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02119A1 -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 Google Patents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02119A1
WO2009102119A1 PCT/KR2009/000446 KR2009000446W WO2009102119A1 WO 2009102119 A1 WO2009102119 A1 WO 2009102119A1 KR 2009000446 W KR2009000446 W KR 2009000446W WO 2009102119 A1 WO2009102119 A1 WO 20091021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ridge
support
pillar
raising
hydraulic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4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Seoung Kyu Kim
Jong Min Kim
Dong In Kim
Che Su Kim
Original Assignee
Seoung Kyu Kim
Jong Min Kim
Dong In Kim
Che Su Kim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eoung Kyu Kim, Jong Min Kim, Dong In Kim, Che Su Kim filed Critical Seoung Kyu Kim
Publication of WO20091021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021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raising apparatus including an impression guide and a bridge raising method using the bridge rai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n impression guide which can prevent horizontal movement, fall and twist of a column during a bridge raising process. It relates to a bridge lifting device and a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bridge lifting device included.
  • bridges are high-rise structures made to cross rivers, lakes, straits, bays, canals, lowlands, or other traffic routes or structures.
  • the bridge is composed of an upper structure consisting of a slab and a mold (girder, girder) supporting the slab, and a lower structure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 a bridge device is located at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uperstructure and the undercarriage of the bridge, and the bridge device transmit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superstructure to the undercarriage and safely adapts to earthquakes, wind, temperature changes, and the like. It adapts to the load and absorb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is not transmitted directly to the bridge or the bridge, and has a buffer function.
  • the substructure is composed of an alternation that is a support of both sides of the superstructure (starting point) and an pier that is an intermediate support other than the alternation, a coping portion located in a lower portion of a normal superstructure, and a foundation slab located in the ground (or Foundation) and a pillar between the coping portion and the foundation slab.
  • the height of the bridge installed due to unexpected reasons, for example, to prevent the flooding of the bridge while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bank embankment (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the slab, the stabilizing device and the pillar part while maintaining the superstructure as it is for this purpose.
  • the coping portion is further formed by raising the upper plate (slab) of the bridge (the portion generated by raising the coping portion, that is, formed into a cross section of the coping portion by the raised height). ) Is mainly used.
  • a method of raising a bridge by cutting a portion of a bridge column of a conventional bridge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0580225, the vertical construction, horizontal member and the inclined material cross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he pier supporting lift lower hypothesis assembly ;
  • a plurality of hydraulic jack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lower support tent for lifting the pier, and supporting and lifting the pier;
  • a pier supporting pulling upper temporary vent which i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tersected vertic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ydraulic jack and assembled into a box shape;
  • the bridge upper structural support lift capable of vertically extending the pier pillar part of the bridge, which consists of a fixed steel rod vertically fixed betwee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lower temporary vent and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upper temporary v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lifting a superstructure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 the load capacity of the whole pulling bridge reduces significantly, and is usually Because the coping portion has a wider width and length than the column, the coping portion is increased in height and the aesthetic element is dropped, and the existing bridge device must be removed and reinstalled during the process, thereby causing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existing bridge. .
  •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re coupled and concrete is poured. Although the concrete takes time during curing, the height of the bridge is raised several times, so that the air becomes long.
  • Each of the upper and lower temporary vents must support the coping portion and 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static loads of the upper and lower temporary vents cause fatigue failure of the upper and lower temporary vents.
  •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an prevent the horizontal movement, fall and twist of the column in the raising process of the bridge, can increase the height of the bridge by the desired height,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work when the column is rai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raising device including an impression guide applicable to both a simple bridge and a continuous bridge, and a bridge raising method using the bridge lifting device.
  • Bridge lift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pression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ower support consisting of concrete;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ping portion of the bridge; Hydraulic jack; The bridge pulling device constituted by the impression guide surrounding the pillar of the bridge is configured.
  • the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bridg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hipping so as to expose the reinforcement of the pillar edge of the bridge, install a lower support around the pillar of the bridge, and install an upper support to support the coping portion of the bridge,
  • the bridges are raised by using the hydraulic jacks,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 the raised space of the pillars.
  • the auxiliary base is inserted to raise the force while distributing the force, and the raised height is increased by th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 the auxiliary hydraulic jack is installed again in the place where the original hydraulic jack is installed. Install the pedestal and hydraulic jack one by one to raise it to the desired height.
  • the auxiliary support is inserted through the working portion to increase safety.
  •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bridge piers included in the mold of one unit to facilitate the lifting of the simple bridge, and when the bridge to be applied is a continuous bridge, all the bridges are included in the bridge.
  • the above method is applied to the piers to simultaneously raise the continuous bridges.
  • the lower support is composed of concrete;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ping portion of the bridge; Hydraulic jack; A bridge raising device constituted by an impression guide surrounding the pillar of the bridge; Chipping the reinforcement of the pillar edge of the bridge to be exposed, install a lower support around the pillar of the bridge, install an upper support to support the coping portion of the bridge, install a plurality of hydraulic jacks on the lower support, and cut the pillar And, after installing the provided impression guide to the pillar, using the hydraulic jack to raise the bridge, reinforce the bar in the raised space of the column, joint, and install the formwork to wrap close to the cut pillar
  • the surface lifting method to finish the surfac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horizontal movement, fall and twisting of the column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bridge Has
  • the auxiliary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space additionally generated while raising the pillar, and the power is increased by the set height while dispersing the force. After raising th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after removing the hydraulic jack, the auxiliary support is returned to the place where the original hydraulic jack is installed. And by installing the hydraulic jack in sequence, it has the effect of raising to the desired height.
  •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bridge piers contained in the mold of one unit to facilitate the impression of the simple bridge, and when the bridge to be applied is a continuous bridge, all the bridges are included in the bridge.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lifting method applied to the continuous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rocess chart of the bridge lif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hip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bridge lif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suppor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pport, the hydraulic jack, the upper suppor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impression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is rai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are reinfor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0.
  •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is finis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for applying the bridge lif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imple bridge.
  • FIG. 14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raising method applied to a simple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ixed frame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ix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ridge lift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pression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support constituting a predetermined height;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oping portion of the bridge; In the bridge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upper support by installing the hydraulic jack on the lower support, the bridge wraps the pillar, forms a plurality of working parts penetrated along the sid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penetrated at the top or bottom The formed impression guide is further provided.
  • the lower support is made of concrete, and a fine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hydraulic jack on the seating portion.
  • the upper suppor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so as to be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piers, the upper support, the support for supporting in a horizontal form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hape of the coping portion, and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support Consists of a bracket
  • the bracket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support plate and a bending portion wrapped around the pillar
  • the impression guid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so as to be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piers, but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 a plurality of assembled plates ar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assembled plate to facilitate assembly of the impression guide and the upper support.
  •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bridg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pping process for cutting the reinforcing bar to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pillar;
  • the auxiliary bridge of steel plate, section steel, or screw jack is installed in the space generated during the raising of the bridge, and after the lifting according to th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the hydraulic jack is removed, and the position of the original hydraulic jack is
  • the auxiliary support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and the hydraulic jack is installed again on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ed auxiliary support, so that the additional height of the bridge can be raised to the desired height.
  • a fine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made of concrete, and in the supporting process, a lower support is installed around the pillar of the bridge, and an upper support is installed to support the coping portion between the coping portion and the pillar of the bridge.
  • a hydraulic jack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pport and the upper support, and a support process is provided in which a hydraulic jack is installed in a fall prevention device fixed to a fine seating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to facilitate the prevention and installation of the hydraulic jack.
  • the lower suppor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tool
  • the fall prevention too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cylinder-shaped space on the inside of the fixed plate integrally, and formed a recessed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 the fixing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enetrating fixing holes are formed, and the fall prevention tool is installed in the seating part using a locking member in the supporting process, and a hydraulic jack is installed in the fall prevention tool. To prevent the horizontal movement and fall of the hydraulic jack by the fall prevention tool.
  • the upper suppor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so as to be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piers, the upper support, the support for supporting in a horizontal form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hape of the coping portion, and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support Consists of a bracket
  • the bracket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support plate and the bending portion to be fixed to the pillar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integrally
  • the impression guid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so as to be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piers
  • a plurality of protruding assembling plate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penetrated are formed in the assembling plate.
  • the upper support is configured to assemble a supporting part at the side of the pier pillar, and the bracket Fixed to the pillar with a fixing member, and the support part is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Is assembled from the side of the lifting column piers, each matdae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in the fixing hole of the plate assembly, and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lifting guide and the upper support.
  • the formwork to be installed in the reinforcement and formwork installation process the form is wrapped around the pillars of the bridge closely, and forms a plurality of main outlets and through-outlet outlets protruding from the pipe along the upper, on the top of the formwork
  • the outlet of the formwork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cut portion of the upper column, in the concrete placing and curing process, the concrete is Is poured through the hopper, and the poured concrete is When discharged, cover the secondary outlet and pour concrete until it is discharged into the main outlet.
  • the lower support 10 is composed of a concrete of a square shape, the overall height is the height that can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ping portion 102 with the upper support 30 to be placed behind It consists of.
  • a fine seating portion 1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10, and a plurality of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1 for fixing the fall prevention tool 40 to be rearranged.
  • 10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lower base 10a and a rectangular pedestal 10b thereon for safety.
  • the lower stand 10a and the pedestal 10b may be manufactured and assembled, respectively,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blocks manufactured in advance in the factory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or in the field to meet the conditions of the bridge in the field. Can also be produced.
  • the upper support 30 is fixed to the pillar 101 to support the coping part 102 of the piers 100, and the upper support 30 While maintai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ne, the inner por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31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102 in a horizontal form, and a bracket 32 for fixing the support portion 31.
  • the support part 31 generally has a corresponding support part 31a for maintaining the bottom face in a horizontal form in response to the bottom shape of the coping part 102 and the corresponding support part. It consists of a plate-shaped cardboard board part 31b which supports 31a.
  • the corresponding support portion 31a has a wedge shape, and the corresponding support portion 31a has a shape steel, a frame, Consists of a pipe or the like.
  • the upper part of the corresponding support part 31a is made of a plate material 31a '(mainly a steel plate), and when the corresponding support part 31a is installed, the plate material 31a' is incli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ping part 102. Are matched to ensure that the force is transmitted evenly.
  • bracket 32 is to allow the support 31 to be fixed to the piers 100, the bending of the form of wrapping the column 10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shaped support plate 32b and the support plate 32b.
  • the part 32a is comprised integrally.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a ' are formed in the bending portion 32a, and the brackets 32 are attached to the pillars 101 by fixing members such as anchor bolts to the pillars 101 through the holes 32a'. It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32b and the bending portion 32a by applying a reinforcement plate between the reinforcement of the strength of the bracket (32).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without dismantling the existing bridge, the upper support 30, that is, the support 31 and the bracket 32, respectively, so as to be easy to assemble on the column 101 sid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 a fixing frame 33 for easily fixing the upper support 30 on the pier 100 is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ures 15 and 16, parallel to the vertical member (33a) It is formed of a plurality, it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33b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33a integrally configured.
  • At least one end of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33a is bent to facilitate restraint of the upper support 30,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33a is vertically folded, or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33a.
  • the hydraulic jack 20 as shown in Figures 4 and 9,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pport 10 and the upper support 30,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upper support 30 up the hydraulic pressure Ascends.
  • the hydraulic cylinder applied to the hydraulic jack 20 uses a log nut cylinder.
  • the fall prevention tool 40 for preventing the fall (fall) of the hydraulic jack 20 is further configured.
  • the fall prevention tool 40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42 having a cylinder-shaped space on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shaped fixing plate 41.
  • the opening part 42a which opens in width.
  • a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4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 to reinforce the strength
  • the fixing plate 4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41a) through.
  • the fall prevention tool 40 as described above is reces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10
  • the fixing hole 41a of the fixing plate 41 of the fall prevention tool 40 is aligned with the groove of the seating part 11, and the fixing hole 41a is installed on the seating part 11, Insert the locking member to install the fall prevention hole (40).
  • the hydraulic jack 20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42 of the fall prevention opening 40, the hydraulic hose inlet, the outlet of the hydraulic jack 20 is installed to face the trimming portion (42a), the conductive Preventing device 40 is to prevent the side movement and fall of the hydraulic jack 20.
  • impression guide 50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end of the pillar 101.
  • a plurality of working parts 51 penetrated to a certain area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impression guide 50,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52 penetrated along the lower or upper part of the impression guide 50 are formed.
  • the fixing hole 52 is preferably formed only in the fixed portion of the column 101, that is, the lower end or the upper one side.
  • the impression guide 50 is fixed to the column 101 through the fixing hole 52, and the height of the impression guide 50 is easily measured by attaching a ruler or a height measuring device to the side of the working part 51 of the impression guide 50. Do it.
  • the impression guide 5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in order to facilitate the assembly on the side of the pillar 101, and formed a plurality of assembling plates 53 protruding at the separated side edge,
  • the assembly plate 53 forms a penetrating fixing hole 53a.
  • the chipping step (S1) as shown in Figure 3, the step of exposing the reinforcement 103 by pecking at a certain height (constant upper and lower width)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ar 101 of the bridge 100 to raise the bridge to be.
  • the baseline and the height to be cu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ar 101 of the portion to be cut is displayed, and chipping (pecking) the concrete to have a certain height along the marked portion, but is embedded at the edge of the pillar 101.
  • the rebar 103 is chipped to a depth that is fully exposed.
  •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103 exposed by chipping is secured to some extent, which facilitates the jointing of the reinforcement 80 and 103 in a post process (there are various jointing methods, for example, Minimum length for assembly when connecting with rebar coupler).
  • the supporting step S2 is a step of installing the lower support 10, the hydraulic jack 20, and the upper support 30 in the pier 100.
  • the lower support 10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er 1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lower supporters 10 are installed around the pillars 101, and each lower supporter 10 is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pillars 101.
  • hydraulic jack 20 is installed in the fall prevention hole 40 installed in the recessed recessed recess 11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10). Hydraulic jack 20 is installed in plurality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 the upper support 30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ping part 102 and the pillar 101.
  • the bracket 32 is first fixed to the column 101 by a fixing member, and then the support part 31 is installed on the plate-shaped support plate 32b of the bracket 32.
  • the cardboard support part 31b of the support part 31 is installed above the installed support plate 32b, and a corresponding support part 31a is installed between the cardboard part 31b and the inclination of the coping part 102 to provide a coping part 102.
  • the non-flat bottom of the support is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support portion (31a).
  • the coping part 102 and the corresponding support part 31a are horizontally supported by the cardboard part 31b, and the cardboard part 31b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bracket 32. As shown in FIG.
  • the fixing of the upper support 30 is composed of at least two separate each support 31 and the bracket 32, it is not fitted to the pillar 101, it is to be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piers (100) .
  • Bracket 32 and the support part 31 are fixed by welding or bolting or bending each other, and fixing the support part 31 to the coping part 102 by using a fixing member from the support part 31 to the coping part 102.
  • Bracket 32 is also preferably fixed to the column 101 with a fixing member such as an anchor bolt.
  • the fixing frame 33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30 to the upper slab 300, fixed frame Along with (33) to be fixed with a fixing member such as an anchor bolt, so as to be caught in a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fixing frame (33).
  • the fixed frame 33 is fixed with a fixing member while the bent end spans the handrail 301 of the slab 3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 30. Fixed to the lower portion by a fixing member, to increase the restraint of the upper support (30).
  • the pillar cutting process S3 is a process of cutting the pillar 101 of the piers 100 along the center of the site
  • Exposed reinforcing bars 103 are all cut at the same height, and according to the cut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the concret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illar 101 is also cut to completely cut the pillar 101.
  • the cut side cross-section of the column 101 has a ' ⁇ ' shape.
  • the pulling guide installation step S4 is a step of fixing the prepared pulling guide 50 to the cut column 101 surface.
  • the impression guide 50 While assembling the impression guide 50 to the cutting surface of the pillar 101, while holding the divided impression guide 50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llar 101, it is conventional through the fixing hole 53a of the mounting plate 53
  • the impression guide 50 is installed on the column 101 by fixing with a fixing member such as a fixing bolt.
  • the type of bridge to be applied that is, simple bridge and continuous bridg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is different.
  • the chipping step (S1) to the impression guide installation step (S4) is performed on the piers 100 of one mold. To raise the bridge corresponding to the one mold.
  • the chipping step S1 to the impression guide installation step S4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on all the bridges 100 in the continuous bridge section.
  • the bridges are simultaneously pulled up.
  • the fluid is set to be supplied to the installed hydraulic jack 20, it is preferable to supply the hydraulic pressure simultaneously to the installed hydraulic jack 20, as mentioned earlier in the impression guide 50, the work of the impression guide 50 Part 51 is provided with a ruler or height measuring instrument (not shown separately in the drawing), so that the height can be measured.
  • the bridge raising step S5 is a step of raising the bridge by simultaneously supplying a fluid to the hydraulic jacks 20 provided in the bridges 100.
  • the upper support 30 is raised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jack 20, and simultaneously raises the cut upp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slab, mold), the coping part 102, and the pillar 101 of the bridge.
  • the bridge is raised as much as desired, and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bridge, the impression guide 50 installed on the pillar 101 prevents the fall (falling), twisting,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llar 101 completely. You can do it.
  • the auxiliary support 70 such as a steel plate, a steel (mainly H beam), and a screw jack 71 is placed in the space generated by the pulling. Install to increase safety.
  • the steel sheet is inserted to increase the safety, and if a sufficient height is secured enough to support the lifting steel, the prepared steel is inserted and supported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raised state.
  • the auxiliary support 70 When the auxiliary support 70 is inserted into the cut space of the pillar 101, the auxiliary support 70 is further installed through the working part 51 of the impression guide 50.
  • the screw jack 71 is applied as the auxiliary support (70).
  •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screw jack 71 first, by raising the height of about 5 cm higher than the screw jack 71 (usually 30 cm) to secure a space, and then install the screw jack 71, the original height again Lowering the hydraulic jack 20 of the furnace, to increase the safety, the impression height can be confirmed through a ruler or height meter installed in the impression guide (50).
  • the hydraulic jack 20 and the fall prevention device 40 are again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pedestal, and the steel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ydraulic jack 20 to be installed again is formed in the seating part 11 of the lower support 10.
  • a hole is formed and the fall prevention opening 40 is provided using this hole.
  • the fall prevention tool 40 is securely installed by fastening the locking member after matching the fixing hole and the hole.
  •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and formwork installation step (S6)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lifting guide 50 is removed in the raised state, and the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etween the reinforcement 103 in the vertical direction facing each other (80) are connected, and the strip reinforcing bars 81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reinforcement (80) and (103) joints are reinforced according to the strength design, and as the reinforcement (80) and (103) joint methods, butt welding, melting joints, bond line laps, weld laps, and rebar couplers are used.
  • the reinforcing bars 80 and 103 joints in the vertical direction use the reinforcing coupler 90 jointing method, and the band reinforcing bars 81 are preferably applied to the general binding line overlapping method.
  • the prepared form 60 is wrapped around the pillar 101 to cover the cut portion of the pillar 101, and is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Fix it with a pin so that the formwork 60 is stably installed.
  • the formwork 60 is for placing and curing the concrete 65 in the space that is cut by the pillar 101 as shown in Figure 11,
  • Formwork 60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lumn 101 to facilitate the work, the formwork 60 is also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wo to facilitate the assembly.
  • the formwork 6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main outlet (61a) and the auxiliary outlet (61b)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hopper 62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ormwork (60).
  • the formwork 60 is installed to cover all the cut space of the pillar 101, as shown in FIG. 11, the formwork 60 on the pillar 101 so that the portion of the hopper 62 is located upwa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outlet 61 is located at the cut boundary of the upper pillar 101.
  • Concrete pouring and curing process (S7) is a process of pouring the concrete (65) to the cut space of the pillar (101).
  • the concrete 65 (mortar and aggregate, etc.) is poured to fill the internal space of the cut column 101, while filling the space, each outlet 61 Through the internal air escapes through the method to completely fill the interior of the space with concrete (65), to fill all the cut and raised portion in the column 101 of each pier (100).
  • the fluidizing agent is included in the concrete 65 to be poured in the concrete pouring and curing step (S7).
  • the concrete 65 is poured using the hopper 62, but when the concrete is filled or overflowed by the pouring of the concrete 65 close to the auxiliary outlet (61b), blocking the auxiliary outlet (61b), and continuously pouring the concrete (65) When the concrete 65 flows backward to the main discharge port 61a, the pouring of the concrete 65 ends.
  • demoulding and finishing process (S8) after the concrete 65 is cured, removes the formwork 60 and the bridge lifting device, and after cutting the surface of the pillar 101 on which the concrete 65 is poured. This is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surface to smoothly lead to the existing pillar 101 surface.
  • both of the alternating bridges 200 are not applied to the above method, and as shown in FIG. 14, the space generated by the pulling of the bridge 100,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slab 300, the alternate 200. Further reinforcement between the tops.
  • This bridge pulling construction method the bridge by the lifting device to ensure that the bridge is safely and vertically pulled, 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top by the lower support 10 during the bridge lifting process is uniformly distributed.
  • the lower support 10 is made of concrete, deformation such as bending does not occur, so that the bridge can be safely supported during raising and curing of the bridge 65 and curing.
  • the upper support 30 is securely supported on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coping portion 102 of the bridge, so that even if raised by the hydraulic jack 20, the coping portion 102 and the bridge upper structure vertically lifted upwards. .
  • the impression guide 50 is fixed to the cut end of the pillar 101, so that the pillar 101 to be moved move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impression guide 50, even if eccentr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pulling process. Induce a vertical impression of the column 101.
  • the air inside the mold 60 is discharged by the discharge port 61 while pouring the concrete 65, the voids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inside the concrete 65 after pouring.
  •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horizontal movement, fall and twist of the column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bridge, when the bridge is a simple bridge to apply the above method to the piers included in the mold of one unit to facilitate the lifting of the simple bridge
  • the above method is applied to all bridge piers included in the bridge so that the continuous bridge can be simultaneously raised.

Abstract

본 발명은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하부지지대; 교량의 코핑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유압잭; 교량의 기둥을 감싸는 인상가이드로 구성하는 교량 인상 장치가 구성되어; 교량 기둥 가장자리의 철근이 드러나도록 치핑하며, 교량의 기둥 주변에 하부지지대를 설치하고, 교량의 코핑부가 지지되도록 상부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지지대에 유압잭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기둥을 절단하며, 상기 구비된 인상가이드를 기둥에 설치한 뒤에, 상기 유압잭을 이용하여 교량을 인상하되, 상기 기둥을 인상하면서 추가로 발생하는 공간, 즉, 상기 인상지지대와 상부지지대 사이 공간과, 상기 기둥의 절단된 기둥 공간에는 일정 높이로 인상할 때마다 보조받침대를 삽입하여 안전성을 높이면서 설정된 높이만큼 인상하고, 상기 기둥의 인상한 공간에 철근을 배근, 이음하며, 상기 절단된 기둥을 밀착하여 감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며, 상기 설치된 거푸집과 교량 인상 장치를 제거한 뒤에, 표면을 마감하여 완료하는 교량 인상 방법에 의해, 교량의 인상 과정에서 기둥의 수평 이동, 전도 및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본 발명은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교량의 인상 과정에서 기둥의 수평 이동, 전도 및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호소, 해협, 만,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그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교량은 크게 슬래브와 상기 슬래브를 지지하는 주형(거더, girder)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 상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하부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접점에는 교좌 장치가 위치하며, 상기 교좌장치는 상부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고 지진, 바람, 온도 변화 등에 안전하게 적응토록 하고, 또한, 교량하중에 적응하고 신축을 흡수하여, 교량의 변위를 교각이나 교대에 직접 전달하지 않게 하며, 완충기능을 가지는 장치이다.
상기 하부구조는 상기 상부구조의 양쪽에(시종점부)의 받침인 교대와 상기 교대 이외의 중간 받침인 교각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의 상부구조 하부에 위치하는 코핑부, 지반에 위치하는 기초 슬래브(또는 기초), 상기 코핑부와 기초 슬래브 사이의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교량은 공사를 통해 가설을 완료한 이후에, 교량 가설시 예상치 못한 이유, 예를 들어, 하천의 제방 높이를 높이면서 교량의 침수를 방지하는 등의 이유로 설치한 교량의 높이를 인상(상승)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상부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슬라브와 교좌 장치와 기둥 일부를 인상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교량을 인상하는 방법에는, 교량의 상판(슬래브)를 인상하면서, 상기 인상한 높이만큼 코핑부를 더 형성(인상하여 발생한 부분을 코핑부로 처리함, 즉, 인상한 높이만큼 코핑부의 단면으로 형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교량의 교각 기둥 일부 부분을 절단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80225호에서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및 경사재가 종횡으로 교차되어 박스형상으로 조립되는 교각지지인상 하부 가설벤트와; 상기 교각 지지인상 하부 가설벤트의 수평부재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며, 교각을 지지 인상시키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의 상부에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종횡으로 교차되어 박스형상으로 조립되는 교각 지지 인상 상부 가설벤트와; 상기 교각 지지인상 하부가설벤트의 수평부재와 교각 지지인상 상부 가설벤트의 수평부재 사이를 수직으로 고정연결시키는 고정강봉으로 구성되는 ‘교량의 교각기둥부분을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교량상부구조물 지지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80225호에서는, 상기 지지인상장치를 이용하여, 절단된 기둥 상부를 일정 높이씩 여러 번에 걸쳐 인상하되, 유압잭을 통한 인상, 철근 보강,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의 과정을 다수회 반복하여, 교량을 목표 높이로 인상하는 ‘교량의 교각기둥부분을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교량상부구조물 지지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부구조물승상방법’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코핑부를 인상하고, 인상한 높이만큼 코핑부를 형성하는 교량의 인상 방법은, 상기 추가로 발생한 코핑부에 의해, 더 많은 하중이 기둥에 전달되므로, 인상 교량 전체의 내하력이 대폭 감소하고, 대개 코핑부는 기둥보다 넓은 폭과 길이를 가지므로, 코핑부의 높이가 증가되어 심미적인 요소가 떨어지고, 상기 과정 중에 기존 교좌 장치는 철거해서 재설치해야 하므로, 이로 인한 기존 교량의 훼손과 변형에 따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80225호의, ‘교량의 교각기둥부분을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교량상부구조물 지지인상장치’는, 상기 교각 지지인상 하부 가설벤트와 교각 지지인상 상부 가설 벤트가, 수직부재, 수평부재, 경사재 등을 종횡으로 짜서, 휨·전단력에 대응하고 있지만, 그 제조과정은 용접이나 볼트 이음으로 이어지므로, 상기 각 상·하부 가설 벤트의 용접이 불량할 경우에는 교량 인상과정에서 불량한 부분의 파괴가 발생할 우려가 컸다.
아울러, 상기 기둥의 절단 후에는 상하부의 철근을 커플링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콘크리트가 양생하는 동안에도 적지 않은 시간이 발생하지만, 교량 인상 높이를 여러 번에 걸쳐서 인상하게 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상기 각 상·하부 가설 벤트가 교량의 코핑부와 상부구조를 지지하여야 하는데, 그 지지하는 정하중에 의해 상·하부 가설 벤트의 피로 파괴를 야기한다.
그리고 상기 교량의 하중에 의해, 하부 가설 벤트의 일부 휨이 발생하게 되면, 교량인상과정에서 교량이 수직으로 교량이 인상되지 않으므로, 절단된 부분의 철근을 수직으로 커플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가 수평이 유지되지 못하는 가능성이 야기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인상 과정에서 기둥의 수평 이동, 전도 및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원하는 높이 만큼 교량의 높이를 높일 수 있으며, 기둥 인상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단순교 및 연속교 모두에 적용 가능한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는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하부지지대; 교량의 코핑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유압잭; 교량의 기둥을 감싸는 인상가이드로 구성하는 교량 인상 장치가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은 교량의 기둥 가장자리의 철근이 드러나도록 치핑하고, 교량의 기둥 주변에 하부지지대를 설치하고, 교량의 코핑부가 지지되도록 상부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지지대에 유압잭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기둥을 절단하며, 상기 구비된 인상가이드를 기둥에 설치한 뒤에, 상기 유압잭을 이용하여 교량을 인상하며, 상기 기둥의 인상한 공간에 철근을 배근, 이음하고, 상기 절단된 기둥을 밀착하여 감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며, 상기 설치된 거푸집과 교량 인상 장치를 제거한 뒤에, 표면을 마감하여 완료한다.
또한, 상기 기둥을 인상하면서 추가로 발생하는 공간에는 보조받침대를 삽입하여 힘을 분산하면서 설정된 높이만큼 인상하고, 유압잭의 행정만큼 올린 다음에는, 유압잭을 제거한 후에, 원래 유압잭이 설치한 자리에 다시 보조받침대와 유압잭을 순차로 설치하여, 원하는 만큼의 높이로 인상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상지지대 측면에는 관통된 작업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기둥을 인상하면서, 상기 작업부를 통해 보조받침대를 삽입하여,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적용하는 교량이 단순교인 경우에는, 한 단위의 주형에 포함된 교각에 상기 공법을 적용하여, 단순교의 인상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적용하는 교량이 연속교인 경우에는, 교량에 포함된 모든 교각에 상기 공법을 적용하여, 연속교를 동시에 인상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에 따르면,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하부지지대; 교량의 코핑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유압잭; 교량의 기둥을 감싸는 인상가이드로 구성하는 교량 인상 장치가 구성되어; 교량의 기둥 가장자리의 철근이 드러나도록 치핑하며, 교량의 기둥 주변에 하부지지대를 설치하고, 교량의 코핑부가 지지되도록 상부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지지대에 유압잭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기둥을 절단하며, 상기 구비된 인상가이드를 기둥에 설치한 뒤에, 상기 유압잭을 이용하여 교량을 인상하며, 상기 기둥의 인상한 공간에 철근을 배근, 이음하며, 상기 절단된 기둥을 밀착하여 감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며, 상기 설치된 거푸집과 교량 인상 장치를 제거한 뒤에, 표면을 마감하여 완료하는 교량 인상 방법에 의해, 교량의 인상 과정에서 기둥의 수평 이동, 전도 및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기둥을 인상하면서 추가로 발생하는 공간에는 보조받침대를 삽입하여 힘을 분산하면서 설정된 높이만큼 인상하고, 유압잭의 행정만큼 올린 다음에는, 유압잭을 제거한 후에, 원래 유압잭이 설치한 자리에 다시 보조받침대와 유압잭을 순차로 설치하여, 원하는 만큼의 높이로 인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인상지지대 측면에는 관통된 작업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기둥을 인상하면서, 상기 작업부를 통해 보조받침대를 삽입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적용하는 교량이 단순교인 경우에는, 한 단위의 주형에 포함된 교각에 상기 공법을 적용하여, 단순교의 인상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적용하는 교량이 연속교인 경우에는, 교량에 포함된 모든 교각에 상기 공법을 적용하여, 연속교를 동시에 인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인상 공법을 연속교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인상 공법의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인상 공법에 따른 치핑 공정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부지지대와 유압잭의 설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부지지도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부지지대, 유압잭, 상부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상가이드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교량을 인상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철근을 이음하고, 배근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표면을 마감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인상 공법을 단순교에 적용하기 위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인상 공법을 단순교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고정프레임을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고정프레임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는 일정 높이로 구성하는 하부지지대; 교량의 코핑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하부지지대에 유압잭이 설치되어 상부지지대를 인상하는 교량 인상 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기둥을 감싸는 형태이고, 측면을 따라 관통된 작업부를 다수개 형성하며, 상단 또는 하단에 관통된 고정공을 다수개 형성한 인상가이드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콘크리트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는 파인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유압잭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대는 교각의 측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대는, 코핑부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지지·고정하는 브라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은, 판형의 지지판과 기둥에 감싸 고정되는 밴딩부로 구성하며, 상기 인상가이드는, 교각의 측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하되, 맞대는 측면에는 돌출된 조립판을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조립판에는 관통된 고정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인상가이드와 상부지지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은 교량 기둥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철근이 드러나도록 쪼아내는 치핑 공정; 교량의 기둥 주위에 하부지지대 설치하고, 교량의 코핑부와 기둥 사이에 코핑부가 지지되도록 상부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는 지지 공정; 상기 기둥의 치핑된 중앙을 따라 기둥을 절단하는 기둥 절단 공정; 상기 인상가이드를 절단된 기둥에 설치하되, 인상가이드의 하단과 상단 중 한쪽만을 기둥에 고정하는 인상가이드 설치 공정; 상기 설치된 유압잭으로 동시에 유압을 공급하여 교량의 절단된 상부 부분을 인상하는 교량 인상 공정; 상기 기둥의 절단된 부분의 철근을 잇고, 띠철근을 수평 배근하며, 상기 기둥의 절단·인상한 공간을 덮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정; 상기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 상기 설치된 거푸집과 장치를 제거하고, 표면을 다듬고 마감하는 탈형 및 마감 공정으로 완료되어, 교량의 수직 인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교량 인상 공정에서는 상기 교량을 인상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에는 강판, 형강, 또는, 스크류잭의 보조받침대를 설치하며, 상기 유압잭의 행정에 따른 인상 후에는, 유압잭을 제거하고, 본래 유압잭의 위치에 보조받침대를 설치하며, 설치한 보조받침대의 상부에 다시 유압잭의 설치하여, 추가로 교량을 인상하는 방법을 통해, 교량을 원하는 높이로 인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로 구성된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는 파인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 공정에서는, 교량의 기둥 주위에 하부지지대를 설치하고, 교량의 코핑부와 기둥 사이에 코핑부가 지지 되도록 상부 지지대를 설치하며, 이들 하부지지대와 상부 지지대 사이에는 유압잭을 설치하되, 상기 하부 지지대 상부의 파인 안착부에 고정된 전도방지구 내에 유압잭이 설치되는 지지공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압잭의 전도 방지와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에는 전도방지구를 더 설치하되, 상기 전도방지구는, 고정판 상부에 내부에 실린더 형태의 공간을 형성한 수용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 측면에 일정 폭으로 트인 트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에는 관통된 고정공을 다수개 형성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 공정에서 상기 전도방지구를 걸림부재를 사용하여 안착부에 설치하고, 상기 전도방지구에 유압잭이 설치되어, 상기 전도방지구에 의해 유압잭의 수평이동 및 전도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대는 교각의 측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대는, 코핑부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지지·고정하는 브라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은, 판형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저면에 기둥에 감싸 고정되는 밴딩부가 일체로 구성하며, 상기 인상가이드는, 교각의 측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하되, 맞대는 측면에는 돌출된 조립판을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조립판에는 관통된 고정공을 다수개 형성되어,상기 지지 공정에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교각 기둥 측면에서 지지부를 조립하여, 브라켓을 고정부재로 기둥에 고정하고, 브라켓 상부에 지지부를 조립·설치하며, 상기 인상가이드 설치 공정에서, 상기 인상가이드는 교각의 기둥 측면에서 조립되어, 각 맞대는 조립판의 고정공에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설치되어, 상기 인상가이드와 상부지지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정에서 설치하는 거푸집은,상기 교량의 기둥을 감싸 밀착하는 형태이고, 파이프로 돌출된 주배출구와 관통된 보조배출구를 상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거푸집 상단에 호퍼를 구성하며, 상기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정에서, 상기 거푸집의 설치시, 거푸집의 배출구의 위치가 상부 쪽 기둥의 절단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에서, 상기 콘크리트은 상기 호퍼를 통하여 타설되되, 타설된 콘크리트가 보조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면 보조배출구를 막고, 주배출구로 콘크리트가 배출될 때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인상 장치는, 하부지지대(10), 상부지지대(30), 유압잭(20), 인상가이드(50)로 구성되며, 이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지지대(1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것으로, 그 전체 높이는 후설하는 상부지지대(30)와 함께 코핑부(10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상부에는 파인 안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에는 후설하는 전도방지구(40)의 고정을 위해서 일정 깊이의 홈을 다수개 형성되며, 하부지지대(10)는 안전성을 위해 판형의 하부대(10a)와 그 상부에 사각형태의 받침대(10b)로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거푸집(60)에 골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65)를 타설하여, 진동 등에 의한 다짐 후에, 충분히 양생하고, 콘크리트(65)가 충분히 양생한 뒤에는 거푸집(60)을 제거하여 표면을 다듬어 하부지지대(10)가 완성한다.
이때, 하부대(10a)와 받침대(10b)를 각각 제작하여 조립하여도 무방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블록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현장에서 교량의 조건에 맞추어 현장 맞춤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부지지대(30)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101)에 고정되어 교각(100)의 코핑부(102)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지지대(30)의 저면은 수평면을 가지도록 유지하되, 내측 부분은 코핑부(102)의 저면을 수평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를 고정하는 브라켓(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1)는 통상 코핑부(102)의 저면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코핑부(102)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저면을 수평 형태로 유지해주는 대응지지부(31a)와, 상기 대응지지부(31a)를 받치는 판형의 판지지부(31b)로 구성된다.
한편, 통상 코핑부(102)의 저면은 기울기를 가지게 되므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응지지부(31a)는, 쐐기 형태를 가지게 되며, 또한 상기 대응지지부(31a)는 형강, 프레임, 파이프 등으로 짜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응지지부(31a)의 상부는 판재(31a′)(주로 강판)로 구성하여, 상기 대응지지부(31a)의 설치시, 상기 판재(31a′)가 코핑부(102)의 저면과 기울기가 일치되게 맞대어, 힘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32)은 상기 지지부(31)가 교각(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판형의 지지판(32b)과 상기 지지판(32b)의 하부에 기둥(101)을 감싸는 형태의 밴딩부(32a)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밴딩부(32a)에는 다수개의 관통된 홀(32a′)이 형성되어, 상기 홀(32a′)을 통해 기둥(101)에 앵커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기둥(101)에 브라켓(32)을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32b)과 상기 밴딩부(32a)에는 사이에는 보강판을 덧대어 브라켓(32)의 강도를 보강한다.
덧붙여,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교량을 해체하지 않고 시공하게 되므로, 상기 상부지지대(30), 즉, 지지부(31)와 브라켓(32)은, 각각 기둥(101) 측면에서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지지대(30)를 교각(100) 상부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33)이 더 구비되는데, 이는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재(33a)를 평행하게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재(33a) 사이에 이와 직각방향(수평방향)인 다수개의 수평부재(33b)를 일체로 구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부재(33a)의 상단 또는 하단중 적어도 일단은 꺾임을 주어 상부지지대(30)의 구속을 용이하게 하는데, 수직부재(33a)의 하단을 수직으로 꺾거나, 또는 수직부재(33a)의 상단을 슬라브(300)의 양쪽 난간(301) 단면 형상으로 꺾음으로써, 고정프레임(33)을 이용하여 상부지지대(30)를 슬라브(300)의 난간(301)에 더욱 견고히 조립하여 구속되게 한다.
그리고 유압잭(20)은, 도4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대(10)와 상부지지대(30)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을 공급받아 유압의 힘으로 상부지지대(30)를 위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과 같이 상기 유압잭(20)에 적용하는 유압실린더는 로그너트 실린더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유압잭(20)의 전도(넘어짐)를 방지하기 위한 전도방지구(40)를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전도방지구(40)를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판형의 고정판(41) 상부에 실린더 형태의 공간을 가지는 수용부(42)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수용부(42) 측면에는 일정 폭으로 트인 트임부(42a)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42) 측면에는 다수개의 보강판을 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하며, 상기 고정판(41)에는 관통된 고정공(41a)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전도방지구(40)는 상기 하부지지대(10) 상부의 오목하게 파인 안착부 (11)에 설치하되, 상기 전도방지구(40)의 고정판(41)의 고정공(41a)을 안착부(11)의 홈과 일치시켜, 고정공(41a)에 볼트나 꺾쇠와 같은 걸림부재를 끼워넣어 전도방지구(40)를 설치한다.
따라서, 유압잭(20)은 전도방지구(40)의 수용부(42)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유압잭(20)의 유압 호스 입구, 출구는 상기 트임부(42a)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도방지구(40)에 의해 유압잭(20)의 측면 이동과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인상가이드(50)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101) 단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인상가이드(50) 측면에는 일정 면적으로 관통된 작업부(51)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인상가이드(50) 하부 또는 상부를 따라 관통된 고정공(5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52)은 기둥(101)의 고정되는 부분 즉, 하단 또는 상단 한쪽에만 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공(52)을 통해 인상가이드(50)를 기둥(101)에 고정하고, 상기 인상가이드(50)의 작업부(51)의 측면에는 자나 높이측정기를 달아 인상된 높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상가이드(50)는 기둥(101) 측면에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2개로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분리된 측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된 각각 조립판(53)을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조립판(53)에는 관통된 고정공(53a)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부지지대(10), 상부지지대(30), 유압잭(20), 인상가이드(50)로 구성하는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해 교량를 인상하는 방법에 대해 도2의 공정도에 따라 순차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핑 공정(S1)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을 인상하는 교각(100)의 기둥(101)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일정한 상하 폭)로 쪼아서 철근(103)을 드러내는 공정이다.
이때, 절단할 부분의 기둥(101)의 원둘레를 따라 절단해낼 기준선과 높이를 표시하고, 그 표시된 일부를 따라 콘크리트를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치핑(쪼으기)하되, 기둥(101) 가장자리에 매입된 철근(103)이 온전히 드러날 정도의 깊이로 치핑을 한다.
또한, 치핑으로 드러나는 철근(103)은 어느 정도 높이가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 공정에서 철근(80)(103)의 이음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다양한 이음 방법이 있겠지만, 예를 들어, 철근 커플러를 이용하여 연결할 경우 조립을 위한 최소 길이 확보).
지지 공정(S2)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각(100)에 하부지지대(10), 유압잭(20), 상부지지대(30)를 설치하는 공정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부지지대(10)를 설치한다. 이때, 적어도 상기 기둥(101) 둘레에 2개소에 하부지지대(10)를 설치하고, 각 하부지지대(10)는 기둥(101) 둘레에 대해 같은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지지대(10) 상부의 오목하게 파인 안착부(11)에 설치한 전도방지구(40)에 유압잭(20)을 설치한다. 유압잭(20)은 하중을 고려하여 다수개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부지지대(30)를 코핑부(102)와 기둥(101)의 경계에 설치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브라켓(32)을 고정부재로 기둥(101)에 고정시킨 후, 브라켓(32)의 판형 지지판(32b) 상부로, 지지부(31)를 설치한다.
상기 설치된 지지판(32b) 상부로 지지부(31)의 판지지부(31b)가 설치되고, 판지지부(31b)와 코핑부(102)의 기울기 사이에는 대응지지부(31a)를 설치하여 코핑부(102)의 평평하지 않는 저면이 대응지지부(31a)에 의해 받쳐지도록 한다.
따라서, 코핑부(102)와 대응지지부(31a)는 판지지부(31b)에 의해 수평하게 지지되며, 상기 판지지부(31b)는 브라켓(32)에 의해 지지·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대(30)의 고정은 상기 각 지지부(31)와 브라켓(32)이 적어도 두 개로 분리 구성되므로, 기둥(101)으로 끼움되는 것이 아니라,교각(100)의 측면에서 조립되는 것이다.,
브라켓(32)과 지지부(31)는 서로 용접 또는 볼팅 또는 밴딩하여 고정하고, 지지부(31)에서 코핑부(102)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지지부(31)를 코핑부(102)에 고정하며, 브라켓(32)도 앵커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기둥(101)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대(30)의 고정 후에는,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3)을 상부지지대(30) 하부에서 슬라브(300) 상부까지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고정프레임(33)을 따라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상기 고정프레임(33)의 일단의 꺾임이 있는 위치에 걸리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15의 확대부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33)은 상기 꺽임 단부가 슬라브(300)의 난간(301)에 걸치면서 고정부재로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부지지대(30)의 하부에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상부지지대(30)의 구속력을 높이도록 한다.
기둥 절단 공정(S3)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치핑 공정(S1)에 치핑된 부위의 중앙을 따라 교각(100)의 기둥(101)을 절단하는 공정이다.
드러난 철근(103)은 모두 같은 높이에서 절단하고, 중앙 부분의 절단된 높이에 따라 기둥(101) 중앙 부분의 콘크리트도 절단하여 기둥(101)을 완전히 절단한다.
이때, 교량의 상부 하중은 상부지지대(30)와 하부지지대(10)가 지지하게 되며, 상기 기둥(101)의 절단된 측단면은 ‘┠┨’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인상가이드 설치 공정(S4)은,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인상가이드(50)를 상기 절단한 기둥(101)면에 고정하는 공정이다.
인상가이드(50)를 기둥(101)의 절단 면에 조립하되, 나눠진 인상가이드(50)를 기둥(101)면에 밀착하면서, 맞대는 조립판(53)의 고정공(53a)을 통하여 통상적인 고정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인상가이드(50)를 기둥(101)에 설치한다.
인상가이드(50)의 고정공(53a)에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인상가이드(50) 하부나 상단 중 어느 일단은 고정되고, 고정된 반대편은 구속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치핑 공정(S1)으로부터 인상가이드 설치 공정(S4)에 이르기까지는, 인상하고자 하는 교량의 구간에 해당하는 교각(100)에 실시하며, 적용하는 교량의 종류, 즉, 단순교와 연속교에 따라 그 시공방법이 상이하다.
먼저,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간 사이의 주형이 분리된 단순교의 경우에는, 하나의 주형이 가지는 교각(100)에 상기 치핑 공정(S1)부터 인상가이드 설치 공정(S4)을 실시하여, 상기 하나의 주형에 해당하는 교량을 인상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형이 연속된 형태를 보이는 연속교의 경우에는, 연속되는 교량구간의 모든 교각(100)에, 상기 치핑 공정(S1)부터 인상가이드 설치 공정(S4)을 동시에 실시하여, 상기 교량을 동시에 인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설치된 유압잭(20)으로 유체가 공급되도록 설정하되, 상기 설치한 유압잭(20)으로 동시에 유압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인상가이드(50)에 언급하였듯이, 인상가이드(50)의 작업부(51)에는 자나 높이측정기(도면상 별도 표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인상되는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교량 인상 공정(S5)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교각(100)에 설치한 유압잭(20)에 유체를 동시에 공급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공정이다.
유압잭(20)의 유압에 의해 상부지지대(30)가 상승하며, 교량의 상부구조(슬라브, 주형), 코핑부(102), 기둥(101)의 절단된 상부 부분을 동시에 인상시킨다.
이러한 공정으로 원하는 만큼 교량을 인상하며, 상기 교량이 인상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기둥(101)에 설치된 인상가이드(50)에 의해, 기둥(101)의 전도(넘어짐), 비틀림, 수평 이동 등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교량 인상 공정(S5)에서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상으로 발생하는 공간에 강판, 형강(주로 H빔), 스크류잭(71)과 같은 보조받침대(70)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다.
교량 인상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상 공간으로는, 상기 상부지지대(30)와 하부지지대(10) 사이 공간과, 기둥(101)의 절단한 공간이 있다.
상기한 공간들의 높이가 얼마 되지 않을 때에는 강판을 삽입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인상 공간이 형강을 받칠 정도의 충분한 높이가 확보되면 준비된 형강을 삽입하여 받침으로써 인상된 상태의 안정성을 유지시킨다.
상기 기둥(101)의 절단한 공간으로 보조받침대(70)를 삽입할 경우에는 인상가이드(50)의 작업부(51)를 통해 보조받침대(70)를 더 설치한다.
한편, 상기 인상 높이가 적정 높이가 되는 경우에는, 보조받침대(70)로서 스크류잭(71)을 적용한다.
상기 스크류잭(71)의 설치 방법은, 먼저, 스크류잭(71)(보통 30㎝)보다 5㎝ 정도의 높이를 더 높여 공간을 확보한 뒤에 상기 스크류잭(71)을 설치하고, 다시 원래 높이로의 유압잭(20)을 하강하여,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상기 인상 높이는 인상가이드(50)에 설치된 자나 높이측정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도 9 및 10에서와 같이 상기 인상하는 높이가 유압잭(20)의 행정(스트로크)보다 높을 경우(클 경우)에는, 상기 스크류잭(71)의 설치 한 후, 이미 설치하였던 유압잭(20)과 전도방지구(40)를 제거하고, 유압잭(20)을 설치하였던 곳에 보조받침대(70)(주로 형강)을 설치한다.
그리고, 보조 받침대 상부에 다시 유압잭(20)과 전도방지구(40)를 설치하고, 상기 다시 설치되는 유압잭(20)의 하부에 설치하는 형강에는 하부지지대(10)의 안착부(11)에 형성된 홈과 마찬가지로, 홀(구멍)을 형성하여 이 홀을 이용해 상기 전도방지구(40)를 설치한다. 전도방지구(40)는 고정공과 홀을 일치시킨 후 걸림부재를 체결하여 안전하게 설치한다.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정(S6)은, 도9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상된 상태에서 인상가이드(50)를 제거하고, 서로 마주한 수직 방향의 철근(103) 사이에 보강하는 철근(80)을 잇고, 수평 방향으로 띠철근(81)을 배근한다.
참고로, 철근(80)(103) 이음은 강도 설계에 맞추어 배근하며, 상기 철근(80)(103) 이음 방법으로는, 맞댐 용접, 용융 이음, 결속선 겹이음, 용접겹이음, 철근커플러 이용 이음 등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의 철근(80)(103) 이음은 철근커플러(90) 이음 방법을 사용하며, 띠철근(81)은 일반적인 결속선 겹이음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철근(80)(103)의 이음, 배근 뒤에는, 준비된 거푸집(60)을 기둥(101)에 둘러 기둥(101)의 절단 부분을 감싸 밀착되게 설치하고, 추가로, 거푸집(60) 하단부를 핀으로 고정하여 거푸집(60)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거푸집(60)은 도 11에서와 같이 기둥(101)이 절단되어 인상된 공간에 콘크리트(65) 타설 및 양생을 위한 것으로,
거푸집(60)은 작업이 용이하도록 기둥(101) 단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푸집(60) 또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 정도로 분리되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60)의 상단에는 관통된 배출구(61)를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61)는 파이프로 돌출된 주배출구(61a)와 상기 주배출구(61a)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지름의 보조배출구(61b)로 구성된다.
또한, 거푸집(60)은 상단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주배출구(61a)와 보조배출구(61b)를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60) 상단에는 내부로 이어지는 호퍼(62)를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60)을 기둥(101)의 절단된 공간이 모두 덮이도록 설치하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62) 부분이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기둥(101)에 거푸집(60)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61)의 위치가 상부 쪽 기둥(101)의 절단된 경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S7)은, 상기 기둥(101)의 절단된 공간으로 콘크리트(65)를 타설하는 공정이다.
상기 설치한 거푸집(60)의 호퍼(62)를 통하여 콘크리트(65)(모르타르와 골재 등)를 타설하여 절단된 기둥(101)의 내부 공간을 메우되, 상기 공간을 메우면서 각 배출구(61)를 통해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 공간 내부를 콘크리트(65)로 완전히 메우는 방법으로, 각 교각(100)의 기둥(101)에 절단·인상된 부분을 모두 메우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65)를 타설하면서 외부에서 진동을 주어 콘크리트(65) 다짐을 실시하며, 상기 콘크리트(65) 타설 후에는 시간을 두어 충분히 양생한다.
참고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S7)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65)에는, 유동화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65)를 타설하기 전에, 기둥(101)의 절단된 내부 단면에는 통상의 신구콘크리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65)는 호퍼(62)를 이용하여 타설하되, 콘크리트(65)의 타설로 콘크리트가 보조배출구(61b) 가까이 차거나 넘치면, 보조배출구(61b)를 막고, 지속적으로 콘크리트(65)를 타설하여 주배출구(61a)로 콘크리트(65)가 역류하여 배출되면 콘크리트(65)의 타설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콘크리트(65)를 타설함으로써 기포 모임이나 진공 상태(air bag)를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도록 하여, 타설된 콘크리트(65)의 공극의 발생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탈형 및 마감 공정(S8)은, 상기 콘크리트(65)가 양생한 후에 거푸집(60)과 교량 인상 장치 등을 제거하고, 절단된 후 콘크리트(65)가 타설된 기둥(101)의 표면을 기존 기둥(101) 표면과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표면을 정리하는 공정이다.
상기 공정에 의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둥(101)의 절단·인상된 공간에 타설·양생된 콘크리트(65)에 의해 인상된 기둥(101)을 보여 주고 있다.
추가로, 상기 교량 기둥(101)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수하도록 하며, 이렇게 각 교량의 기둥(101) 표면을 정리하면, 한번에 시공하는 교각(100)에 대한 인상 시공은 완료된다.
참고로, 교량의 양쪽 교대(200)는, 상기 공법을 적용하지 않고,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각(100)의 인상으로 발생한 공간, 즉, 슬라브(300) 하부, 교대(200) 상부 사이를 추가로 보강한다.
이러한 교량 인상 시공 방법은, 상기 교량 인상 장치에 의해 교량이 안전하면서도 수직하게 인상되도록 하며, 교량 인상 과정 중에 하부지지대(10)에 의해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10)가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굽힘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교량 인상 및 콘크리트(65)의 타설과 양생하는 동안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지지대(30)는 교량의 코핑부(102)의 저면과 측면이 안전하게 지지되어, 유압잭(20)에 의해 상승하여도, 코핑부(102)와 교량 상부구조를 상부로 수직 인상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인상가이드(50)는 기둥(101)의 절단된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인상하는 기둥(101)이 인상가이드(50) 내측을 따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인상하는 과정에 편심 압력이 주어지더라도 기둥(101)의 수직 인상을 유도한다.
따라서 인상 후에도 철근(80)(103) 위치의 수평 이동과 전도 및 비틀림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철근(80)(103)의 상·하 이음이 용이하고, 이음된 철근(80)(103)의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푸집(60)은, 콘크리트(65)를 타설하면서 배출구(61)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므로, 타설 뒤에도 콘크리트(65) 내부에 공극이 발생을 방지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교량의 인상 과정에서 기둥의 수평 이동, 전도 및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이 단순교인 경우에는 한 단위의 주형에 포함된 교각에 상기 공법을 적용하여 단순교의 인상을 용이하게 하며, 교량이 연속교인 경우에는 교량에 포함된 모든 교각에 상기 공법을 적용하여, 연속교를 동시에 인상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9)

  1. 일정 높이로 구성하는 하부지지대(10);
    교량의 코핑부(102)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30);
    상기 하부지지대(10)에 유압잭(20)이 설치되어 상부지지대(30)를 인상하는 교량 인상 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기둥(101)을 감싸는 형태이고, 측면을 따라 관통된 작업부(51)를 다수개 형성하며, 상단 또는 하단에 관통된 고정공(52)을 다수개 형성한 인상가이드(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10)는 콘크리트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상부에는 파인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유압잭의 설치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30)는 교각(100)의 측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대(30)는, 코핑부(102)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를 지지·고정하는 브라켓(32)으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32)은, 판형의 지지판(32b)과 기둥(101)에 감싸 고정되는 밴딩부(32a)로 구성하며,
    상기 인상가이드(50)는, 교각(100)의 측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하되, 맞대는 측면에는 돌출된 조립판(53)을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조립판(53)에는 관통된 고정공(53a)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인상가이드와 상부지지대의 조립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4. 청구항 1에 해당하는 교량 인상 장치가 구비되어;
    교량 기둥(101)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철근(103)이 드러나도록 쪼아내는 치핑 공정(S1);
    교량의 기둥(101) 주위에 하부지지대(10) 설치하고, 교량의 코핑부(102)와 기둥(101) 사이에 코핑부(102)가 지지되도록 상부지지대(30)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지지대(10)와 상부지지대(30) 사이에 유압잭(20)을 설치하는 지지 공정(S2);
    상기 기둥(101)의 치핑된 중앙을 따라 기둥(101)을 절단하는 기둥 절단 공정(S3);
    상기 인상가이드(50)를 절단된 기둥(101)에 설치하되, 인상가이드(50)의 하단과 상단 중 한쪽만을 기둥(101)에 고정하는 인상가이드 설치 공정(S4);
    상기 설치된 유압잭(20)으로 동시에 유압을 공급하여 교량의 절단된 상부 부분을 인상하는 교량 인상 공정(S5);
    상기 기둥(101)의 절단된 부분의 철근(80)(103)을 잇고, 띠철근(81)을 수평 배근하며, 상기 기둥(101)의 절단·인상한 공간을 덮는 거푸집(60)을 설치하는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정(S6);
    상기 거푸집(60) 내부로 콘크리트(65)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S7);
    상기 설치된 거푸집(60)과 장치를 제거하고, 표면을 다듬고 마감하는 탈형 및 마감 공정(S8)으로 완료되어,
    교량의 수직 인상을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인상 공정(S5)에서는,
    상기 교량을 인상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에는 강판, 형강, 또는, 스크류잭의 보조받침대(70)를 설치하며,
    상기 유압잭(20)의 행정에 따른 인상 후에는, 유압잭(20)을 제거하고, 본래 유압잭(20)의 위치에 보조받침대(70)를 설치하며, 설치한 보조받침대(70)의 상부에 다시 유압잭(20)의 설치하여, 추가로 교량을 인상하는 방법을 통해,
    교량을 원하는 높이로 인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6. 제 4항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구성된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상부에는 파인 안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 공정(S2)에서는, 교량의 기둥(101) 주위에 하부지지대(10)를 설치하고, 교량의 코핑부(102)와 기둥(101) 사이에 코핑부(102)가 지지 되도록 상부 지지대(30)를 설치하며,
    이들 하부지지대(10)와 상부 지지대(30) 사이에는 유압잭(20)을 설치하되, 상기 하부 지지대(10) 상부의 파인 안착부(11)에 고정된 전도방지구(40) 내에 유압잭(20)이 설치되는 지지공정(S2);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압잭의 전도 방지와 설치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10)에는 전도방지구(4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전도방지구(40)는, 고정판(41) 상부에 내부에 실린더 형태의 공간을 형성한 수용부(4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42) 측면에 일정 폭으로 트인 트임부(42a)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41)에는 관통된 고정공(41a)을 다수개 형성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 공정(S2)에서 상기 전도방지구(40)를 걸림부재를 사용하여 안착부(11)에 설치하고, 상기 전도방지구(40)에 유압잭(20)이 설치되어,
    상기 전도방지구에 의해 유압잭의 수평이동 및 전도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8.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30)는 교각(100)의 측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대(30)는, 코핑부(102)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를 지지·고정하는 브라켓(32)으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32)은, 판형의 지지판(32b)과 상기 지지판(32b) 저면에 기둥(101)에 감싸 고정되는 밴딩부(32a)가 일체로 구성하며,
    상기 인상가이드(50)는, 교각(100)의 측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하되, 맞대는 측면에는 돌출된 조립판(53)을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조립판(53)에는 관통된 고정공(53a)을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지지 공정(S2)에서, 상기 상부지지대(30)는 교각(100) 기둥(101) 측면에서 지지부(31)를 조립하여, 브라켓(32)을 고정부재로 기둥(101)에 고정하고, 브라켓(32) 상부에 지지부(31)를 조립·설치하며,
    상기 인상가이드 설치 공정(S4)에서, 상기 인상가이드(50)는 교각(100)의 기둥(101) 측면에서 조립되어, 각 맞대는 조립판(53)의 고정공(53a)에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설치되어,
    상기 인상가이드와 상부지지대의 설치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9.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정(S6)에서 설치하는 거푸집(60)은,
    상기 교량의 기둥(101)을 감싸 밀착하는 형태이고, 파이프로 돌출된 주배출구(61a)와 관통된 보조배출구(61b)를 상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거푸집(60) 상단에 호퍼(62)를 구성하며,
    상기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정(S6)에서, 상기 거푸집(60)의 설치시, 거푸집(60)의 배출구(61)의 위치가 상부 쪽 기둥(101)의 절단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S7)에서, 상기 콘크리트(65)은 상기 호퍼(62)를 통하여 타설되되, 타설된 콘크리트(65)가 보조배출구(61b)를 통하여 배출되면 보조배출구(61b)를 막고, 주배출구(61a)로 콘크리트가 배출될 때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PCT/KR2009/000446 2008-02-11 2009-01-30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WO20091021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046 2008-02-11
KR1020080012046A KR100876355B1 (ko) 2008-02-11 2008-02-11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2119A1 true WO2009102119A1 (ko) 2009-08-20

Family

ID=4037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0446 WO2009102119A1 (ko) 2008-02-11 2009-01-30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6355B1 (ko)
WO (1) WO200910211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4876A (zh) * 2017-07-25 2017-11-1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水下墩柱钢筋除锈及混凝土表面修复装置
CN112431611A (zh) * 2020-12-31 2021-03-02 郑州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洞门钢环内管片拆除方法
CN113186835A (zh) * 2021-05-31 2021-07-30 中国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t型桥梁顶升施工方法
CN114319157A (zh) * 2022-01-28 2022-04-12 吉林省高等级公路工程有限责任公司 桥梁预制t型梁加固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637B1 (ko) * 2016-05-25 2017-10-20 심규숙 지압보강판과 부착식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인상공법
KR101998381B1 (ko) 2018-08-31 2019-07-10 동진산업개발 주식회사 교량 하중분산 탄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CN111766157A (zh) * 2020-07-31 2020-10-13 福州大学 拉锚式栏杆水平推力检测装置及实施方法
CN112921814B (zh) * 2021-01-26 2022-07-15 由旭伟 一种公路桥梁施工中便于纠偏和加固的桥墩
CN113470482A (zh) * 2021-05-20 2021-10-01 赵智泉 一种模块化嵌入式开发学习洞洞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971Y1 (ko) * 2002-04-29 2002-08-22 박재만 교량 상부 구조물의 인상 구조
KR20030073280A (ko) * 2002-03-09 2003-09-19 오원균 콘크리이트건물의 증고방법.
KR100580225B1 (ko) * 2004-12-13 2006-05-16 노윤근 교량의 교각기둥부분을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교량상부구조물 지지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부구조물승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49B1 (ko) 2004-06-22 2007-04-03 보성건설 주식회사 레일의 승강조절수단이 구비된 교량상판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280A (ko) * 2002-03-09 2003-09-19 오원균 콘크리이트건물의 증고방법.
KR200285971Y1 (ko) * 2002-04-29 2002-08-22 박재만 교량 상부 구조물의 인상 구조
KR100580225B1 (ko) * 2004-12-13 2006-05-16 노윤근 교량의 교각기둥부분을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교량상부구조물 지지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부구조물승상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4876A (zh) * 2017-07-25 2017-11-1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水下墩柱钢筋除锈及混凝土表面修复装置
CN112431611A (zh) * 2020-12-31 2021-03-02 郑州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洞门钢环内管片拆除方法
CN112431611B (zh) * 2020-12-31 2023-01-13 郑州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洞门钢环内管片拆除方法
CN113186835A (zh) * 2021-05-31 2021-07-30 中国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t型桥梁顶升施工方法
CN114319157A (zh) * 2022-01-28 2022-04-12 吉林省高等级公路工程有限责任公司 桥梁预制t型梁加固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355B1 (ko) 2008-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02119A1 (ko)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WO2021066294A1 (ko) 선조립 벽체 모듈을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KR100837608B1 (ko) 교각 코핑상면에 블럭아웃을 실시하여 매립한 중공형 철제파이프와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력을 갖는 고장력 강봉과조립식 철제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슬라브 인상공법
WO2019054703A1 (ko)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3700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시공방법
CN112681117B (zh) 连接装置及桥梁墩柱与承台连接处的施工方法
JP299422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場所打ち床版部の施工方法及びその型枠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20060041078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WO2018186612A1 (ko) 현장 타설 보강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6493B1 (ko) 수직터널 콘크리트 주벽 성형용 슬립폼과 그 콘크리트 주벽시공방법
CN113059685B (zh) 一种预制梁施工系统及施工方法
JP2003138581A (ja) コンクリート製捨て型枠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製構造体の製造方法
JPH05280012A (ja) 移動式型枠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装置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JP2980567B2 (ja) 支承装置の交換方法
WO2015009125A1 (ko) 흙막이 벽체와 띠장을 결합하는 구조체
JP7134133B2 (ja) 橋梁高欄構築方法
WO2018194279A1 (ko) 현장 타설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3140405A1 (ko)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대와 상부구조를 일체화시키는 라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150067A (ja) 既設支承装置の更新方法及び更新構造
WO2024019388A1 (ko)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KR100278118B1 (ko) 콘크리트빔교량의 크로스빔 시공방법
JPH0932295A (ja)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建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104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104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