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232Y1 -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232Y1
KR200201232Y1 KR2020000014174U KR20000014174U KR200201232Y1 KR 200201232 Y1 KR200201232 Y1 KR 200201232Y1 KR 2020000014174 U KR2020000014174 U KR 2020000014174U KR 20000014174 U KR20000014174 U KR 20000014174U KR 200201232 Y1 KR200201232 Y1 KR 200201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block
fall prevention
traction wi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엽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4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2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철을 적입하여 전로로 상부 이동전 보권을 이용하여 걸이대를 권상시키면 자동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견인, 슈트 말단부에 블럭이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보권 걸이대 측면 베이스(18)에 회전용 핀(1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용 핀(10)의 보권 걸이대(7)의 측면부에 견인 와이어 가로활대(11,11a)를 부착하며, 상기 보권 걸이대(7)의 말단부에 견인 와이어(8)를 취부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8)를 추락방지 블럭 가이더(13,13a) 상승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보권 걸이대(7)에 보권 후크를 걸며, 지지 로울러(9-9i)를 각이지는 부위에 설치하고, 슈트(1)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더 레일(15)에 추락방지 블럭(14)을 삽입시키며, 상기 슈트(1) 바닥에 블럭 유도구(19)를 설치하고, 상기 추락방지 블럭(14)의 측면부에 블럭 가이더(13)를 취부하고, 상기 슈트(1) 외부 입측 하단부에 블럭 보호 커버(17)를 부착하며, 상기 슈트(1) 양측면 하단부에 견인 와이어 보호 커버(16)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prevention apparatus for chute scrap iron crash the use of scrap iron charge}
본 고안은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철을 적입하여 전로로 상부 이동전 보권을 이용하여 걸이대를 권상시키면 자동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견인, 슈트 말단부에 블럭이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관제철소 제강공장 고철장입용 슈트(chute)는 제선에서 생산되는 용선과 고철을 전로에 혼입하는 중요한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에는 크레인(C/R)이 들어 올릴수 있도록 주권 걸이대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고 슈트 전방에는 보권 걸이대가 설치되어 있다.
고철이 적입되면 주권과 보권을 이용하여 슈트를 상승시켜 전로 주입구에서 보권 걸이대를 상승시켜 주권 걸이대가 하강되면서 전로에 고철을 장입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그런데, 도 1과 같이 슈트에 적정량의 물량을 슈트(1)에 담는 과정에서 슈트 용적비가 작아서 고철(2)을 적입하여 크레인이 전로로 운반하고자 주권(4)은 주권 걸이대(3), 보권(6)은 보권 걸이대(5)를 이용하여 상향, 주행, 횡행 조작과정에서 흔들림 및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슈트 내부에 적입된 고철이 외부로 미끄러지면서 슈트 말단부()에 걸림으로 인하여 고철 장입의 장애 및 이동중 고철(2a)이하부로 낙하하면서 설비의 파손 및 하부 작업자와 격돌시 대형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철을 적입하여 전로로 상부 이동전 보권을 이용하여 걸이대를 권상시키면 자동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견인, 슈트 말단부에 블럭이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전로에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철추락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슈트에 고철추락 방지장치를 부착한 세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철추락 방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슈트 2 : 고철
2a : 추락하는 고철 3 : 주권 걸이대
4 : 주권 5 : 보권 걸이대 베이스
6 : 보권 7 : 보권 걸이대
8, 8a : 견인 와이어 9-9i : 지지 로울러
10 : 회전 핀 11, 11a : 견인 와이어 가로활대
12, 12a : 스토퍼 볼트 13, 13a : 추락방지 블럭 가이더
14 ; 추락방지 블럭 15, 15a : 가이더 레일
16 : 견인 와이어 보호커버 17 : 고철추락 방지블럭 하부커버
18 : 보권 걸이대 측면 베이스 19 : 추락방지 블럭 유도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보권 걸이대 측면 베이스(18)에 회전용 핀(1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용 핀(10)의 보권 걸이대(7)의 측면부에 견인 와이어 가로활대(11,11a)를 부착하며, 상기 보권 걸이대(7)의 말단부에 견인 와이어(8)를 취부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8)를 추락방지 블럭 가이더(13,13a) 상승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보권 걸이대(7)에 보권 후크를 걸며, 지지 로울러(9-9i)를 각이지는 부위에 설치하고, 슈트(1)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더 레일(15)에 추락방지 블럭(14)을 삽입시키며, 상기 슈트(1) 바닥에 블럭 유도구(19)를 설치하고, 상기 추락방지 블럭(14)의 측면부에 블럭 가이더(13)를 취부하고, 상기 슈트(1) 외부 입측 하단부에 블럭 보호 커버(17)를 부착하며, 상기 슈트(1) 양측면 하단부에 견인 와이어 보호 커버(16)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철추락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슈트에 고철추락 방지장치를 부착한 세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철추락 방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권 걸이대 베이스(5)에 회전용 핀(10)을 측면 베이스(18)에 제작 설치하고, 회전용 핀 전면 보권 걸이대(7) 측면부에 견인 와이어 가로활대(11)를 부착하여 말단부에 추락방지 블럭(14) 전체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 와이어(8)를 취부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는 추락방지 블럭 가이더(13) 상승부에 고정시키고 보권 걸이대(7)에 보권 후크를 걸고 권상시 보권 걸이대가 반 회전하면서 견인 와이어(8)가 원활하게 추락방지 블럭을 상승할 수 있게끔 지지 로울러(9-9i)를 각이지는 부위에 설치하며, 추락방지 블럭은 슈트(1)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더 레일(15)에 추락방지 블럭을 삽입시키고 상,하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슈트 바닥에 블럭 통과가 용이하게끔 블럭 유도구(19)를 설치하며, 블럭은 가이더 레일 내부에서 이동이 용이하게끔 측면부에 블럭 가이더(13)를 취부하고 블럭을 보호하기 위해서 슈트 외부 입측 하단부에 블럭 보호 커버(17)를 부착하며, 견인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해 슈트 양측면 하단부에 견인 와이어 보호 커버(16)를 제작 부착한댜.
따라서, 본 고안은 고철이 적입된 슈트를 상승전 보권훅이 걸이대에 걸고, 권상시 보권 걸이대가 반 회전하면서 견인 와이어가 고철 추락 방지 블럭을 상승시키고, 전로 장입시 보권 걸이대가 기존 위치로 돌아오면 블럭도 하향되면서 고철 장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철을 적입하여 전로로 상부 이동전 보권을 이용하여 걸이대를 권상시키면 자동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견인, 슈트 말단부에 블럭이 자동으로 승,하강됨으로써, 슈트에 적입된 고철이 흔들림, 출렁거림 및 원형 고철의 미끄러짐에 의한 외부 이탈 추락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보권 걸이대 측면 베이스(18)에 회전용 핀(1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용 핀(10)의 보권 걸이대(7)의 측면부에 견인 와이어 가로활대(11,11a)를 부착하며, 상기 보권 걸이대(7)의 말단부에 견인 와이어(8)를 취부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8)를 추락방지 블럭 가이더(13,13a) 상승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보권 걸이대(7)에 보권 후크를 걸며, 지지 로울러(9-9i)를 각이지는 부위에 설치하고, 슈트(1)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더 레일(15)에 추락방지 블럭(14)을 삽입시키며, 상기 슈트(1) 바닥에 블럭 유도구(19)를 설치하고, 상기 추락방지 블럭(14)의 측면부에 블럭 가이더(13)를 취부하고, 상기 슈트(1) 외부 입측 하단부에 블럭 보호 커버(17)를 부착하며, 상기 슈트(1) 양측면 하단부에 견인 와이어 보호 커버(16)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추락 방지장치.
KR2020000014174U 2000-05-19 2000-05-19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KR200201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174U KR200201232Y1 (ko) 2000-05-19 2000-05-19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174U KR200201232Y1 (ko) 2000-05-19 2000-05-19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232Y1 true KR200201232Y1 (ko) 2000-11-01

Family

ID=1965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174U KR200201232Y1 (ko) 2000-05-19 2000-05-19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2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831B1 (ko) 2010-12-14 2012-09-11 주식회사 포스코 보권장치
KR101796086B1 (ko) * 2016-08-29 2017-11-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장치
KR20190104777A (ko)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포스코 경로 조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장입 설비
KR102359243B1 (ko) * 2020-08-13 2022-02-07 주식회사 포스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831B1 (ko) 2010-12-14 2012-09-11 주식회사 포스코 보권장치
KR101796086B1 (ko) * 2016-08-29 2017-11-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장치
KR20190104777A (ko)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포스코 경로 조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장입 설비
KR102359243B1 (ko) * 2020-08-13 2022-02-07 주식회사 포스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1232Y1 (ko)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US7134701B1 (en) Frame for lifting beams and other elongated loads
KR100760566B1 (ko)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EP0087846A1 (en) A device for taking up and putting down containers
JP3064585B2 (ja) ロール自動玉掛吊具
CN111268548B (zh) 闸门吊绳定位工装
CN216337912U (zh) 离子渗氮炉盖安全定位导向装置
CN214112605U (zh) 一种保温炉转运车
CN211712165U (zh) 移动式铁路装车平台
KR200198003Y1 (ko) 용융아연도금설비의 드로스 회수상자 이동장치
KR100868086B1 (ko) 래들의 리프팅 러그 고정장치
JPS6241030Y2 (ko)
JP2993785B2 (ja) 自走型クレーンのフック係止構造
CN211496569U (zh) 一种法兰连接式钢管吊具
CN220056030U (zh) 一种防脱落的吊钩
CN214255439U (zh) 一种用于架空输电线路的地线提线装置
CN218708529U (zh) 一种副枪吊运架
JPH0420869Y2 (ko)
CN212175491U (zh) 一种用于桥梁建筑护栏外侧施工的吊架式平台
JPS6141741Y2 (ko)
JPH0647095Y2 (ja) 吊持フインガーにおける掛止杆外れ防止装置
JPH08239191A (ja) 吊り具
JPH07488Y2 (ja) 防風雪柵展開格納装置
JPH0633160B2 (ja) 斜面に沿って昇降させる作業台車等のクライミング式昇降機構
JPS61229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