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8406A1 -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8406A1
WO2018038406A1 PCT/KR2017/007988 KR2017007988W WO2018038406A1 WO 2018038406 A1 WO2018038406 A1 WO 2018038406A1 KR 2017007988 W KR2017007988 W KR 2017007988W WO 2018038406 A1 WO2018038406 A1 WO 201803840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guide
installation
concre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9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김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기 filed Critical 김상기
Priority to RU201910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RU2724670C1/ru
Priority to EP17843826.3A priority patent/EP3505685B1/en
Priority to SG11201901569WA priority patent/SG11201901569WA/en
Priority to CA3034960A priority patent/CA3034960A1/en
Priority to CN201780051739.7A priority patent/CN109642405B/zh
Priority to AU2017316986A priority patent/AU2017316986B2/en
Priority to BR112019003690-3A priority patent/BR112019003690B1/pt
Priority to US16/327,074 priority patent/US10422094B2/en
Publication of WO201803840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8406A1/ko
Priority to PH12019500402A priority patent/PH12019500402A1/en
Priority to ZA2019/01793A priority patent/ZA201901793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1Devices for applying linings on banks or the water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8Lowering or sinking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block to form a concrete block structure and a guide member for concrete block installation therefor.
  • a widely known construction technique for the construction of underwater structures is the large caisson method.
  • the large caisson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being able to withstand large blue waves, but there are many constraints such as high construction cost and the impossibility of construction on shallow ground.
  • Such an underwater block has a merit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lowered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 conditions because it handles a relatively small concrete block compared to the caisson method.
  • the installed underwater block should be seated exactly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block and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block located on one side.
  • the diver must know the location of the underwater block accurately and inform the crane engineer of the underwater, bu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exact location of the underwater block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underwater view. It is also not easy to explain exact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crete block is installed so that the concrete block can be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concrete block and the concrete block located on one side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a guide member for concrete block installation therefor.
  • a step for preparing a guide member for installing a concrete block for preparing a guide member for installing a concrete block including an installation guide pillar including an insertion guide part having a gradually decreasing cross sectional area toward the center;
  • a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forming step of installing at least one concrete block to form a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Inserting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of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the guide portion is the vertical guide groove of the concrete block to the installation in such a state that the locking jaw portion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Located in the insertion guide portion to lift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using a separate lifting means in a state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the insertion guide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of the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so that the vertical guide groove of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vertical guide groove of the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while being guided by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by being inserted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Concrete block
  • the concrete block installation guide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illars and a horizontal interval holder for hanging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illars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gap between each other;
  • the vertical guide groov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concrete block;
  •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s of the vertical guide grooves adjacent to each other formed in the concrete block is a length twice th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concrete block to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nearest vertical guide groove; This is preferred.
  • the concrete block installation guide member further comprises a crane connecting cable for connecting the lifting portion of the crane and the horizontal spacing holder, the concrete when the lifting portion of the crane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 the guide member for block installat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lifting part of the crane.
  • the concrete block installation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location where the concrete block is mounted It includes: a horizontal space holder provid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guide body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a vertical guide groove of the concrete block,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body, wherein the guide body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cap part protruding from the locking jaw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portion ar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cross sectional area is gradually decreased while the guide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illars including an insertion guide portion project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 a cap part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cap part and the horizontal gap holder to suspend the horizontal gap holders while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oles are suspended from the horizontal gap holders while maintaining horizontal gaps between the cap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the horizontal spacing hold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can be varied, and the horizontal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illars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pacing holder.
  • the installation of the concrete block can be very easily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to match the location of the concrete block and the concrete block located on one side. This enables accurat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block while significantly improving its construction spe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block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A reference of FIG.
  • FIG. 3 is a B-B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of FIG.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guide member for install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member for installing the concrete block of FIG. 4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block of FIG. 1;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formed by the concrete block of Figure 1,
  • FIG. 7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state of a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crane lifting portion from the concrete block
  • 11 and 12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block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member for installing a concrete block is separated by FIG.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bloc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are install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FIGS. 7 to 10;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block structure of FIG.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concrete pillars for bi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 FIG. 14;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concrete pillars for bi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 FIG. 14;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block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ure 1
  • Figure 3 is a B-B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of FIG.
  • the concrete block 100 includes a concrete block body 110 made of concrete and a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made of a synthetic resin pipe, and the concrete block body 110 has a plurality of vertical guide grooves. 130 is formed.
  •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pipe 120 forms a convex shape that is convex down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its center portion is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block body 110. That is,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is disposed in a U shape.
  •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body 110 toward the top.
  •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120 is a synthetic resin pipe, there is no danger of corrosion even when exposed to sea water for a long time.
  •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120 is for the lifting and mounting of the concrete block 100 by using a separate lifting means crane, the technology for this is already described in detail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20995 Since it is present, it will be referred 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lifting ring member described in the prior art in Korean Patent No. 10-1220995 (which is very classical) May be provided as a means of manual lift and hold).
  • the concrete block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guide grooves 13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serves to guide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 all concrete blocks 10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guide grooves 13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guide grooves 130 are all the same.
  • the distance L1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s of the vertical guide grooves 130 adjacent to each other in one concrete block 100 is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vertical guide grooves closest to one side of the concrete block 100. It is twice as long as the distance L2.
  • FIG. 4 is a front view of a concrete block installation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block installation guide member of Figure 4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block of FIG.
  • the concrete block installation guide member 200 includes a horizontal space holder 210 and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illars 220 suspended at both ends thereof.
  • the horizontal space holder 210 is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horizontally, the shape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 the horizontal spacing holder 2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ts length can be changed. In this case, the horizontal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illars 220 is chang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pacing holder 210. It can also be adjusted.
  • Each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s 220 includes a cap portion 222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body 221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223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the guide body 22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a portion located inside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concrete block 100.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body 221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concrete block 100. That is, i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concrete block 100 is circula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body 221 is circula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concrete block 100 If is a rectang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body 221 is a rectangle.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concrete block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ircular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body 221 is circular
  • the cap 22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ody 221.
  • the cap 222 has a locking projection 222a protruding from its edge.
  • the locking jaw portion 222a of the cap 222 is in a state of being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100.
  • Insertion guide portion 223 is formed below the guide body 221. Insertion guide portion 223 has a form that gradually decreases the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bottom. The shap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223 serves to guide the easy insertion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concrete block 100.
  • the cap portion 222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s suspended on the horizontal space holder 210 via the cap connecting member 230.
  • This coupling form is advantageous in that it allows free movement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 the interval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s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illars 220 coupled to the horizontal spacer holder 210 is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s of the vertical guide grooves 130 formed in the concrete block 100 and the distance (L1) same.
  •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s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s 220 is the same as L1, twice the length of L2.
  • the horizontal spacer 210 i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lifting portion 301 of the crane by the crane connecting cable 240, and also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horizontal spacer 210 by the crane connecting cable 240 Can be maintained.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10 is formed by the concrete block of FIG. 1.
  • Concrete blocks 100 as shown in FIG. 1 are installed to be arranged in a line to form a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10.
  • Each concrete block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guide grooves 130, the distance (L1)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in one concrete block 100, neighboring each other In the pair of concrete blocks 100 is equal to the interval (2 x L2)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adjacent to each other.
  •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120 Installation of the concrete block 100 uses a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120, the description thereof is already described in detail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20995, so it will be referred 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 FIGS. 8 and 9 are conceptual sectional views of a state in which a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is mounted.
  • the installation guide column 220 of the concrete block installation guide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 the cap portion 222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s a form suspended on the horizontal spacer holder 210 via the cap connecting member 230, the insertion guide portion 223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has a lower portion Since it is a relatively pointed shape,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is made very simple.
  • the concrete block 100 is lifted using a crane which is a separate lifting means.
  •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pipe 120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wire rope 121 so th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121 are caught by the lifting portion 301 of the crane so that the lifting portion 301 of the crane is concrete.
  • the block 100 is lifted to a state as shown in FIG. 7.
  • the guide body 221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When the concrete block 100 is lifted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body 221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step 222a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concrete block 100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223 of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s in a state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s shown suspended from the horizontal spacer 210, but in practice,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s merely seated in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concrete block 100.
  • the holding table 210 is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100. That is, the cap connecting member 230 and the crane connecting cable 240 are formed long enough so that when the lifting portion 301 of the crane lifts the concrete block 100, the cap connecting member 230 and the crane connecting cable 240 are tight. It is desirable to be in a sag state rather than a state.
  •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10 as shown in FIGS. 8 and 9 while being guided by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
  •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s 220 are first lowered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installation guide pillar 220 is first inserted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of the lower concrete block structure 10.
  •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is the lower concrete block. It is mounted on top of the structure 10.
  • FIGS.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erspective views of a concrete block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for installing a concrete block is separated by FIG. 10.
  • the concrete block installation guide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and recovered.
  • the guide member 200 for installing the concrete block is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301 of the crane by the crane connecting cable 240, the lifting part 301 of the crane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 the lifting part 301 of the crane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 the lifting part 301 of the crane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block 1000, and the lifting part 301 of the crane is in this state.
  • the guide member 200 for installing the concrete block is also moved upward with the lifting part 301.
  • the guide member 200 for concrete block installation separated and recovered in this way is used again to lift and mount another concrete block.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ncrete block structure 1000 is form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by repeating the process of FIGS. 7 to 10.
  •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is inserted through the up and down direction guide groove 130 as shown in FIG. 14.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block structure 1000 of FIG. 13.
  •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form a column by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130 exposed to the top.
  •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When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i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is positio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guide grooves 130 of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00 continuously arrang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 14. Done.
  •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Since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waterproof membrane 150, the up and down rebar portion 140 is completely blocked from the risk of contact with seawater or salt components.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concrete pillars for vertical binding are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 FIG. 14.
  • the concrete block structure 1000 is bound to each other by a very strong force by the up and down binding concrete pillars 16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al st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tructure is not easily damaged even in the blue due to a large typhoon.
  • the up and down guide grooves of the concrete block are also used in the step of forming a concrete column for binding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p and down guide grooves of the concrete block may be used only to mount the concrete block.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to form a concrete pillar for binding up and dow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orm a concrete block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시 매우 쉽게 콘크리트 블록이 하부의 콘크리트 블록 및 일측에 위치한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에 맞게끔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블록의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그 시공 속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 시공되는 구조물은 수중부의 변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접안시설 등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어야 한다.
수중 구조물의 시공에서 널리 알려진 시공 기법은 대형 케이슨 공법이다. 대형 케이슨 공법은 대형 파랑에도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며 아울러 수심이 얕은 지반에는 시공이 불가능한 점 등의 여러가지 제약 조건이 많다.
이와 같은 대형 케이슨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콘크리트 블록을 수심에 따라 여러 단으로 쌓아 올려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수중 구조물의 시공시 수중에서는 콘크리트의 타설 등이 어려우므로 통상 육상에서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수중에 설치하게 되며, 이와 같이 육상에서 제작하여 수중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일반적으로 수중 블록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수중 블록의 경우 케이슨 공법에 비하여 비교적 소형의 콘크리트 블록을 취급하게 되므로, 공사비가 낮아지고 다양한 현장 조건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수중 블록을 시공할 때, 설치되는 수중 블록은 하부의 수중 블록과의 위치 및 일측에 위치한 수중 블록과의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 안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중에서 수중 블록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 수중 블록을 안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수중에서 잠수부가 수중 블록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여 이를 크레인 기사에게 알려야 하나, 수중에서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수중 블록의 정확한 위치를 인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나아가 수중 블록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한 경우에도 이를 크레인 기사에게 정확히 설명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시 콘크리트 블록이 하부의 콘크리트 블록 및 일측에 위치한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에 맞게끔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를 위한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상하방향 안내홈이 형성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에 대응되는 횡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몸통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가장자리에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된 캡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부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설치 가이드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준비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준비 단계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를 형성하는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 형성 단계 ;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을 설치 대상인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하여, 상기 캡부의 걸림턱부가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상기 안내 몸통부가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안내부는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별도의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한 후,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삽입 안내부를 상기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의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하여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이 상기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의 상하방향 안내홈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의 상부에 거치하는 상부 콘크리트 블록 거치 단계 ;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거치 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시켜 회수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분리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는 복수개의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설치 가이드 기둥이 서로간의 수평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매달리는 수평 간격 유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복수개 형성되며 ;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서로 이웃한 상하방향 안내홈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일측면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상하방향 안내홈의 수평방향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 길이인 것 ; 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는 크레인의 인양부와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를 연결하는 크레인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크레인의 인양부가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상기 크레인의 인양부와 함께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분리한 후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의 하부 및 측부를 방수막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부로 노출된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 단계 ;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하는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형성 단계 ; 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하방향 안내홈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할 때,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거치될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수평 간격 유지대 ;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몸통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안내 몸통부가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걸리도록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하부에 하부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 몸통부가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 ; 상기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이 서로 간의 수평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에 매달리도록 상기 캡부와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를 연결하되,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하는 캡부 연결 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의 길이 가변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간의 수평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시 매우 쉽게 콘크리트 블록이 하부의 콘크리트 블록 및 일측에 위치한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에 맞게끔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블록의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그 시공 속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기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도 1의 콘크리트 블록에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콘크리트 블록에 의하여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를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는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10은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크레인 인양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의하여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3은 도 7 내지 도 10의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설치되어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에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1.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먼저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1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기준 단면도이다.
본 콘크리트 블록(100)은, 콘크리트로 된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와,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는 복수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그 중앙부가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내부에 매립되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로 볼록한 호형을 이룬다. 즉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U자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그 양단이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합성수지관이므로, 해수 등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부식 등이 발생할 위험이 없다.
이와 같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별도의 인양수단인 크레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100)의 인양 및 거치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에 이미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내용이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크리트 블록(100)의 인양 및 거치를 위하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 대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에 종래의 기술로 기재되어 있는 인양고리부재(이는 매우 고전적인 인양 및 거치 방식임.)가 마련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 블록(10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하방향 안내홈(130)은 콘크리트 블록(100)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콘크리트 블록(10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횡단면 형태는 모두 동일하다.
또한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100) 내에서 서로 이웃한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L1)은, 콘크리트 블록(100)의 일측면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상하방향 안내홈의 수평방향 중심까지의 거리(L2)의 2배 길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일 뿐이며,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이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에 의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2.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준비 단계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도 1의 콘크리트 블록에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다.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는 수평 간격 유지대(210)와, 그 양단부에 매달린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간격 유지대(210)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이지만,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수평 간격 유지대(210)는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평 간격 유지대(210)의 길이 변경에 의하여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 간의 수평 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은 안내 몸통부(221)를 중심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캡부(222)와,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 안내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내 몸통부(2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서,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 내부에 위치되는 부위이다.
안내 몸통부(221)의 횡단면 형태는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횡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횡단면 형태가 원형이라면 안내 몸통부(221)의 횡단면 형태가 원형이 되며,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횡단면 형태가 사각형이라면 안내 몸통부(221)의 횡단면 형태가 사각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횡단면 형태가 원형이므로 안내 몸통부(221)의 횡단면 형태는 원형이 된다.
안내 몸통부(221)의 상부에 캡부(222)가 형성된다. 캡부(222)는 그 가장자리에 걸림턱부(2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몸통부(221)를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에 삽입하면 캡부(222)의 걸림턱부(222a)가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면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안내 몸통부(221)의 하부에 삽입 안내부(223)가 형성된다. 삽입 안내부(223)는 하부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삽입 안내부(223)의 형태는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에 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캡부(222)는 캡부 연결 부재(230)를 매개로 수평 간격 유지대(210)에 매달리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 형태는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한편 수평 간격 유지대(210)에 결합된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은 콘크리트 블록(100)에 형성된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L1)과 동일하다.
즉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은 L1과 동일하며, L2의 2배이다.
한편 수평 간격 유지대(210)는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에 의하여 크레인의 인양부(301)에 연결되는 구조이며, 아울러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에 의하여 수평 간격 유지대(210)의 수평 배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3.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 형성 단계
도 6은 도 1의 콘크리트 블록에 의하여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를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블록(100)이 일렬로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를 형성한다.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100)에는 복수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100)에서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L1)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콘크리트 블록(100)에서 서로 인접한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2 x L2)과 동일하다.
콘크리트 블록(100)의 설치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이용하며, 이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에 이미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내용이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4. 상부 콘크리트 블록 거치 단계
도 7은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상태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는 상태의 개념 단면도이다.
먼저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을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에 삽입한다.
이때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캡부(222)는 캡부 연결 부재(230)를 매개로 수평 간격 유지대(210)에 매달린 형태이며,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삽입 안내부(223)는 하부가 비교적 뾰족한 형태이므로, 설치 가이드 기둥(220)을 상하방향 안내홈(130)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를 콘크리트 블록(100)에 장착한 후, 별도의 인양수단인 크레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100)을 인양한다.
즉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연결 와이어로프(121)가 관통하도록 한 후 연결 와이어로프(121)의 양단이 크레인의 인양부(301)에 걸리도록 하여 크레인의 인양부(301)가 콘크리트 블록(100)을 도 7과 같은 상태로 인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100)이 인양되면,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걸림턱부(222a)가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안내 몸통부(221)는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에 위치되며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삽입 안내부(223)는 설치 대상인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7에서 설치 가이드 기둥(220)은 수평 간격 유지대(210)에 매달린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설치 가이드 기둥(220)은 콘크리트 블록(100)에 걸린 상태로 안착되어 있을 뿐이며, 수평 간격 유지대(210)는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면에 안치되는 상태가 된다. 즉 캡부 연결 부재(230)와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은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크레인의 인양부(301)가 콘크리트 블록(100)을 인양하면 캡부 연결 부재(230)와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은 팽팽한 상태가 아니라 처지는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인양한 후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안내를 받으면서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의 상부에 도 8 및 도 9와 같이 거치한다.
즉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삽입 안내부(223)는 하부가 비교적 뾰족한 형태이므로, 설치 가이드 기둥(220)을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설치 가이드 기둥(220)이 먼저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이 정확한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이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직상부에 위치되면서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이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의 상부에 거치된다.
5.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분리 단계
도 10은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크레인 인양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의하여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9와 같이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이 거치된 후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를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분리시켜 회수한다.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는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에 의하여 크레인의 인양부(30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크레인의 인양부(301)가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이동하면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 또한 인양부(301)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여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연결 와이어로프(121)의 일단이 크레인의 인양부(301)와 분리되면 크레인의 인양부(301)는 콘크리트 블록(100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크레인의 인양부(301)가 상부로 이동하면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 또한 인양부(301)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 회수된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는, 다른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기 위하여 다시 이용된다.
즉 4의 단계 및 5의 단계를 반복하면서 매우 많은 콘크리트 블록(100)을 설치하여 도 13과 같은 3단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도 7 내지 도 10의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설치되어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00)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6.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 단계
도 13의 상태가 완료된 후, 도 14와 같이 상하방향 안내홈(130)을 통하여 상하방향 철근부(140)를 삽입하게 된다.
도 14는 도 13의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00)에 상하방향 철근부(140)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하방향 철근부(14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철근의 조립에 의하여 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부로 노출된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 철근부(140)를 삽입하면, 도 14와 같이 상하방향 철근부(140)는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하방향 철근부(140)를 삽입할 때 후술하는 콘크리트 타설 문제 및 내부의 물이 존재한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하방향 철근부(140)의 하부 및 측부를 방수막(150)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하방향 철근부(140)를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 철근부(140)가 방수막(150)과 함께 삽입되므로, 상하방향 철근부(140)가 해수 또는 염분 성분과 접할 위험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된다.
7.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형성 단계
도 15는 도 1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의 상태 이후에, 도 15과 같이 상하방향 철근부(140)가 삽입된 상하방향 안내홈(13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하방향 안내홈(130)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16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160)에 의하여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1000)가 매우 강력한 힘으로 서로 결속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높아, 대형 태풍 등에 의한 파랑에도 본 구조물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은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도 이용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은 콘크리트 블록의 거치까지만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반드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상하방향으로 상하방향 안내홈이 형성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에 대응되는 횡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몸통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가장자리에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된 캡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부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설치 가이드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준비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준비 단계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를 형성하는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 형성 단계 ;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을 설치 대상인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하여, 상기 캡부의 걸림턱부가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상기 안내 몸통부가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안내부는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별도의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한 후,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삽입 안내부를 상기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의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하여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이 상기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의 상하방향 안내홈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하부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의 상부에 거치하는 상부 콘크리트 블록 거치 단계 ;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거치 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시켜 회수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분리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는 복수개의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설치 가이드 기둥이 서로간의 수평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매달리는 수평 간격 유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복수개 형성되며 ;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서로 이웃한 상하방향 안내홈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일측면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상하방향 안내홈의 수평방향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 길이인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는 크레인의 인양부와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를 연결하는 크레인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크레인의 인양부가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상기 크레인의 인양부와 함께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분리한 후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의 하부 및 측부를 방수막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부로 노출된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 단계 ;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하는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형성 단계 ;
    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5.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하방향 안내홈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할 때,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거치될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수평 간격 유지대 ;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몸통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안내 몸통부가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걸리도록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하부에 하부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 몸통부가 상기 상하방향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 ;
    상기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이 서로 간의 수평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에 매달리도록 상기 캡부와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를 연결하되,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하는 캡부 연결 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 간격 유지대의 길이 가변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의 수평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PCT/KR2017/007988 2016-08-24 2017-07-25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WO201803840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9108175A RU2724670C1 (ru) 2016-08-24 2017-07-25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з бетонных блоков и направля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установки бетонного блока
EP17843826.3A EP3505685B1 (en) 2016-08-24 2017-07-25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concrete block structure
SG11201901569WA SG11201901569WA (en) 2016-08-24 2017-07-25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CA3034960A CA3034960A1 (en) 2016-08-24 2017-07-25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CN201780051739.7A CN109642405B (zh) 2016-08-24 2017-07-25 混凝土砌块构造方法和用于安装混凝土砌块的导引构件
AU2017316986A AU2017316986B2 (en) 2016-08-24 2017-07-25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BR112019003690-3A BR112019003690B1 (pt) 2016-08-24 2017-07-25 Método para construção de bloco de concreto
US16/327,074 US10422094B2 (en) 2016-08-24 2017-07-25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PH12019500402A PH12019500402A1 (en) 2016-08-24 2019-02-26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ZA2019/01793A ZA201901793B (en) 2016-08-24 2019-03-22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518 2016-08-24
KR1020160107518A KR101793984B1 (ko) 2016-08-24 2016-08-24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406A1 true WO2018038406A1 (ko) 2018-03-01

Family

ID=6038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988 WO2018038406A1 (ko) 2016-08-24 2017-07-25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422094B2 (ko)
EP (1) EP3505685B1 (ko)
KR (1) KR101793984B1 (ko)
CN (1) CN109642405B (ko)
AU (1) AU2017316986B2 (ko)
BR (1) BR112019003690B1 (ko)
CA (1) CA3034960A1 (ko)
PH (1) PH12019500402A1 (ko)
RU (1) RU2724670C1 (ko)
SG (1) SG11201901569WA (ko)
WO (1) WO2018038406A1 (ko)
ZA (1) ZA201901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883B1 (ko) * 2017-11-07 2019-06-11 (주)유주 계단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식 소파블록 구조물
KR102022339B1 (ko) * 2019-02-11 2019-09-18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2341B1 (ko) * 2019-02-28 2019-09-18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191675B1 (ko) * 2020-03-10 2020-12-16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CN112900686B (zh) * 2021-01-25 2022-04-19 江苏万年达建设集团有限公司 装配式环筋扣合混凝土剪力墙体系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463933B (zh) * 2021-07-01 2023-12-29 新疆希尔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墙体结构及施工方法
KR102389280B1 (ko) * 2021-08-17 2022-04-21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924A (ja) * 1992-02-26 1993-09-17 Ohbayashi Corp 横積みされた板状部材の搬送方法
JP2000247571A (ja) * 1999-02-26 2000-09-12 Matsuoka Concrete Kogyo Kk 回転支持具
KR200231243Y1 (ko) * 2001-02-12 2001-07-19 송기도 호안 식생용 블럭
KR200245001Y1 (ko) * 2001-05-29 2001-10-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KR101355805B1 (ko) *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7871A (en) * 1965-02-04 1967-03-07 Cianbro Mfg Corp Toggle device for lifting heavy objects
US3863975A (en) * 1971-06-04 1975-02-04 Alvin B Oldenettel Apparatus for lifting heavy objects
JPH09209573A (ja) * 1996-02-06 1997-08-12 Misawa Homes Co Ltd 壁体の吊り上げ用係止構造及び壁体の吊り上げ方法
US6032424A (en) * 1998-03-23 2000-03-07 Dial, Jr.; Ted C. Block system
US6189282B1 (en) * 1998-06-24 2001-02-20 Building Works, Inc. Mortarless concrete block
FI4106U1 (fi) * 1999-04-29 1999-08-31 Rannila Steel Oy Tarrainlaite rakennuselementin nostamiseksi
US20030138296A1 (en) * 2002-01-24 2003-07-24 O'hare Christopher F. Method for assembling artificial reef modular units
FI20021110A (fi) * 2002-06-10 2003-12-11 U H Rakennus Oy Rakennuselementtijärjestely
US20060059817A1 (en) * 2004-08-20 2006-03-23 Fleming Thomas E Fastening tool and system to lift concrete blocks for placement
JP5239924B2 (ja) * 2009-02-16 2013-07-17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9932737B1 (en) * 2010-10-15 2018-04-03 Constructive , Llc Prefabricated masonry lintels
US10544583B2 (en) * 2010-10-15 2020-01-28 Constructive, L.L.C. Prefabricated masonry walls
KR101220995B1 (ko) 2011-02-23 2013-01-10 김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WO2012162834A1 (en) * 2011-05-31 2012-12-06 Maeers Richard Construction blocks
EP2758611A2 (en) * 2011-08-09 2014-07-30 Tie-Cast Systems, Inc. Masonry reinforcement system
CN203097060U (zh) * 2012-12-28 2013-07-31 张维艺 一种双排孔蒸压砂加气混凝土墙体砌块
CN103216024A (zh) * 2013-04-30 2013-07-24 株洲博尔曼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保温无砂浆砌块砌体剪力墙体系及其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924A (ja) * 1992-02-26 1993-09-17 Ohbayashi Corp 横積みされた板状部材の搬送方法
JP2000247571A (ja) * 1999-02-26 2000-09-12 Matsuoka Concrete Kogyo Kk 回転支持具
KR200231243Y1 (ko) * 2001-02-12 2001-07-19 송기도 호안 식생용 블럭
KR200245001Y1 (ko) * 2001-05-29 2001-10-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KR101355805B1 (ko) *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05685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5685A4 (en) 2020-05-13
CA3034960A1 (en) 2018-03-01
RU2724670C1 (ru) 2020-06-25
US20190194893A1 (en) 2019-06-27
BR112019003690B1 (pt) 2023-03-21
EP3505685A1 (en) 2019-07-03
ZA201901793B (en) 2021-08-25
US10422094B2 (en) 2019-09-24
BR112019003690A2 (pt) 2019-06-04
AU2017316986A1 (en) 2019-04-11
CN109642405B (zh) 2021-06-15
PH12019500402A1 (en) 2020-01-20
CN109642405A (zh) 2019-04-16
KR101793984B1 (ko) 2017-11-06
SG11201901569WA (en) 2019-03-28
AU2017316986B2 (en) 2019-11-14
EP3505685B1 (en)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8406A1 (ko)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WO2020166846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WO2022059977A1 (ko) 프리캐스트 벽체의 겹침철근 연속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12057510A2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WO2021182795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WO2016056696A1 (ko) 다이아프램이 없는 강관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AU2010284769B2 (en) Vertical connector for use on the seabed
WO2018101733A1 (ko) 지반 굴착용 파일 가이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설치공법
WO2016192646A1 (zh) 垂直升船机大型承船厢安装方法及安装定位辅助工装装置
WO2012173395A2 (ko) Bop 조립체의 수중 보관을 위한 슬롯을 갖는 시추시스템
WO2018038305A1 (ko)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WO2018097357A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이동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WO2023096253A1 (ko)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18004089A1 (ko) 조립식 보강벽돌
WO2020138860A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기초의 시공방법 및 그 기초
WO2022182027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WO2023022457A1 (ko)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18143534A1 (ko) 거푸집 조립체
WO2015178584A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WO2016204558A1 (ko) 벽체 시공장치
WO2019045292A1 (ko)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WO2014200272A1 (ko) 단면 강성이 증가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거더
WO2024014729A1 (ko) 해저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방지를 위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WO2014112738A1 (ko) 말뚝연결구
WO2024090779A1 (ko)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수중 개비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38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034960

Country of ref document: C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9003690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438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325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316986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70725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9003690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9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