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828B1 - 양두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양두 사판식 압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828B1
KR0140828B1 KR1019940030838A KR19940030838A KR0140828B1 KR 0140828 B1 KR0140828 B1 KR 0140828B1 KR 1019940030838 A KR1019940030838 A KR 1019940030838A KR 19940030838 A KR19940030838 A KR 19940030838A KR 0140828 B1 KR0140828 B1 KR 014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inclined plate
thrust bearing
bearings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580A (ko
Inventor
하야또 이께다
나오야 요꼬마찌
사또시 우메무라
가즈야 기무라
히데오 모리
히사또 가와무라
아끼라 나까모또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찌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761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46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93483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417047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찌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찌세이
Publication of KR95001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63Actuating-element bearing means or driving-axis bea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96Cam and slide
    • Y10T74/18336Wabbl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경사판의 불안정 진동을 저감시킨다.
경사판(5)의 양 보스부와 1 쌍의 실린더 블럭(2, 3)에 형성된 지지부와의 사이에 각각 끼어 장착된 스러스트 베어링(6A, 6B) 가운데 그 어느쪽 한쪽만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부여한 것에 의해 경사판(5)의 불안정 진동을 저감하며 경음 장해를 진정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서 진동을 줄이며 스러스트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함을 도모한다.
구동축(101)을 지지하는 전후 1 쌍의 레디얼 베어링(104A, 104B)은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S)에서 서로 같지 않은 거리에 장착됨과 함께 그 레디얼 베어링(104A, 104B)까지의 거리(a, b)가 긴 측에 배치되는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106B)은 대향하는 양 수압자리(105b, 103b)에 의해 리지드에 끼어 지지되며, 다른쪽의 스러스트 베어링(106A)에는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이 부여되어져 있기 때문에 스러스트 베어링(106B)의 부하가 경감되어 그 내용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양두 사판식 압축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압축기의 주요부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따른 압축기의 주요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따른 압축기의 주요부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따른 Lf- Lr과 진동 레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따른 Lf- P과 진동 레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따른 압축기의 전개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따른 압축기의 주요부 단면도.
제 8 도는 종래 압축기의 전개 단면도.
제 9 도는 종래의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의 하중흡수 기능을 간략히 나타낸 설명도.
제 10 도는 레디얼 베어링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참고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모의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동축2, 20: 전부 실린더 블럭
3: 후부 실린더 블럭4a, 4b: 래디얼 베어링
5, 50: 경사판6A, 6B: 스러스트 베어링
6a: 이너 레이스6b: 아우터 레이스
8: 접시 스프링70: 전자 클러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양두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사판의 축(axial) 하중을 받는 스러스트 베어링 부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차량 공조용에 제공되고 있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의 다수는 제 8 도에 예시하듯이(일본 특허공개 공보 소 제 64-63669 호에 실려있듯이) 1쌍의 실린더 블럭(10A, 10B)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축(11)위에 경사판(12)이 장착되어지며 그 경사판(12)의 전후에 끼여 장착된 스러스터 베어링(13)은 상기 양 실린더 블럭(10A, 10B)과 그 바깥단을 폐쇄하는 양 하우징(14, 15)이 관통 볼트(16)로써 함께 체결되는 것에 의해 장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함께 체결되는 것에 따른 축방향의 수축을 스러스트 베어링(13)의 레이스에 생기는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하며, 이너 레이스(inner race : 13a)는 그 외경 근방에서 경사판(12)의 양 보스부에 형성된 고리형상 압력받이 시트(12a)와 접합하며, 한편, 아우터 레이스(outer race : 13b)는 그 내경 근방에서 실린더 블럭(10A, 10B)의 지지부에 형성된 고리형상 압력받이 시트(10a)와 접합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도시하지 않은 전자 클러치의 온 동작에 기초하여 경사판(12)이 회전되면, 경사판(12)의 회전에 따른 냉매 가스의 압축 반력에 의해 생기는 축하중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13)에 의해 지지되지만 이들 스러스트 베어링(13)의 양쪽은 상술한 서로 다른 지름의 고리형상 압력받이 시트(10a, 12)의 끼어 지지하는 것에 의해 적극적으로 탄성 변형(완충 기능)이 생기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제 9 도에 간략히 도시하듯이 변동 하중을 지지하는 경사판(12)의 양측에 사실상 스프링 수단(S)이 끼어드는 결과가 된다. 즉, 압축반력이 경사판(12)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이러한 스프링 수단(S)의 상호 완충에 의해 경사판(12)에 불안정한 진동을 초래하며, 특히 고속 회전시에 생기는 투과성이 강한 주파수 성분은 소음 장해를 한층 조장시킨다.
또, 한편으로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 제 54-170410호 공보에 명시되어 있듯이 경사판의 양보스부 및 실린더 블록의 양 지지부를 모두 평평한 압력받이 시트로서 양 스러스트 베어링에 끼어 지지되는 형식도 볼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수축관리 즉 관통 볼트의 체결력의 조정이 눈에 띄게 어려우며, 또한 압축 반력에 기초하여 모멘트가 경사판에 작용한 경우 경사판의 압력받이 시트와 전체 평면에서 마찰되는 이너 레이스가 전동체(롤러)의 바깥 단부에 먹혀 들어가는 형태로 강하게 압축되므로, 이와 같은 롤러에 가해지는 편의하중이 스러스트 베어링의 박리(flaking)를 동반하여 마모를 극히 빠르게 할뿐만이 아니라, 진동, 소음의 발생과 동력 손실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함께 체결되는 부품에 알루미늄 합금이 채용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고유의 열 팽창 특성에 기인하는 체결력의 변동에도 전혀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지극히 간략한 구성으로 경사판 불안정한 진동을 감소하는 일을 해결하려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전후에 설치된 1쌍의 실린더 블럭의 양 바깥단은 각각 밸브판을 거쳐서 전후의 하우징에 의해 폐쇄되며, 그 전부의 하우징의 중심축 구멍 및 각 실린더 블럭의 공통 중심축 구멍에는 구동축이 전후 1 쌍의 레디얼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되며 구동축과 같이 움직이는 경사판의 양 보스부와 각 실린더 블럭에 형성된 지지부와의 사이에 각각 스러스트 베어링을 끼어 장착한 양두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어느 쪽이든 한쪽만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부여한 신규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구동축과 함께 움직이는 경사판의 보스부에 형성된 압력받이 시트와 각 실린더 블럭의 지지부에 형성된 압력받이 시트와의 사이에 각각 스러스트 베어링을 끼어 지지한 양두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각 레디얼 베어링은 상기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에서 서로 같지 않은 거리에 설치되고, 동시에 레디얼 베어링까지의 거리가 긴 쪽에 배치되는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대향하는 양 압력받이 시트에 의해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며, 다른 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에는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신규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각 레디얼 베어링까지의 거리라는 것은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에서 실질적으로 구동축을 지지하는 각 레디얼 베어링의 내륜 또는 롤러의 내단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전단이 전자 클러치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경사판의 후부 보스부 및 상기 후부 실린더 블럭의 지지부에 형성되며, 그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궤도 중심원을 포함하는 양 압력받이 시트에 의해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며, 상기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는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이 부여된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전단이 전자 클러치에 연결되는 경우에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는 상기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경사판 보스부의 앞쪽에 배치되어져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능은 상기 다른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끼어 지지하는 서로 다른 지름의 고리 형상 압력받이 시트가 갖는 레이스 자체의 탄성 변형이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능은 상기 다른쪽의 스러스트 베어링과 실린더 블럭과의 사이에 끼어 장착된 스프링 부재 고유의 탄성 변형이다.
각 실린더 블럭에는 구동축 주위에 각각 보어피치 반경(P)으로서 평행하게 전후 복수쌍의 보어가 나란히 설치되며, 각 레디얼 베어링은 경사판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보어 피치 반경(P)만큼 떨어진 점을 포함하여 각각 같은 거리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어 피치 반경(P)이라는 것은 구동축의 중심에서 각 보어의 축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또, 상기 레디얼 베어링이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보어피치 반경(P)만큼 떨어진 점(이하, 점 Q라고함)을 포함한다는 것은 레디얼 베어링의 내측단이 점(Q)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레디얼 베어링의 외측단이 점(Q)과 일치하는 위치까지의 사이에 레디얼 베어링이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레디얼 베어링의 내측단이라는 것은 레디얼 베어링이 구동축과 맞닿는 부분의 레디얼 베어링의 내측단이라는 것은 레디얼 베어링이 구동축과 맞닿는 부분의 내측(압축기의 중심측)단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내륜을 갖는 레디얼 베어링의 경우는 그 내륜이 구동축과 맞닿는 부분의 내측단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레디얼 베어링의 외측단이라는 것은 그 레디얼 베어링이 구동축과 맞닿는 부분의 외측단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내륜을 갖는 레디얼 베어링의 경우는 그 내륜이 구동축과 맞닿는 부분의 외측단을 말하며, 내륜을 갖지 않는 레디얼 베어링의 경우는 롤러가 구동축과 맞닿는 부분의 외측단을 말한다. 또, 각 레디얼 베어링이 각각 같은 거리로 배치되는 것은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각 레디얼 베어링의 내측단까지의 거리가 같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구동축의 전단이 전자 클러치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판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상기 각 레디얼 베어링까지의 거리는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 보다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의 쪽이 길게 되도록 설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축방향 중심점(0)에서 각 레디얼 베어링까지의 거리는 축방향 중심점(0)에서 각 레디얼 베어링의 내측단가지의 거리인 것이다.
상기 완충 기능은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끼어 지지하는 경사판의 보스부와 실린더 블럭의 지지부에 형성된 서로 다른 지름의 고리형상 압력받이 시트가 수반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의 레이스 자체의 탄성 변형이다.
[작용]
따라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 항 기재의 압축기에서는 경사판의 양 보스부가 스러스트 베어링을 거쳐서 실린더 블럭을 포함하는 공통 체결 부재에 의해 끼어 붙이면 축방향의 수축은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완충기능에 의해 충실히 흡수되기 때문에 관통 볼트의 체결력은 용이하며 또한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압축기가 운전되면 압축반력에 기초하여 모멘트가 경사판에 작용하지만 완충 기능을 부여하지 않는 다른 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이 그 강성에 의해 경사판의 불안정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변동되는 축하중은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부여된 완충기능에 의해 양호하게 흡수된다.
여기에서 구동축의 선단에 전자 클러치가 연결된 압축기에 있어서는 운전시 완충 고무의 축방향 휨을 따라서 전기자가 후방으로 약간 이동하여 회전자에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에는 완충 고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구동축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항상 작용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의 어느 한쪽만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부여한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완충 기능을 부여한 경우 아래에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즉, 압축기의 운전시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축에는 이것을 후방으로 밀어내고자 하는 힘이 항상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완충 기능이 부여되어지면, 이 스러스트 베어링이 탄성변형하는 양만큼 구동축이 후방으로 매우 조금 이동하여 버린다. 이 결과 견고하게 끼어 지지된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서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경사판의 전부 보스부 및 전부 실린더 블럭 지지부의 쌍방 압력받이 시트와의 사이에 걸리는 압력이 약간 저하하여 경사판의 지지 강성이 약간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견고하게 끼어 지지된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강성에 의해 경사판의 불안정한 진동을 제어하는 효과가 약간 감소해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견고하게 끼어 지지하여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상기 완충 기능을 부여한 청구항 제 2 항 기재의 압축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는 없다.
또한, 전자 클럭치에서의 영향에 의해 구동축에 작용하는 구동축을 후방으로 밀어내려는 힘은 견고하게 끼어 지지된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으로 받아낼 수 있기 때문에, 견고하게 끼어 지지된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서는 받아낼 수 있기 때문에, 견고하게 기어 지지된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는 그 스러스트 베어링과 경사판의 후부 보스부 및 후부 실린더 블럭의 지지부의 양쪽의 압력받이 시트와의 사이에 걸리는 압력이 약간 향상되어 경사판에 대한 지지강성도 향상된다. 따라서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견고하게 끼어 지지하며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상기 완충 기능을 부여한 경우, 반대의 구성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면 스러스트 베어링의 지지 강성에 의해 경사판의 불안정한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거기에다 청구항 제 3 항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 각 상기 레디얼 베어링을 경사판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보어 피치 반경(P)만큼 떨어진 점을 포함하여 각각 같은 거리에 위치시킨 것이며, 이것에 의해 아래에 나타내듯이 상기 압축 반력에 기초하는 모멘트가 경사판에 작용하며, 이 모멘트가 경사판을 거쳐서 구동축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 경사판 및 구동축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일이 가능하다. 즉, 구동축은 축방향 중심점(0)에서 축방향으로 균등 위치에 배치된 전후의 레디얼 베어링에 의해 균형이 맞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압축 반력은 구동축의 축심에서 보어 피치 반경(P)만큼 반경 방향으로 떨어진 점에서 경사판에 작용하며, 경사판에는 그 구동축의 축심상에 상기 축방향 중심점(0) 주위의 모멘트가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반력은 경사판이 고정된 구동축에도 경사판을 거쳐서 작용하지만 이 구동축은 상기 축방향 중심점(0)에서 축방향에 보어 피치 반경(P)만큼 떨어진 점(Q)에 배치된 전후의 레디얼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구동축에는 각 레디얼 베어링에서의 반력에 기초하여 상기 축방향 중심점(0) 주위의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이 모멘트는 상기 압축 반력에 기초하여 경사판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이면서 거의 동등한 모멘트로 된다. 따라서, 압축 반력에 기초한 모멘트에 의한 경사판의 진동을 부여하는 힘과 각 레디얼 베어링에서 구동축이 받는 반력에 기초한 모멘트에 기초한 구동축의 진동을 부여하는 힘이 상쇄되며, 양자에 걸리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한편, 청구항 제 4 항 기재의 압축기는 청구항 제 2 항의 압축기에 있어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의 경사판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의 거리를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의 그것 보다도 길게 설정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 아래에 나타나듯이 구동축의 선단에 연결된 전자 클러치에 걸리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즉, 통상 1 쌍의 레디얼 베어링 사이의 거리는 구동축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내, 즉, 상기 거리가 너무 짧기 때문에 구동축이 기울어지거나 또 상기 거리가 너무 길기 때문에 1 쌍의 레디얼 베어링 사이에서 구동축이 휘거나 하는 일이 없는 범위내에 설정되어 있으며, 청구항 제 4 항 기재의 압축기와 같이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의 경사판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의 거리를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의 그것보다도 갈게 설정한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은 전방쪽, 즉, 전자 클러치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구동축의 전단에 고정된 전자 클러치와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과의 사이에서 구동축의 휨을 억제하는 일이 가능하다. 따라서 구동축의 훨링(whirling)과 전자 클러치의 중심 벗어남에 의해 원심력에 기인하는 전자 클러치에 걸리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구동축을 지지하는 1 쌍의 레디얼 베어링간의 거리는 이것을 길게 하는 만큼 구동축의 구부러짐이 크게 되며, 반대로 짧게 하는 만큼 구동축의 기울기가 크게 된다. 이 때문에 레디얼 베어링간의 거리는 이러한 구부러짐과 기울기의 억제를 딱 알맞게 양립시킨 관점에서 설정되지만, 청구항 제 7 항 기재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해서 구해진 레디얼 베어링간 거리를 보유한 채로 이것을 경사판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편재시켜서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에서 레디얼 베어링가지의 거리가 긴쪽에 배치되는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견고하게 끼어 지지하며, 다른 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에는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이 경우 모멘트의 주로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어 있는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 구동축 및 그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경사판을 넘어서 반대쪽에 위치하는 레디얼 베어링인 3 자로서 받는 것이 되지만, 그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과 합하는 경사판 보스부의 압력받이 시트에서 그 레디얼 베어링까지의 거리가 단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의 구부러짐이 작게 되는 것에 의해 그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작용하는 부하는 필연적으로 경감되므로 그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특히 염려되는 박리의 발생이 양호하게 방지된다.
또 청구항 제 8 항 기재의 압축기와 같이 견고하게 기어 지지되어 있는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경사판의 앞쪽에 배치하며, 부수적으로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에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까지의 거리가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의 그것 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 보다 전자 클러치에 가깝게 되어서 전자 클러치의 중심 벗어남과 함께 구동축의 훨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제 1 실시예]
아래에 제 1 도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는 특별히 다른 것이 없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 은 전부 실린더 블럭(2) 및 후부 실린더 블럭(3)의 공통 중심축 구멍에 전후 1 쌍의 레디얼 베어링(4a, 4b)을 끼워서 지지된 구동축이며, 그 구동축(1) 위에 장착된 경사판(5)의 전후에는 스러스트 베어링(6A, 6B)이 기어 장착되며, 이들 양 스러스트 베어링(6A, 6B)은 종래와 마찬가지 형태의 관통 볼트로 함께 체결됨으로서 경사판(5)의 양 보스부와 양 실린더 블럭(2, 3)의 지지부와의 사이에 끼어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무엇보다도 특징적인 구성인 스러스트 베어링(6A, 6B)의 끼어 지지하는 수단에 관해서 설명하면,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B)을 끼어 지지하는 경사판(5)의 후부 보스부와 함께 후부 실린더 블럭(3)의 지지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스러스트 베어링(6B)의 궤도 중심원(C)을 포함하는 평평한 압력받이 시트(5b, 3b)가 형성되며, 이너 레이스(6a) 및 아우터 레이스(6b)가 각각 그 압력받이 시트(5b, 3b)와 거의 전면적으로 밀착되는 것에 의해 그 스러스트 베어링(6B)은 안정되며 또한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어 있다.
한편, 끼어 지지하는 수단을 다르게 하는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A)에는 특히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기능이 부여되어져 있다. 즉, 상기 경사판(5)의 전부 보스부에는 비교적 큰 지름의 고리형상 압력받이 시트(5a)가 형성되며, 이너 레이스(6a)는 그 외경 근방에서 고리형상 압력받이 시트(5a)와 접합하며, 한편 상기 전부 실린더 블럭(2)의 지지부에는 비교적 작은 지름의 고리 형상 압력받이 시트(2a)가 형성되어 아우터 레이스(6b)가 그 내경 근방에서 고리 형상 압력받이 시트(2a)와 접합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경사판(5)의 양 보스부가 스러스트 베어링(6A, 16B)을 거쳐서 양 실린더 블록(2, 3)을 포함하는 공동 체결 부재에 끼어 장착되면, 서로 다른 지름의 고리 형상 압력받이 시트(5a, 2a)와 접합하는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A)의 레이스(6a, 6b) 자체에 탄성 변형이 생기며, 완충기능을 발휘하고 그 완충 기능에 의해 축방향의 수축이 충실하게 흡수되기 때문에 함께 조이는 긴밀한 체결력이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조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리고 압축기가 운전되면 압축 반력에 기초한 모멘트가 경사판(5)에 작용하지만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어 있는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B)이 그 강성에 의해 경사판(5)의 불안정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변동되는 축하중은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A)에 부여된 상기 완충 기능에 의해 충실히 흡수된다.
이 경우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어 있는 스러스트 베어링(6B)과 접합하는 압력받이 시트(5b)에서 경사판(5)을 넘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레디얼 베어링(4b)까지의 거리(C)가 단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1)의 구부러짐이 작게 되며, 그 스러스트 베어링(6B)에 작용하는 부하는 필연적으로 경감되기 때문에 그 스러스트 베어링(6B)에 특히 염려되는 박리의 발생은 양호하게 방지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보다 특징적인 구성인 레디얼 베어링(104A, 104B)의 배치에 관해서 제 10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구동축(101)을 지지하는 후부 1 쌍의 레디얼 베어링(104A, 104B)의 거리(L)는 이것을 길게 하는 만큼 구동축(101)의 구부러짐이 크게 되며, 반대로 짧게 하는 만큼 구동축(101)의 기울기가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레디얼 베어링(104A, 104B)사이의 거리(L)는 이러한 구부러짐과 기울기의 제어를 꼭 알맞게 양립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설정되지만, 이와 같이 해서 구해진 그 거리(L)를 도면과 같이 단순히 나누어서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S)에서 각 레디얼 베어링(104A, 104B)까지의 거리(a, b)를 같게 설정하면, 스러스트 베어링(106B)을 후부 실린더 블럭(도면중 사선으로 표시)에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는 경사판(105)의 압력받이 시트(105b)에서 경사판(105)을 넘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레디얼 베어링(104A)까지의 거리(C)가 필연적으로 결정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상술한 경사판(105)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주로 견고하게 끼어 장착되어 있는 스러스트 베어링(106B), 구동축(101) 및 레디얼 베어링(104A)의 3 개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상기 거리(C)의 길이에 비례하여 구동축(101)의 구부러짐과 스러스트 베어링(106B)의 부하가 증가한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S)에서 각 레디얼 베어링(104A, 104B)가지의 거리(a, b)에 적극적으로 차이를 두고, 그 거리(a, b)의 긴쪽(b 쪽)에 배치되는 스러스트 베어링(106B)을 견고하게 끼어 지지하여 상기 거리(C)를 매우 짧게 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도는 상기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A)에 부여되는 완충기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경사판(50)의 전부 보스부는 상술한 후부 보스부와 마찬가지이며, 평평한 압력받이 시트(50a)를 갖고 이너 레이스(6a)에 밀착되며 한편, 아우터 레이스(6b)는 와셔(7)를 거쳐서 전부 실린더 블럭(20)에 내장된 스프링 부재인 접시 스프링(8)에 접합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스러스트 베어링(6A) 그 자체로 구하는 것이 아니고, 전부 실린더 블럭(20)과의 사이에 끼어 장착된 스프링 부재(접시 스프링 8) 고유의 탄성 변형에 의존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스프링 정수의 선택이 눈에 띄게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거기에다 상기의 각 실시예는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완충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전후 어느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에만 완충 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기 스프링 부재로서는 접시 스프링 외에 코일 스프링, 롤 스프링의 채용도 물론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제 3 도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 각 실린더 블럭(2, 3)에는 구동축(1) 주위에 각각 보어 피치 반경(P)으로서 평행하게 전후 복수쌍의 보어가 배열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후 1 쌍의 레디얼 베어링(4a, 4b)은 경사판(5)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상기 보어 피치 반경(P)만큼 떨어진 점(Q)을 포함하여 각각 같은 거리로 배치되어져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각 레디얼 베어링(4a, 4b)은 롤러 및 외륜으로 되며, 축방향 중심점(0)에서 레디얼 베어링(4a, 4b)의 내측단(롤러가 구동축(1)과 맞닿는 부분의 내측단)(41a, 41b)까지의 거리를 각각 Lf, Lr로 하였을 때, Lf= Lr로서 또한 S = P - Lf= P - Lr= 3㎜로 되도록 설정되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의 압축기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의 작용, 효과에 덧붙여서 아래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도 발휘한다. 즉, 구동축(1)은 축방향 중심점(0)에서 축방향으로 균등한 위치에 배치된 전후의 레디얼 베어링(4a, 4b)에 의해 균형이 맞게 지지되어 있다. 또, 압축 반력은 구동축(1)의 축심에서 보어 피치 반경(P)만큼 반경 방향에 떨어진 점으로 경사판(5)에 작용하며, 경사판(5)에는 구동축(1)의 축심위에서 상기 축방향 중심점(0) 주위에 모멘트가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반력은 경사판(5)이 고정된 구동축(1)에도 경사판(5)을 거쳐서 작용하지만 이 구동축(1)은 상기 축방향 중심점(0)에서 축방향으로 보어 피치 반경(P) 만큼 떨어진 점(Q)에 배치된 전후의 레디얼 베어링(4a, 4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1)에는 각 레디얼 베어링(4a, 4b)에서의 반력에 기초하여 상기 축방향 중심점(0)에 대한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이 모멘트는 상기 압축 반력에 기초하여 경사판(5)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회전 방향이 역방향에서 거의 동등하다. 따라서, 압축 반력에 기초하는 모멘트에 의한 경사판(5)의 진동을 부여하는 힘과, 각 레디얼 베어링(4a, 4b)에서 구동축(1)이 받는 반력에 따른 모멘트에 기초하는 구동축(1)의 진동을 부여하는 힘 등이 상쇄되며, 양자에 걸리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제어된다.
여기에서, 상기 축방향 중심점(0)에서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4b)의 내측단(41b)까지의 거리 : Lr및 보어 피치 반경(P)을 일정하게 하고(P-Lr= 3㎜), 상기 축방향 중심점(0)에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4a)의 내측단(41a)까지의 거리 Lf를 여러가지로 변경하였을 때, Lf- Lr과 압축기의 진동관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를 제 4 도에 도시한다. 또한, 보어 피치 반경(P)을 일정하게 하고, 그리고 Lf= Lr로 하면서 Lf(= Lr)을 여러가지로 변경하였을 때 Lf- P와 압축기의 진동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제 5 도에 도시한다. 뿐만 아니라 이 시험은 양두 10 기통의 압축기(각 레디얼 베어링(4a, 4b)의 내측단에서 외측단까지의 축방향 길이를 12㎜)를 이용하며, 압축기 회전수 : 3500r/min, 압력조건 : 고압측 2.0MPa, 저압측 0.05MPa의 조건으로 회전 5 차 성분의 전후 방향 진동을 조사하였다. 양두 10 기통의 압축기에서는, 5 의 배수의 진동을 갖는 것이 많으며 즉, 압축기 회전수가 3500r/min(58Hz)의 때에는 차량측에 300Hz 부근(58Hz x 5배 = 290Hz)의 공진점을 갖는 것이 많다.
제 4 도에서 Lf- Lr= 0 일 때, 즉 Lf= Lr이면 최대로 진동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 5 도에서 Lf- P = 0 일 때, 즉, Lf(=Lr) = P 이면 최대로 진동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Lf- P 가 0 보다 크게 되면, 즉 축방향 중심점(0)에서 각 레디얼 베어링(4a, 4b)의 내단측(41a, 41b)까지의 거리(Lf, Lr)가 보어 피치 반경(P) 보다도 길게 되면 급격하게 진동 레벨이 증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양 레디얼 베어링(4a, 4b) 사이의 거리가 증대하는 것에 의해 양 레디얼 베어링(4a, 4b) 사이에서 구동축(1)이 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Lf- P 가 0 보다 작게 되는 것에 따라서, 즉 축방향 중심점(0)에서 각 레디얼 베어링(4a, 4b)의 내측단(41a, 41b) 까지의 거리(Lf, Lr)가 보어 피치 반경(P) 보다도 짧게 되는 것에 따라서, 차츰 차츰 진동 레벨이 증대하며, Lf- P의 값이 0~-12㎜의 범위내에 있으면 즉,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축방향으로 보어 피치 반경(P) 만큼 떨어진 점(Q)을 각 레디얼 베어링(4a, 4b)이 각각 포함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양호하게 진동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Lf- P = Lr- P = 0 ~ -12㎜로 되어 있으면 양호하게 진동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Lf- P = Lr- P = 0 ~ -5㎜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4 실시예]
제 6 도, 제 7 도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 구동축(1)을 지지하는 전후 1 쌍의 레디얼 베어링(4a, 4b)의 위치는 경사판(5)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4a)까지의 거리가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4b)까지의 거리 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자세하게 말하면, 상기 축방향 중심점(0)에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4a)의 내측단(롤러가 구동축(1)과 맞닿는 부분의 내측단)(41a)까지의 거리 : Lf는 상기 축방향 중심점(0)에서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4b)의 내측단(롤러 구동축(1)과 맞닿는 부분의 내측단)(41b)까지의 거리 : Lr보다도 길게 설정되어져 있다. 뿐만 아니라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4a)은 전부 실린더 블럭(2)의 최전방단에 위차하며,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외륜)(4a)의 전단부는 전부 실린더 블럭(2)의 전단부와 동일면 위에 위치한다. 또, 말할 것도 없이 전후의 레디얼 베어링(4a, 4b) 사이의 거리는 구동축(1)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내, 즉 구동축(1)이 경사지는 만큼 짧아지거나 또 구동축이 1 쌍의 레디얼 베어링(4a, 4b) 사이에서 휘는 만큼 길어지거나 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설정되어져 있다.
또, 구동축(1)의 선단부에는 전자 클러치(70)가 연결되어져 있다. 이 전자 클러치(70)는 전부 하우징(14)에 베어링(71)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자동차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자(72)와, 이 회전자(72)에 상대하여 소정의 미소 공극을 두고 배치된 전기자(73)등을 전부 하우징(14)에 고정된 고정자 하우징(74)내에 유지된 여자 코일(75)의 내외 자기회로에 포함하고 있다. 거기에다, 여자 코일(75)의 내외 자기 회로의 일부는 고정자 하우징(74)의 내외 둘레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 전기자(73)는 원통형상의 고정구(76) 및 같은 원통형상의 완충 고무(77)를 거쳐서 허브(78)에 결합되며, 그 허브(78)는 볼트(79)에 의해 구동축(1)의 전단부에 고정되어져 있다.
압축기를 구동하는 경우, 여자 코일(75)에 통전되면, 그 발생 자계에 의해 전기자(73)는 완충 고무(77)의 축방향 휨을 동반하여 전기자(73)와 회전자(72)와의 사이의 미소 공극 만큼 후방으로 이동하여 회전자(72)에 흡착된다. 이것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이 회전자(72), 전기자(73), 고정구(76), 완충 고무(77) 및 허브(78)를 거쳐서 구동축(1)에 전달되어 압축기가 구동된다.
여기에서, 구동축(1)의 전단부에 전자 클러치가 고정된 압축기의 운전중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 고무(77)의 축방향 휨을 따라서 전기자(73)가 후방으로 약간 이동하여 회전자(72)에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 고무(77)는 축방향으로 휜 상태가 되며, 구동축(1)에는 완충 고무(77)의 탄성 복원력이 허브(78)를 거쳐서 항상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운전중에는, 구동축(1)에서는 이것을 후방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항상 작용하고 있는 결과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B)이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며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A)에 완충기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운전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1)에는 이것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것 같은 힘이 항상 작용하고 있지만 이 힘을 견고하게 끼어 지지된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B)으로 확실히 받아들일 수가 있다. 이 결과 견고하게 끼어 지지된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B)에서는 그 스러스트 베어링(6B)과 경사판(5)의 후부 보스부 및 후부 실린더 블럭(3)의 지지부의 쌍방 압력받이 시트(5b, 3b)와의 사이에 걸리는 압력이 약간 향상되어 그 강성도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B)의 강성에 의해 경사판(5)의 불안정한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일이 가능하다.
거기에다 전후의 레디얼 베어링(4a, 4b) 사이의 거리가 구동축(1)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내에 설정되며 또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4a)이 전방측 즉, 전자 클러치(70)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1)의 전단부에 고정된 전자 클러치(70)와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4a)과의 사이에서 구동축(1)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1)의 휠링이나 전자 클러치(70)의 중심 벗어남에 의한 원심력에 기인하는 전자 클러치(70)에서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서는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A)에는 경사판(5)의 전부 보스부와 전부 실린더 블럭(2)의 지지부에 형성된 서로 다른 지름의 고리형상 압력받이 시트가 초래하는 그 스러스트 베어링(6A)의 레이스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완충 기능이 부여되고 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제 2 실시예에 도시하듯이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A)과 전부 실린더 블럭(2)과의 사이에 끼어 장착된 스프링 부재 고유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완충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예는 앞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S)에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104A)까지의 거리(a)를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104B)까지의 거리(b) 보다도 길게 설정하며 그 긴쪽(경사판(105)의 앞쪽)에 배치되는 스러스트 베어링(106a)을 견고하게 끼어 지지하여, 그 스러스트 베어링(106A)과 접합하는 압력받이 시트(105a)에서부터 경사판(5)을 넘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104B)까지의 거리(C)를 단축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것 같이 주로 모멘트를 받아들이는 스러스트 베어링(106A)의 부하를 경감하여 얻는 것만이 아니라, 결과적으로, 그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104A)이 전자 클러치(M)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전자 클러치(M)의 중심 벗어남에 따른 구동축(101)의 훠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 항 기재의 압축기는 경사판을 끼어 지지하는 양 스러스트 베어링의 한쪽에만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부여한 것이기 때문에 경사판의 불안정한 진동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고속 회전 영역에서 생기기 쉬운 소음 장해를 가급적으로 진정시킬 수가 있다. 또, 공동 체결 부재에 사용된 알루미늄 합금 고유의 열팽창 특성에 기인하는 체결력의 변동도 상기 완충 기능의 존재에 의해 유효하게 흡수되는 것은 다시 설명할 것도 없다.
또, 경사판의 후방에 끼어 장착되는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견고하게 끼어 지지하는 청구항 제 2 항 기재의 압축기에서는 압축기의 운전시 전자 클러치로 부터의 영향에 의해 견고하게 끼어 지지된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한 경사판의 지지특성이 향상하며, 따라서,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견고하게 끼어 지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경사판의 불안정한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덧붙여서,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의 경사판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에서의 거리를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의 그것보다도 길게 설정한 경우에는 구동축의 훨링이나 전자 클러치의 중심 벗어남에 의한 원심력에 기인하는 전자 클러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것으로 인해 전자 클러치의 수명에도 공헌한다.
뿐만 아니라, 레디얼 베어링이 경사판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보어 피치 반경(P)만큼 떨어진 점을 포함하여 각각 같은 거리에 배치된 청구항 제 3 항 기재의 압축기에서는 압축 반력에 기초하는 모멘트에 의한 경사판의 진동을 부여하는 힘과 각 레디얼 베어링에서 구동축이 받는 반력에 따른 모멘트에 기초하는 구동축의 진동을 부여하는 힘 등이 상쇄되며, 양자에 걸리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압축기와 비교하여 더욱 소음 장해를 진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 특히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며, 주로 모멘트를 받아들이게 되는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부하가 경감되어 그 스러스트 베어링의 사용 수명을 더욱 향상시키는 일이 가능하며, 또한 다른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달라 붙을 때에 있어서의 축방향 수축의 흡수만 하지 않고 열 영향이나 변동되는 축하중에도 양호하게 대응하는 일이 가능하다.

Claims (8)

  1. 전후로 쌍을 이루어 설치된 1 쌍의 실린더 블럭(2, 3)양 바깥단은 각각 밸브판을 거쳐서 전후의 하우징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전방 하우징의 중심축 구멍 및 각 해당 실린더 블럭의 공통 중심축 구멍에는 구동축(1)이 전후 1 쌍의 레디얼 베어링(4a, 4b)을 거쳐서 지지되며, 상기 구동축과 같이 움직이는 경사판(5)의 양 보스부와 각 해당 실린더 블럭에 형성된 지지부와의 사이에 각각 스러스트 베어링(6A, 6BN)을 거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6A, 6B)의 어느 한쪽은 스러스트 베어링의 궤도중심원(3b)을 포함하는 양 압력받이 시트에 의해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며 다른쪽은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전후로 쌍을 이루어 설치된 1 쌍의 실린더 블럭(2, 3)의 양 바깥단은 각각 밸브판을 거쳐서 전후의 하우징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전방 하우징의 중심축 구멍 및 각 해당 실린더 블럭의 공통 중심축 구멍에는 전단부가 전자 클러치(70)에 연결된 구동축(1)이 전후 1 쌍의 레디얼 베어링(4a, 4b)을 거쳐서 지지되며, 상기 구동축과 함께 움직이는 경사판(5)의 양 보스부와 각 해당 실린더 블럭에 형성된 지지부와의 사이에 각각 스러스트 베어링을 거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에서는, 상기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B)은 경사판(5)의 후부 보스부 및 후부 실린더 블럭(3)의 지지부에 형성되어 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B)의 궤도 중심원을 포함한 양 압력받이 시트에 의해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며, 상기 전부의 스러스트 베어링(6A)에는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실린더 블럭(2, 3)에는 구동축(1) 주위에 각각 보어 피치 반경(P)으로서 평행하게 전후 복수쌍의 보어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 레디얼 베어링(4a, 4b)은 경사판(5)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 보어 피치 반경(P)만큼 떨어진 점을 포함하여 각각 같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5)의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0)에서부터 각 레디얼 베어링까지의 거리는 후부의 레디얼 베어링(4b) 보다 전부의 레디얼 베어링(4a)의 쪽이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
  5. 전후로 쌍을 이루어 설치된 1 쌍의 실린더 블럭(2, 3)의 양 바깥단은 각각 밸브판을 거쳐서 전후의 하우징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전방의 하우징의 중심축 구멍 및 각 실린더 블럭의 공통 중심축 구멍에는 구동축(1)이 전후 1 쌍의 레디얼 베어링(4a, 4b)을 거쳐서 지지되며, 상기 구동축과 함께 움직이는 경사판(5)의 보스부에 형성된 압력받이 시트(5a, 2a)와 각 실린더 블럭의 지지부에 형성된 압력받이 시트(5b, 3b)와의 사이에서 각각 스러스트 베어링(6A, 6b)을 거쳐서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각 레디얼 베어링(4a, 4b)은 경사판(5) 보스부의 축방향 중심점에서 서로 같지 않은 거리에 장착되며 동시에 해당 레디얼 베어링까지의 거리가 긴 쪽에 배치되는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대향하는 양 압력받이 시트에 의해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며, 다른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에는 축하중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은 전단부가 전자 클러치에 연결되며, 견고하게 끼어 지지되는 상기 한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경사판(5) 보스부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능은 다른쪽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끼어 지지하는 서로 다른 지름의 고리형상 압력받이 시트를 갖는 레이스 자체의 탄성변형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능은 다른쪽의 스러스트 베어링과 실린더 블럭(2, 3)과의 사이에 끼어 장착된 스프링 부재 고유의 탄성 변형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사판식 압축기.
KR1019940030838A 1993-11-24 1994-11-23 양두 사판식 압축기 KR0140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93048 1993-11-24
JP29304893 1993-11-24
JP6076171A JP2924636B2 (ja) 1993-11-24 1994-04-14 両頭斜板式圧縮機
JP94-076171 1994-04-14
JP09348394A JP3417047B2 (ja) 1994-05-02 1994-05-02 両頭斜板式圧縮機
JP94-093483 1994-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580A KR950014580A (ko) 1995-06-16
KR0140828B1 true KR0140828B1 (ko) 1998-07-01

Family

ID=2730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838A KR0140828B1 (ko) 1993-11-24 1994-11-23 양두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28976A (ko)
KR (1) KR0140828B1 (ko)
CN (1) CN1078673C (ko)
DE (1) DE4441721C2 (ko)
TW (1) TW2831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9458B (en) * 1994-04-06 1998-04-11 Toyota Automatic Loom Co Ltd Double-head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5596920A (en) * 1994-04-06 1997-01-28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0202786B1 (ko) * 1994-04-07 1999-06-15 이소가이 지세이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방열구조체
JP2937040B2 (ja) * 1994-11-18 1999-08-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両頭斜板式圧縮機
JPH08144945A (ja) * 1994-11-22 1996-06-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両頭斜板式圧縮機
JPH08261147A (ja) * 1995-03-20 1996-10-0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ピストン型圧縮機
JP3135470B2 (ja) * 1995-03-22 2001-02-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ピストン式圧縮機
JP4280317B2 (ja) 1997-03-03 2009-06-17 ルーク ファールツォイク−ヒドラウリ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特に自動車の空調設備のための圧縮機
JPH10306774A (ja) * 1997-03-03 1998-11-17 Luk Fahrzeug Hydraulik Gmbh & Co Kg 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用圧縮機
JP3724929B2 (ja) * 1997-09-11 2005-1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斜板式油圧装置
DE19859368C2 (de) * 1998-12-22 2003-09-25 Luk Fahrzeug Hydraulik Kompressor
DE19859062C2 (de) * 1998-12-22 2003-09-18 Luk Fahrzeug Hydraulik Anordnung zur Abdichtung im Bereich zwischen dem Zylinderblock und der Ventilplatte eines Kompressors
WO2001065070A2 (de) 2000-03-03 2001-09-07 Luk Fahrzeug-Hydraulik Gmbh & Co. Kg Hubkolbenmaschine
DE10037659C2 (de) * 2000-03-03 2003-07-03 Luk Fahrzeug Hydraulik Hubkolbenmaschine
DE10010142C2 (de) * 2000-03-03 2003-07-17 Luk Fahrzeug Hydraulik Hubkolbenmaschine
DE10343340A1 (de) * 2003-09-18 2005-04-14 Zexel Valeo Compressor Europe Gmbh Dichtanordnung eines Kompressors
US8146592B2 (en) * 2004-02-26 2012-04-03 Amerifl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fluid flow or conserving fluid flow
US7617826B1 (en) 2004-02-26 2009-11-17 Ameriflo, Inc. Conserver
DE102004013096A1 (de) * 2004-03-17 2005-10-13 Zexel Valeo Compressor Europe Gmbh Verdichter, insbesondere Axialkolbenverdichter für eine Fahrzeug-Klimaanlage
JP2007127074A (ja) * 2005-11-04 2007-05-24 Calsonic Kansei Corp 圧縮機
US20070231170A1 (en) * 2006-03-28 2007-10-04 Xiaogen Su Drive shaft for a compressor
JP5200017B2 (ja) * 2006-07-29 2013-05-15 イグゼティック エムアーツェ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環状ディスクとピストンとの連結のための装置
JP2008057497A (ja) * 2006-09-01 2008-03-13 Toyota Industries Corp 電磁クラッチ付回転装置
DE102006048380A1 (de) * 2006-10-12 2008-04-17 Valeo Compressor Europe Gmbh Verdichter
JP4335938B2 (ja) * 2007-10-26 2009-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DE102012105301A1 (de) * 2012-06-19 2013-12-19 C & S Sonderfahrzeuge GmbH Nebenaggregat zur Ansteuerung von einem oder mehreren hydraulischen Antrieben
JP2017180293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JP2017180292A (ja)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FR3055678B1 (fr) * 2016-09-02 2020-09-18 Danfoss Silicon Power Gmbh Agencement de palier axial pour un arbre d'entrainement d'un compresseur centrifuge
JP6907993B2 (ja) * 2018-04-19 2021-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体の作用力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7660A (en) * 1971-06-25 1974-06-18 Ford Motor Co Air conditioner compressor
JPS5272909A (en) * 1975-12-15 1977-06-18 Hitachi Ltd Slant plate type compressor
JPS55142983A (en) * 1979-04-24 1980-11-07 Nippon Denso Co Ltd Equalization of thrust load o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DE3130338C2 (de) * 1980-08-26 1986-08-1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Kariya, Aichi Unterbrechungskupplung zum Trennen eines Taumelscheibenkompressors von einem Antriebsaggregat
JPH0128311Y2 (ko) * 1980-11-27 1989-08-29
JPS58162287U (ja) * 1982-04-26 1983-10-28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斜板式圧縮機
JPH036875Y2 (ko) * 1985-05-09 1991-02-20
JPS6336074A (ja) * 1986-07-28 1988-02-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
JPH0223829Y2 (ko) * 1987-05-19 1990-06-28
US4950132A (en) * 1988-02-11 1990-08-21 Ford Motor Company Swashplate and sliding shoe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ing compressor
JPH01124387U (ko) * 1988-02-18 1989-08-24
JP2946696B2 (ja) * 1990-09-03 1999-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US5178521A (en) * 1991-04-23 1993-01-12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a central discharge passage
JP3066879B2 (ja) * 1991-07-16 2000-07-17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容量式斜板型圧縮機
DE4225209A1 (de) * 1991-07-31 1993-02-04 Toyoda Automatic Loom Works Ventileinrichtung fuer einen kompressor
JPH05312144A (ja) * 1992-05-08 1993-11-22 Sanden Corp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US5233913A (en) * 1992-08-31 1993-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wash plate compressor with spring thrust bearing assembly
JP3094720B2 (ja) * 1993-02-15 2000-10-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41721C2 (de) 1998-03-26
CN1078673C (zh) 2002-01-30
DE4441721A1 (de) 1995-06-01
KR950014580A (ko) 1995-06-16
CN1112199A (zh) 1995-11-22
TW283186B (ko) 1996-08-11
US5528976A (en) 1996-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828B1 (ko) 양두 사판식 압축기
JP3429100B2 (ja) 両頭斜板式圧縮機
KR102480987B1 (ko) 스크롤 압축기
US5839349A (en) Noise-abated pump unit, in particular for controlled brake systems
US20090064855A1 (en) Capacity-variable type swash plate compressor
US6724112B2 (en) Motor
EP1281866B1 (en) Vibration damping mechanism for piston type compressor
KR20170016371A (ko) 상호 맞물림형 절연기를 갖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
KR0167370B1 (ko) 양두경사판식압축기
US6366190B1 (en) Magneto-spring structure
US5813314A (en) Double-headed swash-plate operated reciprocating piston type compressor with improved thrust bearing assemblies for the swash plate
US5596920A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N110725858A (zh) 一种用于磁轴承的分段开式柔性片段径向保护轴承
KR0132034B1 (ko) 스크롤 압축기
CN2937647Y (zh) 一种平衡轴
US6247902B1 (en) Torsional vibration attenuating structure in compressor
JP2924636B2 (ja) 両頭斜板式圧縮機
CN1274975C (zh) 电磁离合器
JP3417047B2 (ja) 両頭斜板式圧縮機
JP2827716B2 (ja) ボールねじ装置
JP3473774B2 (ja) 可変容量圧縮機
KR0143574B1 (ko) 양두 사판식 압축기
CN221033100U (zh) 涡旋压缩机以及制冷设备
CN219454303U (zh) 一种压缩活塞组件结构及旋转式斯特林制冷机
US20020018726A1 (en)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