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571B1 - 후크장치 - Google Patents

후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571B1
KR101706571B1 KR1020150063627A KR20150063627A KR101706571B1 KR 101706571 B1 KR101706571 B1 KR 101706571B1 KR 1020150063627 A KR1020150063627 A KR 1020150063627A KR 20150063627 A KR20150063627 A KR 20150063627A KR 101706571 B1 KR101706571 B1 KR 10170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afety lever
hook
lev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373A (ko
Inventor
류재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6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57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후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는 개방부를 갖춘 후크; 후크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안전레버; 하중에 따라 작동하도록 후크에 설치된 하중감지레버; 안전레버와 하중감지레버를 연결해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연결부; 하중감지레버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 안전레버에 개방하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안전레버의 개방동작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개방지연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크장치{Hook Device}
본 발명은 후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견인하기 위해 크레인 등에 설치되는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이용하는 크레인은 중량물에 연결된 로프 등을 걸어서 인양하거나 견인하기 위한 후크장치를 구비한다.
통상의 후크장치는 한쪽 상부가 개방된 갈고리형 후크와, 후크에 걸린 로프 등의 이탈 방지를 위해 후크의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는 안전레버를 포함한다. 안전레버는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후크의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작업자는 후크에 로프를 건 후 로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안전레버를 조작해 후크의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고, 작업 후 후크로부터 로프를 이탈시키기 위해 안전레버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작업환경이 열악한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가 후크장치에 접근할 수 없어 후크장치의 안전레버 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 예들 들어, 제철소의 전기로는 전극이 마모되면 새로운 전극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기존 전극 상부에 연결하는 작업을 하는데, 이러한 환경은 작업현장의 특성상 작업자가 전기로 상부에 접근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곳에서는 크레인의 후크장치 안전레버를 열어둔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처럼 후크장치의 안전레버를 열어둔 상태에서 작업을 하면, 크레인의 운전조작 실수로 후크장치를 너무 많이 내려 중량물 하부가 주변의 구조물이나 바닥 또는 다른 물건 위에 놓일 경우 후크장치에 걸린 로프의 부하가 순간 해제되면서 로프가 후크장치로부터 이탈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중량물이 낙하하는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80505호(2012. 07. 17. 공개)는 후크장치에 걸린 로프에 하중이 작용할 때 안전고리가 잠기고, 후크장치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 안전고리가 해제되는 크레인 후크의 안전고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후크장치에 걸린 로프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곧바로 안전고리가 해제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수로 크레인의 오조작이 발생할 경우 로프가 후크장치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80505호(2012. 07. 17.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중이 작용할 때 후크의 개방부를 폐쇄하고,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설정시간 경과 후에 후크의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하여 중량물의 안전한 인양이나 견인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후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방부를 갖춘 후크;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안전레버; 하중에 따라 작동하도록 상기 후크에 설치된 하중감지레버; 상기 안전레버와 상기 하중감지레버를 연결해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하중감지레버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안전레버에 개방하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안전레버의 개방동작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개방지연장치를 포함하는 후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중감지레버, 상기 안전레버,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방지연장치는 상기 하중감지레버, 상기 안전레버,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안전레버의 개방동작 시 저항을 부여해 개방을 지연시키고 상기 안전레버의 폐쇄동작 시 저항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방지연장치는 상기 후크에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하중감지레버, 상기 안전레버,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레버의 폐쇄동작 시 상기 유로를 확대시키고 상기 안전레버의 개방동작 시 상기 유로를 축소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의 진퇴에 따라 상기 유로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방향으로 진퇴하며 상기 유로의 개방을 조절하는 개폐부와, 상기 유로에 설치되어 진퇴를 안내하는 안내축부와, 유체의 흐름을 위해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안내축부를 관통하며 상기 유로보다 단면적이 작은 보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의 외면과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유로의 내면은 상호 대응하는 원뿔형상일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보다 단면적이 큰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안전레버의 폐쇄동작 시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안전레버의 개방동작 시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는 후크에 하중이 작용할 때 안전레버가 후크의 개방부를 신속히 폐쇄하고,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개방지연장치의 동작에 의해 안전레버가 설정시간 경과 후에 후크의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중량물의 안전한 인양이나 견인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는 후크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안전레버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중 크레인의 조작실수 등으로 후크에 일시적으로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개방지연장치의 작용에 의해 안전레버의 잠김이 설정시간 유지되기 때문에 로프 등이 후크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가 전기로의 전극교환용 크레인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측면도로, 후크의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측면도로, 후크의 개방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하중감지레버, 연결부, 개방지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개방지연장치 단면도로, 안전레버의 개방동작 시 개방지연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개방지연장치 단면도로, 안전레버의 폐쇄동작 시 개방지연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개방지연장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후크장치의 개방지연장치와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장치가 전기로의 전극교환용 크레인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소의 전기로(10)는 전극(11)이 마모되면 새로운 전극(12)을 사용하던 전극(11)의 위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극의 길이를 연장한다.
새로운 전극(12)을 연결할 때는 새로운 전극(12)을 전극조립기(13)에 장착한 상태에서 크레인(20)을 이용해 전극조립기(13)를 들어올려 기존 전극(11) 상부에 새로운 전극(12)을 연결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할 때는 크레인 운전자의 오조작으로 후크장치(100)를 과도하게 내리더라도 중량물이 후크장치(100)로부터 이탈하여 낙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이러한 기능을 갖춘 본 실시 예의 후크장치(100)가 제철소의 크레인(20)에 적용된 예를 보여준다.
후크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30) 등을 걸기 위해 상부 일측에 개방부(111)가 마련된 후크(110),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개폐할 수 있는 안전레버(120), 후크(110)에 걸리는 로프(30)의 하중에 따라 회전하도록 후크(110)에 설치된 하중감지레버(130), 안전레버(120)와 하중감지레버(130)가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구비한다. 또 후크장치(100)는 하중감지레버(130)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 안전레버(1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50)와, 하중감지레버(130)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 안전레버(120)의 개방동작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개방지연장치(160)를 포함한다.
안전레버(120)는 개방부(111)의 개폐를 위해 개방부(111)와 인접한 위치의 후크(11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하중감지레버(130)는 후크(110)에 걸린 로프(30)의 하중이 작용할 수 있도록 후크(110)의 하측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부재(141)와 제2링크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부재(141)는 하중감지레버(130)의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링크부재(142)는 안전레버(120)와 함께 회전하도록 안전레버(120) 또는 안전레버(120)의 축(12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중감지레버(130)에 로프(30)의 하중이 작용하여 하중감지레버(130)가 하방으로 회전하면 안전레버(120)가 개방부(111)를 폐쇄하도록 동작하고, 하중감지레버(130)에 로프(30)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하중감지레버(130)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안전레버(120)가 개방부(111)를 개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개방지연장치(160)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110)에 결합된 실린더(161)와, 실린더(161)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로(161a)가 형성된 피스톤(162)과, 하중감지레버(130)와 피스톤(162)을 연결하는 작동로드(163)와, 피스톤(162)에 설치되며 안전레버(120)의 폐쇄동작 시 유로(162a)를 확대시키고 안전레버(120)의 개방동작 시 유로(162a)를 축소시키도록 피스톤(162)의 진퇴에 따라 유로(162a)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밸브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재(16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62)의 이동방향으로 진퇴하며 유로(162a)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164a), 유로(162a)에 설치되어 진퇴를 안내하는 안내축부(164b), 유체의 흐름을 위해 개폐부(164a)와 안내축부(164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피스톤(162)에 형성된 유로(162a)보다 단면적이 작은 보조유로(16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 개폐부(164a)의 외면과 피스톤(162)에 형성된 유로(162a)의 내면은 상호 대응하는 원뿔형상일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지연장치(160)의 작동로드(163) 외측에 설치되며, 한쪽이 개방지연장치(160)에 지지되고 다른 쪽이 하중감지레버(130)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평소 하중감지레버(130)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하중감지레버(130)와 연동하는 안전레버(120)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안전레버(120)는 탄성부재(1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때는 탄성부재(150)의 탄성에 의해 하중감지레버(130)도 회전하며 상승한다.
이러한 후크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물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후크(110)에 걸린 로프(30)에 하중이 작용하면, 로프(30)가 하중감지레버(130)를 누르게 되므로 하중감지레버(130)가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때 안전레버(120)는 연결부(140)에 의해 하중감지레버(130)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개방부(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부(120)를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는 하중감지레버(130)에 로프(30)의 하중이 작용하는 동안 계속 유지된다.
하중감지레버(130)에 하중이 작용할 때 개방지연장치(16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로드(163)에 의해 하중감지레버(130)와 연결된 피스톤(162)이 실린더(161) 내부로 진입한다. 이때는 밸브부재(164)의 개폐부(164a)가 유로(162a)로부터 이격되면서 유로(162a)가 개방된다. 따라서 실린더(161) 내부의 공기는 유로(162a)와 밸브부재(164)의 보조유로(164c)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피스톤(162)이 실린더(161) 내부로 쉽게 진입한다. 결국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감지레버(130)에 하중이 작용하여 안전레버(120)가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폐쇄할 때는 개방지연장치(160)에 큰 저항이 생기지 않으므로 안전레버(120)가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신속히 폐쇄한다.
후크(110)에 걸린 로프(30)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0)의 탄성에 의해 하중감지레버(130)가 회전하며 상승하므로 안전레버(120)도 회전하면서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개방한다. 이때 개방지연장치(160)는 실린더(161) 내부의 피스톤(162)이 상승하게 되는데, 밸브부재(164)의 개폐부(164a)가 유로(162a)를 폐쇄하고 밸브부재(164)의 보조유로(164c)를 통해서만 외부의 공기가 실린더(161) 내부로 유입되므로 피스톤(162)이 서서히 상승한다. 따라서 이때는 안전레버(120)의 개방동작이 설정시간 지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전레버(120)의 개방을 지연시키는 시간은 밸브부재(164)의 보조유로(164c) 단면적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후크장치(100)는 하중감지레버(130)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 안전레버(120)가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개방하도록 동작한다. 하지만, 이때는 개방지연장치(160)가 저항을 부여해 설정시간동안 개방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크레인의 조작실수 등으로 후크(110)에 일시적으로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안전레버(120)의 잠김이 설정시간 유지된다. 따라서 일시적인 크레인의 조작실수가 생기더라도 로프(30)가 후크장치(10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로(10)에서 기존 전극(11) 위에 새로운 전극(12)을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 크레인을 이용해 기존 전극(11) 위에 올린 새로운 전극(12)을 과도하게 내릴 경우 일시적으로 크레인의 후크장치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통상적인 경우라면, 이러한 경우 위쪽 전극(12)이 기울면서 후크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후크장치(100)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개방지연장치(160)의 작용에 의해 안전레버(120)의 개방동작이 설정시간 지연되어 로프(30)의 걸림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중량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안전레버(120)의 개방이 지연되는 동안 작업자가 크레인을 조작해 전극(12)을 다시 들어올려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전극(12)이 후크장치(100)로부터 이탈해 낙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중량물에 연결된 로프(30) 등을 후크장치(100)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때는 크레인 운전자가 중량물을 지면 등에 내려 후크장치(100)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 상태를 설정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이렇게 하면 설정시간 경과 후 안전레버(120)가 완전히 개방되므로 중량물에 연결된 로프(30) 등을 후크장치(1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 4는 하중감지레버(130), 연결부(140), 개방지연장치(160)가 후크(110)의 측면 쪽에 설치되고, 이들이 후크(110)에 장착되는 커버부재(170)에 의해 보호되도록 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들의 설치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중감지레버(130), 연결부(140), 개방지연장치(160)는 후크(110) 내부에 공간을 만들어 내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지연장치(160)가 하중감지레버(160)에 연결되고, 개방지연장치(160)가 설치된 위치에 탄성부재(150)도 함께 설치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들의 설치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개방지연장치(160)는 안전레버(120)의 개방동작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상호 연동하는 하중감지레버(130), 안전레버(120), 연결부(14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탄성부재(150)도 안전레버(120)에 개방하는 힘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므로 상호 연동하는 하중감지레버(130), 안전레버(120), 연결부(14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더라도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개방지연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개방지연장치(260)에서 피스톤(262)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제1유로(262a)와, 제1유로(262a)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제1유로(262a)보다 단면적이 큰 제2유로(262b)를 구비한다. 그리고 밸브부재(264)는 피스톤(262)의 상면에 제2유로(262b)를 덮도록 설치된 탄성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부재(264)는 안전레버(120)의 폐쇄동작시 제2유로(262b)를 개방하고 안전레버(120)의 개방동작 시 제2유로(262b)를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지연장치(260)는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하중감지레버(130)에 하중이 작용하여 안전레버(120)가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폐쇄할 때 제1유로(262a)와 제2유로(262b)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큰 저항이 생기지 않으므로 안전레버(120)가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신속히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하중감지레버(130)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안전레버(120)가 후크(110)의 개방부(111)를 개방할 때는 제2유로(262b)가 폐쇄되고 제1유로(262a)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피스톤(262)의 동작을 지연지키므로 안전레버(120)의 개방동작이 설정시간 지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탄성부재와 개방지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350)는 안전레버(120)의 축(121)에 설치된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50)도 안전레버(1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부여하여 전술한 예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9에서 개방지연장치(360)는 안전레버(120)의 축(121)에 결합되어 안전레버(120)의 일방향 회전(개방방향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식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지연장치(360)는 도면에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안전레버의 축(121)에 연결된 회전날개, 회전날개를 수용하는 밀폐케이스, 밀폐케이스 내에 채워져 회전날개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이 개방지연장치(360)는 안전레버의 축(121)과 회전날개 사이에 일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는 원웨이클러치가 설치됨으로써 안전레버(120)가 폐쇄될 때 저항이 작용하지 않아 신속히 회전하고, 안전레버(120)가 개방될 때 저항이 작용하여 개방을 지연시킬 수 있다.
100: 후크장치, 110: 후크,
111: 후크의 개방부, 120: 안전레버,
130: 하중감지레버, 140: 연결부,
150: 탄성부재, 160: 개방지연장치,
161: 실린더, 162: 피스톤,
162a: 유로, 163: 작동로드,
164: 개폐부재, 164c: 보조유로.

Claims (7)

  1. 개방부를 갖춘 후크;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안전레버;
    하중에 따라 작동하도록 상기 후크에 설치된 하중감지레버;
    상기 안전레버와 상기 하중감지레버를 연결해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하중감지레버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안전레버에 개방하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안전레버의 개방동작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개방지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지연장치는
    상기 하중감지레버, 상기 안전레버,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안전레버의 개방동작 시 저항을 부여해 개방을 지연시키고 상기 안전레버의 폐쇄동작 시 저항을 부여하지 않도록 마련되되,
    상기 후크에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하중감지레버, 상기 안전레버,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레버의 폐쇄동작 시 상기 유로를 확대시키고 상기 안전레버의 개방동작 시 상기 유로를 축소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의 진퇴에 따라 상기 유로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방향으로 진퇴하며 상기 유로의 개방을 조절하는 개폐부와, 상기 유로에 설치되어 진퇴를 안내하는 안내축부와, 유체의 흐름을 위해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안내축부를 관통하며 상기 유로보다 단면적이 작은 보조유로를 포함하는 후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중감지레버, 상기 안전레버,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후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외면과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유로의 내면은 상호 대응하는 원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보다 단면적이 큰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안전레버의 폐쇄동작 시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안전레버의 개방동작 시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도록 동작하는 후크장치.
KR1020150063627A 2015-05-07 2015-05-07 후크장치 KR10170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27A KR101706571B1 (ko) 2015-05-07 2015-05-07 후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27A KR101706571B1 (ko) 2015-05-07 2015-05-07 후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73A KR20160131373A (ko) 2016-11-16
KR101706571B1 true KR101706571B1 (ko) 2017-02-14

Family

ID=5754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627A KR101706571B1 (ko) 2015-05-07 2015-05-07 후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4110B2 (en) 2020-02-13 2022-09-06 Cranston Diversified Industries, Inc. Hook with pneumatic control circuit safety relie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2882A (zh) * 2017-11-08 2018-02-0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韶关供电局 一种具有自解锁及锁定功能的挂钩
CN110015614A (zh) * 2019-05-21 2019-07-16 郑好聪 电动无人脱钩吊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920A (ja) * 2002-07-22 2004-02-19 Hitachi Metals Techno Ltd 油圧式ダン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4083B2 (ja) * 1992-05-01 1999-05-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クレーンアームの吊り具構造
KR20120080505A (ko) 2011-01-07 2012-07-17 김대중 크레인 후크의 안전 고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920A (ja) * 2002-07-22 2004-02-19 Hitachi Metals Techno Ltd 油圧式ダン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4110B2 (en) 2020-02-13 2022-09-06 Cranston Diversified Industries, Inc. Hook with pneumatic control circuit safety relie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73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571B1 (ko) 후크장치
CN102859079A (zh) 具有锁定机构的铲斗门闩锁
EP3052707B1 (en) A coupler device
KR101789909B1 (ko)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퀵 커플러
CA2926998C (en) Dual action grapple apparatus
CN102753761A (zh) 用于挖掘机臂的全自动联结器
KR20140143068A (ko) 개선된 구조의 자동잠금장치를 가진 중장비용 퀵커플러
KR20080000757A (ko) 샤클 조립체
KR101734763B1 (ko) 개선된 구조를 가진 중장비용 안전퀵커플러
CN109070323B (zh) 阀体灌充锁
ITMO20100090A1 (it) Attacco rapido di sicurezza per il fissaggio di un utensile ad una macchina operatrice
KR101618052B1 (ko) 건설중장비 작업용 차량의 도어 개폐 제어용 힌지장치
KR100974255B1 (ko) 중량물 인양에 사용되는 반자동 후크 장치
KR102139836B1 (ko) 건설기계의 도저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27477B1 (ko) 심부처분공 하강용 처분용기 체결장치
US20160244943A1 (en) Safety lifting system for a mechanical excavator
CN204493320U (zh) 多路阀和叉车
KR101437629B1 (ko) 굴삭기용 그래브와 그 구동장치
KR101322106B1 (ko) 건설차량의 엔진룸 개폐장치
CN206385590U (zh) 一种挖掘机快速连接器
US10106377B1 (en) Lifting tool
US2300372A (en) Grasping hook or device for cranes and the like
KR20120025748A (ko) 슬라이딩 해치 커버 및 그 개폐 방법
KR101610302B1 (ko) 굴착기용 집게발의 안전 고정장치
KR200268700Y1 (ko) 후크 자동 이탈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