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731B1 -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731B1
KR100829731B1 KR1020070073938A KR20070073938A KR100829731B1 KR 100829731 B1 KR100829731 B1 KR 100829731B1 KR 1020070073938 A KR1020070073938 A KR 1020070073938A KR 20070073938 A KR20070073938 A KR 20070073938A KR 100829731 B1 KR100829731 B1 KR 10082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ixing
fixed
rotar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환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앞좌석 뒷면에 설치된 테이블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테이블의 회전속도가 빨라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경우가 있었으며, 작동과정에서 테이블의 반복된 하중으로 인해 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부품이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단이 사각형상의 연결부(110)로 구성되고, 그 연결부(110)의 측면에는 고정공(111)이 형성된 회전축(100)과 회전축(100)의 양단이 관통되는 설치공(210)의 이면으로 설치공(210)과 일치하도록 중앙에는 끼움공(221)이 구비되며, 바깥면에는 돌출부(222)와 홈부(223)가 반복 형성된 고정캠(220)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0)과; 고정캠(220)의 바깥면에 접면되어 위치하며, 안쪽면에는 고정캠(220)의 돌출부(222)와 홈부(223)와 상응하여 접면되는 돌출부(232)와 홈부(233)가 반복 형성되고, 중앙에는 회전축(100)의 양단 연결부(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공(231)이 형성된 회전캠(230)과; 회전캠(230)의 사각공(231)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110)의 고정공(111)에 스프링(240)과 함께 고정되면서 스프링(240)의 압축력으로 회전캠(230)을 고정캠(220)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250);를 구성하므로서, 고정브라켓(200)에 설치된 고정캠(220)과 회전축(100)에 설치된 회전캠(230)이 서로 접면되어 회전되면서 테이블의 프레임(300)과 함께 회전축(100)이 회전될 때 회전속도가 감속될 수 있고, 회전각도 또한 고정캠(220)과 회전캠(230)에 의해 견고히 제어될 수 있어 테이블의 동작이 부드럽고 천천히 이루어 짐에 따라 테이블의 동작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부품이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자동차, 시트, 테이블, 프레임, 회전축, 고정캠, 회전캠, 직각, 앞좌석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Table of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좌석 뒷면에 설치되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테이블이 사용자쪽으로 회전될 때 이동속도가 증가되면서 사용자쪽으로 급하게 내려와 사용자에게 상해를 가하게 되거나, 사용자쪽으로 회전될 때 하중에 대한 강성부족으로 인해 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부품이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이용하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부품으로는 인스트루먼트패널, 바닥이나 천장의 내장재, 선바이저, 어시스트그립, 도어트림 등이 있으며, 인스트루먼트패널은 수지성형폼 또는 세이프티패드의 일체발포성형홈으로 구성되고, 각종 계기류, 라디오, 시거잭, 시계, 각종 스위치류, 공조장치 등과 글로브박스, 재떨이, 콘솔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의 내장재로는 카펫이 사용되며, 카펫의 주된 기능은 외적인 미관을 고려하면서 버킹재, 펠트 등과 복합화시켜 차음성, 단열성, 흡음성이 구비되 도록 하고 있고, 천장의 내장 또한 외적인 미관을 고려하면서 단열, 차음, 흡음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선바이저는 직사일광 등에 의한 현광을 차폐하여 주행중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각 설치되며, 어시스트그립은 운전자외 승차원이 주행시 몸을 지탱하기 위하여 붙잡는 손잡이고, 도어트림은 도어의 개폐, 팔의 받침, 차음, 흡음, 각종 먼지나 물의 침입방지, 차량충돌시 탑승자의 보호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내장부품의 경우 종래에는 주로 운전자나 조수석의 승객을 위주로 설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뒷좌석 승객에게는 많은 편의장치가 제공되지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고급차량은 물론 소형이나 중형 차량 또한 뒷좌석의 승객에게 많은 편의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뒷좌석 승객을 위판 편의장치중에는 뒷좌석에 앉은 승객이 독서를 하거나, 간단한 필기를 겸한 업무를 보거나, 음식물을 안전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이 앞좌석 뒷면에 설치되기도 하는데, 통상적으로 앞좌석 뒷면에 고정브라켓이 고정되고, 그 고정브라켓에 테이블과 연결된 회전축 양측이 힌지결합되면서 사용자가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테이블을 앞좌석 뒷면으로 밀어올려 테이블의 상면을 앞좌석 뒷면에 밀착시켜두며, 테이블을 사용할 경우에는 테이블을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앞좌석 뒷면과 직각방향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앞좌석 뒷면에 설치되는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테이블의 프레임 후방에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그 회전축의 양단은 각각 고정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고정브라켓은 앞좌석 뒷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프레임을 앞좌석 뒷면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프레임의 상면이 앞좌석 뒷면에 접면되고,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하여 앞좌석 뒷면에 접면되어 있는 프레임을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고정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회전축과 함께 프레임이 반대로 회전되다가 브라켓에 구비된 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멈춰지면서 프레임이 앞좌석 뒷면과 직각방향으로 놓여지게 되어 사용자가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테이블의 프레임과 회전축이 앞좌석 뒷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브라켓에 단순히 힌지결합되어 있어 앞좌석 뒷면에 접면되어 있는 테이블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회전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가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하여 아래쪽으로 잡아당길 때 테이블의 회전속도가 빨라 그 회전과정에서 사용자가 뒷좌석에 정상적으로 앉아 있지 못하는 경우 테이블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테이블이 앞좌석 뒷면과 수직방향으로부터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브라켓에 설치된 스토퍼가 회전각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테이블의 빠른 회전속도에 따른 가속도로 인하여 하중이 스토퍼에 집중적으로 작용되면서 스토퍼가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좌석 뒷면에 설치된 테이블을 사용시 그 회전이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테이블의 동작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테이블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테이블의 회전에 따른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부품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토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앞좌석 뒷면에 고정되는 양쪽 고정브라켓에 테이블의 프레임에 고정된 회전축의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테이블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회전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이 사각형상의 연결부로 구성되고, 그 연결부의 측면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회전축과;
회전축의 양단이 관통되는 설치공의 이면으로 설치공과 일치하도록 중앙에는 끼움공이 구비되며, 바깥면에는 돌출부와 홈부가 반복 형성된 고정캠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캠의 바깥면에 접면되며, 안쪽면에는 고정캠의 돌출부와 홈부와 상응하여 접면되는 돌출부와 홈부가 반복 형성되고, 중앙에는 회전축의 양단 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공이 형성된 회전캠과;
회전캠의 사각공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의 고정공에 스프링과 함께 고정되면서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회전캠을 고정캠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
를 구성하므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앞좌석 뒷면에 고정브라켓이 설치되고, 그 고정브라켓에 테이블의 프레임에 고정된 회전축이 결합될 때 고정브라켓에 설치된 고정캠과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캠이 서로 접면되어 회전되면서 고정캠과 회전캠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어 테이블의 동작이 부드럽고 천천히 진행되면서 테이블에 의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거나 테이블의 회전각도가 제어되는 과정에서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부품이 변형 또는 파손되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와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을 구성하는 프레임(300) 후방 저면에는 회전축(100)이 고정되는데, 그 회전축(100)의 양단에는 사각형상의 연결부(110)가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며, 그 연결부(110)의 측면에는 고정공(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앞좌석 뒷면의 대향된 양쪽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200)은 회전축(100)의 양단이 각각 관통되는 설치공(210)의 이면으로 고정캠(220)이 용접되는데, 그 고정캠(220)의 중앙은 고정브라켓(200)의 설치공(210)과 일치하도록 끼움공(221)이 형성되고, 고정캠(220)의 바깥면에는 돌출부(222)와 홈부(223)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된 것이다.
또한 고정캠(220)의 바깥면에는 대향되도록 안쪽면으로 돌출부(232)와 홈부(233)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된 회전캠(230)이 접면되어 설치되는데, 이때 회전캠(230)의 중앙에는 회전축(100)의 연결부(110)가 끼워져 회전축(100)과 회전캠(23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사각공(231)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회전축(100)이 회전될 경우 고정캠(220)과는 관계없이 회전축(100)의 연결부(110)와 회전캠(230)이 일체형태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며, 회전축(100)과 함께 회전캠(230)이 동시에 회전되면 그 회전되는 범위에 따라 고정캠(220)의 돌출부(222)와 회전캠(230)의 돌출부(232)가 서로 일치될 경우 고정캠(220)의 홈부(223)와 회전캠(230)의 홈부(233)는 서로 이격되는 것이며, 고정캠(220)의 돌출부(222)와 회전캠(230)의 홈부(233)가 서로 일치될 경우 고정캠(220)의 홈부(223)와 회전캠(230)의 돌출부(232) 또한 서로 일치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캠(220)의 돌출부(222)와 회전캠(230)의 홈부(233)가 서로 일치되고, 고정캠(220)의 홈부(223)와 회전캠(230)의 돌출부(232)가 서로 일치되면 고정캠(220)의 홈부(223)에 위치한 회전캠(230)의 돌출부(232)가 고정캠(220)의 돌출부(222)에 의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되지만 회전캠(230)의 돌출부(232)는 경사 진 부위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될 수는 있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캠(230)의 바깥면에는 스프링(240)이 설치되고, 그 스프링(240)의 바깥쪽으로는 고정볼트(250)가 위치되면서 고정볼트(250)는 회전축(100)의 연결부(110)에 형성된 고정공(111)에 체결됨에 따라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캠(230)이 고정캠(220)쪽으로 탄성력 있게 밀리게 됨에 따라 회전축(100)과 함께 회전캠(230)이 회전될 때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캠(230)과 고정캠(220)이 마찰되면서 천천히 회전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소음 및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캠(220)과 회전캠(230)의 사이에는 그리스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테이블의 동작과정을 도 4a 와 도 4b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 는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서 테이블의 상면이 도면에 예시되지 않은 앞좌석 후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아 테이블의 상면이 앞좌석 후면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축(100)의 연결부(110)와 연결된 회전캠(230)의 돌출부(232)와 고정캠(220)의 돌출부(222)가 서로 접면되고, 회전캠(230)의 홈부(233)와 고정캠(220)의 홈부(223)는 서로 이격되며, 이때 고정볼트(250)와 회전캠(230)의 바깥면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240)은 압축되면서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캠(230)의 돌출부(232)와 고정캠(220)의 돌출부(222)가 강한 압력으로 서로 밀착됨에 따라 이러한 상태에서는 회전축(100)이 자연적으로 회전될 수 없게 되므로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테이블이 갑자기 아래쪽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b 는 테이블을 사용하는 상태로서 테이블의 상면이 사용자쪽으로 회전되어 도면에 예시되지 않은 앞좌석 후면과 직각을 유지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아래쪽을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축(100)의 연결부(110)와 연결된 회전캠(230)의 돌출부(232)와 고정캠(220)의 홈부(223)가 서로 접면되면서 회전캠(230)의 홈부(233)와 고정캠(220)의 홈부(223) 또한 서로 접면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회전캠(230)의 돌출부(232)가 고정캠(220)의 홈부(223)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회전캠(230)이 더이상 회전되려는 것은 회전캠(230)의 돌출부(232)가 고정캠(220)의 홈부(223)와 연속적으로 연결된 돌출부(222)에 걸리게 되면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므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테이블이 앞좌석 뒷면에 직각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테이블을 앞좌석 뒷면쪽으로 다시 회전시켜주면 고정캠(220)의 홈부(223)에 위치하던 회전캠(230)의 돌출부(232)가 고정캠(220)의 홈부(223)에서 벗어나 다시 고정캠(220)의 돌출부(222)에 접면되어 도 4a 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테이블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다른 부위를 확대하여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동작과 다른 동작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전축 110 : 연결부
111 : 고정공 200 : 고정브라켓
210 : 설치공 220 : 고정캠
221 : 끼움공 222,232 : 돌출부
223,233 : 홈부 230 : 회전캠
231 : 사각공 240 : 스프링
250 : 고정볼트 300 : 프레임

Claims (1)

  1. 앞좌석 뒷면에 고정되는 양쪽 고정브라켓에 테이블의 프레임에 고정된 회전축의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테이블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회전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이 사각형상의 연결부(110)로 구성되고, 그 연결부(110)의 측면에는 고정공(111)이 형성된 회전축(100);
    회전축(100)의 양단이 관통되는 설치공(210)의 이면으로 설치공(210)과 일치하도록 중앙에는 끼움공(221)이 구비되며, 바깥면에는 돌출부(222)와 홈부(223)가 반복 형성된 고정캠(220)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0);
    고정캠(220)의 바깥면에 접면되어 위치하며, 안쪽면에는 고정캠(220)의 돌출부(222)와 홈부(223)와 상응하여 접면되는 돌출부(232)와 홈부(233)가 반복 형성되고, 중앙에는 회전축(100)의 양단 연결부(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공(231)이 형성된 회전캠(230);
    회전캠(230)의 사각공(231)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110)의 고정공(111)에 스프링(240)과 함께 고정되면서 스프링(240)의 압축력으로 회전캠(230)을 고정캠(220)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250);
    를 구성하여 된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KR1020070073938A 2007-07-24 2007-07-24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KR100829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938A KR100829731B1 (ko) 2007-07-24 2007-07-24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938A KR100829731B1 (ko) 2007-07-24 2007-07-24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731B1 true KR100829731B1 (ko) 2008-05-15

Family

ID=3965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938A KR100829731B1 (ko) 2007-07-24 2007-07-24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39B1 (ko) * 2007-08-24 2009-01-2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460Y1 (ko) * 1993-12-30 1995-08-11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간이 테이블
KR970010328A (ko) * 1995-08-21 1997-03-27 한승준 보조 테이블이 설치된 자동차용 시트
KR20050095937A (ko) * 2004-03-29 2005-10-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460Y1 (ko) * 1993-12-30 1995-08-11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간이 테이블
KR970010328A (ko) * 1995-08-21 1997-03-27 한승준 보조 테이블이 설치된 자동차용 시트
KR20050095937A (ko) * 2004-03-29 2005-10-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39B1 (ko) * 2007-08-24 2009-01-2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53353A (ja) 車両ドア
KR10082973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US6276737B1 (en) Storage assembly for an overhead console
KR100879939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KR100558532B1 (ko)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테이블
KR20110004602A (ko) 자동차용 테이블
JP2009269578A (ja) 車両用装飾部品の離脱防止構造
JP4396382B2 (ja) 車両の乗員保護構造
KR100526895B1 (ko)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JPH0318282Y2 (ko)
JPH04197842A (ja) ドアトリム
JP2004123079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配設の変速レバーマウンティングブラケット
JP4013343B2 (ja) 車両のサンバイザー取り付け構造
KR100445176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JP2003341438A (ja) 車両用内装材の取り付け構造
JPS6010911Y2 (ja) 自動車の変速操作用レバ−装置
KR20240006115A (ko) 암레스트 받침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무빙 콘솔박스
JP4211075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等の支持軸の軸受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サンバイザー等を支持するための支持装置
KR100514446B1 (ko) 자동차용 편의용품 고정구조
KR200173420Y1 (ko) 자동차의 미러조립체
KR19980049645U (ko) 아암 레스트
KR100793746B1 (ko) 철도차량용 무인 동차 운전 좌석
JP2002192947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534094Y2 (ja) 自動車用アームレスト
KR100461113B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