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552B1 - 비강용 투약기 - Google Patents

비강용 투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552B1
KR0173552B1 KR1019960706325A KR19960706325A KR0173552B1 KR 0173552 B1 KR0173552 B1 KR 0173552B1 KR 1019960706325 A KR1019960706325 A KR 1019960706325A KR 19960706325 A KR19960706325 A KR 19960706325A KR 0173552 B1 KR0173552 B1 KR 017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hemical
hole
nasal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736A (ko
Inventor
히사또모 오오끼
시게미 나까무라
가즈노리 이시제끼
아끼라 야나가와
Original Assignee
도오다 고오이찌로
가부시끼가이샤 유니시아 젝스
야나가와 히로미
유겐가이샤 돗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다 고오이찌로, 가부시끼가이샤 유니시아 젝스, 야나가와 히로미, 유겐가이샤 돗또 filed Critical 도오다 고오이찌로
Publication of KR97070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Abstract

비강용 투약기(1)의 캅셀 홀더(2)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8)와 고정 부재(3)로 구성하고, 가동 부재(8)의 외주에는 약품 분무부(19)의 암나사(19C)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8D)가 형성된다. 캅셀(K)을 한쪽 캅셀 구멍(11) 내에 압입하면 핀(27)의 천공단(27A)에 의해 공기 유입 구멍(H1)이 천공되고, 캅셀 홀더(2)와 약품 분무부(19)를 조립하면 가동 부재(8)는 인상되어 공기 유입 구멍(H1)으로부터 천공단(27A)이 빠진다. 공기 유입 구멍(H2)은 핀(28)에 의해 천공한다. 구멍 뚫기 도구를 투약기(1) 내에 내장하고, 캅셀(K)의 장착시에 공기 유입 구멍(H1)의 구멍 뚫기 동작을 겸한다. 핀(27,28)의 길이 방향 치수를 짧게 하는 동시에, 캅셀 홀더(2)의 외주면을 펌프부(15)로 덮고 있으므로,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비강용 투약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환자의 비강 내에 분체상(가루 모양)의 약품을 투약하는데 이용하면 적합한 비강용 투약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일반적으로, 코 알레르기, 천식 등의 환자에게 분체상 약품을 비강을 거쳐서 투여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또, 이 치료법에서는 적용의 비강용 투약기를 이용하여 캅셀 내에 충전된 분체상의 약품을 비강 내로 투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치료법에 이용되는 종래의 비강용 투약기로서 일본 특허 공개 소 59-3426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에 있어서의 비강용 투약기에서는 원통 부재의 공기 유입측에는 펌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 부재의 공기 유출측에는 캅셀이 삽입되는 오목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 형상부에 선단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캅셀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캅셀 수용부에는 펌프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도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원통 부재와 선단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캡을 갖고, 상기 캡 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을 설치하고, 상기 원통 부재의 오목 형상부와 개구부를 갖는 선단부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캡을 끼워 장착함으로써 캅셀에 구멍 뚫기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비강용 투약기에서는 우선 투약의 준비로서 캅셀의 구멍 뚫기에는 분체상의 약품이 충전된 캅셀을 원통 부재의 오복 형상부에 삽입한 후에, 선단부를 끼워 맞추어 캅셀을 캅셀 수용부에 삽입 장착하고, 캡을 선단부의 개구부 내에 핀이 삽통하게 하여 장착함으로써 상기 캡 내에 설치된 핀에 의해 캅셀의 축방향 양측에 구멍을 뚫는다.
다음에, 약품을 투여하려면 원통 부재로부터 캡을 제거하고, 선단부를 환자의 한쪽 비강에 삽입하고, 펌프부를 누름으로써 펌프부로부터의 공기가 공기 도입 통로를 거쳐서 캅셀 내로 유입하고, 상기 캅셀 내의 약품을 개구부를 거쳐서 환자의 비강 내로 반송하고, 비강에의 삽입을 교대로 교환하여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환자에의 약품의 투여를 행하게 되어 있다.
또, 종래 기술에서는 비강에의 투약은 좌우 비강에 대해 교대로 행하기 때문에 캅셀 수용부와 캅셀 사이에는 간극이 설치되고, 펌프부의 1회만의 가압 동작으로 캅셀 내의 약품이 전부 투여되지 않게 하여 한쪽 비강에서만 약 4회 정도의 동작으로 캅셀 내의 약품이 투여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비강용 투약기에서는 비강에의 투약을 한쪽 코씩 행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 비강에 균등하게 공급하도록 몇번이고 펌프부의 가압과 비강에의 원통 부재의 삽입을 반복해야 하며 투약 동작이 번거롭다.
또, 투약의 준비로서의 캅셀의 구멍 뚫기시에는 원통 부재로부터 선단부를 제거하여 캅셀을 수용하고, 이 상태에서 원통 부재와 선단부에 캡을 삽입 장착하여 구멍 뚫기를 행한다. 그리고, 투약시에는 다시 캡을 제거한 후 펌프부를 동작하여 비강에의 분무를 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캡의 부착, 제거를 행해야 하며, 준비 동작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비강용 투약기는 펌프부 이외에 원통 부재, 선단부, 구멍 뚫기용 핀이 축방향으로 설치된 캡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품 갯수가 많아지는 동시에 캡을 분실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투약 동작에 의해 약품을 투여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으로 형성한 비강용 투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비강용 투여기는 고정 부재에 대하여 내부에 분체형의 약품이 충전된 캅셀을 유지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부재를 갖는 캅셀 유지 수단과, 상기 캅셀 유지 수단을 향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캅셀 유지 수단의 고정 부재에 설치된 펌프 수단과,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캅셀 내의 약품을 환자의 비강 내를 향해 분무하기 위해 선단이 분무구가 되는 약품 통로를 갖고 상기 캅셀 유지 수단의 가동 부재에 설치된 약품 분무 수단과, 상기 캅셀에 공기 유입 구멍을 뚫기 위해 상기 캅셀 유지 수단에 설치된 제1구멍 뚫기 수단과, 상기 캅셀에 공기 유출 구멍을 뚫기 위해 상기 약품 분무 수단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구멍 뚫기 수단으로 구성한 데 있다.
따라서, 캅셀의 구멍 뚫기 동작에 있어서는 우선 캅셀의 공기 유입 구멍은 캅셀을 가동 부재에 유지하기 위해 캅셀을 압입함으로써 제1구멍 뚫기 수단에 의해 천공되고, 다음에 캅셀의 공기 유출 구멍은 가동 부재에 약품 분무 수단을 조립한 후에 제2구멍 뚫기 수단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구멍 뚫기 수단에 의해 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동작으로 캅셀에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투약 동작에서는 펌프 수단으로부터 공기를 캅셀 유지 수단에 공급하고, 이 공기는 공기 유입 구멍, 캅셀 내 및 공기 유출 구멍을 거쳐서 흐르고, 공기와 함께 캅셀 내의 약품을 약품 분무 수단의 약품 통로 및 분무구를 거쳐서 환자의 비강에 보내진다. 이로써, 환자의 좌우 양측 비강에 약품을 동시에 투여할 수 있고, 환자의 준비 동작 및 투약 동작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 약품 분무 수단의 약품 통로를 둘로 분기하고, 이 선단을 각각 별도의 분무구로 함으로써 투약 동작에서는 펌프 수단으로부터의 공기를 공기 유입 구멍, 캅셀 내 및 공기 유출 구멍을 거쳐 흐르게 하고, 이 공기와 함께 캅셀 내의 약품을 약품 분무 수단의 각 약품 통로 및 분무구를 거쳐서 환자의 좌우 비강으로 보내고, 환자의 좌우 약측 비강에 동시에 투약할 수 있고, 투약 동작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가동 부재는 조립 전에는 펌프 수단에 위치하고, 조립 후에는 약품 분무 수단측에 위치하게 하였으므로, 가동 부재를 펌프 수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캅셀에 공기 유입 구멍을 제1구멍 뚫기 수단으로 천공한 후에, 약품 분무 수단과 캅셀 유지 수단을 조립함으로써 가동 부재는 약품 분무 수단측으로 이동하여 캅셀의 공기 유입 구멍 내에 사입되어 있던 제1구멍 뚫기 수단이 상기 공기 유입 구멍으로부터 빼내어지고, 캅셀을 가동 부재에 장착하는 동작에 의해 캅셀의 공기 유입 구멍을 동시에 열 수 있고, 준비 동작을 생략할 수 있고, 환자의 투약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펌프 수단은 캅셀 유지 수단을 덮도록 설치됨으로써 비강용 투여기의 축방향 치수를 짧게 할 수 있고, 그 투약기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캅셀 유지 수단에는 약품 포획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상기 약품 포획부에 의해 구멍 뚫기 시에 펌프 수단 내로 낙하하는 약품을 포획하고, 이 포획된 약품은 투약 동작시에 펌프 수단으로부터의 공기에 의해 캅셀 유지 수단, 약품 분무 수단을 거쳐서 캅셀 내의 약품과 함께 환자의 좌우 비강으로 보낼 수 있고, 비강용 투여기 내에 남는 약품의 양을 저감하고, 캅셀 내의 약품의 규정량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비강용 투여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비강용 투여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중의 화살표 Ⅲ-Ⅲ방향에서 본 종단면도.
제4도는 캅셀을 가동 부재에 삽입함으로써 제1구멍 뚫기 수단 핀으로 캅셀의 축방향 한쪽에 공기 유입 구멍을 뚫은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5도는 캅셀 홀더에 약품 분무부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6도는 캅셀 홀더에 약품 분무부를 조립한 후에, 제2구멍 뚫기 핀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캅셀의 축방향 다른쪽에 공기 유출 구멍을 뚫은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7도는 펌프부를 가압함으로써 캅셀 내의 약품을 분무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비강용 투여기를 도시하고, 상기 비강용 투여기(1)는 축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3) 내의 상방 위치에 캅셀(K)을 유지하는 가동 부재(8)를 갖는 캅셀 홀더(2)와, 상기 캅셀 홀더(2)의 고정 부재(3)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캅셀 홀더(2)에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부(15)와, 상기 캅셀 홀더(2)의 상부에 설치되고 환자의 좌우의 비강에의 약품 분무를 행하는 약품 분무부(19)와, 상기 고정 부재(3) 내에 설치되고 상기 캅셀(K)의 공기 유입 구멍(H1)을 천공하는 제1구멍 뚫기 핀(27)과, 상기 약품 분무부(19) 내에 수용되고 상기 캅셀(K)의 공기 유출 구멍(H2)을 천공하는 제2구멍 뚫기 핀(28)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캅셀 홀더(2)는 펌프부(15)와 일체로 되며, 상기 캅셀 홀더(2)는 약품 분무부(19)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캅셀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캅셀 홀더(2)는 이중 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 부재(3)와, 상기 고정 부재(3)의 내주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부재(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가동 부재(8)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부재(3)는 동심원형으로 위치하여 단차식 유저 통형으로 각각 형성된 외통부(3A), 약품 포획부(3C)가 되는 저부를 갖는 내통부(3B), 외통부(3A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형성된 플랜지부(3D)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3D)는 외통부(3A)의 내주면을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동 부재(8)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동시에, 그 고정 부재(3)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된 펌프부(15)의 위치 결정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 외통부(3A)와 내통부(3B)는 상기 외통부(3A)의 축방향 중간에서 내통부(3B)의 개구부가 연결되고, 상기 통부(3A,3B) 사이에는 공기 유입실(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 부재(3)의 외통부(3A)의 저부(3A1)에는 상기 공기 유입실(4)을 연통하는 공기 공급 통로(5)가 형성되고, 내통부(3B)의 저부가 되는 약품 포획부(3C)에는 제1구멍 뚫기 핀(27)이 약품 분무부(19)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내통로(3B)의 측면에는 내주측과 상기 공기 유입실(4)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6,6)이 예를 들면 직경 방향으로 4개 뚫리고, 외통부(3A)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회전 방지핀(10)이 결합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계지 홈(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8)는 고정 부재(3)의 외통부(3A) 내를 상기 고정 부재(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지 재료에 의해 유저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외통부(3A)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대경의 저부(8A), 통부(8B) 및 상기 저부(8A) 중앙으로부터 내통로(3B) 내에 연장되는 소경 돌기부(8C)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8B)의 외주면에는 전체 주위에 걸쳐 수나사(8D)가 새겨져 있고, 소경 돌기부(8C)의 축방향으로는 저부(8A)를 관통하여 통부(8B) 내에 연통하고, 상기 제1구멍 뚫기 핀(27)이 삽통하는 핀 삽통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통형부(8B)의 직경 방향 일측에는 회전 방지 핀(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 핀(10)을 상기 고정 부재(3)의 걸림 홈(7)에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 부재(3)에 대해 회전 부재(8)의 회전 방지를 행하고 있다.
한편, 상기 가동 부재(8)의 통부(8B)의 내주측은 한쪽 캅셀 구멍(11)이 되며, 상기 한쪽 캅셀 구멍(11)은 약품 분무부(19)의 후술하는 다른 쪽 캅셀 구멍(22)과 일체화함으로써 캅셀 수용 구멍(12)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캅셀 홀더(2)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8)를 고정 부재(3)의 외통부(3A)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게다가 가동 부재(8)의 수나사(8D)를 후술하는 약품 분무부(19)의 암나사(19C)에 나사 결합시킬 때는 가동 부재(8)는 회전 방지 핀(10)에 의해 회전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8)가 약품 분무부(19)측으로 자동적으로 인상된다.
도면중 13은 공급 밸브를 도시하고, 상기 공급 밸브(13)는 고정 부재(3)에 형성된 공기 공급 통로(5)를 밸브 개폐하도록 공기 유입실(4)측에 설치된 대경 밸브 부재(14)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 부재(14)는 펌프부(15)로부터 공기가 공급된 때에는 밸브 개방하고, 흡입시에는 안착하여 공기 공급 통로(5)를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고무 재료에 의해 유저 원통형으로 형성된 펌프 수단으로서의 상기 펌프부(15)는 두꺼운 개구부(15A), 저부(15B) 및 주위면이 가압부(15C)가 되며, 상기 개구부(15A)는 고정 부재(3)의 개구부에 위치한 플랜지부(3D)에 맞닿게 설치함으로써 기밀 장착되는 동시에, 캅셀 홀더(2)의 대부분을 펌프부(15) 내에 매설하게 되어 있다. 또, 저부(15B)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흡입 밸브(1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흡입 밸브(16)는 펌프부(15)의 저부(15B)에 형성되고, 중앙부에 위치한 흡입 통로(17)와, 상기 흡입 통로(17)를 밸브 개폐하는 밸브 부재(18)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 부재(18)는 펌프부(15)로부터 공기가 공급된 때에는 밸브 폐쇄하고, 흡입시에는 밸브 개방하여 외부로부터 펌프부(15) 내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있다.
또, 캅셀 홀더(2)의 가동 부재(8)에 설치된 약품 분무 수단으로서의 상기 약품 분무부(19)는 수지 재료에 의해 외형은 캅셀 홀더(2)측이 원기둥형 소경부(19A), 다른 쪽이 긴 원기둥형 대경부(19B)가 되며, 상기 대경부(19B)에는 한쌍의 비강 삽입부(20,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소경부(19A)의 단부면에는 가동 부재 나사 결합 구멍(21)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 나사 결합 구멍(21)의 개구부측 내주면에는 상기 캅셀 홀더(2)의 수나사(8D)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9C)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주면에는 한쪽 캅셀 구멍(11)과 함께 캅셀 수용 구멍(12)을 구성하는 다른 쪽 캅셀 구멍(22)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다른 쪽 캅셀 구멍(22)의 깊숙한 부분에는 상기 다른 쪽 캅셀 구멍(22)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다른 쪽 캅셀 구멍(22)의 깊숙한 부분에는 상기 다른 쪽 캅셀 구멍(22)과 연통하면서 분기하는 대략 U자형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약품 통로(23,23)가 형성되고, 상기 각 약품 통로(23)의 선단측은 비강 삽입부(20) 내에 위치하여 독립한 분무구(24,24)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약품 분무부(19)의 대경부(19B)의 직경 방향 단부면에는 비강 삽입부(20,20)와 직교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미끄럼 이동판(31,31)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9D,19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약품 분무부(19) 내를 축방향으로 향해 연장하는 각 약품 통로(23)의 직경 방향 중간에는 축방향으로 제2의 구멍 뚫기 핀(28) 등을 내장하도록 직경 방향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긴 구멍(25A,25A)(제3도 참조)을 갖는 핀 삽입 구멍(25)이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 구멍(25)이 각 약품 통로(23)와 연통하는 부분에는 후술하는 구멍 뚫기 핀(28)이 삽통하는 시일 고무(26)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27은 제1구멍 뚫기 수단으로서의 제1구멍 뚫기 핀을 가리키고, 상기 제1구멍 뚫기 핀(27)은 상기 고정 부재(3)의 내통부(3B)의 약품 포획부(3C)에 위치하여 핀 삽통 구멍(9)을 거쳐서 한쪽 캅셀 구멍(11)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그 선단측이 축방향을 향해 신장하여 경사진 커트 침으로 된 천공 단부(27A)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구멍 뚫기 핀(27)의 천공 단부(27A)는, 가동 부재(8)가 펌프부(15)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한쪽 캅셀 구멍(11)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캅셀 구멍(11) 내에 캅셀(K)을 화살표(A) 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캅셀(K)에 공기 유입 구멍(H1)을 천공할 수 있다. 한편, 가동 부재(8)가 약품 분무부(19)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핀 삽통 구멍(9) 내에 있어서 한쪽 캅셀 구멍(11) 내에는 돌출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단(27A)을 공기 유입 구멍(H1)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도면중 28은 제1구멍 뚫기 핀(27)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구멍 뚫기 수단으로서의 제2구멍 뚫기 핀을 도시하고, 상기 제2구멍 뚫기 핀(28)은 상기 핀 삽입 구멍(25)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단측에 상기 핀 삽입 구멍(25)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미끄럼 이동부 블럭(29)이 설치되고, 선단측이 고무 시일(26)을 관통하여 천공단(28A)으로 되어 있다. 또, 미끄럼 이동 블럭(29)에는 긴 구멍(25A,25A)을 거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30,30)가 형성되고, 상기 각 아암부(30)의 선단측에는 약품 분무부(19)의 가이드 홈(19D,19D)을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판(31,3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미끄럼 이동판(31)을 제1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끄럼 이동 블럭(29) 및 구멍 뚫기 핀(28)을 핀 삽입 구멍(25)에 따라서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천공단(28A)에 의해 캅셀(K)에 공기 유출 구멍(H2)을 천공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비강용 투약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지만, 다음에 제4도 내지 제7도을 기초로 하여 그 사용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캅셀 홀더(2)의 가동 부재(8)를 펌프부(15)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구멍 뚫기 핀(27)의 천공단(27A)의 한쪽 캅셀 구멍(11) 내의 돌출한 상태로 된다. 이때,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캅셀(K)을 화살표(A) 방향으로부터 한쪽 캅셀 구멍(11) 내에 장착하도록 압입하면, 캅셀(K)의 펌프부(15)측에는 핀(27)의 천공단(27A)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캅셀(K)의 한쪽 축방향으로는 공기 유입 구멍(H1)이 동시에 천공된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캅셀 홀더(2)는 제4도의 상태 그대로 캅셀 홀더(2)와 약품 분무부(19)를 조립하도록, 캅셀 홀더(2)의 수나사(8D)에 약품 분무부(19)의 암나사(19C)를 나사 결합한다.
이 결과, 약품 분무부(19)를 나사 결합시키는 도중에, 캅셀 홀더(2)의 가동 부재(8)는 그 약품 분무부(19)측으로 이동하고, 가동 부재(8)의 저부(8A)가 플랜지부(3D)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다른 쪽 캅셀 구멍(22)내에 캅셀(K)은 수용되고, 상기 캅셀(K)은 캅셀 수용 구멍(12) 내에서 축방향이 약간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한편, 캅셀(K)의 펌프부(15)측에서는 공기 유입 구멍(H1)을 천공하기 위해 삽입된 제1구멍 뚫기 핀(27)의 천공단(27A)이 빼내어지고, 캅셀(K)내는 공기 유입 구멍(H1), 핀 삽통 구멍(() 및 각 연통 구멍(6)을 거쳐서 공기 유입실(4)과 연통한다.
또, 캅셀(K)로부터의 제1구멍 뚫기 핀(27)을 빼낼 때는 캅셀(K) 내의 약품이 펌프부(15)측으로 약간 낙하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내통부(3B)의 저부가 약품 포획부(3C)가 되며, 낙하해 온 약품을 포획한다(제6도 참조).
또, 캅셀(K)의 축방향 다른 쪽에 위치한 공기 유출 구멍(H2)를 형성할 때는 제2구멍 뚫기 핀(28)을 공기 유입(펌프부(15))측으로 이동하도록 각 미끄럼 이동판(31)을 제1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아암부(30) 및 미끄럼 이동 블럭(29)은 핀 삽입 구멍(25)에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구멍 뚫기 핀(28)도 펌프부(15)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구멍 뚫기 핀(28)의 천공단(28A)이 캅셀(K)의 축방향 다른 쪽에 공기 유출 구멍(H2)을 천공한다(제6도 참조).
또, 구멍 뚫기 종료 후에는 제2구멍 뚫기 핀(28) 등은 핀 삽입 구멍(25) 내에 수용되고, 천공 단(28A)은 각 약품 통로(23)와 이격하는 동시에, 시일 고무(26)에 의해 핀 삽입 구멍(25)과 각 약품 통로(23)를 차폐하고 있으므로, 투약시에 공기와 함께 운반되는 약품이 상기 핀 삽입 구멍(25)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투약시에는 각 비강 삽입부(20)를 환자의 양 비강에 삽입하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부(15)의 가입부(15C)를 눌러 찌그러뜨림으로써 펌프부(15)로부터 공기류가 발생하고, 이 공기는 공기 공급 통로(5)에 작용하여 공급 밸브(13)의 밸브 부재(14)를 내통부(3B)의 약품 포획부(3C)에 밀어 붙여서 밸브 개방하고, 공기 유입실(4), 각 연통 구멍(6), 핀 삽통 구멍(9) 및 공기 유입 구멍(H1)을 거쳐서 캅셀(K)에 유입한다. 그리고, 캅셀(K)에 유입한 공기는 약품을 교반하면서 약품이 혼입된 공기로서, 공기 유출 구멍(H2), 좌우 약품 통로(23) 및 약품 분무구(24,24)를 거쳐서 환자의 양 비강에 분무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비강용 투약기(1)에서는 캅셀(K)를 캅셀 홀더(2)의 가동 부재(8)에 장착하는 단계에 있어서, 가동 부재(8)에 공기 유입 구멍(H1)을 천공하고, 캅셀 홀더(2)와 약품 분무부(19)를 가동 부재(8)를 거쳐서 조립함으로써, 가동 부재(8)를 약품 분무부(19)로 이동시켜서 캅셀 수용 구멍(12) 내에 캅셀(K)의 축방향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캅셀(K)의 공기 유입 구멍(H1) 내에 삽입되어 있던 천공 단(27A)을 빼낼 수 있다. 또, 캅셀(K)의 공기 유출 구멍(H2)은 제2구멍 뚫기 핀(28)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천공단(28A)에 의해 천공할 수 있다.
이 결과, 캅셀(K)을 캅셀 홀더(2)에 장착하는 동작과, 제2구멍 뚫기 핀(28)을 축방향으로 1왕복시키는 동작에 의해, 캅셀(K)의 축방향으로 공기 유입 구멍(H1)과 공기 유출 구멍(H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투약 동작까지의 준비 동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캅셀(K)에 구멍을 뚫기 위한 도구는 투약기(1) 자체에 모두 내장되어 있으므로, 일체 제거하지 않고 투약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종래 기술과 같이 구멍 뚫기 도구의 착탈 동작을 생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멍 뚫기 도구가 분실될 우려는 전혀 없으며, 또 취급이 안전해진다.
또, 캅셀(K)은 캅셀 수용 구멍(12) 내에서 축방향으로 약간 밀어 붙여지게 하여 유지되어 있으므로, 캅셀(K)의 수용 구멍(12) 내에서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캅셀(K)의 공기 유입 구멍(H1)과 핀 삽입 구멍(9) 및 공기 유출 구멍(H2)와 각 약품 통로(23)를 밀착시키고, 펌프부(15)로부터의 공기를 전부 캅셀(K) 내에 유입시킬 수 있고, 약품을 캅셀(K)의 공기 유출 구멍(H2)로부터 각 약품 통로(23)로 유도되기 때문에, 각 분무구(24)로부터 분출되는 약품의 분무량을 안정시키고, 3회 정도 펌프부(15)를 가압함으로써, 캅셀(K) 내의 약품의 대부분을 환자의 좌우 비강 내에 투여할 수 있다. 이 결과, 환자가 투약 동작을 행할 때의 번거로움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 캅셀(K)의 공기 유입 구멍(H1)을 천공한 후에, 약품 포획부가 되는 내통부(3B)의 약품 포획부(3C)에 포획된 약품은 투약 동작시의 공기와 약품을 분무하고 있는 동안, 펌프부(15)로부터의 공기에 의해 반송되고, 캅셀(K) 내의 약품과 동시에, 환자의 좌우 비강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비강용 투약기(1) 내에 남는 약품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캅셀(K) 내에 충전된 약품의 규정량을 확실하게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비강용 투약기(1)의 청소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비강용 투약기(1)는 캅셀(K)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 유입 구멍(H1)과 공기 유입 구멍(H2)은 각각 다른 구멍 뚫기 핀(27,28)에 의해 행하게 하였으므로, 상기 각 핀(27,28)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전체 비강용 투약기(1)의 길이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비강용 투약기(1)에 있어서는 펌프부(15)를 캅셀 홀더(2)의 고정 부재(3)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 고정 부재(3)의 플랜지부(3D)에 펌프부(15)의 개구부(15A)가 맞닿게 부착하였으므로, 상기 펌프부(15)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부분은 약품 분무부(19) 뿐이며, 그 비강용 투약기(1)의 축방향 치수를 대폭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비강용 투약기(1)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운반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사용하기 편리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약품 분무부(19)에 형성한 약품 통로(23)를 두개 분기하여 그 선단을 각각 분무구(24,24)로 하여 환자의 좌우 비강에 동시에 투약할 수 있게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약품 통로를 하나로 하여 교대로 좌우 비강에 비강 삽입부를 삽입하여 투약하게 해도 좋다.
또, 캅셀 홀더(2)의 가동 부재(8)에 멈춤 방지 핀(10)을 별개의 부재로 설치하게 하였지만,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 고정 부재(3) 및 가동 부재(8)는 일체 성형품으로서 도시하였지만, 설계 사정상 부품을 조합시킴으로써 형성하게 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비강용 투약기는 캅셀 내에 충전된 분체상 이외에 미세한 과립 등의 약품을 상기 캅셀을 판단함으로써 흡입하는 것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고정 부재에 대해 내부에 분체상의 약품이 충전된 캅셀을 유지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부재를 갖는 캅셀 유지 수단과, 상기 캅셀 유지 수단을 향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캅셀 유지 수단의 고정 부재에 설치된 펌프 수단과,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캅셀 내의 약품을 환자의 비강 내를 향해 분무하기 위해 선단이 분무구가 되는 약품 통로를 갖고 상기 캅셀 유지 수단의 가동 부재에 설치된 약품 분무 수단과, 상기 캅셀에 공기 유입 구멍을 뚫기 위해 상기 캅셀 유지 수단에 설치된 제1구멍 뚫기 수단과, 상기 캅셀에 공기 유출 구멍을 뚫기 위해 상기 약품 분무 수단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구멍 뚫기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투약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분무 수단의 약품 통로를 둘로 분기하여 형성하고, 그 선단을 각각 별도의 분무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투약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캅셀 유지 수단의 가동 부재는 상기 캅셀 유지 수단과 약품 분무 수단을 조립하기 전에는 펌프 수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 부재에 약품 분무 수단을 조립한 후에는 상기 약품 분무 수단측에 위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투약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단은 캅셀 유지 수단의 고정 부재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투약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캅셀 유지 수단에는 상기 펌프 수단측으로 낙하하는 약품을 포획하는 약품 포획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투약기.
KR1019960706325A 1995-03-10 1996-03-11 비강용 투약기 KR0173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959595A JP3308425B2 (ja) 1995-03-10 1995-03-10 鼻腔用投薬器
JP95-79595 1995-03-10
PCT/JP1996/000596 WO1996029109A1 (fr) 1995-03-10 1996-03-11 Distributeur intranasal pour medica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736A KR970702736A (ko) 1997-06-10
KR0173552B1 true KR0173552B1 (ko) 1999-02-01

Family

ID=1369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325A KR0173552B1 (ko) 1995-03-10 1996-03-11 비강용 투약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21236A (ko)
EP (1) EP0761248B1 (ko)
JP (1) JP3308425B2 (ko)
KR (1) KR0173552B1 (ko)
CN (1) CN1148345A (ko)
DE (1) DE69626249T2 (ko)
WO (1) WO1996029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N976496A0 (en) 1996-05-10 1996-05-30 Glaxo Wellcome Australia Ltd Unit dose dispensing device
CN1215999A (zh) 1997-01-30 1999-05-05 尤尼夏·杰克斯株式会社 吸入式给药装置
JP3488620B2 (ja) 1998-02-05 2004-01-19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JP2000217917A (ja) 1999-01-27 2000-08-08 Unisia Jecs Corp 吸入式投薬器
US20010029947A1 (en) * 1999-12-17 2001-10-18 Steve Paboojian Receptacles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powders
DE10006026A1 (de) * 2000-02-10 2001-08-23 Birgit Vaassen Applikator mit zwei Schaften
TW491717B (en) * 2000-06-12 2002-06-21 Teijin Ltd Powder medicine multiple dose administration device
US6722364B2 (en) * 2001-01-12 2004-04-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ment inhalation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6782887B2 (en) * 2001-01-12 2004-08-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ment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cartridge
US6443152B1 (en) * 2001-01-12 2002-09-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ment respiratory delivery device
US6766799B2 (en) * 2001-04-16 2004-07-27 Advanced Inhalation Research, Inc. Inhalation device
WO2002092154A1 (en) * 2001-04-26 2002-11-21 New England Pharmaceuticals, Inc. Metered dose delivery device for liquid and powder agents
US20030041860A1 (en) * 2001-08-29 2003-03-06 Verona Steven N. Particulate dispenser
US10124128B2 (en) * 2001-11-14 2018-11-13 Bgp Products Operations Gmbh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removable mouthpiece
ITMI20020078A1 (it) * 2002-01-16 2003-07-16 Fabrizio Niccolai Dispositivo utilizzabile nel tratamento di affezzioni delle vie respiratorie
JP3950738B2 (ja) * 2002-05-14 2007-08-01 株式会社 バイオアクティス 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US20040206350A1 (en) * 2002-12-19 2004-10-21 Nektar Therapeutics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non-circular aerosolization chamber
US20050056280A1 (en) * 2002-12-31 2005-03-17 Nektar Therapeutics Receptacle for an aerosolizable pharmaceutical formulation
US7669596B2 (en) * 2002-12-31 2010-03-02 Novartis Pharma Ag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rotating capsule
WO2004073729A1 (ja) 2003-02-21 2004-09-02 Translational Research Ltd. 薬物の経鼻投与用組成物
MXPA05010379A (es) 2003-03-27 2006-05-31 Bioactis Ltd Aparato para administrar una medicina en polvo en la cavidad intranasal.
HUE026950T2 (en) * 2003-04-09 2016-08-29 Novartis Ag Nozzle with guide wire for puncturing the capsule
US8869794B1 (en) * 2003-04-09 2014-10-28 Novartis Pharma Ag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capsule puncturing member
WO2004091705A1 (en) * 2003-04-09 2004-10-28 Nektar Therapeutics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air inlet shield
ES2872350T3 (es) * 2003-06-13 2021-11-02 Civitas Therapeutics Inc Polvos farmacéuticos de dosis baja para inhalación
CN100515511C (zh) * 2003-10-09 2009-07-22 株式会社;生命科学活效 鼻腔用粉状药剂施药装置
EP1785145A4 (en) 2004-08-10 2008-08-13 Translational Res Ltd TRANSNASAL COMPOSITION WITH IMMEDIATE EFFECT AND HIGH RESORBIBILITY
GB0420513D0 (en) * 2004-09-15 2004-10-2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US20060289006A1 (en) * 2005-06-27 2006-12-28 Kos Life Sciences, Inc. Breath actuated nasal drug delivery system
DE102005038619A1 (de) * 2005-08-16 2007-02-22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Inhalationstherapievorrichtung mit einer Ampulle für die Bevorratung eines zu vernebelnden Medikaments
DE102006014434A1 (de) * 2006-03-27 2007-10-04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ackmittel für Mehrdosispulverinhalatoren mit optimierten Entleerungseigenschaften
EP2058024B1 (en) * 2006-08-31 2019-11-27 Hitachi Automotive Systems Measurement, Ltd. Medicine sprayer
GB0623732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EP2116264B1 (en) 2006-12-26 2017-09-27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Preparation for transnasal application
CA2675030C (en) * 2007-01-09 2015-06-09 Mystic Pharmaceuticals, Inc. Intranasal cartridge devices
US8683995B2 (en) 2007-05-16 2014-04-01 Mystic Pharmaceuticals, Inc. Dose dispensing containers
US9248076B2 (en) 2007-05-16 2016-02-02 Mystic Pharmaceuticals, Inc. Dose dispensing containers
CA2887187C (en) * 2007-05-16 2017-10-24 Mystic Pharmaceuticals, Inc. COMBINED DISPENSING CONTAINERS - UNIT DOSE
US7963089B2 (en) * 2007-09-14 2011-06-21 Mystic Pharmaceuticals, Inc. Deep draw container forming method
DE102007056462B4 (de) 2007-11-23 2011-10-27 Pari Pharma Gmbh Einwegampulle für eine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Aerosolen
US20090165795A1 (en) * 2007-12-31 2009-07-02 Nellcor Puritan Bennet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iratory therapy
US9101539B2 (en) 2009-05-15 2015-08-11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improved pharmacokinetics
GB2472327B (en) * 2009-07-31 2013-03-13 Shin Nippon Biomedical Lab Ltd Intranasal granisetron and nasal applicator
SE0901365A1 (sv) * 2009-10-22 2010-07-27 Mahbobeh-Taghinejad Sadabadi Doseringsanordning
GB0921555D0 (en) * 2009-12-09 2010-0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ose indicator
EP2670462B1 (en) 2011-01-31 2017-11-22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USD752734S1 (en) 2014-03-10 2016-03-29 Civitas Therapeutics, Inc. Inhaler grip
USD755367S1 (en) 2014-03-10 2016-05-03 Civitas Therapeutics, Inc. Indicator for an inhaler
USD752204S1 (en) 2014-03-10 2016-03-22 Civitas Therapeutics, Inc. Indicator for an inhaler
USD828543S1 (en) * 2017-08-01 2018-09-11 Khanquer Pharma, Inc. Dual nostril nasal spray device
US11744967B2 (en) 2017-09-26 2023-09-05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FR3072313B1 (fr) * 2017-10-12 2019-10-11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CA3081680A1 (en) * 2017-11-21 2019-05-31 Impel Neuropharma, Inc. Intranasal device with inlet interface
CN111407988B (zh) * 2019-12-26 2022-06-21 帕夫全球战略有限责任公司 一种医用蒸发式吸入设备
WO2022126627A1 (zh) * 2020-12-18 2022-06-23 江苏奇力康皮肤药业有限公司 双通道鼻腔药剂喷瓶
USD950711S1 (en) * 2021-06-11 2022-05-03 ChongQing Moffy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Nasal irriga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6669A (en) * 1959-06-08 1962-12-04 Melfy Frank A De Nebulizer
US3949751A (en) * 1970-03-03 1976-04-13 Fisons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 to the body
FR2224175B1 (ko) * 1973-04-04 1978-04-14 Isf Spa
GB1479283A (en) * 1973-07-23 1977-07-13 Bespak Industries Ltd Inhaler for powdered medicament
EP0041783B1 (en) * 1980-06-06 1984-12-05 FISONS plc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medicaments
JPS5934267A (ja) * 1982-08-23 1984-02-24 帝人株式会社 粉状薬剤施薬装置
WO1990013327A1 (en) * 1989-04-28 1990-11-15 Riker Laboratories, Inc. Dry powder inhalation device
DK0652022T3 (da) * 1993-05-12 1999-09-13 Teijin Ltd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afgivelse af flere doser pulverformig medicin
JP3372105B2 (ja) * 1994-05-26 2003-01-27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JP3388896B2 (ja) * 1994-08-08 2003-03-24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JP3320261B2 (ja) * 1995-06-01 2002-09-03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吸入式投薬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6249D1 (de) 2003-03-27
JPH08243163A (ja) 1996-09-24
EP0761248B1 (en) 2003-02-19
DE69626249T2 (de) 2003-12-18
EP0761248A1 (en) 1997-03-12
CN1148345A (zh) 1997-04-23
KR970702736A (ko) 1997-06-10
JP3308425B2 (ja) 2002-07-29
EP0761248A4 (en) 1998-12-23
WO1996029109A1 (fr) 1996-09-26
US5921236A (en) 199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552B1 (ko) 비강용 투약기
KR100236431B1 (ko) 비강용 투약기
KR100187737B1 (ko) 비강용 투약기
KR0177354B1 (ko)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KR100234611B1 (ko) 비강용 약제 투여 장치
KR100974482B1 (ko) 비강용 분말 약제 투약 장치
KR20050007536A (ko) 비강용 분말약제 투약장치
JPH08322934A (ja) 鼻腔用投薬器
JP3308419B2 (ja) 鼻腔用投薬器
JP2003154006A (ja) 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JPH08243164A (ja) 鼻腔用投薬器
JP3320288B2 (ja) 鼻腔用投薬器
JP3308418B2 (ja) 鼻腔用投薬器
JP3320265B2 (ja) 鼻腔用投薬器
JP3273712B2 (ja) 鼻腔用投薬器
JPH0928805A (ja) 鼻腔用投薬器
JP2009148506A (ja) 鼻腔内投薬装置
JPH09631A (ja) 鼻腔用投薬器
JPH08280809A (ja) 鼻腔用投薬器
JPH08336594A (ja) 鼻腔用投薬器
JPH1133117A (ja) 鼻腔用投薬器
JPH08238318A (ja) 鼻腔用投薬器
JPH1033677A (ja) 鼻腔用投薬器
JPH09248340A (ja) 鼻腔用投薬器
JPH09154948A (ja) 投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