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671A - 고철 장입 슈트 - Google Patents

고철 장입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671A
KR20060076671A KR20040115434A KR20040115434A KR20060076671A KR 20060076671 A KR20060076671 A KR 20060076671A KR 20040115434 A KR20040115434 A KR 20040115434A KR 20040115434 A KR20040115434 A KR 20040115434A KR 20060076671 A KR20060076671 A KR 2006007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crap
trunnion
charging chute
sove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1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모
간호영
유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04011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6671A/ko
Publication of KR2006007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6Charging device for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85Movement of the container or support of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89Rotation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고철 장입 크레인의 주권 후크 및 보권 후크에 결합되어 전로 내부로 고철을 장입하는 고철 장입 슈트에 있어서, 상기 주권 후크와 결합되는 트러니언과, 상기 보권 후크와 결합되도록 고철 장입 슈트 후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권암과, 상기 트러니언의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보권암과 이탈 방지부 사이를 연동시켜 상기 보권암의 상향 이동시 상기 주권 후크가 상기 트러니언과 이탈 방지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 방지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고철 장입 슈트.
고철, 슈트, 트러니언, 후크, 지금 제거, 전로, 크레인

Description

고철 장입 슈트 { Steel scrap charge chute }
도 1은 종래의 고철 장입 슈트와 주권 후크 및 보권 후크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장입 슈트가 주권 후크와 보권 후크에 의해 들어올려지기 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슈크가 주권 후크와 보권 후크에 의해 들어올려질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 및 도 3의 보권 후크, 보권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주권 후크와 트러니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장입 슈트 후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주권 후크 5 : 트러니언
9 : 보권 후크 10 : 보권암
10a : 보권 베이스 11 : 가이드빔
20 : 거치부 20a : 안착면
21 : 완충 스프링 24 : 지지롤
27 : 와이어 고정부 200 : 와이어
300 : 가이더 300a : 가이드 롤러
본 발명은 철강분야의 제강공정에서 고철을 전로에 장입하는 고철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철장입 크레인으로 전로에 고철을 장입하거나 전로 로구에 부착된 지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전로 로구에 부착된 지금에 고철 장입 슈트가 들리면서 고철장입 크레인의 후크가 탈락되어 중량물의 고철과 슈트가 동시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철슈트의 트러니언과 주권 후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고철장입 크레인이 고철슈트를 권상, 권하할 때, 하부작업자의 신호에 따라 작업을 하였으나 현재는 신호 작업자가 없이 전적으로 운전자의 판단 후 작업에 임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심적 부담감이 고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와 전로 경동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의 슈트 트러니언이 문제가 되어 전로 과경동 시 전로(100) 마우스링 로구(100a)에 붙어있는 강지금(100b)이 떨어지지 않고 슈트(6)가 들리거나 기중기 후크에서 슈트 트 러니언(5)이 이탈되는 현상이 매 장입시나 전로 로구 지금 제거 시 발생되어 운전자의 심리적 상태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강공정에서 전로(100)의 노구(100a)에 부착된 지금(10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철장입 크레인(1)으로 고철슈트(6)를 이용하여 전로노구의 지금(100b)에 접촉 제거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전로 노구에 부착된 지금(13)에 고철슈트(6)가 들리면서 고철장입 크레인 주권 후크(4)가 슈트 트러니언(5)에서 이탈되어 중량의 고철과 함께 슈트(6)가 하부로 낙하되는 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 작업 시 발생되는 전로 지금 및 슬래그 제거작업에서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설비 트러블 방지 및 낙하물에 의한 인명피해 대형설비사고를 방지하고 운전자 피로도 감소 및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철슈트의 트러니언과 주권 후크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장입 슈트의 트러니언과 주권 후크 고정장치는, 고철 장입 크레인의 주권 후크 및 보권 후크에 결합되어 전 로 내부로 고철을 장입하는 고철 장입 슈트에 있어서, 상기 주권 후크가 결합되는 트러니언과, 상기 보권 후크가 결합되도록 고철 장입 슈트 후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권암과, 상기 트러니언의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보권암과 이탈 방지부 사이를 연동시켜 상기 보권암의 상향 이동시 상기 주권 후크가 상기 트러니언과 이탈 방지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 방지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연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주권 후크와 트러니언이 밀착되도록 상기 주권 후크 하단을 가압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면을 갖는 가이드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빔 내측 상단면과 상기 거치부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권 후크와 접촉되는 상기 거치부의 상단면은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동수단은 고철 장입 슈트 상에 마련된 복수개의 지지롤과, 일단이 보권암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탈 방지부의 거치부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장입 슈트의 트러니언과 주권 후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장입 슈트가 주권 후크(4)와 보권 후크(9)에 의해 들어올려지기 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슈크가 주 권 후크(4)와 보권 후크(9)에 의해 들어올려질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2 및 도 3의 보권 후크(9), 보권암(1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주권 후크(4)와 트러니언(5)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장입 슈트 후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장입 슈트는 고철 장입 크레인에 결합된 고리 모양의 주권 후크(4)와 결합되는 결합 돌기인 트러니언(5)과, 고철 장입 크레인에 결합된 보권 후크(9)와 결합되도록 고철 장입 슈트 후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권암(10)과, 상기 트러니언(5)의 하부에서 다수의 지지롤(24)과 와이어(20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보권암(10)과 이탈 방지부 사이를 연동시켜 상기 보권암(10)의 상향 이동시 상기 주권 후크(4)가 상기 트러니언(5)과 이탈 방지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 방지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연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주권 후크(4)와 트러니언(5)이 밀착되도록 상기 주권 후크(4) 하단을 가압하는 거치부(20)와, 상기 거치부(20)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면을 갖는 가이드빔(11)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빔(11)에서 상기 거치부(20)가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빔(11) 내측 상단면과 상기 거치부(20)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21)이 개재되어 고철 장입 슈트가 들려질 때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고 거치부(20)가 주권 후크(4)와 분리된 상태로 편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권 후크(4)와 접촉되는 상기 거치부(20)의 상단면은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면(20a)이 형성되어 주권 후크(4) 하단에서 보다 넓은 면적이 접촉됨으로써, 안정적인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동수단은 고철 장입 슈트 상에 마련된 복수개의 지지롤(24)과, 일단이 보권암(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탈 방지부의 거치부(20)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200)를 포함하며, 이들 지지롤(24)과 와이어(200)는 보권암(10)의 상하 이동을 수직 운동과 수평 운동 등으로 그 방향을 바꾸어 상기 거치부(20)가 상기 주권 후크(4)의 하단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와 도 3 그리고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철 장입 슈트 후단에는 보권암(10)이 상하로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권 베이스(10a)와 결합되고 상기 보권암(10)의 양단에는 와이어 고정부(27)에 의해 와이어(200)가 결합된다. 상기 보권암(10)이 상향 이동되어 와이어(200)가 당겨질 때 와이어(200)의 고정과 원활한 이동을 위해 고철 장입 슈트 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롤(24)이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은 보권암(10)의 상하 이동을 수직운동 또는 직선운동 등의 조합으로 변환되어 상기 가이드빔(11) 내부의 거치부(20)를 상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2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권 후크(4)의 하단을 가압하여 트러니언(5)과 주권 후크(4) 간의 결합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속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철 장입 슈트의 연동은 다수의 지지롤(24)과 와이어(2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롤(24)과 와이어(200)는 보권암(10)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거 치부(20)의 상하 이동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상기 거치부(20)의 연동을 보다 부드럽게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더(3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측단에 두 열의 가이드 롤러(300a)를 구비하고 그 사이로 가이더(300)를 결합하면 이상 작동에 의한 상기 지지롤(24)과 와이어(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연동 수단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동수단의 지지롤(24)과 와이어(200) 및 가이더(30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전문가들이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크레인 작업 시 발생되는 전로 지금 및 슬래그 제거작업에서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설비트러블 방지 및 낙하물에 의한 인명피해 대형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운전자 피로도 감소 및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고철 장입 크레인의 주권 후크 및 보권 후크에 결합되어 전로 내부로 고철을 장입하는 고철 장입 슈트에 있어서,
    상기 주권 후크가 결합되는 트러니언과;
    상기 보권 후크가 결합되도록 고철 장입 슈트 후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권암과;
    상기 트러니언의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보권암과 이탈 방지부 사이를 연동시켜 상기 보권암의 상향 이동시 상기 주권 후크가 상기 트러니언과 이탈 방지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 방지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고철 장입 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연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주권 후크와 트러니언이 밀착되도록 상기 주권 후크 하단을 가압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면을 갖는 가이드빔을 포함하는 고철 장입 슈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 내측 상단면과 상기 거치부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포함하는 고철 장입 슈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권 후크와 접촉되는 상기 거치부의 상단면은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철 장입 슈트.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고철 장입 슈트 상에 마련된 복수개의 지지롤과, 일단이 보권암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탈 방지부의 거치부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고철 장입 슈트.
KR20040115434A 2004-12-29 2004-12-29 고철 장입 슈트 KR20060076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5434A KR20060076671A (ko) 2004-12-29 2004-12-29 고철 장입 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5434A KR20060076671A (ko) 2004-12-29 2004-12-29 고철 장입 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671A true KR20060076671A (ko) 2006-07-04

Family

ID=3716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15434A KR20060076671A (ko) 2004-12-29 2004-12-29 고철 장입 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66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06B1 (ko) * 2007-12-14 2009-02-03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지지 장치
KR101463344B1 (ko) * 2013-06-03 2014-11-19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차단 기능을 갖는 고철장입 슈트
KR20190010217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엘케이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KR102359243B1 (ko) * 2020-08-13 2022-02-07 주식회사 포스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CN114410885A (zh) * 2022-01-25 2022-04-29 贵州大学 一种减轻转炉加废钢时对炉口撞击的废钢槽及使用方法
KR20220002121U (ko) 2021-02-23 2022-08-30 성기봉 공간 토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06B1 (ko) * 2007-12-14 2009-02-03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지지 장치
KR101463344B1 (ko) * 2013-06-03 2014-11-19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차단 기능을 갖는 고철장입 슈트
KR20190010217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엘케이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KR102359243B1 (ko) * 2020-08-13 2022-02-07 주식회사 포스코 대상물 장입장치 및 장입기 운용방법
KR20220002121U (ko) 2021-02-23 2022-08-30 성기봉 공간 토출기
CN114410885A (zh) * 2022-01-25 2022-04-29 贵州大学 一种减轻转炉加废钢时对炉口撞击的废钢槽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76671A (ko) 고철 장입 슈트
KR101930745B1 (ko) 래들용 장치
US2881488A (en) Tilting ladle
US6261043B1 (en) Material moving system
KR100951763B1 (ko) 제철용 용선 크레인의 후크이동설비
CN211366695U (zh) 吊钩总成装置及起重机
KR101243130B1 (ko) 이탈 방지용 경동고리
KR200334048Y1 (ko) 자동 착탈 가능한 버킷 행거
KR102359240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US3756554A (en) Ingot mould head boxes
KR200260914Y1 (ko) 픽업 크레인
CN214814762U (zh) 一种三耳轴球化包
KR100868086B1 (ko) 래들의 리프팅 러그 고정장치
KR100879348B1 (ko) 통 크레인용 통키 이탈 방지장치
KR101181831B1 (ko) 보권장치
JP4987464B2 (ja) 浸漬管のスラグ除去装置および浸漬管のスラグ除去方法
KR200287355Y1 (ko) 티밍래이들 경동암 잠금장치
KR200177203Y1 (ko)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
JP7257894B2 (ja) 溶融金属容器の蓋
KR101938570B1 (ko) 래들 지금 제거장치
KR200307659Y1 (ko) 용강래들의 지금분리장치
KR200295669Y1 (ko) 용선래들경동용크레인의보권훅장치
JPH0920491A (ja) 板材の吊り移動装置
CN116814896A (zh) 一种转炉托圈的取出吊离方法
JPH03314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