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66538A1 -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66538A1
WO2019066538A1 PCT/KR2018/011508 KR2018011508W WO2019066538A1 WO 2019066538 A1 WO2019066538 A1 WO 2019066538A1 KR 2018011508 W KR2018011508 W KR 2018011508W WO 2019066538 A1 WO2019066538 A1 WO 20190665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nt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extracellular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5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수영
박은주
최은욱
이원종
Original Assignee
(주)프로스테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스테믹스 filed Critical (주)프로스테믹스
Priority to JP202051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0535189A/ja
Priority to CN201880063858.9A priority patent/CN111163755A/zh
Priority to US16/651,876 priority patent/US20200254044A1/en
Priority to EP18861914.2A priority patent/EP3689329A1/en
Publication of WO20190665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665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61K36/8888Pin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rious uses of compositions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wrinkles are caused by skin aging, and aged skin is the sum of natural changes associated with the aging process.
  • Skin aging is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physiological aging, which indicates changes in skin function, structure or shape related to age, and photoaging due to ultraviolet rays.
  • Dermatological atrophy is a typical aging phenomenon after 70 years of age. Changes in the dermis are caused by changes in the number of fibroblasts and of substances with large molecular weights in the extracellular matrix due to a decrease in their ability to synthesize them. Specific changes include separation of collagen bundles, reduction of point polysaccharide synthesis, reduction in the number and diameter of collagen and elastic fibers, collagen and elastic fiber grinding, and expansion of blood vessels. Generally, among the various complex factors such as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collagen content, and immun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collagen degradation enzymes such as collagenase, collagenase and collagen, which reduce collagen production and collagen content, It is the active amount and activity of the genesis.
  • the skin color of a person is determined by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melanin in the skin.
  • the melanin pigment which is produced in melanocytes of human skin, is a phenolic high molecular substance having a complex form of black pigment and protei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blocking sk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It has been reported that tyrosinase, which is present in melanin cells, is the most important for melanin biosynthesis. Tyrosinase is a kind of amino acid tyrosine, which is an intermediate product of melanin polymer production (DOPA) and dopaquinone (dopaquinone), it plays a key role in the skin blackening process.
  • DOPA melanin polymer production
  • dopaquinone dopaquinone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comprising a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having various effects such as skin improvement, hair loss treatment and wound treatment.
  • the skin consists of the epidermis, the dermis and the subcutaneous tissue.
  • the outer skin of the skin consists of a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which acts as a protective barrier against the external environment.
  • the epidermis is divided from the outside into stratum corneum, stratum lucidum, stratum granulosum, stratum spinosum and stratum basale.
  • the dermis is the layer between the epidermis and the subcutaneous tissue. It is divided into the papillary dermis and the reticular dermis.
  • the dermis is composed of blood vessels, collagen, elastin fibers, pores, lipids, sebaceous glands, Sensory nerves, fibroblasts, and macrophages, and they occupy the largest portion of the skin.
  • the dermis consists mainly of collagen and elastin fibers, which play a role in supporting the skin. Therefore, when such a dermis is troubled, wrinkles occur and skin elasticity is lost and the skin ages.
  • Collagen is known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skin regeneration, skin moisture content, wound healing and wrinkle improvement, and is produced from fibroblasts.
  • Collagen has a function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water, and serves to supply moisture to the dermis. When aging occurs, collagen's water-containing function is deteriorated and wrinkles are increased. Collagen also causes wound healing by filling the wound with continuous collagen production of fibroblasts when a wound is developed.
  • hair loss is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oor growth of hair and lack of growth factors promoting growth of hair follicle cells.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rapeseed, daphnia, or wild ginseng adventitious rosaceae are excellent in skin permeability and exhibit effects such as wound healing, skin moisturizing, skin whitening, And the hair growth and hair growth effect were also excellent. Thus, the present invention was accomplished.
  •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may be contained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 ⁇ g / ml.
  • a skin-improving food composition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may be contained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 ⁇ g / ml.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wounds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may be contained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 ⁇ g / ml.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may be contained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 ⁇ g / ml.
  •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may be contained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 ⁇ g / ml.
  •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may be contained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 ⁇ g / ml.
  • extracellular < RTI ID 0.0 > vesicle " refers < / RTI > to a small vesicle of membrane structure that is secreted from various cells and is also defined as a nanobeicle.
  • the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has a diameter of about 30 to 1,000 nm, preferably an average diameter of 100 to 300 nm, which refers to a follicle that is fused with the plasma membrane and released into the extracellular environment.
  • plant is understood to include not only mature plants but also plant cells, plant tissues and plant seeds that develop into mature plants.
  • the kind of plant which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a pl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peseed, sewage and cultured wild ginseng can be used.
  • the kinds of plant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kinds, and they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 if they belong to plants.
  • wild ginseng is an example of a plan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unctional ingredients, and is natural ginseng grown in the mountains belonging to Araliacea and Panax ginseng CA Meyer.
  • the flower-bearing peduncle belongs to the flowering plants that come out with leaves and stems, and also belongs to the pizza plants, and is a semi-ominous plant. It has been recorded as 'Shinsho' in Dongbokgop, and it has been used as a variety of disease remedy and aphrodisiac since it is a rare plant treated as a mysterious dragon.
  • the wild ginseng is classified into four kinds such as ten kinds, geographical species, race, campho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classified into four kinds of ginseng (natural ginseng) It is the rabbit raised by sowing this seed and the camphor (ginseng) which picked up the seed of the wild ginseng and artificially cured it in the wild state by sowing in the deep mountain.
  • wild ginseng is a very precious plant that is not easy to cultivate because it does not come out well even if seeds are sprinkled, and even if it grows, it does not pass for many years and rots away.
  • wild ginseng adventitious ginseng can be used as the wild ginseng.
  • the ginseng adventitious roots can be obtained by a plant tissue culture method know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the method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0353636 and No. 0392513, but the specific production method is specifically limited It is not.
  • Pinellia tripartita refers to the genus Neptunium and plant. It is a perennial plant and has a round bloom in the ground. Its fruit is juicy and has seeds in its inner part. It is elliptical, elliptical, ripened in green.
  • the term "rapeseed” is Brassica napus, a bi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Populus cruciferosa, and flowers bloom on the end of the branch in April.
  • the fruit i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ng beak at the end, with a suture line at the center, and when ripened, the suture line is split and 20 dark brown seeds come out. It is distributed in Japan, China and Korea, and it can be cultivated in the whole country.
  • white soda refers to white soda of two types, red and white, of Suseo. Asclepiadaceae, Cynanchum wilfordii Hemsley. It has the efficacy of nutrition and blood, and it is used for weakness, anemia, early white hair, nervous breakdown, and chronic bloating. .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But are not limited to, silicates,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or sterilized injection solutions,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when formulating the composition, it can be prepared using a diluent or an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 surfactant, and the like.
  • the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 solid preparations can be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may also be used.
  • liquid preparation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suspending agent example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 suppository base examples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pap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or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erial, intramedullary, intrathecal, intracardiac, transderm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nasal, , Sublingual or rectal.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s preferred.
  • parenteral as used herein includes subcutaneous, intraderm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icular, intrasynovial, intrasternal, intrathecal, intralesional and intracranial injection or infusion techniqu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suppositories for rectal administr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activity of the specific compound used, age, weight, general health, sex, diet,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drug combination, And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body weight, the degree of disease, the type of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period of time, and is preferably from 0.0001 to 50 mg / kg or 0.001 to 50 mg / kg.
  • the administration may be carried out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The dos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into pills, dragees, capsules, solutions, gels, syrups, slurries, suspension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various foods such as beverages, gums, tea, vitamin complexe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confectionery, rice cakes and breads. Since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ant extract having little toxicity and side effects, it can be safely used for prolonged use even for prophylactic purposes.
  • the amount thereof may be added in a proportion of 0.1 to 50% of the total weight.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disaccharides such as fruc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sugar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can do.
  • natural flavors include natural flavors (such as tau martin and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and glycyrrhizin) and synthetic flavors (for example, saccharine and aspartam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lavoring agent such a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a preservative, a glycerin, an alcohol,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drink, and the like.
  • a flavoring agent such a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a preservative, a glycerin, an alcohol,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drink, and the like.
  • additive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so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1 to about 5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smetics, nutritional lotions, nutritional essences, massage cream, cosmetic bath additives, body lotion, body milk, bath oil, baby oil, baby powder, shower gel, Creams, suntan creams, skin lotions, skin creams, sunscreen cosmetics, cleansing milks, depilatory creams, facial and body lotions, face and body creams, skin whitening creams, hand lotions, hair lotions, cosmetic creams, jasmine Oil, bath soap, water soap, soap, shampoo, hand cleanser, medicinal soap ⁇ non-medical use ⁇ , cream soap, facial wash, whole body cleanser, scalp cleaner, hair rinse, makeup soap, tooth whitening gel, toothpaste And the lik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olvent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or a sui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 water, saline solution, DMSO,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th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include purified water, oil, wax But are not limited to, fatty acids, fatty acid alcohols, fatty acid esters, surfactants, humectants, thickeners, antioxidants, viscosity stabilizers, chelating agents, buffers, lower alcohols and the like. Further, if necessary, it may contain a whitening agent, a moisturizing agent, a vitamin, an ultraviolet screening agent, a perfume, a dye, an antibiotic, an antibacterial agent, and an antifungal agent.
  • oil hydrogenated vegetable oil, castor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alm oil, jojoba oil and avocado oil may be used.
  • wax examples include wax, wax, carnauba, candelilla, montan, ceresin, liquid paraffin, Can be used.
  • fatty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may be used.
  • fatty acid alcohol cetyl alcohol, octyldodecanol, oleyl alcohol, panthenol, lanolin alcohol, stearyl alcohol and hexadecanol may be used.
  • fatty acid esters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and butyl stearate may be used.
  • surfactant a cat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nd a nonionic surfactant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nd a surfactant derived from a natural material is preferably used.
  • it may contain a hygroscopic agent, a thickening agent, an antioxidant and the like widely known in the field of cosmetics, and the kind and amount thereof are well known in the art.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which comprises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l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peseed, sewage and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hair growth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plant is composed of rapeseed, Wherein the food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hair growth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plant is in the form of rapesee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or improvement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said pla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peseed, At least one cosmetic compositio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or improvement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plant is composed of rapeseed, Wherein the food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growing hair or preventing hair loss by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extracellular vesicles of plants to a subject to be treated in an effective amount, And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aphnia magna and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hair growth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plant is in a group consisting of rapeseed, At least one selected.
  • the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kin permeability and is excellent in skin improving effect such as skin moisturization, skin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and aging prevention upon absorption, and is free from stimulation or side effects Do.
  • the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cell proliferation at a wound site, increases the expression amount of a growth factor and the like that are excellent in wound healing effect, and has an excellent wound healing or wound healing promoting activity.
  • the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promoting hair growth and hair growth, so that it is excellent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air loss and is safe without ingestion or application to skin.
  • Figure 1 is a western blot of the amount of hair growth related PCN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the amount of density value of hair growth related PCN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result of the relative amount of mRNA relative to the amount of hair growth related gene express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issue culture solution or juice of rapeseed, white sardine and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was centrifuged at 4 ° C for 10 minutes, and the supernatant was taken and centrifuged at 1,200 g at 4 ° C for 20 minutes, g for 30 minutes at 4 ° C, and the supernatant was centrifuged at 110,000 g at 4 ° C for 1 hour and 10 minutes using an ultracentrifuge.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the pellet was suspended in PBS The microvesicles were separated.
  • the amount of PCNA was comparatively confirmed (see FIGS. 1 and 2) by Western blotting after the sample treatment with respect to the micro-endoplasmic reticulum of Example 1.
  • the expression of minoxidil which is a positive control, was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soybean, oilseed rape, white ginseng, and wild ginseng cultured muscle.
  • the expression of white blood cell microinfarcts was more than 20% higher.
  • the hair growth related gene was confirmed (see FIG. 3). As a result, although the difference in the tendency was observed for each gene, the gene expression was increased in the microemic vesicles derived from soybean, oilseed rape, white ginseng and wild ginseng cultured muscle. In particular, the four genes identified in the case of the papillomic oocyt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ene expression than the positive control minoxidil.
  • the plant-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kin permeability and has excellent skin improving effects such as skin moisturization, skin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and anti-aging at the time of absorption and promotes cell proliferation at the wound site,
  • the amount of expression of a growth factor and the like excellent in the wound healing effect is increased, and it has an excellent wound healing or wound healing promoting activity.
  •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cosmetic composition and a food com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다양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다양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 및 공중위생 혜택이 개선됨에 따라 초고령화 사회가 급속히 도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의 질적인 향상이 도모되고 있으며 젊음의 유지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외모, 특히 피부에서 가장 먼저 나타내게 되는 노화를 지연시키고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주름은 피부의 노화로 생기며, 노화된 피부라 함은 노화의 과정과 연관된 자연적 변화의 총체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피부 표면 전체에서 나이와 관련된 피부 기능, 구조 또는 모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생리적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구분된다.
피부에 노화가 진행되면 진피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70세 이후 나타나는 진피위축은 대표적인 노화 현상이다. 진피의 변화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숫자와 이들의 합성 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세포 외 기질 중 큰 분자량을 가진 물질들의 변화로 발생된다. 그 구체적인 변화는 콜라겐 다발의 분리, 점다당질 합성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elastin) 수와 직경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 분쇄 및 혈관의 팽창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 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과 콜라겐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발현량과 활성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된다. 인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자외선으로 발생하는 피부손상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멜라닌 생합성에는 멜라닌 세포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의 작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을 멜라닌 중합체 생성의 중간산물인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함으로써 피부 흑화 과정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환경오염,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인해 호르몬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탈모 발생율이 높아지고, 발생 연령도 낮아지고 있고, 피부면역시스템의 부조화가 초래되어 아토피와 건선과 같은 다양한 피부질환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인스턴트 음식, 육류중심의 식생활변화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비만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가지 현상 예를 들어, 내인성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주름발생, 기미 또는 주근깨, 비만, 면역불균형 및 탈모 등과 같은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물질 개발이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개선, 탈모 치료 및 상처 치료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피부(skin)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및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으로 이루어진다. 피부의 바깥층인 표피는 중층편평상피(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로 구성되며, 외부 환경에 대한 신체의 보호 장벽으로 작용한다. 표피는 바깥에서부터 각질층(stratum corneum), 투명층(stratum lucidum), 과립층(stratum granulosum), 유극층(stratum spinosum) 및 기저층(stratum basale)으로 나뉜다. 진피는 표피와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 사이의 층으로서, 유두층(papillary dermis) 및 망상층(reticular dermis)으로 나뉘며, 표피에는 없는 혈관, 콜라겐, 엘라스틴 섬유, 모공, 입모근, 피지선, 한선, 여러 가지 감각신경, 섬유아세포 및 대식세포 등이 존재하며 피부 중 가장 많은 부위를 차지한다.
진피는 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피에 문제가 발생하면 주름이 생기고 피부탄력이 없어져서 피부노화가 진행된다. 콜라겐은 피부재생, 피부 함수율, 상처치유 및 주름개선 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섬유아세포로부터 생성된다. 콜라겐은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진피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노화가 되면 콜라겐의 수분 함유 기능이 떨어지게 되어 주름이 늘어나게 된다. 콜라겐은 또한 상처가 생겼을 때 섬유아세포의 지속적인 콜라겐 생성으로 상처 부위를 메워주어 상처치유 작용도 한다.
또한, 현대 사회는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생체가 서서히 손상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한 모발 손실이 커다란 사회 이슈가 되고 있다. 모발 손실은 모발 성장의 부진과 모근 세포의 성장촉진을 하는 성장인자의 결핍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탈모는 정신적 스트레스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많은 지장을 준다. 사회 생활에 있어서 외모에서 풍기는 이미지는 매우 인상적으로 다가가며, 그 외모의 중요성이 자존감이나 사회생활의 보이지 않는 활력소가 된다는 점에서 탈모 원인과 치료에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탈모의 효과가 있는 경우에 상처치유의 효과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특허 제10-2013-0075981호 참조). 이는 신호 전달체계가 서로 공유되거나 서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고, 실제로 본 발명의 일구체에서 발모효과가 있는 경우에 상처치유도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식물 중에서도 특히 대반하, 유채, 하수오 또는 산삼 부정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고, 피부에 흡수 시 상처 치료,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하며, 그 외에 발모 및 육모 효과 또한 뛰어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 외 소포체"는 다양한 세포들로부터 분비되는 막 구조의 작은 소낭을 의미하며, 나노베지클(nanovesicle)로도 정의된다. 세포 외 소포체의 직경은 대략 30 ~ 1,000 nm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이 100 ~ 300nm이며, 다낭체와 원형질막의 융합이 일어나 세포 밖 환경으로 방출되는 소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식물"은 성숙한 식물뿐만 아니라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있는 식물 세포, 식물 조직 및 식물의 종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의 종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조직 배양한 산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의 종류는 상기 열거한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식물에 속한다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삼"은 산삼은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식물의 하나의 예로, 오갈과(Araliacea),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에 속하는 산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는 인삼으로, 새싹이 나올 때, 꽃을 맺는 꽃대가 잎 및 줄기와 함께 나오는 현화식물에 속하면서 피자식물에도 속하며, 반음지성식물이다. 동의보감에서는 '신초'라 기록된 바 있으며, 예로부터 신비한 영약으로 취급되는 희귀식물로서 여러 다양한 질병치료제 및 보양제로 이용되어왔다. 산삼은 천종, 지종, 인종, 장뇌 이상의 4가지로 분류되는데, 상세하게는 자연적으로 산에서 나서 씨가 떨어져 생긴 천종(천연산삼), 야생동물이나 조류가 산삼 씨를 먹고 산중에 배설하여 자란 지종, 사람이 씨를 뿌려 자란 인종, 및 산삼의 종자를 채취하여 깊은 산속에 씨를 뿌려 야생상태로 인위적으로 양생시킨 장뇌(가삼)이다. 일반적으로는 야생산삼은 종자를 뿌려도 싹이 잘 나오지 않고, 설사 자란다고 해도 몇 년을 넘기지 못하고 썩어 없어지는 경우가 많아 재배가 쉽지 않은 아주 귀한 식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삼으로, 산삼 부정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삼 부정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식물조직배양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0353636호 및 제0392513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대반하"의 학명은 Pinellia tripartita으로 천남성목과 식물을 말한다. 여러해살이풀이며,땅 속에 둥근 알줄기가 있으며,열매는 수분이 많고 속에 씨가 있는 장과(漿果)이고 타원형이며, 녹색으로 익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유채"의 학명은 Brassica napus로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로, 꽃은 4월경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끝에 긴 부리가 있는 원주형이며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익으면 봉합선이 갈라지며 20개 암갈색의 종자가 나온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일본, 중국, 한국에 분포하며 국내 전역에 서식가능하나 주로 남부에서 재배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백하수오"는 하수오(何首烏)의 적색과 백색 두 종류 중 백색의 하수오를 일컫는 것이다.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큰조롱(Cynanchum wilfordii Hemsley) 이며 자양강장, 보혈(補血)의 효능이 있어, 병후쇠약, 빈혈, 조기백발(早期白髮), 신경쇠약, 만성풍비(慢性風痺)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물추출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 혹은 이를 포함하는 여액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용 식품 조성물관한 것으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의 유효량을 목적하는 피검체에 투여하여 모발을 성장시키거나 탈모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면서, 흡수 시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상처 부위에서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고, 상처 치유 효과가 뛰어난 성장 인자 등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우수한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 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탈모의 방지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나며, 이를 섭취하거나 피부에 도포하여도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발모관련 PCNA의 양에 대한 웨스턴블롯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발모관련 PCNA의 density value양에 대한 결과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발모관련 유전자 발현양에 대한 mRNA의 상대적인 양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인체 두피 조직을 통해 모낭으로부터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세소포체의 분리
대반하, 유채, 백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의 조직배양액 또는 착즙액을 4℃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1,200g에서 4℃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취하여 10,000g로 4℃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초원심분리기를 이용해 110,000g로 4℃에서 1시간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제거하여 침전물(pellet)을 PBS로 현탁하여 미세소포체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2. 분리된 미세소포체의 효능 확인
발모 관련 단백질 발현 확인
발모관련 유전자의 단백질 수준에서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미세소포체에 대하여 시료 처리 후 웨스턴 블롯을 통해 PCNA의 양을 비교 확인하였다(도 1 및 2 참조). 그 결과 대반하, 대두, 유채, 백수오, 산삼배양근 유래 미세소포체 모두에서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과 동등하거나 높은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백하수오 미세소포체의 발현이 약 20% 이상 높았다.
발모 관련 유전자 발현 확인
발모촉진 효과에 대한 추가 검증을 위하여 발모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그 결과 유전자별로 경향성에 대한 차이는 보였지만 대반하, 대두, 유채, 백수오, 산삼배양근 유래 미세소포체에서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백수오 미세소포체의 경우 확인한 4종류 유전자에서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보다 현저히 높은 유전자 발현을 보였다.
인체 모낭조직을 이용한 유효성 평가
동물시험을 대체 할 수 있는 유효성 평가 방법으로서 인체모낭 조직을 활용한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병원에서 사고 및 수술에 의해 버려지게 되는 인체 두피 조직을 통해 모낭(hair follicle)을 분리하여 5일간 양성 대조군인 미녹시딜과 시료를 처리 후 그 길이를 측정 함으로서 길이 생장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도 4 참조). 양성대조군에 비해서, 백하수오 미세소포체가 현저한 길이 생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면서, 흡수 시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처 부위에서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고, 상처 치유 효과가 뛰어난 성장 인자 등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우수한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유효성분을 약학조성물, 화장료조성물 및 식품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3.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식품 조성물.
  5.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학 조성물.
  7.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9.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식품 조성물.
  11.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약학 조성물.
  13.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의 유효량을 목적하는 피검체에 투여하여 모발을 성장시키거나 탈모를 방지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
  15.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용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대반하, 유채, 하수오 및 산삼 부정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
PCT/KR2018/011508 2017-09-28 2018-09-28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0665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17929A JP2020535189A (ja) 2017-09-28 2018-09-28 植物由来の細胞外小胞体を含む組成物
CN201880063858.9A CN111163755A (zh) 2017-09-28 2018-09-28 包含植物来源的胞外囊泡的组合物
US16/651,876 US20200254044A1 (en) 2017-09-28 2018-09-28 Composition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P18861914.2A EP3689329A1 (en) 2017-09-28 2018-09-28 Composition comprising 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06 2017-09-28
KR20170125906 2017-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538A1 true WO2019066538A1 (ko) 2019-04-04

Family

ID=659020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1490 WO2019066121A1 (ko) 2017-09-28 2017-10-18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PCT/KR2018/011508 WO2019066538A1 (ko) 2017-09-28 2018-09-28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1490 WO2019066121A1 (ko) 2017-09-28 2017-10-18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54044A1 (ko)
EP (1) EP3689329A1 (ko)
JP (1) JP2020535189A (ko)
KR (1) KR102207364B1 (ko)
CN (1) CN111163755A (ko)
WO (2) WO2019066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790A (zh) * 2020-02-25 2020-06-19 暨南大学 茶叶外囊泡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54922A1 (en) * 2019-10-01 2022-1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inger 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use thereof
KR102248258B1 (ko) * 2020-05-04 2021-05-04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녹차 식물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WO2022065774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1645B1 (ko) 2021-11-11 2022-04-28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무화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433271B1 (ko) * 2021-12-20 2022-08-18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티트리, 하수오 유래 세포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7607B1 (ko) 2022-06-30 2023-05-03 (주)모아캠 식물 유래 세포외소포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636B1 (ko) 2001-01-19 2002-09-28 백기엽 조직 배양에 의한 인삼, 장뢰삼, 산삼 부정근의 대량 증식방법
KR100392513B1 (ko) 2001-01-19 2003-07-23 백기엽 조직 배양에 의한 인삼, 장뢰삼, 산삼 부정근의 사포닌함량 개선 방법
KR20130075981A (ko) 2011-12-28 2013-07-08 (주)풀무원홀딩스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3489A (ko) * 2014-11-26 2016-06-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중간엽줄기세포 유래 미세소포체를 포함하는 발모촉진 또는 창상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70037380A (ko) * 2015-09-25 2017-04-04 (주)프로스테믹스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70037381A (ko) * 2015-09-25 2017-04-04 (주)프로스테믹스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57882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유산균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038383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4370A1 (en) * 2004-05-21 2008-02-21 Tadashi Goino Composition For Scalp And Hair Of Scalp
EP2486940B1 (en) * 2009-10-08 2017-10-04 Aeon Medix In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ellular membrane vesicles derived from indoor air, and use thereof
KR20110082480A (ko) * 2010-01-11 2011-07-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유동물 체내에서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98793B1 (ko) * 2015-09-23 2023-11-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636B1 (ko) 2001-01-19 2002-09-28 백기엽 조직 배양에 의한 인삼, 장뢰삼, 산삼 부정근의 대량 증식방법
KR100392513B1 (ko) 2001-01-19 2003-07-23 백기엽 조직 배양에 의한 인삼, 장뢰삼, 산삼 부정근의 사포닌함량 개선 방법
KR20130075981A (ko) 2011-12-28 2013-07-08 (주)풀무원홀딩스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3489A (ko) * 2014-11-26 2016-06-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중간엽줄기세포 유래 미세소포체를 포함하는 발모촉진 또는 창상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70037380A (ko) * 2015-09-25 2017-04-04 (주)프로스테믹스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70037381A (ko) * 2015-09-25 2017-04-04 (주)프로스테믹스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57882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유산균 유래의 세포외 소낭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038383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790A (zh) * 2020-02-25 2020-06-19 暨南大学 茶叶外囊泡的应用
CN111297790B (zh) * 2020-02-25 2023-02-17 暨南大学 茶叶外囊泡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121A1 (ko) 2019-04-04
US20200254044A1 (en) 2020-08-13
JP2020535189A (ja) 2020-12-03
CN111163755A (zh) 2020-05-15
KR102207364B1 (ko) 2021-01-27
KR20190037162A (ko) 2019-04-05
EP3689329A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9836B2 (ja) 植物搾汁物由来の細胞外小胞体を含む皮膚改善および脱毛防止用組成物
WO2019066538A1 (ko)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189670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of cucumber, eggplant and snai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WO2018174453A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CN114259553A (zh) 一种酵素药品或者化妆品
KR101815340B1 (ko) 불로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23022540A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0091295A1 (ko)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10101308A (ko)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215882A1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14159545A (zh) 一种含有酵素的美白抗皱组合物及其在药品中的应用
KR20210006090A (ko) 멀구슬 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64090A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00048305A (ko)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0005256A2 (ko) 산사나무의 열매 또는 씨앗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467403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7929A (ko)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211649B1 (ko) 자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92087A (ko) 괴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249072B1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149639A1 (ko) 바보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30168850A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10006089A (ko) 애플망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619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1792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619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