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354B1 -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 Google Patents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354B1
KR0177354B1 KR1019960044741A KR19960044741A KR0177354B1 KR 0177354 B1 KR0177354 B1 KR 0177354B1 KR 1019960044741 A KR1019960044741 A KR 1019960044741A KR 19960044741 A KR19960044741 A KR 19960044741A KR 0177354 B1 KR0177354 B1 KR 017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ment
capsule
air
supply valve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124A (ko
Inventor
히사또모 오오끼
시게미 나까무라
가즈노리 이시제끼
아끼라 야나가와
Original Assignee
도오다 고오이찌로
가부시끼가이샤 유니시아 젝스
야나가와 히로미
유겐가이샤 돗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다 고오이찌로, 가부시끼가이샤 유니시아 젝스, 야나가와 히로미, 유겐가이샤 돗또 filed Critical 도오다 고오이찌로
Publication of KR97002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05B11/062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약제가 층전된 캡슐용 투약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투약기는 상기 캡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제1 부재와, 제1 부재와 연통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투약기의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캡슐이 수용되는 제1 부재를 향해 배출할 수 있도록 배열된 공기 공급 밸브 구조를 갖는 제2 부재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캡슐을 향해 지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내에 형성된 공기 흐름 통로와, 공기 흐름 통로를 통한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 투약기의 외부를 향한 캡슐내의 분말 약제의 분무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1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제3 부재와, 캡슐로부터 낙하하는 분말 약제의 일부분을 포획할 수 있도록 공기 흐름 통로내에 형성된 약제 포획 구조물과,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이 완전 개방 및 폐쇄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일 때 흐르는 공기와 함께 제1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캡슐내의 분말 약제를 차단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약제 포획 구조물 및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 사이의 상기 공기 흐름 통로에 형성된 약제 수집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본 발명은 환자의 체내에 캡슐내에 충전된 분말 약테를 투여하는 데 적합한 투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 또는 입을 통한 기관지 알레르기 또는 천식을 갖는 환자를 위한 분말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이 전술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이 치료 방법에서 자기 내장 분무기(self-contained spray)가 캡슐에 충전된 분말 약제를 환자의 코 및 입(콧구멍 및 구강)에 투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3-66382호는 분말 약제를 예를 들어 코(콧구멍)을 통해 환자의 체내에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자기 내장 분무기를 개시한다.
상기 일본 특허 출원에 개시된 분무기에서, 펌프 챔버가 환기 챔버의 입구측내에 장착되고 캡슐을 수용하는 분말체 하우징 챔버가 환기 챔버의 출구측에 장착된다. 그후 분무 구멍이 분말체 하우징 챔버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캡슐에 넣은 것이 분말체 하우징 챔버에 탈착가능하게 끼어진다. 캡슐에 넣은것안에서 캡슐에 넣은 것을 따라 연장되는 길다란 스티플(steeple)이 캡슐에 넣은 것의 공급을 위해 분말체 하우징 챔버의 전방 단부에 장착될 때 분말체 하우징내에 수용된 캡슐을 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동 밸브가 압력 흐름을 펌프 챔버로부터 분말체 하우징 챔버를 향해 통과시키고 압력 공기 유동에 반대방향인 압력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환기 챔버내의 환기 통로에 장착된다.
캡슐의 천공이 수행될 때, 분말 약제가 충전된 캡슐은 분말체 하우징에 수용되고, 그후 스티플은 분말체 하우징의 분무 구성으로 침투되어 캡슐에 넣은 것을 분말체 하우징 챔버의 전방 단부로부터 정착한다. 스티플은 캡슐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환기 구멍을 형성한다.
다음에 분말 약제를 투여하기 위해 캡슐에 넣은 것이 분말체 하우징 챔버로부터 제거되고, 분말체 하우징 챔버의 전방 단부가 환자의 콧구멍으로 삽입되고, 펌프 챔버는 가압되어 펌프 챔버로부터의 공기가 환기 챔버의 연통 통로를 통해 캡슐내에서 연통되고, 공기는 캡슐내의 약제를 분무 구멍을 통해 환자의 콧구멍중 하나로 분무되게 한다. 환자는 펌프 챔버의 가압 작동을 반복하기 위해 분말체 하우징 챔버의 전방 단부를 교호적으로 삽입하여 좌측 및 우측 콧구멍으로의 약제의 투여가 수행되게 한다. 한편 투여 작동중 및 펌프 챔버가 원형으로 복귀될 때(펌프 챔버가 외부 공기를 흡입한다), 공기는 분말체 하우징 챔버의 분무 구멍으로부터 흐르고, 약제와 함께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그러나 가동 밸브가 약제가 펌프 챔버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가동 밸브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로 이동하는 데는 약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약제는 가동 밸브가 완전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시간 중 반대 방향으로 흘러 가동 밸브에 부착된다. 분무기의 반복 사용은 약제가 가동밸브에 축적되게 하여 가동 밸브는 개방되지 않고 약제는 펌프 챔버로 흘러든다. 결과적으로 캡슐에 충전된 약제의 일부분이 펌프 챔버로 흐르기 때문에 환자에 필요한 약제의 양이 투여될 수 없으며, 환자의 체내에 대한 약효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체내에 필요량의 약제를 투여할 수 있으며, 분말약제의 일부분이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을 갖는 펌프 챔버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의 향상된 투약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분말 약제가 충전되는 캡슐을 위한 투약기의 전체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투약기의 제3 부재(분무 통로 형성 부재)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투약기의 캡슐 홀더부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펌프부의 가압에 의해 캡슐내의 약제가 분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의 기본적 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펌프부가 그 원래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약제의 분무된 분말의 유동을 나타내는, 제3도와 같은 위치에서 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의한 투약기의 제2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공기 흐름 통로의 기본적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제1수정예의 투약기의 기본적 부분의 단면도.
제8도는 제1실시예의 제2수정예에서의 투약기의 기본적 부분의 단면도.
제9도는 제1실시예의 제3수정예에서의 투약기의 기본적 부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슐 홀더 2 : 고정 부재
3 : 외피 4 : 공기 공급 통로
6 : 내피 8 : 환기 통로
9 : 가동 부재 11 : 핀
15 : 펌프부 24 : 제1 스티플
25 : 제2 스티플
이 목적을 위해 분말 약제가 충전되는 캡슐용 투약기가 제공되고, 상기 투약기는 상기 캡슐을 그안에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제1 부재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를 갖고, 제1 부재와 연통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투약기의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캡슐이 수용되는 제1 부재를 향해 배출할 수 있도록 배열된 제2 부재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캡슐을 향해 지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내에 형성된 공기 흐름 통로와, 공기 흐름 통로를 통한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 투약기의 외부를 향한 캡슐내의 분말 약제의 분무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1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제3 부재와, 캡슐로부터 낙하하는 분말 약제의 일부분을 포획할 수 있도록 공기 흐름 통로내의 형성된 약제 포획 구조물과,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이 완전 개방 및 폐쇄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일 때 흐르는 공기와 함께 제1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캡슐내의 분말 약제를 차단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약제 포획 구조물 및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 사이의 상기 공기 흐름 통로에 형성되어 분말 약제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약제 수집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의 제1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캡슐 홀더(1)가 분말 약제가 충전되는 캡슐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캡슐 홀더(1)는 이중 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 부재(2)와, 고정 부재(2)의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부재(9)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2)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에서 보았을 때 상향으로 지향된 개구를 갖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피(3)를 포함한다. 외피(3)는 대직경 외피부(3A)와, 대직경 외피부(3A)의 바닥부(3B)와, 바닥부(3B)로부터 연속되고 바닥 외피부(3B)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소직경 외피부(3C)와, 소직경 외피부(3C)의 단부에 제공되는 최하부(3D)와, 대직경 외피부(3A)의 개구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3E)를 포함하고, 플랜지부(3E)는 외피부(3A)의 내주연을 따라 대직경 외피부(3A)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 부재(9)의 드롭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사실상 하고, 고정 부재(2)를 그 외주연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 후술되는 펌프부(15)를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최하부 바닥부(3D)에는 펌프부(15)내에 개방되는 공기 공급 통로(4)가 형성된다. 핀(11)과 결합하는 결합 홈(5)이 가동 부재(9)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핀(11)은 고정 부재(2)에 대한 가동 부재(9)의 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내피(6)가 외피(3)내에 배치된다. 내피(3)는 엔벌로프부(6A)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공급 밸브(14)의 개방도를 제한하도록 엔벌로프부(6A)의 바닥부(6B)로부터 하향 연장된 하부 돌출부(6C)와, 엔벌로프부(6A)의 개방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직경을 갖는 크로커다일부(6D)와, 엔벌로프부(6A)의 벽과 바닥부(6B)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구멍부(6E)를 포함한다. 내피(6)는 크로커다일부(6D)를 통해 외피(3)의 대직경 엔벌로프부(3A)의 내주연에 연결된다. 또한 하부 돌출부(6C)는 공기 공급 밸브(14)의 개방도를 제한하도록 [공기 공급 밸브(14)의 리프트 가변] 공기 공급 밸브(14)와 접촉된다.
공기 흐름 통로의 일부분인 굽힘 통로(7)가 외피(5) 및 내피(6) 사이에 형성된다. 굽힘 통로(7)는 소직경을 갖고 내피(6)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하부 돌출부(6C)의 외주연면을 따라 형성된 제1 통로(7A)와, 그 직경이 제2 통로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통로(7A)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굽혀지는 제2 통로(7B)와, 제2 통로(7B)의 외주연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3 통로(7C)를 포함한다. 제1 통로(7A)는 공기 공급 밸브(14)를 통해 공기 공급 통로(4)와 연통되는 그 하부 단부를 갖는다.
각 환기 통로(8)가 내피(6)에 제공되고, 각 환기 통로(8)는 엔버로프부(6)에 직경방향으로 끼워져 제3 통로(7C)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제 포획부(29)와 연통시킨다.
가동 부재(9)는 고정 부재(2)의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엔벌로프부(9A)와, 외피(3)의 대직경 엔벌로프부(3A)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도록 엔벌로프부(9A)의 하부 단부에 제공되는 대직경 바닥부(9B)와, 바닥부(9B)의 중심으로부터 내피(6)의 엔벌로프부(6A)내에 연장되는 돌출부(9C)를 포함한다. 수나사(9D)가 엔벌로프부(9A)의 내주면의 전체 주연에 형성된다. 그것을 통해 제1 스티플(24)이 침투되는 제1 스티플 삽입 구멍(10)이 소직경 돌출부(9C)의 축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엔벌로프부(9A)의 바닥부(9B)를 통해 침투한다. 핀(11)이 엔벌로프부(9)의 외주 단부로부터 엔벌로프부(9A)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다. 핀(11)은 고정 부재(2)의 결합 홈(5)과 결합하여 가동 부재(9)가 고정 부재(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가동 부재(9)의 고정 부재(2)에 대한 회전은 제한된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K)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일방향 캡슐 구멍(12)이 가동 부재(9)의 엔벌로프부(9A)의 내주연측내에 형성된다. 일방향 캡슐 구멍(12)은 타방향 캡슐 구멍(21)과 집적되어 캡슐 수용 구멍(13)을 형성한다.
제1실시예의 캡슐 홀더에서 가동 부재(9)는 고정 부재(2)의 외피(3)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가동 부재(9)의 수나사(9D)가 암나사(20A)로 체결될 때, 고정 부재(2)에 대한 가동 부재(9)의 회전은 회전 정지 핀(11)에 의해 제한되어 가동 부재(9)가 분무 통로 형성 부재(18)을 향해 자동으로 끌어올려지게 한다.
밸브 몸체(14)를 갖는 공기 공급 밸브(14)는 고정 부재(2)에 형성된 공기 흐름 통로(40)를 개폐하도록 소직경 엔벌로프부(3C)내에 장착된다. 공기가 펌프부(15)로부터 공급될 때, 공기 공급 밸브(14)는 개방된다[밸브 몸체가 하부 돌출부(7A)에 도달한다]. 공기가 펌프부(15)로 흡입될 때 밸브 몸체는 공기 공급 통로(4)를 폐쇄하도록 안착된다.
펌프부(15)는 고무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펌프부(15)는 두꺼운 개방부(15A)와, 바닥부(15B)와, 두꺼운 개방부(15A) 및 바닥부(15B) 사이에 형성된 가압가능(가요성)부(15C)를 포함한다. 두꺼운 개방부(15A)는 외피(3)의 대직경 엔벌로프부(3A)의 기밀 부착된다. 또한 캡슐 홀더(1)의 거의 모든 부분은 펌프부(15)에 수용되어 투약기가 축방향으로 소형화될 수 있게 한다.
흡입 밸브 구조물(16)이 펌프부(15)의 바닥부(15B)에 제공된다. 흡입 밸브 구조물(16)은 펌프부(15)내에 연통되도록 바닥부(15B)의 중심부에 위치한 흡입 통로(16A)와, 밸브 몸체(16B)를 포함하고, 밸브 몸체는 가압가능부(15C)가 작동자(환자)에 의한 가압하에 가압될 때 폐쇄되어 펌프부(15)내의 투약기 외부의 공기를 파지된 캡슐에 공급하고, 가압가능부(15C)가 가압 상태로부터 원래 형상의 위치로 복귀할 때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펌프부(15)내로 흡입한다.
공기 공급 통로(4), 굽힘 통로(7), 각 통로(8) 및 그 안으로 스티플이 연장되는 구멍(10)을 갖는 공기 흐름 통로(17)가 형성된다.
공기 흐름 통로(17)는 캡슐 홀더(1)에 지지된 캡슐(K)를 향해 펌프부(15)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유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는 캡슐 홀더(1)의 가동 부재(9)에 배치된다. 캡슐 홀더(1)는 캡슐 홀더(1)의 하부 단부에 위치한 소직경부(18A)와, 캡슐 홀더(1)의 상부 단부에 위치한 대직경부(18B)를 초함한다. 한쌍의 좌측 및 우측 분무 노즐(19)이 형성되고 대직경부(18B)의 상부 단부에 돌출한다.
스크루 구멍(20)이 소직경부(18A)상의 가동 부재(9)를 위해 형성되고, 가동 부재(9)의 수나사(9D)로 체결되는 암나사(20A)가 스크루 구멍(20)의 개방측의 내주연에 형성된다. 타측 캡슐 구멍(21)의 스크루 구멍(20)의 깊이부에 형성되고 일측 캡슐 구멍(12)과 함께 캡슐 수용 구멍(13)을 구성한다.
한쌍의 좌측 및 우측 약제 통로(22)가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에 형성된다. 각 약제 통로(22)는 그 기부 단부에 공통 통로를 갖고, 그 선단에 분지 통로를 갖는 대체로 U형 통로에 형성된다. 분지 통로는 그 선단에 별도로 분무 출구(23)을 형성한다.
제1 스티플(24)은 핀으로 캡슐(K)의 하부 단부에 구멍을 뚫는 역할을 하고 고정 부재(2)에 연장되고, 제1 스티플(24)은 그 기부 단부에서 내피(6)의 하부 돌출부(6C)에 고정된 기부 단부와, 구멍(13)의 바닥 단부로부터 구멍의 개구를 향해 돌출하고 예리한 바늘(24A)로 형성된 선단부를 갖는다.
제1 스티플(24)은 가동 부재(9)가 펌프부(15)에 위치할 때 캡슐 수용 구멍(13)의 바닥부로부터 돌출하는 그 선단의 예리한 바늘을 갖는다. 이 상태에서 캡슐(K)이 가압하에 캡슐 수용 구멍(13)으로 삽입되어 (제4도의) 공기 흐름 구멍(H1)이캡슐(K)에 형성되게 한다.
한편 가동 부재(9)가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측에 위치될 때, 제1 스티플(24)의 선단(24A)는 핀 삽입 구멍(10)으로 후퇴되어 제1 스티플(24)의 선단(24A)이 공기 흐름 구멍(H1)으로부터 인출되게 한다. 이때 제1 스티플(24)는 핀 삽입 구멍(10)에 위치되고 핀 삽입 통로(10)에 형성된 유동 통로 영역은 교축된다. 그러므로 핀 삽입 구멍(10)은 펌프부(15)로부터의 공기의 흐름 속도가 증가되어 증가된 공기 흐름 속도가 캡슐(K)내의 약제가 효과적으로 교반되도록 허용하게 한다.
제2 스티플(25)이 제1 스티플(24)에 대면하도록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에 제공된다. 제2 스티플(25)의 기부 단부는 활주가능하고 축방향으로 배치된 슬라이드 블록(26)에 고정된다. 제2 스티플(25)의 선단은 시일 고무(27)로 침투할 수 있도록 연장되고, 예리한 바늘(25A)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블록(26)은 제2 스티플(25)을 작동시키도록 분부 형성 통로 부재(18)의 외측에 배치된 (제2도의) 작동판(28)에 연결된다. 제2 스티플(25)은 작동판(28)이 제2도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드 블록(26)을 통해 제2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스티플(25)의 선단(25A)은 캡슐(K)를 침투하도록 사용되어 공기 흐름 유출 구멍(H2)을 형성한다.
낙하 약제 포획부(19)가 내피(6)의 구멍부(6E)의 바닥부(29)에 제공되고, 투약기의 위치가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보아 지면에 대한 대략 수직일 때 제1 스티플(24)에 의해 캡슐(K)에 관통된 공기 흐름 구멍(H1)으로부터 낙하된 약제를 포획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낙하 약제 포획부(29)는 캡슐(K)로부터 낙하된 분말 약제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14)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하 약제 포획부(19)내에 포획된 분말 약제는 약제 분무중 각 환기 통로(8)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따라 캡슐(K)의 분말 약제의 일부분과 함께 환자에 공급된다.
역전 유동 차단부(30)가 외피(3) 및 내피(6) 사이에 형성된다. 역전 유동 차단부(30)는 제1실시예에서 굽힘 통로(7)의 반경방향 연장 통로(7B)의 내경측에 위치하고, 외피(3)의 바닥부(3B)로부터 상향 돌출한 환형 돌출벽부(31)와, 돌출벽부(31)에 의해 반경방향 연장 통로(7B)를 차단함에 의해 형성된 약제 수집 공간(32)을 포함한다. 교축 통로(33)가 돌출벽부(31) 및 내피(6)의 바닥부(6B)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유의하라.
역전 유동 약제 수집부(30)는 반경방향 연장통로(7B)로 분말 약제를 포함하는 공기를 순환시키고, 분말 약제가 공기와 함께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에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때 돌출 벽부(31)로 분말 약제를 포함하는 공기를 차단하여 공기내의 분말 약제를 약제 수집 공간으로 수집하여 분말 약제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14)로 부착되거나 펌프부(5)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교축 통로(33)는 공기가 펌프부(15)를 향해 순환시 순환 저항의 역할을 하여 펌프부(15)를 향한 공기의 역전 유동 자체가 억압되고 분말 약제의 역전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약제 수집 공간(32)내에 수집된 약제는 캡슐(K)내와 낙하 약제 포획부(29)내의 약제와 함께 약제 분무중 펌프부(15)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의해 환자에 공급된다.
분말 약제를 환자의 체내에 투여할 때 사용되는 제1실시예의 투약기의 작동이 이하에 설명된다.
먼저 캡슐 홀더(1)의 가동 부재(9)가 펌프부(15)에 위치하고, 제1 스티플(24)의 선단(24A)이 캡슐 수용 구멍(13)의 바닥 단부를 향해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캡슐(K)은 캡슐 수용 구멍(13)으로 삽입되고, 환자의 손가락에 의해 캡슐(K)이 캡슐 수용 구멍(13)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제1 스티플(24)의 선단(24A)은 캡슐(K)내로 관통되어 캡슐(K)에는 공기 흐름 구멍(H1) 이 형성된다.
다음에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를 캡슐 홀더(1)로 조립하기 위해, 암나사(20A)가 캡슐 홀더(1)의 수나사(9D)로 체결된다. 그러므로 캡슐 홀더(1)의 가동 부재는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의 스크루에 의해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를 향해 이동되어 캡슐(K)이 가압되고 홀더(1)의 축방향으로 약간 가압된 캡슐 수용 구멍(13)내에 유지되게 한다. 이때 공기 흐름 구멍(H1)을 형성하기 위해 캡슐(K)로 관통된 제1 스티플(24)의 선단(24A)은 캡슐(K)로부터 인출되어 캡슐(K)이 공기 흐름 구멍(H1)과, 구멍(10)과, 각 환기 통로(8)를 통해 굽힘 통로(7)와 연통되게 한다.
제1 스티플(24)이 캡슐(K)로부터 인출될 때, 캡슐(K)내의 약제는 공기 흐름 구멍(H1)으로부터 내피(6)로 낙하된다. 그러나 낙하된 약제는 내피(6)내에 형성된 낙하 약제 포획부(29)내에 포획된다.
또한 캡슐(K)내에 형성된 공기 흐름 구멍(H2)을 형성하기 위해 작동판(28)은 제2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스티플(25)이 캡슐(K)을 향해 이동하게 하고, 제2 스티플(25)의 선단(25A)은 캡슐(K)을 관통하여 공기 흐름 구멍(H2)를 형성하도록 가압된다. 그후 원위치로 복귀된 작동판(28)으로 제2 스티플(25)의 선단(25A)은 캡슐(K)로부터 인출된다. 결과적으로 캡슐(K)의 천공 작업이 수행되어 환자의 체내로의 분말 약제의 투여가 준비된다.
다음에 수용된 캡슐(K)의 천공 작업후에 환자의 콧구멍으로 투여되는 캡슐(K)내의 분말 약제의 투여 작동이 설명된다.
처음에 각 분무 노즐(19)이 환자의 콧구멍의 대응하는 것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고, 가압가능(가요성)부(15C)가 화살표 P 방향으로 가압(압착)되어 공기 흐름이 펌프부(15)로부터 발생되고, 이 공기는 공기 흐름 통로(4)의 작용에 의해 공기 밸브 구조물(14)이 하부 돌출부(6C)로 가압되어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14)을 개방하게 한다. 그러므로 가압된 공기는 공기 흐름 구멍(H1)으로부터 공기 공급 통로(4), 굽힘 통로(7) 각 공기 흐름 통로(8) 및 구멍(10)을 통해 캡슐(K)로 흐른다. 약제 혼합 공기는 공기 흐름 구멍(H2) 및 좌측 및 우측 약제 통로(22)를 통해 좌측 및 우측 노즐 쌍(23)을 분무하여, 분말 약제는 환자의 좌측 및 우측 콧구멍을 통해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한편 펌프부(15)의 가압가능부(15C)로 인가되는 힘이 해제되면, 가압가능부(15C)는 그 탄성력에 의해 제4도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R로 지시된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여 펌프부(15)가 흡입 밸브 구조물(16)의 밸브 몸체(16B)를 개방하는 음압을 나타내어 외부 공기가 흡입 통로(16A)를 통해 펌프부(15)로 흡입되게 한다.
공급 밸브 구조물(14)의 밸브 몸체가 공기 공급 통로(4)를 닫기 위해 공기 펌프부(15)내에 발생된 음압에 기인하여 공기 공급 통로(4)에 안착되기는 하지만, 외부 공기는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14)이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로 전이될 때 각 분무 노즐 출구(23)로부터 약간 흡입되어, 외부 공기가 낙하 약제 포획부(29)내에 포획된 약제와 함께 각 환기 통로(8)를 통해 굽힘 통로(7)를 향해 노즐출구(23)에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을 유의하라.
그러나 제1실시예에서 돌출벽부(31)가 굽힘 통로(7)의 반경방향 연장 통로(7B)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 유동하는 분말 약제의 일부분은 역전 유동 약제를 약제 수집 공간(32)으로 수집하기 위해 돌출벽부(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교축 통로(33)가 돌출벽부(31) 및 내피(6)의 바닥부(6B) 사이의 통로에 형성되므로 교축 통로(33)는 펌프부(15)를 향해 순환하는 공기에 순환 저항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펌프부(15)를 향한 공기의 역전 유동 자체가 억압될 수 있고,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14)를 통한 펌프부(15)내로의 분말 약제의 역전 유동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낙하 약제 포획부(29)내에 포획되고 약제 수집 공간(32)내에 차단된 분말 약제는 분말 약제의 분무중 캡슐(K)내에 존재하는 약제와 함께 펌프부(15)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따라 환자의 체내에 공급될 수 있다.
분말 약제가 충전되는 캡슐(K)를 위한 투약기의 제1 양호한 실시예에서, 낙하 약제 포획부(29)가 내피(6)에 형성되고, 역전 유동 약제 수집부(30)가 공기 흐름통로(17)의 중간에 위치되므로, 역전 유동 약제 수집부(30)는 약제 수집 공간(32)을 한정하는 돌출부(31)에 의해 구성되고, 캡슐(K)로부터 낙하된 약제는 낙하 약제 포획부(29)로 포획될 수 있고, 펌프부(15)를 향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약제는 그 원래 형상으로의 펌프부(15)의 가압가능부(15C)의 복귀중 유동된 공기 역전 흐름과 함께 역전 흐름 약제 수집부(30)의 돌출벽부(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어 역전 흐름 약제를 약제 수집 공간(32)으로 수집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분말 약제는 2 단계에서 펌프부(15)로 순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캡슐(K)로부터 유동된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14)의 밸브 몸체로의 분말 약제의 부착 및 축적에 기인한 공급 밸브 구조물(14)의 밸브 개방 실패는 방지될 수 있고, 펌프부(15)로의 분말 약제의 침입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교축 통로(33)가 형성되어 역전 흐름 약제 수집부(30)에서 펌프부(15)를 향해 순환되는 공기의 공기 순환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펌프부(15)를 향한 공기의 역전 유동 자체가 억압된다. 이 점에서 펌프부(15)로의 약제의 침입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낙하 약제 포획부(29)내로 포획된 분말 약제의 일부분 및 약제 수집 공간(32)내에 수집된 분말 약제의 일부분이 분말 약제의 분무중 펌프부(15)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따라 캡슐(K)내에 남은 약제와 함께, 노즐 출구(23)와 접촉하는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고,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 약제의 필요량과 약제의 효율은 증가될 수 있다.
약제 수집 공간(32)이 돌출벽부(31)에 의해 한정되므로 약제 수집 공간(32)내에 수집되는 분말 약제의 일부분은 잠정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투약기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질지라도 수집된 약제는 펌프부(15)로 낙하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투약기의 취급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캡슐(K)을 천공하는 공구가 투약기 자체에 포함되고 약제 작업은 공구의 제거없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평3-66382호에 개시된 투약기의 경우에 필요한 공구의 탈착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더욱이 공구는 분실될 수 없으며 취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6도는 분말 약제가 충전된 캡슐용 투약기의 본 발명에 의한 제2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다른 점만이 설명된다.
제6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돌출벽부는 후술하는 2개의 돌출벽부를 포함한다.
즉 제2실시예의 역전 흐름 약제 수집부(41)는 외피(3)의 바닥부(3B)로부터 제6도에서 보아 상향으로 돌출하고 반경방향 연장 통로(7B)의 외경측에 위치한 환형 소직경 돌출벽부(42)와, 내피(6)의 바닥부(6B)로부터 하향 돌출하고 반경방향 연장통로(7B)의 외경측에 위치한 환형 대직경 돌출벽부(43)과, 돌출벽부(42, 43)에 의한 반경방향 연장 통로(7B)의 차단에 의해 형성된 약제 수집 공간(44)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단면이 크랭크형인 교축 통로(45)가 소직경 돌출벽부(42) 및 내피(6)의 바닥부(6B)사이와, 대직경 돌출벽부(43) 및 외피(3)의 바닥부(3B) 사이와, 소직경 돌출벽부(42) 및 대직경 돌출벽부(43) 사이에 형성된다.
제2실시예의 장점은 제1실시예와 대체로 같다. 특히 제2실시예에서 소직경 돌출벽부(42) 및 대직경 돌출벽부(43)가 중첩되므로, 노즐 출구(23)에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분말 약제의 일부분이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24)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돌출별부(42, 43)의 이중 구조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된다. 또한 교축 통로(44)가 단면이 크랭크형으로 형성되므로, 교축 통로(44)에 인한 순환 저항은 증가될 수 있으며, 펌프부(15)를 향한 공기의 역전 유동의 부가적 억압이 보장된다.
제7도는 제1실시예의 투약기의 제1수정예를 도시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외 같이 역전 유동 약제 수집부(51)는 반경방향 연장 통로(7B)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 연장 통로(7B)의 내주연측을 향해 상향으로 점진적으로 돌출한 테이퍼 돌출벽부(52)와, 테이퍼 돌출벽부(52)에 형성된 테이퍼 약제 수집 공간(53)과, 테이퍼 돌출벽부(52) 및 외피(3)의 바닥부(3B) 사이에 형성된 교축 통로(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8도는 제1실시예의 투약기의 제2수정예를 도시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 유동 약제 수집부(61)는 그 반경 방향으로의 두께를 갖는 돌출벽부(62)와, 굽힘 통로(7B)의 대직경 축방향 통로(7C)의 아래쪽을 향해 연속되도록 돌출벽부(62)에 의해 한정되는 볼록 환형 약제 수집 공간(63)과, 돌출벽부(62) 및 외피(3)의 바닥부(3B)사이에 형성되는 교축 통로(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9도는 제1 양호한 실시예의 투약기의 제3수정예를 도시한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전 유동 약제 수집부(71)는 외피(3)의 바닥부(3B)로부터 내피(6)의 바닥부(6B)까지 형성된 돌출벽부(72)와, 돌출벽부(72)에 의해 한정된 약제 수집 공간(73)과, 돌출벽부(72)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교축 통로(74)를 포함할 수 있다.
투약기의 각 실시예에서, 좌측 및 우측 약제 통로(22)의 쌍은 분무 형성 통로 부재(18)내에서 분지되고, 좌측 및 우측 노즐 출구(23)의 쌍은 환자의 좌측 및 우측 콧구멍으로 지향되어 분말 약제를 콧구멍에 동시에 투여한다. 그러나 약제 통로는 단일로 되어 콧구멍으로의 투여는 단일 노즐 출구를 통해 교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가 환자의 콧구멍에 적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분말 약제를 환자의 구강에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투약기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12)

  1.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에 있어서, 상기 캡슐을 그안에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제1 부재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를 갖고, 제1 부재와 연통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투약기의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캡슐이 수용되는 제1 부재를 향해 배출할 수 있도록 배열된 제2 부재와, 상기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캡슐을 향해 지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재 및 제1 부재내에 형성된 공기 흐름 통로와, 공기 흐름 통로를 통한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 투약기의 외부를 향한 캡슐내의 분말 약제의 분무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1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제3 부재와, 캡슐로부터 그안으로 낙하하는 상기 캡슐내의 분말 약제의 일부분을 포획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흐름 통로내에 형성된 약제 포획 구조물과,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이 완전 개방 및 폐쇄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일 때 흐르는 공기와 함께 제1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캡슐내의 분말 약제를 차단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약제 포획 구조물 및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 사이의 상기 공기 흐름 통로에 형성되어 분말 약제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약제 수집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집 구조물은 약제 수집 구조물 및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 사이의 상기 공기 흐름 통로에 제공되고 약제 포획 구조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부재의 축방향으로 구부려지고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까지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굽힘 통로의 형상을 갖는 약제 수집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3. 제2항에 있어서, 돌출벽부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을 향한 굽힘 통로의 단부에서 약제 수집 공간을 좁히기 위해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분말 약제를 약제 포획 구조물로 낙하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주애에 수용되는 상기 캡슐의 바닥 단부를 파괴하도록 상기 약제 포획 구조물을 통해 연장되는 선단을 갖는 제1 스티플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은 상기 제2 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의 밸브 시트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한정하는 제1 구멍과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한정하는 밸브 시트 사이로 이동가능한 밸브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압력하에 펌프 챔버의 내부 공간을 향해 구부려질수 있도록 배열된 가요성 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펌프 챔버를 포함하여 상기 펌프 챔버내의 공기가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의 개방 상태와, 굽힘 통로와, 약제 포획 구조물을 통해 공기 흐름 통로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챔버는 압력하의 펌프 챔버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가요성 부재에 인가된 힘이 해제되고 가요성 부재가 그 원형으로 복귀될 때 투약기로부터 펌프 챔버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개방되고, 압력하에 가압되도록 힘이 가요성 부재에 인가될 때 폐쇄되도록 배열된 공기 흡입 밸브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제1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상기 캡슐의 상부 단부가 노즐 출구에 연통되는 입구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약제 분무 통로와, 캡슐의 상부 단부를 파괴하도록 상기 제3 부재에서 연장되는 선단을 갖는 제2 스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제1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상기 캡슐의 상부 단부가 환자의 콧구멍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쌍의 좌측 및 우측 노즐 출구에 연통되는 입구로부터 형성된 한쌍의 좌측 및 우측 분무 통로와, 캡슐의 상부 단부를 파괴하도록 상기 제3 부재에서 연장되는 선단을 갖는 제2 스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9. 제2항에 있어서, 대직경 및 소직경 돌출벽부들이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을 향한 굽힘 통로의 단부에서 단면이 대략 크랭크형인 약제 수집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10. 제2항에 있어서, 테이퍼 돌출벽부가 제2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을 향한 굽힘 통로의 단부에서 약제 수집 공간을 점진적으로 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11. 제2항에 있어서, 대직경 돌출벽부가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을 향한 굽힘 통로의 단부에서 교축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교축 통로들이 굽힘 통로 및 공기 공급 밸브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KR1019960044741A 1995-10-09 1996-10-09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KR0177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87923 1995-10-09
JP28792395A JP3317827B2 (ja) 1995-10-09 1995-10-09 投薬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124A KR970020124A (ko) 1997-05-28
KR0177354B1 true KR0177354B1 (ko) 1999-04-01

Family

ID=1772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741A KR0177354B1 (ko) 1995-10-09 1996-10-09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10004A (ko)
EP (1) EP0768094B1 (ko)
JP (1) JP3317827B2 (ko)
KR (1) KR0177354B1 (ko)
DE (1) DE6961216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8637A (en) 1995-08-31 1998-06-02 Aerogen, Inc.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40237961A1 (en) * 1995-06-08 2004-12-02 Snow John Medlin Inhalation actuated device for use with metered dose inhalers (MDIs)
US6672304B1 (en) 1995-06-08 2004-01-06 Innovative Devices, Llc Inhalation actuated device for use with metered dose inhalers (MDIs)
JP3434396B2 (ja) * 1995-06-30 2003-08-04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鼻腔用投薬器
JP3317823B2 (ja) * 1995-08-11 2002-08-26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投薬器
JPH09253208A (ja) * 1996-03-21 1997-09-30 Unisia Jecs Corp 鼻腔用投薬器
DE69839356T2 (de) 1997-01-30 2009-06-25 Dott Ltd. Co., Yokohama Trockenpulverinhalator für Kapseln
FR2771012B1 (fr) * 1997-11-17 2000-03-10 Sofab Pulverisateur nasal
JP3488620B2 (ja) 1998-02-05 2004-01-19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JP2000217917A (ja) 1999-01-27 2000-08-08 Unisia Jecs Corp 吸入式投薬器
GB0114272D0 (en) 2001-06-12 2001-08-01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ATE339982T1 (de) 1999-07-12 2006-10-15 Capnia Inc Anordnung zur behandlung von kopfschmerzen, rhinitis und anderen leiden
US6235177B1 (en) 1999-09-09 2001-05-22 Aerogen, Inc.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n aperture plate for dispensing liquid droplets
US20070039615A1 (en) 1999-11-08 2007-02-22 Capnia,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rhinitis
EP1237610B1 (en) 1999-11-08 2006-05-10 Capnia Incorporated Apparatus for co-application of gases and drugs
US20060172017A1 (en) 1999-11-08 2006-08-03 Capnia,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enhanced delivery of physiologic agents to tissue surfaces
US20010029947A1 (en) * 1999-12-17 2001-10-18 Steve Paboojian Receptacles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powders
US7100600B2 (en) * 2001-03-20 2006-09-05 Aerogen, Inc. Fluid filled ampoule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aerosolizers
US8336545B2 (en) 2000-05-05 2012-12-25 Novartis Pharma Ag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n aerosol generator
US7971588B2 (en) 2000-05-05 2011-07-05 Novartis Ag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n aerosol generator
US6948494B1 (en) 2000-05-10 2005-09-27 Innovative Devices, Llc. Medicament container with same side airflow inlet and outlet and method of use
US6578436B1 (en) * 2000-05-16 2003-06-17 Fidelica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 sensing
US6457471B1 (en) * 2000-06-30 2002-10-01 Medihale Ltd. Dual-purpose medical device for upper airway treatment and methods for using same
EP1177805A1 (en) * 2000-07-31 2002-02-06 Maryland Financial Inc. Powder inhaler
WO2002013897A2 (en) 2000-08-14 2002-02-21 Advanced Inhalation Research, Inc. Inhalation device and method
SE517227C2 (sv) * 2000-09-25 2002-05-14 Microdrug Ag Inhalator för torrt pulver med folieskärare
ZA200306564B (en) * 2001-02-26 2004-10-15 Optinose As Nasal devices.
US6766799B2 (en) * 2001-04-16 2004-07-27 Advanced Inhalation Research, Inc. Inhalation device
JP4371660B2 (ja) * 2001-04-26 2009-11-25 ニユー・イングランド・フアーマシユーテイ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液体状および粉末状薬剤のための定量投与デバイス
EG24184A (en) * 2001-06-15 2008-10-08 Otsuka Pharma Co Ltd Dry powder inhalation system for transpulmonary
US20030041860A1 (en) * 2001-08-29 2003-03-06 Verona Steven N. Particulate dispenser
DE10164452A1 (de) * 2001-12-21 2003-07-03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WO2003057291A1 (en) 2002-01-07 2003-07-17 Aerogen,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ebulizing fluids for inhalation
US7677467B2 (en) 2002-01-07 2010-03-16 Novartis Pharma Ag Methods and devices for aerosolizing medicament
EP1474196B1 (en) 2002-01-15 2016-08-17 Novartis AG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n aerosol generator
ITMI20020078A1 (it) * 2002-01-16 2003-07-16 Fabrizio Niccolai Dispositivo utilizzabile nel tratamento di affezzioni delle vie respiratorie
JP3950738B2 (ja) * 2002-05-14 2007-08-01 株式会社 バイオアクティス 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ES2572770T3 (es) 2002-05-20 2016-06-02 Novartis Ag Aparato para proporcionar pulverización para tratamiento médico y métodos
WO2004073729A1 (ja) 2003-02-21 2004-09-02 Translational Research Ltd. 薬物の経鼻投与用組成物
CN1758930B (zh) * 2003-03-27 2010-06-09 株式会社新日本科学 鼻腔用粉末药剂喷药装置
US8616195B2 (en) 2003-07-18 2013-12-31 Novartis Ag Nebuliser for the production of aerosolized medication
WO2005035034A1 (ja) * 2003-10-09 2005-04-21 Bioactis Limited 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US7946291B2 (en) 2004-04-20 2011-05-24 Novartis Ag Ventilatio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aerosol generators
US20070051362A1 (en) * 2004-04-23 2007-03-08 Sullivan Timothy R Multiple unit dose drug delivery system
JP4922762B2 (ja) * 2004-08-10 2012-04-25 株式会社新日本科学 速効性でかつ高い吸収性を可能とする経鼻投与用組成物
JP2006314627A (ja) * 2005-05-13 2006-11-24 Hitachi Ltd 粉末薬剤投与器
EA012656B1 (ru) 2005-05-25 2009-12-30 Аэроджен, Инк. Вибрационные систем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JP4500280B2 (ja) * 2005-06-08 2010-07-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粉末薬剤投与器
EP2116264B1 (en) 2006-12-26 2017-09-27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Preparation for transnasal application
CA2675030C (en) 2007-01-09 2015-06-09 Mystic Pharmaceuticals, Inc. Intranasal cartridge devices
CA2688689C (en) 2007-05-16 2015-06-30 Mystic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unit dose dispensing containers
US8683995B2 (en) 2007-05-16 2014-04-01 Mystic Pharmaceuticals, Inc. Dose dispensing containers
US9248076B2 (en) 2007-05-16 2016-02-02 Mystic Pharmaceuticals, Inc. Dose dispensing containers
WO2008156586A2 (en) * 2007-06-12 2008-12-24 Alkermes, Inc.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substances
JP2010538925A (ja) * 2007-09-14 2010-12-16 ミスティック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深絞り容器成形方法
EP2429495A4 (en) * 2009-05-15 2014-01-22 Shin Nippon Biomedical Lab Ltd INTRANAS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ENHANCED PHARMACOKINETICS
GB2472327B (en) * 2009-07-31 2013-03-13 Shin Nippon Biomedical Lab Ltd Intranasal granisetron and nasal applicator
US20110092922A1 (en) 2009-10-19 2011-04-21 Trompen Mick A Transdermal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s
EP2670462B1 (en) * 2011-01-31 2017-11-22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USD752734S1 (en) 2014-03-10 2016-03-29 Civitas Therapeutics, Inc. Inhaler grip
USD752204S1 (en) 2014-03-10 2016-03-22 Civitas Therapeutics, Inc. Indicator for an inhaler
USD755367S1 (en) 2014-03-10 2016-05-03 Civitas Therapeutics, Inc. Indicator for an inhaler
USD828543S1 (en) * 2017-08-01 2018-09-11 Khanquer Pharma, Inc. Dual nostril nasal spray device
US11744967B2 (en) * 2017-09-26 2023-09-05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CN113941077A (zh) * 2021-12-21 2022-01-18 时新(上海)产品设计有限公司 高压空气胶囊及包含其的喷剂装置、喷剂组件
CN115814218B (zh) * 2023-02-14 2023-05-26 杭州希溪制药有限公司 一种设有防分离结构的粉雾剂吸入器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7158A (en) * 1937-09-28 1939-02-14 Goldenthal Philip Powder insufflator
US2992645A (en) * 1958-05-06 1961-07-18 Benger Lab Ltd Disperser for powders
US3949751A (en) * 1970-03-03 1976-04-13 Fisons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 to the body
FR2224175B1 (ko) * 1973-04-04 1978-04-14 Isf Spa
IT995109B (it) * 1973-08-01 1975-11-10 Farmaceutici Italia Apparecchio per medicinali polverizzati
IT1222509B (it) * 1987-08-17 1990-09-05 Miat Spa Insufflatore per la somministrazione di farmaci sotto forma di polvere predosata in opercoli
JP2881605B2 (ja) * 1989-08-04 1999-04-12 株式会社石川製作所 鼻口腔内微粉体噴霧器
DE4128295A1 (de) * 1991-08-27 1993-03-04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fliessfaehige med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124A (ko) 1997-05-28
EP0768094A2 (en) 1997-04-16
DE69612163D1 (de) 2001-04-26
EP0768094A3 (en) 1997-08-27
JPH0999081A (ja) 1997-04-15
EP0768094B1 (en) 2001-03-21
US5810004A (en) 1998-09-22
JP3317827B2 (ja) 2002-08-26
DE69612163T2 (de) 200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354B1 (ko)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KR0173552B1 (ko) 비강용 투약기
KR100236431B1 (ko) 비강용 투약기
KR100234611B1 (ko) 비강용 약제 투여 장치
KR100974482B1 (ko) 비강용 분말 약제 투약 장치
KR20050007536A (ko) 비강용 분말약제 투약장치
WO1996024400A1 (fr) Dispositif d'administration d'un medicament par voie intranasale
BG65349B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аерозолиране на прахообразен медикамент и метод за използването му
WO2008026730A1 (fr) Vaporisateur médical
JPH08322934A (ja) 鼻腔用投薬器
JP2003154006A (ja) 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JP3308419B2 (ja) 鼻腔用投薬器
JP3547605B2 (ja) 鼻腔用投薬器
JP3315031B2 (ja) 投薬器
JPH08243164A (ja) 鼻腔用投薬器
JP3273712B2 (ja) 鼻腔用投薬器
JP3320288B2 (ja) 鼻腔用投薬器
JP3308418B2 (ja) 鼻腔用投薬器
JP3434402B2 (ja) 投薬器
JP3317828B2 (ja) 投薬器
JP3320265B2 (ja) 鼻腔用投薬器
JPH08280809A (ja) 鼻腔用投薬器
JPH1033677A (ja) 鼻腔用投薬器
JPH0928805A (ja) 鼻腔用投薬器
JPH11221281A (ja) 鼻腔用投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