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700Y1 -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700Y1
KR200268700Y1 KR2020010039387U KR20010039387U KR200268700Y1 KR 200268700 Y1 KR200268700 Y1 KR 200268700Y1 KR 2020010039387 U KR2020010039387 U KR 2020010039387U KR 20010039387 U KR20010039387 U KR 20010039387U KR 200268700 Y1 KR200268700 Y1 KR 200268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actuator
housing
thermal expans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식
김기태
박명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9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700Y1/ko

Links

Landscapes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로에 고철을 장입하는 과정 또는 전로 노구에 부착된 지금을 제거하는 과정 중에 기중기에 의해 조정되는 후크가 이탈되어 중량의 고철 슈트가 이탈 파손됨은 물론이고 이 내부에 담겨진 고철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파손과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후크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있되, 전로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전달받아 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1 엑츄에이터와 후크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후크 고정수단과, 상기 후크 고정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열팽창 장치와 제2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열팽창 수단을 후크 프레임 내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SLIP-OFF OF TRUNION FROM HOOK}
본 고안은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로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전달받아 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후크 고정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열팽창수단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기중기 후크의 자동 이탈 방지장치를 제작하여 주어, 전로에 고철을 장입하는 과정 또는 전로 노구에 부착된 지금을 제거하는 과정 중에 기중기에 의해 조정되는 후크가 이탈되어 중량의 고철슈트가 이탈 파손됨은 물론이고 이 내부에 담겨진 고철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파손과 안전사고의 발생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생산공정 중 제강공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철장입 기중기(4)를 통해 고철을 담은 고철 슈트(6)를 이동시켜 전로(1) 내부로 고철을 장입한다.
또한, 고철 장입 기중기(4)에 의해 이동을 취하는 고철 슈트(6)를 통해 전로(1)의 노구(2)에 접촉을 취하도록 하여 주연부에 발생되는 지금(3)의 제거를 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입 및 지금 제거 과정을 취하다 보면 상기 고철 슈트(6)가 이를 이동시켜 주는 고철 장입 기중기(4)로 부터 이탈 해제되는 문제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고철 슈트(6)는 물론이고, 이 내부에 담겨져 있던 중량의 고철을 대거 낙하 유실시키는 문제현상을 자주 초래하여, 설비의 파손과 더불어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히는 문제현상을 자주 발생시켜 물적 인적 피해를 발생시키는 비경제적이고도 비안전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고철 슈트(6)의 측면에 위치된 슈트 후크 걸이대(7)와 이에 결속을 취하던 고철 장입 기중기(4)의 후크()가 상호간에 해제를 쉽게 취할 밖에는 없는 구조적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로에 고철을 장입하는 과정 또는 전로 노구에 부착된 지금을 제거하는 과정 중에 기중기에 의해 조정되는 후크가 이탈되어 중량의 고철슈트가 이탈 파손됨은 물론이고 이 내부에 담겨진 고철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파손과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기술적 사상은,
후크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있되, 전로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전달받아 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1 엑츄에이터와 후크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후크 고정수단과, 상기 후크 고정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열팽창 장치와 제 2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열팽창 수단을 후크 프레임 내에 설치 구성하여 주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가 기중기 후크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의 구성상태를 발췌 도시한 개략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는 본 고안인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서대로 나열 도시한 개략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의 요부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종래 고철 장입 기중기의 작업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종래 고철 장입 기중기가 작업 상황 도중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로 2 :노구
3 :지금 4 :고철 장입 기중기
5 :후크 6 :고철 슈트
7 :슈트 후크 걸이대 8 :후크 프레임
9 :방열판 10 :열팽창 장치
12 :라디에이터 14 :오일
16 :오일 주입구 18 :하우징
20 :도어 22 :경첩
24 :제1 엑츄에이터 26a,26b :하우징
28a,28b :피스톤 30a,30b :스프링
32a,32b :로드축 34a,34b :연결고리
36 :연결관 38 :제2 엑츄에이터
40 :텐션 조절 볼트 42 :후크 고정장치
44 :후크 고정체 46 :핀
48 :중추 50a,50b :작동 와이어
52a,52b :쉬브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가 기중기 후크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의 구성상태를 발췌 도시한 개략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후크 프레임(8) 내에 설치되어 있되, 전로(1)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전달받아 후크(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5)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1 엑츄에이터(24)와 후크 고정장치(42)로 이루어진 후크 고정수단과, 상기 후크 고정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열팽창 장치(10)와 제2 엑츄에이터(38)로 이루어진 열팽창 수단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 고정수단은 다시 고철 장입 기중기(4) 후크(5)에 설치되는 후크 고정장치(42)와, 상기 후크 고정장치(42)에 연결되어 후크 고정장치(42)를 실제로 작동할 수 있도록 오일 압력을 운동에너지로 전환 해주는 제1 엑츄에이터(24)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후크 고정장치(42)는 제1 엑츄에이터(24)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작동 와이어(50a)와, 제1 엑츄에이터(24)의 운동에너지를 후크 고정장치(42)까지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는 쉬브(52a) 및 핀(46)을 축으로 일정구간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후크 고정체(44)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작동 와이어(50a)의 텐션이 없을 때 중추(48)의 무게에 의해 고정 위치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엑츄에이터(20)는 원통상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26a)과 이 하우징(26a) 내부의 일측을 통과하는 로드축(32a)이 연결된 피스톤(28a)이 설치되고, 하우징(26a)과 로드축(32a) 사이에 스프링(30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엑츄에이터(24) 하우징(26a)에는 다음에서와 같이 상세히 설명되는 열팽창 장치(10)와 연결되어 일측 피스톤(28a)을 운동시키는 오일이 유입되도록 연결관(3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열팽창 수단은 내부에 오일(14)이 충진되어 있으며, 후크 프레임(8)의 중앙 부분을 관통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설치된 하우징(18)으로 된 열팽창 장치(10)와, 상기 하우징(18)의 일측으로 연설되어 열팽창 및 차단을 가능토록 하우징(18)의 저부에 설치된 도어(20)를 개.폐토록 하는 제2 엑츄에이터(38)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열팽창 장치(10)의 하우징(18)은 상기 후크 프레임(8)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전로 복사열이 도어(2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을 때는 팽창되는 오일(14) 및 그 반대로 오일(14)의 냉각을 위한 다수의 라디에이터(12)가 적층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긴밀하게 밀봉되어 있고, 상기 제2 엑츄에이터(38)는 하우징(18)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는 오일(14)이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오일(14)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8b)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28b)에는 스프링(30b)이 탄설되어 있으며, 상기 열팽창 장치(10)의 하우징(18)에는 경첩으로서 도어(20)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도어(20)의 하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작동 와이어(50b)는 상기 제2 엑츄에이터(38)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2b)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제2 엑츄에이터(30)의 외부에 돌출 되는 로드축(32b)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와이어(50b)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쉬브(52b)가 상기 후크 프레임(8) 및 하우징(18)과 도어(20)에 설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는 본 고안인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서대로 나열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의 요부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전로(1)의 고열이 장치에 미치지 않을 때 즉, 고철 장입 기중기(4)가 전로(1)의 노구(2)에 형성된 지금(3)의 제거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열팽창 장치(10)에는 어떠한 열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제1 엑츄에이터(24)와 제2 엑츄에이터(38)는 열팽창 장치(10) 하우징(18)내의 오일(14)이 팽창되지 않아 각각의 스프링(30a),(30b) 탄성으로 밀려있는 상태로 되어 있게 된다.
특히, 제2 엑츄에이터(38)의 로드축(32b)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50b)는 풀린 상태가 되며, 결국 상기 작동 와이어(50b)에 연결된 도어(20)는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고철 장입 기중기(4)가 전로(1) 앞에 위치하여 작업을 시작하면 전로(1)의 고열은 바로 위에 위치된 열팽창 장치(10)의 하우징(18)을 가열시키게 되고, 결국 상기 하우징(18)내의 오일(14)이 팽창하게 된다.
이때, 실질적인 제1 및 2 엑츄에이터(24),(38)의 피스톤(28a)(28b)의 왕복 운동을 수행토록 하는 스프링(30a),(30b)중 제1 엑츄에이터(24)의 스프링(30a)의 탄성력이 제2 엑츄에이터(38)의 스프링(30b) 탄성력 보다 작아야 된다.
결국, 열팽창 장치(10)의 하우징(18)내 오일(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하면 상기 연결관(36)을 통하여 제1 엑츄에이터(24)의 하우징(26a) 내의 피스톤(28a)을 강제로 밀게되고, 이는 로드축(32a)과 연결된 작동 와이어(50a)를 강제로 느슨하게 한다.
따라서, 후크 고정장치(42) 중추(48)의 무게에 의해 후크 고정장치(42)는 후크 고정위치로 회전하여 슈트 후크 걸이대(7)에서 후크(5)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후크 고정장치(42)를 완전히 작동시키고 계속적으로 전로(1)의 열에 의하여 오일(14)이 팽창하게되면, 이는 제1 엑츄에이터(24) 피스톤(28a)의 전진동작을 더 이상 수행 할 수 없을 경우, 마지막으로 제2 엑츄에이터(38)측으로 팽창된 오일(14)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와 같은 제1,2 엑츄에이터(24),(38)의 작동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30a),(30b)들의 탄성력 차이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팽창된 오일(14)이 제2 엑츄에이터(38)의 피스톤(28b)을 강제로 밀게되면 스프링(30b)이 압축되면서 로드축(32b)이 일체로 후방 이동하고 이는 결국상기 로드축(32b)의 단부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50b)를 당기게 되어 후크 프레임(8) 및 하우징(18)에 설치된 다수의 쉬브(52b)로서 안내되는 작동 와이어(50b)가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열팽창 장치(10)의 하우징(18)에 경첩(22)으로서 접철토록 설치된 도어(20)는 닫혀지게 되고, 이는 전로(1)로 부터 상승되는 고열이 열팽창 장치(10)의 하우징(18)에 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20)가 닫혀 열이 차단됨과 동시에 전로(1)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상기 열팽창 장치(10) 하우징(18)내 라디에이터(12)에 의하여 오일(14)이 급속히 냉각되면서 수축되게 되고, 이는 제2 엑츄에이터(38)의 스프링(30b)으로 피스톤(28b)이 초기위치로 이동되어 결국 일체로 이동하는 로드축(32b)의 이동은 작동 와이어(50b)를 풀게되어 도어(20)는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엑츄에이터(24)의 피스톤(28a)이 스프링(30a)의 탄상으로 이동하여 결국 일체로 이동하는 로드축(32a)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50a)를 당기어 후크 프레임(8) 및 후크(5)에 설치된 다수의 쉬브(52a)로서 안내되는 작동 와이어(50a)를 당기게 되어 후크 고정체(44)를 원상복귀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취함에 따라 결국 고철 장입 기중기(4)의 전로(1) 노구(2)에 발생된 지금(3) 제거작업 등을 수행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후크(5)를 고정 및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로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전달받아 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후크 고정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열팽창수단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기중기 후크의 자동 이탈 방지장치를 제작하여 주어, 전로에 고철을 장입하는 과정 또는 전로 노구에 부착된 지금을 제거하는 과정 중에 기중기에 의해 조정되는 후크가 이탈되어 중량의 고철슈트가 이탈 파손됨은 물론이고 이 내부에 담겨진 고철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파손과 안전사고의 발생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후크 프레임(8) 내에 설치되어 있되, 전로(1)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전달받아 후크(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5)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1 엑츄에이터(24)와 후크 고정장치(42)로 이루어진 후크 고정수단과, 상기 후크 고정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열팽창 장치(10)와 제2 엑츄에이터(38)로 이루어진 열팽창 수단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고정수단은 고철 장입 기중기(4)와, 후크(5)에 설치되는 후크 고정장치(42)와, 상기 후크 고정장치(42)에 연결되어 후크 고정장치(42)를 실제로 작동할 수 있도록 오일 압력을 운동에너지로 전환 해주는 제1 엑츄에이터(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고정장치(42)는 제1 엑츄에이터(24)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작동 와이어(50a)와, 제1 엑츄에이터(24)의 운동에너지를 후크 고정장치(42)까지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는 쉬브(52a) 및 핀(46)을 축으로 일정구간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후크 고정체(44)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작동 와이어(50a)의 텐션이 없을 때 중추(48)의 무게에 의해 고정 위치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엑츄에이터(20)는 원통상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26a)과 이 하우징(26a) 내부의 일측을 통과하는 로드축(32a)이 연결된 피스톤(28a)이 설치되고, 하우징(26a)과 로드축(32a) 사이에 스프링(30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엑츄에이터(24) 하우징(26a)에는 다음에서와 같이 상세히 설명되는 열팽창 장치(10)와 연결되어 일측 피스톤(28a)을 운동시키는 오일이 유입되도록 연결관(36)이 관통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 수단은 내부에 오일(14)이 충진되어 있으며, 후크 프레임(8)의 중앙 부분을 관통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설치된 하우징(18)으로 된 열팽창 장치(10)와, 상기 하우징(18)의 일측으로 연설되어 열팽창 및 차단을 가능토록 하우징(18)의 저부에 설치된 도어(20)를 개.폐토록 하는 제2 엑츄에이터(3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 장치(10)의 하우징(18)은 상기 후크 프레임(8)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전로 복사열이 도어(2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을 때는 팽창되는 오일(14) 및 그 반대로 오일(14)의 냉각을 위한 다수의 라디에이터(12)가 적층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긴밀하게 밀봉되어 있고, 상기 제2 엑츄에이터(38)는 하우징(18)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는 오일(14)이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오일(14)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8b)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28b)에는 스프링(30b)이 탄설되어 있으며, 상기 열팽창 장치(10)의 하우징(18)에는 경첩으로서 도어(20)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도어(20)의 하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작동 와이어(50b)는 상기 제2 엑츄에이터(38)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2b)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제2 엑츄에이터(30)의 외부에 돌출 되는 로드축(32b)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와이어(50b)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쉬브(52b)가 상기 후크 프레임(8) 및 하우징(18)과 도어(20)에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KR2020010039387U 2001-12-19 2001-12-19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KR200268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87U KR200268700Y1 (ko) 2001-12-19 2001-12-19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87U KR200268700Y1 (ko) 2001-12-19 2001-12-19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700Y1 true KR200268700Y1 (ko) 2002-03-16

Family

ID=7307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387U KR200268700Y1 (ko) 2001-12-19 2001-12-19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7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64B1 (ko) * 2002-05-02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바스켓의 크레인훅크 이탈 방지장치
KR20190010217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엘케이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64B1 (ko) * 2002-05-02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바스켓의 크레인훅크 이탈 방지장치
KR20190010217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엘케이 고철 장입 슈트의 훅크 이탈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01267B1 (ru) Забивка свай
CN102859079A (zh) 具有锁定机构的铲斗门闩锁
KR200268700Y1 (ko)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CN1206639A (zh) 盛金属熔体的容器用的滑阀
KR102543316B1 (ko) 용융된 금속을 수용하는 용기용 슬라이딩 게이트
JP2000088122A (ja) ばねロッキング機構
KR101706571B1 (ko) 후크장치
LU100373B1 (en) Extraction Device for a Tuyere Part
CN116062603A (zh) 吊钩及起重机
CN106064788B (zh) 一种离合器吊具
KR101927477B1 (ko) 심부처분공 하강용 처분용기 체결장치
CN113650711B (zh) 一种固定装置
JP2003200256A (ja) スライドバルブの面圧負荷装置
JP2021098606A (ja) 支持ボルトによって荷物を吊具に結合するための連結装置
CN215592461U (zh) 一种姿态可控底部卸料系统
KR200190454Y1 (ko) 기중기 구동부의 윤활제 자동 공급장치
CN217264240U (zh) 一种新型的壳体吊具装置
PL165136B1 (pl) Urzadzenie do montazu lub demontazu dysz lub dyszownic pieców szybowych PL PL PL PL PL PL
CN214359769U (zh) 一种自动脱钩装置及起重设备
CN208931593U (zh) 锁钩装置和无人船
US7108768B2 (en) Safety lock boltless closures
CN211523346U (zh) 驱动缸限位装置、驱动缸组件和工程机械
CN215045822U (zh) 一种侧挂压缩式垃圾车后门锁紧结构
CN115893184B (zh) 一种吊挂装置
KR200270084Y1 (ko)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