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21397A1 -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21397A1
WO2021221397A1 PCT/KR2021/005192 KR2021005192W WO2021221397A1 WO 2021221397 A1 WO2021221397 A1 WO 2021221397A1 KR 2021005192 W KR2021005192 W KR 2021005192W WO 2021221397 A1 WO2021221397 A1 WO 20212213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lithium
secondary battery
current collector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51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필
윤종건
황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EP21797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45560A1/en
Priority to JP2022539034A priority patent/JP2023508087A/ja
Priority to CN202180007446.5A priority patent/CN114846646A/zh
Priority to US17/791,101 priority patent/US20230045571A1/en
Publication of WO20212213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213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9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a doctor blade method, slip-casting or roller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01M4/0423Phys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01M4/0428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ated wit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an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ated wit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so as to inhibit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on the surface of an anode current collector using a lithium met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reusable and have a high energy density,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with eco-friendly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can dramatically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and do not generate by-products due to the use of energy.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lso in the spotlight as a power source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suitable for a wearable device or a portable device and a high output power sourc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ly, research o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high operating voltage and high energy density is becoming more active.
  • the operating voltage and energy dens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vary depending o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type of the electrolyte, and the loading amount of the electrode mixture layer.
  • a lithium cobalt composite oxide, a lithium-containing manganese composite oxide, etc. are used as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metal, a carbon-based material, silicon, and the like are used as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 the lithium metal has an advantage of high energy densit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by-products such as LiOH, Li 2 O and Li 2 CO 3 are generated when reacting with moisture in the air.
  • a by-product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lithium metal with the electrolyte significantly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and may cause an internal short circuit.
  • lithium dendrit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thium metal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 the lithium dendrite grows and penetrates the separator, a micro-short occurs, and the lifespan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shortened, and fatal problems may occur in terms of safety.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that improves the interfacial properties between a lithium metal electrode and a polymer electrolyte by forming a crosslinked polymer protective thin film using a diacrylic monomer on the surface of the lithium metal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lithium metal negative electrode.
  • the protective thin film is easily peeled off from the electrode surfa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lithium dendrite growth.
  • Patent Document 2 includes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lithium metal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 heat conductive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which lithium dendrite growth occurs evenly by maintaining uniform heat distribution on the electrode surfac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Patent Document 2 does not solve the problem that lithium dendrites grow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cause micro-shorts. As such, despite the advantages of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voltage, lithium metal anodes are still not applied in the field due to the growth of lithium dendrites.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425585 (2004.03.22)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13630 (2019.02.11)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order to prevent short circuit caused by lithium dendrite grown on the surface of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ated wit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ims to provide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porous structure having internal pores or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netrated, and the porous structure except for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or A lithium affinity material (LPM)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 LPM lithium affinity material
  • Lithium plating (Li plating) may occur on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of a metal and a metal oxide.
  •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may be any one or more of a metal including Au, Ag, Pt, Zn, Si and Mg and a metal oxide including CuO, ZnO, CoO and MnO.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n anode current collector including a porous structure having internal pores or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netrated, and masking a first surface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coating the masked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it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and removing the masking.
  • the coating step is, immersion (Immersing), spin coating (Spin Coating), dip coating (Dip Coating), spray coating (Spray Coating), doctor blade (Doctor Blade), solution casting (Solution Casting), drop coating (Drop Coating),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a group including.
  • the masking may be performed by attaching a tap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solution.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rom which the masking has been removed is coated wit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in internal pores and through holes except for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that has been maske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mono-cell in which two different electrodes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or a bi-cell in which three electrod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f adjacent electrodes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a bi-cel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 battery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or a solid electrolyt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including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 lithium dendrites grow in the internal pores and through-holes. In addition, lithium dendrites are not forme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 Example 1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1.
  • FIG. 2 is a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on which the coating layer is not formed by removing the masking member after mask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1.
  •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2 .
  • FIG. 4 is a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anode on whic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was formed because no masking was performed on the anode prepared in Example 1.
  • FIG. 4 is a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anode on whic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was formed because no masking was performed on the anode prepared in Example 1.
  • Example 7 is a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on which the coating layer is not formed by removing the masking member after mask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4;
  •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7 .
  • Example 9 is a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4, on which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was formed without masking.
  • FIG. 1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1 .
  • Example 13 is an EDX result graph of the surface on which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is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1.
  • Example 14 is a graph of XRD results of the surface on which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is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1.
  •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ous structure having internal pores or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netrated, and a surface other than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internal pores and penetration
  • the spheres may contain a coated lithiophilic material (LPM).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lithium metal, or lithium metal may be positioned on copper, nickel, or stainless foil.
  • lithium metal when lithium metal is used for the negative electrode, there are advantages of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output, and the lithium metal is lithium in a metallic state, meaning pure lithium, not in a state of being alloyed with other metals.
  • the lithium metal forms lithium nuclei on the surface of the anode, and the lithium nuclei grow into twig-shaped lithium dendrites, thereby piercing the separator and causing an internal short circuit.
  •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orous structure having internal pores or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netrated.
  • the porous structure having internal pores refers to a form having pores inside the an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pores may be in the form of open pores so that a lithium affinity material can be coated in the pores.
  • the porous structure include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grooves are coated wit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and lithium plating is performed on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ing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netrated has an opening penetrating through the negative current collecto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by punching the negative current collector with a microneedle.
  • a lithium affinity material is coa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lithium plating is performed on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Specifically, a lithium affinity material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net (mesh), a negative current collector of a single layer structure made of a net shape, or a negative current collector of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ingle layers made of a net shape are stacked. can be used
  • lithium plating occurs on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to form lithium nuclei, and lithium dendrites grown in the lithium nuclei Growth occurs only in pores or through holes. Therefore, lithium dentrite does not grow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may be coated on a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other than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so that lithium plating may occur on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to grow lithium dendrites.
  • lithium affinity material is not coated on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lithium dendrites do not occur on the first surface.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used, such as a film, sheet, foil, net, porous body, foam body, non-woven body, etc. in which fine irregularities are formed or not formed on the surface.
  •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5 ⁇ m to 30 ⁇ m, and more preferably 10 ⁇ m to 20 ⁇ m. If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more than 30 ⁇ 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pacity per volume of the electrode is reduced, and if it is less than 5 ⁇ m,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olding phenomenon occurs during electrode manufacturing.
  •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optionally included. That is,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ly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oated with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without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r may include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with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material, lithium alloy, lithium metal composite oxide,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lithium alloy includes an element capable of alloying with lithium, and the elements capable of alloying with lithium include Si, Sn, C, Pt, Ir, Ni, Cu, Ti, Na, K, Rb, Cs, Fr, Be, Mg, Ca, Sr, Sb, Pb, In, Zn, Ba, Ra, Ge, Al, or alloys thereof.
  •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0 ⁇ m to 40 ⁇ m, specifically 5 ⁇ m to 40 ⁇ m, and more specifically 10 ⁇ m to 20 ⁇ m.
  • the method of forming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o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ethod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by depositing or coating o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by a dry or wet process.
  •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metal and a metal oxide.
  • the metal corresponds to gold (Au), silver (Ag), platinum (Pt), zinc (Zn), silicon (Si) and magnesium (Mg), and the metal oxide is copper oxide as a non-metal, Zinc oxide, cobalt oxide, etc. may be applicab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pecifically, preparing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omprising a porous structure having internal pores or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op and bottom surfaces are penetrated,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teps of masking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mask, coating the masked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ith a lithium-friendly material, and removing the masking.
  • the lithium-friendly material which is easy to be plated with lithium, faces the positive electrode It should be coated on the second side that is not covered. Therefore, after the first surface is masked and a lithium affinity material is co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anode current collector, the anode current collector is washed to remove the masking.
  •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should be coated on the internal pores or through holes, and the masking solution used in the masking step should not be applied to the internal pores or through holes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internal pore size and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hould be such that the masking liquid does not penetrate, and should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of the masking liquid.
  • a method of attaching a tap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imide may be used.
  • the method of coating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immersion, spin coating, dip coating, spray coating, and doctor blade. , solution casting, drop coating,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may be performed.
  •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moving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solution.
  • the washing process the excess lithium affinity material and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solution that are not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re remov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positive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for example, is manufactured by coating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contain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n drying, and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binder, a conductive material, a filler, and the like, if necessary. may be included.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and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fired carbon, or a surfac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etc. surface-treated may be used.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y forming fin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thereof, and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body are possible.
  • the conductive material is typically added in an amount of 1 wt% to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 a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carbon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 carbon black such as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summer black
  •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 conductive whiskey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polyphenylene derivative may be used.
  • the binder is a component that assists in bonding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bonding to the current collector, and is typically added in an amount of 1 wt% to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 An example of such a binder is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 cellulose (CMC), starch, hydroxypropyl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styrene butyrene rubber, fluororubber , and various copolymers.
  • the filler is optionally used as a component for inhibiting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polyolefin-based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 a fibrous material such as glass fiber or carbon fiber may be used.
  •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 the electrode assembly A mono-cell in which two electrodes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or a bi-cell in which three electrod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f adjacent electrodes ar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or can be Specifically, the bi-cell may have a form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 lithium-friendly material coating may be made in a state in which a surface facing the separator in the negative electrode is masked.
  • an insulating thin film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is used,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pent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ster, polyacetal. , polyamide, polycarbonate, polyimide, polyether ether ketone, polyether sulfone, polyphenylene oxide, polyphenylene sulfide, and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naphthalat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t may be a description.
  • a polyimide tape was attached as a masking member to one side of a copper current collector having a mesh structure.
  • the copper current collector to which the masking member is attached was immersed in a lithium affinity material (LPM) coating solution for 10 seconds to perform LPM coating.
  • LPM lithium affinity material
  • HAuCl 4 dissolved in ethanol at a concentration of 2 mg/ml was used.
  •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was washed to remove the LPM coating solution remaining on the surface.
  • FIG. 1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1 is shown in FIG. 1 , and SEM photographs of the negative electrode are shown in FIGS. 2 to 4 .
  • FIG. 1 (a) is a surface on which a coating layer is not formed by removing the masking member after masking, and (b) is a surface on which a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is formed without masking.
  • FIG. 2 is an anode surface on which a coating layer is not formed by removing the masking member after masking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white square part of FIG. .
  • Example 1 an anod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AuCl 4 concentration of the LPM coating solution was changed from 2 mg/ml to 5 mg/ml.
  • the SEM photograph of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2 is shown in FIG. 5 .
  • the LPM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 Example 1 an anod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HAuCl 4 of the LPM coating solution was changed to AgNo 3 .
  • the SEM photograph of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3 is shown in FIG. 6 . Referring to FIG. 6 , it can be seen that the LPM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 Example 1 an anod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pper current collector was changed to a bronze current collector.
  • FIG. 7 is a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on which the coating layer is not formed by removing the masking member after mask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Example 4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white square part of FIG. 7,
  • FIG. 9 is Example 4 This is a SEM picture of the surface of the anode on which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was formed because no masking was performed on the anode manufactured in .
  • FIG. 10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is shown in FIG. 10 .
  • a copper current collector with a net structure without LPM coating was prepared and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 FIGS. 11 and 12 SEM photos of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are shown in FIGS. 11 and 12 .
  • 12 is an enlarged view of a white square portion of FIG. 11 .
  • a copper current collector having a net structure without a masking member was immersed in an LPM coating solution in which 2 mg/ml of HAuCl 4 was dissolved in ethanol for 10 seconds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n LPM coating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pper current collector.
  • NCM811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Carbon as a conductive material Carbon as a conductive material
  • polyvinylidene fluoride as a binder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95:2:3.
  • the slurry for forming the positive electrode was applied using a doctor blade to a thickness of 20 ⁇ m on an aluminum current collector, and then vacuum dried at 120° C. for 4 hours.
  • the vacuum drying result was subjected to a rolling process using a roll press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of 3 mAh/cm 2 .
  • a coin cell was manufactured using the liquid electrolyte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nd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n which a short occurred while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coin cell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discharging in which the short occurs means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voltage is not increased even though the cut-off voltage is not reached, and a constant voltage is maintained or the voltage is lowered during the life evaluation under the charging/discharging condition.
  • the EDX result of the surface on which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was formed was shown as shown in FIG. 13, and the XRD result was shown as shown in FIG. 14.
  • the lithium affinity material coating layer It can be seen that Au is measured in
  • lithium dendrites grow in the internal pores and through-holes. In addition, lithium dendrites are not forme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positive electr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 또는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관한 것으로서,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제외한 상기 다공성 구조 또는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 리튬 친화물질(lithiophilic material, LPM)이 도포되어 있다. (대표도) 도 3

Description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본 출원은 2020년 4월 27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2020-0050738 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원 발명은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리튬 메탈을 사용한 음극 집전체 표면에서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사용이 가능하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특성을 갖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또는 포터블(portable) 디바이스에 적합한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동력원 및 전기자동차와 같은 고출력 전력원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에, 작동 전압 및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작동 전압 및 에너지 밀도는 전극 활물질, 전해액의 종류, 및 전극 합제층의 로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 코발트 복합 산화물, 리튬 함유 망간 복합 산화물 등이 사용되고,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Lithium metal), 탄소계 물질, 실리콘 등이 사용된다. 상기 리튬 금속은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면 LiOH, Li 2O 및 Li 2CO 3 등의 부산물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상기 리튬 금속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생기는 부산물은 전지의 성능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되며, 내부 단락을 초래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상기 리튬 금속 표면에 리튬 덴드라이트(dendrite)가 형성된다. 상기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여 분리막을 뚫게 되면 미세 쇼트가 발생하는 등, 리튬 이차전지의 수명이 단축될 뿐 아니라, 안전상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특허문헌 1은 리튬 금속 음극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튬 금속 표면에 디아크릴계 모노머를 이용한 가교 고분자 보호박막을 형성하여, 리튬 금속 전극과 고분자 전해질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키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보호박막은 전지의 구동에 따라 전극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기 때문에 리튬 덴드라이트 성장 방지 효과를 충분히 얻기 어렵다.
특허문헌 2는 집전체와 보호층 사이에 리튬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열전도물질을 포함한다. 충방전 중 전극 표면의 열 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리튬 덴드라이트 성장이 고르게 일어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허문헌 2는 양극과 대면하는 음극 표면에서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여 미세 쇼트가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튬 금속 음극은 고에너지 밀도 및 고전압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으로 여전히 현업에서 적용되지 않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25585호 (2004.03.22)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13630호 (2019.02.11)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표면에서 성장한 리튬 덴드라이트가 양극과 접촉하여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음극 집전체는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 또는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며,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제외한 상기 다공성 구조 또는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 리튬 친화물질(lithiophilic material, LPM)이 도포된 것이다.
상기 리튬 친화물질 상에서 리튬 플레이팅(Li plating)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리튬 친화물질은, 금속 및 금속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튬 친화물질은 Au, Ag, Pt, Zn, Si 및 Mg을 포함하는 금속 및 CuO, ZnO, CoO 및 MnO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은,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 또는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음극 집전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마스킹된 음극 집전체를 리튬 친화물질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액침(Immers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용액 캐스팅(Solution Casting), 드랍 코팅(Drop Coating),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를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킹하는 단계는 음극 집전체의 제 1 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는 단계 후, 리튬 친화물질 코팅액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킹이 제거된 음극 집전체는 상기 마스킹 되었던 상기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제외한 내부 기공 및 관통구에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되어 있다.
본원 발명은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는,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하며 서로 다른 2개의 전극들이 배치되는 모노셀(mono-cell), 또는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하며 인접하는 전극의 극성이 서로 다른 3개의 전극들이 배치되는 바이셀(bi-cell)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 또는 고체 전해질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수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셀로 포함하는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음극 집전체의 다공성 구조의 내부 기공 또는 관통구에서 리튬 플레이팅이 일어나기 때문에 리튬 덴드라이트가 상기 내부 기공 및 관통구에서 성장한다. 또한, 양극과 대면하는 방향에는 리튬 덴드라이트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양극 방향으로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여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리튬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극의 표면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마스킹 후 마스킹 부재를 제거하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쪽 음극 표면 SEM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마스킹을 하지 않아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이 형성된 음극 표면 SEM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음극의 SEM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음극의 SEM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마스킹 후 마스킹 부재를 제거하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쪽 음극 표면 SEM 사진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마스킹을 하지 않아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이 형성된 음극 표면 SEM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음극의 표면 사진이다.
도 11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음극의 SEM 사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이 형성된 면의 EDX 결과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이 형성된 면의 XRD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또한, 모든 수치 범위는 명확하게 제외한다는 기재가 없는 한, 양 끝의 값과 그 사이의 모든 중간값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 또는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제외한 면과 내부 기공 및 관통구에 코팅된 리튬 친화물질(lithiophilic material, LP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리튬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구리, 니켈, 스테인레스 포일(foil) 상에 리튬 금속이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음극에 리튬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고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의 장점이 있으며, 상기 리튬 금속은, 금속 상태의 리튬으로서, 다른 금속과 합금된 상태가 아닌 순수 리튬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리튬 금속은 음극 표면에 리튬 핵을 형성하고, 상기 리튬 핵이 나뭇가지 모양의 리튬 덴드라이트로 성장하여 분리막을 뚫고 내부 단락을 일으킬 위험이 높다.
이에, 본원 발명은, 특정 부분에서만 리튬이 쉽게 결합하여 리튬 핵이 생기는 것을 유도하기 위하여, 음극 집전체의 특정한 부분에만 리튬 친화물질을 코팅하였다.
구체적으로, 리튬 덴드라이트가 양극 방향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 또는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음극 집전체를 사용한다.
상기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라 함은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기공이 있는 형태로서, 상기 기공 내에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될 수 있도록 상기 기공은 개방형 기공(open pore)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구조는 음극 집전체의 표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홈의 바닥 및 측면에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리튬 친화물질 상에서 리튬 플레이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음극 집전체는 음극 집전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형태로서, 상기 관통구는 음극 집전체를 마이크로 니들로 펀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의 관통구 내에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리튬 친화물질 상에서 리튬 플레이팅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것이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는 그물(mesh)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물 형태로 이루어진 단일층 구조의 음극 집전체, 또는 그물 형태로 이루어진 단일층이 2개 이상 적층된 구조의 음극 집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의 내부 기공 또는 관통구에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되면, 상기 리튬 친화물질 상에서 리튬 플레이팅(Li plating)이 일어나, 리튬 핵이 형성되며, 상기 리튬 핵에서 성장한 리튬 덴드라이트는 상기 내부 기공 또는 관통구에서만 성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음극 집전체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리튬 덴트라이트가 성장하지 않는다.
상기 리튬 친화물질은 음극 집전체의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제외한 면에도 코팅이 될 수 있는 바, 해당 면의 리튬 친화물질 상에서 리튬 플레이팅이 일어나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할 수 있다.
반면에,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에는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면에서는 리튬 덴드라이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음극 집전체의 형태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 또는 미형성된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5 ㎛ 내지 30 ㎛ 두께가 바람직하며, 10 ㎛ 내지 20 ㎛ 두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가 30 ㎛ 초과이면 전극의 부피당 용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5 ㎛ 미만이면 전극 제조시 접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에서 전극 활물질층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음극은 음극 활물질층 없이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음극 집전체만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음극 집전체와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탄소재, 리튬 합금, 리튬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튬 합금은 리튬과 합금화가 가능한 원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리튬과 합금화가 가능한 원소로는 Si, Sn, C, Pt, Ir, Ni, Cu, Ti, Na, K, Rb, Cs, Fr, Be, Mg, Ca, Sr, Sb, Pb, In, Zn, Ba, Ra, Ge, Al 또는 이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의 두께는 0 ㎛ 내지 40 ㎛, 상세하게는 5 ㎛ 내지 40 ㎛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10 ㎛ 내지 20 ㎛일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집전체 상에 건식 또는 습식 공정에 의해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튬 친화물질은 금속 및 금속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은 금(Au), 은(Ag), 백금(Pt), 아연(Zn), 규소(Si) 및 마그네슘(Mg) 등이 해당되며, 상기 금속산화물은 비금속으로서 구리산화물, 아연산화물, 코발트 산화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구체적으로,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 또는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음극 집전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음극 집전체의 상기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된 음극 집전체를 리튬 친화물질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전극조립체 제조시 양극과 대면하는 음극 집전체의 제 1 면에서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리튬이 플레이팅되기 쉬운 리튬 친화물질은 양극과 대면하지 않는 제 2 면에 코팅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면을 마스킹하고, 음극 집전체 표면 전체에 리튬 친화물질을 코팅을 한 후,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세척하여 상기 마스킹을 제거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음극 집전체는, 내부 기공 또는 관통구에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되어야 하는 바, 상기 마스킹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마스킹액은 상기 음극 집전체의 내부 기공 또는 관통구에는 도포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음극 집전체의 내부 기공 크기와 관통구의 지름은 마스킹액이 침투되지 않는 크기가 되어야 하는 바, 마스킹액의 점도, 표면장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는, 상기 마스킹을 위하여 폴리이미드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친화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액침(Immers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용액 캐스팅(Solution Casting), 드랍 코팅(Drop Coating),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는 단계 후, 리튬 친화물질 코팅액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바, 세척 과정에 의해, 상기 음극 집전체 표면에 코팅되지 못한 잉여 리튬 친화물질과 상기 리튬 친화물질 코팅액이 제거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양극 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상기 양극 합제에는, 필요에 따라, 바인더, 도전재, 충진재 등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서,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2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 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 2) 등의 층상 화합물;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망간 산화물; 화학식 LiNi 1-yM yO 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Cr, Zn 또는 Ga 이고 상기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0.01≤y≤0.7 임)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계 산화물; Li 1+zNi 1/3Co 1/3Mn 1/3O 2, Li 1+zNi 0.4Mn 0.4Co 0.2O 2 등과 같이 Li 1+zNi bMn cCo 1-(b+c+d)M dO (2-e)A e (여기서, -0.5≤z≤0.5, 0.1≤b≤0.8, 0.1≤c≤0.8, 0≤d≤0.2, 0≤e≤0.2, b+c+d<1 임, M = Al, Mg, Cr, Ti, Si 또는 Y 이고, A = F, P 또는 Cl 임)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복합산화물; 화학식 Li 1+xM 1-yM' yPO 4-zX z(여기서, M = 전이금속, 바람직하게는 Fe, Mn, Co 또는 Ni 이고, M' = Al, Mg 또는 Ti 이고, X = F, S 또는 N 이며, -0.5≤x≤+0.5, 0≤y≤0.5, 0≤z≤0.1 임)로 표현되는 올리빈계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카본;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 부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전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제;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조립체는.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하며 서로 다른 2개의 전극들이 배치되는 모노셀(mono-cell), 또는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하며 인접하는 전극의 극성이 서로 다른 3개의 전극들이 배치되는 바이셀(bi-cel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셀은 음극,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음극에서 분리막과 대면하는 면에 마스킹을 한 상태에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다공성 기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원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극의 제조
<실시예 1>
그물(mesh) 구조의 구리(copper) 집전체의 일측면에 마스킹 부재로서 폴리이미드 테이프를 부착하였다.
상기 마스킹 부재가 부착된 구리 집전체를 리튬 친화물질(LPM) 코팅액에 10초간 담지하여 LPM 코팅을 수행했다.
상기 LPM 코팅액은 에탄올에 HAuCl 4를 2 ㎎/㎖의 농도로 용해한 것을 사용하였다.
LPM이 코팅된 음극 집전체에서 폴리이미드 테이프를 떼어낸 후, 표면에 남은 LPM 코팅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음극 집전체를 세척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폴리이미드 테이프가 부착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LPM 코팅이 형성된 음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극의 표면 사진을 도 1에 게재하고, 상기 음극의 SEM 사진을 도 2 내지 도 4에 게재하였다. 도 1에서 (a)는 마스킹 후 마스킹 부재를 제거하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쪽 표면이고, (b)는 마스킹을 하지 않아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이 형성된 표면이다.
도 2는 마스킹 후 마스킹 부재를 제거하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쪽 음극 표면이고, 도 3은 도 2의 흰색 사각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마스킹을 하지 않아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이 형성된 음극 표면이다.
도 4는 그물 구조의 구리 집전체에서 두께 방향 표면으로, 코팅된 LPM 입자가 확인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LPM 코팅액의 HAuCl 4 농도를 2 ㎎/㎖에서 5 ㎎/㎖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음극의 SEM 사진을 도 5에 게재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표면에 LPM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LPM 코팅액의 HAuCl 4를 AgNo 3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음극의 SEM 사진을 도 6에 게재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표면에 LPM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구리 집전체를 브론즈(bronze) 집전체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음극의 SEM 사진을 도 7 내지 도 9에 게재하였다.
도 7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마스킹 후 마스킹 부재를 제거하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쪽 음극 표면 SEM 사진이고, 도 8은 도 7의 흰색 사각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9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마스킹을 하지 않아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이 형성된 음극 표면 SEM 사진이다.
<비교예 1>
LPM 코팅을 수행하지 않은 표면이 매끈한 구리 집전체를 준비하여 음극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음극의 표면 사진을 도 10에 게재하였다.
<비교예 2>
LPM 코팅을 수행하지 않은 그물 구조의 구리 집전체를 준비하여 음극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음극의 SEM 사진을 도 11 및 도 12에 게재하였다. 도 12는 도 11의 흰색 사각 부분의 확대도이다.
<비교예 3>
마스킹 부재를 도포하지 않은 그물 구조의 구리 집전체를 2 ㎎/㎖의 HAuCl 4를 에탄올에 용해한 LPM 코팅액에 10초 동안 담지하여 구리 집전체의 양면에 LPM 코팅층이 형성된 음극을 제조하였다.
쇼트 발생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음극을 사용하여 coin cell을 제조하였다.
양극 형성용 슬러리 제작을 위하여, 양극 활물질로서 NCM811, 도전재로서 Carbon 및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를 95 : 2 : 3 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양극 형성용 슬러리를 알루미늄 집전체 상에 두께가 20 ㎛가 되도록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120 ℃에서 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상기 진공 건조 결과물을 롤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연 공정을 진행하여 3 mAh/cm 2의 양극을 제조하였다.
액체 전해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메틸카보네이트의 부피비(부피%)가 3 : 7이 되도록 혼합한 혼합물에 리튬염으로서 LiPF 6 1 M, 비닐렌 카보네이트 0.5 부피%, 및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1 부피%를 추가하였다.
상기 액체 전해질과 상기 양극과 음극을 이용하여 coin cell을 제조하였고, 상기 coin cell을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충방전을 진행하면서 쇼트가 발생하는 충방전 횟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충전 조건: CC(정전류)/CV(정전압), 4.25 V, 0.5 C, 0.1C current cut-off
방전 조건: CC(정전류) 조건 3V, 0.5C
상기 쇼트가 발생하는 충방전 횟수는, 상기 충방전 조건으로 수명 평가 진행 중, cut-off 전압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전압이 상승되지 않고,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거나 또는 전압이 낮아지는 시점을 의미한다.
Cycle (충방전 횟수)
실시예 1 31
실시예 2 27
실시예 3 25
실시예 4 23
비교예 1 3
비교예 2 6
비교예 3 16
추가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극에서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이 형성된 면의 EDX 결과는 도 13과 같이 나타났고, XRD 결과는 도 14와 같이 나타났다.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리튬 친화물질 코팅층에서 Au가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LPM 코팅이 형성된 경우 단락이 잘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음극 집전체 양면에 LPM 코팅이 형성되는 경우와 일면에 LPM코팅이 형성되는 경우를 비교하면,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더 빨리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분리막과 대면하는 음극에도 LPM 코팅이 형성되면, 양극 측으로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여 분리막을 뚫고 단락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LPM 코팅액에 용해된 금속염의 농도 및 종류에 따라 다소 단락 발생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나, LPM 코팅액이 일측면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집전체의 종류와 상관없이, 비교예의 음극을 사용하는 것 보다 수명 특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잇다.
본원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음극 집전체의 다공성 구조의 내부 기공 또는 관통구에서 리튬 플레이팅이 일어나기 때문에 리튬 덴드라이트가 상기 내부 기공 및 관통구에서 성장한다. 또한, 양극과 대면하는 방향에는 리튬 덴드라이트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양극 방향으로 리튬 덴드라이트가 성장하여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리튬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음극 집전체는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 또는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며,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제외한 상기 다공성 구조 또는 상기 관통구의 표면에 리튬 친화물질(lithiophilic material, LPM)이 도포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친화물질 상에서 리튬 플레이팅(Li plating)이 일어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친화물질은 금속 및 금속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친화물질은 Au, Ag, Pt, Zn, Si 및 Mg을 포함하는 금속 및 CuO, ZnO, CoO 및 MnO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으로서,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 또는 상하면이 관통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음극 집전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음극 집전체에서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된 음극 집전체를 리튬 친화물질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액침(Immers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용액 캐스팅(Solution Casting), 드랍 코팅(Drop Coating),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를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진행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하는 단계는 음극 집전체의 제 1 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는 단계 후, 리튬 친화물질 코팅액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이 제거된 음극 집전체는 상기 마스킹 되었던 상기 양극과 대면하는 제 1 면을 제외한 내부 기공 및 관통구에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하며 서로 다른 2개의 전극들이 배치되는 모노셀(mono-cell), 또는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하며 인접하는 전극의 극성이 서로 다른 3개의 전극들이 배치되는 바이셀(bi-cell)인 전극조립체.
PCT/KR2021/005192 2020-04-27 2021-04-23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2139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97726.3A EP4145560A1 (en) 2020-04-27 2021-04-23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ated with lithiophilic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22539034A JP2023508087A (ja) 2020-04-27 2021-04-23 リチウム親和物質がコーティングされ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180007446.5A CN114846646A (zh) 2020-04-27 2021-04-23 涂布有亲锂材料的锂二次电池用负极及其制造方法
US17/791,101 US20230045571A1 (en) 2020-04-27 2021-04-23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lithiophilic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738 2020-04-27
KR1020200050738A KR20210132402A (ko) 2020-04-27 2020-04-27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1397A1 true WO2021221397A1 (ko) 2021-11-04

Family

ID=7837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5192 WO2021221397A1 (ko) 2020-04-27 2021-04-23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45571A1 (ko)
EP (1) EP4145560A1 (ko)
JP (1) JP2023508087A (ko)
KR (1) KR20210132402A (ko)
CN (1) CN114846646A (ko)
WO (1) WO2021221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6438A (zh) * 2021-12-07 2022-03-08 南京宇博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多孔Cu-Si合金薄膜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221A (ja) * 1998-11-19 2000-06-06 Toshiba Battery Co Ltd 集電体の処理方法および集電体処理装置
KR100366345B1 (ko) * 2001-01-03 2002-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음극 극판
KR100425585B1 (ko) 2001-11-22 2004-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교 고분자 보호박막을 갖춘 리튬 고분자 이차 전지 및그 제조 방법
KR101914171B1 (ko) * 2015-05-19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나트륨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 전지
KR20190013630A (ko) 2017-08-01 2019-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0931708A (zh) * 2019-12-19 2020-03-27 清华大学 一种锂离子和锂金属电池参比电极的制备方法
KR20200050738A (ko) 2018-11-02 2020-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Eeprom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eeprom의 데이터 기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3116A (ja) * 1998-02-16 1999-08-27 Canon Inc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構造体、そ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N102683656B (zh) * 2012-04-26 2014-10-29 宁波杉杉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性能锂离子电池多孔薄膜硅基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6052934A1 (ko) * 2014-09-29 201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애노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상기 리튬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애노드의 제조방법
CN105932295A (zh) * 2016-04-22 2016-09-07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金属锂二次电池及其负极和多孔铜集流体
KR102160701B1 (ko) * 2016-07-18 2020-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천공 구조의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7910496B (zh) * 2017-10-09 2020-08-14 中南大学 一种二次电池用金属锂负极、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428858A (zh) * 2018-04-12 2018-08-21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稳定的锂金属负极
CN109088051A (zh) * 2018-07-26 2018-12-25 山东大学 一种表面无枝晶的高安全性金属锂负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28829B (zh) * 2018-08-14 2022-01-11 中南大学 一种3d亲锂多孔金属集流体、负极及其制备和应用
CN109449443A (zh) * 2018-09-13 2019-03-08 安庆师范大学 一种多孔石墨烯/银纳米粒子复合锂金属二次电池负极集流体的制备方法
CN109546141A (zh) * 2018-12-14 2019-03-29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锂金属复合电极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CN110504454A (zh) * 2019-08-30 2019-11-26 山东大学 一种基于扩散偶制备的三维多孔集流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221A (ja) * 1998-11-19 2000-06-06 Toshiba Battery Co Ltd 集電体の処理方法および集電体処理装置
KR100366345B1 (ko) * 2001-01-03 2002-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음극 극판
KR100425585B1 (ko) 2001-11-22 2004-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교 고분자 보호박막을 갖춘 리튬 고분자 이차 전지 및그 제조 방법
KR101914171B1 (ko) * 2015-05-19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나트륨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 전지
KR20190013630A (ko) 2017-08-01 2019-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00050738A (ko) 2018-11-02 2020-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Eeprom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eeprom의 데이터 기록 방법
CN110931708A (zh) * 2019-12-19 2020-03-27 清华大学 一种锂离子和锂金属电池参比电极的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U GUANGMEI; SUN QIDI; AI QING; REN XIAOHUA; XU XIAOYAN; GUO HUANHUAN; GUO SHIRUI; ZHANG LIN; FENG JINKUI; DING FEI; AJAYAN PULIC: "Growth direction control of lithium dendrites in a heterogeneous lithiophilic host for ultra-safe lithium metal batteries", JOURNAL OF POWER SOURCES, ELSEVIER, AMSTERDAM, NL, vol. 416, 1 January 1900 (1900-01-01), AMSTERDAM, NL, pages 141 - 147, XP085599023, ISSN: 0378-7753, DOI: 10.1016/j.jpowsour.2019.01.07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8087A (ja) 2023-02-28
EP4145560A1 (en) 2023-03-08
CN114846646A (zh) 2022-08-02
US20230045571A1 (en) 2023-02-09
KR20210132402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21388A1 (ko) 집전체가 산화 처리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16167B2 (en) Anode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WO2018155834A1 (ko)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8124636A1 (ko)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21080052A1 (ko) 리튬 메탈 음극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상기 리튬 메탈 음극 구조체의 제조방법
WO2015005694A1 (ko) 전지 수명을 향상시키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5020338A1 (ko) 플렉시블 집전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WO2012093864A2 (ko) 비대칭 코팅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8093240A2 (ko)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9013557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221389A1 (ko) 프라이머가 코팅된 집전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77403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WO2018147558A1 (ko) 장수명에 적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WO2013168853A1 (ko)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133127A1 (ko) 수계 양극용 슬러리, 양극 조성물 및 이 양극 조성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WO201914708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WO2021221397A1 (ko) 리튬 친화물질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12607A1 (ko) 이차전지용 양극재의 제조방법
WO2016122196A1 (ko) 전극, 전지 및 전극의 제조 방법
WO2020231121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19225939A1 (ko)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7082680A1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135525A1 (ko)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의 전리튬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리튬 메탈 적층체
WO2019093869A2 (ko)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WO2022098151A1 (ko) 코팅층과 이온 전달층을 포함하는 전고체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977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903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977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