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895B1 -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895B1
KR100526895B1 KR10-2003-0060386A KR20030060386A KR100526895B1 KR 100526895 B1 KR100526895 B1 KR 100526895B1 KR 20030060386 A KR20030060386 A KR 20030060386A KR 100526895 B1 KR100526895 B1 KR 10052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movable
groove
center cu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125A (ko
Inventor
이상주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8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센터 컵홀더는 2개의 수납부가 한쌍을 이루면서 낮게 설치됨에 따라 콘솔박스 전방의 공간이 협소해지며 타부품과 간섭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에는 고정수납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의 내면에는 장공(121)과 랙기어(122)와 원터치스위치(140)가 설치되는 끼움홈(130)이 형성된 설치홈(120)과 하부 외면에는 걸림홈(151)이 구비된 걸림구(150)가 형성된 고정부재 (100)와, 상측에는 가동수납부(210)가 위치하고 그 하측으로는 작동부(22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220)에는 피니언기어(226)가 설치된 연장부 (225)와 고정편(227)과 작동구(228)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200)와, 일단은 축봉(31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고정구(320)가 설치된 판스프링(300)으로 이루어진 센터 컵홀더를 구성함에 따라, 센터 컵홀더의 가동수납부(210)가 고정수납부(110)에 수납되면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콘솔박스(410) 전방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가동수납부(210)와 고정수납부(110)를 분리시켜 사용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Center cup holder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콘솔박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센터 컵홀더를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차내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센터 컵홀더의 효율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부품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 실내의 바닥과 천장의 내장재, 선바이저, 도어트림 등으로 구성되며, 그 목적은 실내의장의 향상과 쾌적성의 향상, 그리고 승차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대해 살펴보면 그 기능은 각종 계기류나 공조장치 및 음향장치를 지지하고, 충돌시 승차원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본체는 수지성형품 또는 세프티패드의 일체발포성형폼을 차체패널에 고정시켜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일측에는 각종 사물등을 보관할 수 있고 덮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구조의 글로브박스가 설치되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중앙 아래쪽에는 재떨이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이 설치되는데, 상기 콘솔은 플로어패널의 터널부에 설치된 파킹브레이크의 일부를 덮는 간단한 것부터 대형인 경우에는 전방으로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후방에는 암레스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뚜껑이 구비된 콘솔박스가 설치된 것도 있다.
또한 상기 콘솔박스의 전방으로는 운전자와 조수석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센터 컵홀더가 설치되기도 하는데, 종래의 센터 컵홀더는 운전자와 조수석 승객을 감안하여 2개가 한쌍을 이루면서 낮게 설치됨에 따라 센터 컵홀더에 의해 콘솔박스 전방의 공간이 협소해지고, 타부품과의 간섭이 쉽게 발생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솔박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센터 컵홀더를 최소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타부품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이분되어 대향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측에는 고정수납부가 형성되고 하측의 내면 전방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원터치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의 외면 전방에는 상기 설치홈과 연결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면에는 랙기어가 설치되며, 하측의 외면 후방에는 걸림홈이 구비된 걸림구가 형성된 고정부재와;
일측에 끼움부가 구비된 가동수납부를 형성하되 끼움부의 저면에는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수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작동부에는 상단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부의 끼움공에 결합되도록 하며, 작동부의 하단 전방에는 피니언기어가 구비된 연장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 후방에는 고정편과 작동구가 형성된 가동부재와;
일단은 고정부재의 걸림홈에 고정되는 축봉에 감겨져 있으며, 타단은 가동부재의 고정편에 고정되는 걸림구와 연결되는 판스프링을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분된 고정부재의 설치홈에 가동부재의 작동부가 위치시킨 상태로 이분된 고정부재를 결합하면 고정부재의 고정수납부에 가동부재의 가동수납부가 포개지면서 센터 컵홀더가 최소의 크기로 구성됨에 따라 콘솔박의 전방에 최소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센터 컵홀더를 2명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동부재를 승강시켜 고정수납부와 가동수납부를 개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어 센터 컵홀더의 효율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가 콘솔박스 전방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의 콘솔박스 전면에 설치되는 센터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분되어 대향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측에는 고정수납부(110)가 형성되고 하측의 내면 전방에는 설치홈(120)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끼움홈(130)이 형성되어 원터치스위치(140)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의 외면 전방에는 상기 설치홈(120)과 연결되는 장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21)의 일측면에는 랙기어(122)가 설치되며, 하측의 외면 후방에는 걸림홈(151)이 구비된 걸림구(150)가 형성된 고정부재(10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측에 끼움부(211)가 구비된 가동수납부(210)를 형성하되 끼움부 (211)의 저면에는 내주면에 기어(213)가 형성된 끼움공(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수납부(210)의 하측에 연결되는 작동부(220)에는 상단에 결합부(221)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부(211)의 끼움공(212)에 결합되도록 하며, 작동부(220)의 하단 전방에는 피니언기어(226)가 구비된 연장부(225)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 후방에는 고정편 (227)과 작동구(228)가 형성된 가동부재(200)를 특징으로 하느 것이다.
또한 일단은 고정부재(100)의 걸림홈(151)에 고정되는 축봉(310)에 감겨져 있으며, 타단은 가동부재(200)의 고정편(227)에 고정되는 걸림구(150)와 연결되는 판스프링(300)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60)은 고정수납부(110)에 형성되어 콘솔박스(410) 전방에 위치한 콘솔몸체(400)와 결합되는 브라켓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내의 콘솔박스(410) 전방에 설치되는 센터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혼자 또는 두명이 함께 컵홀더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차내의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컵홀더의 효율성과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 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센터 컵홀더는 고정부재(100)와 가동부재(200)와 판스프링(300)으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2개의 부품으로 이분되어 제작된 후 대향된 상태로 결합되며 그 상측에는 고정수납부(110)가 형성되고 그 하측 내부에는 설치홈(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홈(120)의 전방에는 장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21)의 일측에는 랙기어(122)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20)의 후방으로는 끼움홈(130)이 설치되고 상기 끼움홈(130)에는 통상의 원터치스위치(14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수납부(110)의 하측 외부에는 걸림홈(151)이 구비된 걸림구(150)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가동부재(200)는 상측의 가동수납부(210)와 상기 가동수납부(2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작동부(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수납부(210)의 일측에는 저면에 끼움공(212)이 형성된 끼움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212)의 내주면에는 기어(2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220)의 상단 결합부(221) 외주면 양측에는 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홈(222)의 내부에는 스프링(223)과 볼(224)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있는데, 이러한 작동부(220)의 결합부(221)가 상기 가동수납부(210)의 끼움부(211)에 형성된 끼움공(212) 내부로 끼워진 후 작동부(220)를 중심으로 가동수납부(210)가 회전되면 스프링(223)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볼(224)이 끼움공(212)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213)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게 되면서 가동수납부(210)가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20)의 하측 전방에는 연장부(225)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25)의 측면으로는 피니언기어(226)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며, 작동부(220)의 하측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고정편(227)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227)의 하측으로는 작동구(228)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판스프링(300)은 일단이 축봉(310)에 수회 감겨져 있고 타단에는 고정구(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봉(310)은 고정부재(100)의 걸림구(150)에 형성된 걸림홈(151)에 끼워지게 되고 고정구(320)는 가동부재(200)의 작동부(22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227)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재(100)와 가동부재(200)와 판스프링(30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이분된 후 서로 결합되는 고정부재(100)의 두 부품 사이에 가동부재 (2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동부재(200)의 작동부(220)를 고정부재(100)의 설치홈(120)에 끼워넣게 되면 작동부(220)의 연장부(225)는 고정부재(100)의 장공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피니언기어(226)가 장공(121) 일측의 랙기어(122)와 맞물리게 되는 것이며, 작동부(220)의 후방에 설치된 작동구(228)는 고정부재(100)의 끼움홈 (130)에 설치되어 있는 원터치스위치(140)와 결합되고, 이때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감겨져 있는 축봉(310)은 고정부재(100)의 걸림구(150)에 형성된 걸림홈(151)에 고정되고, 판스프링(300)의 타단에 설치된 고정구(320)는 작동부(220)의 고정편 (227) 저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동부(220)는 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가동수납부(210)는 고정수납부(110) 내부에 포개진 상태로 끼워져 있어 센터 컵홀더가 최소한의 크기로 구성되어 콘솔박스(410) 전방에 설치됨에 따라 콘솔박스(410) 전방의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센터 컵홀더를 사용함에 있어서, 고정수납부(110)에 가동수납부(210)가 포개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한명의 사용자가 센터 컵홀더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없지만 운전석과 조수석에 앉아 있는 두명의 승객이 센터 컵홀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정수납부(110)와 가동수납부(210)를 개별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수납부(110)에 포개져 있는 가동수납부(210)를 하측방향으로 눌러준 다음 놓게 되면 가동부재(200)의 작동부(220)가 하강을 하게 되면서 고정부재(100)의 원터치스위치(140)에 결합되어 있던 작동부(220)의 작동구 (228)가 원터치스위치(140)로부터 분리되고, 이때 일단은 걸림홈(151)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편(227)에 풀려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300)이 다시 감기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작동부(220)가 설치홈(120)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작동부(220)가 설치홈(120)을 따라 승강할 때 작동부 (22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226)가 고정부재(100)에 형성된 랙기어(122)에 맞물린 상태로 서서히 움직임에 따라 작동부(220)가 설치홈(120)을 따라 급하게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부(220)가 완전히 승강을 하게 되면 작동부(220)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수납부(210)가 고정수납부(110)의 내부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고정수납부(110) 상측에 가동수납부(210)가 놓이게 되는 것이며, 상기 가동수납부(210)는 작동부(22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가동수납부(21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용하게 됨에 따라 두명의 사용자가 가동수납부 (210)와 고정수납부(110)를 개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콘솔박스(410) 전방의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동수납부(210)를 회전시켜 고정수납부(110)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동수납부(210)를 하측방향으로 눌러주게 되면 가동수납부(210)는 고정수납부 (110)에 끼워져 수납되고 판스프링(300)이 풀려지면서 작동부(220)의 피니언기어 (226)가 고정부재(100)의 랙기어(122)를 따라 서서히 이동하게 되다가 작동부(220)의 작동구(228)가 고정부재(100)의 원터치스위치(140)에 끼워지게 되면 작동구 (228)가 원터치스위치(140)에 고정됨에 따라 가동수납부(210)는 고정수납부(110)에 포개진 상태를 유지되므로 콘솔박스(410)의 전방 공간을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내의 콘솔박스 전방에 설치되는 센터 컵홀더를 최소의 크기로 구성함에 따라 콘솔박스 전방에 센터 컵홀더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 또한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에 따라 센터 컵홀더를 하나의 수납부 또는 두개의 수납부로 간단히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a 와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컵홀더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부재 110 : 고정수납부
120 : 설치홈 121 : 장공
122 : 랙기어 130 : 끼움홈
140 : 원터치스위치 150 : 걸림구
151 : 걸림홈 200 : 가동부재
210 : 가동수납부 211 : 끼움부
212 : 끼움공 213 : 기어
220 : 작동부 221 : 결합부
222 : 홈 223 : 스프링
224 : 볼 225 : 연장부
226 : 피니언기어 227 : 고정편
228 : 작동구 300 : 판스프링
310 : 축봉 320 : 고정구

Claims (1)

  1. 자동차 실내의 콘솔박스 전방에 설치되는 센터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분되어 대향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측에는 고정수납부(110)가 형성되고, 하측의 내면 전방에는 설치홈(120)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원터치스위치(140)가 결합되는 끼움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의 외면 전방에는 상기 설치홈(120)과 연결되는 장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21)의 일측면에는 랙기어(122)가 형성되며, 하측의 외면 후방에는 걸림홈(151)이 구비된 걸림구(15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00);
    일측에 끼움부(211)가 구비된 가동수납부(210)를 형성하되 끼움부(211)의 저면에는 내주면에 기어(213)가 형성된 끼움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수납부 (210)의 하측에 연결되는 작동부(220)의 상단에는 상단 외주면에 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홈(222)으로 스프링(223)과 볼(224)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결합부 (221)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11)의 끼움공(212)에 결합되며, 작동부(220)의 하단 전방에는 피니언기어(226)가 구비된 연장부(225)가 형성되고, 하단 후방에는 고정편(227)과 작동구(228)가 형성된 가동부재(200);
    일단은 상기 걸림구(150)의 걸림홈(151)에 고정되는 축봉(310)에 감겨진 상태로 고정되며, 타단에는 작동부(220)의 고정편(227)에 고정되도록 고정구(320)가 연결되어 있는 판스프링(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KR10-2003-0060386A 2003-08-29 2003-08-29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KR10052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386A KR100526895B1 (ko) 2003-08-29 2003-08-29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386A KR100526895B1 (ko) 2003-08-29 2003-08-29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125A KR20050022125A (ko) 2005-03-07
KR100526895B1 true KR100526895B1 (ko) 2005-11-08

Family

ID=3723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386A KR100526895B1 (ko) 2003-08-29 2003-08-29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55B1 (ko) * 2013-12-31 2015-06-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극장 좌석용 음식 용기 거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55B1 (ko) * 2013-12-31 2015-06-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극장 좌석용 음식 용기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125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261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8172293B2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support systems
US20070085363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10829054B2 (en) Stor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body movable one relative to the other
US9296341B2 (en) Tip out style vehicle interior door
US20070236036A1 (en) Articulated component
US6799785B1 (en) Glove box door damping device
CN214189433U (zh) 汽车座椅侧方位杯托
KR100526895B1 (ko)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KR100558532B1 (ko)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테이블
KR102177003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52689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컵홀더
CN112644358A (zh) 用于汽车座椅的侧向杯托
KR101152332B1 (ko) 자동차의 센터콘솔 암레스트 조립체
KR10082973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KR2013006898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KR100879939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KR102452228B1 (ko) 차량용 콘솔박스
KR100568888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덮개
JP2006021771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KR200152927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컵홀더구조
KR200197574Y1 (ko) 자동차용 컵홀더의 구조
KR200377573Y1 (ko) 자동차용 팔걸이기능을 구비한 컴팩트디스크 보관함
KR200404898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543756B1 (ko) 자동차용 물품보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