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877B1 -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 Google Patents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877B1
KR0153877B1 KR1019950012698A KR19950012698A KR0153877B1 KR 0153877 B1 KR0153877 B1 KR 0153877B1 KR 1019950012698 A KR1019950012698 A KR 1019950012698A KR 19950012698 A KR19950012698 A KR 19950012698A KR 0153877 B1 KR0153877 B1 KR 015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ainless steel
alloy
corros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683A (ko
Inventor
박용수
김영식
Original Assignee
박용수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835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538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수, 김영식 filed Critical 박용수
Publication of KR95003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소이온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 부식 균열과 공식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 기지조직의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으로 중량%로, 크롬: 20∼35%, 니켈: 1∼15%, 몰리브덴: 4∼8%, 탄소: 0.20% 이하, 규소: 0.5 - 2.0%이하, 망간: 3.5% 이하, 질소: 0.6%이하 및 잔여 철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효열처리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티타늄: 0.5 - 1.5%, 텅스텐: 3% 이하, 구리: 2% 이하 및 바나듐: 2% 이하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하나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열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량%로 붕소: 0.001-0.01%, 마그네슘: 0.001-0.1%, 칼슘: 0.001-0.1% 및 알루미늄: 0.001-0.2%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하나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제1도는 본 발명의 합금 시편의 페라이트 함량변화에 따른 42% MgCl2비등용액에서의 응력 부식 균열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합금 시편(A:sample 7, 8 and 9; B;sample 10, 11 and 12)과 AISI 304 스테인레스강의 42% MgCl2비등용액에서의 응력 부식 균열 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합금 시편과 AISI 316L 및 SUS M329 스테인레스강의 공식시험(침지시험)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합금 시편과 AISI 316L 및 SUS M329 스테인레스강의 공식시험(양극 분극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합금 시편과 SAF 2507 스테인레스강의 공식시험(양극 분극시험; 70℃, 0.5N HCl + 1N NaCl)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6도는 본발명의 합금 시편과 AISI 316L(삼미특수강 (주), 한국), SAF 2507(Sandvik Steel사, 스웨덴), Zeron 100 (Weir사, 영국) 및 UR52N+ (Creuso t-Lore Industrie사, 프랑스) 스테인레스강의 공식시험(양극 분극시험; 80℃, 22% NaCl)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합금 시편 스테인레스강의 시효 열처리에 따른 공식시험(양극 분극시험; 50℃, 0.5N HCl + 1N NaCl)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8도는 UR52N+ 스테인레스강의 시효열처리 후의 공식시험(양극 분극시험; 50℃, 0.5N HCl + 1N NaCl)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의 2상 기지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응력 부식 균열 (stress corrosion cracking, SCC)과 공식(pitting)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강은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하는 열교환기, 해수-담수화 설비의 탱크 및 배관재, 화력발전소 등의 탈황설비재, 정유배관, 화학약품 공장 설비재, 폐수 처리 시설, 고강도를 필요로 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등의 기계부품, 펄프 및 제지 공장용 내식 재료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은 여타의 합금강에 비해 내식성이 비교적 우수한 특수강으로 알려져 있으나, 통상적인상용 스테인레스강은 염소이온(Cl-)에 대한 응력 부식균열이나 공식을 비롯한 틈새부식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저항성을 나타내지 못함에 따라 고농도의 염소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환경에서는 티타늄 합금이나 니켈기지의 초합금(SUPER ALLOY)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티타늄 합금이나 니켈 기지 초합금은 생산량이 한정될 뿐 아니라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매우 비싸므로, 스테인레스강의 합금 원소를 조절하여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오스테나이트 기지의 AISI 304에 2∼3% Mo을 첨가한 AISI 316 (삼미특수강), 질소를 다량 함유하는 AISI 317MN(C.L.I.佛)과 같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부식저항성은 상당히 향상되었으나, 염소이온을 함유한 용액 등 특수한 부식환경에서는 인장 응력이 존재할 때 응력 부식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의 2상으로 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이 개발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에 대하여 시효 열처리를 하는 경우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실제로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할 때 용접 등을 통해 열이 가해지면 스테인레스강 제품의 내식성은 처음보다 저하된다. 이와 같이 시효 열처리를 하면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이 저하되는 이유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의 페라이트 상이 시효에 의해 변태되어 오스테나이트 Ⅱ 상과 매우 경하고 크롬과 몰리브덴을 다량 농축하고 있는 시그마상으로 되기 때문이다.
미국특허 제 4,500,351에는 캐스트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을 보고하면서 1M NaCl 용액에서 50℃ 또는 78℃에서의 양극분극실험에서 공식이 생기지 않으며, 10% FeCl3.6H2O 이상에서는 47.5℃에서 틈새부식이 생긴다고 보고하였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 목적은 종래의 내식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지니고 있는 결점을 해결하고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다량 함유된 고가의 니켈 함량을 낮춘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 기지 조직으로서 염소이온 함유 환경에서의 응력 부식 균열 저항성 및 공식저항성이 향상된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효 열처리에 따른 영향을 덜 받으며 응력 부식 균열 저항성 및 공식저항성이 향상된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러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량%로 크롬: 20∼35%, 니켈: 1-15%, 몰리브덴: 4∼8%, 탄소: 0.20% 이하, 규소: 0.5-2.0%, 망간: 3.5% 이하, 질소: 0.6 이하 및 잔여 철로 이루어지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이 제공되어진다.
또한 시효 열처리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티타늄: 0.5%-1.5%, 텅스텐:3% 이하, 구리: 2% 이하 및 바나듐: 2% 이하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하나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 열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량%로 붕소: 0.001-0.01%, 마그네슘: 0.001-0.1%, 칼슘: 0.001-0.1% 및 알루미늄: 0.001-0.2%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하나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잇다.
본 발명의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은 종래의 스테인레스강과 비교할 때, 염소 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에서의 임계 공식온도가 95-90℃ 정도로 높을 뿐 아니라 양극분극 시험에서 부동태 구역이 1000㎷ 이상으로 매우 높고 공식의 거의 생기지 않아 향상된 내식성을 가지므로 티타늄 합금이나 니켈 기지의 초합금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강은 시효처리 후에도 부식속도가 거의 증가하지 않으므로 시효열처리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 합금이 시효 열처리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것은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의 상비율을 적절히 조절해 준 결과라고 추측된다. 또한 추가로 티탄을 함유하는 경우 시효 열처리에 의해 티탄화합물이 형성되어 페라이트 →시그마 + 오스테나이트 Ⅱ로의 변태가 지연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본 발명의 합금은 페라이트 함량이 40∼50% 정도일 때 내식 저항성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페라이트 함량이 40∼50% 부근에서 저항성이 최대가 되는 이유는 낮은 응력이나 중간 응력 하에서의 기계적으로 단단한 페라이트상이 전위 이동을 억제하여 슬립이 일어나기 어렵고, 전기 화학적으로 페라이트상이 염화물 환경에서 오스테나이트상에 대해 양극으로 작용하여 오스테나이트상이 음극방식이 되며, 페라이트상의 용해 동안 균열을 지체시키고 오스테나이트상은 소성일정모형에서 응력 분담이 페라이트상보다 낮고, 고온에서 열팽창계수가 커서 냉각시에 수축은 오스테나이트상이 크므로 상계면 바깥쪽에는 압축 잔류 응력이 생기면서 균열을 억제하여 기지조직에 분포된 각 상들이 균열 전파를 억제시키므로 상비율이 페라이트 50% 부근에서 최대 저항성이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을 이루고 있는 각 조성원소의 합금내 역할과 성분 한정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롬: 20 - 35%]
크롬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내식성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원소의 하나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합금에서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 조직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탄소, 질소, 니켈, 몰리브덴, 규소 및 망간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20% 이상의 크롬을 함유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35%까지 함유한 결과치를 갖게 되었다.
[니켈: 1 - 15%]
니켈은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내식성의 측면에서 유용한 원소이므로 최소한 1%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롬, 몰리브덴, 규소, 망간, 탄소 및 질소와의 균형에 따른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상비율 및 제조비용의 저렴화를 위해 상한치를 1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 4 - 8%]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몰리브덴은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을 좌우하는 주요 원소중의 하나이나, 가공성과 열처리에 따른 상 안정성 때문에 상한치를 8%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첨가범위는 5∼7%이다.
[탄소: 0.2% 이하]
탄소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므로 기계적 변수를 위해서는 중요한 원소이나 내식성 및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함유량을 0,2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으며, 내식성의 측면에서는 0.03% 이하이면 특히 좋다.
[규소: 0.5 - 2.0%]
규소는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용해 정련시 탈산 효과를 발휘하며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나, 과량 첨가하면 강의 인성과 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내석성의 측면에서는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망간: 3.5% 이하]
An은 값비싼 Ni을 대체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질소의 고체 고용한을 증가시켜주는 반면에, 부식 저항성을 저하시키고, 유해한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시켜 고온에서의 입계 강도를 저하시킨다. 그러나, Mn을 다량 함유하게 되면 고온 산화성이 떨어지므로, 최고 한도를 3.5%로 한다.
[질소: 0.6% 이하]
질소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내식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몰리브덴과 함께 존재하면 부동태 피막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으로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며, 입계부식 저항성 향상을 목적으로 탄소함량을 저하시킬 때 질소를 첨가하여 기계적 성질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조성성분과의 균형과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상비율을 고려할 때 0.6% 이하로 첨가하여야 하며, 내식성의 측면에서 0.15%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리: 2.0% 이하]
구리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기지조직을 강화시켜 강도를 강화시키는 면이 있긴 하나 과량으로 첨가되면 염화물 환경에서의 내식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황산이 포함된 환경에서의 내식성은 증가되므로 2%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탄: 0.5 - 1.5%]
티탄은 용해 정련시 탈산 효과가 있는 원소로서 입계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소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첨가할 수 있다. 시효 열처리 후의 염소이온이 포함된 환경에서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5 ∼1.5% 첨가할 수 있다.
[텅스텐: 3.0% 이하]
텅스텐은 몰리브덴과 특성이 유사한 동족 합금원소로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중에서도 특히 공식저항성을 향상시켜주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3 wt% 이하의 양으로 선택적으로 첨가된다. 텅스텐은 고가의 합금원소이면서 다량 함유하게 되면 강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W 함량을 3 wt% 이내로 한정한다.
[바나듐: 2.0% 이하]
바나듐은 질소의 고용도를 증가시켜주면서 스테인리스강의 공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유익한 원소이다. 또한 C, N와 결합하여 미세한 석출물을 형성하여 고온강도 및 크릴강도를 개선시킨다. 그러나 다량 첨가하면 용접부에 인성과 응력 부식 균열성을 해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함량을 2 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소: 0.001 - 0.01%]
붕소는 고온 열간 가공성 개선 효과가 있기 때문에 열간 압연시 생성되는 표면 결함방지에 유효한 합금원소이며 또한 용접시 용접고온균열을 억제시켜준다. B의 함량이 0.001 wt%이하이면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B 공정화합물을 형성하여 융점을 현저하게 낮추어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B의 첨가량을 0.01%이하로 제한한다. 따라서 함량범위를 0.001-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 0.001 - 0.1%]
칼슘은 강력한 탈산 원소이며 동시에 황화물과 산화물에 반응하여 절삭가공시 절삭 저항을 감소시키므로 쾌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기위해 0.001%이상 첨가하나 과량 첨가시 Ca에 의해 거대 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의 청정도를 감소시킴은 물론 내식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상한치를 0.1%이하로 한다.
[알루미늄: 0.001 - 0.2%]
알루미늄은 내산화성을 향상시켜주는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강에 첨가시 탈산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강의 청정도를 높이는데 유효한 원소이나 강 중에 Al2O3로 잔류하게되면 피로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함량범위를 0.001 - 0.2 wt%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0.001 - 0.1%]
마그네슘은 고온 열간 가공성을 향상시켜주는 원소이며 또한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 균열을 억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다하게 함유하면 내식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함량범위를 0.001-0.1 wt%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합금시편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질소의 영향이 고려된 크롬 당량과 니켈 당량을 계산하여 의도하는 페라이트 함량을 예측한 뒤, 순수한 상업용 품위를 갖는 전해철(순도 99.9%), 크롬(순도 99.6%), 몰리브덴(순도 99.8%), 니켈(순도 99.9%), Fe-Si, Fe-Cr-N을 주재료로 하여 고주파 유도로를 이용하여 질소가스 분위기하에서 마그네시아 도가니에서 용해 시키고, 충분히 예열된 사형 또는 금형 등에 용탕을 주입하여 잉고트를 제조한다.
사용한 크롬 당량(Creq)과 니켈 당량(Nieq) 식은 다음의 식(1), (2)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Creq= %Cr + 1.5%Si + %Mo + %Cb - 4.99 - ----------(1)
Nieq= %Ni + 30%C + 0.5%Mn + 26(%N - 0.02) +2.77 ----(2)
열간 압연등을 행하는 단련재의 경우에는, 잉고트를 제조한 후, 연삭 또는 기계 가공을 행하여 적정한 크기로 잉고트를 가공한 뒤 1050∼1250℃에서 소킹(soaking)하며, 소킹 시간은 1인치당 1 시간 이상으로 한다. 소킹 후 원하는 두께까지 열간 압연을 행하고 수냉한다. 열간 압연 마무리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시그마상 등이 석출되어 균열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열간 압연 마무리 온도는 최소 1000℃으로 한다. 열간 압연시 표면에 생성된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66℃로 유지되는 10% HNO3+ 3% HF용액에서 산세처리를 한 뒤 1∼2 ㎜ 두께까지 냉간 압연을 행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주조품, 열간 압연재 또는 냉간 압연재가 최적의 성질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합금 성분에 따라 1,100∼1,150℃에서 두께 1㎜ 당 1-2분 동안 소둔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 열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표면의 산화 스케일을 66℃의 10% HNO3+ 3% HF 용액에서 다시 산세처리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강의 응력 부식 균열에 대한 내성은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기준 G36-75에 제시된 일정연실율법 (const ant extension rate test)에 의한 응력 부식 균열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즉, 42% MgCl2를 담은 154℃로 유지되는 부식용기에 합금 시편을 넣고 파단 시간을 측정하여 파단시간이 클수록 저항성이 크다고 판단한다.
공식 등 틈새부식에 대한 내성은 무게 감량 시험과 양극 분극 시험으로 검증하였다.
무게 감량 시험은 ASTM G48에 제시된 방법, 또는 이것을 변형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 예로, 50℃로 유지되는 10wt% FeCl36H2O 용액에 시료를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무게 감량으로 부식 속도를 평가하며, 무게 감량이 적을수록 저항성이 크다고 판단한다.
양극 분극 실험은 일정한 온도에서 0.5N HC1 + 1N NaC1의 혼합 용액 또는 22% NaC1 용액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면서 포텐시오스타트(potentiostat)를 이용하여 전위를 부식전위로부터 양극 방향으로 주사하면서 전위-전류 곡선을 얻고, 이것으로부터 임계 전류 밀도, 부동태 전류밀도, 공식 발생 전위로부터 저항성을 평가한다. 임계 전류 밀도와 부동태 전류 밀도가 작을수록 저항성이 크며, 공식 발생전위가 높을수록 저항성이 큰 것으로서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할수록 저항성이 크다고 판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상업용으로 순수한 품위를 갖는 전해철, 크롬, 니켈, 몰리브덴, Fe-Si, Fe-Cr-N을 재료로 하여,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질소분위기 하에서 고주파 유도 용해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 합금 시편을 각각 12 ㎏씩 제조하였다. 이때 기포 발생 부분은 라디오그라피로 확인한 후 제거하였다.
이 잉고트를 1150℃에서 30분간 소킹한 후, 열간 압연 마무리 온도를 1,100℃로 하여 3㎜의 두께까지 열간 압연을 행하였다. 열간 압연으로 표면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66℃로 유지된 질산-불산 혼합용액에서 산세 처리를 행하였다. 그 뒤 1㎜의 두께로 냉간 압연을 행하고 1,100∼1150℃에서 5분간 소둔 처리를 하고 수냉하였다. 소둔 처리로 표면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을 위의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실시예 2]
[응력 부식 균열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금 1∼12에 대하여 응력 부식 균열 시험을 행하였다.
응력 부식 균열 시험은 ASTM 기준 G 36-75에 따라 일정연실율법 (constant extention rate test, CERT)으로 행하였다. 시험조건에서 크로스-헤드(cross-head) 속도는 4.41 ×10 ㎝/sec이고, 초기 변형율은 1.35 × 10 /sec이었다. 합금은 Sic 연마지 120번에서 600번까지 연마한 후 아세톤으로 탈지하고 증류수로 세척, 건조하였으며, 최종 연마 방향은 압연 방향에 평행하도록 하였다. 1L 부식용기에 각각 42% MgCl을 채우고 154℃로 유지시키면서, 각각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금 1∼12을 넣고 파단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용되는 AISI 304(삼미특수강 (주), 한국)를 비교합금으로 사용하였다.
제1도는 합금 1∼6에 대한 응력 부식 균열 시험 결과이며, 제2도의 (A), (B)는 합금 7∼12와 비교합금 AISI 304의 응력 부식 균열 시험 결과이다. 비교합금인 AISI 304 합금은 본 발명 합금의 비하여 응력 부식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공식실험: 무게 감량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합금 1∼6에 대하여 ASTM G48 규정에 따라 무게 감량 시험을 하였다. 50℃로 유지되는 10wt% FeCl, 6HO 액에 각각 합금 1∼6을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무게 감량으로 부식 속도를 평가하였다. 비교합금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AISI 316L (삼미특수강 (주), 한국) 및 SUS M329 (삼미특수강 (주), 한국)를 사용하였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합금 1∼6의 스테인레스강은 AISI 316L 합금보다 내식성이 우수하며, 특히 상용 2상 스테인레스강인 SUS M329보다는 월등하게 저항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공식 실험 : 0.5N NC1 + 1N NaC1 시험용액에서의 양극분극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합금 1∼6, 19, 20 및 22∼27에 대해서 50℃, 0.5N Hc1 + 1N NaC1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포텐시오스타트(potentiostat)를 이용하여 전위를 부식 전위로부터 양극방향으로 일정하게, 예를 들면 20㎷/min으로 올리면서 전위-전류 곡선을 얻었다. 비교합금으로는 상용 스테인레스강인 AISI 316L 및 SUS M329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6번 합금을 제외한 본 발명 합금은 모두 넓은 부동태 영역을 보이고 있는 반면 AISI 316L와 SUS M329는 모두 공식이 심하게 발생하여 전위의 증가에 따라서 급격하게 부식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 후의 합금 1∼5의 표면을 관찰해 본 결과 부동태 피막의 파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 합금은 고가의 티탄의 양극 분극 저항성과 동등한 내식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
공식 실험 : ASTM D-1141-52 규정에 따른 양극 분극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합금 25∼27에 대해서 ASTM D-1141-5 규정에 따른 인공해수를 제조하여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비교합금으로는 상용 스테인레스강인 AISI 304 및 AISI 316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금 13∼17의 크롬 당량/니켈 당량 각각 25.98/19.28, 22.26/28.21, 26.13/21.98, 26.22/21.56, 26.23/22.65이었다.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 50℃, 0.5N HC1 + 1N NaC1 용액에서 양극 분극 시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곡선으로부터 부식 저항성 데이터를 얻었다. 합금 13∼17과 상용 2상 스테인레스강인 SUS 329J1의 기계적 성질 및 부식 저항성에 대한 실험 결과를 표 4에 표시하였다.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합금의 경우가 상용 합금인 SUS 329J1의 경우보다 기계적 성질 및 염화물 이온이 함유된 용액에서의 부식 저항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시효열처리의 영향]
본 발명 합금에서 시효 열처리의 효과를 알아보기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금 13과 15를 각각 BaC1+ NaC1의 혼합염욕으로 700℃에서 950℃까지 열처리하였다. 각 합금에 대하여 조직관찰, 페라이트 함량 측정, 입계 부식 시험(ASTM 262 PRACTICE C), 공식시험(50℃, 0.5N HC1 + 1N NaC1용액에서의 양극 분극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5에 나타내었다.
합금의 페라이트 함량은 광학 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으로부터 점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50℃와 900℃에서 페라이트 함량이 15%정도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효시간 (10분에서 3시간)은 페라이트 함량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계 부식시험 결과, 두 합금 모두 700℃에서 부식 속도가 가장 컸으며, 시효 온도가 상승할수록 부식속도는 감소하였다. 이렇게 온도상승에 따라 입계 부식속도가 감소하는 것은 고온에서는 기지 조직에 있는 크롬이 예민화 영역으로 재확산이 용이하게 일어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양극 분극시험 전후에 합금 표면을 관찰한 결과, 공식의 개시는 페라이트 상에서 시작되며 전파는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 구분없이 전파하고 있었다.
[실시예 8]
[시효열처리의 영향]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금 18을 CaC1+ NaC1 혼합염욕에서 550, 650, 750, 850, 950℃로 10분, 30분, 60분, 180분 동안 행하였다. 시효 열처리 후 합금조직을 관찰을 관찰하고 페라이트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ASTM A262 PRACTICE C에 따라 입계 부식 시험을 수행하였다 650℃에서 시효열처리했을 때 부식속도가 가장 컸다.
ASTM G48에 따른 침지실험으로 공식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50℃, 0.5N HC1 + 1N NaC1용액에서 양극 분극 시험을 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시효열처리 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금 19, 20를 시효열처리하였다. 시효열처리는 CaC1+ NaC1 혼합염욕에서 550, 650, 750, 850, 950℃로 10분, 30분, 180분 동안 행하였다. 시효 열처리 후 합금조직을 관찰하고 페라이트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입계 부식 시험, 공식시험을 행하였다. 합금 19에서 입계부식속도가 가장 큰 시효열처리 온도는 850℃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시효열처리 영향]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금 22∼24를 시효열처리하였다. 시효열처리는 CaC1+ NaC1 혼합염욕에서 550, 650, 750, 850, 950℃로 10분, 30분, 180분 동안 행하였다. 합금의 조직을 관찰하고 페라이트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입계 부식 시험, 공식시험을 행하였다. 합금 22와 23에서 임계부식속도가 가장 큰 시효열처리 온도는 모두 750℃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냉간가공의 영향]
상업용으로 순수한 품위를 갖는 전해철, 크롬, 니켈, 몰리브덴, Fe-Si, Fe-Cr-N을 재료로 하여,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질소분위기 하에서 고주파 유도 용해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 합금 21을 12 ㎏씩 제조하였다. 이때 기포 발생 부분은 라디오그라피로 확인한 후 제거하였다.
이 잉고트를 1200℃에서 30분간 소킹한 후, 열간압연 마무리 온도를 1,100로 하여 3㎜의 두께까지 열간 압연을 행하였다. 열간 압연으로 표면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66℃로 유지된 질산-불산 혼합용액에서 산세 처리를 행하였다.
그 뒤 1150℃에서 10분간 열처리한 후, 상온으로 급냉하여 두께 감소를 기준으로 0%, 10%, 30%, 60% 냉간 가공율을 준 다음 1000℃에서 재결정 처리를 해 주었다.
합금 21의 크롬당량/니켈당량값은 22.76/24.90이었다.
합금 21을 CaC12+ NaC1 혼합염욕에서 650, 750, 850, 950℃로 10분, 30분, 60분, 180분 동안 시효열처리하였다.
입계부식시험 (ASTM A262 PRACTICE C), 양극분극시험(50℃, 0.5N HC1 + 1N NaC1 용액, 주사속도 : 20㎷/min)을 행하였다. 시효온도에 따른 입계부식속도는 750℃에서 가장 부식속도가 컸으며, 950 ℃에서 가장 작았다.
X-선 회절분석결과, 850℃, 950℃ ℃에서 시효열처리한 합금에서는 시그마상이 검출되었다. 냉간가공과 열처리를 행한 경우, 가공율이 클수록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정입도에 따른 부식속도를 살펴보면 650 ℃, 750 ℃에서 입자크기가 가장 큰 경우에 부식속도도 가장 컸으며,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부식속도는 감소하였다. 이는 입자크기가 조대해짐에 따라 예민화 정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양극 분극 시험에서, 시효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는 가공열처리에 의하여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부식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시효열처리를 행한 경우 (예를 들어 650 ℃, 30분) 입자크기가 가장 작은 경우가 가장 우수한 양극 분극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 합금 2, 3, 4, 5, 6에 대하여 냉간 가공의 효과에 대한 실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둔합금에 대하여 냉간가공을 0, 10, 30, 40, 50, 60%를 가한후 응력 부식 균열 시험(42% MgC1, ASTM STANDARD G 36-75), 기계적 시험을 행하였다.
응력 부식 균열저항성에 미치는 냉간 가공의 영향을 살펴보면, 오스테나이트양이 많은 2번 합금은 냉간 가공량이 증가할수록 저항성이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외부에서 가한 응력은 연질의 오스테나이트를 가공 경화시키는데 전부 풀리고 가공 경화된 오스테나이트는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여 균열의 전파를 저지시킨다. 그러나 페라이트가 많아지면 외부에서 가한 응력이 페라이트를 내부 변형을 시켜서 균열전파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 합금 4에 대하여 냉간 가공을 행하고 기계적 성질을 측정해 본 결과, 0% 가공재의 경우 항복강도가 50㎏/㎟, 인장강도가 75㎏/㎟이고, 비커스 정도가 280이었으나, 60% 가공재의 경우는 항복강도가 100㎏/㎟, 인장강도가 120㎏/㎟이고 비커스 경도가 395로 증가하였다.
[실시예 13]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상업용으로 순수한 품위를 갖는 전해철, 크롬, 니켈, 몰리브덴, Fe-Si, Fe-Cr-N을 재료로 하여,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진공 하에서 고주파 유도 용해도를 이용하여 합금 합금을 각각 30㎏씩 제조하였다.
이 잉고트를 1250℃에서 30분간 소킹한 후 4㎜의 두께까지 열간 압연을 행하였다.
열간 압연으로 표면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66℃로 유지된 질산-불산 혼합용액에서 산세 처리를 행하였다. 그 뒤 1㎜의 두께로 냉간 압연을 행하고 1125℃에서 5분간 소둔 처리를 하고 수냉하였다. 소둔 처리로 표면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을 위의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합금들과 비교할 때, 붕소, 일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는 합금 38은 열간 가공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열간압연시 잉고트의 양쪽 모서리에서 나타나는 에지 균열의 발생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14]
[내식성 특성 비교]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합금 중 31과 37에 대하여, 6% FeC1(ASTM G48)과, 7%HSo+ 3%HC1 + 1%FeC1+ 1%CuC1를 각각 침지용액으로 사용하여 임계 공식 온도를 측정하였다. 합금 시편을 침지용액의 온도를 5℃씩 상승시키면서 각각 24시간 침지한 후 무게 감량을 측정하여 공식발생온도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또, 70℃, 0.5N HC1 + 1N NaC1 및 80℃ , 22% NaC1을 시험 용액으로 하여, 포텐시오스타트(potentiostat)를 이용하여 전위를 부식 전위로부터 양극 방향으로 주사하면서 전위-전류 곡선을 얻었다. 비교합금으로는 상용 스테인레스강인 SAF2507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제5도 및 제6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합금은 낮은 부동태 전류 밀도를 유지하면서 산소발생전위 (1V 이상)까지 안정한 부동태를 보이는 반면, 비교합금은 낮은 전위에서 공식이 발생하여 전류밀도가 급격히 증가한다.
[실시예 15]
[시효열처리의 영향]
시효열처리에 미치는 티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합금 31∼33 및 37을 800 ℃에서 1 시간 시효 열처리한 후 입계부식실험(Huey 시험) 하였다. 부식속도는 각각 131, 667, 635, 159 ㎎/㎡hr 였다.
합금 중에 적정량의 티타늄이 첨가된 31번 합금이 합금을 첨가하지 않는 합금 32, 33에 비해 시효 열처리 후에도 부식저항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합금이 비교합금보다 시효 열처리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은 제7도와 제8도에서도 알 수 있다.
[실시예 16]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합금 37, 43∼47을 80℃, 10% 황산 용액 및 25℃, 10% 염산 용액에 각각 24 시간 침지시키면서 부식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구리를 첨가함에 의해 산 용액에서의 내식성이 향상되었다.

Claims (4)

  1. 중량%로, 크롬: 20 - 35%, 니켈: 1 - 15%, 몰리브덴: 4 - 8%, 탄소: 0.20% 이하, 규소: 0.5 - 2.0%, 망간: 3.5% 이하, 질소: 0.6% 이하 및 잔여 철로 이루어지는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2. 중량%로, 크롬: 20 - 35%, 니켈: 1 - 15%, 몰리브덴: 4 - 8%, 탄소: 0.20% 이하, 규소: 0.5 - 2.0%, 망간: 3.5% 이하, 질소: 0.6% 이하 티타늄: 0.5 - 1.5% 및 잔여 철로 이루어지는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3. 중량%로, 크롬: 20 - 35%, 니켈: 1 - 15%, 몰리브덴: 4 - 8%, 탄소: 0.20% 이하, 규소: 0.5 - 2.0%, 망간: 3.5% 이하, 질소: 0.6% 이하 구리: 2.0% 이하 및 잔여 철로 이루어지는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4. 중량%로, 크롬: 20 - 35%, 니켈: 1 - 15%, 몰리브덴: 4 - 8%, 탄소: 0.20% 이하, 규소: 0.5 - 2.0%, 망간: 3.5% 이하, 질소: 0.6% 이하 및 잔여 철로 이루어지고, 추가적으로, 티타늄: 0.5 - 1.5%, 텅스텐: 3.0% 이하, 구리: 2.0% 이하, 및 바나듐: 2.0% 이하, 붕소: 0.001 - 0.01%, 마그네슘: 0.001 - 0.1%, 칼슘: 0.001 - 0.1% 및 알루미늄: 0.001 - 0.2%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두 가지 이상 함유하는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KR1019950012698A 1994-05-21 1995-05-20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KR0153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4-11132 1994-05-21
KR19940011132 1994-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683A KR950032683A (ko) 1995-12-22
KR0153877B1 true KR0153877B1 (ko) 1998-11-16

Family

ID=1938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698A KR0153877B1 (ko) 1994-05-21 1995-05-20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48413A (ko)
EP (1) EP0683241B1 (ko)
JP (1) JP2826974B2 (ko)
KR (1) KR0153877B1 (ko)
CN (1) CN1052036C (ko)
AT (1) ATE195559T1 (ko)
DE (1) DE69518354T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785B1 (ko) * 2011-08-01 2013-04-29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KR101258776B1 (ko) * 2011-08-01 2013-04-29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WO2013081422A1 (ko) * 2011-11-30 2013-06-06 (주)포스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6195293A1 (ko) * 2015-05-29 2016-12-08 삼경금속 주식회사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85C (zh) * 1996-10-14 2001-07-11 冶金工业部钢铁研究总院 超低碳双相不锈钢及其制造方法
US6051081A (en) * 1996-10-29 2000-04-18 Tubacex, S.A. Austenitic-ferritic steel of the superduplex type applicable to the fabrication of seamless tubes
AT405297B (de) * 1997-08-13 1999-06-25 Boehler Edelstahl Duplexlegierung für komplex beanspruchte bauteile
KR100263770B1 (ko) * 1998-01-23 2000-08-16 김영식 국부부식 저항성이 향상되고 시그마상의 형성이 억제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4031992B2 (ja) * 2001-04-27 2008-01-09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インダストリアル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優れた熱間加工性を持つ高マンガン二相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SE524952C2 (sv) * 2001-09-02 2004-10-26 Sandvik Ab Duplex rostfri stållegering
SE524951C2 (sv) * 2001-09-02 2004-10-26 Sandvik Ab Användning av en duplex rostfri stållegering
US6740150B2 (en) * 2001-09-10 2004-05-25 Tomahawk, Inc. Active steel repassivator for corroded steel in chloride contaminat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JP5254512B2 (ja) * 2001-09-26 2013-08-07 日本曹達株式会社 有機塩素化合物の脱塩素化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処理法
US7252249B2 (en) * 2002-02-22 2007-08-07 Delphi Technologies, Inc. Solenoid-type fuel injector assembly having stabilized ferritic stainless steel components
DE10215124A1 (de) * 2002-04-05 2003-10-16 Wme Ges Fuer Windkraftbetr Ene Verdampferrohr für eine Meerwasserentsalzungsanlage
SE527175C2 (sv) * 2003-03-02 2006-01-1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Duplex rostfri ställegering och dess användning
SE527178C2 (sv) * 2003-03-02 2006-01-1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nvändning av en duplex rostfri stållegering
JP2004342845A (ja) * 2003-05-15 2004-12-02 Kobe Steel Ltd 微細構造体の洗浄装置
CN100497704C (zh) * 2003-06-30 2009-06-10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两相不锈钢
KR100661328B1 (ko) * 2003-08-07 2006-12-27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2상 스테인레스강 및 그 제조 방법
US7396421B2 (en) * 2003-08-07 2008-07-08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Duplex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129563A1 (en) * 2003-12-11 2005-06-16 Borgwarner Inc. Stainless steel powder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CN1302138C (zh) * 2004-03-23 2007-02-28 宝钢集团上海五钢有限公司 含n双相不锈钢的冶炼生产方法
SE528375C2 (sv) * 2004-09-07 2006-10-31 Outokumpu Stainless Ab En sugvalsmantel av stål samt en metod för tillverkning av en sugvalsmantel
SE531305C2 (sv) * 2005-11-16 2009-02-1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trängar för musikinstrument
KR100694312B1 (ko) * 2005-12-19 2007-03-14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킨 용접봉용 고 Ni 듀플렉스계 스테인레스강
US9130602B2 (en) * 2006-01-18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nergy to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via a wireless link
DE602006020424D1 (de) * 2006-06-30 2011-04-14 Arcelormittal Stainless & Nickel Alloys Leiterplatten für Brennstoffzellebauteile
SE530711C2 (sv) * 2006-10-30 2008-08-1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Duplex rostfri stållegering samt användning av denna legering
SE530847C2 (sv) * 2006-12-14 2008-09-3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Platta till plattvärmeväxlare, plattvärmeväxlare uppbyggd av sådana plattor samt användning av denna plattvärmeväxlare
SE531091C2 (sv) 2007-03-08 2008-12-16 Sekab Biofuel Ind Ab Apparatur för utvinning av sockerarter ur lignocellulosamaterial medelst hydrolys och användning av visst material i apparaturen
FR2934183B1 (fr) * 2008-07-28 2011-02-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confinement de dechets par vitrification en pots metalliques.
CN101571173B (zh) * 2009-06-16 2011-01-05 博深工具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列车刹车片及制备方法
US8287403B2 (en) * 2009-10-13 2012-10-16 O-Ta Precision Industry Co., Ltd. Iron-based alloy for a golf club head
DE102011106222A1 (de) * 2011-06-07 2012-12-13 Rwe Power Ag Dampferzeugerbau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ampferzeugerbauteil
JP6037882B2 (ja) * 2012-02-15 2016-12-07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スケール剥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071608B2 (ja) 2012-03-09 2017-02-0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酸化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CN102650024A (zh) * 2012-05-24 2012-08-2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温韧性优良的双相不锈钢中厚板及其制造方法
WO2014157576A1 (ja) 2013-03-27 2014-10-02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鋼帯
DE102013103471A1 (de) * 2013-04-08 2014-10-0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stoffverteiler aus Duplexstahl
JP6327633B2 (ja) * 2013-09-19 2018-05-2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からなるダイヤフラム
DE102013110743B4 (de) * 2013-09-27 2016-02-11 Böhler Edelstah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uplexstahles
CN103741070B (zh) * 2014-01-23 2015-11-18 江苏银环精密钢管有限公司 一种环氧乙烷反应器用双相不锈钢无缝钢管
CN104357763B (zh) * 2014-11-15 2016-07-06 柳州市潮林机械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管材
CN104357762B (zh) * 2014-11-15 2016-06-08 柳州市潮林机械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管材
CN104357764B (zh) * 2014-11-15 2016-06-08 柳州市潮林机械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管材
CN104357765B (zh) * 2014-11-15 2016-07-06 柳州市潮林机械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管材
CN104451428A (zh) * 2014-12-10 2015-03-25 上海大学兴化特种不锈钢研究院 一种耐热耐磨蚀双相不锈钢铸造合金材料
KR101668532B1 (ko) * 2014-12-26 2016-10-24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641796B1 (ko) * 2014-12-26 2016-07-22 주식회사 포스코 드로잉성이 우수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N106032561A (zh) * 2015-03-11 2016-10-19 大田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高尔夫球铁杆头的组成合金
DE102017204099A1 (de) * 2016-03-15 2017-09-21 Ksb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aus einem Duplexstahl sowie mit dem Verfahren hergestellte Bauteile
CN106834965A (zh) * 2017-01-05 2017-06-13 宝钢不锈钢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中厚板及其制造方法
CN107012407A (zh) * 2017-03-23 2017-08-04 合肥协耀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耐腐蚀的双相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06995903A (zh) * 2017-03-31 2017-08-01 江苏星火特钢有限公司 一种海洋工程用耐应力腐蚀双相钢不锈钢丝绳及制备方法
KR20190072280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포스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N108103402B (zh) * 2017-12-26 2019-07-19 西华大学 一种轨道交通车体用不锈钢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9128166B (zh) * 2018-09-27 2020-05-12 北京科技大学 一种超高强度耐腐蚀软磁铁素体不锈钢近净成形方法
CN112323082B (zh) * 2020-09-28 2022-09-09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带退火酸洗方法及利用该方法生产的钢带
CN115700290A (zh) * 2022-10-28 2023-02-07 浙江广力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浮动油封用浮封环及其制备方法
CN116337745B (zh) * 2023-05-23 2023-07-28 太原理工大学 采用smat处理后的梯度材料耐蚀性的逐层电化学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6634A (en) * 1972-09-13 1976-11-24 Langley Alloys Ltd High strength stainless steel having a high resistance to corro sive and abrasive wear in corrosive environments particularly chloride environments
CA1242095A (en) * 1984-02-07 1988-09-20 Akira Yoshitake Ferritic-austenitic duplex stainless steel
US4500351A (en) * 1984-02-27 1985-02-19 Amax Inc. Cast duplex stainless steel
JPH0774416B2 (ja) * 1986-04-28 1995-08-09 日本鋼管株式会社 耐孔食性に優れた2相ステンレス鋼
US4816085A (en) * 1987-08-14 1989-03-28 Haynes International, Inc. Tough weldable duplex stainless steel wire
JPS6487750A (en) * 1987-09-30 1989-03-31 Nippon Yakin Kogyo Co Ltd Two-phase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in weld zone
US4915752A (en) * 1988-09-13 1990-04-10 Carondelet Foundry Company Corrosion resistant alloy
JP2952929B2 (ja) * 1990-02-02 1999-09-2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2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鋼材の製造方法
JP3227734B2 (ja) * 1991-09-30 2001-11-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耐食二相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2500162B2 (ja) * 1991-11-11 1996-05-2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二相ステンレス鋼
IT1257695B (it) * 1992-04-24 1996-02-01 Acciaio austeno-ferritico avente alta resistenza alla corrosione ed elevato carico di snervamento allo stato solubizzato.
JP2765392B2 (ja) * 1992-08-31 1998-06-1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H06128691A (ja) * 1992-10-21 1994-05-10 Sumitomo Metal Ind Ltd 靱性の良好な二相ステンレス鋼及びこれを素材とする厚肉鋼管
IT1263251B (it) * 1992-10-27 1996-08-05 Sviluppo Materiali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in acciaio inossidabile super-duplex.
JP3446294B2 (ja) * 1994-04-05 2003-09-1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785B1 (ko) * 2011-08-01 2013-04-29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KR101258776B1 (ko) * 2011-08-01 2013-04-29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WO2013081422A1 (ko) * 2011-11-30 2013-06-06 (주)포스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6195293A1 (ko) * 2015-05-29 2016-12-08 삼경금속 주식회사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8354T2 (de) 2001-04-26
CN1117087A (zh) 1996-02-21
KR950032683A (ko) 1995-12-22
JPH0841600A (ja) 1996-02-13
CN1052036C (zh) 2000-05-03
US6048413A (en) 2000-04-11
DE69518354D1 (de) 2000-09-21
ATE195559T1 (de) 2000-09-15
EP0683241A3 (en) 1996-05-08
EP0683241A2 (en) 1995-11-22
JP2826974B2 (ja) 1998-11-18
EP0683241B1 (en)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877B1 (ko) 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레스강
KR900006605B1 (ko)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US5733387A (en) Duplex stainless ste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U2307876C2 (ru) Высокопрочная мартенситная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с высокой коррозионной стойкостью к газообразному диоксиду углерода и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коррозионному растрескиванию под напряжением в сероводородной среде
KR970008165B1 (ko) 고망간 혼립 스테인레스강
US6576068B2 (en) Method of producing stainless steels having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US4975335A (en) Fe-Mn-Al-C based alloy articles and parts and their treatments
CA2473253A1 (en) High chromium-nitrogen bearing castable alloy
AU2002256261A1 (en) Method of producing stainless steels having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Gainer et al. The effect of nonmetallic inclusions on the pitting of mild steel
KR0167783B1 (ko) 오오스테나이트형 스테인레스강
US5405575A (en) High Cr content, P added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atmospheric corrosion resistance and rust prevention
Floreen An examination of chromium substitution in stainless steels
EP0224591A1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strength seamless steel pipes excellent in sulfide stress corrosion cracking resistance
KR970009523B1 (ko) 고강도 고내식성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2946992B2 (ja) 強度、靭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2相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KR20180074322A (ko) 내식성 및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0411286B1 (ko) 내식성및내후성이우수한고강도오스테나이트계스테인레스강및이를이용한강판제조방법
KR100215727B1 (ko) 시그마상 형성이 억제된 고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Muwila The Effect of Manganese, Nitrogen and Molybdenum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 Low Nickel (> 2 Wt%) Austenitic Stainless Steel
KR890001015B1 (ko) 내식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2667538B2 (ja) 腐食ないし侵食環境における耐疲労特性に優れる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ステンレス圧延鋼板
Robinson et al. The Substitution of Molybdenum with Vanadium in Cast Austenitic Stainless Steel Alloys
JPS6350403B2 (ko)
GB2392919A (en) A corrosion resistant steel for marin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