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39118A1 -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39118A1
WO2023239118A1 PCT/KR2023/007603 KR2023007603W WO2023239118A1 WO 2023239118 A1 WO2023239118 A1 WO 2023239118A1 KR 2023007603 W KR2023007603 W KR 2023007603W WO 2023239118 A1 WO2023239118 A1 WO 20232391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uss girder
reinforcement
horizontal
fram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76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ublication of WO20232391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391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for constructing a building by pouring concrete.
  • an RC building when constructing an RC building, it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forms in the shape to be constructed and pouring concrete.
  • the formwork has been disclosed as Euroform, which is a square frame with plywood added, or R-Form, which is made of aluminum.
  • R-Form is lighter than Euroform, making it easy to handle, and the surface of the building is relatively uniform.
  • Euroform is widely used due to the noise caused by impact and its relatively high pric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60775 (published on July 24, 2017) titled “Form for forming wall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30200 (published on March 10, 2022) “ A “wall deck plate” has been disclosed.
  •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formwork for wall forming or wall degplate was able to prevent bending due to lateral pressure and vertically stacked pressure by installing a truss girder perpendicular to the formwork panel.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 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not only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form by reinforcing the lateral and vertical pressures acting on the finishing panel by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but also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form.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that can not on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ut also improve the precision of construction by preventing bending of the form.
  • durability can be improved by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by the reinforcing panel part, thereb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inishing panel, and the rigidity of the border frame is increased because the reinforcing border part is bent and overlapped with the border frame.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that can be installed.
  • the tie groove that connects the flat ties into a shape that is bent by pressing on the edge frame, not only can durability be improved by preventing a decrease in rigidity due to cutting or cutting of the edge frame, but also the reinforcement edge part.
  • a truss girder that forms a groove insertion part into which the tie groove is inserted and compensates for the protrusion of the tie groov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processing of the finishing panel and preventing construction defects due to damage to the finishing panel.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rm having a reinforcing part.
  • the object is to provide a formwork assembly in which formwork having a portion is assembled.
  • the horizontal fastener connects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to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section
  • the load applied to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section is distributed through the horizontal connection section, thereby assembling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section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formwork assembly.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rmwork assembly.
  • the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includes a finishing panel for pouring concrete, supporting an edge of the finishing panel, and forming a plurality of pieces spaced apart around the circumference to insert flat ties.
  • a bord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tie grooves formed thereon,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rder fram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rder frame and reinforcing rigidity against the lateral pressure applied to the finishing panel, and It includes a reinforcing panel portion installed on the edge frame and overlapping the finishing panel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inishing panel, and the tie groove portion is not formed by cutting or cutting the edge frame to prevent the rigidity of the edge frame from decreasing.
  • the border frame is bent and formed.
  •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may include a reinforcing edge portion that is bent around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and overlaps the edge frame in ord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dge frame.
  •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e groove portion so that the perimeter of the tie groove portion bent in the frame frame coinc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to prevent circumferential processing of the finishing panel, thereby forming the tie groove portion. It may include a groove insertion part to be inserted.
  • the frame may includ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that connect parts that face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frame.
  • the truss girder reinforcing part includes a pair of bottom bars that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and transmitting the lateral pressure applied to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anel is connected to the pair of bottom bars.
  • upper muscles that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between the pair of sole muscl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uscles are located and transmit and distribute lateral pressure from the pair of sole muscles; and the pair of sole muscles and the upper muscles. It may include a rettis muscle that is connected in the form of a zigzag and transmits and distributes the pressure of the basal muscle to the upper muscle.
  •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reduces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to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to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nd may include a reinforcing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nd.
  • a formwork assembly using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is a form assembly using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forms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are arranged and assembled.
  • a plurality of horizontal connecting bars ar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 a plurality of form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connecting b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connecting bars, a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s and the form,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and. It may include a vertical fastener connecting the formwork.
  • the horizontal replacement fastener may connect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to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russ girder reinforcing portion through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 the horizontal fastener may include a girder fastening part that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a portion of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and a horizontal fastening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girder fastening pa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is located and is fastened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 the vertical replacement fixture includes a frame fastening part where the overlapping border frames are inserted and fastened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border frames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molds from widening,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connecting bar is located in the frame fastening part. It may include a vertical fastening part that protrudes and is fastened to the vertical connecting bar.
  • the finishing panel is integrated into the border frame to form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to improve durability according to the lateral or vertical pressure acting on the finishing panel,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form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xisting standardized Euroform. It can shorten the assembly time due to the assembly of the form, and it not only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parting lines caused by the assembled form,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remove the parting line. , the precision of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formwork bending.
  • the tie grooves formed in the frame are bent by pressing with a press rather than cutting or cutting, the durability of the frame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rigidity of the frame.
  • the finishing panel be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panel part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finishing panel, but also the stiffness of the border frame can be improved by bending the reinforcing border part on the reinforcing panel part and overlapping the reinforcing border part on the border frame.
  • the reinforcing border complements the protrusion of the tie groove formed by bending the border frame, eliminating the need to process the perimeter of the finishing panel due to the protruding tie groove,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s due to processing of the finishing pane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struction defects from occurring due to damage to the finishing panel due to processing of the finishing panel.
  •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ng bars connecting a plurality of molds can be firmly coupled by combi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asteners, and at the same tim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ng bars can be quickly combined.
  • the horizontal fastener connects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the durability of the form assembly can be improved by distribu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through the horizontal connection.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at the rear of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at the front of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view of the tie groove part.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ie groove part.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connecting bar and a vertical connecting bar are installed in a formwork assembly in which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is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connecting bar is fastened to a formwork assembly having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horizontal replacement fastener.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rtical connecting bar is fastened to a form assembly having a form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vertical replacement fastener.
  •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may include a finishing panel 110.
  • the finishing panel 110 can be finished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crete poured to form the walls or pillars of a building, and the finishing panel 110 can als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when separated after construction. there is.
  • the finishing panel 110 may be made of plywood, synthetic resin, or metal.
  • finishing panel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poured concrete can be seen through from the outside,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may be polycarbonate (PC), which has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transparency, etc.
  • PC polycarbonate
  •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110 where the concrete is poured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crete to minimize the infiltration of moisture into the interior of the finishing panel 110 an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hardens.
  • a coating layer coated with a material to prevent moisture infiltration may be formed.
  • the finishing panel 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110 may be patterned to form a patte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may include an edge frame 120.
  • the border frame 120 can protect the border of the finishing panel 110, and the border frame 120 has a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urface on which concrete is poured around the finishing panel 110 so as to have a preset width. It may protrude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along the perimeter of the finishing panel 110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located.
  • the border frame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stronger than the finishing panel 110 in order to protect the finishing panel 110, and a plurality of tie grooves 121 are formed around the border frame 120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t can be.
  • the tie groove portion 121 is a border frame 120 that is adjacent to and overlaps each other in the formwork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below in order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formwork 100 facing each other. ) can be formed to install a flat tie between.
  • a frame connection hole 123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overlapping edge frames 120 to each other or with flat ties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tie groove portion 121. It can be formed.
  • the fastening member may be a bolt or nut, or may be a wedge pin or rivet for connecting the formwork 100 to each other.
  • the frame connection hole 123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edge frame 120 in order to fasten other components to parts of the edge frame 120 other than the tie groove portion 121 where the tie groove portion 121 is not formed.
  • the tie groove portion 121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edge frame 120 with a press to have a concave bent shape toward the facing side of the edge frame 120.
  • the conventional border frame 120 is formed by cutting the border frame 120 or cutting off part of it to form the tie groove portion 121, so the strength of the border frame 120 is weakened and the border frame 120 ) had the problem of being easily bent, but the tie groove portion 12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by pressing the edge frame 120 with a press rather than cutting or cutting it, thereby preventing the strength of the edge frame 120 from decreasing. Durability can be improved.
  • the border frame 120 may include a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 This deformation preven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border frame 120 and can prevent the border frame 120 from being deformed, such as twisting.
  • the deformation prevention unit may be installed by cutting a plate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inner corner of the frame 120 and welding it to the frame 120.
  •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may include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can reinforce rigidity against vertical pressure as well as lateral pressure applied to the finishing panel 110 installed on the edge frame 120.
  •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rder frame 120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nishing panel 110,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ides facing each other are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border frame 120.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enter.
  • the vertical direction is called vertical
  •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alled horizontal
  •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russ girder.
  •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is a form of welded reinforcing bar, and a pair of vertical bottom bars 14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facing the finishing panel 110. It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bottom bars 141 between a pair of bottom bars 141 at the top of the bars 141, that is, at the top spaced apar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ishing panel 110 is located.
  • the pair of bottom muscles 141 and upper muscles 143 are connected by the zigzag-shaped Rettis muscle 145, so that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finishing panel 110 to the bottom muscles 141 is transferred to the Rettis muscle 145. ) can be distributed to the upper root 143 to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nishing panel 110,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gainst lateral pressure and vertical pressure.
  • the structure of the truss girder is the optimal structure for distributing pressure, and is a structure that has been proven effective by being widely used in structures such as bridges or building slabs.
  • the durability of the formwork 100 is improved and the length of the formwork 100 itself can be manufactured to a longer length than the existing standardized formwork 100. Therefor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ilding can be shortened.
  • the existing Euroform has weak durability against lateral pressure and has no choice but to have a maximum length of 1800mm. Therefore, when constructing an apartment building with a height of 2400mm on one floor, a 600mm Euroform must be connected to a 1800mm Euroform. do.
  •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the formwork 100 that can sufficiently withstand lateral pressure even if the formwork 100 with a length of 2400 mm is manufactured by reinforcing the rigidity by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so the formwork 100 can be assembled.
  • the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process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parting lines.
  •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ing welded to the edge frame 120.
  •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when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is installed in a form assembled by an assembly tool as in the prior art,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loses its supporting force as the assembly tool is loosened, and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 does not perform the function of, and it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so it may take a long time to manufacture.
  •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is welded to the edge frame 12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it prevent separation and loss of support, but also save time for manufacturing.
  • the bottom bar 141, the top bar 143, and the Letis bar 145 that form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may be implemented as reinforcing bars.
  •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may include a reinforcement panel part 130.
  • the reinforcement panel portion 130 can support the finishing panel 110, and the finishing panels 110 can overlap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finishing panel 110.
  • the reinforcement panel unit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nishing panel 110 and installed on the edge frame 120, and the finishing panel 110 overlaps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unit 130. It can be installed with .
  •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metal and welded to the edge frame 120, and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eight reduction holes 135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formwork 100. )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weight reduction holes 135 may be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anel portion 130.
  • the finishing panel 110 is fasten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by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reinforcement panel, so that the finishing panel 110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reinforcement panel.
  •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130 may include a reinforcing border portion 131.
  • the reinforcement edge portion 131 can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dge frame 120 by bending the edge of the reinforcement panel portion 130 so that it overlaps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frame 120.
  •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131 is bent along the edge of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1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ishing panel 110 overlaps, and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131 overlap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rder frame 120 to form a border frame 120. ) and at the same time supporting the edge of the finishing panel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dge frame 120 from being easily bent by external force and to prevent the edge of the finishing panel 110 from being easily damaged.
  • a groove insertion portion 133 may be formed in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131.
  • the groove insertion portion 133 is a reinforcing border portion ( 131) can be inserted and positioned.
  •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edge portion 131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ent, protruding tie groove portion 121 protruding inward.
  • the tie groove portion 121 protruding inward from the border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insertion portion 133, and as the tie groove portion 121 protrudes inward,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131 also becomes the tie groove portion 121.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edge portion 131 is substantially made uniform,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finishing panel 110 located substantially inside the reinforcing edge portion 131 can be processed. Since it is not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due to processing of the finishing panel 110 and a decrease in durability that occurs due to processing of the finishing panel 110.
  • the coating layer is removed from the formed portion of the groove, and as moisture penetrates into that portion, the finishing panel 110 swells due to moisture. As the finishing panel 110 has an uneven surface while rising, construction defects may occur. By preventing processing of the finishing panel 110, damage to the coating layer can be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construction defects from occurring.
  •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150.
  •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150 may be installed to connect opposing parts of the border frame 120 to prevent the horizontally facing parts of the border frame 120 from being bent or damaged by external force.
  •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1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r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150 has a reinforcing bent portion that protrudes orthogonal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150 to increase the rigidity applied from the side of the edge frame 120. (151) is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side cross section may be shaped like an “ ⁇ ” shape.
  •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ement bars 150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the edge frame 120, and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s 150 transmit and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to the edge frame 120.
  • the border frames 120 located on both sides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150 penetrates between the bottom bar 141 and the upper bar 143 of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and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bar 143 or connected to each other by fasteners. It can be connected to the border frame 120 by penetrating the truss girder in the form of a truss girder.
  • the formwork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has a border frame 120 that supports the perimeter of the finishing panel 11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nishing panel 110. It is installed around the edge frame 120, and a plurality of tie grooves 121 for combining flat ties are bent and spaced apart in a concave shape.
  • a frame connection hole 123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through the border frame 120, and the border frame 120 has reinforcement that overlaps the finishing panel 110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finishing panel 110.
  • the panel unit 130 is installed.
  • the reinforcement panel part 130 can be fixed by overlapping the finishing panel 110 and fastening it with a fastening member, and the reinforcement panel part 130 has a reinforcement edge part 131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rder frame 120.
  • the reinforcing edge portion 131 is formed by b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130, and is weld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edge frame 120 in an overlapping manner.
  •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131 is provided with a tie groove portion to prevent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131 from protruding due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tie groove portion 121 bent concavely toward the portion where the reinforcing border portion 131 is located.
  • a groove insertion portion 133 into which the tie groove portion 121 is inserte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121) to prevent the tie groove portion 121 from protruding.
  •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is installed on the border frame 120 to distribute the lateral and vertical pressure applied to the finishing panel 110 by connecting the border frame 120 up and down, and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 the bottom muscles 141 are arranged in a pair spaced apart on the reinforcement panel part 130, and the upper muscles 143 are arranged outward from the pair of bottom muscles 141, and the bottom muscles 141 and upper muscles ar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 (143) is welded and fixed to the edge frame 120 and the reinforcement panel portion 130 in a welded form so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Letis muscle 145.
  • the two sides of the border frame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150, and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150 penetrates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to form two sides of the border frame 120. It is installed to connect the sides.
  • the formwork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reinforces the strength against the lateral pressure and vertical pressure applied to the finishing panel 110 by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thereby reducing the existing Even if it is formed to a length longer than Euroform, for example, 2400 mm or more, the assembly time of the form 100 can be shortened because it can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poured inside, and the assembly time of the form 100 can be shortened due to the combination of several forms 100 after construction.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parting lines, the period required for removal of the parting lines can be shortened.
  • the tie groove portion 121 is formed in the border frame 120 by pressing and bending it, there is no need to cut or cut to form the tie groove portion 121 in the border frame 120, thereby creating a bord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rability of the frame 120 from deteriorating.
  • the reinforcing edge portion 131 of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130 overlaps the edge frame 120, not only can the rigidity of the edge frame 120 be strengthened to improve durability, but also the reinforcing edge portion 131 As the groove insertion portion 133 is formed and the tie groove portion 121 is inserted, there is no need to process the perimeter of the finishing panel 110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tie groove portion 121,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reducing the finishing panel (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struction defects due to damage to the coating layer.
  •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150 is installed on the edge frame 120, and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150 is installed penetrating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is transferred to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150. By dispersing through 150, the durability of the formwork 100 can be improved.
  • the form assembly 200 using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s 14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correspond to the area where concrete is to be constructed. It may be an assembly.
  • the formwork 100 is shown as manufactured to 2400mm
  • the form assembly 200 using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wrapping around the circumference of a pillar to form a pillar in a building, or To form the walls of a building, it can be in the form of a single wide plate or a pair facing each other.
  • the pair of formwork assemblies 200 are attached to the border frame 120 of the formwork 100 so that the pair of formwork assemblies 200 are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wall.
  • Flat ties can be inserted into the formed tie groove portion 121 and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 a plurality of arranged formwork 100 has not only the border frames 120 of the formwork 100 overlapping in the lateral direction, but also the border frames 120 of the formwork 100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e corresponding frame connection holes ( 123) can be connected in a way that a wedge pin penetrates.
  • the form assembly 200 using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210 and a vertical connection member 230.
  •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can connect and support a plurality of connected forms 100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 plurality of horizontal connecting bars 210 may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nected forms 10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forms 100 .
  • the form 1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orms 100 so that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is positioned vertically, but if necessary, a plurality of forms (100) are connected so that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00) can also be connected.
  • the horizontal connecting band 2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annel with a side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 " ⁇ " shape,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band 21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connected forms 100 or longer. It can be formed in length.
  • a plurality of horizontal connection holes 2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at prese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 th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can connect and support a plurality of connected forms 10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vertical connecting bars 230 can be arranged and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nected forms 100. , th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may be located in a portion where the border frames 120 located on the sides of the plurality of molds 100 overlap.
  • th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annel with a " ⁇ " shaped side cross section,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is the vertic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connected molds 100. It may be form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or shorter.
  • a plurality of vertical connection holes 23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vertical connecting band 230 at prese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band 230.
  • the form assembly 200 using the form 100 having a truss girder reinforcement includes a horizontal fastener 220 and a vertical fastener 240. It can be included.
  • the horizontal replacement fixture 220 can connect a plurality of connected formwork 100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to each other.
  • the horizontal replacement fastener 220 can be fixed by connecting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of the form 100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 the horizontal fastener 220 may include a girder fastening part 221 fastened to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140 and a horizontal fastening part 223 fastened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 the girder fastening portion 221 is a pair of plat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a portion of the end of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can be inserted and fitted, one end of the pair of plates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part, and the pair of plates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part. Fastening holes are formed through penetrating portions of the plates that face each other.
  • This girder fastening portion 221 is a horizontal fastener ( 220) can be connected.
  • the plates of the girder fastening portion 221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with the upper bar 143 inserted between them, so that the upper bar 143 is caught by the fastening member.
  • the crosspiece fastening portion 22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 portion of the girder fastening portion 221 where a pair of plates are connected, and the crosspiece fastening portion 223 penetrates the horizontal connecting hole 211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It is inserte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fastening part 223,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is caught on the fastening member. You can.
  •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girder fastening part 221 was implemented as a bolt and nut,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crossbar fastening part 223 was implemented as a wedge pin, but it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There is no limitation to this configuration as long as it is possible.
  • a plurality of horizontal fastening parts 223 may be fastened to on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to connect a plurality of connected formwork 100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 the vertical replacement fixture 240 can connect the form 100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 the vertical fastener 240 may include a frame fastener 241 coupled to the formwork 100 and a vertical fastener 243 coupled to the vertical connection bar 230.
  • the frame fastening portion 241 may be coupled to the edge frame 120 in the formwork 100, and the frame fastening portion 241 has one end of a pair of parallel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rame fastening portion 241 is positioned between the plates side by side.
  • the edge frames 120 of the form 100 overlapp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erte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plate, and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es and fastens the fastening hole and the frame connection hole 123 formed in the edge frame 120. It can be combined with (100).
  • the vertical fastening portion 24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 portion of the frame fastening portion 241 where a pair of plates are connecte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vertical fastening portion 243 so that the vertical fastening portion 243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connecting plate.
  • a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may be installed in a manner in which it is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fastening member.
  •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rame fastening part 241 was implemented as a bolt and nut,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vertical fastening part 243 was implemented as a wedge pin, but it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There is no limitation to this configuration as long as it is possible.
  • a plurality of horizontal fastening parts 223 may be fastened to on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to connect a plurality of connected formwork 100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 the vertical connector 230 and the horizontal connector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ertical connector 240 and the horizontal connector 220.
  • a crossbar connec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connector 210 is to be installed, and the crossbar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girder fastening portion 221 with a portion of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portion 140 inserted into the girder fastening portion 221. I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through a fastening member,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223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connecting hole 211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faste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hole 211 formed in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210. Combined in a fastening form.
  • the vertical fastener 240 fastens the frame fastener 241 to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edge frame 120 of the form 100, and attaches a vertical connection bar 230 to the vertical fastener 243. After inserting the vertical connecting hole 231,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230 is installed by coupl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vertical connecting portion 243.
  •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is first fastened to the form 100 using the horizontal fastening tool 220, and then the vertical connecting bar 230 is overlapp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through the vertical fastening tool 240.
  • the vertical connector 23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stall the vertical connector 230 first and then install the horizontal connector 210.
  • a plurality of forms (100) are assembled and erected using a plurality of vertical connectors (23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connectors (210), and then assembled by combining flat ties, etc. according to the form in which the building is to be constructed, and then concrete is poured. Construct a building.
  • the form assembly 200 using the form 100 having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the form 100 having the truss girder reinforcement of the embodiment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and the vertical connection bar 210.
  • the connecting bar 230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bar 230 to the formwork 100 through the horizontal connecting piece 220 and the vertical connecting piece 240, the horizontal connecting piece 210 and the vertical connecting piece 230 can be easily fastened.
  •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is coupled by the truss girder reinforcing part 140,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russ girder reinforcing part 140, which receives the lateral pressure of the finishing panel 110, is distributed through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210 to form a plurality of The formwork 100 can be firmly supported.
  • Weight reduction hole 140 Truss girder reinforcement part
  • Horizontal connector 220 Horizontal replacement f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트러스거더 보강대를 갖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마감하는 마감패널, 상기 마감패널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플렛타이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타이홈부가 형성된 테두리프레임,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마감패널에 가해지는 측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 및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이 겹쳐져 상기 마감패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홈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삭 또는 절단하여 형성하지 않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곡형성한다. 따라서, 거푸집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트러스거더 보강대를 갖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C 건축물을 시공할 때 시공할 형태로 복수 개의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하는 데, 거푸집은 사각의 프레임에 합판을 덧댄 형태의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R폼이 개시된 바가 있다.
R폼은 유로폼에 비해 무게가 가볍워 취급성이 용이하고 건축물의 형성면이 비교적 균일하지만, 충격에 의한 소음과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으로 인해 유로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로폼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과 수직으로 적층되는 압력에 취약하여 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0775호(2017.7.24.공고)의 "벽체 성형용 거푸집"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30200호(2022.3.10.공개)의 "벽체 데크플레이트"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벽체 성형용 거푸집 또는 벽체 데그플레이트는 거푸집 패널에 대해 수직으로 트러스 거더를 설치하여 측압 및 수직으로 적층되는 압력에 의해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벽체 성형용 거푸집 또는 벽체 데크플레이트는 트러스 거더를 거푸집 패널에 연결구에 의해 결합해야하기 때문에 시공 시 연결구의 풀림으로 인해 트러스 거더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 판재의 테두리에 "L"형상의 조립앵글이 장착되어 거푸집 판재를 지지하기 때문에 조립앵글이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있으며, 플렛타이를 결합할 경우, 거푸집 판재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플렛타이의 결합에 따라 거푸집 판재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76778호(2020.5.18.공고)에 "유로폼"이 개시되는 데, 종래의 유로폼은 철제 프레임에 체결홈을 형성할 때, 체결홈의 부분을 절삭하거나, 절단하기 때문에 철제 프레임의 강성이 약해져 쉽게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감패널에 작용하는 측압 및 수직압을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의해 보강하여 거푸집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표준화된 유로폼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어 거푸집의 조립에 따른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파팅라인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파팅라인의 제거에 따른 시간소요를 감소시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짐의 휨을 방지하여 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강패널부에 의해 마감패널을 지지하여 마감패널의 강성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패널부에 보강테두리부가 절곡형성되어 테두리프레임에 겹쳐지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플렛타이를 결합하는 타이홈부를 테두리프레임에 프레스에 의해 절곡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테두리프레임의 절삭 또는 절단에 의한 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테두리부에 타이홈부가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형성하여 타이홈부의 돌출을 보완함으로써, 마감패널의 가공에 따른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의 손상에 따른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 개를 조립한 거푸집을 세로대체결구와 가로대체결구에 의해 세로연결대와 가로연결대에 연결함으로써, 쉽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체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로대체결구가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로연결대를 연결하기 때문에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가로연결대를 통해 분산함으로써, 거푸집 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마감하는 마감패널, 상기 마감패널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플렛타이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타이홈부가 형성된 테두리프레임,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마감패널에 가해지는 측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 및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이 겹쳐져 상기 마감패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홈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삭 또는 절단하여 형성하지 않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곡형성한다.
상기 보강패널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보강패널부의 둘레에서 절곡하여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겹쳐지는 보강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에서 절곡형성된 상기 타이홈부의 둘레와 상기 보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일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둘레 가공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이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보강테두리부를 절개하여 상기 타이홈부가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프레임에서 가로방향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강성을 보강하는 가로보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는 상기 보강패널부의 중앙 부분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보강패널부에 가해지는 측압을 전달받는 한 쌍의 바닥근, 상기 한 쌍의 바닥근에 대해 상기 보강패널부가 위치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바닥근의 사이에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바닥근으로부터 측압을 전달받아 분산시키는 상부근, 및 상기 한 쌍의 바닥근과 상기 상부근을 지그재그의 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근의 압력을 상기 상부근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키는 레티스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가로보강대의 돌출되는 높이를 감소시키며,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가로보강대로 분산하도록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가로보강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된 보강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복수 개를 배열하여 조립한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로서, 상기 복수 개의 거푸집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연결대, 상기 복수 개의 가로연결대를 연결하는 세로연결대, 상기 가로연결대와 상기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대체결구, 및 상기 세로연결대와 상기 거푸집을 연결하는 세로대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체결구는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가로연결대를 통해 분산하도록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와 상기 가로연결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체결구는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의 일부에 끼워져 체결되는 거더체결부, 및 상기 거더체결부에서 상기 가로연결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연결대에 체결되는 가로대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대체결구는 상기 복수 개의 거푸집에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겹쳐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이 끼워져 체결되는 프레임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체결부에서 상기 세로연결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로연결대에 체결되는 세로대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패널을 테두리프레임에 일체화된 형태로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형성하여 마감패널에 작용하는 측압 또는 수직압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켜 기존의 규격화된 유로폼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어 거푸집의 조립에 따른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조립된 거푸집에 의해 발생하는 파팅라인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파팅라인의 제거에 따른 시간소요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분만 아니라, 거푸집의 휨발생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에 형성되는 타이홈부를 절삭 또는 절단하지 않고, 프레스에 의해 가압하여 절곡형성하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의 하락을 방지함으로써, 테두리프레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이 보강패널부에 의해 지지되어 마감패널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패널부에 보강테두리부가 절곡 형성되어 테두리프레임에 보강테두리부가 겹쳐져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에 절곡형성되는 타이홈부의 돌출을 보강테두리부가 보완하여 돌출된 타이홈부에 의해 마감패널의 둘레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마감패널의 가공에 따른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의 가공에 의해 마감패널이 손상되면서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연결대와 세로연결대를 가로대체결구와 세로대체결구에 의해 결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는 동시에 가로연결대 및 세로연결대를 신속하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가로대체결구는 트러스거더 보강부와 가로연결대를 연결하기 때문에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연결대를 통해 분산시켜 거푸집 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의 후면을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의 정면을 바라보는 사시도로써, 타이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의 분해사시도로써, 타이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에 가로연결대와 세로연결대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에 가로대체결구에 의해 가로연결대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에 세로대체결구에 의해 세로연결대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마감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패널(110)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기둥 등을 형성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마감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0)은 건축물을 시공한 후에 분리 시의 건축물의 외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마감패널(110)은 합판, 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11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모습이 외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도록 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체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투명성 등을 갖는 PC(polycarbonate)일 수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110)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외면은 마감패널(110)의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최소화하고, 콘크리트의 경화 시 콘크리트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재료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재료로 코팅되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감패널(110)은 가로보다 세로의 길이가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0)의 외면은 건축물의 외면의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무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테두리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프레임(120)은 마감패널(110)의 테두리를 보호할 수 있으며, 테두리프레임(120)은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도록 마감패널(110)의 둘레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의 반대방향이 면이 위치한 방향으로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따라 사각의 틀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테두리프레임(120)은 마감패널(110)을 보호하기 위해 마감패널(110)보다는 강도가 강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프레임(120)의 둘레에는 타이홈부(121)가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홈부(121)는 서로 마주하는 거푸집(10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하기에 설명할 거푸집 조립체(200)에서 서로 인접하여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120)의 사이에 플렛타이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타이홈부(121)에는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120)끼리 또는 플렛타이를 삽입한 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12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프레임연결공(123)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너트이거나, 거푸집(10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웨지핀 또는 리벳일 수도 있다.
물론 프레임연결공(123)은 테두리프레임(120)에서 타이홈부(121) 외의 타이홈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도 다른 구성들을 체결하기 위해 테두리프레임(120)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타이홈부(121)는 테두리프레임(120)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테두리프레임(1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테두리프레임(120)은 타이홈부(121)를 형성하기 위해 테두리프레임(120)을 절삭하거나, 일부를 절개하는 형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120)의 강도가 약해져 테두리프레임(120)이 쉽게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의 타이홈부(121)는 테두리프레임(120)을 절삭 또는 절단하지 않고 프레스에 의해 가압하여 절곡하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120)의 강도가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테두리프레임(120)은 변형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변형방지부는 사각으로 형성된 테두리프레임(120)의 각 모서리의 내측에 설치되어 테두리프레임(120)이 비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방지부는 테두리프레임(120)의 각 내측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판을 절단하여 테두리프레임(120)에 용접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테두리프레임(120)에 설치된 마감패널(110)에 가해지는 측압뿐만 아니라 수직압력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마감패널(110)의 세로방향과 대응되도록 테두리프레임(120)의 세로방향 즉, 테두리프레임(120)의 수직으로 배치된 서로 마주하는 상단과 하단을 테두리프레임(120)의 중앙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거푸집(100)이 세워진 형태로 설명하기 때문에 세로방향을 수직이라고 칭하고, 가로방향을 수평이라고 칭한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트러스거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철근을 용접한 형태로 마감패널(110)과 마주하는 위치의 중앙 부분에서 한 쌍의 세로방향의 바닥근(141)이 가로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바닥근(141)의 상부 즉, 마감패널(110)이 위치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상부에 한 쌍의 바닥근(141)의 사이에 바닥근(14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바닥근(141)과 상부근(143)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레티스근(145)에 의해 연결되어 마감패널(110)에서 바닥근(141)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레티스근(145)을 상부근(143)으로 전달하는 형태로 마감패널(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측압 및 수직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트러스거더의 구조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조로써, 교량 또는 건축물의 슬래브와 같은 구조에 많이 사용되어 효과가 입증된 구조이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테두리프레임(120)에 구성함으로써, 거푸집(10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거푸집(100) 자체의 길이를 기존의 규격화된 거푸집(100)보다 더 긴 길이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유로폼은 측압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 최대 길이를 1800mm로 형성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한 층의 2400mm의 높이를 갖는 공동주택을 시공할 경우, 1800mm의 유로폼에 600mm의 유로폼을 연결해야 한다.
이렇게 유로폼을 여러 개를 연결할 경우, 유로폼을 조립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외면에 조립된 부분의 파팅라인이 발생하면서 이를 제거해야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공기가 증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의해 강성을 보강하여 길이가 2400mm인 거푸집(100)을 제작하더라도 측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거푸집(100)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100)을 조립하는 데 시간을 단축시키고, 파팅라인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테두리프레임(120)에 용접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종래와 같이 조립구에 의해 조립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조립구의 체결이 풀림에 따라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지지력을 상실하여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조립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테두리프레임(120)에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용접될 경우, 분리됨을 방지하여 지지력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형성하는 바닥근(141), 상부근(143) 및 레티스근(145)은 철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보강패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패널부(130)는 마감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0)이 겹쳐져 마감패널(1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패널부(130)는 마감패널(110)과 대응되는 크기의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테두리프레임(120)에 설치되고, 보강패널부(130)의 외면에 마감패널(110)이 겹쳐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보강패널부(13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테두리프레임(120)에 용접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보강패널부(130)는 전체적인 거푸집(10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무게감소공(1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무게감소공(135)은 보강패널부(13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패널에는 마감패널(110)이 겹쳐진 상태에서 마감패널(110)과 보강패널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보강패널에 마감패널(11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패널부(130)는 보강테두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테두리부(131)는 보강패널부(130)의 테두리를 절곡시켜 테두리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테두리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테두리부(131)는 보강패널부(130)의 테두리를 따라 마감패널(110)이 겹쳐지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테두리프레임(120)에 내측 둘레를 보강테두리부(131)가 겹쳐져 테두리프레임(120)을 지지함과 동시에 마감패널(110)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테두리프레임(120)이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마감패널(110)의 테두리가 용이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테두리부(131)에는 홈삽입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홈삽입부(133)는 보강테두리부(131)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각 타이홈부(121)와 보강테두리부(131)의 내측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보강테두리부(131)가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보강테두리부(131)의 두께는 내측으로 돌출된 절곡 돌출된 타이홈부(121)의 두께보다 더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홈삽입부(133)에는 테두리프레임(120)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타이홈부(121)가 삽입되어 타이홈부(121)가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보강테두리부(131)도 타이홈부(121)의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보강테두리부(131)의 내측 둘레가 균일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보강테두리부(131)의 내측에 위치하는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마감패널(110)의 가공으로 인한 제작비용의 증대와 마감패널(110)의 가공됨에 따라 발생하는 내구성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마감패널(110)에 타이홈부(121)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경우, 홈의 형성된 부분은 코팅층이 제거되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 수분이 침투함에 따라 마감패널(110)이 수분에 의해 부풀어 오르면서 마감패널(110)이 불균일한 면을 가져 시공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감패널(110)의 가공을 방지함으로써, 코팅층의 손상을 방지하여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가로보강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보강대(150)는 테두리프레임(120)의 가로방향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두리프레임(12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로보강대(15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가로보강대(150)는 테두리프레임(120)의 측면에서 가해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가로보강대(15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어 돌출되는 보강절곡부(151)가 형성되어 마치 측단면의 형상이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보강대(150)는 테두리프레임(120)에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가로보강대(150)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가해지는 압력을 테두리프레임(120)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킬 수 있도록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관통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테두리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보강대(150)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바닥근(141)과 상부근(143)의 사이를 관통하여 상부근(143)의 내측에 용접되거나 체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트러스거더를 관통하여 테두리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마감패널(110)의 둘레에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따라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지지하는 테두리프레임(120)이 설치되고, 테두리프레임(120)의 둘레에는 플렛타이를 결합하기 위한 타이홈부(121)가 오목한 형태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테두리프레임(120)에는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프레임연결공(123)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테두리프레임(120)에는 마감패널(110)에 겹쳐져 마감패널(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패널부(130)가 설치된다.
보강패널부(130)는 마감패널(110)이 겹쳐져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보강패널부(130)에는 테두리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테두리부(131)가 보강패널부(130)의 둘레를 따라 절곡하여 형성되어 보강테두리부(131)가 테두리프레임(120)의 내측에 겹쳐지는 형태로 용접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때, 보강테두리부(131)에는 보강테두리부(131)가 위치하는 부분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타이홈부(121)의 돌출된 형상에 의해 보강테두리부(131)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이홈부(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타이홈부(121)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홈부(121)가 삽입되는 홈삽입부(133)가 형성된다.
테두리프레임(120)에는 테두리프레임(120)을 상하로 연결하여 마감패널(110)에 가해지는 측압 및 수직압을 분산시키기 위한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설치되며,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바닥근(141)이 보강패널부(130)에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바닥근(141)에서 외측으로 상부근(143)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바닥근(141)과 상부근(143)은 레티스근(145)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서로 용접된 형태로 테두리프레임(120)과 보강패널부(130)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20)의 서로 마주하는 가로방향의 양측 면은 가로보강대(1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가로보강대(150)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관통하여 테두리프레임(120)의 양측 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의해 마감패널(110)에 가해지는 측압 및 수직압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기존의 유로폼보다 더 긴 길이 예를 들어 2400mm 이상의 길이로 형성하더라도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100)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후의 여러 거푸집(100)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팅라인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파팅라인의 제거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20)에 타이홈부(121)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하여 절곡하는 형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120)에 타이홈부(121)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하거나, 절삭할 필요가 없어 테두리프레임(120)의 내구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20)에 보강패널부(130)의 보강테두리부(131)가 겹쳐지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테두리부(131)에 홈삽입부(133)가 형성되어 타이홈부(121)가 삽입됨으로써, 타이홈부(121)의 돌출로 인해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마감패널(110)의 코팅층의 손상으로 인한 시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20)에 가로보강대(150)가 설치되고, 가로보강대(150)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관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로 전달되는 압력을 가로보강대(150)를 통해 분산시킴으로써, 거푸집(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콘크리트를 시공할 면적만큼 복수 개를 배열하여 조립한 조립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거푸집(100)은 2400mmX450mm로 제작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거푸집(100)의 가로방향의 폭은 세로길이를 넘지 않는 범위 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건축물에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이거나,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넓은 판의 형태, 또는 한 쌍이 서로 마주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거푸집 조립체(200)를 마주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체의 두께만큼 한 쌍의 거푸집 조립체(200)가 이격되도록 거푸집(100)의 테두리프레임(120)에 형성된 타이홈부(121)에 플렛타이를 삽입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열된 거푸집(100)은 측방향으로 겹쳐지는 거푸집(100)의 테두리프레임(120)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는 거푸집(100)의 테두리프레임(120)은 서로 대응되는 프레임연결공(123)을 웨지핀이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가로연결대(210), 세로연결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연결대(210)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다.
가로연결대(210)는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의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거푸집(100)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연결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연결할 수도 있다.
가로연결대(210)는 측단면이 "ㄷ"자 형태인 찬넬(channel)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연결대(210)는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또는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연결대(210)에는 가로연결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가로연결공(21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로연결대(23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세로연결대(230)는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의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세로연결대(230)는 복수 개의 거푸집(100)의 측면에 위치한 테두리프레임(120)이 겹쳐지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세로연결대(230)도 가로연결대(210)와 마찬가지로 측단면이 "ㄷ"자 형태인 찬넬(channel)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연결대(230)는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의 세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또는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세로연결대(230)에는 세로연결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세로연결공(23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가로대체결구(220), 및 세로대체결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체결구(220)는 복수 개로 연결된 거푸집(100)과 가로연결대(2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가로대체결구(220)는 거푸집(100)의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와 가로연결대(21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가로대체결구(220)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체결되는 거더체결부(221)와 가로연결대(210)에 체결되는 가로대체결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거더체결부(221)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단부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쌍의 플레이트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일단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에서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체결공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거더체결부(221)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사이에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형태로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가로대체결구(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거더체결부(221)의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부근(143)이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체결부재에 상부근(143)이 걸리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가로대체결부(223)는 거더체결부(221)의 한 쌍의 플레이트가 연결된 부분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대체결부(223)는 가로연결대(210)의 가로연결공(211)에 관통하여 끼워지고 가로대체결부(223)에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공에 체결되어 가로연결대(210)가 체결부재에 걸리는 형태로 가로연결대(210)를 가로대체결부(223)에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거더체결부(221)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구현하였으며, 가로대체결부(223)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웨지핀으로 구현하였으나,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로대체결부(223)는 하나의 가로연결대(210)에 복수 개가 체결되어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과 가로연결대(210)를 연결할 수 있다.
세로대체결구(240)는 거푸집(100)과 세로연결대(230)를 연결할 수 있다.
세로대체결구(240)는 거푸집(100)에 결합되는 프레임체결부(241)와 세로연결대(230)에 결합되는 세로대체결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체결부(241)는 거푸집(100)에서 테두리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프레임체결부(241)는 한 쌍의 나란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의 일단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나란하게 플레이트의 사이로 서로 인접하여 겹쳐진 거푸집(100)의 테두리프레임(120)이 삽입되고, 플레이트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공과 테두리프레임(120)에 형성된 프레임연결공(123)을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하는 형태로 거푸집(100)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대체결부(243)는 프레임체결부(241)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연결된 부분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대체결부(243)에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세로대체결부(243)가 세로연결대(230)의 세로연결공(231)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공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세로연결대(230)가 체결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체결부(241)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구현하였으며, 세로대체결부(243)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웨지핀으로 구현하였으나,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로대체결부(223)는 하나의 세로연결대(230)에 복수 개가 체결되어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과 세로연결대(2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웨지핀에 의해 건축물을 시공할 면적만큼 웨지핀에 의해 연결한다.
그리고, 마감패널(110)이 위치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에는 세로연결대(230)와 가로연결대(210)를 세로대체결구(240)와 가로대체결구(220)를 통해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한다.
가로연결대(210)를 설치할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대연결구를 설치하고, 가로대연결구는 거더체결부(221)를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일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거더체결부(221)의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하며, 가로대체결부(223)를 가로연결대(210)의 가로연결공(211)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로연결대(210)에 형성된 가로연결공(211)에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그리고, 세로대체결구(240)는 프레임체결부(241)를 거푸집(100)의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120)의 부분에 체결부재를 체결하고, 세로대체결부(243)에 세로연결대(230)의 세로연결공(231)을 삽입한 후, 세로대체결부(243)의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결합하는 형태로 세로연결대(230)를 설치한다.
이때, 가로연결대(210)를 거푸집(100)에 가로대체결구(220)에 의해 먼저 체결한 뒤 세로연결대(230)를 가로연결대(210)의 상부에 겹친 상태에서 세로대체결구(240)를 통해 세로연결대(23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세로연결대(230)를 먼저 설치한 뒤 가로연결대(210)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복수 개의 거푸집(100)에 복수 개의 세로연결대(230)와 복수 개의 가로연결대(210)를 통해 조립하여 세운 뒤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플렛타이 등을 결합하여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실시예의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의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가로연결대(210)와 세로연결대(230)를 가로대체결구(220) 및 세로대체결구(240)를 통해 거푸집(100)에 연결함으로써, 가로연결대(210)와 세로연결대(23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가로연결대(210)를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의해 결합하여 마감패널(110)의 측압을 받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연결대(210)를 통해 분산시켜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부호의 설명]
100: 거푸집 110: 마감패널
120: 테두리프레임 121: 타이홈부
123: 연결공 130: 보강패널부
131: 보강테두리부 133: 홈삽입부
135: 무게감소공 140: 트러스거더 보강부
141: 바닥근 143: 상부근
145: 레티스근 150: 가로보강대
151: 보강절곡부
200: 거푸집 조립체 210: 가로연결대
211: 가로연결공 220: 가로대체결구
221: 거더체결부 223: 가로대체결부
230: 세로연결대 231: 세로연결공
240: 세로대체결구 241: 프레임체결부
243: 세로대체결부

Claims (11)

  1.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마감하는 마감패널,
    상기 마감패널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플렛타이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타이홈부가 형성된 테두리프레임,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마감패널에 가해지는 측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 및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이 겹쳐져 상기 마감패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홈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삭 또는 절단하여 형성하지 않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곡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보강패널부의 둘레에서 절곡하여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겹쳐지는 보강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에서 절곡형성된 상기 타이홈부의 둘레와 상기 보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일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둘레 가공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이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보강테두리부를 절개하여 상기 타이홈부가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에서 가로방향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강성을 보강하는 가로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는
    상기 보강패널부의 중앙 부분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보강패널부에 가해지는 측압을 전달받는 한 쌍의 바닥근,
    상기 한 쌍의 바닥근에 대해 상기 보강패널부가 위치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바닥근의 사이에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바닥근으로부터 측압을 전달받아 분산시키는 상부근, 및
    상기 한 쌍의 바닥근과 상기 상부근을 지그재그의 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근의 압력을 상기 상부근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키는 레티스근을 포함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가로보강대의 돌출되는 높이를 감소시키며,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가로보강대로 분산하도록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가로보강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된 보강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8. 제1항에 기재된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복수 개를 배열하여 조립한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로서,
    상기 복수 개의 거푸집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연결대,
    상기 복수 개의 가로연결대를 연결하는 세로연결대,
    상기 가로연결대와 상기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대체결구, 및
    상기 세로연결대와 상기 거푸집을 연결하는 세로대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체결구는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가로연결대를 통해 분산하도록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와 상기 가로연결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체결구는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의 일부에 끼워져 체결되는 거더체결부, 및
    상기 거더체결부에서 상기 가로연결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연결대에 체결되는 가로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체결구는
    상기 복수 개의 거푸집에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겹쳐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이 끼워져 체결되는 프레임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체결부에서 상기 세로연결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로연결대에 체결되는 세로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
PCT/KR2023/007603 2022-06-09 2023-06-02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WO20232391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339 2022-06-09
KR20220070339 2022-06-09
KR1020220085200A KR102522194B1 (ko) 2022-06-09 2022-07-11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KR10-2022-0085200 2022-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118A1 true WO2023239118A1 (ko) 2023-12-14

Family

ID=8594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7603 WO2023239118A1 (ko) 2022-06-09 2023-06-02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2194B1 (ko)
WO (1) WO2023239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194B1 (ko) * 2022-06-09 2023-04-14 이승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077A (ja) * 2001-01-15 2002-07-31 Takashi Saito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20070000560U (ko) * 2007-04-06 2007-05-15 주식회사 이피씨 면상발열체가 외장되어 있어 교체가 가능한 거푸집 패널
KR102266237B1 (ko) * 2020-03-09 2021-06-16 노상철 콘크리트 거푸집과 단관파이프의 고정용 클램프 조립체
KR20220029925A (ko) * 2020-09-02 2022-03-10 삼광선재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KR102522194B1 (ko) * 2022-06-09 2023-04-14 이승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077A (ja) * 2001-01-15 2002-07-31 Takashi Saito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20070000560U (ko) * 2007-04-06 2007-05-15 주식회사 이피씨 면상발열체가 외장되어 있어 교체가 가능한 거푸집 패널
KR102266237B1 (ko) * 2020-03-09 2021-06-16 노상철 콘크리트 거푸집과 단관파이프의 고정용 클램프 조립체
KR20220029925A (ko) * 2020-09-02 2022-03-10 삼광선재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KR102522194B1 (ko) * 2022-06-09 2023-04-14 이승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194B1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239118A1 (ko)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WO2011037304A1 (ko)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WO2021167415A1 (ko) 무 해체 구조용 보 거푸집
WO2021066294A1 (ko) 선조립 벽체 모듈을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WO2012044097A2 (ko) 교량용 바닥판 구조체
WO2016111458A1 (ko) 철골보 접합구조
WO2011108781A1 (ko) 상자형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자형 교량의 시공 방법
WO2009102119A1 (ko)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WO2010079872A1 (ko) 티형 강재를 이용한 합성보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WO2009148286A2 (ko)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개방형 스페이서
KR102001499B1 (ko)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WO2020122307A1 (ko)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145541A1 (ko)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WO2018143534A1 (ko) 거푸집 조립체
WO2016143979A1 (ko) 메가컬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1142534A2 (ko) 콘크리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WO2016093527A1 (ko) 건축용 데크패널
WO2010044601A2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WO2018026195A1 (ko) 적재용 팔레트
WO2023177115A1 (ko) 단열성능 향상 및 외벽마감재 시공을 위한 조적앵글시스템
WO2018110960A1 (ko) 모듈식 뼈대 복공체 및 이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가설물 제작방법
WO2012165669A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09084935A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WO2010018989A2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및 이를 이용한 중공슬래브용 유니트 패널
WO2021025309A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200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