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084Y1 -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 Google Patents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084Y1
KR200270084Y1 KR2020010037266U KR20010037266U KR200270084Y1 KR 200270084 Y1 KR200270084 Y1 KR 200270084Y1 KR 2020010037266 U KR2020010037266 U KR 2020010037266U KR 20010037266 U KR20010037266 U KR 20010037266U KR 200270084 Y1 KR200270084 Y1 KR 200270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ad
eccentric nut
cylindrical memb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7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084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크 입구를 항상 지정된 방향으로 유지하고, 하중물을 권상하는 부하시에만 부하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후크 잠금부가 작동하도록 하여 후크로 부터 와이어 로프등의 걸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후크가 편심된 상태로 중앙에 끼워지고, 트러니언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중공형의 편심 너트를 압박대와 스프링등으로 밀착하여 후크를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방향유지부; 상기 중공의 편심 너트의 내부에 유체를 장입하고, 후크에 연결된 상부 원통부재가 상기 너트 내측의 스프링을 가압하여 하강되면서 편심 너트의 내부에서 후크에 걸린 부하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부하연동부;및 상기 편심 너트의 하부측에 도관을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된 실린더를 후크의 일측에 갖추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 하방에는 후크 잠금대가 위치되어 후크에 걸린 부하물의 하중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하강되어 후크 잠금대에 걸리도록 하여 후크의 내측 공간에 걸린 걸고리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 잠금부;를 포함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A SAFETY HOOK APPARATUS HAVING LOCKING MECHANISM}
본 고안은 중량물 운반장비인 천정기중기의 호이스트 장치에 갖춰진 후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후크 입구를 항상 지정된 방향으로 유지하고, 하중물을 권상하는 부하시에만 부하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후크 잠금부가 작동하도록 하여 후크로 부터 와이어 로프등의 걸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크장치(100)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하부측의 후크(110)가 위치되고, 상기 후크(110)를 트러니언(112)에 연결하는 후크 너트(115)및 그 하측의 베어링(117)을 구비하고, 상기 트러니언(112)이 장착된 프레임(120)의 상부측으로는 와이어 로프(124)가 걸리는 다수의 시이브(126)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후크장치(100)는 상기 후크(110)에 걸리는 부하물의 회전으로 인한 와이어로프(124)의 꼬임을 방지하고자 후크(110)가 360°회전이 가능하며, 필요시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후크장치(100)를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후크(110)를 360°회전을 해야 하는 작업이 반복될 때에는, 후크(110)를 지면 가까이 내려 작업자가 후크 트러니언(112)의 일측에 마련된 로커 핀(135)를 후크(110)의 상단에 마련된 플랜지(137)의 홈(137a)에 체결 및 해체하는 작업을 계속 반복해야 하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로커 핀(135)과 홈(137a)사이에서 손가락 협착등 안전사고가 빈발하는 것이었고, 와이어 로프(124)의 탈선등 설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것이며, 후크(110)의 권상및, 권하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므로 후공정 지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부하물의 줄걸이 작업은 로커 핀(135)을 해체하고 작업을 해야 하므로 부하물의 상태에 따라 부하물이 계속 회전하는 경우, 부하물이 그 회전을 멈출 때까지 대기해야 하므로 작업이 지연된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에는 신속한 작업을 위해 후크(110)에 매달린 부하물에 줄을 매어 인력으로 당김으로서 그 회전을 방지하는 실정이므로 작업자가 부하물의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부하물의 추락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중량물의 후크(110)나, 주로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후크(110)는 인력으로 그 잠금부(70)를 체결 및 해체하기 어려우므로 잠금부(70)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줄걸이 와이어 로프(150)나 래들 및 슈트의 경동고리(미도시)가 벗겨져 후크(110)로 부터 운송물이 낙하됨으로써 대형 설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후크를 지정한 일정 방향으로 정확하게 유지하고, 부하물의 하중 여부에 따라 잠금부의 잠금작동 또는 해체작동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수작업에 의한 로커 핀 체결 및 해체 공정를 삭제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후크로 부터 와이어 로프등의 탈선사고와, 외부 충격에 의한 래들 및 슈트의 경동고리가 벗겨지는 등의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개선된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에 갖춰진 부하 연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에 갖춰진 부하 연동부의 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에 갖춰진 후크 잠금부의 분해 사시도;
제 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에 갖춰진 방향 유지부의 단면도;
제 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의 작동상태도;
제 7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향 유지부 15..... 베어링
20..... 압박대 22..... 스프링
27..... 스프링 통 50..... 부하 연동부
52a,52b.... 상,하부 원통부재 57..... 스프링
70..... 후크 잠금부 76..... 실린더
80..... 피스톤 부재 82..... 스프링
86..... 걸쇠 90..... 가이드 구
110.... 후크 112.... 트러니언
120.... 프레임 124.... 와이어 로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크를 360°회전이 가능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고, 부하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잠금부가 작동되는 부하연동식 안전 후크장치에 있어서, 후크가 편심된 상태로 중앙에 끼워지고, 트러니언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중공형의 편심 너트를 압박대와 스프링등으로 밀착하여 후크를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방향유지부; 상기 중공의 편심 너트의 내부에 유체를 장입하고, 후크에 연결된 상부 원통부재가 상기 너트 내측의 스프링을 가압하여 하강되면서 편심 너트의 내부에서 후크에 걸린 부하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부하연동부;및 상기 편심 너트의 하부측에 도관을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된 실린더를 후크의 일측에 갖추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 하방에는 후크 잠금대가 위치되어 후크에 걸린 부하물의 하중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의로드가 하강되어 후크 잠금대에 걸리도록 하여 후크의 내측 공간에 걸린 걸고리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 잠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후크(110)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방향유지부(10)와, 부하물의 중량에 비례하게 유압을 발생하는 부하연동부(50)및, 유압의 형성 유무에 따라 후크 잠금대(72)를 고정 또는 해체하는 후크 잠금부(7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방향유지부(10)는 제2도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10)의 상단나사(110a)와 결합되는 후크 홀(25)이 편심되게 통공된 중공형의 편심 너트(12)를 갖는 바, 상기 편심 너트(12)는 그 하단이 트러니언(112)의 상부에 베어링(1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15)의 회전 중심, 즉 후크(110)의 회전 중심축(P1)과 상기 편심 너트(12)의 수직축(p2)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편심 너트(12)가 베어링(1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중심이 편심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편심 너트(12)의 일측에는 중공형의 편심 너트(12)에 압박대(20)를 스프링(22)으로 밀착하여 후크(110)를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바, 이는 편심 너트(12)측에 밀착되는 압박대(20)를 갖추고, 상기 압박대(20)는 그 후단에 중공형의 스프링 장착구(24)를 일체로 갖추며, 그 내부에는 스프링(22)을 내장하여 전방측으로 탄력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2)은 원통형의 스프링통(27)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스프링 통(27)의 외측으로 압박대(20)의 후단 스프링 장착구(24)가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장착구(24)의 내측 후면은 스프링(22)에 의해서 스프링 통(27)의 전면 내측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통(27)의 후면은 고정대(30)가 장착되어 후크장치의 프레임(120)에 다수의 볼트(32)등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압박대(20)는 항상 스프링(22)에 의해서 편심 너트(12)의 일측면에 밀착됨으로써 편심 너트(12)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스프링(22)을 가압하려는 작용력에 저항함으로써, 상기 편심 너트(12)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려고 하고, 그에 연결된 후크(110)도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하연동부(50)는 제 2도및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10)의 상단 나사부(110a)에 나사결합하는 후크 홀(25)을 형성한 중공형 편심 너트(12)에 마련되며, 상기 편심 너트(12)는 상기 후크 홀(25)이 마련된 상부 원통부재(52a)와, 그 하부측에서 트러니언(112)에 베어링(15)을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 원통부재(52b)를 갖추고, 상기 상부 원통부재(52a)와 하부 원통부재(52b)들은 각각 중공형의 원통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 원통부재(52a)와 하부 원통부재(52b)의 사이에는 스프링(57)과 오일을 내장하고, 상부 원통부재(52a)의 하단은 하부 원통부재(52b)의 상단 내측에 끼워지며, 이들 사이에는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원통부재(52a)에 형성된 후크 홀(25)이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상기하부 원통부재(52b)의 내측에도 안내구멍(60)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 홀(25)의 외면과 상기 안내 구멍(60)의 접촉면에도 편심 너트(12)의 내면에 충진되는 오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도록 밀봉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원통부재(52a)의 외면으로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홈(6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63)에 일치하는 가이드 돌기(65)가 상기 하부 원통부재(52b)의 내측면에 형셩되어 이들이 결합되는 경우, 연직방향의 변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측의 스프링(57)을 압착하도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하 연동부(50)는 후크(110)에 걸리는 부하물의 중량에 따라 상부 원통부재(52a)가 하부 원통부재(52b)측으로 하강되고, 이는 상기 하부 원통부재(52b)의 하면에 형성된 오일 유출공(68)을 통하여 오일을 그 하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후크 잠금부(70)는 상기 편심 너트(12)의 하부측 오일 유출공(68)에 도관(74)을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된 실린더(76)를 후크(110)의 일측에 갖추고, 상기 실린더(76)의 하부측은 캡(76a)에 의해서 나사결합되며, 그 내측에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80)이 스프링(82)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며, 상기 피스톤(80)의 하방으로 연장된 로드(84)의 끝에는 걸쇠(86)가 연결되고, 상기 걸쇠(86)는 상기 실린더(76)의 하부측에서 후크(110)에 고정된 가이드 구(9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구(90)의 하방에는 ☆ 형상의 후크 잠금대(72)가 후크(1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구(90)로 부터 걸쇠(86)가 하강되면, 상기 후크 잠금대(72)의선단에 걸려서 후크(110)의 내측 공간에 걸린 와이어 로프(150)의 걸고리나, 래들 및 슈트의 경동고리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74a)는 밸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후크(110)의 방향유지 작용과 부하에 연동하는 잠금 작용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후크(110)의 방향유지 작용은 스프링(15)의 탄성력으로 압박대(20)가 편심 너트(12)의 일측을 압박하면 편심 너트(12)는 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으로 베어링(1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정지한 상태가 되고, 이때 후크(110)에 부하물을 걸어서 하중이 작용하면 부하물의 회전 상태에 따라 후크(110)가 회전되며, 이때에는 스프링(22)이 압축및 해제를 반복하면서 부하물의 회전에 저항을 주게되어 쉽게 부하물은 그 회전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부하물이 회전하다가 회전력이 상실되면, 후크(110)은 항상 지정된 일정한 방향을 유지한다.
그리고, 부하 연동부(50)는 후크(110)에 연결된 상부 원통부재(52a)가 후크(110)에 부하물이 걸리게 되면 하중을 받게 되어 하향되면서 편심 너트(12)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가압한다. 동시에 스프링(57)은 압축되면서 상부 원통부재(52a)가 하강되고, 압축된 유체는 오일 유출공(68)과 도관(74)을 통하여 후크 잠금부(70)의 실린더(76) 내부로 유입되어 실린더(76)의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80)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피스톤(80)이 리턴 스프링(82)을 압축하면서 하강 이동하여 로드(84)를 통하여 걸쇠(86)를 가이드 구(90)의 하부측으로 밀어 내린다. 이러한 경우, 걸쇠(86)는 가이드 구(90)의 홈을 따라서 하강되며, 후크 잠금대(72)의 돌기(72a)들 사이에 위치되어 후크 잠금대(72)의 회전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후크 잠금대(72)는 회전이 정지되어 후크(110)의 내측에 걸려진 와이어 로프(150)의 걸고리나, 래들 및 슈트의 경동고리들이 후크(110)로 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후크(110)에 작용하던 부하가 해지되면 편심 너트(12)의 상부 원통부재(52a)는 복귀 스프링(57)의 복원력에 의해 무부하시의 원래의 위치로 상향이동되고, 리턴 스프링(82)이 피스톤(80)을 밀어 올려 오일이 다시 편심 너트(12)의 내부로 되돌아 가며, 이와 동시에 걸쇠(86)도 피스톤(80)의 로드(84)에 의해 다시 끌어 올려지므로 후크 잠금대(72)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관(74)에 마련된 밸브(74a)를 이용하여 부하물의 충돌등 외력에 의해 부하물의 중량이 일시에 감소되어 후크 잠금부(70)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밸브(74a)를 잠궈줌으로써 일시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항상 후크(110)의 이동중에는 후크 잠금대(72)가 걸쇠(86)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후크(110)를 일정 방향으로 정확하게 유지하고, 부하물의 하중 여부에 따라 잠금부(70)의 잠금작동 또는 해체작동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수작업에 의한 걸쇠체결 및 해체 공정를 삭제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후크(110)로 부터 와이어 로프(150)등의탈선사고와, 외부 충격에 의한 래들 및 슈트의 경동고리가 벗겨지는 등의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4)

  1. 후크(110)를 360°회전이 가능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고, 부하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잠금부가 작동되는 부하연동식 안전 후크장치에 있어서,
    후크(110)가 편심된 상태로 중앙에 끼워지고, 트러니언(112)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중공형의 편심 너트(12)를 압박대(20)와 스프링(22)등으로 밀착하여 후크(110)를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방향유지부(10); 상기 중공의 편심 너트(12)의 내부에 유체를 장입하고, 후크(110)에 연결된 상부 원통부재(52a)가 상기 너트(12) 내측의 스프링(57)을 가압하여 하강되면서 편심 너트(12)의 내부에서 후크(110)에 걸린 부하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부하연동부(50);및 상기 편심 너트(12)의 하부측에 도관(74)을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된 실린더(76)를 후크(110)의 일측에 갖추고, 상기 실린더(76)의 로드(84) 하방에는 후크 잠금대(72)가 위치되어 후크(110)에 걸린 부하물의 하중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76)의 로드(84)가 하강되어 후크 잠금대(72)에 걸리도록 하여 후크(110)의 내측 공간에 걸린 걸고리(150)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 잠금부(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너트(12)는 그 하단이 트러니언(112)의 상부에 베어링(1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후크(110)의 회전 중심축(P1)과 상기 편심 너트(12)의 수직축(p2)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편심 너트(12)가 베어링(1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중심이 편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너트(12)는 상기 후크 홀(25)이 마련된 상부 원통부재(52a)와, 그 하부측에서 트러니언(112)에 베어링(15)을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 원통부재(52b)를 갖추고, 상기 상부 원통부재(52a)와 하부 원통부재(52b)의 사이에는 스프링(57)과 오일을 내장하고, 상부 원통부재(52a)의 하단은 하부 원통부재(52b)의 상단 내측에 끼워지며, 이들 사이에는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링(미도시)이 개재되며, 상기 상부 원통부재(52a)에 형성된 후크 홀(25)이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하부 원통부재(52b)의 내측에도 안내구멍(60)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 홀(25)의 외면과 상기 안내 구멍(60)의 접촉면에도 편심 너트(12)의 내면에 충진되는 오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도록 밀봉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잠금부(70)는 상기 편심 너트(12)의 하부측 오일 유출공(68)에 도관(74)을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된 실린더(76)를 후크(110)의 일측에 갖추고, 상기 실린더(76)의 내측에는 피스톤(80)이 스프링(82)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며, 상기 피스톤(80)의 하방으로 연장된 로드(84)의 끝에는 걸쇠(86)가 연결되고, 상기 걸쇠(86)는 상기 실린더(76)의 하부측에서 후크(110)에 고정된 가이드 구(9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상기 가이드 구(90)의하방에는 ☆ 형상의 후크 잠금대(72)가 후크(1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구(90)로 부터 걸쇠(86)가 하강되면, 상기 후크 잠금대(72)의 선단에 걸려서 후크(110)의 내측 공간에 걸린 와이어 로프(150)의 걸고리나, 래들 및 슈트의 경동고리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KR2020010037266U 2001-12-03 2001-12-03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KR200270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66U KR200270084Y1 (ko) 2001-12-03 2001-12-03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66U KR200270084Y1 (ko) 2001-12-03 2001-12-03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084Y1 true KR200270084Y1 (ko) 2002-03-28

Family

ID=7311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266U KR200270084Y1 (ko) 2001-12-03 2001-12-03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0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1973A (zh) * 2022-06-23 2022-10-11 浙江衣拿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承重自偏转的挂钩
CN117300573A (zh) * 2023-11-29 2023-12-29 山西继禹工程机械有限公司 矿用设备总成件拆装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1973A (zh) * 2022-06-23 2022-10-11 浙江衣拿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承重自偏转的挂钩
CN117300573A (zh) * 2023-11-29 2023-12-29 山西继禹工程机械有限公司 矿用设备总成件拆装车
CN117300573B (zh) * 2023-11-29 2024-02-06 山西继禹工程机械有限公司 矿用设备总成件拆装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7920A (en) Emergency brake for elevator cars
CN107522088A (zh) 一种摩擦式超载自动脱落吊具
KR200270084Y1 (ko) 잠금기구를 구비한 안전 후크장치
CA2539883C (en) Apparatus for escaping area of accident
KR101520014B1 (ko) 안전 후크
US3211490A (en) Hoist attachments
EP3307668B1 (en) Fast acting compressible stop
US3582125A (en) Tire sling for heavy equipment tires
US8770347B2 (en) Rigging system safety device
CN2187161Y (zh) 一种起重脱钩装置
US5415446A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207759869U (zh) 一种可回转提升机钢丝绳张力自动平衡悬挂装置
US2956833A (en) Concrete pouring bucket
CN113443545B (zh) 一种轨道梁吊具
CN211254982U (zh) 一种勾机用防脱落吊钩
KR200220765Y1 (ko) 잠금장치가 부착된 크레인후크
CN106400773B (zh) 卸载装置及强夯机
US201201957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large off-highway truck-truck bodies
CN220364241U (zh) 一种自脱钩式链条钩
KR102455291B1 (ko)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CN217650787U (zh) 一种塔吊爬梯用防坠落装置
CN219174015U (zh) 一种吊装机构
KR200203837Y1 (ko) 압연롤의 줄걸이용 트러니언
KR102635155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US3220510A (en) Safety appliance for elev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