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001Y1 -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001Y1
KR200245001Y1 KR20010015930U KR20010015930U KR200245001Y1 KR 200245001 Y1 KR200245001 Y1 KR 200245001Y1 KR 20010015930 U KR20010015930 U KR 20010015930U KR 20010015930 U KR20010015930 U KR 20010015930U KR 200245001 Y1 KR200245001 Y1 KR 200245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suspension
hook
guide member
h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15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흥덕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15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0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5Lifting beam permitting to depose a load through an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슈트에 설치되는 러그간의 폭변화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을 제공하고, 서스펜션에 설치된 후크의 길이를 가변시켜 슈트를 출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서 슈트에 담긴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부 중앙에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지는 고리가 설치되고 앞,뒤쪽 선단에는 슈트의 러그를 걸어 들어올리기 위한 한쌍의 후크가 각각 설치된 슈트 이동용 서스펜션에 있어서, 서스펜션의 몸체에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삽입되고 선단에는 후크가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서스펜션의 후크 간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조절부와; 이동부재 선단에 하향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 하부를 통해 신축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하단에 후크가 형성된 승강부재, 승강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시키기 위한 절환수단을 포함하여, 앞쪽 한쌍의 후크 길이를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Suspension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chute}
본 고안은 천장크레인의 후크에 연결되어 각종 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한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크기의 슈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슈트 내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 등과 같이 용강이나 고철 등을 상부로 투입하는 장비에는 천장크레인이 사용되어 용강이나 고철 등이 담기는 용기를 들어올려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의 양 측면에는 트리니온 또는 러그가 설치되어 있어서, 용기는 트리니온 또는 러그에 걸려지는 서스펜션을 매개로 크레인의 후크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된다.
서스펜션은 통상 상부 중앙에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지는 고리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용기의 러그를 걸어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박스형태로 된 슈트의 경우 구조상 앞쪽과 뒤쪽에 각각 한쌍씩 총 4개의 러그가 설치되는 데, 이러한 슈트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4개 후크가 설치된 서스펜션이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서스펜션은 고정된 직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슈트(슈트의 크기에 따라 앞뒤에 설치되는 러그간의 간격이 달라진다)를 들어올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예컨데, 원료에 관계된 슈트를 사용한 후 타설비에 사용되는 크기가다른 슈트를 들어울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슈트에 맞는 서스펜션을 재설치한후 슈트를 다시 걸어 이동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슈트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크레인의 보권 등을 이용하여 슈트의 출구를 기울이거나, 슈트에 배출을 위한 장치를 부가하여 별도의 배출작업을 다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슈트에 설치되는 러그간의 폭변화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서스펜션에 설치된 후크의 길이를 가변시켜 슈트를 출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서 슈트에 담긴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에 슈트가 들어올려져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도 4,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앙몸체 20 : 이동부재
30 : 가이드부재 31 : 승강부재
40 : 하우징 41 : 회전축
42 : 일방향클러치 43 : 구동톱니
44 : 고정톱니 45 : 걸림홈
46 : 누름부재 49 : 작동핀
50 : 브라켓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 중앙에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지는 고리가 설치되고 앞,뒤쪽 선단에는 슈트의 러그를 걸어 들어올리기 위한 한쌍의 후크가 각각 설치된 슈트 이동용 서스펜션에 있어서, 서스펜션의 후크 간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조절부와, 앞쪽 한쌍의 후크에 설치되어 후크의 길이를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조절부는 서스펜션의 몸체에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삽입되고 선단에는 후크가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부는 이동부재 선단에 하향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 하부를 통해 신축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하단에 후크가 형성된 승강부재, 승강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시키기 위한 절환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에 슈트가 들어올려져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은 천장크레인의 주권에 연결된 후크(100)에 걸려 들어올려지도록 된 것으로, 상부 중앙에는 고리(11)가 설치되어 크레인의 후크에 걸려들어올려지도록 된 사각형태의 중앙몸체(10)와, 중앙몸체 양 선단에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20)와, 신축된 상태에서 이동부재를 중앙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각 이동부재의 외측 선단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내려뜨려지는 가이드부재(30), 가이드부재 하부를 통해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승강부재(31), 승강부재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슈트(150)의 러그(151)를 걸기 위한 후크(32), 전방쪽 가이드부재(30)에 설치되어 승강부재(31)를 신장 또는 수축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시키기 위한 절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부재(20)는 중앙몸체(10)의 전방쪽과 후방쪽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이에 따라 서스펜션은 총 4개의 후크(32)가 구비된다. 이중 후방쪽에는 가이드부재 없이 바로 후크가 설치된 승강부재(31)가 이동부재(20)의 선단에 힌지축으로 결합된 형태이고, 가이드부재(30)는 전방쪽에만 설치된다.
이동부재(20)가 슬라이딩되는 중앙몸체(10)의 내부에는 이동부재와의 사이에 가이드롤(2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동부재(20)의 부드러운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이동부재(20)의 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홀(22)과, 삽입홀 형성측면과 대응되는 중앙몸체(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23)와, 힌지부재 내측면에 설치되어 중앙몸체를 통해 이동부재의 삽입홀에 끼워지는 고정돌기(24), 힌지부재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힌지부재를 중앙몸체쪽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25)을 포함한다.
따라서 힌지부재를 회동시킨 후 이동부재를 신축시키고 힌지부재를 놓게 되면 힌지부재에 설치된 고정돌기가 이동부재의 삽입홀에 끼워지면서 이동부재가 중앙몸체에 대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환수단은 가이드부재(30)에 대해 승강부재(31)를 삽입 또는 인출시켜 이동부재(20)에서 후크까지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상태로 전환시키고, 그 전환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부재(30) 측면에 설치되는 하우징(40)과, 하우징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41),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한 일방향클러치(42), 회전축 일측선단에 90도 각도로 배열설치되고 경사면이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된 구동톱니(43), 회전축 중앙에서 180도 각도로 배열되어 구동톱니 사이로 돌출설치되고 가이드부재 측면 홀을 통해 가이드부재 내부로 진입하며 구동톱니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형성된고정톱니(44), 승강부재 하단 측면에 형성되어 고정톱니에 걸리도록 된 걸림홈(45), 구동톱니 측면에서 하우징 하부로 돌출설치되는 누름부재(46), 누름부재 내측선단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47), 누름부재 내측 모서리쪽에 절결된 홈(48)에 힌지결합되어 상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끝단은 구동톱니에 걸리도록 된 작동핀(49), 승강부재 하단 측면에 돌출설치되어 수축시 누름부재 하단을 누르도록 된 브라켓(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재(30)도 중앙몸체(10)와 마찬가지로 내부 측면에 가이드롤(51)이 다수 설치되어 승강부재(31)의 부드러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슈트의 러그(151)에 후크(32)를 건 후 슈트(150)의 앞쪽을 지면에 내리 누르게 되면, 러그(151)에 승강부재(31)가 들어올려지면서 회전축(41)이 90도 회동작동하여 승강부재(31)의 걸림홈(45)이 고정톱니(44)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어 신축상태가 교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후크(32) 상부의 내측 절곡부쪽에는 외측으로 일정각도로 하향돌출되는 소정길이의 돌출핀(60)을 설치하여 승강부재(31)가 러그(151)에 의해 밀려올라갈 때, 러그에서 후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부재(30)의 상부는 승강부재(31)가 수축된 상태에서 다시 누름부재(46)를 누르면서 상승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간격을 두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슈트(150)에 내용물이 담겨지게 되면 크레인의 후크에 서스펜션을 설치한 후 서스펜션의 후크간 폭을 슈트의 러그(151)간 폭에 맞춰 조정한 후 러그에 후크를걸어 슈트(15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전방쪽의 후크는 승강부재(31)가 가이드부재(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축된 상태로 전,후방의 각 후크간 높이는 동일하게 된다.
후크의 폭간격조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작업자는 중앙몸체(10)의 각 측면에 설치된 힌지부재(23)를 중앙몸체 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들어올려 이동부재(20)를 중앙몸체에 대해 자유롭게 슬라이딩가능한 상태로 두고, 해당 슈트(150)에 맞춰 이동부재를 중앙몸체에 대해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킨 후 힌지부재(23)를 놓게 되면 힌지부재에 설치된 스프링(25)의 복귀력에 의해 힌지부재가 원위치되면서 힌지부재에 설치된 고정돌기(24)가 이동부재의 삽입홀(22)에 끼워지면서 중앙몸체에 대해 이동부재를 고정시키게 된다.
해당 슈트(150)에 알맞게 서스펜션이 조절되면 서스펜션의 각 후크를 슈트의 각 러그(151)에 걸어 슈트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원하는 배출장소로 슈트를 이동시키게 된다.
배출장소에 도착하게 되면, 슈트(150)의 전방쪽을 기울여 슈트)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작동은 단지 슈트의 앞쪽을 바닥에 한번 내려줌으로서 전방쪽 승강부재를 가이드부재로부터 신장시켜 달성될 수 있다.
즉, 최초 승강부재(31)가 가이드부재(30)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축(41)에 설치된 고정톱니(44)가 수평방향으로 눕혀짐에 따라 고정톱니(44)에 승강부재(31)의 걸림홈(45)이 걸려 하강제어된 상태에서 슈트(150)가 하강되어 지면에 놓여지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의 러그(151)에 하강하는 후크가 걸려 하강을 멈추게 되고 가이드부재(30)는 계속 하강하게 됨으로서 하강을 멈춘 승강부재(31) 측면의 브라켓에 하우징(40)의 누름부재(46)가 눌려져 하우징(40) 내부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누름부재(46)가 하우징(40)에 대해 상승함에 따라 누름부재(46) 모서리의 작동핀(49)에 걸려있는 구동톱니(43)가 작동핀(49)에 걸려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구동톱니(43)가 설치된 회전축(41)이 회동하게 되어 회전축(41) 중앙에 설치된 고정톱니(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승강부재(31)를 구속하고 있던 구동톱니(43)가 수직으로 세워져 구속이 해제됨으로서 승강부재(31)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재(30)를 따라 하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크레인의 후크(100)를 상승시키게 되면 서스펜션이 들어올려지면서 후크에 걸려진 슈트(150)가 들어올려지게 되는 데, 이동부재(20)에서 후크까지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는 후방쪽 후크가 먼저 들어올려지면서 슈트(150)의 후방을 들게 되고, 전방쪽 후크는 승강부재(31)가 가이드부재(30)로부터 전부 나올 때까지 신장을 계속하게 되다.
가이드부재(30)로부터 승강부재(31)가 완전히 인출되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슈트(150)의 전방쪽이 기울어진 체로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되고, 슈트(150) 내의 내용물은 경사진 전방쪽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누름부재(46)를 누른 후 승강부재(31)가 하강하게 되면 누름부재(46)는 탄성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다시 하우징(40) 하부를 통해 돌출되고, 이때 누름핀은 구동톱니(43)에 대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위로 들어올려지면서 구동톱니(43)를 지나 구동톱니(43) 아래 위치하게 된다.
한편, 내용물을 모두 배출시킨 후에는 슈트(150)를 이동시키기 전에 다시 크레인의 후크를 하강시켜 슈트(150)를 지면에 내려놓으면서 승강부재(31)를 가이드부재(30) 내로 삽입시켜 각 후크간의 높이를 동일하게 맞춘 후 슈트(150)를 이동시키게 된다.
즉, 크레인의 후크가 하강함에 따라 기울어진 슈트(150)는 전방쪽이 먼저 지면에 닿게 되고 이어 후방쪽이 닿아 지면에 수평상태로 놓여지고, 이때까지 전방쪽 승강부재(31)는 후크가 슈트의 러그(151)에 걸려진 상태로서 계속 하강하는 가이드부재(30) 내부로 진입해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승강부재(31)가 가이드부재(30) 내부로 완전히 진입할때까지 서스펜션이 충분히 하강하게 되면, 승강부재(31)에 설치된 브라켓에 의해 하우징(40)의 누름부재(46)가 밀려올라가게 되고, 누름부재(46)에 설치된 작동핀(49)에 회전축(41)의 구동톱니(43)가 걸리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의 구동톱니(43)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된다.
구동톱니(43)에 의해 회전축(41)이 90도 회동됨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회전축의 고정톱니(44) 역시 90도 회동되어 수평상태로 전환되고, 수평상태로 놓여 가이드부재(30) 내부로 진입된 고정톱니(44)에 승강부재(31)의 걸림홈(45)이 걸리면서 하강제어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시 서스펜션을 들어올리더라도 수평상태로 놓여진 고정톱니(44)에 승강부재(31)의 걸림홈(45)이 걸려 내려가지 않음으로서 각 후크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에 의하면, 슈트에 별다른 장치를 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서스펜션으로 다양한 크기의 슈트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슈트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상부 중앙에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지는 고리가 설치되고 앞,뒤쪽 선단에는 슈트의 러그를 걸어 들어올리기 위한 한쌍의 후크가 각각 설치된 슈트 이동용 서스펜션에 있어서,
    서스펜션의 몸체에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삽입되고 선단에는 후크가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서스펜션의 후크 간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조절부와;
    이동부재 선단에 하향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 하부를 통해 신축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하단에 후크가 형성된 승강부재, 승강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시키기 위한 절환수단을 포함하여, 앞쪽 한쌍의 후크 길이를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이동부재의 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홀과, 삽입홀 형성측면과 대응되는 중앙몸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와, 힌지부재 내측면에 설치되어 중앙몸체를 통해 이동부재의 삽입홀에 끼워지는 고정돌기, 힌지부재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힌지부재를 중앙몸체쪽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가이드부재 측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한 일방향클러치, 회전축 일측선단에 90도 각도로 배열설치되고 경사면이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된 구동톱니, 회전축 중앙에서 180도 각도로 배열되어 구동톱니 사이로 돌출설치되고 가이드부재 측면 홀을 통해 가이드부재 내부로 진입하며 구동톱니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톱니, 승강부재 하단 측면에 형성되어 고정톱니에 걸리도록 된 걸림홈, 구동톱니 측면에서 하우징 하부로 돌출설치되는 누름부재, 누름부재 내측선단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누름부재 내측 모서리쪽에 절결된 홈에 힌지결합되어 상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끝단은 구동톱니에 걸리도록 된 작동핀, 승강부재 하단 측면에 돌출설치되어 수축시 누름부재 하단을 누르도록 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KR20010015930U 2001-05-29 2001-05-29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KR200245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5930U KR200245001Y1 (ko) 2001-05-29 2001-05-29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5930U KR200245001Y1 (ko) 2001-05-29 2001-05-29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001Y1 true KR200245001Y1 (ko) 2001-10-17

Family

ID=6186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15930U KR200245001Y1 (ko) 2001-05-29 2001-05-29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0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84B1 (ko) * 2016-08-24 2017-11-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KR101807430B1 (ko) * 2016-10-04 2017-12-08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고정장치
KR20180022547A (ko) * 2017-06-21 2018-03-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KR102359243B1 (ko) * 2020-08-13 2022-02-07 주식회사 포스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84B1 (ko) * 2016-08-24 2017-11-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WO2018038406A1 (ko) * 2016-08-24 2018-03-01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US10422094B2 (en) 2016-08-24 2019-09-24 Sang Gi Kim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EP3505685A4 (en) * 2016-08-24 2020-05-13 Sang Gi Kim CONCRETE BLOCK PRODUCTION METHOD AND GUIDE ELEMENT FOR INSTALLING A CONCRETE BLOCK
KR101807430B1 (ko) * 2016-10-04 2017-12-08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고정장치
KR20180022547A (ko) * 2017-06-21 2018-03-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KR102085578B1 (ko) * 2017-06-21 2020-03-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KR102359243B1 (ko) * 2020-08-13 2022-02-07 주식회사 포스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5865A (en) Automatically engaging and disengaging pawl and pulley lifting mechanism
KR200245001Y1 (ko)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US5975495A (en) Lift
CN209455420U (zh) 自卸式垃圾桶及与其配合的盖板自开闭式垃圾箱
KR100377118B1 (ko) 승강식 수납 유닛
KR20060017175A (ko) 식기세척기
KR20030008896A (ko) 농업용 레일 작업기
JPH11171485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100760566B1 (ko)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KR101745617B1 (ko) 전동식 리프터
KR200418289Y1 (ko) 빵 절단기
KR100328210B1 (ko) 평판디스플레이가출몰되게한책상
CN109338121A (zh) 翻包平台锁包装置
KR200252970Y1 (ko) 농업용 레일 작업기
CN219296278U (zh) 含抬升机构的废弃物品收纳装置
JP3223322U (ja) プール
JP3976533B2 (ja) 傾転式箱型パレット
JP3612281B2 (ja) 伸縮門扉
JP2003159136A (ja) 棚の物品落下防止装置
KR200201231Y1 (ko) 환자 침대용 사이드 레일 록킹장치
KR200325901Y1 (ko)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691873B2 (ja) 自動麻雀卓における牌投入口の蓋の開閉装置
JP3663156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
JP4772358B2 (ja) 容器の段ばらし装置
JP4431473B2 (ja) 米飯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