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327B1 - 연속기록용지용 전자사진프린터 - Google Patents

연속기록용지용 전자사진프린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327B1
KR0137327B1 KR1019940024989A KR19940024989A KR0137327B1 KR 0137327 B1 KR0137327 B1 KR 0137327B1 KR 1019940024989 A KR1019940024989 A KR 1019940024989A KR 19940024989 A KR19940024989 A KR 19940024989A KR 0137327 B1 KR0137327 B1 KR 0137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recording
recording paper
printer
supply
pag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279A (ko
Inventor
기요시 네기시
요시미 사이또오
Original Assignee
마쓰모도 도오루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모도 도오루,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모도 도오루
Publication of KR95002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연속용지각각의 페이지 사이에 제공된 구멍에 따라 서로 다른 페이지 길이를 갖는 다수형태의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프린터로서, 프린터는 최소한 준비상태와 인쇄상태에서 동작한다. 프린터는 프린터상에 적재된 연속형기록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 및 프린터가 프린터상에 적재된 기록용지의 페이지길이에 무관하게 준비상태에 있을 때 구멍이 선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공급수단을 제어하기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선정된 위치는 화상-전사위치 또는 화상-정착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Description

연속기록용지용 전자사진프린터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요적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블럭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연속기록용지가 레이저 빔 프린터내로 공급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다이아그램.
제7도 내지 제9도는 레이저 빔 프린터내에서 실행되는 제어순서도.
본 발명은 소위 전자사진처리에 의해 기록용지상에 화상을 인쇄시키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것으로는 복사기기 등에 이용된 전자사진 화상처리로서 여기에서, 광전드럼의 균일대전표면은 그위에 잠상을 형성하기위해 원고화상에 의해 반사되거나 원고 화상을 통해 투사되는 빛에 노광되며, 토너는 그후 가시화상을 현상 하기 위해 잠상에 고착되며, 현상된 토너화상은 기록용지상으로 전사되어 정착부재에 의해 기록용지상에 정착된다.
최근에, 전자사진처리에 의해 기록용지상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레이터 프린터가 개발되었는데, 여기에서, 광전드럼의 균일대전표면은 대응 잠상을 형성하기위해 페이지 단위로 광화상정보를 운반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주사된다.
이와같은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 선정된 크기의 단위로 잘려진 소위 컷-시트(cut-sheet) 기록 용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소위 열-정착 롤러쌍이 기록용지상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데 이용된다.
열-정착 롤러쌍은 고온으로 가열되는 열롤러와 열롤러에 대항하여 가압된 백업롤러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사이를 토너화상을 운반하는 컷-시트 기록용지가 토너화상이 기록용지상으로 융착되도록 지나간다.
물론, 상기 레이저 프린터는 컴퓨터의 데이타 출력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으나 컴퓨터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종래의 라인 프린터에서 행해진던 것과 같이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 프린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속 기록용지는 측면에 배열된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 소위 팬-폴드 시트(fan-fold sheet)이며 이는 페이지 단위로 접혀지고 그리고/또는 절단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프린터내에 이와같은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하기 위해, 연속기록용지의 구멍간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레이져 프린터내의 화상-전사점과 화상-정착점 사이의 거리를 배열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해, 토너화상을 운반하는 연속기록용지의 전송이 열-정착롤러 쌍사이에 비정착토너 화상부를 가진채 멈추는 것이 방지된다.
즉, 화상 인쇄된 연속용지가 프린터로 부터 방출된 후 페이지별로 절단되기 때문에 화상은 각 구멍주위에서 인쇄되지 않아야만 한다.
따라서, 화상-전사점과 화상-정착점 사이의 거리가 구멍의 간격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열시키므로서,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에 대한 토너화상의 전사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연속용지의 전송이 멈추도록 동작시키므로써 어떠한 화상도 인쇄되지 않는 각 구멍의 근방은 화상-정착점에 위치되며, 이로써 상기 단점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열한 경우에, 프린터는 화상-전사점과 화상-정착점 사이의 필요한 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큰 크기가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열된 프린터는 서로 다른 구멍간격을 가진 여러가지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다른 구멍간격을 가진 여러가지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연속기록용지의 구멍간격에 의해 조정됨이 없이 화상-전사 위치와 화상-정착위치사이의 거리를 배열할 수 있는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하는 개선된 전자사진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페이지 길이를 갖는 다수 형태의 연속기록용지,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페이지 사이에 제공되는 구멍, 전사위치에서 연속기록용지상으로 전달되어 정착위치에 정착되는 토너화상 등을 사용하며, 최소한 준비상태와 인쇄상태에서 동작하는 전자사진프린터가 제공되는데,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상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 상기 프린터가 상기 프린터상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페이지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준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재된 연속기록용지의 구멍이 선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수단을 제어하기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양상에 따라, 상기 선정된 위치는 상기 프린터의 상기 전사위치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제2양상에 따라, 상기 선정된 위치는 상기 프린터의 상기 정착위치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읽혀질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시키는 레이저 빔 프린터로서, 프린터 내부를 통해 선정된 전송통로를 지나는 연속용지(20)상에 출력데이타를 인쇄시기키 위한 컴퓨터의 데이타 출력 장치로서 이용되도록 준비된다.
언급된 레이저 빔 프린터에서, 광전드럼(1)은 도시되지는 않는 주모터에 의해 선정된 외주속도로 회전하며,토너크리너(2), 방전장치(3), 대전장치(4), 주사광학시스템(5), 현상장치(6) 및 전사장치(7)는 회전방향에 따라 순서대로 드럼(1)의 외주주위에 배치된다.
전송통로를 따라 드럼(1)의 하부에는 연속용지(20)를 전송하기위한 트랙터장치(9) 및 정착장치(8)가 배열된다. 또한, 감지기(30F, 30R)가 각각 드럼(1)의 상측과 정착장치(8)의 상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구성된 레이저 빔 프린터에서, 광전드럼(1)의 균일대전표면은, 드림(1)이 그의 표면상에 잠상을 형성하기위해 제1도에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보조-주사)하는 동안, 주사광학시스템(5)으로 부터 방출된 레이저빔에 의해 그의 축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주사된다(주-주사). 그후, 잠상은 현상장치(6)에서 토너화상으로 현상되는데, 이 토너화상은 전사장치(7)에서 전송통로를 따라 트랙터장치(9)에 의해 전송된 연속용지(20)상으로 전사되며, 프린터의 외측으로 방출되기 전에 정착장치(8)에 의해 정착된다.
트랙터장치(9)는 상호 연관되며, 전송통로를 따라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무단벨트(91)로 이루어진다. 무단벨트(91) 각각에는 연속용지(20)의 각 측연부상에 있는 스프로킷구멍과 결합되는 핀형 돌출부가 제공된다.
무단벨트쌍과 연관되는 풀리중 하나는 도시되지 않는 모터에 결합되어 연속용지(20)의 전송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인코더(93)는 트랙터장치(9)에 결합되어 함게 동기로 동작하므로써, 연속용지(20)의 전송속도는 인코더(93)에 의해 발생된 펄스 신호로 부터 직접 검출될 수 있다.
인코더(93)는 그 외주부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틈을 갖는 디스크 및 디스크의 외주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광-인터럽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디스크가 무단벨트(9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때, 광-인터럽트는 무단벨트(91)의 회전, 즉 연속장치(20)의 전송과 동기하여 각 틈의 통과를 검출하여 통과때마다 펄스를 출력한다.
전사장치(7)는 광전드럼(1)의 축 길이와 실제적으로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드럼으로부터 선정된 간격을 갖는 스윙가능 암(arm) 부재(72)에 의해 지지되는 코로나 대전기(71)로 이루어진다. 코로나 대전기(71)는 전송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때 제1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퇴각한다.
정착장치(8)는 서로 가압되도록 배열된 한쌍의 열롤러(81) 및 백업롤로(82)로 이루어진다. 상측 열롤러(81)는 선정된 온도로 가열시키는 할로겐램프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가열소자를 포함하며, 정착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때 제1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퇴각되도록 스윙가능 레버(83)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연속용지(20)와는 이간되게 된다. 부가적으로, 열롤러(81)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연속용지(20)의 전송속도와 실제적으로 유사한 외주속도로 회전된다.
제2도는 제1도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자제어시스템(50)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원리적으로 동작 제어기(501)와 화상데이터 제어기(502)로 이루어진다.
동작제어기(501)는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프린터의 각 부품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화상데이타제어기(502)는 호스트컴퓨터(60)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을 제어한다.
전자제어시스템(50)는 감지기(30F, 30R)로부터 신호, 인코더(93)에 의해 발생된 펄스의 수를 세는 카운트(52)로부터의 데이타 및 콘솔파넬로 이루어진 동작/디스플레이 장치(41)를 통한 입력된 동작데이타를 수신한다. 동작데이타는 메모리(51)내에 기억된 데이타표로부터 얻어진 대응 제어데이타를 바탕으로 하며, 사용될 연속용지의 구멍간격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전자제어시스템(50)는 호스트 컴퓨터(60)로부터 전송되어 페이지단위로 도시되지 않은 페이지 버퍼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인쇄하기 위해 제어데이타를 기초로하여 인쇄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에, 제어시스템(5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이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동작은 주로 두가지 동작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인쇄동작에 앞서 연속용지(20)를 선정된 상태로 정착시키기 위한 톱-세트(top-set) 동자이며, 둘째는 인쇄동작이다.
동작에서, 연속용지(20)의 상태는 먼저 감지기(30F)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판정된다(단계 S1). 이때, 전사장치(7)의 코로나대전기 및 정착장치(80)의 열 롤러가 퇴각된다.
감지기(30F)가 “오프” 즉, 연속용지(20)의 존재가 검출되지 않을 때, 동작/디스플레이 장치(41)는 “용지없음(No paper)”를 표시하고 연속용지(20)의 세팅을 요구한다(단계 S1-1).
감지기(30F)가 “온”일때, 이는 연속용지(20)가 최소한 제3A도에 도시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연속용지(20)의 초기-세트상태를 의미한다.
그후, 현재 세트되는 연속용지(20)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타가 메모리(51)로부터 판독되어 동작제어기(50)내에 저장된다(단계 2).
제어 데이타는 다음을 포함한다.
T1 : 드럼(1)의 표면상에서 수행된 주사/노광동작의 상태로부터 연속용지(20)의 전송시작까지의 시간;
N : 전송 및 주사/노광의 동기화된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전사장치(7)에서의 화상 전사동작의 시작까지의 시간에 대응하는 인코더(93)에 의해 발생될 펄스의 수;
L : 화상-전사동작의 종료에서부터 정착장치(8)로의 연속용지(20)의 최후 화상-전사 페이지의 구멍전송을 완료까지의 시간에 대응하는 인코더(93)에 의해 발생될 펄스의 수;
M ; 감지기(30R)로부터 정착장치(8)까지의 거리에 한 페이지의 거리를 가산함으로써 얻어진 거리에 대해 연속용지(20)를 전송하는데 요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인코도(93)에 의해 발생될 펄스의 수.
이들 상수와 레이저 빔 프린터내에서 수행된 제어사이의 관계는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비록 일반적으로 ROM이 데이타-표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51)로서 사용될 수 있다해도, 카트리지형 메모리, PROM 및 EPROM과 같은 다른 메모리수단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그후, 감지기(30R)가 “온”인가 아닌가 즉, 이미 사용중인 연속용지(20)상에 인쇄가 수행되는가 안닌가가 검사된다(단계 S2-1). 감지기(30R)가 “오프”일때, 연속용지(20)는 톱-세트 동작이 인쇄동작에 앞서 행해지도록 제3A도에서 설명된 그의 초기-세트상태하에 있게 된다.
톱세트 동작은 제8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데, 여기에서, 트랙터장치(9)는 제3B도에 도시된 상태를 거쳐 제3C도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될 때까지 연속용지(20)를 전송하도록 구동된다(단계 S81). 즉, 연속용지(20)의 선단부(ML)가 감지기(30R)를 통과할 때(단계 S82), 카운터(52)는 리세트되고(단계 S83), 트랙터장치(9)는 인코더(93)에 의해 발생된 펄스수가 카운터(52)에 의해 M으로 계수될 대 구동을 멈춘다(단계 S84 및 S85). 이 단계에서, 연속용지(20)의 앞페이지의 배면단부는 제3C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정착장치(8)에 대한 선정된 위치에 위치되는데, 이는 인쇄가 완료되기를 준비하는 준비(인쇄-대기)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톱세트가 완료된다.
선단부(ML)가 감지기(30R)에 의해 검출된 후 연속용지(20)가 인쇄-대기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발생되어야 하는 펄스(M)의 수는 감지기(30R)와 정착장치(8) 사이의 위치관계를 기초로 미리 알려지므로, 연속용지(20)는 정확히 상기 인쇄-대기상태로 세트될 수 있다.
제3A도 내지 제3C도 내의 동일간격으로 도시된 MLn은 각 페이지의 경계 또는 구멍을 나타낸다는 점에 주목하라. 여기에서, n은 양 정수이다.
그후, 인쇄가 요구될 때(단계 S2-2), 정착장치(8)는 온상태로 되는데 여기에서 열롤러(81)는 백업롤러(82)에 맞대게 된다.
따라서, 정착장치(8)는 정착동작을 할 준비를 한다.
단계 S4에서, 주사/노광동작을 연속용지(20)의 전송중 어느 것이 먼저 수행되어야 한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T1이 정(positive)인가를 검사되는데, 이는 사용된 연속용지(20)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의존한다. 제3C도에 도시된 톱세트 상태하의 전사위치(T)와 구멍사이의 거리(m2)는 연속용지(20)의 종류에 의존하는데, 이는 노광시작위치(E)와 위치(E와 T)사이의 거리(m1)이 처음에 결정되기 때문이다.
드럼(1)의 주사/노광되고, 연속용지(20)가 톱세트 위치로부터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 m1m2일때, 화상은 제3도내 구멍 ML3의 우측으로부터 전사된다.
따라서, 연속용지(20)상의 적정위치로 부터 화상-전사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드럼(1)의 주사/노광의 시작과 연속용지(20)의 전송의 시작사이에 m1과 m2의 관계를 기초로한 시간지연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전사시작위치가 다음의 설명에서 간결성을 위해 구멍과 일치한다고 가정하지만, 실제 동작에서, 화상전사는 구멍으로부터 선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된다.
또한, T1이 제로인 경우에, 드럼(1) 상이 주사/노광 및 연속용지(20)의 전송은 동일타이밍에서 시작된다. 특히, 단계 S4-1 및 단계 S4-5는 거의 동시에 수행된다. 트랙터장치(9)에 의해 연속용지(20)의 전송이 정착장치(8)의 회전과 동기하여 수행된다는 점에 주목하라.
드럼(1) 상의 주사/노광(단계 4-1, 단계 9) 및 연속용지(20)의 전송(단계 S5 및 S4-5) 모두가 시작된 후, (이의 상황은 제3d도에 도시됨) 카운터(52)는 인코더(93)에 의해 발생된 펄스의 수를 계수한다(단계 S10 및 S12). C=N이 단계 S12에서 검출될 때, 화상-전사동작이 단계 S13에서 시작되어 한 페이지 노광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되며(단계 S4). 그후, 연속적으로 노광될 다음페이지가 있는지 검사된다.
있는경우, 화상-전사동작은 물론 주사/노광이 계속된다(단계 S15-1).
단계 S15에서 노광될 다음페이지가 없는 경우, 단계 S16 및 S17에서 t=Tf일때까지 시간이 검사되며, 화상-전사동작이 종결된다(단계 S18).
Tf는 주사/노광위치에서 전사위치로 즉, 제3E도에 도시된 상태로 부터 제3F도에 도시된 상태로 드럼(1)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단계 S18에서, 전사장치(8)가 오프된 후, 연속용지(20)의 전송은 카운터(52)가 L을 계수할 때까지 계속되는데(단계 S20 및 S21), 이상태는 제3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지막 화상-인쇄 페이지의 전면구멍이 정착장치(8)에 도달되는 상태가 된다.
이 단계에서, 다수의 연속용지(20)의 구멍과 전사 및 정착장치(7, 8) 사이의 위치적 관계는 제3C도에 도시된 톱세트상태 하에서의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톱세트 동작을 수행함이 없이 상기 처리를 반복하므로써 다른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마지막 화상인쇄페이지가 프린터내에 남아있게되도, 이것은 주전원스위치가 오프될때 방출되거나, 강제용지방출 스위치를 제공하므로써 프린터로부터 방출되거나, 정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술된 제3A도 내지 제3G도는 연속용지의 구멍-간격이 전사장치(7) 및 정착장치(8)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은 경우를 나타내나, 제3A도 내지 제3G도에 각각 대응하는 제4A도 내지 제4G도는 더 큰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4F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지막 화상인쇄페이지의 전면구멍이 전사동작의 완료시 이미 정착장치(8)를 통과하며, 연속용지(20)가 C=L이 제7도의 순서도내 단계 S21에서 수행될 때까지 이와같은 단계로부터 공급될 때, 톱세트 완료상태가 제4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착동작이 완료되는 시간에서 복원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가 제9도의 순서도 및 제5A도 내지 제5G도에 도시된 다이아그램을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앞선 실시예가 톱세트 동작에서 연속용지(20)의 선단부를 정착장치(8)에 정착시키지만, 변형된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부는 전사장치(7)의 화상-전사위치에 정착된다. 변형된 실시예가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변형실시예의 특정 부분만이 설명될 것이다.
변형된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에서의 L과 M에 대응하는 두 종류의 데이타 LO 및 MO가 판독되어 단계 S102에서 저장된다. LO는 화상-전사동작이 완료된 후에 요구된 연속용지(20)의 전송에 대응하는 펄스의 수이며; MO는 연속용지(20)의 선단부가 감지기(30R)에 의해 검출되는 제6B도에 도시된 시간에서 LO를 연속용지(20)의 한페이지 길이를 가산하므로써 얻어진 크기만큼의 연속용지(20) 전송에 대응하는 펄스의 수이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는 판독될 데이타의 양이 상기 제1실시예의 양보다 적다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연속용지(20)는 톱세트 동작에서 단계 S83 및 S84에서의 MO에 대응하는 양만큼 전송되는데, 이때, 구멍은 제5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톱세트의 완료에 따라 전사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단계 S4에서 행해지는 선택과 제1실시예내의 단계 S4-1 내지 S4-5 및 단계 S5 내지 S8에서의 두가지 방법의 동작은 서로 다른 구멍-간격을 갖는 연속용지(20)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는 경우조차도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같은 실시예에서, 전사동작이 단계 S117과 S118에서 완료된 후에, 연속용지(20)는 상기 LO에 대응하는 양만큼 더 전송된다. 구멍간격이 전사장치(7)와 정착장치(8)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LO는 두 페이지의 전송에 요구되는 양에 대응하는 펄스의 수로 표내에 저장되어 전송된 화상이 부분적으로만 정착되지 않도록 한다.
제6A도 내지 제6G도는 구멍간격이 전사장치(7)와 정착장치(8)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는데, 이와같은 경우에, 한 페이지의 전송에 요구되는 양에 대응하는 펄스의 수는 상기 LO로서 저장된다. 따라서, 화상이 인쇄될 모든 페이지는 정착장치(8)를 통과하게 된다.
상술된 전자사진 프린터에 따라, 제어기는 메모리수단에 제공된 한 페이지의 길이에 따라 미리 정착되는 제어데이타를 기초로 연속용지의 전송을 제어하기 때문에, 광전 드럼과 정착장치사이의 거리는 한페이지의 연속기록용지의 길이에 관계없이 정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프린터의 크기는 전체적으로 감소되며, 프린터는 상이한 구멍-간격에 따라 여러 형태의 연속기록용지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각각 다른 페이지 길이를 가지며, 구멍이 페이지사이에 제공되며, 토너화상이 전사위치에서 전사되며 정착위치에서 정착되는 다수의 형의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하고, 적어도 대기상태 및 인쇄상태에서 동작되는 전자사진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내로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프린터가 상기 대기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프린터내로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 용지의 페이지길이에 무관하게 상기 적재된 연속기록용지의 구멍이 선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프린터내로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페이지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그중 하나의 세트가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각각의 페이지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 제어데이타의 다수의 세트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데이타에 의거하여 노광동작과 공급동작중 어느하나가 다른 것에 앞서 시작되도록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타의 하나의 세트에 따라 상기 프린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사진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위치는 상기 프린터의 상기 전사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위치는 상기 프린터의 상기 정착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4. 각각 다른 페이지 길이를 가지며, 구멍이 페이지사이에 제공되며, 토너화상이 전사위치에서 전사되며 정착위치에서 정착되는 다수의 형의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하고, 적어도 대기상태 및 인쇄상태에서 동작하는 전자사진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내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및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페이지길이에 무관하게, 상기 프린터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선정된 위치에 상기 적재된 연속기록용지의 구멍이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을 제어하며, 노광동작과 공급동작중 어느하나가 페이지길이에 의거하여 다른것보다 앞서 시작되도록 상기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내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페이지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 및
    그중 하나의 세트가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각각의 페이지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 제어데이타의 다수의 세트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으로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상기제어데이타의 하나의 세트에 따라 상기 공급데이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공급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데이타의 하나의 세트와 상기 공급량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어데이타는 초기에 상기 대기상태로 하기 위해 필요로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제1공급량; 및
    화상전사동작완료후 다시 상기 대기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공급에 필요로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제2공급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8. 각각 다른 페이지 길이를 가지며, 구멍이 페이지사이에 제공되며, 토너화상이 전사위치에서 전사되며, 정착위치에서 정착되는 다수의 형의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하고, 적어도 대기상태 및 인쇄상태에서 동작하는 전자사진프린터에 있어서,
    전자사진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내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 및
    상기 프린터내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페이지길이에 무관하가. 상기 프린터가 상기 대기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재된 연속기록용지의 구멍이 선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프린터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페이지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 제어데이타의 다수의 세트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어데이타는 상기 연속기록용지이 각각의 페이지 길이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타;
    초기에 상기 대기상태로 하기 위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제1공급량;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공급동작의 시작과 노광동작의 시작사이에 요구되는 시간간격;
    상기 노광 및 상기 공급의 동기화된 동작의 시작과 화상전사동작의 시작의 사이에 요구되는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제2공급량; 및
    상기 화상전사동작완료후 다시 상기 대기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공급에 요구되는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제3공급량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타의 하나의 세트에 따라 상기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9. 각각 다른 페이지 길이를 가지며, 구멍이 페이지사이에 제공되며, 토너화상이 전사위치에서 전사되며 정착위치에서 정착되는 다수의 형의 연속기록용지를 사용하고, 적어도 대기상태 및 인쇄상태에서 동작되는 전자사진프린터에 있어서,
    전자사진프린터는 상기 프린터내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프린터내에 적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페이지길이에 무관하게, 상기 프린터가 상기 대기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재된 연속기록용지의 구멍이 선정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 및
    상기 연속기록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 제어데이타의 다수의 세트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어데이타는 노광 동작의 시작과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공급동작의 시작의 사이에 요구되는 시간간격; 및
    상기 노광 및 상기 공급의 동기화된 동작의 시작과 화상전사동작의 시작의 사이에 요구되는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공급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어데이타는 초기에 상기 대기상태로 하기 위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제2공급량; 및
    상기 화상전사동작이 완료한 후 다시 상기 대기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공급을 위해 요구된 상기 연속기록용지의 제3공급량으로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프린터.
KR1019940024989A 1990-10-03 1994-09-30 연속기록용지용 전자사진프린터 KR0137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65979 1990-10-03
JP2265979A JP2942339B2 (ja) 1990-10-03 1990-10-03 連続記録紙を用いる電子写真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79A KR950023279A (ko) 1995-07-28
KR0137327B1 true KR0137327B1 (ko) 1998-06-01

Family

ID=1742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989A KR0137327B1 (ko) 1990-10-03 1994-09-30 연속기록용지용 전자사진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94903A (ko)
JP (1) JP2942339B2 (ko)
KR (1) KR0137327B1 (ko)
DE (1) DE413286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5972A (en) * 1989-11-10 1996-10-1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a continuous-form recording sheet
JP2576299Y2 (ja) * 1992-01-14 1998-07-0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
EP0582741B1 (en) * 1992-08-12 1997-02-12 Toray Industries, Inc.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USRE36112E (en) * 1992-08-14 1999-02-23 Toray Industries, Inc.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cut sheet and continuous paper and method therefor
JP2599950Y2 (ja) * 1992-12-29 1999-09-2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連続紙プリンタ
JP3140590B2 (ja) * 1992-12-29 2001-03-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連続紙用電子写真方法および連続紙用電子写真装置
JPH07137376A (ja) * 1993-06-30 1995-05-30 Asahi Optical Co Ltd 用紙搬送機構
JPH07146625A (ja) * 1993-11-13 1995-06-06 Asahi Optical Co Ltd 連続紙を用いるプリンタ
JP3533006B2 (ja) * 1995-04-14 2004-05-3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連続記録紙を用いるプリンタにおける記録紙排出機構
JP3523370B2 (ja) * 1995-05-17 2004-04-2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データシンボル読み取り装置
JP3455370B2 (ja) * 1996-08-01 2003-10-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タにおける連続紙の搬送制御方式
US5893021A (en) * 1996-08-29 1999-04-0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system including leading edge detection
JP3852883B2 (ja) * 1998-01-19 2006-12-06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049009B2 (ja) * 1998-06-04 2000-06-05 日本電気データ機器株式会社 電子写真方式印刷装置の連続用紙印刷装置におけるオー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3320372B2 (ja) * 1999-02-10 2002-09-03 富士通株式会社 連続媒体印刷装置
US6905269B2 (en) * 2002-07-03 2005-06-14 Oki Data America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label printing
JP2012056222A (ja) * 2010-09-10 2012-03-22 Seiko Epson Corp 紙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6726389B2 (ja) * 2016-04-26 2020-07-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333A (en) * 1977-08-12 1983-03-22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JPS592870A (ja) * 1982-06-29 1984-01-09 Shinko Electric Co Ltd プリンタ
JPS60260369A (ja) * 1984-06-08 1985-12-23 Hitachi Koki Co Ltd 連続印刷用紙の装填方法
US4890140A (en) * 1987-04-03 1989-12-26 Asahi Kogaku Kogyo K.K. Image fixing apparatus
JP2820151B2 (ja) * 1987-05-19 1998-11-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印字ずれ補正装置
JPH07115489B2 (ja) * 1987-05-19 1995-12-1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印字ずれ補正装置
JPH0711992Y2 (ja) * 1987-07-15 1995-03-22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連続紙の印字制御装置
JPH01161035U (ko) * 1988-04-27 1989-11-08
US4843429A (en) * 1988-04-29 1989-06-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near page boundaries
US5023667A (en) * 1988-06-28 1991-06-1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preventing damage to both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nd a recording form used with the printer
JP2772529B2 (ja) * 1988-11-14 1998-07-02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連続用紙プリンター
US5063416A (en) * 1989-06-13 1991-11-0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a continuous-form recording sheet
DE4035716C2 (de) * 1989-11-10 1994-02-03 Asahi Optical Co Ltd Elektrofotografischer Drucker
JPH03293929A (ja) * 1989-11-10 1991-12-25 Asahi Optical Co Ltd 電源供給装置
US5019872A (en) * 1990-06-08 1991-05-28 Output Technology Corporation Continuous-form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94903A (en) 1993-03-16
JP2942339B2 (ja) 1999-08-30
DE4132861A1 (de) 1992-04-30
JPH04142564A (ja) 1992-05-15
DE4132861C2 (de) 1996-08-29
KR950023279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327B1 (ko) 연속기록용지용 전자사진프린터
US5063416A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a continuous-form recording sheet
US4766464A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4743947A (en) Copying machine for producing margins of constant width
US5210583A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which positions the leading edge of a recording sheet
JPH04298368A (ja) 画像形成装置
US451969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915925B2 (ja)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S6262373A (ja) 用紙重送式画像形成装置
JPS6241134A (ja) 画像形成装置
JP3667177B2 (ja) 画像形成装置
JP2608794B2 (ja) 連続記録紙を用いる電子写真プリンタ
JPS63117857A (ja) 記録装置
JP2801227B2 (ja) 画像形成装置
JPS59140474A (ja) 像形成装置
JPS6251530A (ja) シ−ト材送り装置
JPS60121478A (ja) 記録装置
JP2515027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付き複写機
JPS59224854A (ja) 複写機用制御装置
JPH05105280A (ja) 紙送り状態検知方法および装置
JPS59100465A (ja) 原稿自動送り機能を有する複写機
JPH05104880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09937A (ja) 画像形成装置
JPH03154075A (ja) 記録シート供給装置
JPH0588490A (ja) 複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