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266B1 - 핀 글로미트 - Google Patents

핀 글로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266B1
KR0154266B1 KR1019950023113A KR19950023113A KR0154266B1 KR 0154266 B1 KR0154266 B1 KR 0154266B1 KR 1019950023113 A KR1019950023113 A KR 1019950023113A KR 19950023113 A KR19950023113 A KR 19950023113A KR 0154266 B1 KR0154266 B1 KR 0154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le member
elastic
glomi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858A (ko
Inventor
히데하루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6002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8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with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Dowel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착 대상물과 부착 대상물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지 않고 양자를 수밀하게 고정,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부착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핀 글로미트에 관한 것으로서, 머리부(11)와 축혀상 로드부(12)를 구비한 수부재(10)와;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가 끼워지는 관통구멍(24)이 형성된 턱부(21)와,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22, 22, …)을 구비한 암부재(20)로 구성된다. 수부재(10)의 머리부(11)에 있어서의 축형상 로드부(12)가 구비되어 있는 측의 면에는 수부재(10)와 일체로 또는 수부재(10)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를 구비한다. 또, 암부재(20)의 턱부(21)에 있어서의 탄성편(22)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는 암부재(20)와 일체로 또는 이 암부재(20)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핀 글로미트
제1도는 핀 글로미트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핀 글로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절단 측면도.
제3도는 핀 글로미트의 평면도.
제4도는 핀 글로미트의 저면도.
제5도는 핀 글로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절단 측면도.
제6도는 수부재(10)의 변경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수부재(10)의 또다른 변경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암부재(20)의 변경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핀 글로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0도는 종래 핀 글로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제11도는 종래 핀 글로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부재 11 : 머리부
12 : 축형상 로드부 13 : 탄성 실부재
20 : 암부재 21 : 턱부
22 : 탄성편 23 : 탄성 실부재
24 : 관통구멍 25 : 돌기부
26 : 돌기부 P-1 : 피부착 대상물
P-2 : 부착 대상물
본 발명은 수밀성(水密性)을 요하는 2개의 부재간의 부착에 사용되는 핀 글로미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수밀성을 요하는 2개의 부재, 예를들면 자동차의 외장패널 등을 보디패널에 부착할 때에, 이 2개의 부재에 형성된 글로미트의 부착구멍간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글로미트가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제10도에 나타내는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6-24220호에 관한 스크루 글로미트는, 바닥부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된 글로미트 본체(100)의 구멍 가장자리에 열용융 또는 열연화(熱軟化)되는 수지재로 된 플랜지(101)를 형성하여 글로미트를 구성하고 있으며, 피부착 대상물(P-1)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글로미트 본체(100)를 끼운 후, 이 플랜지(101)를 용융 또는 연화시켜서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과 글로미트 본체(100) 사이의 실(seal)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부착대상물(P-2)과 스크루(103)와의 사이는 실되어 있지 않으나, 글로미트 본체(100)가 바닥부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대상물(P-2)과 스크루(103) 사이로 흘러들어가는 빗물 등이 피부착 대상물(P-1)내로 흘러들어가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6-24220호에 관한 스크루 글로미트에서는, 피부착 대상물(P-1)에 대한 글로미트 본체(100)의 부착을 글로미트 본체(100)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02)와 상기 플랜지(101)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두께가 상이한 각종 피부착 대상물(P-1)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상기 실성의 확보에 있어서는 플랜지(101)를 용융 또는 연화시키기 위한 가열작업을 필요로 하고, 또 부착 대상물(P-2)의 고정에 있어서는 글로미트 본체(100)에 대하여 스크루(103)를 나사결합시킬 필요가 있어, 부착 대상물(P-2)의 부착을 원 터치로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상기 플랜지(1010에 의하여 상기 실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이 플랜지(101)의 두께만큼 부착 대상물(P-2)과 피부착 대상물(P-1) 사이에 틈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한편, 제11도에 나타내는 타입의 스크루 글로미트가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다. 이 글로미트는 스크루(204)의 삽입에 의하여 외측으로 휘어지는 복수의 탄성편(202)을 플랜지(201)의 일측면에 형성한 글로미트 본체(200)와, 바닥부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구멍 가장자리에 턱부(203a)를 구비한 고무성 부츠(20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에 끼워져서 임시 고정된 부츠(203)내로 글로미트 본체(200)의 복수의 탄성편(202, 202, …)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글로미트 본체(200)에 스크루(204)를 끼워서 상기 부츠(203)의 일부를 외측으로 팽창시키면서 상기 탄성편(202)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여 글로미트 본체(200)를 피부착 대상물(P-1)에 고정함으로써, 플랜지(201)와 이 피부착 대상물(P-1)과의 사이에 부착 대상물(P-2)를 끼운 형상으로 고정, 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글로미트 본체(200)의 탄성편(202)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플랜지(201)면에는 실부재(2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실부재(205)에 의하여 부착 대상물(P-2)의 부착구멍과 글로미트 본체(200)와의 사이를 실(밀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츠(203)에 의하여 스크루(204)와 글로미트 본체(200) 사이로 흘러들어간 빗물 등이 피부착 대상물(P-1) 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1도에 나타낸 타입의 스크루 글로미트는, 피부착 대상물(P-1)에 대한 글로미트 본체(200)의 고정을 상기 피부착 대상물(P-1)의 탄성편(202)의 휘어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판두께가 상이한 각종 피부착 대상물(P-1)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또 부착 대상물(P-2)의 고정은 글로미트 본체(100)에 대하여 스크루(103)를 단순히 삽입함으로써 원 터치로 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제11도에 나타낸 타입의 스크루 글로미트는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에 대하여, 우선 상기 부츠(203)를 부착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또, 피부착 대상물(P-1)에 대한 고정에 있어서, 상기 부츠(203)의 일부를 외측으로 팽창시키면서 상기 탄성편(202)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는데 충분한 힘을 갖고 글로미트 본체(200)에 대하여 스크루(204)를 끼워야 하는 것이므로, 스크루(204)의 끼움조작에 상당한 힘을 요하는 것이었다.
또한, 제11도에 나타낸 타입의 스크루 글로미트도 상기 부츠(203)의 상기 턱부(203a)의 두께만큼 부착 대상물(P-2)과 피부착 대상물(P-1)과의 사이에 틈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피부착 대상물과 부착 대상물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없이 양자를 수밀하게 고정,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핀 글로미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머리부(11)와 상기 머리부(11)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축형상 로드부(12)를 구비한 수부재(10)와;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가 끼워지는 관통구멍(24)이 형성된 턱부(21)와, 상기 턱부(21)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22, 22, …)을 구비한 암부재(20);로 이루어짐과 아우러, 상기 수부재(10)를 암부재(20)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암부재(20)의 탄성편(22)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함과 아울러 이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10)와 암부재(20)를 걸어맞추는 핀 글로미트가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축형상 로드부(12)가 구비되어 있는 측의 면에 상기 수부재(10)와 일체로 또는 상기 수부재(10)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13)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편(22)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상기 암부재(20)와 일체로 또는 상기 암부재(20)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23)를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핀 글로미트가, 상기 탄성편(22)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측의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에, 상기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를 에워싸도록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와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수부재(10)의 상기 탄성 실부재(13)의 일부분으로 침투하는 환형상의 돌기부(25)를 구비한  으로 하였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또는제2항 기재의 핀 글로미트가, 상기 탄성편(22)이 구비되어 있는 측의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상기 탄성편(22) 외측에 상기 핀 글로미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착 대상물(P-2)의 면과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암부재(20)의 상기 탄성 실부재(23)의 일부분으로 침투하는 환형상의 돌기부(26)를 구비한 구조의 것으로 하였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핀 글로미트는,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축형상 로드부(12)가 구비되어 있는 측의 면에 상기 수부재(10)와 일체로 또는 상기 수부재(10)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13)를 구비함과 아울러, 암부재(20)의 턱부(21)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편(22)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상기 암부재(20)와 일체로 또는 상기 암부재(20)에 부착 가능하게 탄성 실부재(2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 핀 글로미트를 구성하는 암부재(20)와 부착 대상물(P-2)의 부착구멍(H-2)과의 사이를 수밀하게 실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암부재(20)의 상기 관통구멍(24)과 수부재(10) 사이를 수밀하게 실할 수 있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핀 글로미트는, 특히 상기 탄성편(22)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측의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에 상기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와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와의 사이에서 상기 수부재(10)의 상기 탄성 실부재(13)의 일부분으로 침투하는 환형상의 돌기부(2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므로, 암부재(20)에 대하여 수부재(10)를 강하게 누르지 않더라도 이 돌기부(25)에 의해서 탄성 실부재(13)의 일부분이 충분히 눌려져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25)가 침투된 탄성 실부재(13)의 일부분에서 암부재(20)의 상기 관통구멍(24)과 수부재(10) 사이를 확실하게 실할 수 있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핀 글로미트는, 특히 상기 탄성편(22)을 구비하고 있는 측의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상기 탄성편의 외측에 상기 핀 글로미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착 대상물(P-2)의 면과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와의 사이에서 상기 암부재(20)의 상기 탄성 실부재(23)의 일부분으로 침투하는 환형상의 돌기부(26)를 구비하는 것이므로, 이 돌기부(26)가 침투한 탄성 실부재(23)의 일부분에서 부착 대상물(P-2)의 부착구멍(H-2)과 암부재(20) 사이를 확실하게 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핀 글로미트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핀 글로미트의 전체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핀 글로미트를 구성하는 수부재(10)와 암부재(20)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 제2도는 부착 대상물(P-2)의 부착구멍(H-2) 및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H-1)에 암부재(20)의 복수의 탄성편(22, 22, …)을 삽입한 상태를 상기 부착 대상물(P-2), 피부착 대상물(P-1) 및 핀 글로미트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제3도는 핀 글로미트를 암부재(20)의 턱부(21)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4도는 암부재(20)의 복수의 탄성편(22, 22, …)이 돌출형성된 측에서 본 상태를 탄성 실부재(23)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제5도는 부착 대상물(P-2)의 부착구멍(H-2) 및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H-1)에 암부재(20)의 복수의 탄성편(22, 22, …)을 삽입하고, 또한, 이 암부재(20)의 복수의 탄성편(22, 22, …)이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암부재(20)에 대하여 수부재(10)를 삽입한 상태를 상기 부착 대상물(P-2), 피부착 대상물(P-1) 및 핀 글로미트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제6도 및 제7도는 핀 글로미트를 구성하는 수부재(10)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경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8도는 핀 글로미트를 구성하는 암부재(20)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경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제9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보디 패널(B)에 카울 톱 패널(K)을 고정, 부착한 상태를 상기 보디 패널(B) 등을 절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각 도면에서 나타내는 핀 글로미트는, 머리부(11)와 이 머리부(11)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축형상 로드부(12)를 구비한 수부재(10)와, 이 축형상 로드부(12)가 끼워지는 관통구멍(24)이 형성된 턱부(21)와 이 턱부(21)의 일면측에서 상기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22, 22, …)을 구비한 암부재(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 글로미트는, 상기 수부재(10)를 암부재(20)에 끼워넣음으로써 암부재(20)의 탄성편(22)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함과 아울러, 이 휘어진 상태에서 수부재(10)와 암부재(20)를 걸어맞추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암부재(20)의 복수의 탄성편(22, 22, …)을 휘어지게 한 핀 글로미트, 이 탄성편(22)이 끼워진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H-1)의 구멍지름에 대하여 대향하는 1쌍의 탄성편(22, 22) 선단부간의 치수가 크게 되도록 상기 탄성편(22)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기 때문에, 상기 핀 글로미트는 상기 탄성편(22, 22, …)에 의하여 상기 부착구멍(H-1)에 걸어맞춰지며,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와 피부착 대상물(P-1)과의 사이에 상기 부착 대상물(P-2)를 끼우는 형태로 고정, 부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부재(10)는 대략 원판형상을 이루는 머리부(11)의 일면측 대략 중심부에서 이 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형상 로드부(12)를 돌출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에는, 선단부에 제1오목단부(12a)가, 중간부에 제2오목단부(1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선단에는 반구상 머리부(1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반구상 머리부(12c)의 기부에 상기 제1오목단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축형상 로드부(12)는 상기 제1오목단부(12a)에서 상기 제2오목단부(12b)를 향하여 점차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지름이 확대되는 테이퍼 면(12a)을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퍼 면(12a)은 이 테이퍼면(12a)에 의하여 확대되는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지름이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기부측의 지름과 대략 같게 되는 위치에서 종료하고, 이 테이퍼면(12a)의 종료위치에 상기 제2오목단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부재(20)는 원반형상을 이루는 턱부(21)의 대략 중심위치에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가 끼워지는 관통구멍(24)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턱부(21)의 일면측에서 이 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를 따라서 4개의 탄성편(22, 22, …)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탄성편(22, 22,…)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외주면 및 내주면을 상기 관통구멍(24)과 대략같은 중심의 원형상을 이루는 가상의 원을 따라서 위치시킴과 아울러,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선단부 외측에 이 선단을 향하여 내주면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부착 대상물(P-2) 및 피부착 대상물(P-1)에 형성된 부착구멍(H-2, H-1)에 대하여 용이하게 끼워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각 탄성편(22, 22, …)의 내측에는, 이 탄성편(22)의 대략 중간부에 돌기부(2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돌기부(22b)는 상기 탄성편(22)의 돌출방향과 대략 평행한 정상면(22b-1)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편(22)의 선단측으로 단차면(22b-2)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22)의 기부측으로 상기 탄성편(22)의 외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경사져서 각 탄성편(22, 22, …)내측면간의 틈을 점차 확대하는 테이퍼면(22b-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암부재(20)의 서로 대향하는 1쌍의 탄성편(22, 22)의 돌기부(22b, 22b)는, 상기 정상면(22b-1)간의 틈(x)을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에 있어서의 제1오목단부(12a)의 지름과 대략 같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에서는, 수부재(10)의 상기 축형상 로드부(12)를 암부재(20)의 상기 탄성편(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상기 관통구멍(24)에 끼워넣음으로써, 우선 상기 수부재(10)의 반구상 머리부(12c)가 상기 탄성편(22)의 돌기부(22b)의 테이퍼면(22b-3)과 접촉하여 상기 탄성편(22)을 점차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고, 이어서 이 반구상 머리부(12c)가 상기 돌기부(22b)를 타고넘은 위치에서 상기 탄성편(22)이 축형상 로드부(12)의 제1오목단부(12a)에 끼워맞춰지도록 상기 탄성편(22)이 탄성복귀되는, 이 끼워맞춤 위치에서 수부재(10)를 암부재(20)에 임시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의 제1오목단부(12a)에 상기 암부재(20)의 탄성편(22)의 돌기부(22b)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10)가 암부재(20)내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인장되더라도, 제1오목단부(12a)와 반구상 머리부(12c) 사이의 제1단차면(12a')과 돌기부(22b)의 단차면(22b-2)이 서로 맞닿아 있어 수부재(10)가 암부재(20)내에서 빠지는 일이 없으므로 수부재(10)와 암부재(20)를 이 상태로 임시고정할 수 있다.
이 임시고정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호 연이어 통하되도록 서로 위치맞춘 부착 대상물(P-2)에 형성된 부착구멍(H-2)과 피부착 대상물(P-1)에 형성된 부착구멍(H-1)에 암부재(20)의 상기 탄성편(22, 22, …)을 끼워넣을 때, 암부재(20)내에서 수부재(10)가 탈락될 우려가 없어 이 삽입작업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암부재(20)의 서로 대향하는 1쌍의 탄성편(22, 22)의 돌기부(22b, 22b)는 구 정상면(22b-1)간의 틈(x)을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의 제2오목단부(12b)의 지름(y)보다도 작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는, 상기 암부재(20)의 상기 탄성편(22)의 돌기부(22b)와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의 제1오목단부(12a)와의 임시 고정위치에서,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를 상기 암부재(20)의 탄성편(22)의 선단측을 향하여 더 끼워넣음으로써, 우선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테이퍼면(12a)을 상기 암부재(20)의 테이퍼면(22b-3)에 접촉시켜서 상기 탄성편(22)을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테이퍼면(12a)의 경사를 따라서 점차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고, 이어서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테이퍼면(12a)의 종단이 상기 탄성편(22)의 돌기부(22b)를 타고넘은 위치에서 상기 탄성편(22)을 상기 테이퍼면(12a)의 종단과 제2오목단부( 12b)와의 치수차 만큼 약간 탄성복귀시켜서 상기 탄성편(22)의 돌기부(22b)를 축형상 로드부(12)의 제2오목단부(12b)에 끼워맞춤으로써,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암부재(20)의 각 탄성편(22, 22, …)을 상기 치수(x)와 치수(y)의 차 만큼 외측으로 휘어지게 한 상태로 수부재(10)를 암부재(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브두(12)의 제2오목단부(12b)에 상기 암부재(20)의 탄성편(22)의 돌기부(22b)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10)가 암부재(20)내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인장되어도, 제2오목단부(12b)와 상기 테이퍼면(12a) 종단 사이에 있는 제2단차면(12b')과 돌기부(22b)의 단차면(22b-2)이 서로 맞닿아서 수부재(10)가 암부재(20)내에서 빠지지 않게 되므로, 수부재(10)와 암부재(20)를 이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착 대상물(P-2) 및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H-1, H-2)에 탄성편(22)을 끼워넣은 암부재(20)에 대하여 임시 고정된 수부재(10)를 이 암부재(20)에 대하여 더 끼워넣음으로써,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20)의 상기 탄성편(22, 22, …)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함과 동시에 이 상태가 유지되도록 수부재(10)와 암부재(2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H-1)에 대한 암부재(20)의 고정을 수부재(10)의 상기 삽입만으로 할 수 있어,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와 피부착 대상물(P-2) 사이에 끼워지는 부착 대상물(P-2)의 부착, 고정을 원 터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부재(20)의 탄성편(22)에 소요의 탄성변형 특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암부재(20)를 플라스틱재료로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에는,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축형상 로드부(12)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기부측의 지름과 대략같은 지름으로 된 구멍(13a)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의 지름과 대략 같은 외경으로 된 도너츠형상의 탄성 실부재(13)가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부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에 접하는 축형상 로드부(12)의 기부의 단면이 대략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이 기부에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축중심 위치에서 이 축중심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4개의 돌출판부(12d, 12d,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돌출판부(12d) 선단에는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의 기부측 둘레면에서 돌출되는 돌기(1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12d')가 상기 축형상 로드부(12)에 끼워진 상기 탄성 실부재(13)의 구멍(13a)으로 침투하고, 이 침투에 의하여 상기 탄성 실부재(13)가 상기 축형상 로드부(12)가 구비되어 있는 측의 수부재(10)의 머리부(11)에 밀착된 상태로 유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에는,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의 상기 탄성편(22)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상기한 바와같이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각 탄성편(22, 22, …)의 외주면간의 치수와 대략 같은 지름으로 된 구멍(23a)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의 지름과 대략같은 외경으로 된 도너츠형상의 탄성실부재(13)가 상기 각 탄성편(22, 22, …)의 기부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부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에 의하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부재(10)가 상기 암부재(20)의 각 탄성편(22, 22, …)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여 이 암부재(20)가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H-1)에 고정되는 상태까지 암부재(20)내로 끼워넣어진 경우,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와 부착 대상물(P-2)과의 사이에서 상기 탄성 실부재(23)를 눌러서 부착구멍(H-2)과 암부재(20) 사이를 수밀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와 암부재(20)의 턱부(21)와의 사이에서 상기 탄성 실부재(23)를 눌러서 관통구멍(24)과 수부재(10) 사이를 수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실부재(13) 및 탄성 실부재(23)로서는, 예를들면 다공질 고무(cellular rubber)상으로 형성한 네오프렌(neoprene) 고무등의 고무재료나 비교적 탄성변형이 용이한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상기 탄성편(22)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측의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에는 상기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와의 사이에서 상기 수부재(1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탄성 실부재(13)의 일부분으로 침투하는 환형상의 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25)에 의하여 상기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과 수부재(10) 사이의 수밀성을 일층 높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탄성편(22)이 구비되어 있는 측의 상기 암부재(20)의 턱부(21)에는, 상기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상기 각 탄성편(22, 22, …)의 외측에, 상기 암부재(20)가 고정되는 부착 대상물(P-2)의 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암부재(2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탄성 실부재(23)의 일부분으로 침투하는 환형상의 돌기(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26)에 의하여 상기 암부재(20)의 부착 대상물(P-2)의 부착구멍(H-2) 사이의 수밀성을 일층 높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와같은 돌기부(26)를 형성하여 수밀성을 높인 경우, 상기 탄성 실부재(23)를 상기 턱부(21)내에 수용되는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 하여,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수부재(10)를 상기 암부재(20)에 고정할 때에 암부재(20)의 턱부(21) 가장자리에서 탄성 실부재(23)가 일부 크게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핀 글로미트의 고정시의 외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의 상기 탄성편(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이 관통구멍(24)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면(24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테이퍼면(24a)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가 상기 암부재(20)의 관통구멍(24)내로 끼워지는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부재(10)를 암부재(20)에 고정할 때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테이퍼면(24a)에 상기 수부재(10)의 축형상 로드부(12)의 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출판부(12d)의 돌기(12d')를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테이퍼면(24a)과 돌기부(12d')의 맞닿음에 의하여 수부재(10)가 암부재(20)에 대하여 이 맞닿음 위치보다 더 깊게 끼워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기 수부재(10)가 암부재(20)내로 깊게 끼워지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10)의 탄성 실부재(13)에 암부재(20)의 돌기부(25)가 과도하게 침투하여 탄성실부재(13)가 이 침투 위치에서 파단되어 실성이 손상되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암부재(20)의 턱부(21)에 수부재(10)의 머리부(11)가 수용되는 오목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부재(10)를 상기 압부재(20)에 고정할 때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오목부(27)에 상기 머리부(11)를 수용하여 부착 대상물(P-2)면상에 나타나는 핀 글로미트의 턱부(21) 및 머리부(11)가 편탄한 외관을 갖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에 의하면, 부착 대상물(P-2)을 피부착 대상물(P-1)에 대하여 단지 수부재(10)를 암부재(20)에 끼워넣는 조작만에 의하여 원 터치로 수밀성 높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볼 실시예에 관한 핀 글로미트는, 예를들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동차의 윈도유리(G) 하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보디패널(B)에 부착되는 카울 톱 패널(K) 등, 수밀성이 높은 상태에서의 신속 또한 확실한 부착이 요구되는 상호 부재간의 부착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수부재(10)의 머리부(11)의 축형상 로드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접하도록 끼워넣어진 도너츠형상의 상기 탄성 실부재(13)를 상기 돌출판부(12d)의 돌기(12d')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예를들어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부재(10)의 머리부(11) 가장자리에 소요의 돌기(t, t, …)를 형성하고, 이 돌기(t, t, …)가 탄성 실부재(13)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일부분을 침투하도록 하여 상기 탄성 실부재(13)를 위치 어긋남없이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탄성 실부재(13)를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에, 또 탄성 실부재(23)를 암부재(20)의 턱부(21)에 접착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부재(10)의 머리부(11)의 상기 축형상 로드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 및 머리부(11)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탄성 실부재층(3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즉 수부재(10)를 형성한 후에 이 수부재(10)를 끼워넣는 상기 탄성부재층(30)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부재(20)의 턱부(21)의 상기 탄성편(22)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 및 턱부(21)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탄성 실부재층(31)이 형성되도록, 즉 암부재(20)를 형성한 후에 이 암부재(20)를 끼워넣는 상기 탄성 실부재층(3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핀 글로미트는, 상기 수부재(10)의 머리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축형상 로드부(12)가 구비되어 있는 측의 면에 상기 수부재(10)와 일체로 또는 상기 수부재(10)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13)를 구비함과 아울러, 암부재(20)의 턱부(21)의 상기 탄성편(22)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상기 암부재(20)와 일체로 또는 상기 암부재(20)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2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핀 글로미트를 구성하는 암부재(20)와 피부착 대상물(P-1)의 부착구멍(H-1)과의 사이를 수밀하게 실(밀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암부재(20)의 상기 관통구멍(24)과 수부재(10)와의 사이를 수밀하게 실할 수 있기 때문에, 암부재(20)에 대하여 단지 수부재(10)를 끼워넣는 조작만에 의하여, 수밀성을 확보한 부착이 요구되는 피부착 대상물(P-1)에 대하여 부착 대상물(P-2)을 원활하게 고정, 부착할 수 있다.
또, 상기 핀 글로미트에 의하여 수밀성을 확보한 상태로 부착되는 부착 대상물(P-2)과 피부착 대상물(P-1)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3)

  1.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축형상 로드부를 구비한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의 축형상 로드부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턱부와, 상기 턱부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을 구비한 암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부재를 암부재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암부재의 탄성편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함과 아울러 이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를 걸어맞추는 핀 글로미트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머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축형상 로드부가 구비되어 있는 측의 면에는 상기 수부재와 일체로 또는 상기 수부재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의 턱부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편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는 상기 암부재와 일체로 또는 상기 암부재에 부착가능하게 탄성 실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글로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측의 상기 암부재의 턱부에는 상기 암부재의 관통구멍을 에워싸도록, 상기 수부재의 머리부와 상기 암부재의 턱부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수부재의 상기 탄성 실부재의 일부분으로 침투하는 환형상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글로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이 구비되어 있는 측의 상기 암부재의 턱부에는 상기 암부재의 관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상기 탄성편 외측에, 상기 핀 글로미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착 대상물의 면과 상기 암부재의 턱부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암부재의 상기 탄성 실부재의 일부분으로 침투하는 환형상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글로미트.
KR1019950023113A 1994-12-27 1995-07-29 핀 글로미트 KR0154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37946 1994-12-27
JP33794694A JP3539643B2 (ja) 1994-12-27 1994-12-27 ピングロ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858A KR960023858A (ko) 1996-07-20
KR0154266B1 true KR0154266B1 (ko) 1998-12-01

Family

ID=1831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113A KR0154266B1 (ko) 1994-12-27 1995-07-29 핀 글로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46040A (ko)
JP (1) JP3539643B2 (ko)
KR (1) KR0154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3198A (zh) * 2009-07-02 2011-01-12 大和化成工业株式会社 树脂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6345B1 (fr) * 1998-03-17 2000-06-30 Itw De France Dispositif a monter en aveugle
JP3749017B2 (ja) * 1998-04-03 2006-02-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固定クリップ
US6149183A (en) * 1998-09-09 2000-11-2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nap-in air bag module, connector and method of attachment
DE19950745B4 (de) * 1999-04-01 2005-03-24 Karl Simon Gmbh & Co. Kg Montageelement mit einem Verbindungszapfen und einer Befestigungshülse
EP1426251A1 (en) * 1999-06-02 2004-06-09 Toyoda Gosei Co., Ltd.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US6244805B1 (en) * 2000-01-13 2001-06-12 Illinois Tool Works Inc. Sealed grommet
US6880295B2 (en) * 2000-11-24 2005-04-19 Scott Frey Snap lock device for hingedly securing an extension to a downspout
US6514023B2 (en) * 2001-05-24 2003-02-04 Illinois Tool Works Inc. Removable and reusable fastener
JP2003083313A (ja) * 2001-09-06 2003-03-19 Nifco Inc 留め具
JP3715232B2 (ja) * 2001-11-19 2005-1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ラーガーニッシュ締結構造
JP2003232318A (ja) * 2002-02-08 2003-08-22 Zen Kenchiku Sekkei Jimusho:Kk ファスナー
DE60206152T2 (de) * 2002-07-18 2006-06-22 Goelst, Rolf Edward Sicherheitsverbindungsvorrichtung zur Verwendung bei aufgehängten Gegenständen, z.B. bei Gardinenlaufschienen, Stangen, Badetuchhaltern und dergleichen, sowie eine Gardinenschiene und eine Verbindungseinrichtung
DE10235799A1 (de) * 2002-08-05 2004-03-04 Ejot Gmbh & Co. Kg Kunststoffmutter zur Anbringung an einem Bauteil
JP2004116722A (ja) 2002-09-27 2004-04-15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US7033121B2 (en) * 2002-09-30 2006-04-25 Illinois Tool Works Inc Water-tight grommet
JP4091859B2 (ja) * 2003-03-03 2008-05-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締結具
US7736107B2 (en) * 2004-03-30 2010-06-15 Piolax, Inc. Clipping device
US7329077B2 (en) * 2004-07-01 2008-02-12 Curtis David A W Fastener apparatus for roofing and steel building construction
US20060086765A1 (en) * 2004-10-27 2006-04-27 Sportrack Llc Sealing member for attachment components
AU2004224882B2 (en) * 2004-10-28 2006-11-16 Fastmount Limited Panel Mounting Clip
US20080052878A1 (en) 2006-08-31 2008-03-06 Lewis Jeffrey C Fastener Clip with Seal
FR2906851B1 (fr) * 2006-10-06 2010-10-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premier element a un deuxieme element
DE202007002071U1 (de) * 2007-02-13 2007-06-1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DE102007009692A1 (de) * 2007-02-28 2008-09-04 Robert Bosch Gmbh Unfallsensor
DE102007063658B4 (de) * 2007-04-28 2012-06-14 Elringklinger Ag Baugruppe, umfassend eine Dichtung und mindestens eine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der Dichtung und eines die Dichtung haltenden Bauteils
DE102007034785B3 (de) * 2007-07-25 2008-12-18 A.Raymond Et Cie Befestigungselement zum Verbinden eines Trägerteiles mit einem Anbauteil
US8656562B2 (en) * 2008-02-15 2014-02-25 Universal Trim Supply Co., Ltd. Structure of assembling a plastic locking device with a surface material
JP5179295B2 (ja) * 2008-08-27 2013-04-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温度センサの取付装置
FR2938310B1 (fr) * 2008-11-07 2013-05-17 Raymond A & Cie Agrafe de fixation avec rondelle d'etancheite
DE102009014678A1 (de) * 2009-03-25 2010-09-30 A.Raymond Et Cie Spreizniet
DE102009030040B4 (de) * 2009-06-23 2019-12-12 Illinois Tool Works Inc. (N.D.Ges.D. Staates Delaware) Haltedübel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olchen Haltedübels
US20100329815A1 (en) * 2009-06-26 2010-12-30 Jackson Jr Nicholas Trim Panel Retainer Assembly
JP5367535B2 (ja) * 2009-10-27 2013-12-11 株式会社栃木屋 ファスナ
JP5319586B2 (ja) * 2010-03-24 2013-10-16 株式会社ニフコ 部品の締結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クリップ
US10315558B2 (en) 2010-05-24 2019-06-11 Burton Technologies, Llc Locking position stud fastener for a vehicle lamp assembly
WO2011149952A1 (en) * 2010-05-24 2011-12-01 Burton Technologies, Llc Fastener for a vehicle lamp assembly
US9610661B2 (en) 2010-05-24 2017-04-04 Burton Technologies, Llc Fastener for a vehicle lamp assembly
JP5726452B2 (ja) * 2010-07-27 2015-06-0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DE102010038728A1 (de) 2010-07-30 2012-02-02 Hilti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KR20120024261A (ko) * 2010-09-06 2012-03-14 전병규 리벳볼트
DE102011113436A1 (de) * 2011-09-14 2013-03-14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Nietelement
US20130125471A1 (en) * 2011-11-18 2013-05-23 Dominick BENEVENGA Window Components with Toggle Anchors and Windows Incorporating Same
BE1020453A3 (nl) * 2011-12-01 2013-10-01 Unilin Bvba Meub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meubels.
US9194633B2 (en) * 2013-03-15 2015-11-24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Bolt with integrated gasket
US9038876B2 (en) * 2013-04-08 2015-05-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r mounting device
ES1083229Y (es) * 2013-06-05 2013-09-20 Relats Sa Pieza de union entre un cable conductor y una funda de proteccion termica de dicho cable
CN105339685B (zh) * 2013-06-20 2018-01-12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推入式紧固件
EP3012465B1 (de) * 2013-07-15 2016-10-26 BJB GmbH & Co. KG Befestigungsmittel
DE102013014804A1 (de) * 2013-09-05 2015-03-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nordnung zum Verbinden zweier Fahrzeugkomponenten
TWI502139B (zh) * 2013-12-20 2015-10-01 Wistron Corp 固定機構
JP6267345B2 (ja) * 2014-08-01 2018-01-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留め具
JP6353800B2 (ja) * 2015-03-16 2018-07-04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6435231B2 (ja) * 2015-04-15 2018-12-0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留め具
DE102016100610A1 (de) * 2016-01-15 2017-07-20 Newfrey Llc Dübelartiges Einsetzteil und Befestigungsverfahren
US10941800B2 (en) 2016-03-03 2021-03-09 Carrier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and air handling unit comprising such a fastening system
US10492567B2 (en) * 2016-05-19 2019-12-03 Zachary CASAS Shoe fastening system
DE102016110906A1 (de) * 2016-06-14 2017-12-14 Illinois Tool Works Inc. Befestigungsclip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Dichtung
JP7035061B2 (ja) * 2017-08-16 2022-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CN111434933B (zh) * 2019-01-11 2022-11-25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多件式的固定器、用于基站天线的连接系统和连接方法
JP7227773B2 (ja) * 2019-01-22 2023-02-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留め具
WO2020181139A1 (en) * 2019-03-05 2020-09-10 Bedford Systems Llc Spring biased box clip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3971A (en) * 1961-03-24 1964-10-27 Gen American Transporation Cor Screw fastener having preassembled clamping and sealing washers
US3595506A (en) * 1969-01-17 1971-07-27 Robin Products Co Wire strap connector
US4875818A (en) * 1983-11-30 1989-10-24 Elco Industries, Inc. Screw having a sealing washer
US4776737A (en) * 1986-12-23 1988-10-11 Phillips Plastics Corporation Re-usable two-piece blind fastener
JPH0435612Y2 (ko) * 1988-07-08 1992-08-24
JP2578069Y2 (ja) * 1991-03-11 1998-08-06 株式会社 ニフコ グロメット
JPH0624220A (ja) * 1992-07-09 1994-02-01 Asayama Shokai:Kk 連結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3198A (zh) * 2009-07-02 2011-01-12 大和化成工业株式会社 树脂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9643B2 (ja) 2004-07-07
US5846040A (en) 1998-12-08
KR960023858A (ko) 1996-07-20
JPH08177824A (ja) 199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266B1 (ko) 핀 글로미트
US5295315A (en) Shoe fastening device and plate-shaped member thereof
US5267667A (en) Plug adapted to be fixed by means of hot melt adhesive into an opening in a plate such as an automobile body
JPH10305056A (ja) 開口部カップリング、その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5929B2 (ko)
KR870001353Y1 (ko) 단추
JP3279098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
JP2000300309A (ja) 押圧ファスナー
KR870001165Y1 (ko) 단추 조립체
JP2000230540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828529A (ja) クリップ
JPH036984Y2 (ko)
JP3340608B2 (ja) ブーツ
JPH046051Y2 (ko)
JPH0536087Y2 (ko)
KR960007804Y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죠인트의 씰링구조
JPS58104460U (ja) バルブ
JPH0528154B2 (ko)
JPH09299108A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
JPS6121914Y2 (ko)
JPH08268451A (ja) シールプラグ
JPS6246885Y2 (ko)
JPS6242170Y2 (ko)
JP3216975B2 (ja) グロメット
JP2515636Y2 (ja) ねじ受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