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217A -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217A
KR20190010217A KR1020170092708A KR20170092708A KR20190010217A KR 20190010217 A KR20190010217 A KR 20190010217A KR 1020170092708 A KR1020170092708 A KR 1020170092708A KR 20170092708 A KR20170092708 A KR 20170092708A KR 20190010217 A KR20190010217 A KR 20190010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harging chute
scrap metal
preventing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891B1 (ko
Inventor
임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
Priority to KR102017009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8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6Charging device for conver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6Manufacture of steel by other methods
    • C21C5/562Manufacture of steel by other methods starting from sc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ute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형성하는 걸이부(20)에 걸려진 훅크(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는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훅크(A)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철 장입 슈트의 걸이부에 훅크를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철 및 고철 장입 슈트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조업능률향상은 물론 정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중인 고철 장입 슈트를 개조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Hook release prevention device of scrap metal charging suit}
본 발명은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철 장입 슈트의 걸이부에 고정하는 훅크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철 장입 슈트(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소의 제강공정에서 전로(B)에 고철을 장입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로(B)의 입구부분에 고착된 지금과 충돌하여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고철 장입 슈트(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철을 장입하거나 지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크레인의 훅크(A)가 걸이부(20)에서 쉽게 이탈하면서 다량의 고철을 쏟아지거나 하부로 추락하는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고철 장입 슈트(10)는 걸이부(20)에 훅크(A)를 정확하게 위치를 유도하여 고정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저하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17587호(1996.06.17)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7314호(1999.07.15)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2274호(2000.07.05)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4493호(2000.11.15)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8700호(2002.03.16)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26159호(2007.06.13)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7221호(2014.07.09)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3199호(2017.05.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걸이부에 고정한 훅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철 장입 슈트를 바닥에 놓을 경우 훅크를 이탈할 수 있고, 고철 장입 슈트를 들어올릴 경우 훅크의 하부면을 밀착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형성하는 걸이부(20)에 걸려진 훅크(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는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훅크(A)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는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위치하여 훅크(A)의 하부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연결하여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형성하여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상기 고정부(1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고 반대로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자체하중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1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중량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롤러(111);를 포함하여 훅크(A)와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패드(112);를 포함하여 훅크(A)와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0)와 지지부(120)의 사이에 제1힌지축(12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중량체(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120)와 고철 장입 슈트(10)의 사이에 탄성부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는 중간에 상기 힌지축(121)을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고정부(110)를 구비하며, 타측에 상기 중량부(130)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120)와 중량부(130)의 사이에 제2힌지축(1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철 장입 슈트의 걸이부에 훅크를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철 및 고철 장입 슈트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조업능률향상은 물론 정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중인 고철 장입 슈트를 개조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고철 장입 슈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형성하는 걸이부(20)에 걸려진 훅크(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는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훅크(A)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는 걸이부(20)에 걸려진 훅크(A)를 밀착시켜 외측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위치하여 훅크(A)의 하부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연결하여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형성하여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상기 고정부(1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고 반대로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자체하중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1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중량부(13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110)는 훅크(A)의 하부면과 맞닿아 이동 및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상부 내측면이 훅크(A)의 하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롤러(111);를 포함하여 훅크(A)를 밀착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을 발생시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111)는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하여 원활한 회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패드(112);를 포함하여 훅크(A)를 밀착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패드(112)는 훅크(A)와 맞닿을 경우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와 지지부(120)의 사이에 제1힌지축(12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중량체(1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122)은 상기 훅크(A)의 하부면에 맞닿을 수 있는 각도를 향하도록 상기 고정부(110)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113)는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고정부(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중량체(113)를 통해서 무게중심을 하부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고정부(110)를 항상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고정부(110)가 훅크(A)의 하부면에 정확하게 밀착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체(113)는 일정중량을 갖는 다수개의 중량물을 조립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110)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작업자가 중량물을 추가 또는 분리시켜 중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110)를 형성하고 중간에는 상기 힌지축(121)을 형성하며 타측 하부에는 상기 중량부(130)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부(110)가 훅크(A)의 하부면에 맞닿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중량부(130)는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상기 고정부(1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고 반대로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자체하중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1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중량부(130)는 일정한 중량을 갖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지지부(120)를 서로 연결하여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부(130)는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자체하중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중량을 갖는 다수개의 중량물을 조립한 상태로 작업자가 중량물을 추가 또는 분리시켜 중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상기 중량부(130)가 바닥에 안착하여 상기 고정부(110)를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상기 중량부(130)의 자체하중으로 인해서 상기 고정부(110)가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훅크(A)의 하부면에 밀착시켜 걸이부(20)에서 훅크(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와 고철 장입 슈트(10)의 사이에 탄성부재(123)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123)의 작동으로 상기 지지부(120)를 하부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110)가 훅크(A)의 하부면에 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23)는 스프링 또는 쇽업쇼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고철 장입 슈트 20: 걸이부
100: 본 발명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110: 고정부 111: 롤러
112: 밀착패드 113: 중량체
120: 지지부 121: 힌지축
122: 제1힌지축 123: 탄성부재
130: 중량부 131: 제2힌지축
A: 훅크 B: 전로

Claims (8)

  1.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형성하는 걸이부(20)에 걸려진 훅크(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는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훅크(A)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100)는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위치하여 훅크(A)의 하부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연결하여 고철 장입 슈트(10)의 양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형성하여 고철 장입 슈트(10)를 바닥에 놓을 경우 상기 고정부(1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가 걸이부(20)에 간섭없이 걸을 수 있고 반대로 고철 장입 슈트(10)를 들어올릴 경우 자체하중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1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훅크(A)의 하부면을 밀착시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중량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롤러(111);를 포함하여 훅크(A)와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패드(112);를 포함하여 훅크(A)와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와 지지부(120)의 사이에 제1힌지축(12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중량체(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와 고철 장입 슈트(10)의 사이에 탄성부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는 중간에 상기 힌지축(121)을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고정부(110)를 구비하며, 타측에 상기 중량부(130)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와 중량부(130)의 사이에 제2힌지축(1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KR1020170092708A 2017-07-21 2017-07-21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KR10198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08A KR101980891B1 (ko) 2017-07-21 2017-07-21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08A KR101980891B1 (ko) 2017-07-21 2017-07-21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17A true KR20190010217A (ko) 2019-01-30
KR101980891B1 KR101980891B1 (ko) 2019-05-24

Family

ID=6527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708A KR101980891B1 (ko) 2017-07-21 2017-07-21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89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587U (ko) 1994-11-29 1996-06-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기중기의 후크(hook)걸이 완료 확인장치
KR19990027314U (ko) 1997-12-23 1999-07-15 이구택 고철 장입용 슈트의 크레인 훅크 걸이핀 구조
KR20000012274U (ko) 1998-12-16 2000-07-05 이구택 슈트 탈락방지 장치
KR200204493Y1 (ko) 2000-06-23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주보권호이스트의 경보장치
KR200268700Y1 (ko) 2001-12-19 2002-03-16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KR20040035470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트러니언의 후크이탈 방지장치
KR20060076671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 장입 슈트
KR100726159B1 (ko) 2006-04-07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슈트
KR20140087221A (ko) 2012-12-28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후크와 트러니언의 체결확인장치
KR20170053199A (ko) 2015-11-05 2017-05-16 국도정밀(주) 안전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587U (ko) 1994-11-29 1996-06-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기중기의 후크(hook)걸이 완료 확인장치
KR19990027314U (ko) 1997-12-23 1999-07-15 이구택 고철 장입용 슈트의 크레인 훅크 걸이핀 구조
KR20000012274U (ko) 1998-12-16 2000-07-05 이구택 슈트 탈락방지 장치
KR200204493Y1 (ko) 2000-06-23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주보권호이스트의 경보장치
KR200268700Y1 (ko) 2001-12-19 2002-03-16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KR20040035470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트러니언의 후크이탈 방지장치
KR20060076671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 장입 슈트
KR100726159B1 (ko) 2006-04-07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슈트
KR20140087221A (ko) 2012-12-28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후크와 트러니언의 체결확인장치
KR20170053199A (ko) 2015-11-05 2017-05-16 국도정밀(주) 안전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891B1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0921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振れ止め装置
TW593120B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cking of a load by a crane
JP2009137695A (ja) エレベータ
KR101980891B1 (ko)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CN204917652U (zh) 预制楼板吊具
JP6351886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案内装置
CN102229414A (zh) 一种起重机及其配重块
JP6723119B2 (ja) 天井クレーン用墜落防止設備
CN207016302U (zh) 升降机的防坠落保护装置
CN103010951A (zh) 核电站主管道吊装调整工具
EP3655114B1 (en) Safety system
KR102447770B1 (ko) 락 다운 장치 유지 공구 및 균형차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US20200039786A1 (en) Elevator pit ladder apparatus
JP201008361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ガイド装置
CN208103744U (zh) 一种吊装物料运送装置
JP2014037287A (ja) クレーン装置、及びクレーン装置の改修方法
CN210340016U (zh) 一种建筑施工升降机电缆限位结构
JP2012201497A (ja) マシンベッド及び揚重装置
CN209719614U (zh) 一种搬家重物用移动器
CN202272664U (zh) 一种线材轧机导卫安装吊具
CN100333990C (zh) 电梯装置
CN208856772U (zh) 一种起重机梁防滑起吊装置
CN205709589U (zh) 一种可移动式吊车
CN205684705U (zh) S形钢包回转台结构
CN103387179A (zh) 重心自适应的履带引导轮安装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