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566B1 -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0566B1 KR100760566B1 KR1020010024091A KR20010024091A KR100760566B1 KR 100760566 B1 KR100760566 B1 KR 100760566B1 KR 1020010024091 A KR1020010024091 A KR 1020010024091A KR 20010024091 A KR20010024091 A KR 20010024091A KR 100760566 B1 KR100760566 B1 KR 100760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body
- hook
- ladle
- sliding body
- a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1—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devices for cleaning la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 상부에 고착된 지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회전지지몸체(6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된 아암(70)의 끝단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브라켓(72)을 형성하고, 상기 아암(70)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면서 스프링(84)에 의해 회전지지몸체(60)쪽으로 탄력지지된 후크지지몸체(80)의 하부에 상기 절곡브라켓(72)쪽으로 절곡된 후크(82)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지지몸체(6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가능하도록 제2슬라이딩체(20)를 장착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2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제1슬라이딩체(10)에 후크핀(2)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체(10)가 상승할 때 상기 후크지지몸체(80)가 절곡브라켓(72)쪽으로 이동되도록 와이어(68)를 매개로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지지몸체(60)의 상부에 돌기(58)를 갖는 키걸림구(56)를 장착하며, 상기 제2슬라이딩체(20)의 하부에 충격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상기 돌기(58)에 착탈되는 키이(44)를 갖는 원터치실린더(4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래들, 지금, 천정크레인
Description
도1은 종래기술에 따라 래들 상부의 지금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금 제거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요부를 각각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후크핀 10 : 제1슬라이딩체
20 : 제2슬라이딩체 40 : 원터치실린더
44 : 키이 56 : 키걸림구
58 : 돌기 60 : 회전지지몸체
68 : 와이어 70 : 아암
72 : 절곡브라켓 80 : 후크지지몸체
82 : 후크
본 발명은 래들 상부에 고착된 지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전로 취련이 완료되면 출강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출강된 용강은 래들에 담겨져 성분조정, 승온 및 버블링 등의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래들에서의 작업중 발생되는 지금 또는 슬라그가 상기 래들의 상단에 고착되며, 이 지금 또는 슬라그가 과다한 경우 주변설비에 간섭되어 생산성 향상에 큰 저해요인이 된다.
도1은 래들(101) 상부에 지금(102)이 고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종래에는 이러한 지금(102)을 천정크레인의 후크(103)에 체인(104)을 매개로 장착된 갈고리(110)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지금(102) 제거에 상당한 노력 및 시간이 필요한 것은 물론 지금(102)이 탈락되면서 주변 설비를 파손시키거나 래들(101) 부근에서 수신호로 작업을 지시하는 작업자에게도 큰 위협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래들 상부의 지금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래들 상부에 부착된 지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회전지지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된 아암의 끝단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아암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면서 스프링에 의해 회전지지몸체쪽으로 탄력 지지된 후크지지몸체의 하부에 상기 절곡브라켓쪽으로 절곡된 후크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지지몸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가능하도록 제2슬라이딩체를 장착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제1슬라이딩체에 후크핀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체가 상승할 때 상기 후크지지몸체가 절곡브라켓쪽으로 이동되도록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지지몸체의 상부에 돌기를 갖는 키걸림구를 장착하며, 상기 제2슬라이딩체의 하부에 충격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상기 돌기에 착탈되는 키이를 갖는 원터치실린더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금 제거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지금 제거장치(1)가 천정크레인의 후크(103)에 장착됨을 보인다.
본 발명의 지금 제거장치(1)는 천정크레인의 후크(103)에 걸려 장착되는 후크핀(2)을 가지며, 상기 후크핀(2)의 좌우 양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의 제1슬라이딩체(10) 상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체(10)의 각각은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중공부를 형성한 제2슬라이딩체(20)의 중공부에 상부로부터 끼워져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도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슬라이딩체(10)와 제2슬라이딩체(20)의 각각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어 관통된 슬릿형 가이드구멍(12)(2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구멍(12)(22)을 관통하여 축(30)이 끼워지 며, 상기 축(30)의 양단에는 풀리(32)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20)의 하단부 각각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걸림구(24)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제2슬라이딩체(20)는 그 하단이 원터치 실린더(40)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원터치 실린더(40)는 하부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상하승강로드(42)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승강로드(42)의 하단부에는 측면이 하부쪽으로 갈수록 서로 근접하도록 평행하게 경사진 키이(44)가 일체로 고정된다. 물론, 상기 원터치 실린더(4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상기 상하승강로드(42)가 한번 상승할 때마다 그 상하승강로드(42)를 축중심으로 90°씩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키(44)의 하부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판재 형상으로 된 베이스(50)가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50)의 좌우측 상부면에 서로 평행하면서 상부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지지대(52)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52)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20)가 상기 지지대(52) 사이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때 상기 제2슬라이딩체(20)의 걸림구(24)가 상기 지지대(52)의 걸림턱(54)에 걸려 더 이상 상부쪽으로 멀어지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52)의 상부면 중앙에는 적정한 길이 떨어져 서로 평행한 상태로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 키걸림구(56)가 고정되고, 이 키걸림구(56)의 상단에는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키이(44)에 대응되도록 하부로 갈 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경사진 돌기(5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52)의 하부면에는 'U'자형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대(52)의 하부면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일체로 고정된 회전지지몸체(6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지지몸체(60)의 각각에는 아암(70)의 일단이 핀(62)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아암(70)은 도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지지몸체(60)의 길이방향, 즉 상기 회전지지몸체(60)가 서로 연결된 중앙부분에 대한 반경방향으로 적절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이 아암(70)은 상기 핀(62)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은 가능한 반면 수평한 상태보다 더 하향되는 방향으로의 회동은 차단된 상태이며, 이는 상기 아암(70)과 회전지지몸체(60)의 형상을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암(70)의 타단측 상부면에 풀리(64)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지지몸체(60)의 각각에 풀리(66)가 장착되며, 와이어(68)의 일단이 상기 축(30)의 풀리(32)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지지몸체(60)의 풀리(66)를 하부쪽으로 감싸면서 수직한 방향으로 방향이 변환되고 계속하여 상기 아암(70)의 풀리(64)를 감싸면서 그 방향이 180°변환되어 상기 아암(70)에 설치된 후크지지몸체(80)에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후크지지몸체(80)는 상기 아암(7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그 아암(70)의 외경측 단부쪽으로 절곡된 후크(82)가 고정되며, 이러한 후크지지몸체(80)에는 스프링(84)에 의해 회전지지몸체(60)쪽으로 탄성복원력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지지몸체(80)의 상단 중앙에 풀리(8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풀리(86)는 상기 와이어(68)의 경로가 안정되도록 그 와이어(68)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아암(70)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다가 회전지지몸체(60)쪽으로 절곡된 절곡브라켓(72)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래들(101)의 상단에 부착된 지금 및 슬라그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본 발명의 장치에 구비된 후크핀(2)에 천정크레인의 후크(103)를 걸어 본 장치(1)를 래들(101)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원터치실린더(40)의 상하승강로드(42)에 구비되어 있는 키이(44)가 키걸림구(56)의 돌기(58)에 걸려진 상태이고, 또한 제1슬라이딩체(10)가 제2슬라이딩체(20)로부터 최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된 상태이며, 또한 상기 제1슬라이딩체(10)의 풀리(32)에 의해 와이어(68)가 당겨져 그 와이어(68)에 풀리(64)(66)들을 매개로 연결된 후크지지몸체(80)의 후크(82)는 아암(70)의 중앙부분에 위치된 상태이다.
본 장치(1)가 래들(101)의 상부에 위치되면, 후크(103)를 하강시켜 본 장치(1)의 아암(70)이 각각 래들(101)의 상부면에 안착되게 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조금 더 후크(103)를 하강시켜 후크핀(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한다.
이 상태는 제1슬라이딩체(10)를 하강시키고, 이에 의해 축(30)도 하강하며, 따라서 그 축(30)의 풀리(32)에 연결되어 있던 와이어(68)에 걸려 있던 외력이 제거되고, 이는 상기 와이어(68)에 의해 아암(70)의 중앙부 위치에 유지되고 있던 후크지지몸체(80)가 스프링(84)에 의해 회전지지몸체(60)쪽으로 더 이동된다. 그리고, 아암(70)의 끝단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절곡브라켓(72)은 래들(101) 상부의 외측에 위치된다.
물론, 이때 상기 원터치실린더(40)의 상하승강로드(42)에 구비된 키이(44)도 하강되지만, 그 키이(44)가 베이스(50) 상부의 어떠한 구성요소에도 접촉되고 있지는 않다.
계속하여 후크(103)를 더 하강시키면 그에 의해 상기 키이(44)도 하강하여 베이스(50)의 상부에 충돌하며, 따라서 상기 키이(44)는 90°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상태가 되면, 상기 후크(103)의 하강을 멈추고, 반대로 그 후크(103)를 상승시키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상기 후크(103)에 걸려 있던 제1슬라이딩체(10)가 다른 구성요소들보다 먼저 상승하기 시작하고, 이에 의해 축(30)도 상승하여 그 축(30)의 풀리(32)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68)가 상부로 당겨지며, 따라서 상기 와이어(68)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지지몸체(80)가 스프링(8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아암(70)의 절곡브라켓(72)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슬라이딩체(10)와 함께 축(30)이 계속 상승되다가 가이드구멍(22)의 상단에 도달되면, 제2슬라이딩체(20)가 상승되기 시작하며, 이때 상기 제2슬라이딩체(20)의 하단에 구비된 원터치실린더(40)도 함께 상승되며, 이는 그 원터치실린더(40)의 상하승강로드(42)에 구비된 키이(44)가 90 °로 회전되어 키걸림구(56)의 돌기(58)에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함께 와이어(68)도 더 상부쪽으로 잡아당겨지며 이는 그 와이어(68)에 연결된 후크지지몸체(80)를 아암(70)의 절곡브라켓(72)쪽으로 더 이동시키게 하여 그에 구비되어 있는 후크(82)를 래들(101)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던 지금 및 슬라그의 내측에 밀착되게 한다.
계속하여 후크(103)를 상승시키면, 상기 래들(101)의 상부 지금에 밀착된 후크(82)가 절곡브라켓(72)쪽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아 본 장치(1) 전체를 상승시키게 되며, 따라서 상기 후크(82)와 절곡브라켓(72) 사이에 집혀진 래들(101)의 상부 지금에 상부쪽으로 힘이 가해져, 그 지금이 래들(1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물론, 이 상태로 후크(103)를 지금 제거장소로 이동시켜 다시 후크(103)를 하강시킴으로써 지금을 제거하면 된다.
이때에는 키이(44)가 하강하여 충격에 의해 90°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상태는 그 키이(44)가 키걸림구(56)의 돌기(58)에 걸린 상태가 되고, 따라서 본 장치(1)를 상승시켜 초기 상태로 위치시킨 후 차기 작업을 대기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에 의하면, 래들 상부에 부착된 지금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종래와 같이 지금을 제거하면서 발생되는 설비파손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 및 설비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 래들 상부에 부착된 지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회전지지몸체(6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된 아암(70)의 끝단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브라켓(72)을 형성하고, 상기 아암(70)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면서 스프링(84)에 의해 회전지지몸체(60)쪽으로 탄력지지된 후크지지몸체(80)의 하부에 상기 절곡브라켓(72)쪽으로 절곡된 후크(82)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지지몸체(6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가능하도록 제2슬라이딩체(20)를 장착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2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제1슬라이딩체(10)에 후크핀(2)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체(10)가 상승할 때 상기 후크지지몸체(80)가 절곡브라켓(72)쪽으로 이동되도록 와이어(68)를 매개로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지지몸체(60)의 상부에 돌기(58)를 갖는 키걸림구(56)를 장착하며, 상기 제2슬라이딩체(20)의 하부에 충격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상기 돌기(58)에 착탈되는 키이(44)를 갖는 원터치실린더(4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4091A KR100760566B1 (ko) | 2001-05-03 | 2001-05-03 |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4091A KR100760566B1 (ko) | 2001-05-03 | 2001-05-03 |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4950A KR20020084950A (ko) | 2002-11-16 |
KR100760566B1 true KR100760566B1 (ko) | 2007-09-20 |
Family
ID=2770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4091A KR100760566B1 (ko) | 2001-05-03 | 2001-05-03 |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056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8943A (ko) | 2018-03-16 | 2019-09-25 | 주식회사 포스코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2823B1 (ko) * | 2002-10-04 | 2009-06-12 | 주식회사 포스코 | 래들 상부의 부착 지금 제거장치 |
KR101960936B1 (ko) | 2017-05-12 | 2019-03-21 | 주식회사 포스코 |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
KR102139630B1 (ko) | 2018-07-19 | 2020-07-30 | 주식회사 포스코 | 용기 장치 및 부착물 제거방법 |
KR102103389B1 (ko) | 2018-07-30 | 2020-04-22 | 주식회사 포스코 | 지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KR102179559B1 (ko) | 2019-04-15 | 2020-11-16 | 주식회사 포스코 | 운반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60868A (en) * | 1980-05-15 | 1981-12-10 | Kubota Ltd | Scum removing method for ladle |
JPH09314316A (ja) * | 1996-05-30 | 1997-12-09 | Kawasaki Steel Corp | 溶鋼鍋内の付着物除去方法 |
KR20010001202U (ko) * | 1999-06-25 | 2001-01-15 | 이구택 | 용강래들의 지금분리장치 |
-
2001
- 2001-05-03 KR KR1020010024091A patent/KR1007605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60868A (en) * | 1980-05-15 | 1981-12-10 | Kubota Ltd | Scum removing method for ladle |
JPH09314316A (ja) * | 1996-05-30 | 1997-12-09 | Kawasaki Steel Corp | 溶鋼鍋内の付着物除去方法 |
KR20010001202U (ko) * | 1999-06-25 | 2001-01-15 | 이구택 | 용강래들의 지금분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8943A (ko) | 2018-03-16 | 2019-09-25 | 주식회사 포스코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4950A (ko) | 2002-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A001267B1 (ru) | Забивка свай | |
KR100760566B1 (ko) |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 |
KR101794126B1 (ko) |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방지장치 | |
JP5767573B2 (ja) | エレベータ保守用装置 | |
US4553743A (en) | Elevated device for placing slag retention means in tapping converters | |
JP4353872B2 (ja) | 巻上機取付装置、および巻上機取付方法 | |
JP2753216B2 (ja) | マンホール用昇降式安全柵装置 | |
JP6672074B2 (ja) | ワイヤ掛け用治具及びワイヤ掛け装置並びにワイヤ掛け方法 | |
JP3785631B2 (ja) | 溶解炉の炉蓋昇降装置 | |
KR200201232Y1 (ko) |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 |
KR200331463Y1 (ko) |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 |
KR200492797Y1 (ko) | 케이블 드럼 지그 | |
US5065984A (en) | Clamp assembly for removing pins from a concrete form | |
KR20170131078A (ko) | 소방호스 건조기의 안전 제동장치 | |
KR100868086B1 (ko) | 래들의 리프팅 러그 고정장치 | |
EP0087846A1 (en) | A device for taking up and putting down containers | |
KR100902823B1 (ko) | 래들 상부의 부착 지금 제거장치 | |
KR200463343Y1 (ko) | 갱폼 상승 유도 장치 | |
KR100804936B1 (ko) | 직류 전기로 센터피스 교환장치 | |
JP4761666B2 (ja) | エレベータ用品揚重装置及び揚重方法 | |
CN221459585U (zh) | 一种吊装装置 | |
US2537788A (en) | Ingot stool remover and the like | |
JP4215613B2 (ja) | 吊荷の案内装置 | |
KR101053344B1 (ko) | 절손 전극봉 포집장치 | |
KR100408669B1 (ko) | 레이들의 불활성 가스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