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194B1 -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194B1
KR102522194B1 KR1020220085200A KR20220085200A KR102522194B1 KR 102522194 B1 KR102522194 B1 KR 102522194B1 KR 1020220085200 A KR1020220085200 A KR 1020220085200A KR 20220085200 A KR20220085200 A KR 20220085200A KR 102522194 B1 KR102522194 B1 KR 10252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truss girder
reinforcing
gird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94B1/ko
Priority to PCT/KR2023/0076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391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트러스거더 보강대를 갖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마감하는 마감패널, 상기 마감패널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플렛타이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타이홈부가 형성된 테두리프레임,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마감패널에 가해지는 측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 및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이 겹쳐져 상기 마감패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홈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삭 또는 절단하여 형성하지 않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곡형성한다. 따라서, 거푸집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Formwork having truss girder reinforcement, and formwork assembly assembled therewith}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트러스거더 보강대를 갖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C 건축물을 시공할 때 시공할 형태로 복수 개의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하는 데, 거푸집은 사각의 프레임에 합판을 덧댄 형태의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R폼이 개시된 바가 있다.
R폼은 유로폼에 비해 무게가 가볍워 취급성이 용이하고 건축물의 형성면이 비교적 균일하지만, 충격에 의한 소음과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으로 인해 유로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로폼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과 수직으로 적층되는 압력에 취약하여 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0775호(2017.7.24.공고)의 "벽체 성형용 거푸집"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30200호(2022.3.10.공개)의 "벽체 데크플레이트"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벽체 성형용 거푸집 또는 벽체 데그플레이트는 거푸집 패널에 대해 수직으로 트러스 거더를 설치하여 측압 및 수직으로 적층되는 압력에 의해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벽체 성형용 거푸집 또는 벽체 데크플레이트는 트러스 거더를 거푸집 패널에 연결구에 의해 결합해야하기 때문에 시공 시 연결구의 풀림으로 인해 트러스 거더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 판재의 테두리에 "L"형상의 조립앵글이 장착되어 거푸집 판재를 지지하기 때문에 조립앵글이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있으며, 플렛타이를 결합할 경우, 거푸집 판재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플렛타이의 결합에 따라 거푸집 판재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76778호(2020.5.18.공고)에 "유로폼"이 개시되는 데, 종래의 유로폼은 철제 프레임에 체결홈을 형성할 때, 체결홈의 부분을 절삭하거나, 절단하기 때문에 철제 프레임의 강성이 약해져 쉽게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감패널에 작용하는 측압 및 수직압을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의해 보강하여 거푸집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표준화된 유로폼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어 거푸집의 조립에 따른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파팅라인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파팅라인의 제거에 따른 시간소요를 감소시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짐의 휨을 방지하여 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강패널부에 의해 마감패널을 지지하여 마감패널의 강성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패널부에 보강테두리부가 절곡형성되어 테두리프레임에 겹쳐지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플렛타이를 결합하는 타이홈부를 테두리프레임에 프레스에 의해 절곡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테두리프레임의 절삭 또는 절단에 의한 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테두리부에 타이홈부가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형성하여 타이홈부의 돌출을 보완함으로써, 마감패널의 가공에 따른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의 손상에 따른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 개를 조립한 거푸집을 세로대체결구와 가로대체결구에 의해 세로연결대와 가로연결대에 연결함으로써, 쉽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체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로대체결구가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로연결대를 연결하기 때문에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가로연결대를 통해 분산함으로써, 거푸집 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마감하는 마감패널, 상기 마감패널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플렛타이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타이홈부가 형성된 테두리프레임,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마감패널에 가해지는 측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 및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이 겹쳐져 상기 마감패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홈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삭 또는 절단하여 형성하지 않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곡형성한다.
상기 보강패널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보강패널부의 둘레에서 절곡하여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겹쳐지는 보강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에서 절곡형성된 상기 타이홈부의 둘레와 상기 보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일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둘레 가공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이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보강테두리부를 절개하여 상기 타이홈부가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프레임에서 가로방향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강성을 보강하는 가로보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는 상기 보강패널부의 중앙 부분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보강패널부에 가해지는 측압을 전달받는 한 쌍의 바닥근, 상기 한 쌍의 바닥근에 대해 상기 보강패널부가 위치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바닥근의 사이에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바닥근으로부터 측압을 전달받아 분산시키는 상부근, 및 상기 한 쌍의 바닥근과 상기 상부근을 지그재그의 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근의 압력을 상기 상부근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키는 레티스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가로보강대의 돌출되는 높이를 감소시키며,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가로보강대로 분산하도록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가로보강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된 보강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복수 개를 배열하여 조립한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로서, 상기 복수 개의 거푸집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연결대, 상기 복수 개의 가로연결대를 연결하는 세로연결대, 상기 가로연결대와 상기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대체결구, 및 상기 세로연결대와 상기 거푸집을 연결하는 세로대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체결구는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가로연결대를 통해 분산하도록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와 상기 가로연결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체결구는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의 일부에 끼워져 체결되는 거더체결부, 및 상기 거더체결부에서 상기 가로연결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연결대에 체결되는 가로대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대체결구는 상기 복수 개의 거푸집에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겹쳐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이 끼워져 체결되는 프레임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체결부에서 상기 세로연결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로연결대에 체결되는 세로대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패널을 테두리프레임에 일체화된 형태로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형성하여 마감패널에 작용하는 측압 또는 수직압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켜 기존의 규격화된 유로폼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어 거푸집의 조립에 따른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조립된 거푸집에 의해 발생하는 파팅라인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파팅라인의 제거에 따른 시간소요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분만 아니라, 거푸집의 휨발생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에 형성되는 타이홈부를 절삭 또는 절단하지 않고, 프레스에 의해 가압하여 절곡형성하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의 하락을 방지함으로써, 테두리프레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이 보강패널부에 의해 지지되어 마감패널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패널부에 보강테두리부가 절곡 형성되어 테두리프레임에 보강테두리부가 겹쳐져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에 절곡형성되는 타이홈부의 돌출을 보강테두리부가 보완하여 돌출된 타이홈부에 의해 마감패널의 둘레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마감패널의 가공에 따른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의 가공에 의해 마감패널이 손상되면서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연결대와 세로연결대를 가로대체결구와 세로대체결구에 의해 결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는 동시에 가로연결대 및 세로연결대를 신속하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가로대체결구는 트러스거더 보강부와 가로연결대를 연결하기 때문에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연결대를 통해 분산시켜 거푸집 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의 후면을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의 정면을 바라보는 사시도로써, 타이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의 분해사시도로써, 타이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에 가로연결대와 세로연결대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에 가로대체결구에 의해 가로연결대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에 세로대체결구에 의해 세로연결대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마감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패널(110)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기둥 등을 형성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마감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0)은 건축물을 시공한 후에 분리 시의 건축물의 외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마감패널(110)은 합판, 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11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모습이 외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도록 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체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투명성 등을 갖는 PC(polycarbonate)일 수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110)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외면은 마감패널(110)의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최소화하고, 콘크리트의 경화 시 콘크리트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재료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재료로 코팅되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감패널(110)은 가로보다 세로의 길이가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0)의 외면은 건축물의 외면의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무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테두리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프레임(120)은 마감패널(110)의 테두리를 보호할 수 있으며, 테두리프레임(120)은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도록 마감패널(110)의 둘레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의 반대방향이 면이 위치한 방향으로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따라 사각의 틀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테두리프레임(120)은 마감패널(110)을 보호하기 위해 마감패널(110)보다는 강도가 강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프레임(120)의 둘레에는 타이홈부(121)가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홈부(121)는 서로 마주하는 거푸집(10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하기에 설명할 거푸집 조립체(200)에서 서로 인접하여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120)의 사이에 플렛타이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타이홈부(121)에는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120)끼리 또는 플렛타이를 삽입한 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12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프레임연결공(123)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너트이거나, 거푸집(10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웨지핀 또는 리벳일 수도 있다.
물론 프레임연결공(123)은 테두리프레임(120)에서 타이홈부(121) 외의 타이홈부(12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도 다른 구성들을 체결하기 위해 테두리프레임(120)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타이홈부(121)는 테두리프레임(120)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테두리프레임(1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테두리프레임(120)은 타이홈부(121)를 형성하기 위해 테두리프레임(120)을 절삭하거나, 일부를 절개하는 형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120)의 강도가 약해져 테두리프레임(120)이 쉽게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의 타이홈부(121)는 테두리프레임(120)을 절삭 또는 절단하지 않고 프레스에 의해 가압하여 절곡하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120)의 강도가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테두리프레임(120)은 변형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변형방지부는 사각으로 형성된 테두리프레임(120)의 각 모서리의 내측에 설치되어 테두리프레임(120)이 비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방지부는 테두리프레임(120)의 각 내측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판을 절단하여 테두리프레임(120)에 용접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테두리프레임(120)에 설치된 마감패널(110)에 가해지는 측압뿐만 아니라 수직압력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마감패널(110)의 세로방향과 대응되도록 테두리프레임(120)의 세로방향 즉, 테두리프레임(120)의 수직으로 배치된 서로 마주하는 상단과 하단을 테두리프레임(120)의 중앙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거푸집(100)이 세워진 형태로 설명하기 때문에 세로방향을 수직이라고 칭하고, 가로방향을 수평이라고 칭한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트러스거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철근을 용접한 형태로 마감패널(110)과 마주하는 위치의 중앙 부분에서 한 쌍의 세로방향의 바닥근(141)이 가로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바닥근(141)의 상부 즉, 마감패널(110)이 위치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상부에 한 쌍의 바닥근(141)의 사이에 바닥근(14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바닥근(141)과 상부근(143)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레티스근(145)에 의해 연결되어 마감패널(110)에서 바닥근(141)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레티스근(145)을 상부근(143)으로 전달하는 형태로 마감패널(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측압 및 수직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트러스거더의 구조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조로써, 교량 또는 건축물의 슬래브와 같은 구조에 많이 사용되어 효과가 입증된 구조이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테두리프레임(120)에 구성함으로써, 거푸집(10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거푸집(100) 자체의 길이를 기존의 규격화된 거푸집(100)보다 더 긴 길이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유로폼은 측압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 최대 길이를 1800mm로 형성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한 층의 2400mm의 높이를 갖는 공동주택을 시공할 경우, 1800mm의 유로폼에 600mm의 유로폼을 연결해야 한다.
이렇게 유로폼을 여러 개를 연결할 경우, 유로폼을 조립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외면에 조립된 부분의 파팅라인이 발생하면서 이를 제거해야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공기가 증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의해 강성을 보강하여 길이가 2400mm인 거푸집(100)을 제작하더라도 측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거푸집(100)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100)을 조립하는 데 시간을 단축시키고, 파팅라인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테두리프레임(120)에 용접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종래와 같이 조립구에 의해 조립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조립구의 체결이 풀림에 따라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지지력을 상실하여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조립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테두리프레임(120)에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용접될 경우, 분리됨을 방지하여 지지력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형성하는 바닥근(141), 상부근(143) 및 레티스근(145)은 철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보강패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패널부(130)는 마감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0)이 겹쳐져 마감패널(1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패널부(130)는 마감패널(110)과 대응되는 크기의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테두리프레임(120)에 설치되고, 보강패널부(130)의 외면에 마감패널(110)이 겹쳐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보강패널부(13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테두리프레임(120)에 용접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보강패널부(130)는 전체적인 거푸집(10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무게감소공(1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무게감소공(135)은 보강패널부(13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패널에는 마감패널(110)이 겹쳐진 상태에서 마감패널(110)과 보강패널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보강패널에 마감패널(11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패널부(130)는 보강테두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테두리부(131)는 보강패널부(130)의 테두리를 절곡시켜 테두리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테두리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테두리부(131)는 보강패널부(130)의 테두리를 따라 마감패널(110)이 겹쳐지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테두리프레임(120)에 내측 둘레를 보강테두리부(131)가 겹쳐져 테두리프레임(120)을 지지함과 동시에 마감패널(110)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테두리프레임(120)이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마감패널(110)의 테두리가 용이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테두리부(131)에는 홈삽입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홈삽입부(133)는 보강테두리부(131)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각 타이홈부(121)와 보강테두리부(131)의 내측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보강테두리부(131)가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보강테두리부(131)의 두께는 내측으로 돌출된 절곡 돌출된 타이홈부(121)의 두께보다 더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홈삽입부(133)에는 테두리프레임(120)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타이홈부(121)가 삽입되어 타이홈부(121)가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보강테두리부(131)도 타이홈부(121)의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보강테두리부(131)의 내측 둘레가 균일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보강테두리부(131)의 내측에 위치하는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마감패널(110)의 가공으로 인한 제작비용의 증대와 마감패널(110)의 가공됨에 따라 발생하는 내구성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마감패널(110)에 타이홈부(121)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경우, 홈의 형성된 부분은 코팅층이 제거되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 수분이 침투함에 따라 마감패널(110)이 수분에 의해 부풀어 오르면서 마감패널(110)이 불균일한 면을 가져 시공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감패널(110)의 가공을 방지함으로써, 코팅층의 손상을 방지하여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가로보강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보강대(150)는 테두리프레임(120)의 가로방향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두리프레임(12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로보강대(15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가로보강대(150)는 테두리프레임(120)의 측면에서 가해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가로보강대(15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어 돌출되는 보강절곡부(151)가 형성되어 마치 측단면의 형상이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보강대(150)는 테두리프레임(120)에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가로보강대(150)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가해지는 압력을 테두리프레임(120)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킬 수 있도록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관통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테두리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보강대(150)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바닥근(141)과 상부근(143)의 사이를 관통하여 상부근(143)의 내측에 용접되거나 체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트러스거더를 관통하여 테두리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마감패널(110)의 둘레에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따라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지지하는 테두리프레임(120)이 설치되고, 테두리프레임(120)의 둘레에는 플렛타이를 결합하기 위한 타이홈부(121)가 오목한 형태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테두리프레임(120)에는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프레임연결공(123)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테두리프레임(120)에는 마감패널(110)에 겹쳐져 마감패널(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패널부(130)가 설치된다.
보강패널부(130)는 마감패널(110)이 겹쳐져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보강패널부(130)에는 테두리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테두리부(131)가 보강패널부(130)의 둘레를 따라 절곡하여 형성되어 보강테두리부(131)가 테두리프레임(120)의 내측에 겹쳐지는 형태로 용접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때, 보강테두리부(131)에는 보강테두리부(131)가 위치하는 부분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타이홈부(121)의 돌출된 형상에 의해 보강테두리부(131)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이홈부(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타이홈부(121)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홈부(121)가 삽입되는 홈삽입부(133)가 형성된다.
테두리프레임(120)에는 테두리프레임(120)을 상하로 연결하여 마감패널(110)에 가해지는 측압 및 수직압을 분산시키기 위한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설치되며,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는 바닥근(141)이 보강패널부(130)에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바닥근(141)에서 외측으로 상부근(143)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바닥근(141)과 상부근(143)은 레티스근(145)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서로 용접된 형태로 테두리프레임(120)과 보강패널부(130)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20)의 서로 마주하는 가로방향의 양측 면은 가로보강대(1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가로보강대(150)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관통하여 테두리프레임(120)의 양측 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의해 마감패널(110)에 가해지는 측압 및 수직압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기존의 유로폼보다 더 긴 길이 예를 들어 2400mm 이상의 길이로 형성하더라도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100)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후의 여러 거푸집(100)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팅라인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파팅라인의 제거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20)에 타이홈부(121)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하여 절곡하는 형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120)에 타이홈부(121)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하거나, 절삭할 필요가 없어 테두리프레임(120)의 내구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20)에 보강패널부(130)의 보강테두리부(131)가 겹쳐지기 때문에 테두리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테두리부(131)에 홈삽입부(133)가 형성되어 타이홈부(121)가 삽입됨으로써, 타이홈부(121)의 돌출로 인해 마감패널(110)의 둘레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마감패널(110)의 코팅층의 손상으로 인한 시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20)에 가로보강대(150)가 설치되고, 가로보강대(150)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관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로 전달되는 압력을 가로보강대(150)를 통해 분산시킴으로써, 거푸집(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콘크리트를 시공할 면적만큼 복수 개를 배열하여 조립한 조립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거푸집(100)은 2400mmX450mm로 제작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거푸집(100)의 가로방향의 폭은 세로길이를 넘지 않는 범위 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건축물에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이거나,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넓은 판의 형태, 또는 한 쌍이 서로 마주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거푸집 조립체(200)를 마주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체의 두께만큼 한 쌍의 거푸집 조립체(200)가 이격되도록 거푸집(100)의 테두리프레임(120)에 형성된 타이홈부(121)에 플렛타이를 삽입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열된 거푸집(100)은 측방향으로 겹쳐지는 거푸집(100)의 테두리프레임(120)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는 거푸집(100)의 테두리프레임(120)은 서로 대응되는 프레임연결공(123)을 웨지핀이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가로연결대(210), 세로연결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연결대(210)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다.
가로연결대(210)는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의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거푸집(100)은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연결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트러스거더 보강부(140)가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연결할 수도 있다.
가로연결대(210)는 측단면이 "ㄷ"자 형태인 찬넬(channel)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연결대(210)는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또는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연결대(210)에는 가로연결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가로연결공(21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로연결대(23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세로연결대(230)는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의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세로연결대(230)는 복수 개의 거푸집(100)의 측면에 위치한 테두리프레임(120)이 겹쳐지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세로연결대(230)도 가로연결대(210)와 마찬가지로 측단면이 "ㄷ"자 형태인 찬넬(channel)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연결대(230)는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의 세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또는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세로연결대(230)에는 세로연결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세로연결공(23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가로대체결구(220), 및 세로대체결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체결구(220)는 복수 개로 연결된 거푸집(100)과 가로연결대(2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가로대체결구(220)는 거푸집(100)의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와 가로연결대(21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가로대체결구(220)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체결되는 거더체결부(221)와 가로연결대(210)에 체결되는 가로대체결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거더체결부(221)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단부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쌍의 플레이트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일단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에서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체결공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거더체결부(221)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사이에 트러스거더 보강부(140)를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형태로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가로대체결구(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거더체결부(221)의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부근(143)이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체결부재에 상부근(143)이 걸리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가로대체결부(223)는 거더체결부(221)의 한 쌍의 플레이트가 연결된 부분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대체결부(223)는 가로연결대(210)의 가로연결공(211)에 관통하여 끼워지고 가로대체결부(223)에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공에 체결되어 가로연결대(210)가 체결부재에 걸리는 형태로 가로연결대(210)를 가로대체결부(223)에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거더체결부(221)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구현하였으며, 가로대체결부(223)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웨지핀으로 구현하였으나,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로대체결부(223)는 하나의 가로연결대(210)에 복수 개가 체결되어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과 가로연결대(210)를 연결할 수 있다.
세로대체결구(240)는 거푸집(100)과 세로연결대(230)를 연결할 수 있다.
세로대체결구(240)는 거푸집(100)에 결합되는 프레임체결부(241)와 세로연결대(230)에 결합되는 세로대체결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체결부(241)는 거푸집(100)에서 테두리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프레임체결부(241)는 한 쌍의 나란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의 일단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나란하게 플레이트의 사이로 서로 인접하여 겹쳐진 거푸집(100)의 테두리프레임(120)이 삽입되고, 플레이트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공과 테두리프레임(120)에 형성된 프레임연결공(123)을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하는 형태로 거푸집(100)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대체결부(243)는 프레임체결부(241)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연결된 부분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대체결부(243)에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세로대체결부(243)가 세로연결대(230)의 세로연결공(231)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공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세로연결대(230)가 체결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체결부(241)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구현하였으며, 세로대체결부(243)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웨지핀으로 구현하였으나,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로대체결부(223)는 하나의 세로연결대(230)에 복수 개가 체결되어 복수 개의 연결된 거푸집(100)과 세로연결대(2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웨지핀에 의해 건축물을 시공할 면적만큼 웨지핀에 의해 연결한다.
그리고, 마감패널(110)이 위치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에는 세로연결대(230)와 가로연결대(210)를 세로대체결구(240)와 가로대체결구(220)를 통해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한다.
가로연결대(210)를 설치할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대연결구를 설치하고, 가로대연결구는 거더체결부(221)를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일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거더체결부(221)의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하며, 가로대체결부(223)를 가로연결대(210)의 가로연결공(211)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로연결대(210)에 형성된 가로연결공(211)에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그리고, 세로대체결구(240)는 프레임체결부(241)를 거푸집(100)의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120)의 부분에 체결부재를 체결하고, 세로대체결부(243)에 세로연결대(230)의 세로연결공(231)을 삽입한 후, 세로대체결부(243)의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결합하는 형태로 세로연결대(230)를 설치한다.
이때, 가로연결대(210)를 거푸집(100)에 가로대체결구(220)에 의해 먼저 체결한 뒤 세로연결대(230)를 가로연결대(210)의 상부에 겹친 상태에서 세로대체결구(240)를 통해 세로연결대(23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세로연결대(230)를 먼저 설치한 뒤 가로연결대(210)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복수 개의 거푸집(100)에 복수 개의 세로연결대(230)와 복수 개의 가로연결대(210)를 통해 조립하여 세운 뒤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플렛타이 등을 결합하여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200)는 실시예의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100)의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가로연결대(210)와 세로연결대(230)를 가로대체결구(220) 및 세로대체결구(240)를 통해 거푸집(100)에 연결함으로써, 가로연결대(210)와 세로연결대(23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가로연결대(210)를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에 의해 결합하여 마감패널(110)의 측압을 받는 트러스거더 보강부(140)의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연결대(210)를 통해 분산시켜 복수 개의 거푸집(1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거푸집 110: 마감패널
120: 테두리프레임 121: 타이홈부
123: 연결공 130: 보강패널부
131: 보강테두리부 133: 홈삽입부
135: 무게감소공 140: 트러스거더 보강부
141: 바닥근 143: 상부근
145: 레티스근 150: 가로보강대
151: 보강절곡부
200: 거푸집 조립체 210: 가로연결대
211: 가로연결공 220: 가로대체결구
221: 거더체결부 223: 가로대체결부
230: 세로연결대 231: 세로연결공
240: 세로대체결구 241: 프레임체결부
243: 세로대체결부

Claims (11)

  1.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마감하는 마감패널,
    상기 마감패널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플렛타이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타이홈부가 형성된 테두리프레임,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마감패널에 가해지는 측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 및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이 겹쳐져 상기 마감패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홈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삭 또는 절단하여 형성하지 않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을 절곡형성하며,
    상기 보강패널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보강패널부의 둘레에서 절곡하여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겹쳐지는 보강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에서 절곡형성된 상기 타이홈부의 둘레와 상기 보강테두리부의 내측면이 일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둘레 가공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이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보강테두리부를 절개하여 상기 타이홈부가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에서 가로방향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강성을 보강하는 가로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는
    상기 보강패널부의 중앙 부분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보강패널부에 가해지는 측압을 전달받는 한 쌍의 바닥근,
    상기 한 쌍의 바닥근에 대해 상기 보강패널부가 위치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바닥근의 사이에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바닥근으로부터 측압을 전달받아 분산시키는 상부근, 및
    상기 한 쌍의 바닥근과 상기 상부근을 지그재그의 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근의 압력을 상기 상부근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키는 레티스근을 포함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가로보강대의 돌출되는 높이를 감소시키며,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가로보강대로 분산하도록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가로보강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된 보강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8. 제1항에 기재된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복수 개를 배열하여 조립한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로서,
    상기 복수 개의 거푸집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연결대,
    상기 복수 개의 가로연결대를 연결하는 세로연결대,
    상기 가로연결대와 상기 거푸집을 연결하는 가로대체결구, 및
    상기 세로연결대와 상기 거푸집을 연결하는 세로대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체결구는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가로연결대를 통해 분산하도록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와 상기 가로연결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체결구는
    상기 트러스거더 보강부의 일부에 끼워져 체결되는 거더체결부, 및
    상기 거더체결부에서 상기 가로연결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로연결대에 체결되는 가로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체결구는
    상기 복수 개의 거푸집에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프레임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겹쳐지는 상기 테두리프레임이 끼워져 체결되는 프레임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체결부에서 상기 세로연결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로연결대에 체결되는 세로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체.
KR1020220085200A 2022-06-09 2022-07-11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KR10252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7603 WO2023239118A1 (ko) 2022-06-09 2023-06-02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0339 2022-06-09
KR1020220070339 2022-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194B1 true KR102522194B1 (ko) 2023-04-14

Family

ID=8594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200A KR102522194B1 (ko) 2022-06-09 2022-07-11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2194B1 (ko)
WO (1) WO20232391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118A1 (ko) * 2022-06-09 2023-12-14 이승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077A (ja) * 2001-01-15 2002-07-31 Takashi Saito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20070000560U (ko) * 2007-04-06 2007-05-15 주식회사 이피씨 면상발열체가 외장되어 있어 교체가 가능한 거푸집 패널
KR102266237B1 (ko) * 2020-03-09 2021-06-16 노상철 콘크리트 거푸집과 단관파이프의 고정용 클램프 조립체
KR20220029925A (ko) * 2020-09-02 2022-03-10 삼광선재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194B1 (ko) * 2022-06-09 2023-04-14 이승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077A (ja) * 2001-01-15 2002-07-31 Takashi Saito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20070000560U (ko) * 2007-04-06 2007-05-15 주식회사 이피씨 면상발열체가 외장되어 있어 교체가 가능한 거푸집 패널
KR102266237B1 (ko) * 2020-03-09 2021-06-16 노상철 콘크리트 거푸집과 단관파이프의 고정용 클램프 조립체
KR20220029925A (ko) * 2020-09-02 2022-03-10 삼광선재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118A1 (ko) * 2022-06-09 2023-12-14 이승호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118A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676B2 (en) Mold-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75774B1 (ko) 복공판 일체형 합성거더,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58930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모듈유닛
KR102522194B1 (ko)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KR101420203B1 (ko)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2144476B1 (ko) 모듈형 강판 거푸집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EP2076637B1 (en) Building floor structure comprising framed floor slab
KR100906156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2465099B1 (ko)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보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01212A (ko) 강성구조를 갖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칼럼용 영구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2570377B1 (ko)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기둥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115990B1 (ko)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보 구조물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0546839B1 (ko) 계단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101876141B1 (ko) 재활용 가능한 보 설치를 위한 유로폼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20210016758A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2491586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KR102438145B1 (ko) 데크-빔 일체형 선조립 모듈
KR200166886Y1 (ko) 강콘크리트 구조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