeritor Gmbh Mikrophonbaugruppe für Fahrzeugfreisprecheinrichtung und Fahrzeugfreisprecheinrichtung
US20040198304A1 (en) * 2002-07-17 2004-10-07 Chin-Yang Wang Fasten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GB0324924D0 (en) * 2003-10-24 2003-11-26 Nissan Technical Ct Europ Ltd Holder for use in a vehicle
US20050127122A1 (en) * 2003-12-12 2005-06-16 Lear Corporation Universal Feature Attachment System
US20050133557A1 (en) * 2003-12-12 2005-06-23 Lear Corporation Universal feature attachement system
WO2008107080A1 (de) * 2007-03-05 2008-09-12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Fahrzeugintegrierte halterung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DE102008057038A1 (de) 2008-11-12 2010-05-20 Daimler Ag Kommunikations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die zumindest ein erstes Mobiltelefon und/oder ein zweites Mobiltelefon umfasst, welche über jeweils eine Schnittstelle an jeweils eine Freisprecheinrichtung gekoppelt sind
EP2519424A2 (en) * 2009-12-28 2012-11-07 Toyoda Gosei Co., Ltd. Recharging or connection tra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E102012008381A1 (de) * 2011-09-09 2013-03-14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Halterung und zum Betreiben eines mobilen Gerätes in einem Kraftfahrzeug
FR2987007B1 (fr) * 2012-02-21 2014-04-04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accueil pour communicateur portatif
JP5996312B2 (ja) * 2012-07-20 2016-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携帯端末保持装置
WO2015057851A1 (en) * 2013-10-15 2015-04-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bile device holder
CN108099806B (zh) * 2017-12-15 2019-11-05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车载手机固定及监测装置
DE102017223729B3 (de) 2017-12-22 2019-05-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ommunikations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US20200186181A1 (en) * 2018-12-06 2020-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Wireless charging phone retention assembly
US10780840B1 (en) * 2019-07-31 2020-09-22 Tammie Richardson Cellphone stand draw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0614A (en) * 1980-12-15 1982-06-22 Hitachi Ltd Magnetic recorder and reproducer
JPH03109829A (ja) * 1989-09-25 1991-05-09 Fujitsu Ltd 携帯電話用車載アダプタシステム
JPH04113947A (ja) * 1990-09-05 1992-04-15 Ietatsu Ono 自動車用電話器
US5659887A (en) * 1991-06-15 1997-08-19 Kabushiki Kaisha Honda Access Portable radiotelephone and holder for mounting within a vehicle
US5568537A (en) * 1993-03-15 1996-10-22 Shechet; Mark J. Transportable mobile cellular system
US5556017A (en) * 1995-02-21 1996-09-17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Hinged phone bracket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798A (ko) * 2000-09-07 2002-03-13 김기일 휴대폰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9084A (ja) 1998-03-03
US5974332A (en) 1999-10-26
DE19647405A1 (de) 1998-01-22
DE29619894U1 (de) 1997-02-13
KR980013488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896B1 (ko) 개인휴대용 통신 단말기용 자동차 내장장치
US6785531B2 (en) Dual-function removable reversable unit for radio and telephone
US5418836A (en) Radiotelephone equipment for use in vehicle
JPH04506284A (ja) 自動車に取付けるための通信装置
JPH10297391A (ja) 自動車のスイッチ装置
JP3098892U (ja) 携帯電話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自動車の室内コンポーネント用の制御装置
JP3043812U (ja) 個人携帯通信端末機用自動車内蔵装置
JP2980653B2 (ja) 車載テレビ格納装置
RU2413634C2 (ru) Панель двери со встроенной функцией блока зеркала заднего обзора
JPH0538984A (ja) コードレス自動車電話
JPH10226281A (ja) 自動車電話システム
US20040051337A1 (en) Visor assembly having electronics package
JP2533258Y2 (ja) 自動車電話機
KR100500292B1 (ko)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구동장치
CN215222262U (zh) 定位旋转手机支架
CN220947689U (en) Flip structure for armguard of chair with control system
JP3348211B2 (ja) 電子機器
CN219737992U (zh) 一种车载投影系统及车辆
JPH10243074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話システム
KR101866311B1 (ko) 개폐 조절이 용이한 선루프
KR100526895B1 (ko)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KR200284296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세트
KR0166518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암레스트
JPH09175288A (ja) スライド式ドア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H10210122A (ja) 自動車電話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