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605B1 -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605B1
KR900006605B1 KR1019860007110A KR860007110A KR900006605B1 KR 900006605 B1 KR900006605 B1 KR 900006605B1 KR 1019860007110 A KR1019860007110 A KR 1019860007110A KR 860007110 A KR860007110 A KR 860007110A KR 900006605 B1 KR900006605 B1 KR 90000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composition
high strength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282A (ko
Inventor
가쯔오 호시노
다까시 이가와
Original Assignee
닛씬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가이 미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씬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가이 미끼 filed Critical 닛씬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시료의 제조법을 도시한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 시료와 비교 시료의 용접부의 연화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본 발명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 저항을 갖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은 (1) 마르텐사이트형 스테인레스 강,(2) 가공 경화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3)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 강으로 크게 분류된다.
마르탠사이트형 스테인레스 강은 주로 Fe-Cr-C로 구성되고, 소입 온도 (900 내지 1100℃이지만 Cr,C함량에 따라 변한다) 영역에서는 실질적으로 오스테나이트 단상이지만,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점(Ms 점)이 실온 이상이고, 소위 소입 경화형 강이다.
이러한 계의 강은 소입 상태 또는 소입 소려 상태에서는 만만하고 가공성이 나쁘다. 그래서 통상은 소둔상태에서 벤딩, 절삭, 절단등의 가공을 행하고, 바라는 형상이 부여된후에 소입, 소려등의 열처리를 실시하여 고강도를 얻었다. 그러나 큰 부재는 열처리가 곤란하고, 또 용접 균열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용접후에 소러 일쳐리를 행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마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을 구조 부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결점을 보완해야 하는데, 이 목적으로 C 함량을 낮게 제한하여 소입 상태에서 매시브 마텐사이트상을 나타내는 강을 고려할 수있다. 예로서 일본국 특허공고 공보 소 51-35447호에 예시되어 있는 강은 그와 같은 강의 일예이다. 상기공보의 특허청구의 범위중의 강의 일예는 "일신제강 기술회보"(1975년 12월 발행, 제33흐)에 소개되어 있고, 그 조성은 C:0.032%, Si:0.75%, Mn:0.14%, Ni:4.01%, Cr:12.4%, Ti:0.31%이며, 상기 재료의 인장 강도는 약 108Kgf/mm2, 연신율은 약 6%이고, 용접 연화는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용접 연화가 낮고, 인장 강도는 높은 것이 용접 구조재로서 바람직하지만, 연신율이 낮으므로 가벼운 가공에서도 균띨이 발생하기 쉬워 구조용 가공재로서는 불충분하다.
가공 경화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은 AISI 301,201,304,202등의 준안정 오스테나이트상을 갖는 강으로서, 냉간 가공으로 강화된다. 이 강화법에 의한 기계적 성질은 JISG 4307에 규정되어 있다. 예로서 AISI 301의 1/2H에서는 항복 강도 77Kgf/mm2이상, 인창 강도 105Kgf/mm2이상, 연신율 10%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즉 인장 강도와 연신율 모두 높은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계의 재료는 용접등의 입열을 받게되면 그 가열부 또는 용접부가 연화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용접열영향부에 Cr 탄화물의 석출에 의한 Cr 결핍층이 생겨서 입계 응력 부식 균열이 발생한다.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 강은 매트릭스의 조성에 따라서 마르텐사이트제, 페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 등으로 분류되지만, 어느것도 시효 경화에 공현하는 Al,Ti,Nb,Cu,Mo,V등을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고 있고, 과포화 상태의 고용체를 시효 처리함으로써 금속간 화합물을 석출시켜 강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강은 매트릭스의 상태에 따라, 또 시효 경화에 기여하는 원소의 함량에 따라 인장강도 140 내지 190Kgf/mm2,연신율 2 내지 5%이다.
이러한 강은 구조용 부재로 사용하는 경우, 시효 처리전에 가공이니 용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큰 구조물을 시료 처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으로서 종래부터 알려진 강은 어느것도 강도, 가공성, 용접연와 저항 모두 겸비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결점이 없는 신규한 고강도 스태인레스 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정의 조성 범위내에서, 더우기 특정의 조건으로 조정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강재를 특정의 조건하에서 가열하여 역변태 오스테나이트상을 형성시키고, 이 역변태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와시켜 실온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C:0.10%이하, Si:0.20 내지 4.5%, Mn:0.20 내지 5.0%, P:0.060%이하, S:0.030%이하, Cr.10.0 내지 17.0%, Ni:3.0 내지 8.0%, N:0.10%이하, 잔부로서 불가피한 불순물과 Fe로 구성되고 Nieq=Ni+Mn+0.5Cr+0.3Si+20(C+N)으로 정의되는 Nieq값이 13.0 내지 17.5의 범위에 있는 강의 열연재, 냉연재 또는 소둔재를 550 내지 675℃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30시간 열처리하여 얻은 마르텐사이트 단상 또는 마르텐사이트상과 미세한 오스테나이트상의 복상 조직으로 이루어지머,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에 부가하여 합계 4% 이하의 Cu,Mo,W,Co의 1종 이상, 및/또는 합계 1% 이하의 Ti,Nb,V,Zr,AI,B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강을 소재로 하는 강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이 경우Nieq의 정의는 성분에 따라 수정된다). Cu,Mo,W,Co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에 Nieq 값은 Nieq=Ni+Mn+0.5Cr+0.3Si+20(C+N)+Cu+Mo+W+0.2Co로 정의되고, Ti,Nb,V,Zr,Al,B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Nieq=Ni+Mn+0.5Cr+0.3Si로 징의되며, Cu,Mo,W,Co의 1종 이상과 Ti,Nb,V,Zr,AI,B의 일종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Nieq=Ni+Mn+0.5C다-0.3Si+Cu+Mo+W+0.2Co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강은, 적합하게는 0.005 내지 0.08%, 더욱 적합하게는 0.010 내지 0.06%의 C: 적합하게는 0.25 내지 4.0%, 더욱 적합하게는 0.40 내지 4.00%의 Si, 적합하게는 0.30 내지 4.50%, 더욱 적합하게는 0.40내지4.0%의Mn: 적합하게는0.040%이하, 더욱적합하게는0.035%이하의P;적합하게는0.02% 이하, 더욱 적합하게는 0.015% 이하의 S; 적합하계는 11.0 내지 16.0%, 더욱 적합하게는 12.0 내지15.0%의Cr:적합하게는 3.5내지 7.5%, 더욱 적합하게는 4내지7.5%Ni: 적합하게는 0.07%o1하, 더욱 적합하게는 0.05% 이하의 N: 적합하게는 0.5 내지 3.5%, 더욱 적합하게는 1.0 내지 3.0%의Cu,Mo,W,Co의 1종 이상; 함유시 적합하게는 0.1 내지 0.8%, 더욱 적합하게는 0.15 내지 0.8% Ti,Nb,V,Zr,Al,B의.1종 이상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강은 상기 정의원 Ni바 값이 상기 정의된 범위내에 있도록 조성을 조정함으로써 열연 상태,냉연 상태, 소둔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나타난다.
본 발명은 열연 상태, 냉연 상태, 냉연후 소둔한 상태의 재료도 550 내지 675℃에서 1 내지 30시간 열처리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역 변태를 일으키고, 이것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신규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그와 같은 변태의 기구, 이유에 대해서는 잘 알 수 없지만, 그. 번화가 재현성을 갖고 발생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와같은 처리에 의해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스테인레스 강의 성질을 개선시키는 시도는 행해진바 없다.
본 발명의 강재는 100Kgf/mm2정도의 강도레벨을 갖고, 약 20%의 연신율을 보이며, 또 용집 연화가 없다.
본 발명의 강 조성의 한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탄소:C는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이고,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상 형성에 유효하며, 열처리후의 역변형오스테나이트상 및 마르텐사이트상의 강화에 유효하지만, 많으면 연신율을 저하시키고 또 용접부의 내식성을 열화시켜 0.10%를 한도로 한다.
질소:N는 C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 형성원소이고, 고온에서의 오스테나이트상 형성에 유효하며, 옅처리후의 역변형 오스테나이트상의 강도를 높혀 강화에 유효하지만, 많으면 연신율을 저하시키므로 0.1%를 한도로 한다.
규소:Si는 열처리후의 역변형 오스테나이트 상의 강화에 유효하고, 열치리시의 온도 허용 범위를 넓히므로 0.2% 이상 함유됨이 요구되지만, 많으면 응고시 또는 용접시에 응고 군열을 촉진시키므로 4.5%를 상한으로 한다.
망간:Mn은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이고, Ms정의 조정에 필요한 원소로서 0.2% 이상이 요구되지만, 많으면 제강시에 폐해가 되므로 5%를 상한으로 한다.
크롬:Cr은 내식성을 부여하는 기본적 성분으로서,10% 이만에서는 그 효과가 없고, 한편 17%를 초과하면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하는데 오스데나이트 형성 원소를 다량으로 필요로 하고, 그 결과 상온으로 가져갈때 바라는 조직을 얻을 수 없으므로 17%를 상한으로 한다.
니켈:Ni은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이고, 고온에서의 오스테나이트 단상화 및 Ms점의 조청에 필요하다.Ni 합량은 타원소의 합량애 따른다. 고온에서의 오스테나이트 단상화와 Ms점 조정을 위해서는 적어도 약3%가 필요하지만, 타원소의 함량이 저감하여도 8%를 초과하면 바라는 조직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인:P은 용제시에 원료, 부원료에서 혼입되어 들어오는 불가피한 불순물이지만, 강을 취약하게 하므로 0.060%를 상한으로 한다.
황:S도 제강시에 원료, 부원료에서 혼입되어 들어오는 불가피한 물순물이지만, 강을 취약하게 하므로 0.030%를 상한으로 한다.
구리:Cu는 원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Ms점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하다. 약 4%를 초과하면 열간 가공성을 현저하게 해치므로 4%를 상한으로 한다.
몰리브덴:Mo도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역변형 오스테나이트의 강도 향상 및 Ms점 저하에 유효하지만, 고가 재료이므로 많으면 강재의 가격을 상승시켜 4%로 한정된다.
텅스텐:W는 내식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고, Ms점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하지만, 많으면 재료의 가격을 상숭시키므로 4%로 한정된다.
코발트:Co는 고온 영역에서 오스테나이트화 작용을 크게 하고 MS점을 저하시킨다(오스테나이트화 작용이 크지만 Ms점을 과도하게 저하시키지는 않는다). Cr 함량이 큰 계의 조성 조정에 대단히 유효한 원소이지만, 많으면 강의 가격을 상승시키므로 4%로 한정된다.
이상의 4가지 원소는 공통으로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마텐사이트 형성 능력을 타성분과의 관계에서 조정하는데 유효하다. 이러한 의미로 균등물이라 한다.
티타늄:Ti은 탄화물 형성 원소이고, 용접시의 탄화물 석출에 의한 Cr 결핍층 발생의 억제나 역변형 오스테나이트상의 결정립 성장의 억제에 유효한 원소이지만, 많으면 표면 결함의 원인으로 되거나 용접시의 다량의 스컴 형성의 원인으로 되어 1%를 상한으로 한다.
니오브 Nb는 용접시의 Cr 탄합물의 석출에 의한 Cr 결핍층의 발생의 억제나 역변형 오스테나이트상의 결정립 성장의 억제에 유효한 원소이지만, 많으면 주조시 또는 용접시의 응고 균열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강재의 연성도 해치므로 1%를 상한으로 한다.
바나듐:V은 Cr 결핍층의 발생 억제나 역변형 오스테나아트의 결정립 성장의 억제에 유효한 원소이지만, 많으면 강재의 연성을 해치므로 1%를 상한으로 한다.
지르코늄:Zr은 용접시의 탄화물의 석출에 의한 Cr 결핌층 발생의 억제나 역변형 오스테나이트상의 결정립 성장의 억제에 유효한 원소이지만, 많으면 주조시나 용접시에 산화율계의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시키고,강의 연성과 표면 성상을 해치므로 1%를 상한으로 한다.
알루미늄:A1은 용융강중의 N을 고정시키고, 역변형 오스테나이트상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현저하지만, 많으면 용접시의 용량의 흐름을 나쁘게 하여 용접 작업을 곤란하게 하므로 1%를 상한으로한다.
붕소:B는 역변형 오스테나이트상의 결정립 성장의 억제나 열간 가공성의 개선에 유효한 원소이지만, 많으면 강의 연성을 해치므로 1%를 상한으로 한다.
이상의 6가지 원소는 탄화물 형성 원소로서 모두 역변형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성장의 억제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셔 균등물이라 한다.
니킬 당량치(Nieq)한정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강에 있어서 마르텐사이트 변태 종료온도는 실온(150 내지 -10℃)에 가까워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원 강은 열간 압연시, 소둔시 또는용접시에 강이 노출되는 온도 영역애서 오스테나이트 단상이지만, 이 상태로부터 실온으로 가져갈 때에는거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변태되어야 한다. "거의"라 함은 소량(약 25%)의 오스데나이트가 존재해도 좋다는 것을 말한다. 이와같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양은 그다지 엄밀히 고려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강에 있어서 각종의 원소가 합금되지만, 본 발명자들은 그 조성이 먼저 제시한 성분표와 정의된 니켈 당량(Nieq)의 한정에 따르는 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상기 한정 범위내에 있어도 니켈 당량치가 13미만인 강은 Ms점이 너무 높고, 상기에서 규정한 열처리를 행해도 바라는 높은 연신율을 얻을 수 없다. 또 니켈 당량치가 17.5보다 큰 강은 용접시에 용접부가 연화되어 바라는 고강도 부재를 얻을 수 없게 된다. Nieq식에 대해서는 지금 또 해설할 필요도 없지만, 각성분 원소의 오스테나이트상으로부터 마르텐사이트상으로의 변태에 대한 기여도를 고려하여 Ni의 오스테나이트 형성능을 기준으로 해서 계수를 정하고 Ni양으로 환산한 것이다. T1이하의 6원소는 상기한 성질에 관하여 중립적이고, 또 C,N의 오스테나이트 형성능을 없앤 것이므로 이들을 포함한 조성에서는 이들원소 및C,N은 고려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열처리 조건을 한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소둔 상태에서 마르텐사이트(매시브 마르텐사이트) 조직인 강은 100Kgf/mm2정도의 인장 강도를 갖지만, 연신율은 기껏해야 6% 전후로서 층분한 가공성을 갗는다고 말하기 어렵다. 강을 550 내지 675℃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30시간 유지시켜 마르텐사이트의일부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역변형시킨다. 이 역변형 오스데나이트는 조직적으로 다소안정하고, 그후의 냉각에 의해 전량이 마르텐사이트로 돌아가지 않고 오스테나이트로 잔류하는 것도 있다. 어떻게 해도 이 열처리에서 강도(항복 강도)을 현저히 저하시키지 않고 큰 연성을 얻을 수 있다. 550℃ 이하에서는 이 연성을 부르는 효과가 작고,675℃ 이상에서는 항복 강도뿐만 아니라 연성도 저하된다.
열처리 시간은 피처리재 크기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지만, 30시간을 넘으면 경제적으로 열처리에 들어가는 경비가 높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구체척으로 예시한다.
재료강은 30Kg 진공 고주파로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용제하여 저면 110×110mm, 상면 120×120mm,높이 290mm의 주괴를 만들고,1250℃에서 단조하여 두께 35mm, 폭 155mn1의 판으로 만든후, 절삭하여30×l50mm의 판으로 만들었다. 이 관을 1250℃에서 균열 처리하고, 두께 6mm까지 열간 압연하여 그 일부는 열연재(a)로 해서 시험에 제공했다. 다른 부분은 1030℃에서 10분간 소둔하고, 산세후 냉간 압연하여그 일부는 두께 1mm의 판으로서 83% 압하의 냉연재(b)로 해서 시험에 제공하고, 나머지는 두께 2mm의 판으로 하고, 중간 소둔후 재차 냉간 압연하여 그 일부는 두께 1mm의 판으로서 50% 압하의 냉연재(c)로,잔부는 재차 1030℃에서 1.5분간 소둔하고 산세하여 소둔재 (d)로 해서 시험에 제공했다. 시료 작성의 조작은 제l도에 도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료 및 비교 시료의 조성은 제1도에 표시되어 있다. 시료 1 내지 31은 본 발명의 소재강이고, A 내지 F는 비교예의 시료로서 이 조성은 규정된 조성 범위내에 있지만 니켈 당량치가 A 내지 D에서는 13미만이고, E 내지 F에서는 17.5를 넘는다. 기계적 성질 시험은 JIS Z 2201에 규정되어 있는 5호 및 13B호 시편을 이용해 측정했다. 마르텐사이트 양은 시료 진동형 자력계를 이용해 측정했다.
시편의 기계적 성질 및 마르텐사이트 양은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표 2에서 "종래법"이라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표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소둔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매시브 마르텐사이트조직을 갖는 강은 항복 강도 73 내지 126Kgf/mm2, 인장강도 94 내지 l35Kgf/mm2의 고강도 레벨을 갖지만, 연신율은 기껏해야 7.0%이다. 이것은 20% 냉연 강판인 시료 E,F와 각각 비교하여 현저히 낮다. 본발명의 열처리를 실시하 사료에서도 비교강은 연신율이 약간 높은, 그러나 8.5%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시료는 항복 강도는 약간 떨어지지만 대체로 항복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현저히 향상된 연신율을 보인다.
소둔재(d)를 조건을 변화시켜 열처리한 경우의 기계적 성질과 마르텐사이트 양을 표 3에 표시해 두었다. 표 3에서 "비교 방법"이라함은 열처리 온도가 본 발명의 상한치를 넘은 것을 말한다.표 3에 따르면 열처리의 상한 온도가 625t 근처에서 임계인 겻을 알 수 있다.
용접 시헙은 1mm 두께의 판상에 Tig 용접에서 전류 50A, 속도 400mm/분으로 비이드를 두어 행했다.결과는 제2도에 기록했다. 제2도는 비이드 중심으로 부터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료19,25는 600℃에서 20시간 열처리한 것이고, 비교시료 E,F는 20% 냉연재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시료는 확실히 용접부의 연화를 보이지 않는다.
[표 1]
본 발명강과 비교강의 화학성분 및 니켈 당량치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표 2]
본 발명강과 비교강의 기계적 성질 및 마텐사이트 양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표2의 계속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E, F : 20% 냉간압연제
[표 3]
본 발명 방법과 비교방법의 제품(소둔제)의 기계적 성질 및 마렌사이트 양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표 3의 계속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Claims (12)

  1. 마르텐사이트 단상 또는 마르텐사이트상과 미세한 오스테나이트상의 복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C:0.10% 이하, Si:0.20 내지 4.5%, Mn:0.20 내지 5.0%, P:0.060% 이하, S:0.030% 이하, Cr:10.0 내지 17.0%, Ni:3.0 내지 8.0%, N:0.1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로서 불가피한 불순물과 Fe로 이루어지며, Nieq=Ni+Mn+0.5Cr+0.3Si+20(C+N)으로 정의되는 Nieq의 값이 13.0 내지 17.5의 범위내에 있는 강의 열연재,냉연재 또는 소둔재를 550 내지 675℃의 온도 범위에서 l 내지 30시간에 걸쳐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례스 강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C:0.005 내지 0.08%, Si:0.25 내지 4.0%,Mn:0.30 내지 4.5%, P:0.04% 이하, S:0.02% 이하, Cr:11.0 내지 16.0%, Ni:3.5 내지 7.5%,N:0.07% 이하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C:0.007 내지 0.06%, Si:0.40 내지 4.0%,Mn:0.40 내지 4.0%, P:0.035% 이하, S:0.015% 이하, Cr:12.0 내지 15.0%, Ni:4.0 내지 7.5%,N:0.05% 이하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여 있는 겻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4. 마르텐사이트 탄상 또는 마르톈사이트상과 미세한 오스테나이트상의 복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C:0.10% 이하, Si:0.2내지 4.5%, Mn:0.2 내지 5.0%, P:0.060% 이하, S:0.030% 이하, Cr:10.0 내지 17.0%, Ni:3.0내지 8.0%, N:0.10% 이하와Cu,Mo,W,Co의 1종 이상을 합계 4.0% 이하 함유하고, 잔부로서 불가피한 불순물과 Fe로 이루어지며, Nieq=Ni+Mn+0.5Cr+0.3Si+20(C+N}+Cu+Mo+W+0.2Co로 정의되는 Nieq의 값이 13.0 내지 17.5의 범위에 있는 강의 열연재, 냉연재 또는 소둔재를 550 내지 675℃의 온도범위에서 l 내지 30시간애 걸쳐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C:0.005 내지 0.08%, Si:0.25 내지 4.0%, Mn:0.30 내지 4.5%, P:0.04% 이하, S:0.020% 이하, Cr:11.0 내지 16.0%, Ni:3.5 내지 7.5%, N:0.07% 이하와 합제 0.5 내지 3.5%의 Cu,Mo,W,Co의 1종 이상및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C:0,007 내지 0.06%, Si:0.40 내지 4.0%, Mn:0.40 내지 4.0%, P:0.035% 이하, S:0.015% 이하, Cr:12.0 내지 15.0%, Ni:4.0 내지 7.5%,N:0.05%이하와 합계1.0내지3.0%의 CuMo,Vr,Co의1종이상및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7. 마르탠사이트 단상 또는 마르텐사이트상과 미세한 오브데나이트상의 복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C:0.10% 이하, Si:0.2내지 4.5%, Mn:0.2 내지 5.0%, P:0.060% 이하, S:0.030% 이하, Cr:10.0 내지 17.0%, Ni:3.0내지 8.0%, N:0.10% 이하와 Ti,Nb,V,Zr,Al,B의 l종 이상을 합계 1% 이하 함유이고, 잔부로서 불가피한 불순물과 Fe로 이루어지며, Nieq=Ni+Mn+0.5Cr+0.3Si로 정의되는 Nieq의 값이 13.0 내지 17.5의 범위에 있는 강의 열연재, 냉연재 또는 소둔재를 550 내지 675℃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30시간에 걸쳐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C:0.005 내지 0.08%, Si:0.25 내지 4.0%,Mn.0.30 내지 4.5%, P:0.04% 이하, S:0.02% 이하, Cr:11.0 내지 16.0%, Ni 3.5 내지 7.5%,N:0.07% 이하와 합계 0.1 내지 0.8%의 Ti,Nb,V,Zr,Al, B의 1종 이상 및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C:0.007 내지 0.06%, Si:0.40 내지 4.0%,Mn:0.40 내지 4.0%, P:0.035% 이하, S:0.015% 이하, Cr:12.0 내지 15.0%, Ni:4.0 내지 7.5%,N:0.05% 이하와 합계 0.15 내지 0.8%의 Ti, Nb,V,Zr,Al, B의 1종 이상 및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10. 마르텐사이트 단상 또는 마르텐사이트상과 미세한 오스데나이트상의 복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C:0.10% 이하, Si:0.20내지4.5%,Mn:0.20내지5.0%, P:0.060%이하, S 0.030%이하,Cr:10.0내지17.0%, Ni:3.0 내지 8.0%, N:0.10% 이하와 Cu,Mo,W,Co의 1종 이상을 합계 4% 이하, Ti,Nb,V,Zr,Al,B의 l종이상을 합계 1% 이하 함유하고, 잔부로서 물가피한 뷸순물과 Fe로 이루어지머, Nieq=Ni+Mn+0.5Cr+0.3Si+Cu+Mo+W+0.2Co로 정의되는 Nieq의 값이 13.0 내지 17.5의 범위에 있는 강의 열연재, 냉연재또는 소둔재를 550 내지 675℃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30시간에 걸쳐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C:0.005 내지 0.08%, Si.0.25 내지 4.0%,Mn.0.30내지4.5%, P.0.040%이하, S:0.020%이하, Cr:11.0 내지 16.0%, Ni:3.5내지7.5%,N:0.07% 이하와 합계 0.5 내지 3.5%의 Cu,Mo,W,Co의 1종 이상과 합계 0.1 내지 0.8%의 Ti, Nb,V,Zr,Al,B의 1종 이상 및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례스 강재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C:0.007 내지 0.06%, Si:0.40 내지 4.0%,Mn:0.40 내지 4.0%, P:0.035% 이하, S:0.0l5% 이하, Cr:12.0 내지 15.0%, Ni:4.0 내지 7.5%,N:0.05% 이하와 합계 0.1 내지 3.0%의 Cu,Mo,W,Co의 1종 이상과 합계 0.15 내지 0.8%의 Ti, Nb,V,Zr,Al,B의 l종 이상 및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KR1019860007110A 1985-08-27 1986-08-27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KR900006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660585 1985-08-27
JP186605 1985-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282A KR870002282A (ko) 1987-03-30
KR900006605B1 true KR900006605B1 (ko) 1990-09-13

Family

ID=1619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110A KR900006605B1 (ko) 1985-08-27 1986-08-27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878955A (ko)
JP (1) JPH0647694B2 (ko)
KR (1) KR900006605B1 (ko)
AT (1) AT394056B (ko)
BR (1) BR8604065A (ko)
DE (1) DE3628862A1 (ko)
ES (1) ES2001400A6 (ko)
FR (1) FR2586708B1 (ko)
GB (1) GB2179675B (ko)
NL (1) NL193218C (ko)
SE (1) SE4694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822B2 (ja) * 1987-07-02 1996-10-09 日新製鋼株式会社 溶接強度および靭性に優れた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
JPH0814004B2 (ja) * 1987-12-28 1996-02-14 日新製鋼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高延性高強度の複相組織クロム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法
US5049210A (en) * 1989-02-18 1991-09-17 Nippon Steel Corporation Oil Country Tubular Goods or a line pipe formed of a high-strength martensitic stainless steel
JPH02225647A (ja) * 1989-02-27 1990-09-07 Nisshin Steel Co Ltd 高強度高延性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177190C (no) * 1989-12-11 1995-08-02 Kawasaki Steel Co Martensittisk rustfritt stål og fremstilling og anvendelse av dette
JP3032273B2 (ja) * 1990-10-16 2000-04-10 日新製鋼株式会社 高強度スチールベルトの製造方法
JPH04154921A (ja) * 1990-10-16 1992-05-27 Nisshin Steel Co Ltd 形状の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JP2678263B2 (ja) * 1990-11-28 1997-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強度高耐食性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2500162B2 (ja) * 1991-11-11 1996-05-2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二相ステンレス鋼
CA2139522C (en) * 1994-01-11 2008-03-18 Michael F. Mcguire Continuous method for producing final gauge stainless steel product
JP3444008B2 (ja) * 1995-03-10 2003-09-0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炭酸ガス腐食性及び耐硫化物応力腐食割れ性の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ステンレス鋼
DE19612818C2 (de) * 1996-03-30 1998-04-09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zur Kühlung walzwarmer Stahlprofile
US6207103B1 (en) 1997-08-01 2001-03-27 Kawasaki Steel Corporation Fe-Cr-Si steel sheets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254698B1 (en) 1997-12-19 2001-07-03 Exxonmobile Upstream Research Company Ultra-high strength ausaged steels with excellent cryogenic 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TW454040B (en) * 1997-12-19 2001-09-1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Ultra-high strength ausaged steels with excellent cryogenic temperature toughness
JP4252145B2 (ja) * 1999-02-18 2009-04-08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遅れ破壊性に優れた高強度・高靭性ステンレス鋼
DE10022463B4 (de) * 1999-05-12 2005-07-14 Trw Inc., Lyndhurs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einer Aufblasvorrichtung einer Fahrzeuginsassenschutzvorrichtung
JP2001131713A (ja) * 1999-11-05 2001-05-15 Nisshin Steel Co Ltd Ti含有超高強度準安定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製造法
JP4518645B2 (ja) * 2000-01-21 2010-08-04 日新製鋼株式会社 高強度高靱性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並びに冷延耳切れ抑止方法および鋼板製造法
JP3491030B2 (ja) * 2000-10-18 2004-01-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キロ−タ−用ステンレス鋼
GB2368849B (en) * 2000-11-14 2005-01-05 Res Inst Ind Science & Tech Martensi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US6793744B1 (en) 2000-11-15 2004-09-21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Martenstic stainless steel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corrosion
JP4144283B2 (ja) * 2001-10-18 2008-09-0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AU2002365596B2 (en) 2001-11-27 2007-08-0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CNG fuel storage and delivery systems for natural gas powered vehicles
US6852175B2 (en) * 2001-11-27 2005-02-08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High strength marine structures
US7217905B2 (en) * 2003-10-29 2007-05-15 Delphi Technologies, Inc. Weld filler metal that reduces residual stress and distortion
JP4400423B2 (ja) * 2004-01-30 2010-01-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
US7513960B2 (en) 2005-03-10 2009-04-07 Hitachi Metals, Ltd. Stainless steel having a high hardness and excellent mirror-finished surface proper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E102005030413C5 (de) * 2005-06-28 2009-12-10 Technische Universität Bergakademie Freiberg Hochfester austenitisch-martensitischer Leichtbaustahl und seine Verwendung
EP2129485B1 (en) * 2007-03-23 2015-04-22 National Oilwell Varco Denmark I/S A method of welding duplex stainless steel strip for the production of an armouring layer of a flexible pipe
EP2265739B1 (en) 2008-04-11 2019-06-12 Questek Innovations LLC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trengthened by copper-nucleated nitride precipitates
DE102010025287A1 (de) * 2010-06-28 2012-01-26 Stahlwerk Ergste Westig Gmbh Chrom-Nickel-Stahl
CN102877000A (zh) * 2012-09-27 2013-01-16 无锡宏昌五金制造有限公司 一种不锈钢合金材料
CN103866198B (zh) * 2012-12-17 2015-10-14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外科手术用沉淀硬化马氏体不锈钢及其热处理工艺
DE102012112703A1 (de) * 2012-12-20 2014-06-26 Max-Planck-Institut Für Eisenforschung GmbH kaltformbare, schweißgeeignete Konstruktionsstähle
EP3052671B1 (en) * 2013-10-02 2020-08-26 The Nanosteel Company, Inc. Recrystallization, refinement, and strengthening mechanisms for production of advanced high strength metal alloys
JP6005234B1 (ja) * 2015-09-29 2016-10-12 日新製鋼株式会社 疲労特性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I127450B (en) * 2016-06-30 2018-06-15 Outokumpu Oy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10633726B2 (en) * 2017-08-16 2020-04-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hods, compositions and structures for advanced design low alloy nitrogen steels
CN109423573B (zh) * 2017-08-31 2021-06-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氧腐蚀不锈钢、套管及其制造方法
CN113046642B (zh) * 2021-03-11 2023-07-2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低成本高强度高耐腐蚀性不锈钢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15067A (de) * 1959-06-24 1966-06-15 Bofors Ab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weissbaren, härtbaren und korrosionsbeständigen Stahls
US2999039A (en) * 1959-09-14 1961-09-05 Allegheny Ludlum Steel Martensitic steel
US3253908A (en) * 1959-11-20 1966-05-31 Armco Steel Corp Stainless steel and method
SE300117B (ko) * 1963-01-05 1968-04-08 Bofors Ab
GB1214293A (en) * 1966-11-14 1970-12-02 Hadfields Ltd Martensitic stainless steels
SE330616B (ko) * 1967-06-08 1970-11-23 Uddeholms Ab
US3622307A (en) * 1968-05-15 1971-11-23 Armco Steel Corp Precipitation-hardenable chromium-nickel stainless steel
JPS495090B1 (ko) * 1968-06-10 1974-02-05
US3574601A (en) * 1968-11-27 1971-04-13 Carpenter Technology Corp Corrosion resistant alloy
GB1236698A (en) * 1969-06-12 1971-06-23 Uddeholms Ab Stainless martensitic steels
JPS5135447A (ko) * 1974-09-17 1976-03-25 Tetsuji Izumi
DE2817179A1 (de) * 1978-04-20 1979-10-31 Schmidt & Clemens Chrom-nickel-stahl
JPS6053737B2 (ja) * 1978-10-20 1985-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車ランナ用ステンレス鋳鋼
JPS5935412B2 (ja) * 1980-03-19 1984-08-28 日新製鋼株式会社 析出硬化型ばね用ステンレス鋼素材の製法
JPS56139662A (en) * 1980-04-03 1981-10-31 Nisshin Steel Co Ltd Metallic conveyor belt and its manufacture
JPS5716154A (en) * 1980-06-30 1982-01-27 Nippon Yakin Kogyo Co Ltd High strength martensite-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pitting resistance
IE49200B1 (en) * 1981-03-19 1985-08-21 John Edward Noel Shaughnessy Wall 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wall ties
US4544420A (en) * 1983-03-01 1985-10-01 Electralloy Corporation Wrought alloy body and method
JPS6092455A (ja) * 1983-10-26 1985-05-24 Hitachi Ltd 水車用鋳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79675B (en) 1989-11-15
NL8602089A (nl) 1987-03-16
ES2001400A6 (es) 1988-05-16
JPH0647694B2 (ja) 1994-06-22
AT394056B (de) 1992-01-27
FR2586708A1 (fr) 1987-03-06
KR870002282A (ko) 1987-03-30
SE8603560D0 (sv) 1986-08-22
DE3628862C2 (ko) 1989-11-30
US4878955A (en) 1989-11-07
GB2179675A (en) 1987-03-11
NL193218C (nl) 1999-03-03
JPS62124218A (ja) 1987-06-05
BR8604065A (pt) 1987-11-17
FR2586708B1 (fr) 1993-06-18
DE3628862A1 (de) 1987-03-12
SE8603560L (sv) 1987-02-28
ATA229286A (de) 1991-07-15
SE469430B (sv) 1993-07-05
NL193218B (nl) 1998-11-02
GB8620720D0 (en) 1986-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605B1 (ko)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RU2074900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тали (варианты)
KR950009223B1 (ko) 프레스 성형성, 열간가공성 및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EP0081592B1 (en) Brake discs of low-carbo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US4826543A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 toughness, high strength steel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JP3864536B2 (ja)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る高強度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798634A (en) Corrosion resistant wrought stainless steel alloys having intermediate strength and good machinability
JP2826819B2 (ja) 加工性に優れ溶接軟化のない高強度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H06287635A (ja) 延性に優れ溶接軟化のない高耐力・高強度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US4851054A (en) Method of producing rolled steel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sulfide stress corrosion cracking
JPH06271975A (ja)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およびその製法
JPS625986B2 (ko)
JPH07188840A (ja)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およびその製法
JPS63213619A (ja) 加工性に優れ溶接軟化のない高強度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H0633195A (ja) 析出硬化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WO1987004731A1 (en) Corrosion resistant stainless steel alloys having intermediate strength and good machinability
JP2002339037A (ja) 低温継手靱性と耐ssc性に優れた高張力鋼とその製造方法
JPH01319629A (ja) 靭性の優れたCr−Mo鋼板の製造方法
JPH05195054A (ja) 加工性に優れた構造用高強度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H07216451A (ja) 溶接軟化抵抗の高い高強度高延性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H06240406A (ja) 高強度高靭性鋼板
JPH0569884B2 (ko)
EP0713924A2 (en) Corrosion-resistant spring steel
JPH07268561A (ja) 熱間加工性に優れ溶接軟化のない高強度ステンレス鋼
JPH07110971B2 (ja) 加工性に優れ溶接軟化のない高強度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0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8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