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929A -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929A
KR20170117929A KR1020170126092A KR20170126092A KR20170117929A KR 20170117929 A KR20170117929 A KR 20170117929A KR 1020170126092 A KR1020170126092 A KR 1020170126092A KR 20170126092 A KR20170126092 A KR 20170126092A KR 20170117929 A KR20170117929 A KR 20170117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plasmic reticulum
extracellular
skin
presen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우은영
홍병석
박은주
최은욱
이원종
Original Assignee
(주)프로스테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스테믹스 filed Critical (주)프로스테믹스
Priority to KR102017012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7929A/ko
Publication of KR2017011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포함하여 상처 치료, 피부 개선 및 탈모 치료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ound-healing comprising extracellular vesicles from ginseng}
본 발명은 인삼(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포함하여 상처 치료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 및 공중위생 혜택이 개선됨에 따라 초고령화 사회가 급속히 도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의 질적인 향상이 도모되고 있으며 젊음의 유지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외모, 특히 피부에서 가장 먼저 나타내게 되는 노화를 지연시키고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주름은 피부의 노화로 생기며, 노화된 피부라 함은 노화의 과정과 연관된 자연적 변화의 총체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피부 표면 전체에서 나이와 관련된 피부 기능, 구조 또는 모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생리적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구분된다.
피부에 노화가 진행되면 진피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70세 이후 나타나는 진피위축은 대표적인 노화 현상이다. 진피의 변화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숫자와 이들의 합성 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세포 외 기질 중 큰 분자량을 가진 물질들의 변화로 발생된다. 그 구체적인 변화는 콜라겐 다발의 분리, 점다당질 합성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elastin) 수와 직경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 분쇄 및 혈관의 팽창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 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과 콜라겐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발현량과 활성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된다. 인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자외선으로 발생하는 피부손상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멜라닌 생합성에는 멜라닌 세포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의 작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을 멜라닌 중합체 생성의 중간산물인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함으로써 피부 흑화 과정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환경오염,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인해 호르몬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탈모 발생율이 높아지고, 발생 연령도 낮아지고 있고, 피부면역시스템의 부조화가 초래되어 아토피와 건선과 같은 다양한 피부질환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인스턴트 음식, 육류중심의 식생활변화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비만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가지 현상 예를 들어, 내인성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주름발생, 기미 또는 주근깨, 비만, 면역불균형 및 탈모 등과 같은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물질 개발이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안전하면서도 상처 치료 또는 그 촉진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하면서도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하면서도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뛰어나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피부(skin)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및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으로 이루어진다. 피부의 바깥층인 표피는 중층편평상피(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로 구성되며, 외부 환경에 대한 신체의 보호 장벽으로 작용한다. 표피는 바깥에서부터 각질층(stratum corneum), 투명층(stratum lucidum), 과립층(stratum granulosum), 유극층(stratum spinosum) 및 기저층(stratum basale)으로 나뉜다. 진피는 표피와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 사이의 층으로서, 유두층(papillary dermis) 및 망상층(reticular dermis)으로 나뉘며, 표피에는 없는 혈관, 콜라겐, 엘라스틴 섬유, 모공, 입모근, 피지선, 한선, 여러 가지 감각신경, 섬유아세포 및 대식세포 등이 존재하며 피부 중 가장 많은 부위를 차지한다.
진피는 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피에 문제가 발생하면 주름이 생기고 피부탄력이 없어져서 피부노화가 진행된다. 콜라겐은 피부재생, 피부 함수율, 상처치유 및 주름개선 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섬유아세포로부터 생성된다. 콜라겐은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진피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노화가 되면 콜라겐의 수분 함유 기능이 떨어지게 되어 주름이 늘어나게 된다. 콜라겐은 또한 상처가 생겼을 때 섬유아세포의 지속적인 콜라겐 생성으로 상처 부위를 메워주어 상처치유 작용도 한다.
또한, 현대 사회는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생체가 서서히 손상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한 모발 손실이 커다란 사회 이슈가 되고 있다. 모발 손실은 모발 성장의 부진과 모근 세포의 성장촉진을 하는 성장인자의 결핍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탈모는 정신적 스트레스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많은 지장을 준다. 사회 생활에 있어서 외모에서 풍기는 이미지는 매우 인상적으로 다가가며, 그 외모의 중요성이 자존감이나 사회생활의 보이지 않는 활력소가 된다는 점에서 탈모 원인과 치료에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고, 피부에 흡수 시 상처 치료,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하며, 그 외에 발모 및 육모 효과 또한 뛰어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착즙물은 식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이 피부 개선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착즙물은 식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이 피부 개선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착즙물은 식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이 상처 치료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착즙물은 식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발모 및 육모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착즙물은 식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이 발모 및 육모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착즙물은 식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이 발모 및 육모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스크류를 이용하여 식물을 착즙해 식물 착즙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물 착즙물을 정치 배양하는 단계;
배양된 식물 착즙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평균 기공 사이즈가 0.1 ~ 1.0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여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여액은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며,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고, 피부에 흡수 시 상처 치료,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식물을 착즙하기에 앞서, 필요에 따라서는 식물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는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저속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피부 개선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세포체를 다량 포함하는 식물 착즙물을 획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치 배양은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분리는 100 ~ 20,000g에서 10 ~ 120분 동안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분리는 100 ~ 500g에서 10 ~ 30분 동안 1차로 수행하고, 1,000 ~ 2,000g에서 10 ~ 30분 동안 2차로 수행한 뒤 5,000 ~ 20,000g에서 30분 ~ 1시간 동안 3차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는 평균 기공 사이즈가 0.2 ~ 0.5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기공 사이즈가 0.4 ~ 0.5㎛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1차로 여과를 수행한 뒤, 평균 기공 사이즈가 0.2 ~ 0.3㎛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2차로 여과를 수행하는 것이 피부 개선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세포체를 다량 포함하는 여액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스크류를 이용하여 식물을 착즙해 식물 착즙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물 착즙물을 정치 배양하는 단계;
배양된 식물 착즙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평균 기공 사이즈가 0.1 ~ 1.0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여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여액은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며, 안전하면서도 상처 치료 또는 그 촉진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식물을 착즙하기에 앞서, 필요에 따라서는 식물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는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저속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상처 치료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세포체를 다량 포함하는 식물 착즙물을 획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치 배양은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분리는 100 ~ 20,000g에서 10 ~ 120분 동안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분리는 100 ~ 500g에서 10 ~ 30분 동안 1차로 수행하고, 1,000 ~ 2,000g에서 10 ~ 30분 동안 2차로 수행한 뒤 5,000 ~ 20,000g에서 30분 ~ 1시간 동안 3차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는 평균 기공 사이즈가 0.2 ~ 0.5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기공 사이즈가 0.4 ~ 0.5㎛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1차로 여과를 수행한 뒤, 평균 기공 사이즈가 0.2 ~ 0.3㎛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2차로 여과를 수행하는 것이 상처 치료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세포체를 다량 포함하는 여액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스크류를 이용하여 식물을 착즙해 식물 착즙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물 착즙물을 정치 배양하는 단계;
배양된 식물 착즙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평균 기공 사이즈가 0.1 ~ 1.0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여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여액은 세포 외 소포체를 다량 포함하며, 안전하면서도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식물을 착즙하기에 앞서, 필요에 따라서는 식물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는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저속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발모 및 육모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세포체를 다량 포함하는 식물 착즙물을 획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치 배양은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분리는 100 ~ 20,000g에서 10 ~ 120분 동안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분리는 100 ~ 500g에서 10 ~ 30분 동안 1차로 수행하고, 1,000 ~ 2,000g에서 10 ~ 30분 동안 2차로 수행한 뒤 5,000 ~ 20,000g에서 30분 ~ 1시간 동안 3차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는 평균 기공 사이즈가 0.2 ~ 0.5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기공 사이즈가 0.4 ~ 0.5㎛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1차로 여과를 수행한 뒤, 평균 기공 사이즈가 0.2 ~ 0.3㎛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을 이용하여 2차로 여과를 수행하는 것이 발모 및 육모 효과가 뛰어난 세포 외 세포체를 다량 포함하는 여액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 외 소포체"는 다양한 세포들로부터 분비되는 막 구조의 작은 소낭을 의미하며, 나노베지클(nanovesicle)로도 정의된다. 세포 외 소포체의 직경은 대략 30 ~ 1,000 nm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이 100 ~ 300nm이며, 다낭체와 원형질막의 융합이 일어나 세포 밖 환경으로 방출되는 소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식물"은 성숙한 식물뿐만 아니라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있는 식물 세포, 식물 조직 및 식물의 종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의 종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벼, 밀, 보리, 옥수수, 콩, 감자, 밀, 팥, 귀리 및 수수를 포함하는 식량 작물류; 아라비돕시스, 배추, 무, 고추, 마늘, 생강, 딸기, 토마토, 수박, 오이, 양배추, 참외, 호박, 파, 양파, 아스파라거스 및 당근을 포함하는 채소 작물류; 인삼, 담배, 목화, 참깨, 사탕수수, 사탕무우, 들깨, 땅콩 및 유채를 포함하는 특용작물류; 사과나무, 배나무, 대추나무, 복숭아, 양다래, 포도, 감귤, 감, 오렌지, 자몽, 자두, 살구, 용과, 망고, 블루베리, 아보카도 및 바나나를 포함하는 과수류; 장미, 글라디올러스, 거베라, 카네이션, 국화, 백합 및 튤립을 포함하는 화훼류; 및 라이그라스, 레드클로버, 오차드그라스, 알파알파, 톨페스큐 및 페레니얼라이그라스를 포함하는 사료작물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의 종류는 상기 열거한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식물에 속한다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식물 착즙물"은 기계적인 힘 또는 회전력으로 식물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등을 외부로 유출시켜 얻어진 액상의 유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과즙, 야채즙, 식물즙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물추출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 혹은 이를 포함하는 여액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상처 부위에서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고, 상처 치유 효과가 뛰어난 성장 인자 등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우수한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 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피부 투과도가 우수하면서, 흡수 시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탈모의 방지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나며, 이를 섭취하거나 피부에 도포하여도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용과, 용과 잎, 블루베리, 아보카도, 아스파라거스, 망고 및 고추로부터 얻어진 여액 내에 포함된 단백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콩, 마늘 및 생강으로부터 얻어진 여액 내에 포함된 입자의 사이즈 별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콩으로부터 얻어진 여액 내에 포함된 세포 외 소포체를 투과 전자 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서 표지된 세포 외 소포체가 섬유아세포 내로 흡수된 모습을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서 모유두 세포에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험예 4에서 모유두 세포에 콩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후 Lef-1, 베르시칸 및 Gli-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험예 5에서 피부 각질형성 세포에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험예 5에서 피부 각질형성 세포에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후 세포 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험예 6에서 인간 피부섬유아세포에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후 케라틴 세포성장인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험예 6에서 인간 피부섬유아세포에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후 프로콜라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험예 6에서 인간 피부섬유아세포에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후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실험예 7에서 흑색종 세포에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후 멜라닌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실험예 8에서 모유두 세포, 지방 유래 줄기세포,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각질형성세포에 콩 유래 세포 외 소포체 및 엑소좀을 각각 처리한 후 세포 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용과, 용과 잎, 블루베리, 아보카도, 아스파라거스, 망고, 동부(cowpea), 고추, 석류 및 울금을 증류수로 세척한 뒤, 교반 속도가 40 rpm인 저속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액상의 식물즙을 체에 걸러 부유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25℃에서 10분간 배양하고, 2,000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한 뒤,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 재질의 0.45㎛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이후 동일 재질의 0.22㎛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여액을 얻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여액 내에 포함된 세포 외 소포체의 함량 및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브래드포드 단백질 어쎄이(Bradford protein assay)를 이용하여 용과, 용과 잎, 블루베리, 아보카도, 아스파라거스, 망고 및 고추로부터 얻어진 여액 내에 포함된 단백질 함량을 측정해 그 결과를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또한, NTA(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를 통해 콩, 마늘 및 생강으로부터 얻어진 여액에 포함된 세포 외 소포체의 크기 별 분포와 입자수를 측정해 그 결과 하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내었으며, 투과 전자 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콩으로부터 얻어진 여액 내 포함된 세포 외 소포체의 사진을 촬영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소재 평균 크기
(nm)
총 개수
(particles/ml)
154.8 4.7 X 108
마늘 189.6 1.69 X 108
생강 122.5 2.91 X 107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과, 용과 잎, 블루베리, 아보카도, 아스파라거스, 망고 및 고추로부터 얻어진 여액에는 상당량의 단백질, 즉 세포 외 소포체가 포함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아보카도와 아스파라거스로부터 얻어진 여액에 많은 함량으로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 및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콩, 마늘 및 생강에 포함된 입자의 평균 크기는 100 ~ 200nm이고, 도 3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을 보더라도 이들 입자가 구형 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는 바, 상기한 식물로부터 얻어진 여액 내에 포함된 입자가 세포 외 소포체에 해당함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섬유아세포 2 x 104 세포/ml를 24웰에 접종하고, 24시간 후에 동부(cowpea)로부터 얻어진 세포 외 소포체를 PKH26 레드 형광 세포 링커 키트(Sigma)로 표지한 후, 상기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였다. 6시간 배양 후, 1㎛ DAPI를 PBS에 희석하여 5분간 어두운 공간 하에서 배양하고, PBS로 세척한 뒤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PKH26 표지된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가 섬유아세포의 세포질 내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피부 등에 도포하는 경우 피부, 더 나아가서는 세포 내로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우수한 효과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 DPC) 2 x 104 세포/ml를 24웰 플레이트(SPL, Korea)에 동일하게 분주하였다. 24시간의 안정화 시간 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여액을 세포에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MTS 시약(Promega, USA)과 세포의 기본 배지(FBS free, 1% p/s)를 1:5의 비율로 희석하여 각 웰당 500㎕씩 분주하여 1시간 30분 반응 후 49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평가해 그 결과를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단, 양성 대조군으로는 10% 소 태아 혈청(FBS)를 처리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과 잎, 아스파라거스, 고추 및 울금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율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모유두 세포(DPC) 5 x 105 세포/ml를 60mm 디쉬(SPL, Korea)에 동일하게 분주하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콩 유래 여액을 세포에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RNA 분리 키트(Quiagen, USA)를 사용하여 세포로부터 RNA를 분리한 뒤, cDNA 합성 키트(Intronbio, Korea)를 이용하여 분리된 RNA 1㎍에 대한 프라이머를 합성하였다. 프라이머는 10pmol/㎕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2X 사이버 그린 마스터 믹스(Takara, Japan)를 첨가하여 LEF-1(Lymphoid enhancer-binding factor-1), 베르시칸(Versican), Gli-1 및 Ptc-1(the patched protein-1) 유전자 발현 정도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단, 대조군으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콩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경우, Lef-1, 베르시칸 및 Gli-1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상기 Lef-1은 모낭 형태 형성과 분화를 촉진하는 유전자이고, 베르시칸은 모낭 형태 형성 유도, 모발 재생 및 모발 성장 유지에 관련된 유전자이며, Gli-1은 모낭 형태 형성과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유전자이다.
따라서, 상기한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 각질형성 세포(HaCat) 2 x 104 세포/ml를 24웰 플레이트(SPL, Korea)에 동일하게 분주하였다. 24시간의 안정화 시간 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아스파라거스 유래 여액을 0.5㎍, 1㎍ 및 5㎍의 양으로 세포에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MTS 시약(Promega, USA)과 세포의 기본 배지(FBS free, 1% p/s)를 1:5의 비율로 희석하여 각 웰당 500㎕씩 분주하여 1시간 30분 반응 후 49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평가해 그 결과를 도 7에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세포 수를 측정하여 대조군 대비 세포 수의 변화를 도 8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단, 대조군으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의 증식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iploid fibroblast, HDF) 5 x 104 세포/웰의 농도로 배양접시에 부착시킨 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아스파라거스 유래 여액을 5㎍ 및 10㎍의 양으로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각 세포에서 인트론 프리믹스(intron premix)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처리 군의 세포에서 피부 노화 방지 및 재생 관련 유전자인 케라틴 세포성장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 프로콜라겐(procollagen)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9 내지 도 1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경우 케라틴 세포성장인자, 프로콜라겐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발현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아스파라거스 유래 여액을 5㎍의 양으로 처리하였을 때 더욱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재생 효과가 우수하고, 더 나아가서는 상처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흑색종 세포(B16F10) 5 x 104 세포/ml를 6웰 플레이트(SPL, Korea)에 동일하게 분주하였다. 24시간의 안정화 시간 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아스파라거스 유래 여액(0.5㎍, 1㎍, 5㎍)과 멜라닌 유도 a-MSH 0.5㎍을 세포에 처리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상청액을 제거하고, 차가운 PBS 2ml로 1회 세척한 뒤, 1N NaOH를 웰당 550㎕씩 첨가하여 세포를 녹인 후 파이펫으로 1.5ml에 세포 수확(harvest)하고, 100℃에서 30분 동안 끓인 후 13,000rpm에서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겼다. 상층액 100㎕를 96 웰 플레이트에 옮긴 뒤 A450nm로 대조군 대비 멜라닌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단, 양성 대조군으로는 a-MSH만을 0.5㎍으로 처리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a-MSH로 멜라닌 형성을 유도한 대조군 대비 아스파라거스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처리한 경우 멜라닌 함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동부를 교반 속도가 40 rpm인 저속 스크류로 착즙한 뒤, 300g에서 10분, 1,200g에서 20분, 10,000g에서 3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큰 입자를 제거한 후, 상층액만 취하여 초원심 분리 기기를 사용하여 100,000g에서 1시간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가라앉은 펠렛을 회수하여 동부로부터 엑소좀을 추출하였다.
이후, 모유두 세포(DPC), 지방 유래 줄기세포(Adipocyte-derived stem cell),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DF) 및 각질형성세포(HaCaT) 각각을 2 x 104 세포/ml로 24웰 플레이트(SPL, Korea)에 동일하게 분주하였다. 24시간의 안정화 시간 후 상기와 같이 얻어진 동부(cowpea) 유래 엑소좀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동부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 수를 측정하여 대조군 대비 세포 수의 변화를 도 1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단, 대조군으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가 엑소좀 보다 세포 증식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상처 치료, 피부 개선 및 탈모 치료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으며, 식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를 추출하는 것이 엑소좀을 추출하는 공정보다 간단하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 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인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의 평균 직경은 100 ~ 200nm인,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착즙물은 인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인,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인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의 평균 직경은 100 ~ 200nm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착즙물은 인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중 적어도 하나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인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의 평균 직경은 100 ~ 200nm인,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5 ~ 10㎍/ml의 농도로 포함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착즙물은 인삼을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스크류로 착즙하여 얻어진 것인,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스크류를 이용하여 인삼을 착즙하여 인삼 착즙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삼 착즙물을 정치 배양하는 단계;
    배양된 인삼 착즙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평균 기공 사이즈가 0.1 ~ 1.0 ㎛인 기공을 포함하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여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교반 속도가 20 ~ 100rpm인,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126092A 2017-09-28 2017-09-28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7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92A KR20170117929A (ko) 2017-09-28 2017-09-28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92A KR20170117929A (ko) 2017-09-28 2017-09-28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01A Division KR102418785B1 (ko) 2015-09-25 2015-09-25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29A true KR20170117929A (ko) 2017-10-24

Family

ID=6029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092A KR20170117929A (ko) 2017-09-28 2017-09-28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7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138A (ko) *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인삼 식물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138A (ko) *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인삼 식물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785B1 (ko)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2032033B1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897451B1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7364B1 (ko)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453258B1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70117929A (ko)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CN116249514A (zh) 包含奶蓟花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防止脱发或促进生发的组合物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90036060A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94618B1 (ko)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20100042086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40139447A (ko) 진귤 과피 효소 처리물 또는 그것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128557A (ko) 진귤 과피 효소 처리물 또는 그것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80998A (ko) 블랙 큐란트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79713B1 (ko) 탈리늄 크랏시톨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82317A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KR20230065740A (ko)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9708B1 (ko) 바위솔 및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손상 회복 촉진용 조성물
KR20210052978A (ko)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546338B1 (ko) 진귤 과피 효소 처리물 또는 그것의 추출물을 이용한 콜라겐 생성 촉진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