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243B1 -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243B1
KR102359243B1 KR1020200101942A KR20200101942A KR102359243B1 KR 102359243 B1 KR102359243 B1 KR 102359243B1 KR 1020200101942 A KR1020200101942 A KR 1020200101942A KR 20200101942 A KR20200101942 A KR 20200101942A KR 102359243 B1 KR102359243 B1 KR 10235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container
chute
carrier
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0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6Charging device for conver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06Lances or injectors
    • C21C5/462Means for handling, e.g. adjusting, changing,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기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용기에 대상물을 공급하는 장입장치로서,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슈트; 상기 운반기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슈트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슈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Apparatus for charging object and method for using charge equipment}
본 발명은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기와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조업은 용선 예비처리, 전로 정련, 2차 정련 및 연속주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중 전로 정련 공정은 전로에 용선을 공급하고 산소를 취입하여 용선 내 탄소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전로 정련 공정을 진행할 때, 전로에는 고철과 용선이 장입된다.
한편, 용선을 전로에 장입시키는 과정에서, 전로의 유입구에 용선이 비산될 수 있다. 비산된 용선은 냉각되며 전로 유입구에 지금으로 고착된다. 이에, 전로에 고철을 장입하는 슈트와 천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전로의 유입구에 생성된 지금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천장 크레인에 결합된 슈트로 유입구를 타격하여, 지금의 부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후, 슈트를 전로의 유입구에 접촉시키고, 전로를 회전시켜 유입구에 부착된 지금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부착력이 약해지지 않은 지금, 즉 유입구에 고착된 지금이 슈트를 과도하게 기울어지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유입구에서 제거되지 않은 지금이 전로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슈트의 전단부를 과도하게 들어올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슈트의 전단부가 과도하게 들어 올려질 경우, 슈트가 천장 크레인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이탈된 슈트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2002-0000999 A
본 발명은 대상물 장입장치가 운반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는 운반기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용기에 대상물을 공급하는 장입장치로서,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슈트; 상기 운반기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슈트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슈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슈트는, 상기 슈트의 측벽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메인홈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일부가 상기 메인홈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메인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주권걸이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주권걸이를 감지하도록, 상기 메인홈의 상부에 배치되는 감지기; 상기 주권걸이가 상기 메인홈의 상부에서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상기 감지기와 연결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슈트의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하도록, 상기 측정기와 연결되는 판단기; 및 상기 판단기의 판단에 따라 상기 슈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기는, 상기 메인홈의 상부에서 상기 주권걸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권걸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메인홈의 상하방향 길이를 100이라 할 때, 상기 메인홈을 형성하는 측벽의 바닥면으로 부터 70 내지 80 높이 범위 내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부는, 마주보고 이격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홈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권걸이는, 일부가 상기 메인홈에서 돌출되고, 일부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 상기 감지기에 노출된다.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운반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슈트는, 상기 측벽에 상기 메인홈과 분리된 수납홈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는,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는 동력전달기 및 상기 동력전달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홈의 외부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가압기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가압기와 동축상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하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무게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기는, 상기 운반기와 접촉하는 일면에 마찰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기 운용방법은 장입기를 이용하여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입기 운용방법으로, 상기 장입기를 운반기에 결합시키는 과정; 상기 용기를 경동시키고, 상기 용기를 향해 상기 장입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장입기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접촉시키고, 상기 용기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과정; 및 상기 장입기와 상기 운반기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용기에 대한 상기 장입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장입기를 운반기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에 구비된 주권걸이를 상측으로 당기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에 대한 상기 장입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주권걸이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장입기를 상기 용기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장입기를 상기 용기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의 상부에서 상기 주권걸이가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상기 장입기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상기 장입기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과정은, 상기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장입기의 높이를 유지시키고, 상기 측정값이 설정값 초과일 경우 상기 장입기의 수평을 맞추면서 상승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를 향해 장입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와 상기 운반기의 연결 부분을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장입기와 상기 운반기의 연결 부분을 가압하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장입기에 구비된 가압부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 부분을 밀어주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를 향해 장입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로 상기 개구부를 타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타격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상기 전로의 개구부에 부착된 지금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물을 긁어내는 과정은, 전로에 부착된 지금을 긁어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할 때 대상물 장입장치가 운반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이탈된 대상물 장입장치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 장입장치와 운반기의 결합 부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대상물 장입장치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상물 장입장치가 운반기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공정이 지연되는 현상 없이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 장입장치와 운반기의 연결부분을 가압하여, 대상물 장입장치가 운반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상물 장입장치가 운반기에서 이탈하여 낙하하는 사고를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와 운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의 측면도 및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의 작동도.
도 4는 용기와 대상물 장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용기와 대상물 장입장치가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용기의 부착물을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대상물 장입장치가 과도하게 기울어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대상물 장입장치를 수평상태로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종래의 대상물 장입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의 작동을 비교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기 운용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대상물을 운반하고 운반한 대상물을 용기에 공급할 수 있는 대상물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대상물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철소의 제강공정 및 제선공정에 사용되는 처리 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즉, 용기는 대상물이 장입될 수 있는 전로일 수 있고, 운반기는 천장 크레인일 수 있다. 하지만, 용기 및 운반기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은 고철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대상물의 적용 범위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 중, '전방'과 '후방'은 구성 요소가 적용되는 처리 설비 예컨대 용기에 대한 방향을 지칭하며, 도면상 용기를 향하는 방향이 '전방'일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이 '후방'일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처리 설비를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대상물 장입장치가 용기로 이동하는 도면인 도 4를 참조하여 용기(10) 및 운반기(20)의 구조를 먼저 설명한다.
용기(10)는 대상물이 담기는 보관체일 수 있다. 용기(10)는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상부에 개구부(11)가 구비되고, 측면부에 배출구(12)가 구비될 수 있다. 용기(10)는 지지기(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기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며 경동할 수 있다. 즉, 용기(10)의 개구부(11)가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하거나, 혹은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운반기(20)는 대상물 장입장치(100)가 이동하는 방향인 이송방향으로 대상물 장입장치(100)를 운반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방향은 도면상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 혹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운반기(20)는 이동시킨 대상물 장입장치(100)를 용기(10)의 개구부(11)를 향하여 경동시킬 수 있다. 운반기(20)는 작업장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운반기(20)는 주권후크(21) 및 보권후크(22)를 구비할 수 있다.
주권후크(21)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대상물 장입장치(100)의 주권걸이(12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주권후크(21)가 주권걸이(122)를 지지한 상태로, 대상물 장입장치(1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주권후크(21)는 주권걸이(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대상물 장입장치(100)의 전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은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전단부는 장입장치(100)에서 전방에 위치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대상물 장입장치(100)가 과도하게 기울어졌을 때, 주권후크(21)를 상승시켜 대상물 장입장치(100)의 높이를 변경시키고 기울어진 정도(즉,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대상물 장입장치(100)의 조절부(130)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보권후크(22)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대상물 장입장치(100)의 보권걸이(1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보권후크(22)가 보권걸이(123)를 지지한 상태로, 대상물 장입장치(1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권후크(22)는 보권걸이(12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장입장치(100)의 후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후단부는 장입장치(100)에서 후방에 위치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장입장치(100)가 과도하게 기울어졌을 때, 보권걸이(123)를 이동시켜 장입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하기의 대상물 장입장치(100)의 조절부(130)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보권후크(22)는 대상물 장입장치(100)를 용기(10)를 향해 경동시켜 용기(10)로 대상물을 장입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와 운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의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100)는 운반기(20)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용기(10)에 대상물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을 갖는 슈트(110), 운반기(2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가능하게 슈트(110)에 설치되는 연결부(120) 및 슈트(110)의 소정 위치에서 연결부(120)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슈트(1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슈트(110)에 설치되는 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 장입장치(100)는 연결부(120)에 결합된 운반기(2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슈트(110)의 소정 위치는 슈트(110)의 상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소정 위치는 후술하는 슈트(110)의 메인홈(113a)의 상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슈트(110)는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며, 용기(10)에 대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 슈트(110)는 이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와 전단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을 가질 수 있다. 즉, 슈트(110)는 개방된 상부로 대상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수용공간(111)에 대상물을 저장하며, 개방된 전단부로 대상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슈트(110)는 바닥부재(112)와 측벽(1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재(112)는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부재(112)의 전단부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용기(10)에 대상물 장입시, 용기(10)의 개구부(11)에 슈트(11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재(112)는 전단부가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플레이트로 마련되고, 중단부 및 후단부가 직육면체 형상의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재(112)는 후술하는 측벽(113)과 함께 수용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113)은 바닥부재(112)의 양측단 및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측벽(113)은 바닥부재(112)와 함께 수용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113)은 수용공간(111)을 형성하는 일면이 라운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상물이 대상물 장입장치(100)의 교차방향 길이의 중심에 모일 수 있고, 대상물 장입장치(100)를 경동시켰을 때, 대상물을 빠짐없이 용기(10)로 장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고,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측벽(113)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메인홈(113a) 및 수납홈(113b)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113)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메인홈(113a)을 형성할 수 있고, 메인홈(113a)의 후방에 수납홈(113b)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홈(113a)에는 후술하는 연결부(120) 및 조절부(1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고, 수납홈(113b)에는 후술하는 가압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벽(113)은 메인홈(113a)을 형성하는 측면에 함몰된 가이드홈(113c)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홈(113c)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메인홈(113a)을 형성하는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홈(113c)에는 후술하는 연결부(120)의 가이드판(121)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슈트(110)는 전단부의 하부에 스크래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스크래퍼는 용기(10)의 개구부(11)에 고착된 부착물을 더 원활하게 긁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크래퍼는 바닥부재(112)의 전방측 하부에서 설치될 수 있다. 스크래퍼는 바닥부재(112)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그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크래퍼를 통해 용기(10)의 개구부(11)를 더 원활하게 긁어, 부착물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슈트(110)와 운반기(2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120)는 메인홈(113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가이드판(121), 주권걸이(122) 및 보권걸이(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121)은 이송방향으로 연장되고, 교차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판(121)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교차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121)은 가이드홈(113c)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판(121)은 후술하는 주권걸이(122)가 교차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며, 주권걸이(12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121)과 가이드홈(113c)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윤활제가 채워질 수도 있다. 즉, 가이드판(121)의 양측단부와 가이드홈(113c)을 형성하는 측벽(1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윤활제를 코팅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판(121)과 가이드홈(113c)을 형성하는 측벽(113) 사이에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가이드판(121)을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데, 윤활제는 구리스를 비롯한 마찰을 감소시키는 물질일 수 있다.
주권걸이(122)는 주권후크(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상물 장입장치(100)와 운반기(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주권걸이(122)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가이드판(121)에 삽입될 수 있다.
주권걸이(122)는 일부가 복수의 가이드판(121)에 삽입되어 메인홈(113a)에 배치될 수 있고, 일부가 메인홈(113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권걸이(122) 중 복수의 가이드판(12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후술하는 조절부(130)의 감지기(131)에 의해 감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주권걸이(122)에서 가이드판(121)들 사이에 위치하여 감지기(131)에 노출되는 부분이 감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주권걸이(122) 중 메인홈(113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주권후크(21)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권걸이(122)는 트러니언(trunnion)을 포함할 수 있다.
보권걸이(123)는 보권후크(2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권걸이(123)는 측벽(113)의 후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권걸이(12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운반기(20)의 보권후크(22)가 결속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130)는 슈트(110)의 소정 위치에서 연결부(120)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슈트(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홈(113a)의 상부 즉, 상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조절부(130)는 메인홈(113a)의 상부에서 연결부(120)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에 따라, 슈트(110)의 높이를 변화시켜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30)는 감지기(131), 측정기(132), 판단기(133) 및 제어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131)는 메인홈(113a)의 상부에 배치되며, 메인홈(113a)의 상부에 주권걸이(122)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기(131)는 메인홈(113a)의 상부에서 주권걸이(122)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기(131)는 주권걸이(122)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위치 감지 센서(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131a)는 메인홈(113a)을 형성하는 측벽(11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위치 감지 센서(131a)가 메인홈(113a)을 형성하는 측벽(113)의 측면들 중 이송방향의 후방의 위치한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위치 감지 센서(131a)는 메인홈(113a)의 상하방향 길이를 100이라 할 때, 메인홈(113a)을 형성하는 측벽(113)의 바닥면으로부터 70 내지 80 높이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위치 감지 센서(131a)가 메인홈(113a)의 상부를 전반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메인홈(113a)의 상부에 주권걸이(122)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 센서(131a)는 광학 카메라 또는 적외선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기(132)는 주권걸이(122)가 메인홈(113a)의 상부에서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기(132)는 감지기(131)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32)는 감지기(131)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측정기(132)는 메인홈(113a) 상부에서 주권걸이(122)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32)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기(133)는 측정기(132)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측정기(132)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슈트(110)의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슈트(1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정상 범위인지, 혹은 비정상 범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거나, 혹은 일정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설정값은 슈트(110)가 소정 각도 기울어질 경우,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즉, 슈트(110)의 기울어진 정도가 과도하지는 않지만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우, 슈트(110)가 원래의 위치, 즉 원래의 기울어진 정도로 복귀하기까지의 유예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트(110)는 개구부(10)의 부착물을 제거하면서, 용기(10)의 회전각도 혹은 개구부(11)에 부착된 부착물의 부착력에 따라, 상측으로 소정 높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주권걸이(122)가 메인홈(113a)의 상부에서 소정 시간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슈트(110)는 용기(10)가 시계방향 회전하거나 혹은 부착물이 제거됨에 따라 다시 원래의 높이로 돌아갈 수 있고, 주권걸이(122)도 메인홈(113a)의 상부로 돌아갈 수 있다. 이에, 설정값을 마련하여, 운반기(20)를 동작시키지 않고, 슈트(110)가 원래의 기울어진 정도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부착물 제거작업이 지연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값이 설정값의 이하일 경우, 판단기(133)는 슈트(1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정상 범위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슈트(110)의 전단부가 용기(10)의 과도한 회전 혹은 개구부(11)에 고착된 부착물에 의해 상측으로 과도하게 올려지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측정값이 설정값의 초과일 경우, 슈트(110)의 기울어진 정도가 비정상 범위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슈트(110)의 전단부가 용기(10)의 과도한 회전 혹은 개구부(11)에 고착된 부착물에 의해 상측으로 과도하게 올려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슈트(110)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과도하게 올려질 경우, 주권후크(21)가 주권걸이(12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주권후크(21)가 일정한 높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슈트(110)가 상측으로 올려지고, 슈트(110)와 함께 주권걸이(122)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주권후크(21)에서 주권걸이(122)가 이탈될 수 있다. 이에, 후술하는 제어기(134)로 슈트(110)의 높이를 변화시켜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므로, 주권걸이(122)가 주권후크(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제어기(134)는 판단기(133)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판단기(133)의 판단에 따라 슈트(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슈트(110)의 전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여, 슈트(110) 기울어진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기(133)가 측정값이 설정값의 이하라고 판단할 경우, 제어기(134)는 운반기(20)에 상하 이동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슈트(110)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 판단기(133)가 측정값이 설정값의 초과라고 판단할 경우, 제어기(134)는 운반기(20)에 상하 이동신호를 송신하여 슈트(11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34)는 주권후크(21)와 보권후크(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이동신호를 송신하고, 슈트(110)를 용기(10)로 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슈트(11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슈트(110)의 수평을 맞추며 슈트(11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슈트(1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조절되며, 주권후크(21)에서 주권걸이(1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권후크(21)와 주권걸이(122)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가압부(140)는 주권걸이(122)에 결합된 주권후크(21)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140)는 적어도 일부가 슈트(110)의 수납홈(113b)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140)는 동력전달기(142) 및 가압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력전달기(142)는 수납홈(113b)에 배치되고, 가압기(141)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기(142)는 운반기(20)에 의해 슈트(1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된 동력을 가압기(141)로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전달기(142)가 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제2 기어(142b)를 설명하면서 그 과정을 함께 설명한다. 한편, 하기에서 슈트(110)가 상승하는 경우는, 슈트(110)가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승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슈트(110)는 작업장의 바닥면에서 상승하는 경우 뿐 아니라 다른 장소에서도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슈트(110)는 이미 상승하여 공중에 배치된 상태일 수도 있다. 동력전달기(142)는 제1 기어(142a) 및 제2 기어(14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어(142a)는 수납홈(113b)에 배치되며, 중심축이 슈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어(142a)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기어 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142a)는 수납홈(113b)의 상하방향 길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압기(141)와 동축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142a)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142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에 기어 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기어(142b)는 제1 기어(142a)와 치합되며, 수납홈(113b)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142b)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142b)는 측면 하부에 이송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42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2 기어(142b)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142c)가 슈트(110)의 바닥부재(112)에 걸리며 제2 기어(142b)의 이동을 제한하고, 제2 기어(142b)가 수납홈(113b)에서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142b)는 하부에 무게추(142d)를 구비할 수 있다. 무게추(142d)는 제2 기어(142b)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 기어(142b)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로 형성될 수 있다. 무게추(142d)는 슈트(110)가 운반기(20)에 의해 상승이동할 때, 슈트(11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기어(142b)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2 기어(142b)가 하측으로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기어(142b)에 하중을 부가할 수 있다.
가압기(141)는 동력전달기(142)에 연결되고, 회전 가능하게 슈트(11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기(141)는 주권걸이(122)에 결합된 주권후크(21)를 가압할 수 있도록 수납홈(113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압기(141)는 메인홈(113a)의 외측에 위치한 주권걸이(122)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압기(141)는 제1 기어(142a)에 결합되고, 수납홈(113b)의 상하방향 길이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가압부(140)가 메인홈(113a)의 상하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상부 혹은 하부에 배치된 주권걸이(122) 및 주권후크(21)를 모두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주권걸이(122) 및 주권후크(21)가 이동하며 상부 혹은 하부에 배치되더라도, 가압부(140)가 주권걸이(122) 및 주권후크(21)를 모두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기(141)는 예컨데,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기(141)는 주권후크(21)와 접촉하는 일면에 마찰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찰부재는 가압기(141)와 주권후크(21)의 사이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가압기(141)가 주권후크(21)를 더 효과적으로 가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부재는 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대상물 장입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100)에서 조절부(130)가 작동하는 과정 및 가압부(140)가 작동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기 운용방법을 설명하면서 그 과정을 함께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기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은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기 운용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 내지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기 운용방법은 장입기(100)를 이용하여 용기(10)에 부착된 부착물(P)을 제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때, 용기(10)는 배출구(12)를 통해 내부의 용융물을 외부로 배출한 상태일 수 있으며, 용기(10)의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기 운용방법은, 장입기(100)를 운반기(20)에 결합시키는 과정(S110), 용기(10)를 경동시키고 용기(10)를 향해 장입기(100)를 이동시키는 과정(S120), 장입기(100)를 용기(10)의 개구부(11)에 접촉시키고 용기(10)를 회전시켜 개구부(11)에 부착된 부착물(P)을 제거하는 과정(S130), 장입기(100)와 운반기(2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용기(10)에 대한 장입기(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입기(10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장입기(100)가 대상물 장입장치(100)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입기 운용방법에서 부착물(P)은 용강이 비산되어 용기(10)의 개구부(11)에 부착된 지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입기(100)를 운반기(20)에 결합시킬 수 있다(S110). 하기에서는 장입기(100)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장입기(100)는 작업장의 바닥면이 아닌 다른 장소에 안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운반기(20)에 의해 이미 공중에 상승한 상태일 수도 있다.
바닥부재(112)는 작업장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이고, 가이드판(121) 및 주권걸이(122)는 메인홈(113a)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142b) 및 무게추(142d)는 바닥면에 의해 밀려 수납홈(113b)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가압기(141)는 주권걸이(122) 및 주권후크(2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 즉 회전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주권걸이(122)에 주권후크(21)를 결합시키고, 보권걸이(123)에 보권후크(2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주권후크(2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주권걸이(122)를 메인홈(113a)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주권걸이(122)에 결합된 가이드판(121)은 측벽(113)에 형성된 가이드홈(113c)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주권걸이(122)가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되며,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주권걸이(122)가 메인홈(113a)의 상부에 위치하면, 감지기(131)가 주권걸이(122)의 감지를 시작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주권후크(21) 및 보권후크(22)를 동시에 상승 이동시켜 슈트(110)의 수평을 유지하며, 장입기(10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바닥부재(112)가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2 기어(142b) 및 무게추(142d)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42a) 및 가압기(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주권걸이(122)에 결합된 주권후크(21)를 하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기(141)가 주권후크(21)를 상측으로 밀어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입기(100)를 용기(10)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용기(10)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상태, 즉 회전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용기(10)의 개구부(11)에는 부착물(P)이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장입기(100)를 용기(1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S120). 이때, 용기(1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즉, 용기(10)의 개구부(11)가 이송방향의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장입기(100)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장입기(100)로 용기(10)의 개구부(11)를 타격할 수 있다. 즉, 장입기(100)를 이송방향으로 전후진시켜 용기(10)의 개구부(11)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이에, 개구부(11)에 부착된 부착물(P)의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입기(100)를 용기(10)의 개구부(1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장입기(100)의 전단부가 개구부(11)에 접촉하도록, 주권후크(21) 및 보권후크(2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바닥부재(112)가 개구부(11)와 접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입기(100)가 개구부(11)에 접촉한 상태에서 용기(10)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개구부(11)에 접촉한 바닥부재(112)로 개구부(11)에 부착된 부착물(P)을 제거할 수 있다(S130). 즉, 바닥부재(112)를 이용하여 부착력이 약해진 부착물(P)을 긁어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용기(10)의 과도한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인해 장입기(100)의 전단부가 과도하게 상측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즉, 장입기(100)의 전단부를 과도하게 상측으로 올려 장입기(100)가 과도하게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용기(10)의 개구부(11)에는 장입기(100)의 타격에도 불구하고 부착력이 약해지지 않은 부착물(P)이 있을 수 있다. 부착력이 약해지지 않은 부착물(P)(즉, 개구부에 고착된 부착물)은 장입기(100)에 의해 제거되지 않으며, 용기(10)를 회전시킬 때 장입기(100)의 전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즉, 장입기(100)의 전단부를 과도하게 상측으로 올려 장입기(100)가 과도하게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용기(10)의 과도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혹은 용기(10)에 고착된 부착물(P)에 의해 장입기(100)의 전단부가 과도하게 상측으로 올려짐에 따라, 가이드판(121) 및 주권걸이(122)가 메인홈(113a)의 하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가이드판(121) 및 주권걸이(122)의 위치는 동일한 상태에서, 슈트(110)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메인홈(113a) 내에서 가이드판(121) 및 주권걸이(122)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주권걸이(122) 및 주권후크(21)의 하중에 의해 가압기(141) 및 제1 기어(142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기어(142b)가 제1 기어(142a)에 맞물리며 상승 이동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주권걸이(122)가 메인홈(113a)의 하부에 위치함에 따라, 감지기(131)가 주권걸이(122)를 감지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측정기(132)는 주권걸이(122)가 감지되지 않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만일, 측정값이 설정값의 이하일 경우, 용기(10)의 반시계방향 회전 혹은 제거되지 않은 부착물(P)에 의해 장입기(100)가 소정 높이 상승하긴 하였지만, 용기(10)의 시계방향 회전 혹은 부착물이 제거됨에 따라, 장입기(100)가 다시 원래의 높이로 돌아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기(134)는 운반기(20)에 상승 이동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측정값이 설정값의 초과일 경우, 판단기(133)는 장입기(100)가 과도하게 기울어졌다고 판단하고, 제어기(134)를 이용하여 장입기(100)를 용기(10)의 개구부(1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제어기(134)가 주권후크(21)와 보권후크(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장입기(10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장입기(100)의 수평을 맞추면서, 장입기(10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장입기(100)를 용기(10)로부터 멀리 이격시킬 수 있고, 장입기(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장입기(100)의 주권걸이(10)와 주권후크(21)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대상물 장입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장입장치의 작동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조절부(130)를 이용해 주권후크(21)에서 주권걸이(12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을 종래의 대상물 장입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종래의 장입기(30)를 이용하여 부착물(P)을 제거함에 있어서, 고착된 부착물(P)에 의해 종래의 장입기(30)의 전단부가 과도하게 들려지면, 보권후크(22)와 종래의 장입기(30)의 보권걸이(32)의 결합 상태는 유지되지만, 종래의 장입기(30)의 주권걸이(31)가 주권후크(21)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도 8 및 도 9(b)를 참조하면, 장입기(100)의 전단부가 과도하게 들려질 경우, 장입기(100)와 운반기(2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용기(10)에 대한 장입기(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S140). 즉, 메인홈(113a)의 상부에서 주권걸이(12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장입기(100)를 용기(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기(131)로 메인홈(113a)의 상부에 주권걸이(122)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기(131)는 측정기(132)에 신호를 송신하여 메인홈(113a)의 상부에서 주권걸이(122)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어서, 측정기(132)는 메인홈(113a)의 상부에서 주권걸이(122)가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시간을 판단기(133)로 송신할 수 있다. 판단기(133)는 측정된 측정값과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측정값이 설정값의 이하일 경우, 제어기(134)는 운반기(20)에 상승 이동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장입기(100)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 측정값이 설정값의 초과일 경우, 장입기(100)를 개구부(1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주권후크(21)와 보권후크(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장입기(10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장입기(100)의 수평을 유지시키면서, 장입기(10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장입기(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주권후크(21)를 상승 이동시켜 주권걸이(122)를 메인홈(113a)의 상부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기어(142b)가 하강 이동하고, 제1 기어(142a) 및 가압기(141)가 회전하며 주권후크(21)를 계속 가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보권후크(22)도 함께 상승 이동시켜 장입기(100)를 용기(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슈트(11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슈트(110)의 수평을 맞추며 슈트(11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개구부(11)에 고착된 부착물(P)에 의해 장입기(100)가 과도하게 기울어져도, 주권후크(21)가 주권걸이(1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권후크(21)와 주권걸이(122)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처럼,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할 때 장입장치가 운반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이탈된 장입장치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입장치와 운반기의 연결부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슈트가 용기에 의해 과도하게 들리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장입장치가 운반기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이 지연되는 현상 없이,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용기 20: 운반기
30: 종래의 장입기 100: 대상물 장입장치
110: 슈트 120: 연결부
130: 조절부 140: 가압부

Claims (18)

  1. 운반기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용기에 대상물을 공급하는 장입장치로서,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슈트;
    상기 운반기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슈트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슈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슈트는, 상기 슈트의 측벽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메인홈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일부가 상기 메인홈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메인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주권걸이를 포함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주권걸이를 감지하도록, 상기 메인홈의 상부에 배치되는 감지기;
    상기 주권걸이가 상기 메인홈의 상부에서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상기 감지기와 연결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슈트의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하도록, 상기 측정기와 연결되는 판단기; 및
    상기 판단기의 판단에 따라 상기 슈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메인홈의 상부에서 상기 주권걸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권걸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메인홈의 상하방향 길이를 100이라 할 때, 상기 메인홈을 형성하는 측벽의 바닥면으로 부터 70 내지 80 높이 범위 내에 위치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마주보고 이격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홈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권걸이는, 일부가 상기 메인홈으로부터 돌출되고, 일부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 상기 감지기에 노출되는 대상물 장입장치.
  7.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운반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상기 측벽에 상기 메인홈과 분리된 수납홈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는,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는 동력전달기 및 상기 동력전달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홈의 외부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슈트에 설치되는 가압기를 포함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가압기와 동축상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하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무게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는, 상기 운반기와 접촉하는 일면에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대상물 장입장치.
  11. 장입기를 이용하여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입기 운용방법으로,
    상기 장입기를 운반기에 결합시키는 과정;
    상기 용기를 경동시키고, 상기 용기를 향해 상기 장입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장입기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접촉시키고, 상기 용기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과정; 및
    상기 장입기와 상기 운반기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용기에 대한 상기 장입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장입기를 운반기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에 구비된 주권걸이를 상측으로 당기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에 대한 상기 장입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주권걸이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장입기를 상기 용기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기 운용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장입기를 상기 용기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의 상부에서 상기 주권걸이가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상기 장입기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기 운용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상기 장입기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과정은,
    상기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장입기의 높이를 유지시키고, 상기 측정값이 설정값 초과일 경우 상기 장입기의 수평을 맞추면서 상승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기 운용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향해 장입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와 상기 운반기의 연결 부분을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기 운용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장입기와 상기 운반기의 연결 부분을 가압하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장입기에 구비된 가압부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 부분을 밀어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기 운용방법.
  17. 청구항 11 및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향해 장입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기로 상기 개구부를 타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타격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기 운용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상기 전로의 개구부에 부착된 지금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물을 긁어내는 과정은, 전로에 부착된 지금을 긁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장입기 운용방법.
KR1020200101942A 2020-08-13 2020-08-13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KR10235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42A KR102359243B1 (ko) 2020-08-13 2020-08-13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42A KR102359243B1 (ko) 2020-08-13 2020-08-13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243B1 true KR102359243B1 (ko) 2022-02-07

Family

ID=8025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942A KR102359243B1 (ko) 2020-08-13 2020-08-13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2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32Y1 (ko) * 2000-05-19 2000-11-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KR200223727Y1 (ko) * 2000-12-09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철 장입 슈트
KR200245001Y1 (ko) * 2001-05-29 2001-10-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KR20020000999A (ko) 2000-06-23 2002-01-09 이구택 고철 장입 슈트용 타격 장치
KR20060076671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 장입 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32Y1 (ko) * 2000-05-19 2000-11-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철 장입용 슈트 고철추락 방지장치
KR20020000999A (ko) 2000-06-23 2002-01-09 이구택 고철 장입 슈트용 타격 장치
KR200223727Y1 (ko) * 2000-12-09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철 장입 슈트
KR200245001Y1 (ko) * 2001-05-29 2001-10-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KR20060076671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 장입 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8999B2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の制御方法
JP6171984B2 (ja) 物品支持装置
KR102359243B1 (ko)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JP6959834B2 (ja) バッテリー取付構造およびバッテリー取付方法
KR101667294B1 (ko) 원료 공급장치
JP4829089B2 (ja) 電源装置
KR101796086B1 (ko) 원료 장입장치
US10234204B2 (en) Method for managing the charge in a melting furnace and corresponding loading apparatus
CN112642751B (zh) 分拣格口、分拣柜、物件分拣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5462259A (en) Tilting device for a D.C. arc furnace and process for emptying the furnace
US4343586A (en) Dumping apparatus and method
JP6036887B2 (ja) コークス炉バケット車のバケット旋回制御方法
US111493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 conveying rate of a liquid material
US20070227952A1 (en) Device for Filling and Removal of Containers for Sorted Postings
US5232257A (en) Automatic hooking apparatus and ship cargo gear using the same
JPH07310114A (ja) 転炉の出鋼方法
KR100707840B1 (ko) 레이들 이동감지장치
JP2010013204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2083537B1 (ko) 경로 조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장입 설비
KR100408675B1 (ko) 노벽의 국부침식부 보수장치
KR20060076671A (ko) 고철 장입 슈트
JP2532112Y2 (ja) 物品供給装置
KR102092749B1 (ko) 원료 공급장치
KR20200024033A (ko) 이송 장치 및 방법
CN112478649B (zh) 一种搓丝机自动上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